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00B1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00B1
KR101886300B1 KR1020120003462A KR20120003462A KR101886300B1 KR 101886300 B1 KR101886300 B1 KR 101886300B1 KR 1020120003462 A KR1020120003462 A KR 1020120003462A KR 20120003462 A KR20120003462 A KR 20120003462A KR 101886300 B1 KR101886300 B1 KR 10188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oad
elevating
electronic compon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1570A (en
Inventor
마사루 사이토우
유우 카와쿠보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부품이나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106)에 고정된 본체부(60)와, 본체부에서 승강동작을 행하는 승강체(14)와,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0)와, 흡착노즐을 하단부에 유지시키는 중공의 노즐 샤프트(30)와, 스플라인 너트(55)를 통해 노즐 샤프트를 회동시키는 회동기구(50)와, 흡착노즐이 받는 상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40)와, 하중검출에 의해 하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70)를 구비하며, 승강기구와 회동기구가 본체부에 지지되고, 노즐 샤프트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하중검출부가 승강체 또는 본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electronic components and a substr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fixed to a head, an elevating body for performing an elevating operation in the body portion,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body, A hollow nozzle shaft 30 for holding the suction nozzle at the lower end thereof, a turning mechanism 50 for rotating the nozzle shaft through the spline nut 55, and a load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upward load received by the suction nozzl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load by detecting a load, wherein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turning mechanism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the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elevating member or the main body portion.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흡착노즐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essing force by a suction nozzle.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콜릿(collet(노즐)과, 콜릿을 회동시키는 회동기구과, 회동기구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와, 케이스를 상하이동시키는 볼나사기구를 헤드에 탑재하고, 회동기구와 콜릿이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회동기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돌기부를 통해 로드 셀에 의해 콜릿 하강시의 전자부품에 대한 가압력을 검출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A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es a collet (nozzle) for picking up an electronic component, a turn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collet, a case containing a turning mechanism, a guide for vertically movably supporting the case, And the collet is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load cell is moved by the load cell through the proj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urning mechanism, Thereby detecting the pressing forc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이러한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전자부품 흡착상태인 콜릿을 볼나사기구에 의해 하강시켜, 하방에 있는 기판에 전자부품을 통해 콜릿의 선단부가 접촉하면, 케이스에 대해 콜릿과 회동기구가 상승하여, 돌기부를 통해 로드 셀이 가압되어, 콜릿 선단부에 있어서의 기판에 대한 가압력이 검출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압력이 검출되면, 콜릿으로부터 전자부품을 해방하는 동시에 하강을 정지하고, 콜릿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소정의 가압력으로 기판에 대한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행한다.In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hen the collet, which is in an adsorbed stat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wered by the ball screw mechanism and the tip of the collet contacts the substrate below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collet and the turning mechanism are raised with respect to the case,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substrate at the tip end of the collet is detected. Then, whe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is detected, the electronic part is released from the collet, and the lowering is stopped, and the collet is raised. Thus,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substrate is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또한, 다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노즐과, 흡착노즐의 상하이동을 허용하면서 유지시키는 노즐 유지체와, 노즐 유지체를 흡착노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하이동시키는 볼나사기구와, 노즐 유지체의 상단부에 고정상태로 구비된 스플라인 축을 통해 흡착노즐 및 노즐 유지체에 회동동작을 부여하는 회동기구와, 노즐 유지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흡착노즐의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검출하는 로드 셀과,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동시에 스플라인 축을 통해 흡착노즐을 상하이동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The othe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es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n electronic component, a nozzle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suction nozzle while allowing the suction nozzle to move up and down, and a support fram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nozzle holding member about the suction nozzle A ball screw mechanism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up and down and a spline shaft provided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end of the nozzle holder to rotate the suction nozzle and the nozzle holder And a voice coil motor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nd moving the suction nozzle up and down through the spline shaft (refer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전자부품 흡착상태인 흡착노즐을 볼나사기구에 의해 하강시켜, 하방에 있는 기판에 전자부품을 통해 흡착노즐의 선단부가 접촉하면, 흡착노즐이 상승하여 로드 셀이 가압되어, 흡착노즐 선단부에 있어서의 기판에 대한 가압력이 검출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압력을 소정 시간 유지하도록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어하고, 이후, 흡착노즐로부터 전자부품을 해방시키는 동시에 볼나사기구에 의해 흡착노즐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소정의 가압력으로 기판에 대한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행한다.In the abov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hen the tip of the suction nozzle come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on the lower side by the ball screw mechanism, the suction nozzle which is in the state of suc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ifted and the load cell is pressed ,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substrate at the tip of the suction nozzle is detected. Then, the voice coil motor is controlled so as to hold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reafte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released from the suction nozzle and the suction nozzle is raised by the ball screw mechanism. Thus,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substrate is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2708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2708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5874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58743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콜릿이 회동기구와 일체가 되어 하강을 하기 때문에, 총 중량이 커짐으로써 응답성이 감소되어, 전자부품의 기판에 대한 가압의 제어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collet is lowered integrally with the turning mechanism, the responsiveness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total weight,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press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substrate .

또한, 특허문헌 2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스플라인 축을 이용함으로써 회동기구를 흡착노즐과 분리하여, 가압제어시에 흡착노즐과 노즐 유지체만을 상승시킴으로써, 가동중량을 감소시키고, 응답성이 높은 제어를 실현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하중검출기가 흡착노즐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흡착노즐과 동심(同心)으로 그 상방에 회동기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노즐을 장치의 상단부까지 인출해낼 수 없었다. 이 때문에, 흡착노즐에 흡인원으로의 접속을 위한 호스가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특허문헌 1과 같이, 흡착노즐의 회동범위가 제한되었다.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2, the rotating mechanism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nozzle by using the spline shaft, and only the suction nozzle and the nozzle holder are lifted at the time of the pressure control, thereby reducing the movable weight, However, since the load detector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rotation mechanism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suction nozzle, the suction nozzle can not be drawn to the upper end of the apparatus . Therefore, the hose for connection to the suction source extends laterally to the suction nozzle, and the rotation range of the suction nozzle is limited as in Patent Document 1.

또한, 노즐 유지체에 구비된 로드 셀의 배선도 노즐 유지체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배선도 흡착노즐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원인이 되었다.Further, since the wiring of the load cell provided in the nozzle holding body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nozzle holding body, such a wiring also causes a restriction on the turning range of the suction nozzle.

본 발명은, 흡착노즐의 상하이동시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흡착노즐을 보다 광범위하게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suction nozzle at the same tim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o make the suction nozzle more rotatabl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자부품의 공급부와 기판의 유지부 사이를 이동가능한 헤드에 설치된 흡착노즐에 의해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상기 기판에 상기 전자부품을 탑재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이며, 상기 헤드에 고정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부여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흡착노즐을 하단부에 유지시키고, 상단부가 흡기원(吸氣源)에 접속되는 중공의 노즐 샤프트와, 상기 노즐 샤프트에 스플라인(spline)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스플라인 너트를 통해 상기 노즐 샤프트에 회동동작을 부여하는 회동기구와, 상기 흡착노즐이 받는 상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와, 상기 하중검출부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하중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승강체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제어를 행하는 동작제어부를 구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상기 승강기구와 상기 회동기구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노즐 샤프트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하중검출부가 상기 승강체 또는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on a substrate by suctioning an electronic component by a suction nozzle provided on a head movable between a supply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a holding portion of the substrate,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body; and an upper end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adsorption nozzle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ifting body, A rotation mechanism that forms a spline groove in the nozzle shaft and imparts a turning operation to the nozzle shaft through a spline nut; A load detector for detecting a load, and a load detector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load by the load detector,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vating mechanism and a turning mechanism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oad detec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ifting body or the main body portion.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노즐 샤프트를 관통시킨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공유지부와, 상기 중공유지부를 상기 승강체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검출소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has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ad detecting section includes a hollow holding section which is provid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rotatably holds the nozzle shaft in a state of passing therethrough,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llow holding portion to the lifting body, and a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for detecting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원 또는 상기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부위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검출소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nd has a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a lifting operation from the driving source of the elevating mechanism to the elevating body from the driving source, And a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for detecting a distortion of a driving source or a portion supporting the transmitting member.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체는, 상기 승강기구로부터의 승강동작입력부와, 상기 노즐 샤프트의 지지부로 분할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승강동작입력부의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를 서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승강동작입력부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승강동작입력부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상호간의 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소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body is divided into an elevating operation input part from the elevating mechanism and a supporting part of the nozzle shaft,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and the load detect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urging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And a pressure detecting element for detecting a mutual pressing force of mutually opposing portions of the input sectio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체는, 상기 승강기구로부터의 승강동작입력부와, 상기 노즐 샤프트의 지지부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승강동작입력부가 상측이고 상기 지지부가 하측이 되는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상호간의 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소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is divided into an elevating operation input part from the elevating mechanism and a support part of the nozzle shaft, And a pressure detecting element for detecting a pressing force between mutually opposing portions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is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portion is on the lower sid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승강기구와 회동기구가 모두 본체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체에 회동기구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흡착노즐의 하강에 의한 전자부품의 하중의 부가 제어가 용이해지며, 높은 정밀도로 하중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흡착노즐의 상하이동시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또한, 노즐 샤프트가 중공이며, 그 상단부가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샤프트의 상단부를 흡기원과 접속할 수 있고, 측방으로 접속튜브 등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흡착노즐의 회동이 제한받지 않게 되므로, 회동가능각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since both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turning mechanism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urn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elevating body, The control becomes easy, and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a load with high accuracy. Accordingly, the responsiveness of the suction nozzle at the same time as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nozzle shaft is hollow and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nozzle shaft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source, and there is no need to extend the connection tube or the like lateral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ivotable angle.

또한, 하중검출부가 승강체 또는 본체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흡착노즐의 회동시에 하중검출부는 회동을 하지 않고, 따라서, 하중검출부의 배선 등에 의해 흡착노즐의 회동이 제한받지 않게 되며, 이러한 면에서도 회동가능각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중검출부의 배선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가동접점구조 등도 불필요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load detec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ascending or descent member or the main body portion, the rotation of the suction nozzle does not cause the rotation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suction nozzle is not restricted by the wiring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possible angle. In addition, a movable contact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wiring current of the load detecting section and the like can be dispensed with.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검출부가, 노즐 샤프트를 관통시킨 중공유지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왜곡을 검출하므로, 노즐 샤프트를 본체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배치로 하더라도 하중검출부가 방해가 되지 않으며, 더욱이, 노즐 샤프트 주위에서 하중을 검출하므로, 흡착노즐 및 노즐 샤프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load detecting section detects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llow hold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nozzle shaft penetrates, even when the nozzle shaft is arrang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load detecting portion is not disturbed, Since the load is detected around the nozzle shaft, it become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load applied to the suction nozzle and the nozzle shaft.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검출부가 승강기구의 구동원 또는 전달부재의 지지부위의 왜곡을 검출하므로, 하중검출부를 노즐 샤프트로부터 떨어져서 배치할 수 있어, 노즐 샤프트가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한 경우라도 하중검출부가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하중검출부를 본체부에 설치하므로, 노즐 샤프트와 함께 회동하거나 승강하거나 하지 않으므로, 그 배선이 승강체의 승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배선구조가 불필요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since the load detecting portion detects the dist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driving source or the transmitting member of the elevating mechanism, the load detecting portion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nozzle shaft. Even when the nozzle shaft is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e body portion up and down Since the load detection unit is not obstructed and the load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the wiring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need for a wiring structure.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압력검출소자가 승강동작입력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지지부가 승강동작입력부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흡착노즐의 하강에 의해 하방에 접촉했을 때, 지지부가 상승하여 승강동작입력부와 지지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접촉시의 하중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압력검출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pressure detecting element is disposed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art, when the lower part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due to the descent of the suction nozzle, The gap between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widened so that the load at the time of contact becomes excessively large, whereby the pressure detecting elemen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broke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검출부가 승강동작입력부와 지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상호간의 가압력을 검출하므로, 승강동작입력부와 지지부 사이에 압력검출소자를 끼움으로써 하중검출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략화 및 구성부품수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detecting unit detects the mutual pressing force between mutually opposing portions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the load detection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the pressure detecting element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착노즐의 노즐구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하중검출부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하중검출부에 있어서의 로드 셀의 부분만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전자부품이 기판에 탑재될 때의 흡착노즐의 구동제어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전자부품이 기판에 탑재될 때의 흡착노즐의 구동제어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다른 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또 다른 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중검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다른 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하중검출부의 확대단면도로서, (A)는 연결부끼리 근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연결부끼리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검출부의 검출량과 흡착노즐 하강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검출부의 다른 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검출부의 또 다른 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구동장치의 다른 예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driving apparatus for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 (a) is a plan view showing only a portion of the load cell in the load detecting portion, and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6 is a flow chart showing drive control of a suction nozzle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a substrate.
7 is a timing chart showing drive control of the suction nozzl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the substrat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plan view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in which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are close to each other, and Fig. 1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ion amount of the load detection unit and the amount of drop of the suction nozzle in the third embodiment.
1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in the third embodiment.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in the third embodiment.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d detecting sec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Fig.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 : 전체 구성)(First Embodiment: Overal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을 각각 기판반송방향인 X축 방향과 기판반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Y축 방향이라 하고, 이들에 직교하는 연직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하기로 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Fig. Hereinafter, two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plane are referred to as an X-axis direction, which is a substrate transport direction, and a Y-axis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bstrate transport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which is orthogonal to the X- .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기판에 각종 전자부품의 탑재를 행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자부품 피더(101) 및 복수의 전자부품 피더(101)를 나란히 유지시키는 피더 뱅크(102)로 이루어진 2세트의 부품공급부와, X축 방향으로 기판을 반송하는 기판반송수단(103)과, 상기 기판반송수단(103)에 의한 기판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기판에 대한 전자부품 탑재작업을 행하기 위한 기판유지부(104)와,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흡착노즐(12)을 각각 승강가능하게 유지하는 노즐구동장치(10)와, 각 노즐구동장치(10)가 고정되어 전자부품을 유지하는 헤드(106)와, 헤드(106)를 2세트의 부품공급부와 기판유지부(104)를 포함한 작업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구동반송하는 헤드이동기구로서의 X-Y 갠트리(gantry; 107)와, 헤드(106)에 탑재되어, 기판의 촬상을 행하는 복수의 촬상수단으로서의 기판인식 카메라(108)와, 피더 뱅크(102) 근방에서 수직상방으로 시선을 향하여 흡착노즐(12)에 흡착된 전자부품(C)을 하방으로부터 촬상하는 부품인식 카메라(120)와, 도 5에 나타낸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1,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 feeders 101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be mounted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 feeders 101 And a feeder bank 102 for holding the substr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feeder bank 102 for holding the substrate in the X-axis direction. A substrate holding unit 104 for performing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operation on a substrate, a nozzle driving device 10 for holding a plurality of (three in this example) suction nozzles 1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head 106 for driving and transporting the head 106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work area including the two sets of component supply parts and the substrate holding part 104; An X-Y gantry 107 as a mechanism, A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108 as a plurality of image pickup mean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6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strat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C , And an operation control means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Fig.

이러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동작제어수단(70)은, 전자부품 피더(101)의 전자부품 전달부(101a)로부터 각 흡착노즐(12)에 전자부품을 흡착시킨다. 또한, 동작제어수단(70)은, 각 흡착노즐(12)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부품인식 카메라(120)로 촬상하여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처리를 하여 노즐 선단부에 대한 전자부품의 위치 및 노즐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를 구하여, 기판에 대한 흡착노즐(12)의 위치 결정의 보정 및 흡착노즐(12)을 회전시켜 전자부품의 각도를 보정함으로써, 전자부품의 실장제어를 행한다.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adsorbs the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portion 101a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eeder 101 to each of the suction nozzles 12. [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captured image data obtained by picking up the electronic component adsorbed by each of the suction nozzles 12 with the component recognition camera 12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nozzle tip, And corrects the positioning of the suction nozzle 12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nd corrects the angl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by rotating the suction nozzle 12 to perform the mounting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흡착노즐의 노즐구동장치)(Nozzle drive device for adsorption nozzle)

도 2는 흡착노즐(12)의 노즐구동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12)의 노즐구동장치(10)는, 헤드(106)에 고정 지지된 본체부로서의 본체 프레임(60)과, 전자부품(C)을 그 선단부에서 흡착하는 흡착노즐(12)을 유지하는 노즐홀더(31)와, 상기 노즐홀더(31)를 통해 하단부에서 흡착노즐(12)을 유지하는 노즐 샤프트(30)와, 상하이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60)에 지지된 승강체로서의 가동 브래킷(14)과, 가동 브래킷(14)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승강기구(20)와, 흡착노즐(12)에 부여되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40)와, Z축 방향을 따른 중심선 둘레로 흡착노즐(12)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동기구(50)와,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device 10 of the adsorption nozzle 12.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 of the suction nozzle 12 includes a main frame 60 as a main body fixedly supported on a head 106, and a main body frame 60 for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C at its tip A nozzle holder 31 for holding the adsorption nozzle 12, a nozzle shaft 30 for holding the adsorption nozzle 12 at the lower end through the nozzle holder 31, An elevating mechanism 20 for vertically driving the movable bracket 14; a load detector 40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suction nozzle 12; Z A rotation mechanism 50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ction nozzle 12 around a center lin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n operation control means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 structures. Hereinafter,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 프레임)(Body frame)

본체 프레임(60)은, 헤드(106)에 고정되는 배면판(61)과, 배면판(61)의 상부로부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온 제 1 및 제 2 연장지지부(62, 63)와, 배면판(61)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동 브래킷(14)을 Z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64)를 구비하고 있다.The main body frame 60 includes a back plate 61 fixed to the head 106 and first and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s 62 and 63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plate 61 along the Y- And a slide guide 64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ck plate 61 and slidably supporting the movable bracket 14 along the Z-axis direction.

배면판(61)은 X-Z평면을 따른 평판으로서, 그 일방의 면이 헤드(106)에 고정되고, 타방의 면에 제 1 및 제 2 연장지지부(62, 63)와 리니어 가이드(64)가 설치되어 있다.The back plate 61 is a flat plate along the XZ plane and one surface thereof is fixed to the head 106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s 62 and 63 and the linear guide 64 are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

제 1 연장부(62)는, X-Y평면을 따른 판형상이며 승강기구(20)를 지지하고 있다.The first extended portion 62 is plate-shaped along the X-Y plane and supports the elevating mechanism 20. [

제 2 연장부(63)는, X-Y평면을 따른 판형상이며 회동기구(5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63)는, 제 1 연장부(62)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63 is plate-shaped along the X-Y plane and supports the rotation mechanism 50.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63 is located just below the first extending portion 62.

(가동 브래킷)(Movable bracket)

가동 브래킷(14)은, 배면판(61)의 하부에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64)에 대해 가동 블록(14a)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브래킷(14)은, 제 1 연장부(62)에 설치된 승강기구(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The movable bracket 14 is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through the movable block 14a with respect to the linear guide 64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plate 61. [ The movable bracket 14 is vertically driven by an elevating mechanism 20 provided o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62.

(승강기구)(Lift mechanism)

승강기구(20)는, 본체 프레임(60)의 제 1 연장지지부(62)에 있어서 하방으로 출력축을 향한 상태로 설치된 회전구동식의 Z축 모터(21)(승강구동원)와, 그 회전각도량을 검출하는 인코더(22)(도 5 참조)와, Z축 모터(21)의 출력축에 커플링(26)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방향을 따른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본체 프레임(60)에 지지된 전달부재로서의 볼나사 샤프트(23)와, 상기 볼나사 샤프트(23)에 의해 상하이동이 부여되는 볼나사 너트(24)를 가지고 있다.The elevating mechanism 20 includes a rotary drive type Z-axis motor 21 (elevating movement sourc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haft is directed downward in the first extended support portion 62 of the main body frame 60, An encoder 22 (see FIG. 5)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Z-axis motor 21 and a drive shaft 22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Z-axis motor 21 via a coupling 26, A ball screw shaft 23 as a transmitting member and a ball screw nut 24 which is vertically moved by the ball screw shaft 23.

볼나사 샤프트(23)는 Z축 모터(21)의 출력축에 동심으로 연결되어, Z축 방향을 따른 상태로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동시에, 제 2 연장지지부(63)에 의해 베어링(2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ball screw shaft 23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Z-axis motor 21 in a concentric manner and is downwardly pulled along the Z-axis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via the bearing 25 And is rotatably supported.

볼나사 너트(24)는, 가동 브래킷(14)에 고정되어 있으며, Z축 모터(21)의 회전구동에 의해 회전각도량에 따라 가동 브래킷(14)을 상하이동시키는 동시에 Z축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 인코더(22)는, 그 검출신호가 동작제어수단(70)으로 출력되고, 동작제어수단(70)이 이에 근거하여 가동 브래킷(14)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Z축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ball screw nut 24 is fixed to the movable bracket 14. The ball screw nut 24 moves the movable bracket 14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 degree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Z axis motor 21, . The encoder 22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bracket 14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Z- And the like.

(노즐 샤프트)(Nozzle shaft)

흡착노즐(12)은, 하단부가 끝이 가늘게 형성된 관형상체로서, 그 선단부를 전자부품(C)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흡착유지가 이루어진다.The adsorption nozzle 12 is a tubular body whose lower end is formed with a narrow end, and the adsorption nozzle 12 is adsorbed and held in a state in which its tip end faces the electronic component C.

노즐 샤프트(30)는, 하단부에 노즐홀더(31)를 가지며, 상기 노즐홀더(31)를 통해 흡착노즐(12)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노즐 샤프트(30)는, 내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이며, 노즐 샤프트(30)의 상단부에는, 흡인원이 되는 흡인 펌프나 이젝터 등과 접속하기 위한 호스의 조인트(3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노즐 샤프트(30)는, 상단부의 호스 조인트(32)로부터 흡인원에 의한 흡인이 이루어지면, 하단부에 구비된 흡착노즐(12)에 의한 흡인을 가능하게 한다.The nozzle shaft 30 has a nozzle holder 31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holds the adsorption nozzle 12 through the nozzle holder 31. The inside of the nozzle shaft 30 is hollow throughout its entire length and at the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30 there is provided a hose joint 32 for connecting to a suction pump or an ejector to be a suction source . That is, when the suction is performed by the suction source from the hose joint 32 at the upper end portion, the nozzle shaft 30 enables suction by the suction nozzle 12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또한, 상기 노즐 샤프트(30)는, 그 상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노즐 샤프트(30)의 상부가 제 1 및 제 2 연장지지부(62, 6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후술하는 스플라인 너트(55)를 관통한 상태로 끼움결합되어 있다.A splin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shaft 30.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shaft 30 is rotated by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s 62 and 63 And is fitted in a state of penetrating through a spline nut 55 which is supported so as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노즐 샤프트(30)의 하부는, 가동 브래킷(14)에 부착된 하중검출부(40)에 의해 가동 브래킷(14)에 대해 Z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고로, 하중검출부(40)에 의한 노즐 샤프트(30)의 지지상태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shaft 30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Z axis with respect to the movable bracket 14 by a load detecting portion 40 attached to the movable bracket 14. [ For reference, the supporting state of the nozzle shaft 30 by the load detecting unit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러한 구조에 의해, 노즐 샤프트(30)는, 가동 브래킷(14)과 함께 상하이동을 하게 되는데, 그 상부는 스플라인 너트(5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상하이동은 저해되지 않게 되어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nozzle shaft 30 is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movable bracket 14. Since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pline nut 55,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s not hampered.

참고로, 노즐 샤프트(30)는, 실제로는, 그 상측 절반은 외주면에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내부가 중공인 스플라인 샤프트이고, 그 하측 절반은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가 중공인 관형상체로서, 이들은 커플링(35)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reality, the upper half of the nozzle shaft 30 is a spline shaft having a hollow inside which a splin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half thereof is a hollow tubular member having no hollow spline groove formed therein, And is integrally connected by a coupling 35.

또한, 노즐 샤프트(30)의 상단부는, 가동 브래킷(14)이 가동범위에 있어서의 최저위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도, 본체 프레임(60)의 상단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샤프트(30)의 상단부의 조인트(32)에 부착된 호스는, 항상 본체 프레임(60)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노즐 샤프트(30)가 회동을 하더라도, 이에 따라 회동하는 호스가 주위의 다른 구성과 간섭할 가능성이 충분히 감소되어, 흡착노즐(12)의 회동각도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배제된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nozzle shaft 30 is attach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end face of the main body frame 60 even when the movable bracket 14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in the movable range. The hose attached to the joint 32 at the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30 is always kept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above the main body frame 60 so that even if the nozzle shaft 30 rotates,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range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adsorption nozzle 12. [0064]

(회동기구)(Rotating mechanism)

회동기구(50)는,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 상방으로 출력축을 향한 상태로 설치된 θ축 모터(51)(회전구동원)와, 그 회동각도의 원점위치를 검출하는 원점 센서(52)(도 5 참조)와, θ축 모터(51)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53)로부터 타이밍 벨트(54)를 통해 연결된 스플라인 너트(55)를 구비하고 있다.The turning mechanism 50 includes a? -Axis motor 51 (rotation drive source) provided in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so as to face the output shaft in an upward direction, an origin sensor 52 for detecting the origin position of the rotation angle, (See FIG. 5) and a spline nut 55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Axis motor 51 via a timing belt 54 from a pulley 53.

스플라인 너트(5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연장지지부(62)와 제 2 연장지지부(63) 사이에서 Z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노즐 샤프트(30)가 삽입되면, 서로의 스플라인 홈이 끼움결합되고, 이것이 Z축 둘레로 동시 회전을 하게 된다.The spline nut 55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Z axis between the first extended support portion 62 and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zzle shaft 30 is inserted, And this causes simultaneous rotation around the Z-axis.

또한, 상기 스플라인 너트(55)는, 그 외주면이 타이밍 벨트(54)의 풀리가 되어, θ축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회동동작이 부여되며, 노즐 샤프트(30)에도 회동을 전달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line nut 55 is a pulley of the timing belt 54. The rotation of the spline nut 55 is imparted to the spline nut 55 by driving the?

즉, 노즐 샤프트(30)는, 회동기구(50)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하중검출부(40)에 의해 그 회동이 허용되고, 승강기구(20)에 의해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스플라인 너트(55)에 의해 상하이동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노즐 샤프트(30)는, 가동 브래킷(14)에 지지되어 상하이동을 하면서 회동을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That is, when the rotation of the nozzle shaft 30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mechanism 50, the rotation of the nozzle shaft 30 is permit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40. When the upward movement of the nozzle shaft 30 is performed by the elevator mechanism 20, ) Are allowed to move up and down. As a result, the nozzle shaft 30 can be supported by the movable bracket 14 and pivoted while moving up and down.

또한, 원점 센서(52)는 원점 검색시에 θ축 모터(51)의 출력축의 원점위치를 동작제어수단(70)으로 출력하고, 이에 근거하여 동작제어수단(70)은 θ축 모터(51)에 소정 각도량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회전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θ축 모터(51)의 출력축으로부터 스플라인 너트(55), 노즐 샤프트(30)를 통해 흡착노즐(12)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져, 흡착노즐(12)의 선단부에 흡착유지된 전자부품(C)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rigin sensor 52 outputs the origin position of the output shaft of the θ-axis motor 51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at the time of origin search. Based on this,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controls the θ- The rotation driving can be controlled so as to generate a rot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As a result, the rotation of the suction nozzle 12 is performed from the output shaft of the? -Axis motor 51 through the spline nut 55 and the nozzle shaft 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

(하중검출부)(Load detecting section)

다음으로, 하중검출부(40) 및 가동 브래킷(14)에 있어서의 노즐 샤프트(30)의 지지상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pporting state of the nozzle shaft 30 in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and the movable bracket 14 will be described.

도 3은 하중검출부(40)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하중검출부(40)에 있어서의 로드 셀의 부분만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사시도이다. 상기 하중검출부(40)는, 노즐 샤프트(30)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내부의 베어링(4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원통형상의 중공유지부(41)와 상기 중공유지부(41)를 가동 브래킷(14)에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로서의 연결아암부(42)와 연결아암부(42)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검출소자로서의 왜곡 게이지(43)로 이루어지는 로드 셀(44)과, 로드 셀(44)의 상측에 스페이서(45)를 통해 구비된 스토퍼(46)를 구비하고 있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Fig. 4 (a)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portion of the load cell in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and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The load detection unit 40 includes a cylindrical hollow holding unit 41 for holding the nozzle shaft 30 rotatably by an inner bearing 47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nozzle shaft 30, A load cell 44 composed of a connecting arm portion 42 a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portion 14 and a distortion gauge 43 serving as a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for detecting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ng arm portion 42, And a stopper 46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r 45 via a spacer 45.

이에 대해, 노즐 샤프트(30)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된 플랜지형상의 단부(段部; 33)가 베어링(47)의 내륜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원통형상의 칼라(34)를 통해 커플링(35)이 상방으로부터 베어링(47)의 내륜을 체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샤프트(30)는, 베어링(47)을 상하에 끼워 넣은 상태를 형성하여, 로드 셀(44)에 대해 Z축 둘레로 회전이 허용되면서도 Z축 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ange-shaped end portion (stepped portion) 33 provided at a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shaft 30 contacts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47 from below and the cylindrical collar 34 The coupling 35 fastens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47 from above. Thus, the nozzle shaft 30 forms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47 is sandwiched up and down, and is allowed to rotate about the Z axis with respect to the load cell 44 and remains fixed with respect to the Z axis direction have.

참고로, 노즐 샤프트(30)는, 로드 셀(44)의 하방에서, 스트로크 로터리 베어링(36)에 의해 가동 브래킷(14)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브래킷(14)에 대해 Z축 둘레의 회동과 Z축 방향을 따른 직동(直動)이 허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The nozzle shaft 30 is supported by the movable bracket 14 by a stroke rotary bearing 36 below the load cell 44 and rotates about the Z axis about the movable bracket 14 And the linear motion along the Z-axis direction is permitted.

로드 셀(44)의 연결아암부(42)는 중공유지부(41)에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연결아암부(42)는 중공유지부(41)를 중심으로 하여 도 4의 (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1개씩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리고, 각 연결아암부(42)는, 그 연장단부에 있어서, 스페이서(45) 및 스토퍼(46)와 함께 가동 브래킷(14)의 상면에 고정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of the load cell 44 are provided in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are arranged in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Each connecting arm portion 4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14 together with the spacer 45 and the stopper 46 by a fixing screw (not shown) at the extending end portion thereof.

그리고, 각 연결아암부(42)는, 중공유지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아암부(42)가 휨으로써, 가동 브래킷(14)에 대해 중공유지부(41)가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low holding portions 41. 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are bent so that the hollow holding portions 41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bracket 14. [ (Upward an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또한, 각 연결아암부(42)는, 연장부의 중간위치의 상면에 두 개씩 왜곡 게이지(43)가 점착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왜곡 게이지(43)는, 중공유지부(41)가 Z축 방향을 따라 요동했을 때 그 동작량에 따른 검출출력을 동작제어수단(70)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Each of 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is provided with two strain gauges 43 in an adher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extended portion. Each of the strain gauges 43 has a hollow holding portion 41,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performs a detection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operation.

스토퍼(46)는, 연결아암부(42)보다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공유지부(41)의 상단면에 대해 스페이서(45)의 두께에 따른 거리만큼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The stopper 46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arm portion 4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pacer 45.

그리고, 흡착노즐(12) 및 노즐 샤프트(30)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졌을 때, 중공유지부(41)의 상단면이 스토퍼(46)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상방 이동을 규제한다.When the suction nozzle 12 and the nozzle shaft 30 are pushed upwar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46 to regulate further upward movement.

즉,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는, 흡착노즐(12)에 의해 전자부품(C)이 기판에 가하는 최대 가압하중을 50N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 최대 가압하중 50N으로 흡착노즐(12)이 하방으로 가압했을 때 중공유지부(41)에 발생하는 상방 이동량과 동등해지도록 스페이서(45)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That i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the maximum pressing load applied to the substrate by the electronic component C by the suction nozzle 12 is set to 50 N, and the suction nozzle 12 The thickness of the spacer 45 is set so as to be equal to the upward movement amount generated in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when it is pressed downward.

이에 따라, 스토퍼(46)에 의해 각 연결아암부(42)에는 최대 가압하중에 따른 휨량밖에 생기지 않도록 규제되어, 각 왜곡 게이지에 지나치게 큰 부하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스토퍼(46)에 의해, 각 연결아암부(42)의 과잉된 휨을 규제하여,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topper 46 restricts the connection arm portions 42 from being bent only in accordance with the maximum pressing load, so that an excessive load is not applied to each of the strain gauges. Further, the stopper 46 restricts the excessive warping of the connecting arm portions 42, thereby preventing breakage.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도 5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수단(70)을 구비하며, 상기 동작제어수단(70)에는, 헤드(106)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 갠트리(107)의 X축 모터(121) 및 Y축 모터(122)와, 흡착노즐(12)을 상하이동시키는 Z축 모터(21)와, 흡착노즐(12)을 회동시키는 θ축 모터(51)가, 각각 구동회로(121a, 122a, 21a, 51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Fig. 5,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operation control means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Axis motor 121 and a Y-axis motor 122 of an X-Y gantry 107 for moving the head 106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a Z-axis motor 122 for moving the suction nozzle 12 up and down. Axis motor 51 for rotating the suction nozzle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drive circuits 121a, 122a, 21a and 51a, respectively.

또한, 동작제어수단(70)에는, 인터페이스(71)를 통해, Z축 모터(21)의 인코더(22)와, θ축 모터(51)의 원점 센서(52)와, 하중검출부(40)의 왜곡 게이지(43)와, 기판인식 카메라(108) 및 부품인식 카메라(120)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기판 및 전자부품의 위치 인식 등을 행하는 화상인식장치(123)가 접속되어 있다.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is also connected to the encoder 22 of the Z-axis motor 21, the origin sensor 52 of the? -Axis motor 51, A distortion gauge 43 and an image recognition device 123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picked-up images of the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108 and the component recognition camera 120 are connected.

참고로, Z축 모터(21), θ축 모터, 인코더(22), 원점 센서(52), 왜곡 게이지(43)는, 실제로는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지만, 도 5에서는 각각 하나씩만 도시하기로 한다.Actually, a plurality of Z-axis motors 21, θ-axis motors, encoders 22, origin sensors 52 and distortion gauges 43 are mounted, but only one of them is shown in FIG. 5 .

동작제어수단(70)은, 흡착노즐(12)의 노즐구동장치(10)에 대해 후술하는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72)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구성을 집중 제어하는 CPU(73)와, CPU(73)의 처리 데이터를 격납하는 작업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74)과, 처리 데이터나 설정 데이터를 보존하는 데이터 메모리(75)를 구비하고 있다.The operation control means 70 includes a ROM 72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to be described later is stored in the nozzle driving device 10 of the suction nozzle 12 and a CPU 72 for centralized control of various configurations A RAM 73 functioning as a work area for storing processing data of the CPU 73, and a data memory 75 for storing processing data and setting data.

(흡착노즐의 구동제어방법)(Driving control method of adsorption nozzle)

다음으로는, 전자부품(C)이 기판에 탑재될 때 CPU(73)가 실행하는 흡착노즐(12)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해, 도 6의 플로우 챠트 및 도 7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CPU(73)가 ROM(72)에 격납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처리이다.Next, a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suction nozzle 12 to be executed by the CPU 73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C is mounted on the substr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and the timing chart of Fig. 7 . This is a process performed by the CPU 73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stored in the ROM 72. [

참고로, 여기서는, 흡착노즐(12)이 전자부품(C)을 흡착하고, θ축 모터(51)에 의해 흡착노즐(12)의 선단부에 흡착된 전자부품(C)의 방향이 이미 조절되어, 기판의 탑재위치에 헤드(106)가 반송된 상태로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이 제어는, 하나의 흡착노즐(12)에 대한 구동제어이며, 복수의 흡착을 할 때에는, 각 흡착노즐(12) 마다 하기의 제어를 순서대로 실행한다.The suction nozzle 12 sucks the electronic component C and the direc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 adsorbed to the tip end of the suction nozzle 12 by the? Axis motor 51 is already adjusted, It is assumed that the head 106 is transported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ubstrate. Further, this control is drive control for one adsorption nozzle 12, and when carrying out a plurality of adsorption, the following control is sequentially executed for each adsorption nozzle 12.

우선, CPU(73)는, Z축 모터(21)를 구동시켜, 흡착노즐(12)의 선단부를 헤드(106) 반송시의 높이(Z4)(도 7의 ①)로부터 기판 상면(이하, '탑재면'이라 함)에 가까운 높이(Z3)까지 고속으로 하강시킨다(단계 S1 : 도 7의 ②). 참고로, 높이(Z3)는, 탑재면(Z0)에 근접한 높이지만 흡착노즐(12)의 하단부가 전자부품(C)에 닿을 일이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의 왜곡 게이지(43)에 의한 검출하중은 L0로 되어 있다.First, the CPU 73 drives the Z-axis motor 21 to move the tip of the suction nozzle 12 from the height Z4 (1 in Fig. 7) at the time of transporting the head 106 to the top surface (Step S 1: (2) in FIG. 7). Note that the height Z3 is set to a height that is close to the mounting surface Z0 but does not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nozzle 12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C. [ The detected load by the strain gauge 43 in this state is L0.

이후, 흡착노즐(12)의 동작이 안정되는 것을 기다려(도 7의 ③), Z축 모터(21)의 게인(gain)을 저속의 하중제어모드로 전환하여 저속하강을 시작한다(단계 S3 : 도 7의 ④).Thereafter, the operation waits unti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nozzle 12 is stabilized (③ in Fig. 7), and the gain of the Z-axis motor 21 is switched to the low speed load control mode to start the low speed descent (step S3: ④ in FIG. 7).

그리고, CPU(73)는, 흡착노즐(12)에 흡착된 전자부품(C)이 탑재면에 도달함에 따라 왜곡 게이지(43)에 의한 검출하중이 L0로부터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5 : 도 7의 ⑤).The CPU 73 monitors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load of the distortion gauge 43 rises from L0 as the electronic component C attracted to the suction nozzle 12 reaches the mounting surface : ⑤ in Fig. 7).

그리고, 전자부품(C)이 탑재면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되면(도 7의 ⑥, 높이 (Z1)(전자부품(C)이 탑재면에 접촉했을 때의 높이)), 하강을 계속하고(단계 S7), 또한, 목표하중(왜곡 게이지 출력(L1))에 검출하중이 도달했는지를 감시한다(단계 S9).The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 has reached the mounting surface ((6) in Fig. 7, the height Z1 (the heigh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C contacts the mounting surface)), S7) and further monitors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load has reached the target load (distortion gauge output L1) (step S9).

그리고, 검출하중이 목표하중(왜곡 게이지 출력(L1))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되면 Z축 모터(21)를 정지하고, 가동 브래킷(14)을 그 높이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소정 가압시간의 시간측정을 시작한다(단계 S11 : 도 7의 ⑦ 및 도 7의 ⑧).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etected load has reached the target load (the distortion gauge output L1), the Z-axis motor 21 is stopped, the movable bracket 14 is held at the height, and the time measurement of the predetermined pressing time is performed (Step S11: ⑦ in Fig. 7 and ⑧ in Fig. 7).

그리고, 미리 설정된 가압시간(T1)의 경과가 검출되면(단계 S13 : 도 7의 ⑨ 및 도 7의 ⑩), Z축 모터(21)를 구동하여 흡착노즐(12)을 높이(Z2)까지 상승시킨다(단계 S15 : 도 7의 ⑪).When the elapse of the preset pressing time T1 is detected (step S13: ⑨ in Fig. 7 and ⑩ in Fig. 7), the Z-axis motor 21 is driven to raise the suction nozzle 12 to the height Z2 (Step S15: (11) in Fig. 7).

참고로, 높이(Z2)는, 탑재면(Z0)보다 약간 상방이며 높이(Z3)보다 낮은 위치로 되어 있지만, Z3와 동일한 높이로 해도 된다.For reference, the height Z2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ounting surface Z0 and lower than the height Z3, but may be the same height as Z3.

Z축 모터(21)를 일시정지한 후, Z축 모터(21)의 게인을 고속의 통상 모드로 전환하여 높이(Z4)까지 고속상승을 행하고(단계 S17 : 도 7의 ⑫), 흡착노즐의 구동제어를 종료한다.After the Z-axis motor 21 is temporarily stopped, the gain of the Z-axis motor 21 is switched to the high speed normal mode and the speed is raised to the height Z4 (step S17: The drive control is terminated.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Effect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승강기구(20)와 회동기구(50)가 모두 본체 프레임(6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브래킷(14)에 회동기구(50)를 탑재하는 경우와 달리, 승강동작을 행하는 구성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흡착노즐(12)의 하강에 의한 전자부품(C)의 하중의 부가 제어가 용이해지며, 높은 정밀도로 하중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includes both the elevating mechanism 20 and the turning mechanism 50 supported by the main frame 60 so that the turning mechanism 50 is mounted on the movable bracket 14 Otherwise, the weight of the structure for performing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reduced, the loa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lowering of the suction nozzle 12, and the load can be applied with high accuracy.

또한, 노즐 샤프트(30)를 중공으로 하고, 그 상단부를 본체 프레임(60)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하였기 때문에, 흡기원과의 접속을 행하는 튜브 등의 배관이 노즐 샤프트(30)와 함께 회동을 한 경우에도, 주위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하여, 흡착노즐(12)의 회동가능각도를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nozzle shaft 30 is hollow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60, a pipe such as a tube for connecting to the suction source is provided with the nozzle shaft 30 It is easy to avoid the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s even when the rotation is perform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angle at which the suction nozzle 12 can be rotated.

더욱이, 하중검출부(40)가 가동 브래킷(1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착노즐(12)의 회동시에 하중검출부(40)도 회동하지 않아, 왜곡 게이지(43)의 배선 등에 의해 흡착노즐(12)의 회동이 제한받지 않게 되며, 이러한 면에서도 회동가능각도를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is provided on the movable bracket 14 so that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does not rotate a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nozzle 12 is rotated and the suction nozzle 12 is rotated by the wiring of the distortion gauge 43,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pivotable angle in this respect as well.

또한, 하중검출부(40)는, 노즐 샤프트(30)를 관통시킨 중공유지부(41)에 연결된 연결아암부(42)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 게이지(43)를 가지므로, 노즐 샤프트(30)를 본체 프레임(60)의 상방까지 연장시킬 때, 하중검출부(40)가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노즐 샤프트(30)의 주위에서 하중을 검출하므로, 흡착노즐(12) 및 노즐 샤프트(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load detecting unit 40 has the distortion gauge 43 for detecting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ng arm portion 42 connected to the hollow holding portion 41 through which the nozzle shaft 30 penetrates. The load detection unit 40 is not disturbed and the load is detected around the nozzle shaft 30 when the suction nozzle 12 and the nozzle shaft 30 are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참고로, 전술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는, 하중검출부(40)를 가동 브래킷(14)의 상부에 탑재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그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검출부(40)를 가동 브래킷(14)의 하부에 구비해도 좋다. 상기 하중검출부(40)는 전술한 하중검출부(40)와 동일구조의 것이다. 이 경우, 노즐 샤프트(30)의 단부(33)는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하중검출부(40)의 베어링(47)을 유지한다. 또한, 베어링(47)을 상방으로부터 유지하는 칼라와 커플링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the case where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is mounted on the movable bracket 14 is exemplified, but the arrangement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racket 14. Fig. The load detecting unit 4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oad detecting unit 40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33 of the nozzle shaft 3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ortion, thereby holding the bearing 47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 Further, the collar and the coupling for holding the bearing 47 from above are not shown.

또한, 전술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는, 노즐 샤프트(30)를 헤드(106)의 근방에 배치하고, 승강기구(20)를 헤드(106)로부터 먼 곳에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샤프트(30)를 헤드(106)로부터 먼 곳에 배치하고, 승강기구(20)를 헤드(106)의 근방에 배치해도 된다(도 9에서는 승강기구(20)의 볼나사 샤프트(23)와 볼나사 너트(24)만 도시함).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회동기구(50)의 배치도 변경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although the nozzle shaft 30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ead 106 and the elevating mechanism 20 is disposed in a position distant from the head 106,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zzle shaft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head 106 and the elevating mechanism 20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ead 106 as shown in Fig. Only the ball screw shaft 23 and the ball screw nut 24 are shown). Likewise, the arrangement of the rotation mechanism 50 may be changed.

또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는, 가동 브래킷(14)에 있어서 스트로크 로터리 베어링(36)에 의해 노즐 샤프트(30)를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예컨대, 하중검출부(40)에 있어서 하중부가시에 발생하는 Z축 방향의 변위가 충분히 작을 경우에는, 스트로크 로터리 베어링(36) 대신에, 통상의 볼 베어링에 의해 노즐 샤프트(30)를 지지하고, 그 내륜과 외륜의 덜거덕거림에 의해 노즐 샤프트(30)의 Z축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the nozzle shaft 30 is rotatably and vertically movably supported by the stroke rotary bearing 36 in the movable bracket 14. For example, in the load detection section 40, When the displacement in the Z axis direction occurring at the time of the load application is sufficiently small, the nozzle shaft 30 is supported by a normal ball bearing in place of the stroke rotary bearing 36, and the nozzle shaft 30 is supported by the rattling The displacement of the nozzle shaft 30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allowed.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노즐구동장치(10A)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노즐구동장치(10A)에 특징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주로 노즐구동장치(1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so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nozzle driving apparatus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노즐구동장치(10A)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하중검출부(40A)의 평면도이다.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device 10A, and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상기 노즐구동장치(10A)는, 하중검출부(40A)를 가동 브래킷(14A)이 아니라, 본체 프레임(60)에 설치한 점에서 노즐구동장치(10)와 상이하다.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is different from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 in that the load detecting unit 40A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60 instead of the movable bracket 14A.

즉, 본체 프레임(60)의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 베어링(25)의 주위 4군데에 대해 대략 부채형상으로 관통구멍(41A)을 형성함으로써, 베어링(25)과 그 주위 부분을 사방에서 지지하는 네 개의 빔 구조부(42A)를 형성하고, 상기 각 빔 구조부(42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왜곡 게이지(43A)를 점착상태로 구비함으로써, 하중검출부(40A)를 구성하고 있다.That is, the through holes 41A are formed in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of the main frame 60 in a substantially fan shape with respect to the four peripheries of the bearings 25, Four beam structure portions 42A supported by four sides are formed and the strain gauges 43A are adher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beam structure portions 42A to constitute a load detection portion 40A.

또한, 하중검출부(40A)를 본체 프레임(60)측에 설치함으로써, 가동 브래킷(14A)에서는, 노즐 샤프트(30)를 Z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로크 로터리 베어링(36)이 아니라, 통상의 볼 베어링(36A, 36A)에 의해 지지하여, Z축 방향으로 요동은 생기지 않지만, Z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It is not necessary to support the nozzle shaft 30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movable bracket 14A by providing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A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60. Therefore, But is supported by the normal ball bearings 36A and 36A so as to be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Z axis without causing oscillation in the Z axis direction.

상기의 구성에 의해, 노즐구동장치(10A)는, 전자부품(C)을 흡착한 상태로 흡착노즐(12)을 기판을 향해 하강시켜, 전자부품(C)이 기판에 도달하면, 그 반력(反力)에 의해, 노즐 샤프트(30), 가동 브래킷(14A), 볼나사 너트(24), 볼나사 샤프트(23)를 통해 베어링(25) 및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의 그 주위의 지지부가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각 빔 구조부(42A)에 왜곡이 생기고, 각 왜곡 게이지(43A)의 검출에 의해, 기판에 대한 가압하중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descends the adsorption nozzle 12 toward the substrate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C being adsorbed, an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C reaches the substrate, the reaction force The bearing 25 and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via the nozzle shaft 30, the movable bracket 14A, the ball screw nut 24, and the ball screw shaft 23, Is pressed upward. As a result, the beam structure portions 42A are distorted, and the pressing load on the substrate can be obtained by detecting the respective distortion gauges 43A.

또한, 상기 노즐구동장치(10A)에 대한 동작 제어는, 전술한 도 6의 플로우 챠트와 도 7의 타이밍 차트에 근거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행가능하다.The operation control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can be executed by the same processing as the processing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6 and the timing chart of Fig. 7 described above.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Effects in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노즐구동장치(10A)는,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하중검출부(40A)가 승강기구(20)의 볼나사 샤프트(23)의 지지부위의 왜곡을 검출하므로, 하중검출부(40A)를 노즐 샤프트(30)로부터 떨어져서 배치할 수 있어, 노즐 샤프트(30)가 본체 프레임(6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했을 경우에, 하중검출부(40A)가 그 배치에 방해되지 않는다.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A has the same effect as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and detects the dist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ball screw shaft 23 of the elevating mechanism 20 by the load detecting unit 40A The load detection unit 40A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nozzle shaft 30. When the nozzle shaft 30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e main frame 60 up and down, It does not.

더욱이, 하중검출부(40A)를 본체 프레임(60)에 설치하므로, 노즐 샤프트(30)와 함께 회동하거나 승강하거나 하지 않으므로, 하중검출부(40A)의 각 왜곡 게이지(43A)의 배선이 승강체의 승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배선구조가 불필요해지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60 so that the wiring of the strain gauges 43A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does not rise or fall along with the nozzle shaft 30,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wir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operation unnecessary.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A)에서는, 하중검출부(40A)를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의 베어링(25) 주위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그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25)보다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의 그 근본측(배면판(61)측)의 위치에 하중검출부(40A)를 설치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nozzle driving device 10A,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is provided around the bearing 25 of the second extended supporting portion 63, but the arrangement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load detecting section 40A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n the base side (back plate 61 side) of the second extended supporting portion 63 rather than the bearing 25. [

예컨대, 베어링(25)보다 제 2 연장지지부(63)에 있어서의 그 근본측의 일부에 대해, Z축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X축 방향으로 관통구멍(41A)을 뚫어 설치하여, 두께가 얇은 빔 구조부(42A)를 형성하고, 그 상면과 하면에 2군데씩 왜곡 게이지(43A)를 점착상태로 구비하여 하중검출부(40A)를 구성해도 된다.For example, a through hole 41A is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so as to make the thickness in the Z-axis direction thinner with respect to a part of the second extended supporting portion 63 at its root side than the bearing 25, The beam structure section 42A may be formed and the load detection section 40A may be constituted by providing the strain gages 43A in an adhesive state in two plac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또한, 제 2 연장지지부(63)가 볼나사 샤프트(23)를 지지하지 않고, 가압시의 반력이 Z축 모터(21)까지 전해지는 지지구조인 경우에는, 도 12의 S1의 위치에 도 11과 동일한 구조의 하중검출부(40A)를 형성해도 된다. 혹은, Z축 모터(21)보다 제 1 연장지지부(62)에 있어서의 그 근본측(배면판(61)측)의 위치(S2)에 도 12와 동일한 구조의 하중검출부(40A)를 형성해도 된다.When the second extended support portion 63 does not support the ball screw shaft 23 and the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pressing is transmitted to the Z-axis motor 21,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may be formed. Alternatively, even i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A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12 is formed at the position S2 of the first extended support portion 62 (the side of the rear plate 61) in the Z-axis motor 21 do.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노즐구동장치(10B)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노즐구동장치(10B)에 특징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주로 노즐구동장치(1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nozzle driving apparatus 10B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B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so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B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nozzle driving apparatus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3은 노즐구동장치(10B)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하중검출부(40B)의 확대단면도이다.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device 10B, and Fig. 1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상기 노즐구동장치(10B)는, 가동 브래킷(14B)을 승강기구(20)로부터의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노즐 샤프트(30)의 지지부(142B)로 분할구성하고, 서로의 연결부에 있어서 지지부(142B)를 승강동작입력부(141B)의 상방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부(142B)와 승강동작입력부(141B)의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를 서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탄성체로서의 인장스프링(143B)을 설치하고, 이들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 사이에 하중검출부(40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driving device 10B is structured such that the movable bracket 14B is divided into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from the elevating mechanism 2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of the nozzle shaft 30, A tension spring 143B as an elastic body for pulling the mutually opposing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 142B and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close to each other is provided at a position above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 And a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provided between mutually opposing portions.

상기의 전제에 따라, 가동 브래킷(14B)은,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노즐 샤프트(30)의 지지부(142B)로 이분할되어, 승강동작입력부(141B)에는, 승강기구(20)의 볼나사 너트(24)가 구비되고, 지지부(142B)에는, 노즐 샤프트(30)가 두 개의 볼 베어링(36B, 36B)에 의해 Z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The movable bracket 14B is divided into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of the nozzle shaft 30 and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is provided with the elevation mechanism A screw nut 24 is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42B and the nozzle shaft 30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Z axis by two ball bearings 36B and 36B.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지지부(142B)의 연결부(144B, 145B)는, Z축 방향에 대해 중합되는 배치로 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다.14, the connecting portions 144B and 145B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are arrang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and fac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

그리고, 승강동작입력부(141B)의 연결부(144B)는, 지지부(142B)의 연결부(145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44B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is disposed below the connecting portion 145B of the supporting portion 142B.

또한, 각각의 연결부(144B, 145B)에는, Z축 방향을 따른 연결 핀(146B, 147B)이 서로 상대측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연결부(144B, 145B)에는 상대측의 연결 핀(147B, 146B)을 삽입가능한 스러스트 칼라(148B, 149B; thrust collar)가 구비되어 있다.The connection pins 146B and 147B extending along the Z axis direction are extended to the mating sides of the respective connection portions 144B and 145B and the connection pins 144B and 145B 147B, and 146B are inserted into the thrust collar 148B.

이에 따라, 승강동작입력부(141B)의 연결부(144B)와 지지부(142B)의 연결부(145B)는, 서로 Z축 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44B of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5B of the supporting portion 142B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Z axis directio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동작입력부(141B)의 연결부(144B)와 지지부(142B)의 연결부(145B)는, 인장스프링(143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서로의 대향면이 항상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44B of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5B of the supporting portion 142B are connected by the tension spring 143B so that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And is in a state of receiving a tensile force.

그리고, 지지부(142B)의 연결부(145B)측의 대향면 상에는, 연결부(144B)측의 대향면과의 접촉압력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40B)로서의 로드 셀(압력검출소자)이 구비되어 있어, 가동 브래킷(14B)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아 이를 검출한 상태에 있다(도 14의 (A)).A load cell (pressure detecting element) as a load detecting portion 40B for detecting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opposing surface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4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42B on the connecting portion 145B side, In a state where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movable bracket 14B, a constant pressing force is always applied by the tension spring, and the pressing force is always detected (Fig. 14A).

여기서, 흡착노즐(12)에 의한 전자부품(C)에 부여하는 최대 설정하중을 50N으로 한 경우, 인장스프링(143B)은 최대 설정하중보다 약간 큰 가압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예컨대 60N)이 사용된다.Here, when the maximum setting load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C by the suction nozzle 12 is 50N, the tension spring 143B may be a member that generates a pressing load slightly larger than the maximum setting load (for example, 60N) do.

흡착노즐(12)의 하강에 의한 기판에 대한 전자부품(C)의 가압시에는, 인장스프링(143B)에 저항하여 연결부(144B)와 연결부(145B)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흡착노즐(12)의 밀어넣기가 진행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검출부(40B)에 의한 검출출력은, 인장스프링(143B)의 하중인 60N으로부터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인장스프링(143B)의 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이 될 때까지 흡착노즐(12)이 밀어넣어지면, 도 14의 (B)와 같이 연결부(144B)와 연결부(145B)가 서로 이격되어, 하중 검출이 불가능해지는데, 최대 설정하중보다 큰 인장하중을 가지는 인장스프링(143B)이 선택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전자부품 실장동작시에는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C is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by the lowering of the suction nozzle 12, the connecting portion 144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5B ac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gainst the tension spring 143B, When the pushing of the nozzle 12 progresses, the detection output by the load detection unit 40B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ad 60N of the tension spring 143B as shown in Fig. When the suction nozzle 12 is pushed in until the load exceeds the load of the tension spring 143B, the connecting portion 144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5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4B, However, since the tension spring 143B having a tensile load larger than the maximum setting load is selected, such a situation does not occur during the normal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operation.

참고로, 상기 노즐구동장치(10B)에 대한 동작제어는, 전술한 도 6의 플로우 챠트와 도 7의 타이밍 차트에 근거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B can be executed by the same processing as the processing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6 and the timing chart of Fig. 7 described above.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Effects in the Third Embodiment)

상기 노즐구동장치(10B)는,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하중검출부(40B)가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지지부(142B) 사이에 배치되므로, 흡착노즐(12)의 하강에 의해 전자부품(C)이 기판에 접촉하였을 때, 지지부(142B)가 상승하여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지지부(142B)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접촉시의 하중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하중검출부(40B)가 파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nozzle driving device 10B has the same effect as the nozzle driving device 10 described above and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disposed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The supporting portion 142B rises and the gap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becomes wide so that the load at the time of contact becomes excessively lar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oad detection unit 40B from being broken.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참고로, 전술한 가동 브래킷(14B)의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지지부(142B)의 연결부(144B, 145B)는,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른 축에 의한 힌지(150B)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서로의 대향면이 서로 끌어당기도록 인장스프링(143B)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접촉/분리가능한 대향면 중 어느 일방에 하중검출부(40B)를 타방의 대향면을 향해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검출부(40B)가 타방의 대향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최대 설정하중으로 가압한 경우라도 하중검출부(40B)와 타방의 대향면이 분리되지 않는 하중의 인장스프링(143B)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The connecting portions 144B and 145B between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of the movable bracket 14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described above are moved in the X- And a tension spring 143B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150B and to mutually oppose each other. In addition,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facing face of the contact / separable opposing fac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B, even when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pressed at the maximum setting load so that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not separated from the other facing surface, It is necessary to select a tension spring 143B having a load of no load.

또한, 전술한 가동 브래킷(14B)의 승강동작입력부(141B)와 지지부(142B)의 연결부(144B, 145B)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평행하면서도 동일한 길이의 두 개의 링크체(151B, 152B)에 의해 연결하는 동시에, 서로의 대향면이 서로 끌어당기도록 인장스프링(143B)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접촉/분리가능한 대향면 중 어느 일방에 하중검출부(40B)를 타방의 대향면을 향해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검출부(40B)가 타방의 대향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최대 설정하중으로 가압한 경우라도 하중검출부(40B)와 타방의 대향면이 멀어지지 않는 하중의 인장스프링(143B)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The connecting portions 144B and 145B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B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B of the movable bracket 14B described abov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tension spring 143B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by the two link members 151B and 152B having the same length and to face each other. Further,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facing face of the contact / separable opposing face. Eve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B, even when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pressed at the maximum setting load so that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B is not separated from the other opposing surfac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tension spring 143B with a load that does not hold.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노즐구동장치(10C)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는, 노즐구동장치(10C)에 특징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주로 노즐구동장치(10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nozzle driving apparatus 10C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C,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so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C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nozzle driving apparatus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8은 노즐구동장치(10C)의 측단면도이고, 도 19는 하중검출부(40C)의 평면도이다.Fig. 1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riving device 10C, and Fig. 19 is a plan view of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C.

상기 노즐구동장치(10C)는, 가동 브래킷(14C)을 승강기구(20)로부터의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노즐 샤프트(30)의 지지부(142C)로 분할구성하고, 지지부(142C)를 승강동작입력부(141C)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부(142C)와 승강동작입력부(141C)의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사이에 하중검출부(40B)를 설치하고,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를 하중검출부(40C)에 의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driving device 10C divides the movable bracket 14C into the lift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from the lift mechanism 20 and the support portion 142C of the nozzle shaft 30 and lifts the support portion 142C A load detecting section 40B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sections 142C and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section 141C and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section 141C and the supporting section 142C are disposed below the operation input section 141C, (142C) is connected by a load detecting section (40C).

상기 전제에 따라, 가동 브래킷(14C)은,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노즐 샤프트(30)의 지지부(142C)로 이분할되어, 승강동작입력부(141C)에는, 승강기구(20)의 볼나사 너트(24)가 구비되고, 지지부(142C)에는, 노즐 샤프트(30)가 두 개의 볼 베어링(36C, 36C)에 의해 Z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The movable bracket 14C is divided into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C of the nozzle shaft 30 and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is provided with the ball screw And the nozzle shaft 30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Z axis by two ball bearings 36C and 36C in the support portion 142C.

또한, 노즐 샤프트(30)는, 지지부(142C)와 승강동작입력부(141C)에 동심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동시에 관통배치된다.The nozzle shaft 30 is simultaneously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concentrically to the support portion 142C and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또한, 승강동작입력부(141C)의 하면과 지지부(142C)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고, 이들 대향면을 하중검출부(40C)가 연결하도록 부착되어 있다.Fur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42C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se opposite surfaces are attached so as to connect the load detecting portion 40C.

하중검출부(40C)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기립왜곡체(41C)와, 기립왜곡체(41C)에 X축 방향을 따라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그 상면부와 하면부를 두께가 얇은 상태로 하고, 그 상면과 하면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각각 두 개씩 설치된 왜곡 게이지(43C)로 이루어지는 로드 셀이다. 기립왜곡체(41C)에는, 상면의 중앙부에 하면까지 관통하는 노즐 샤프트(30)의 삽입통과구멍(44C)이 형성되어 있다.The load detecting section 40C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standing distortion body 41C and the upstanding distortion body 41C along the X axis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thin, And two strain gauges 43C symmetrically arrange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e thin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pstanding distortion body 41C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44C of the nozzle shaft 30 penetrating to the lower surface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이러한 하중검출부(40C)는, 상면중앙부로부터 Z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면, 각 왜곡 게이지(43C)가 하중에 따른 검출출력을 행하여, 하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hen the load detecting unit 40C receives a load in the direction along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 respective strain gauges 43C perform the detection output according to the load, and the load can be detected.

그리고, 기립왜곡체(41C)의 상면중앙부는 승강동작입력부(141C)의 하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고, 기립왜곡체(41C)의 하면 중앙부는 지지부(142C)의 상면에 고정상태로 구비되어,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를 연결하고 있다.The standing-up distortion body 41C has a central upper portion in a fixed st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a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standing-up distortion body 41C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42C, And connects the lifting operation input section 141C and the support section 142C.

이에 따라, 흡착노즐(12)이 전자부품(C)을 흡착한 상태로 하강하여, 기판을 가압하면,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 사이에서 기립왜곡체(41C)가 가압되고, 가압하중에 따라 각 왜곡 게이지(43C)가 검출출력을 행하여, 전자부품(C)에 의한 가압 하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is causes the adsorption nozzle 12 to descend while adsorbing the electronic component C to press the substrate so that the standing up distortion member 41C is pressed between the lif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C, Each strain gauge 43C performs the detection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load so that the pressing loa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C can be detected.

참고로, 상기 노즐구동장치(10C)에 대한 동작제어는, 전술한 도 6의 플로우 챠트와 도 7의 타이밍 차트에 근거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operation control on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C can be executed by the same processing as the processing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6 and the timing chart of Fig. 7 described above.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Effects in the Fourth Embodiment)

상기 노즐구동장치(10C)는, 전술한 노즐구동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하중검출부(40C)가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상호간의 가압력을 검출하므로,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 사이에 하중검출부(40C)의 기립왜곡체(41C)를 끼움으로써 하중검출이 가능해지므로, 구조의 간략화 및 구성부품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C has the same effect as the nozzle driving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and the load detecting unit 40C has a pressing force of mutual opposing portions of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C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oad by inserting the upright distortion body 41C of the load detection unit 40C between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support portion 142C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constituent parts can be reduced .

또한, 기립왜곡체(41C)에는, X-Y평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삽입통과구멍(44C)을 형성하여, 노즐 샤프트(30)를 삽입통과시켜 하중검출부(40C)를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 사이에 배치하였으므로, 흡착노즐(12)에 가해지는 하중을 그 바로 상방의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정밀도의 검출이 가능해진다.An insertion hole 44C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XY plane of the upright distortion body 41C to allow the nozzle shaft 30 to be inserted therethrough so that the load detection portion 40C is moved to the elevation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The load applied to the adsorption nozzle 12 can be detected at a position immediately above the load, and detection with higher precision is possible.

(제 4 실시형태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참고로, 전술한 하중검출부(40C)는,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 사이에서 노즐 샤프트(30)가 관통하는 배치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동작입력부(141C)와 지지부(142C) 사이이면서, 노즐 샤프트(30)를 회피한 배치로 해도 된다.The above-described load detecting section 40C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nozzle shaft 30 passes through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section 141C and the supporting section 142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And the nozzle shaft 30 may be avoided between the elevating operation input portion 141C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2C.

이 경우, 기립왜곡체(41C)에 삽입통과구멍(44C)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하중검출부(40C)의 부착에 있어서, 노즐 샤프트(30)의 중심선에 맞추어 위치결정하는 등의 필요도 없어지므로, 구성의 간이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insertion hole 44C in the standing-up and downwardly projecting body 41C, and it is unnecessary to position the load detection portion 40C in alignment with the center line of the nozzle shaft 30 So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10, 10A, 10B, 10C : 노즐구동장치
12 : 흡착노즐
14, 14A, 14B, 14C : 가동 브래킷(승강체)
20 : 승강기구
23 : 볼나사 샤프트(전달부재)
24 : 볼나사 너트
30 : 노즐 샤프트
40, 40A, 40C : 하중검출부
40B : 하중검출부(압력검출소자)
41 : 중공유지부
41A : 관통구멍
41C : 기립왜곡체
42 : 연결아암부(연결부)
42A : 빔 구조부
43, 43A : 왜곡 게이지(왜곡검출소자)
43C : 왜곡 게이지(압력검출소자)
44 : 로드 셀
50 : 회동기구
55 : 스플라인 너트
60 : 본체 프레임(본체 프레임)
70 : 동작제어수단
100 : 전자부품 실장장치
106 : 헤드
141B, 141C : 승강동작입력부
142B, 142C : 지지부
143B : 스프링(탄성체)
144B, 145B : 연결부
C : 전자부품
10, 10A, 10B, 10C: nozzle driving device
12: Adsorption nozzle
14, 14A, 14B, 14C: movable bracket (elevator)
20: Lift mechanism
23: Ball screw shaft (transmitting member)
24: Ball screw nut
30: nozzle shaft
40, 40A, 40C: a load detector
40B: Load detecting section (pressure detecting element)
41: hollow holding part
41A: Through hole
41C: an upright distortion body
42: Connection arm part (connection part)
42A: beam structure
43, 43A: Distortion gauge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43C: Distortion gauge (pressure detecting element)
44: Load cell
50:
55: Spline nut
60: Body Frame (Body Frame)
70: Operation control means
100: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6: Head
141B, 141C: a lift operation input section
142B, 142C:
143B: spring (elastic body)
144B, 145B:
C: Electronic parts

Claims (5)

전자부품의 공급부(101·102)와 기판의 유지부(104) 사이를 이동가능한 헤드(106)에 설치된 흡착노즐(12)에 의해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상기 기판에 상기 전자부품을 탑재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이며,
상기 헤드에 고정된 본체부(60)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체(14)와,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부여하는 승강기구(20)와,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원(21)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전달하는 전달부재(23)와,
상기 흡착노즐을 하단부에 유지시키고, 상단부가 흡기원(吸氣源)에 접속되는 중공의 노즐 샤프트(30)와,
상기 노즐 샤프트에 스플라인(spline)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스플라인 너트(55)를 통해 상기 노즐 샤프트에 회동동작을 부여하는 회동기구(50)와,
상기 흡착노즐이 받는 상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40)와,
상기 하중검출부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하중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승강체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제어를 행하는 동작제어부(70)를 구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상기 승강기구와 상기 회동기구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노즐 샤프트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하중검출부가 상기 승강체 또는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노즐 샤프트를 관통시킨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공유지부(41)와, 상기 중공유지부를 상기 승강체에 연결하는 연결부(42)와, 상기 연결부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검출소자(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An electronic component is attracted by a suction nozzle 12 provided on a head 106 that is movable between a supply part 101 and an electronic part 102 of a substrate and a holding part 104 of the substrate,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A main body 60 fixed to the head,
A lifting body (14)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A lifting mechanism (2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ody,
A driving source (21) of the elevating mechanism and a transmitting member (23) for transmitting the elevating operation from the driving source to the elevating body,
A hollow nozzle shaft 30 holding the adsorption nozz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suction source,
A rotation mechanism (50) having a spline groove formed in the nozzle shaft and imparting a turning operation to the nozzle shaft through a spline nut (55)
A load detector (40) for detecting an upward load received by the suction nozzl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70) for performing control to lower the elevating member (70) until the load detecting unit detects a predetermined load, and to perform suction control for attra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supplying unit,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turning mechanism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is protrud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load detec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ifting body or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load detection unit comprises:
(41) provid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rotatably holding the nozzle shaft so as to pass therethrough, a connecting portion (42) connecting the hollow holding portion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And a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43) for detecting the distortion.
전자부품의 공급부(101·102)와 기판의 유지부(104) 사이를 이동가능한 헤드(106)에 설치된 흡착노즐(12)에 의해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상기 기판에 상기 전자부품을 탑재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이며,
상기 헤드에 고정된 본체부(60)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체(14)와,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부여하는 승강기구(20)와,
상기 흡착노즐을 하단부에 유지시키고, 상단부가 흡기원에 접속되는 중공의 노즐 샤프트(30)와,
상기 노즐 샤프트에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스플라인 너트(55)를 통해 상기 노즐 샤프트에 회동동작을 부여하는 회동기구(50)와,
상기 흡착노즐이 받는 상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40)와,
상기 하중검출부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하중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승강체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제어를 행하는 동작제어부(70)를 구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상기 승강기구와 상기 회동기구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노즐 샤프트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하중검출부가 상기 승강체 또는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원(21)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승강체에 승강동작을 전달하는 전달부재(23)를 갖고,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원 또는 상기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부위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검출소자(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An electronic component is attracted by a suction nozzle 12 provided on a head 106 that is movable between a supply part 101 and an electronic part 102 of a substrate and a holding part 104 of the substrate,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00)
A main body 60 fixed to the head,
A lifting body (14)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A lifting mechanism (2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ody,
A hollow nozzle shaft (30) holding the adsorption nozzle at its lower end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intake air source,
A rotation mechanism (50) which forms a spline groove in the nozzle shaft and imparts a turning operation to the nozzle shaft through a spline nut (55)
A load detector (40) for detecting an upward load received by the suction nozzl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70) for performing control to lower the elevating member (70) until the load detecting unit detects a predetermined load, and to perform suction control for attra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supplying unit,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turning mechanism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 upper end of the nozzle shaft is protrud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load detec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ifting body or the main body portion,
A driving source (21) of the elevating mechanism and a transmitting member (23) for transmitting the elevating operation from the driving source to the elevating body,
Wherein the load detecting section has a distortion detecting element (43) for detecting distortion of a driving source of the elevating mechanism or a portion supporting the transmitt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03462A 2011-01-11 2012-01-11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1018863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2663A JP5702157B2 (en) 2011-01-11 2011-01-11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JPJP-P-2011-002663 2011-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570A KR20120081570A (en) 2012-07-19
KR101886300B1 true KR101886300B1 (en) 2018-08-08

Family

ID=4648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62A KR101886300B1 (en) 2011-01-11 2012-01-11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02157B2 (en)
KR (1) KR101886300B1 (en)
CN (1) CN10259586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3243B2 (en) * 2015-02-13 2019-11-06 株式会社Fuji Mounting processing unit, mounting apparatus, and mounting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CN104918475B (en) * 2015-06-10 2017-12-01 东莞技研新阳电子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nic product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JP6785090B2 (en) 2015-08-19 2020-11-18 Eneos株式会社 Lubricating oil composition and defoaming method of lubricating oil
JP6695760B2 (en) 2015-08-19 2020-05-20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Defoaming agent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6695758B2 (en) 2015-08-19 2020-05-20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Defoaming agent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6598011B2 (en) * 2015-10-13 2019-10-30 Thk株式会社 Linear motor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8061103A1 (en) * 2016-09-28 2018-04-0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Wafer feed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O2018155579A1 (en) 2017-02-22 2018-08-30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Antifoaming agent and lubricant composition
US11375651B2 (en) 2018-02-26 2022-06-28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Dispensing head, nozzle and method
WO2019164532A1 (en) 2018-02-26 2019-08-29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Dispensing head, nozzle and method
JP7360263B2 (en) * 2019-07-18 2023-10-12 Thk株式会社 actuator
JP7417472B2 (en) 2020-05-19 2024-01-18 株式会社Fuji Adsorption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dsorption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497A (en) * 2000-01-21 2001-07-27 Yamaha Motor Co Ltd Surface-mounting device
JP2002043797A (en)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nic parts mounting device
JP2004079890A (en) 2002-08-21 2004-03-11 Tdk Corp Packag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therefor
JP2004342662A (en) * 2003-05-13 2004-12-02 Olympus Corp Semiconductor connecting apparatus
JP2005327773A (en) 2004-05-12 2005-11-24 Yamaha Motor Co Ltd Component transfer equipment, surface-mounting device and component-inspecting device
JP2009212138A (en) * 2008-02-29 2009-09-17 Juki Corp Component mou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790A (en) * 1995-05-30 1996-12-13 Nec Corp Bare chip mounter
JP2765524B2 (en) * 1995-08-10 199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3727355B2 (en) * 1996-12-25 2005-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mponent holding hea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holding method
JP2001127081A (en) 1999-10-29 2001-05-11 Towa Corp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bonding load
JP2004158743A (en) 2002-11-08 2004-06-03 Juki Corp Component holding device
JP4401937B2 (en) * 2004-11-17 2010-01-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Surface mount machine
JP4695954B2 (en) * 2005-09-30 2011-06-0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4943297B2 (en) * 2007-11-02 2012-05-30 Juki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e mounting head
JP5329308B2 (en) * 2009-06-05 2013-10-30 Juki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hea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497A (en) * 2000-01-21 2001-07-27 Yamaha Motor Co Ltd Surface-mounting device
JP2002043797A (en)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nic parts mounting device
JP2004079890A (en) 2002-08-21 2004-03-11 Tdk Corp Packag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therefor
US20050241143A1 (en) 2002-08-21 2005-11-03 Toru Mizuno Mounting machine and controller for the mounting machine
JP2004342662A (en) * 2003-05-13 2004-12-02 Olympus Corp Semiconductor connecting apparatus
JP2005327773A (en) 2004-05-12 2005-11-24 Yamaha Motor Co Ltd Component transfer equipment, surface-mounting device and component-inspecting device
JP2009212138A (en) * 2008-02-29 2009-09-17 Juki Corp Component mou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5868B (en) 2016-08-24
CN102595868A (en) 2012-07-18
JP2012146762A (en) 2012-08-02
KR20120081570A (en) 2012-07-19
JP5702157B2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300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6807755B2 (en) Mou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unting device
JP5427507B2 (en) Lifting device for suction nozzle and load control method thereof
JP5946908B2 (en) Electronic component holding head, electronic component detection method, and die feeder
JP6523459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US10103041B2 (en) Component transfer apparatus and suction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component transfer apparatus
KR20120095323A (en) Pressurization control head of mounting apparatus
JP4308772B2 (en) Component supply head device, component supply devic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head unit moving method
JP2012174822A (en) Compression control head of mounter device
JP2010034121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head
JP5065969B2 (en)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JP2012023230A (en) Mounting machine
WO2018061103A1 (en) Wafer feed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5715751B2 (en) Adsorption nozzle drive control method
JP4842085B2 (en)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JP6684833B2 (en) Holding plate, detection method, and die supply device
JP2007042766A (en)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
JP5873988B2 (en) Parts transfer device
JP4954652B2 (en) Precision parts assembly equipment
JP4633912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WO2018061151A1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2004335511A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micro-work
JP6780899B2 (en) Control method of mounting processing unit,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processing unit
JP4734296B2 (en) Bonding method, bonding program, and bonding apparatus
JP2005079193A (en) Bonding method, bonding program and bond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