KR101893672B1 -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 - Google Patents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672B1
KR101893672B1 KR1020170002445A KR20170002445A KR101893672B1 KR 101893672 B1 KR101893672 B1 KR 101893672B1 KR 1020170002445 A KR1020170002445 A KR 1020170002445A KR 20170002445 A KR20170002445 A KR 20170002445A KR 101893672 B1 KR101893672 B1 KR 10189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wder
metal magnetic
inductor
containing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506A (ko
Inventor
요시유끼 모리우찌
다까시 도모히로
미쯔히로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8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01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a shaping technique combined with cutting, e.g. in parts or slices combined with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organic or organo-metallic materials, e.g. gra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81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befor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filler
    • B29K2505/08Transition metals
    • B29K2505/12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8Magnetic or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06Components, e.g.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경화물을 다이서에 의해 절단하거나, 경화물에 대하여 표면 연마를 행하였을 때에 탈립이 발생하기 어려워,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금속 자성 분말과,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이다.

Description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MAGNETIC METAL POWDER-CONTAIN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INDUCTOR, AND INDUCTOR}
본 발명은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로서, 자성체에 페라이트 세라믹이 아니라 금속 자성 분말을 사용하는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금속 분말과, 비정질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덕터용의 금속-폴리머 복합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복합체 필름을 사용한 인덕터의 제조 방법도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46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인덕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코일층에 금속-폴리머 복합체 필름을 적층하고, 압착/경화시킨 후에, 다이서를 사용하여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인덕터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는, 금속-폴리머 복합체로서 금속 분말과, 비정질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혼합물을 경화하여 다이서에 의한 절단을 행하면, 금속 분말의 입자가 탈락하는 현상인 탈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탈립이 발생한 경화물의 표면을 관찰하면, 탈립이 발생한 부분이 공극으로 되어 있어, 경화한 수지 중에 기포가 형성된 듯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탈립이 많이 발생한 인덕터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이 그 특성을 측정한 바, 항절 강도나 L값이 낮아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경화물을 다이서에 의해 절단하거나, 경화물에 대하여 표면 연마를 행하였을 때에 탈립이 발생하기 어려워,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금속 자성 분말과,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수지 성분으로서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로 되어 있다.
페녹시 수지를 50중량부 이상 함유함으로써, 탈립이 억제되어,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킨 경화물의 항절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탈립이 억제됨으로써 L값이 높아진다.
또한, 탈립이 억제됨으로써, 외부 전극을 형성하였을 때의 외부 전극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발휘된다.
또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150중량부 이하이면,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서는, 상기 금속 자성 분말을 60체적% 이상, 87체적%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자성 분말의 함유 비율은,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전체의 체적을 100체적%로 하였을 때의 금속 자성 분말의 체적%로서 정해진다.
금속 자성 분말을 60체적% 이상 포함함으로써 인덕터로서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금속 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87체적% 이하이면 시트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서는, 충분히 경화시킨 후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항절 강도가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충분히 경화시킨 후의 항절 강도가 125㎫ 이상으로 높으면, 이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덕터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코일을 준비하고,
상기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상기 코일을 겹쳐 가압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켜 경화물을 제작하고,
상기 경화물에 대하여 절단 또는 연마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경화물로 한 후에 절단(예를 들어, 다이싱) 또는 연마(예를 들어 배럴 연마)를 행하였다고 해도 탈립이 억제되므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덕터는,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과,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덕터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은, 탈립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물을 다이서에 의해 절단하거나, 경화물에 대하여 표면 연마를 행하였을 때에 탈립이 발생하기 어려워,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상에 복수의 코일을 배열하고, 또 다른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다이싱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외부 전극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인덕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투과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상이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 있어서 기재하는 본 발명의 개개의 바람직한 구성을 2개 이상 조합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이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금속 자성 분말과,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자성 분말]
금속 자성 분말로서는, 자성을 갖는 각종 금속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e-Si-Cr 합금, 카르보닐철, 전자 연철(Fe), 규소강(Fe-3Si), 철-알루미늄(Fe-3.5Al), 알펌(Fe-16Al), 퍼멘듈(Fe-50Co-2V), 센더스트(Fe-9.5Si-5.5Al), 45퍼멀로이(Fe-45Ni), 78퍼멀로이(Fe-78.5Ni), 수퍼멀로이(Fe-95Ni-5Mo), 뮤메탈(Fe-77Ni-2Cr-5Cu), 하드펌(Fe-79Ni-9Nb), 철기 아몰퍼스 합금(Fe-5Si-3B), 코발트기 아몰퍼스 합금(Co81 .8-Fe4 .2-Ni4 .2-Si10-B20) 등의 금속 자성 재료를 들 수 있다. 금속 자성 분말은 평균 입경 D50의 상이한 2종류 이상의 금속 자성 재료의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평균 입경 D50의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인덕터가 금속 자성 분말을 밀하게 포함할 수 있어, 높은 L값을 취득하기 쉬워진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 분말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값은 60체적%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값은 76체적%이며, 바람직한 상한값은 87체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값은 82체적%이다.
[페녹시 수지]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페녹시 수지로서는, 비스페놀 A 골격, 비스페놀 F 골격, 비스페놀 S 골격, 비스페놀 아세토페논 골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골격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페녹시 수지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로부터 합성되는 수지이어도 된다. 비스페놀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비스페놀 아세토페논을 포함한다. 페녹시 수지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페녹시 수지의 말단은 페놀성 수산기, 에폭시기 등의 어느 관능기이어도 된다.
페녹시 수지는,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값은 30,000이며, 바람직한 상한값은 1,0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값은 200,000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등을 전개 용매로서 사용한 GPC 측정에 있어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페녹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재팬 에폭시 레진(주)제 1256(비스페놀 A 골격 페녹시 수지), 4250(비스페놀 A/비스페놀 F 혼합 골격 페녹시 수지), 재팬 에폭시 레진제 YX8100(비스페놀 S 골격 페녹시 수지), 도토 가세이(주)제 FX-316(비스페놀 F 골격 페녹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
에폭시 수지는, GPC 측정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이고, 액상 에폭시 수지와 고형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및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시트 성형 시에 권취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시트를 얻기 위해, 액상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에폭시 수지는, 실온(25℃)에서 액상의 에폭시 수지이고, 고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실온(25℃)에서 고체의 에폭시 수지로서 미경화 수지의 연화점이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서는, 수지 성분으로서의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비율에 대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로 되어 있다.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값은 75중량부이고, 바람직한 상한값은 125중량부이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는, 경화제가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경화제로서는, 디시안디아미드, 산무수물, 이미다졸류, 아민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경화제 중, 1종만이 사용되어도 복수종이 병용되어도 된다. 장기 보존과 가공 온도의 조정이 쉬운 잠재성이 있는 경화제(예를 들어 디시안디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는,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경화 촉진제로서는, 이미다졸류, 아민계 경화 촉진제, 유기인계 경화 촉진제, 오늄염계 경화 촉진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 촉진제, 마이크로 캡슐화된 각종 경화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만이 사용되어도 복수종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는, 실리카,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나, 티타늄산바륨 등의 필러,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난연재를 더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는, 커플링제, 분산제 등을 더 함유해도 된다. 커플링제로서는, 에폭시실란, 머캅토실란, 아미노실란, 비닐실란, 스티릴실란, 메타크릴옥시실란, 아크릴옥시실란 등의 실란 커플링제; 헥실트리메톡시실란, 메틸메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등의 실록산; 티타네이트; 알루미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알킬에테르계 분산제, 소르비탄에스테르계 분산제, 알킬폴리에테르아민계 분산제, 고분자계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표면 처리제, 레벨링제, 저탄성화 고무 성분, 저탄성 고무 입자, 밀착 부여제, 틱소트로피제 등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값은 함유하는 필러의 최대 입경 이상, 상한값은 그 2배 정도이다. 예를 들어 내재하는 필러의 최대 입경이 120㎛인 경우, 바람직한 두께의 하한값은 120㎛이고, 바람직한 두께의 상한값은 240㎛이다.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코일과 겹쳐 인덕터를 제조하는 것에 적합하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의 특성>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충분히 경화시킨 후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항절 강도가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가열에 의해 열경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 조건은 에폭시 수지와 페녹시 수지의 종류 및 배합 비율에 따라 상이하다.
충분히 경화시킨 후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항절 강도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가열하여 완전 경화시키고, 측정에 적합한 사이즈로 다이서를 사용하여 절단한 후, 항절 강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3점 굽힘 시험을 행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는, 상기한 각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혼합 시에는, 용제를 더 첨가하여 점도를 조정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MEK(메틸에틸케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DPM(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DPMA(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성분이 미경화 상태(A 스테이지 상태)인 혼합물을, PET 필름 등을 포함하는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하여 가열함으로써, 지지 기재 상에 반경화 상태(B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은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A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이란,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은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성분이다. 또한, B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이란,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가 가열됨으로써,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의 경화 반응이 일부 진행되어 있지만, 완전히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지를 포함하는 성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분말 함유 시트는, 수지 성분이 반경화 상태(B 스테이지 상태)인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인덕터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코일을 준비하고,
상기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상기 코일을 겹쳐 가압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켜 경화물을 제작하고,
상기 경화물에 대하여 절단 또는 연마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경화물에 대하여 절단(예를 들어, 다이싱) 또는 연마(예를 들어 배럴 연마)를 행한다.
복수의 인덕터를 한 번에 제작하는 경우에는, 경화물을 제작한 후에 다이싱에 의해 각 인덕터로 절단한다. 또한, 치수 조정을 위해 연마를 행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경화물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공정이 있으므로, 경화물로부터의 탈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경화물로부터의 탈립이 억제된다.
복수의 인덕터를 한 번에 제작하는 경우, 복수의 코일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고, 그 위에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쳐 가압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켜 경화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이 형성된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코일이 형성된 기판은, 그 표리 양면에 코일이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편면에만 코일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기판의 표리 양면에 코일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기판의 표측과 이측의 양쪽에 배치하고 나서 가압해도 된다.
또한, 코일은, 복수의 코일이 기판 상에 형성된 것이 아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금형이나 이형성을 갖는 판이나 필름 상에 복수의 코일을 배열해 놓고, 코일 상에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쳐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을 행한다. 이 경우, 제조되는 인덕터는 기판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로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코일을 배열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쳐 가압하여 1차 프레스 성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코일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중에 매립되어, 코일의 내부에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가 충전된다.
그리고, 1차 프레스 성형에 의해 얻어진, 코일이 매립된 자성 시트의, 코일이 노출된 면에 다른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쳐, 2차 프레스 성형을 행한다. 1차 프레스 성형 및 2차 프레스 성형에 의해, 복수매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가 일체로 되어, 인덕터의 자성체부를 형성한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상기 코일을 겹쳐 가압함으로써, 연화된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가 코일의 코어부에 충전되고, 그 결과, 금속 자성 분말이 코일의 코어부에 충전된다.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는 가열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경화 조건은 에폭시 수지와 페녹시 수지의 종류 및 배합 비율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공정에서 제조한 인덕터의 양 단부면에, 외부 전극으로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외부 전극을 형성하여, 인덕터를 제조할 수 있다. 외부 전극의 표면에는 도금층을 더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스퍼터나 직접 도금에 의해 외부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인덕터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상에 복수의 코일을 배열하고, 또 다른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겹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10a)에 코일(20)을 복수개 배열한다. 도 1에 도시한 코일(20)은 α 권취의 코일이지만, 코일의 권취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른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10b)를 코일(20) 상에 겹쳐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코일이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중에 매립되어, 코일의 내부에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가 충전된다. 도 1에서는 코일(20)의 상하에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10a, 10b)를 각각 1장만 배치하고 있지만, 코일의 두께에 대하여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두께가 부족한 경우에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복수매 겹쳐, 코일의 상하에 배치해도 된다.
프레스 성형과 동시, 또는, 프레스 성형 후에 가열을 행하여,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킨다.
도 2는 다이싱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외부 전극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인덕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투과 사시도이다.
도 2 중, 다이싱 라인을 「DL」로 나타내고 있고, 다이싱에 의해 복수의 인덕터의 단위로 절단한다.
그 후, 인덕터의 양 단부면에 외부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덕터(1)를 제조할 수 있다.
<인덕터>
본 발명의 인덕터는,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과,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덕터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은, 탈립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항절 강도나 L값이 우수한 인덕터로 할 수 있다.
코일은, 코일 형상으로 감긴 금속선(예를 들어 구리선)이어도 된다. 또는, 코일은, 기판 상에 형성된 코일 형상의 도체이어도 된다. 코일 형상의 도체는, 예를 들어 기판 상의 금속막을 에칭이나 도금함으로써 얻어진다. 또는, 코일 형상의 도체는, 기판에 도체 페이스트를 코일 형상의 패턴으로 인쇄함으로써 얻어진다. 기판은 수지 기판이어도 된다. 코일은 경화물의 내부에 배치된다. 단, 코일의 단부는, 경화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물의 제조>
에폭시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70인, 비스페놀 A형 액상 에폭시 수지를 100중량부, 페녹시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인,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를 50중량부 준비하였다.
또한, 경화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를 10중량부, 경화 촉진제로서 2-페닐이미다졸을 1중량부 준비하였다. 실란 커플링제로서 γ-글리시딜형 에폭시 실란을 5중량부 준비하였다.
금속 자성 분말로서 Fe-Si-Cr 합금을,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에 포함되는 함유량이 80체적%로 되는 양만큼 준비하였다.
이들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제작하였다.
혼합물 중의 에폭시 수지와 페녹시 수지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냈다.
<경화물의 제작 및 탈립도 및 항절 강도의 측정>
상기 공정에서 제작한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180℃, 50분의 조건에서 건조로를 사용하여 가열하여 경화물을 제작하였다.
경화물을 6개 제작하고, 경화물의 단면을 연마한 후, 연마면의 현미경 관찰을 행하여, 관찰 영역 1㎟ 중에 관찰되는 금속 자성 분말의 탈립수를 카운트하였다. 6개의 경화물에 대하여, 1㎟씩 카운트를 행하고, 그 탈립수의 합계를 「탈립도」로서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경화물을 항절 강도의 측정이 가능한 크기(1.5㎜×4㎜×8㎜)로 절단하고, 항절 강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3점 굽힘 시험을 행하였다. 항절 강도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5, 비교예 1∼3)
혼합물 중의 에폭시 수지와 페녹시 수지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제작하고, 경화물의 제작, 인덕터의 제작, 탈립도의 측정, 항절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들 결과는 통합하여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시트의 형성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각 평가 항목에 대한 측정은 행하지 않았다.
Figure 112017002049142-pat00001
<인덕터의 L값의 측정>
또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코일을 겹쳐 가압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켜 경화물을 제작하고, 경화물에 대하여 다이싱을 행하고, 또한 외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인덕터를 제작하고, 제작한 인덕터에 대하여, 교류 전류를 흘려 L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L값은 4.65×10-7(H)이고, 비교예 1에 있어서의 L값은 4.45×10-7(H)이었다.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가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로 되어 있는 실시예 1∼5에서는, 탈립도가 낮고, 항절 강도가 높아져 있었다.
한편,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지 않거나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미만인 비교예 1, 2에서는 탈립도가 높아져 있고, 항절 강도가 낮아져 있었다. 또한,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150중량부를 초과하고 있는 비교예 3에서는, 핸들링하기 어렵기(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트의 형성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비교예 1보다도 높은 L값이 얻어졌다. L값은 탈립도의 값과 상관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탈립도가 낮은 다른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높은 L값이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1 : 인덕터
10a, 10b :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20 : 코일
30 : 외부 전극
DL : 다이싱 라인

Claims (5)

  1. 금속 자성 분말과,
    페녹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 상기 에폭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4 이상 1000 이하이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액상 에폭시 수지임 -,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자성 분말을 60체적% 이상, 87체적% 이하 포함하는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분히 경화시킨 후의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항절 강도가 125㎫ 이상, 145MPa 이하인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코일을 준비하고,
    상기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와 상기 코일을 겹쳐 가압하고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를 경화시켜 경화물을 제작하고,
    상기 경화물에 대하여 절단 또는 연마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의 경화물과,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KR1020170002445A 2016-01-08 2017-01-06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 KR101893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2697A JP6459986B2 (ja) 2016-01-08 2016-01-08 金属磁性粉含有シート、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及びインダクタ
JPJP-P-2016-002697 2016-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506A KR20170083506A (ko) 2017-07-18
KR101893672B1 true KR101893672B1 (ko) 2018-08-30

Family

ID=5927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445A KR101893672B1 (ko) 2016-01-08 2017-01-06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00540A1 (ko)
JP (1) JP6459986B2 (ko)
KR (1) KR101893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4864A1 (ja) * 2019-02-28 2020-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給電部材、コイル配置用磁性シート、及びコイル配置用磁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7092091B2 (ja) 2019-04-18 2022-06-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JP2021057477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21057478A (ja)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2021174797A (ja) * 2020-04-20 2021-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7482353B2 (ja) 2021-03-30 2024-05-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N115547657A (zh) * 2022-10-17 2022-12-3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电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368A1 (ja) * 2013-09-13 2015-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電解コンデンサを構成するコンデンサ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084A (en) * 1985-11-11 1988-05-31 Nippon Zeon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001036277A (ja) * 1999-07-23 2001-02-09 Tomoegawa Paper Co Ltd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1447A (ja) * 2000-12-27 2002-07-19 Toyo Chem Co Ltd 磁性体含有接着シート及び磁性体含有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DE10225154B4 (de) * 2002-06-06 2012-06-06 Robert Bosch Gmbh Weichmagnetischer Pulververbundwerk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JP4685952B2 (ja) * 2009-06-19 2011-05-18 義純 福井 巻き線一体型モールドコイルおよび巻き線一体型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JP5965148B2 (ja) * 2012-01-05 2016-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を用いたモバイル端末用受電モジュール及び当該モバイル端末用受電モジュールを備えたモバイル端末用充電池
WO2013146251A1 (ja) *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KR101541581B1 (ko) 2012-06-28 2015-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및 인덕터 제조방법
JP5755615B2 (ja) * 2012-08-31 2015-07-29 東光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3136B1 (ko) * 2012-12-28 2019-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5440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공통 모드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TWI653312B (zh) * 2014-03-11 2019-03-11 日商味之素股份有限公司 接著薄膜
JP6405742B2 (ja) * 2014-06-26 2018-10-17 富士通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10468184B2 (en) * 2014-11-28 2019-11-05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having resin wa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368A1 (ja) * 2013-09-13 2015-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電解コンデンサを構成するコンデンサ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9986B2 (ja) 2019-01-30
JP2017123433A (ja) 2017-07-13
KR20170083506A (ko) 2017-07-18
US20170200540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672B1 (ko) 금속 자성 분말 함유 시트, 인덕터의 제조 방법 및 인덕터
JP7194909B2 (ja) 磁性樹脂粉末、磁性プリプレグ及び磁性樹脂ペースト
JP7388502B2 (ja) 金属元素含有粉及び成形体
KR101076555B1 (ko) 시트상 연자성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375353B (zh) 线圈用复合磁性薄板及其制造方法
KR102250098B1 (ko) 온도-안정성 연자성 분말
JP7081612B2 (ja) コンパウンド及びタブレット
CN108269671A (zh) 混合磁性粉末和使用混合磁性粉末的电子元件
JP7435693B2 (ja) 溶融成形用の樹脂組成物、磁性部材、磁性部材を備えるコイル、磁性部材の製造方法
TW201737270A (zh) 線圈零件
JP7318422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7180071B2 (ja) 金属元素含有粉、成形体、及び金属元素含有粉の製造方法
WO2019106812A1 (ja) コンパウンド粉
US20180092260A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CN111770967A (zh) 复合物粉
JP6167560B2 (ja) 絶縁性の平板状磁性粉体とそれを含む複合磁性体及びそれを備えたアンテナ及び通信装置並びに複合磁性体の製造方法
WO2021112135A1 (ja) コンパウンド及び成形体
KR102204236B1 (ko) 자성 패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소자
JP2012253210A (ja) 磁性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2013253123A (ja) 複合磁性体とそれを備えたアンテナ及び通信装置並びに複合磁性体の製造方法
JP7020493B2 (ja) シート状積層体及び積層物
JP7231017B2 (ja) コンパウンドの製造方法
JP2024021845A (ja) 磁性樹脂組成物、磁性ペースト、磁性スラリー、磁性シート、及び加工品
TW202127478A (zh) 磁性片材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