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052B1 -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052B1
KR101886052B1 KR1020150106305A KR20150106305A KR101886052B1 KR 101886052 B1 KR101886052 B1 KR 101886052B1 KR 1020150106305 A KR1020150106305 A KR 1020150106305A KR 20150106305 A KR20150106305 A KR 20150106305A KR 101886052 B1 KR101886052 B1 KR 10188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printing
fuser
shee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825A (ko
Inventor
히로토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2Priority interrupt; Job recovery, e.g. after jamming or mal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6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upport, e.g. magnetic c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fix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낭비되게 인쇄하지 않고 고품질로 인쇄할 수 있는 정차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기억 유닛은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제어 유닛은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를 실행시킨다. 제어 유닛은,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FIX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가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갖는 MFP(Multi Function Printer)라고 불리는 화상형성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복수 종류의 정착기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가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복수 종류의 정착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이유로서 다음 2점을 들 수 있다. 첫 번째로서, 용지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정착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봉투와 같은 특수한 용지를 인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수한 용지에 최적인 정착기를 이용한다. 봉투는 용지를 접어서, 용지의 끝을 서로 붙임으로써 작성되기 때문에, 봉투는 일반적인 용지보다 두껍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두께의 일반적인 용지에 사용되는 정착기(이하 보통 정착기라고 부른다)에 의해 봉투를 인쇄하면, 봉투가 정착기를 통과할 때에 풀로 붙인 부분이 벗어나 봉투에 구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김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봉투 전용의 정착기(이하 봉투 정착기라고 부른다)가 준비되어 있다. 봉투 정착기에 있어서는, 정착기를 통과하는 용지에 대한 유지 압력이 낮게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봉투에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두 번째의 이유로서, 정착기의 결함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가동을 장시간 정지하지 않는 것에 있다. 프로덕션 프린트(production print)의 분야에서는, 대량 페이지 또는 대량 부수의 인쇄물을 인쇄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 때문에, 정착기에 결함이 발생할 때는, 화상형성장치는 결함 부분을 수리하지 않고, 정착기를 교환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장해로부터 복구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화상형성장치의 가동 현장에 복수의 정착기를 준비해서 화상형성장치를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상주하는 프린트 온디맨드(print-on-demand) 시장에 있어서는, 화상형성장치가 복수의 정착기를 구비하고, 오퍼레이터가 정착기에 장해가 생긴 경우에는 정착기를 교환한다. 이러한 환경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정착기마다 생기는 컬러 톤의 차이를 보정하는 공지의 화상형성장치가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088683호(JP 2013-088683A) 참조). 이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정착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차트를 읽어내서, 화상 데이터에 감마 보정을 행하고 있다. 복수의 정착기를 교환해서 운용하는 프린트 온디맨드 시장에 있어서는, 정착기를 식별하여 그 정착기의 특성에 따라 보정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공보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정착기마다 보정 데이터를 준비하고, 정착기에 대응하는 컬러 톤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언급한 공보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와 용지와의 관계에 의한 컬러 톤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봉투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구김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에 봉투 정착기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언급한 공보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인쇄 잡에 대응하는 용지의 종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정착기에 할당된 용지의 종류와 동일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다. 이 결과,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따라 적절한 인쇄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층 더, 몇몇 오퍼레이터는, 용지의 사이즈 또는 용지의 사이즈 계열에 따라 별도로 상이한 정착기를 이용해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통 정착기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사이즈의 용지에 계속해서 인쇄할 경우에는, 출력 불균질의 원인이 되는 스크래치(에지 스크래치(edge scratch))가 정착 롤러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사이즈의 용지에 인쇄를 반복하는 정착기가, 보다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 토너 상(toner image)을 정착하면, 반복 인쇄에 의해 야기된 출력 불균질이 출력물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인쇄 시에, 봉투의 구김 및 용지 사이즈의 차이에 기인하는 출력 불균질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잡에 의해 정의된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에 적합한 정착기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언급한 공보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른 정착기의 운용은 고려하지 않고 인쇄를 행하는 결과, 그로스(gross)가 감소하고, 토너의 접착력이 약해지며, 출력 불균질이 출력물에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낭비되게 인쇄하지 않고 고품질로 인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를 실행시키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정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정착기를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인쇄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국면은 상기 제2 국면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기의 인쇄 가능한 용지 설정에 인쇄 잡으로 설정된 잡 용지 설정과 동일한 용지 설정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일한 용지 설정의 정착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주의 메시지를 오퍼레이터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인쇄 시에 인쇄 잡으로 설정된 잡 용지 설정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정착기의 인쇄 가능한 용지 설정이 다르다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낭비되게 인쇄하는 고품질로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정착기의 교환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낸 조작부에 표시되는 정착기 속성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2에 나타낸 조작부에 표시되는 정착기 속성 등록/상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보존 모듈에 보존된 정착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로 실행되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인쇄 처리의 스텝 S705에서 조작부에 표시되는 주의 메시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실행되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인쇄 개시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인쇄/보존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인쇄 처리의 스텝 S1501에서 실행되는 정착기 교환 시간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정착기 교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9는, 도 18b에 나타낸 인쇄 처리의 스텝 S1802에서 실행되는 다음 인쇄 잡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인쇄 가능 잡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화상 형성 시스템(100)은 화상형성장치(예를 들면, MFP)(102)를 가지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2)에는 LAN 등의 네트워크(10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1)이 접속되어 있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101) 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화상형성장치(102)에 의해 인쇄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1)은 1개만 나타나 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101)은 네트워크(103)에 복수 접속되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02)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화상형성장치(102)는, 콘트롤러(201), 프린터 엔진(202), 스캐너(203), 및 조작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콘트롤러(201)는 중앙연산장치(CPU)(205)를 가지고 있다. CPU(205)에는, 시스템 버스(211)를 통해 리더 인터페이스(I/F)(206), 네트워크 I/F(207), 메모리(208),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209), 및 엔진 I/F(210)가 접속되어 있다. CPU(205)는 화상형성장치(102)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208)는, 화상형성장치(102)가 동작했을 때의 일시 기억영역(temporary storage)으로서 사용되고, 또 CPU(205)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HDD(209)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며, CPU(205)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네트워크 I/F(207)는, CPU(205)의 제어 하에서 네트워크(10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1) 등의 다른 장치와 통신한다. 엔진 I/F(210)는, CPU(205)의 제어 하에서 프린터 엔진(202)과 통신한다. 또한, 리더 I/F(206)는, CPU(205)의 제어 하에서 스캐너(203) 및 조작부(204)와 통신한다.
스캐너(203)는 원고대(도시 생략) 등에 세트된 원고를 읽어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해당 화상 데이터는 스캐너(203)로부터 콘트롤러(201)에 전해진다. 조작부(204)는, 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및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조작부(204)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2)에 대하여 각종 조작을 지시한다.
프린터 엔진(202)은, 엔진 I/F(210)을 통해 콘트롤러(20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따라 용지에 화상(예를 들면, 토너 상)을 형성한다. 프린터 엔진은 급지부, 감광체 드럼, 중간 전사 벨트, 및 전사 롤러 (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고, 한층 더, 포트(212)를 통해 프린터 엔진에 정착기(213)가 접속되어 있다.
정착기(213)는 용지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고, 히터(214) 및 정착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정착기 센서(215)를 가지고 있다. 한층 더, 정착기(213)는, 정착기 탈착 센서(216) 및 정착기 식별 디바이스(217)를 가지고 있다. 정착기 탈착 센서(216)는, 화상형성장치(102)로부터의 정착기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착기 식별 디바이스(217)는, 화상형성장치(102)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착기 식별 디바이스(217)는 정착기(213)에 설치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해당 불휘발성 메모리에는 정착기마다 정해진 고유의 ID(식별 부호)가 기록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정착기(213)의 교환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오퍼레이터는, 정착기(213)의 상부에 형성된 그립(grips)(301)을 잡고 정착기(213)를 좌측으로 빼서, 정착기(213)를 교환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02)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면에 나타낸 각 소프트웨어 모듈은, 도 2에 나타낸 메모리(208)에 전개되어서 CPU(205)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잡 수신 모듈(401)은 네트워크 I/F(207)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1)로부터 송신된 인쇄 잡을 수신한다. 그리고, 인쇄 잡 수신 모듈(401)은 메모리(208) 내의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인쇄 잡을 일시 기억한다.
인쇄 잡 전개 모듈(402)은,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기억된 인쇄 잡을 해석한 후, 데이터 보존 모듈(403)로부터 인쇄 잡을 전개해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인터프리터(interpreter)(406)에 건네 준다. PDL 인터프리터(406)는 인쇄 잡에 포함되는 PDL 데이터를 전개하고, 그것을 중간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PDL 데이터는, 예를 들면 Adobe System Incorporated의 PDF(Portable Document Format)로 변환된다. RIP 처리 모듈(407)은 PDL 인터프리터(406)로부터 중간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RIP 처리를 행해서 그것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RIP 처리 모듈(407)은 해당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일시 기억한다.
제어 모듈(405)은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프린터 엔진(202)에 대한 제어 코멘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해당 제어 코멘드를 엔진 I/F(210)을 통해 프린터 엔진(202)에 보낸다. 화상 데이터 송신 모듈(404)은 엔진 I/F(210)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엔진(202)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 엔진(202)은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를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1)로부터 공급된 인쇄 잡에 따른 인쇄가 화상형성장치(102)에서 실행된다.
여기에서, 복수 종류의 정착기의 교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정착기(213)는 화상형성장치(10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종류의 정착기의 어느 1개가 프린터 엔진(202)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종류의 정착기로서는 보통 정착기 및 봉투 정착기가 있다. 보통 정착기는, 봉투와 다른 일반적인 용지에 인쇄할 때에 사용된다. 한편, 봉투 정착기는 봉투에 인쇄할 때에 사용하는 전용의 정착기이다. 봉투 정착기는, 가압 롤러(도시 생략) 및 정착 필름(도시 생략)의 두께를 얇게 해서 봉투의 유지 압력을 낮게 해 구김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봉투 정착기는 봉투에 특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봉투 이외의 용지에 사용하면 토너의 접착력이 약해진다.
또한, 동일한 사이즈의 용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에지 스크래치에 의한 인쇄 스트리크(print streak)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오퍼레이터는 용지 사이즈에 따라 복수의 통상 정착기를 이용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2)는, 정착기의 각각의 종류뿐만 아니라, 이용하는 용지의 사이즈 혹은 사이즈 계열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정착기(213)가 장착되면, 프린터 엔진(202)은 포트(212)를 통해 정착기 탈착 센서(216)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정착기(213)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202)은, 정착기 식별 디바이스(217)에 등록된 ID를 정착기 식별 신호로서 읽어내서, 제어 모듈(405)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 식별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형성장치(102)에 장착된 정착기를 식별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2)에 장착된 정착기를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의 방법 이외의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정착기는 형상이 서로 다른 노치(notches)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2)는 정착기를 식별하기 위해서 노치의 형상을 물리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해당식별 결과를 제어 모듈(405)에 전달해도 된다.
다음에, 정착기의 명칭, 및 인쇄 가능한 용지의 종류와 사이즈를 포함하는 인쇄 가능 용지 설정(시트의 속성)을 등록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204)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정착기의 명칭 및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을 등록한다. 1개의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복수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낸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정착기 속성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정착기 속성 등록/상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정착기 속성 등록 화면에서는, 후술의 정착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정착기의 명칭이 버튼으로서 표시된다. 화상형성장치(102)에 장착한 정착기(213)가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대응하는 명칭이 2중선의 버튼(501)으로서 표시된다. 한편, 정착기(213)가 등록되어 있지 않고, 2중선의 버튼(501)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미등록의 버튼(502)을 눌러서 정착기를 등록할 수 있다.
도 5a에 나타낸 정착기 속성 등록 화면에서, 오퍼레이터가 정착기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버튼을 선택해서 편집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에 대응한 정착기에 관한 상세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편집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면, A4/A3용 정착기의 버튼을 선택해서 편집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도 5b에 나타낸 정착기 속성 등록/상세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정착기 속성 등록/상세 화면에 의해 정착기의 속성의 상세를 등록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ID가 "00000003"인 정착기의 명칭 503으로서 "A4/A3용 정착기"가 등록되고, 인쇄 가능 용지 설정(504)으로서 "A3 보통지", A4 보통지", 및 "A4 코트지"가 등록되어 있다.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 식별 신호와 그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을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보존된 정착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해서 관리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보존된 정착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에는 정착기 식별 신호(ID) 601, 정착기의 명칭(602), 및 인쇄 가능 용지 설정(용지 사이즈(603) 및 용지 종류(604))이 보존된다. 제어 모듈(405)은, 판독한 ID에 근거해서 장착된 정착기가 봉투 정착기인지 보통 정착기인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봉투 정착기의 ID의 최상위가 "1"이고, 보통 정착기의 ID의 최상위는 "0"이다. 봉투 정착기가 처음으로 장착된 경우에는, 데이터 보존 모듈(403)에 미리 초기값으로서 보존된 명칭 "봉투 정착기", 용지 사이즈 "봉투", 및 용지 종류 "봉투"가 등록된다. 한편, 보통 정착기가 처음으로 장착되었을 경우에, 제어 모듈(405)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인쇄 가능 용지 설정과 정착기의 명칭을 ID와 관련지어서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에 추가한다.
인쇄에 사용하는 용지는, 조작부(204)를 통해서 각 급지 단계의 트레이 용지 설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각 급지 단계에서 설정된 용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02)에 의해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인쇄 처리를 시작하면, 인쇄 잡 수신 모듈(401)은 클라이언트 단말(101)로부터 인쇄 잡이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701). 인쇄 잡이 공급되지 않으면(스텝 S701에 있어서, NO), 인쇄 잡 수신 모듈(401)은 대기한다. 인쇄 잡이 공급되면(스텝 S701에 있어서, YES), 인쇄 잡 전개 모듈(402)은 인쇄 잡에 있어서의 용지 설정(잡 용지 설정)을 확인한다(스텝 S702). 여기에서, 잡 용지 설정이란 인쇄에서 설정된 용지의 종류와 용지 사이즈를 말한다.
계속해서, 제어 모듈(405)은, 화상처리장치(102)에 장착된 정착기(213)의 정착기 식별 디바이스(217)로부터 프린터 엔진(202)을 통해서 얻은 정착기 식별 신호(ID)에 의거하여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을 검색하고,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이 등록(지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703).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 상의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이 등록되어 있으면(스텝 S703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잡 용지 설정이 해당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704). 잡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면(스텝 S704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급지 단계로부터 잡 용지 설정에 대응한 용지를 공급해서 인쇄한다(스텝 S706).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잡의 용지 설정이 존재하지 않으면(스텝 S704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조작부(204)에 정착기의 용지 설정이 인쇄 잡의 용지 설정과 다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주의 메시지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705).
도 8은, 도 7의 스텝 S705에서 표시된 주의 메시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주의 메시지(801)로서, "정착기의 교환이 필요합니다"라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잡 용지 설정(용지 종류 및 용지 사이즈)이 표시된다. 한층 더, 화상형성장치(102)에 장착된 정착기의 종류(이 경우에는, 봉투 정착기)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주의 메시지(801)에 의해, 인쇄 잡의 설정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용지 설정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NEXT"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캔슬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 상의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703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에 따라 인쇄한다(스텝 S707).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으로 설정된 용지 설정과 정착기와 관련되어서 등록된 인쇄 가능 용지 설정을 확인하고, 사용되는 용지의 종류와 사이즈에 적합한 정착기가 이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잡 용지 설정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주의 메시지를 표시해서 인쇄 잡을 캔슬한다. 이것에 의해, 봉투에 구김이 발생하는 사태 및 봉투 이외의 용지를 사용했을 때의 토너의 접착력이 불완전해지는 사태와 인쇄 스트리크의 발생 등을 회피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의 용지 설정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주의 메시지의 표시 후, 인쇄 잡은 캔슬된다.
한편, 일부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인쇄 잡의 레이아웃을 확인할 때 화질과 관계없이 인쇄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주의 메시지를 표시한 후, 오퍼레이터에게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면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7의 플로차트의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주의 메시지를 표시한 후, 제어 모듈(405)은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를 오퍼레이터에게 확인한다(스텝 S901). 이 경우에, 도 8에 나타낸 "NEXT"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인쇄 개시 확인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인쇄 개시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퍼레이터는, 인쇄 개시 확인 화면(인쇄 확인 메시지)에 표시된 "그대로 인쇄한다" 혹은 "캔슬한다"를 선택한다. 인쇄 개시 확인 화면에 있어서, "인쇄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901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의 교환이 없어도 인쇄 잡에 의해 인쇄한다(스텝 S902).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캔슬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901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캔슬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의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도, 인쇄 잡에 따라 인쇄를 속행하는 것을 원하는 오퍼레이터는 인쇄를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잡 용지 설정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으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았을 때도 인쇄를 실행했을 경우에, 잡 용지 설정을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으로서 추가 등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면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텝 S902에서 인쇄한 후, 제어 모듈(405)은 잡 용지 설정을,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된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으로서 추가 등록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101). 이때, 제어 모듈(405)은,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등록 확인 메시지)에는, ID, 명칭, 및 인쇄 가능 용지가 표시되는 동시에, 인쇄 잡으로 설정된 용지 설정을 등록할 것인지 아닌지를 묻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에서, "YES" 버튼을 선택하면(스텝 S1101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ID에 의거하여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을 검색하고, 잡 용지 설정을, 인쇄 가능 용지 설정으로서 해당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등록한다(스텝 S1102).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인쇄 가능 용지 등록 화면에 있어서, "NO" 버튼을 선택하면(스텝 S1101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잡 용지 설정을 등록하지 않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인쇄를 속행하는 것을 희망하는 오퍼레이터가 인쇄 잡에 따라 인쇄한 후, 인쇄 잡으로 설정된 용지를, 인쇄에 의해서 사용되는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등록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 모듈(405)은 주의 메시지를 표시한 후, 인쇄 잡을 캔슬한다. 이 경우, 인쇄 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는 인쇄 잡을 다시 투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는, 주의 메시지 화면이 표시되면, 인쇄 잡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시 인쇄 잡을 투입하는 오퍼레이터의 수고를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면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주의 메시지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 후,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인쇄 혹은 보존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오퍼레이터에게 문의한다(스텝 S1301). 이 경우에, 도 8에 나타낸 "NEXT"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인쇄/보존 확인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인쇄/보존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쇄/보존 확인 화면(보존 메시지)에는, "그대로 인쇄한다", "캔슬한다", 및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pending)"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해당 인쇄/보존 확인 화면을 보고 인쇄 잡을 인쇄 혹은 보존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인쇄/보존 확인 화면에 있어서, "그대로 인쇄한다"가 선택되면(스텝 S1301에 있어서 인쇄), 제어 모듈(405)은 스텝 S707에서 인쇄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캔슬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301에 있어서 캔슬),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캔슬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301에 있어서 보존), 제어 모듈(405)은 해당 인쇄 잡을 홀드 큐(hold queue)에 보존한다(스텝 S1302).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이 예에서는, 인쇄 잡을 홀드 큐에 보존한다. 그렇지만, 정착기의 교환 후에 다시 인쇄 잡을 투입하지 않고, 자동으로 인쇄를 시작하는 전용 큐에 인쇄 잡을 보존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주의 메시지의 표시 후에, 인쇄 잡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인쇄 잡을 투입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주의 메시지 화면이 표시된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착기의 교환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정착기의 온도가 극도로 높은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정착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떨어질 때까지, 정착기를 떼어낼 수 없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서는 주의 메시지 화면을 표시한 후, 정착기의 교환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표시하여, 오퍼레이터가 인쇄를 계속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면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주의 메시지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 후, 도 8에 나타낸 "NEXT"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의 교환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인 교환 시간을 계산한다(스텝 S1501).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인쇄 처리의 스텝 S1501에서 실행되는 정착기 교환 시간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정착기 교환 시간의 계산 처리를 시작하면, 제어 모듈(405)은 화상형성장치(102)의 상태를 확인한다(스텝 S1601).
화상형성장치(102)의 상태는, 인쇄중 상태, 아이들(idling)중 상태, 및 전력 절약 상태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2)는 인쇄중 상태 및 아이들중 상태에서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정착에 필요한 온도까지 정착기를 가열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2)가 전력 절약 상태(또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한 직후)인 경우에는, 정착기(213)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기(213)의 온도가 낮다.
계속해서, 제어 모듈(405)은, 스텝 S1601에서 확인된 상태에 의거하여 화상형성장치(102)에 현재 인쇄중인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1602). 인쇄중인 인쇄 잡이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1602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인쇄가 종료할 때까지의 처리 시간을 산출해서 조작부(204)에 표시한다(스텝 S1603).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가 소정의 온도로 식을 때까지 필요한 냉각 시간을 산출해서 조작부(204)에 표시한다(스텝 S1604).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도 15에 나타낸 스텝 S1502의 처리로 돌아간다.
한편, 인쇄중인 잡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602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가 식을 때까지 필요한 냉각 시간을 산출해서 조작부(204)에 표시한다(스텝 S1605). 화상형성장치(102)가 아이들중 상태이면, 소정의 냉각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2)가 전력 절약 상태이며 정착기의 온도가 낮으면, 냉각 시간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도 15에 나타낸 스텝 S1502의 처리로 돌아간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여,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를 교환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정착기 교환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하고, 오퍼레이터는 금후의 처리를 선택한다(스텝 S1502).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정착기 교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착기 교환 화면(교환 메시지)에는, "그대로 인쇄한다", "캔슬한다",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 및 "지금 곧 교환한다"가 표시된다. 또한, "지금 곧 교환한다"와 관련지어서 처리 시간 1701 및 냉각 시간 1702가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처리 시간은 10분이고, 냉각 시간은 5분이다. 오퍼레이터는 이 화면에 표시된 처리 시간 1701 및 냉각 시간 1702를 참조해서 정착기를 교환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착기 교환 화면에 있어서, "그대로 인쇄한다"가 선택되면(스텝 S1502에 있어서 인쇄), 제어 모듈(405)은 스텝 S707에서 인쇄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캔슬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502에 있어서 캔슬),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캔슬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502에 있어서 보존), 제어 모듈(405)은 해당 인쇄 잡을 홀드 큐에 보존한다(스텝 S1302).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지금 곧 교환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502에 있어서 교환), 제어 모듈(405)은 처리 시간 1701 및 냉각 시간 1702의 합산 시간 경과 후에 교환 가능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조작부(204)에 표시하고, 정착기가 교환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503). 그리고, 정착기가 교환되면(스텝 S1503로 YES), 제어 모듈(405)은 처리를 스텝 S703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정착기의 교환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표시하여, 오퍼레이터는 인쇄를 계속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1)로부터 투입되는 인쇄 잡이 1개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런데, 실제로는 복수의 인쇄 잡을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최초의 인쇄 잡의 잡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다음 인쇄 잡의 잡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실시예에서는 오퍼레이터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를 사용해서 인쇄 가능한 인쇄 잡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제6 실시예에서는, 주의 메시지가 표시되었을 때에, 후속의 인쇄 잡의 잡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면, 오퍼레이터는 후속의 인쇄 잡에 대해서 먼저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면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주의 메시지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 후, 도 8에 나타낸 "NEXT"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모듈(405)은 다음 인쇄 잡(즉, 미처리된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1801). 다음 인쇄 잡이 존재하지 않으면(스텝 S1801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현재의 인쇄 잡을 캔슬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다음 인쇄 잡이 존재하면(스텝 S1801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다음 인쇄 잡 처리를 행한다(스텝 S1802).
도 19는, 도 18b에 나타낸 인쇄 처리의 스텝 S1802에서 실행되는 다음 인쇄 잡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다음의 인쇄 잡 처리를 시작하면, 인쇄 잡 전개 모듈(402)은 다음 인쇄 잡에 있어서의 용지 설정을 확인한다(스텝 S1901). 계속해서, 제어 모듈(405)은, 프린터 엔진(202)으로부터 얻은 정착기 식별 신호에 의거하여 정착기 관리 테이블(600)을 검색하고, 다음 인쇄 잡의 잡 용지 설정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1902).
잡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면(스텝 S1902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정착기를 교환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후속의 인쇄 잡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인쇄 가능 잡 화면을 조작부(204)에 표시한다(스텝 S1903).
계속해서, 제어 모듈(405)은 후속의 인쇄 잡 모두가 처리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 S1904). 모든 인쇄 잡이 처리되지 않았으면(스텝 S1904에 있어서, NO), 제어 모듈(405)은 스텝 S1901의 처리로 돌아가고, 후속의 인쇄 잡을 처리한다. 한편, 모든 인쇄 잡이 처리되어 있으면(스텝 S1904에 있어서, YES), 제어 모듈(405)은 도 18의 스텝 S180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803에 있어서, 제어 모듈(405)은, 조작부(204)에 표시된 인쇄 가능 잡 화면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금후의 처리를 선택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04)에 표시되는 인쇄 가능 잡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쇄 가능 잡 화면(실행 확인 메시지)에는, "그대로 인쇄한다", "캔슬한다",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 "지금 곧 교환한다", 및 "최적의 인쇄 잡이 다음의 인쇄 잡으로서 투입되어 있습니다. 그 다음의 인쇄 잡을 먼저 인쇄한다"가 표시된다. 또한, 제5 실시예와 같은 처리에 의해 정착기를 교환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을 계산하고, "지금 곧 교환한다"와 관련지어서 표시한다. 인쇄 가능 잡 화면에 있어서, "그대로 인쇄한다"가 선택되면(스텝 S1803에 있어서 인쇄), 제어 모듈(405)은 스텝 S707에서 최초의 인쇄 잡에 따라 인쇄한다.
"캔슬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803에 있어서 캔슬), 제어 모듈(405)은 인쇄 잡을 캔슬해서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교환될 때까지 펜딩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803에 있어서 보존), 제어 모듈(405)은 최초의 인쇄 잡 및 다음의 인쇄 잡을 홀드 큐에 보존한다(스텝 S1302).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지금 곧 교환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803에 있어서 교환), 제어 모듈(405)은,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쇄 종료 시간 1701 및 냉각 시간 1702의 합산 시간 경과 후에 교환 가능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조작부(204)에 표시하고, 정착기가 교환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503). 그리고, 정착기가 교환되면(스텝 S1503로 YES), 제어 모듈(405)은 처리를 스텝 S703로 되돌린다. 또한, "최적의 인쇄 잡이 다음의 인쇄 잡으로서 투입되어 있습니다. 그 다음의 인쇄 잡을 먼저 인쇄한다"를 선택하면(스텝 S1803에 있어서 다음 잡), 제어 모듈(405)은 해당하는 다음의 인쇄 잡에 따라 인쇄한다(스텝 S1804). 그리고, 제어 모듈(405)은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후속의 인쇄 잡이 존재하고, 그 다음의 인쇄 잡의 용지 설정이 정착기의 인쇄 가능 용지 설정에 존재하면, 오퍼레이터는 다음의 인쇄 잡에 따라 먼저 인쇄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메모리(208)가 기억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CPU(205)가 통지 유닛 및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의 기능은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의 기능은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달성되어도 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각각은, 적어도 기억 스텝, 실행 스텝, 및 판단 스텝을 가지고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2014년 7월 28일자로 제출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4-152913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9)

  1. 정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를 실행시키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통지 유닛이 상기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한 후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인 채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었을 경우에,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을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인쇄를 실행시키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통지는, 정착기의 교환을 유저에 재촉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지 유닛이 상기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한 후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인 채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면, 인쇄를 실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정착기의 식별 정보와 시트의 속성과의 관련에 관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접수 유닛이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정착기를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인쇄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단계는, 상기 통지 단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한 후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인 채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었을 경우에,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을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9. 정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해당 정착기로 인쇄가능한 시트의 속성과 관련지어서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인쇄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에 대응하는 시트의 속성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에 따라 인쇄를 실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시트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단계는, 상기 통지 단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통지를 행한 후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인 채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었을 경우에,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속성을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와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기억매체.
KR1020150106305A 2014-07-28 2015-07-28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KR10188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2913A JP6415158B2 (ja) 2014-07-28 2014-07-28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JP-P-2014-152913 2014-07-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94A Division KR20180074642A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KR1020180071993A Division KR101886047B1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825A KR20160013825A (ko) 2016-02-05
KR101886052B1 true KR101886052B1 (ko) 2018-08-07

Family

ID=5516670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05A KR101886052B1 (ko) 2014-07-28 2015-07-28 정착기를 교환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KR1020180071993A KR101886047B1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KR1020180071994A KR20180074642A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93A KR101886047B1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KR1020180071994A KR20180074642A (ko) 2014-07-28 2018-06-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9507317B2 (ko)
JP (1) JP6415158B2 (ko)
KR (3) KR10188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5158B2 (ja) * 2014-07-28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078269B2 (en) 2015-10-02 2018-09-18 Nikon Corporation Array of encoders for alignment measurement
EP3306402B1 (en) * 2016-09-12 2020-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82076B2 (en) * 2017-06-22 2020-03-03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21154499A (ja) * 2020-03-25 2021-10-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表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6510A1 (en) 2010-09-27 2012-03-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5196141B2 (ja) * 2008-04-09 2013-05-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254035A (ja) 2012-06-05 2013-12-1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4477A (ja) * 1985-06-24 1986-12-25 Ricoh Co Ltd 静電記録装置
JPH04219775A (ja) 1990-12-19 1992-08-10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交換表示装置
US5305065A (en) 1992-01-31 1994-04-19 Eastman Kodak Company Toner image fuser and cartridge for image-forming apparatus
US6016409A (en) * 1997-04-11 2000-01-18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fuser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US6594452B2 (en) * 2001-10-23 2003-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printer modes
JP2004354628A (ja) * 2003-05-28 2004-12-16 Fuji Xerox Co Ltd 着脱部材、画像形成装置、サーバ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JP4219775B2 (ja) 2003-09-09 2009-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音波センサの駆動回路
JP4630771B2 (ja) * 2005-09-02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68343B2 (en) * 2005-09-12 2009-08-04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Small gas turbine engine with multiple burn zones
KR20070064133A (ko) * 2005-12-16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유닛 상태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8090273B2 (en) * 2008-10-20 2012-01-03 Xerox Corporation Custom application fuser roller system
JP2010211087A (ja) 2009-03-12 2010-09-24 Ricoh Co Ltd 電子写真式印刷装置の定着装置
US20110058201A1 (en) 2009-09-08 2011-03-1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art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JP2011128189A (ja) * 2009-12-15 2011-06-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671848B2 (ja) * 2010-06-23 2015-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234016A (ja) * 2011-04-28 2012-11-29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85127B2 (en) * 2011-07-06 2015-11-10 Nominum, Inc. Network protection service
JP5810775B2 (ja) * 2011-09-15 2015-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13432B2 (ja) 2011-10-20 2014-02-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34763B2 (ja) 2011-10-21 2015-1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08236B2 (ja) * 2011-12-06 2014-02-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5158B2 (ja) * 2014-07-28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141B2 (ja) * 2008-04-09 2013-05-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20076510A1 (en) 2010-09-27 2012-03-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13254035A (ja) 2012-06-05 2013-12-1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6134A1 (en) 2018-02-15
US20160026129A1 (en) 2016-01-28
US20170038713A1 (en) 2017-02-09
KR20160013825A (ko) 2016-02-05
JP2016031423A (ja) 2016-03-07
US9817363B2 (en) 2017-11-14
US9857762B2 (en) 2018-01-02
JP6415158B2 (ja) 2018-10-31
KR20180074641A (ko) 2018-07-03
US9507317B2 (en) 2016-11-29
KR101886047B1 (ko) 2018-09-06
KR20180074642A (ko) 2018-07-03
US20170269545A1 (en)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047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1056945A (ja) 画像作成装置におけるパーツ識別方法
JP6710014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裏写り検知方法
JP2014144538A (ja) 画像形成装置
EP18266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xing Unit
US10140560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and a storage medium
US201503319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329821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print job processing time
US115163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dium
JP589676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6545B2 (ja) 画像形成装置
US87736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190284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82780A (ja) プリントショップ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のプリンターの間で割り当てられるプリントジョブについて一定のカラーレベルを確保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97802B2 (e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8630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692278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4676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fixing unit, selecting a sheet type to be used for cooling the fix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performing control so that a sheet of the selected type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JP2007025977A (ja) 印刷支援システムおよび印刷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印刷支援方法
JP605861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705407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0036549A (ja) 印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