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55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55B1
KR101879255B1 KR1020160123253A KR20160123253A KR101879255B1 KR 101879255 B1 KR101879255 B1 KR 101879255B1 KR 1020160123253 A KR1020160123253 A KR 1020160123253A KR 20160123253 A KR20160123253 A KR 20160123253A KR 101879255 B1 KR101879255 B1 KR 10187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hamber
chamber
food
unit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160A (ko
Inventor
제임스 천 고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천 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천 고 filed Critical 제임스 천 고
Publication of KR2017010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with fix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21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horizont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29Cylinders or drum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0Rotating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volume or liqui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01F2215/0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3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면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음식물 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이 모아지는 내부 챔버; 내부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내부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챔버; 및 교반부 및 내부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내부 챔버 및 교반부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폐기물은 동/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하여 단백질과 탄수화물 및 칼슘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분해하여 소멸시키지 않고 매립하게 되면 유기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추출물이 지중으로 유입되어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하여,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008421호에 "음식물쓰레기소멸처리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과다하게 투입될 경우, 음식물쓰레기가 원활히 교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가 배출되는 배수공에 고형 슬러지가 형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출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성능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면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음식물 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이 모아지는 내부 챔버; 내부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내부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챔버; 및 교반부 및 내부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내부 챔버 및 교반부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교반기와 내부 챔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켜 처리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 챔버의 둘레부 및 바닥부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침출수 배수 성능 및 분쇄 소멸 효과가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브러쉬부 및 고압세척부를 이용하여, 침출수가 배출되는 배수공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외부 챔버에 모아지는 배출수와 슬러지를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및 회전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럭탱크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챔버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챔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챔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및 회전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럭탱크부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챔버의 단면도이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이하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하우징(100), 내부 챔버(200), 교반부(300), 외부 챔버(400), 및 회전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면에 음식물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음식물 투입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형상의 투입 가이드부(111)를 포함하여, 투입되는 음식물이 내부 챔버(200)로 원활히 투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음식물 투입구(110)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모아지는 내부 챔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챔버(200)는 상부가 개방된 소정의 형상을 가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챔버(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챔버(200)의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챔버(200)는 교반부(3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챔버(20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원활하게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내부 챔버(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내부 챔버(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챔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 챔버(400)는 내부 챔버(200)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부 챔버(400)는 내부 챔버(200)의 배수공(210)을 통해 배출된 침출수가 낙하하여 집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챔버(400)에 집수된 침출수는 드레인관(6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침출수는 BOD 정화장치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교반 및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 잔류물은 별도의 배출구 또는 배출장치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식물재배용 퇴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00)는 교반부(300) 및 내부 챔버(2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내부 챔버(200)의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교반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챔버(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부 챔버(2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투입구(110)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모아진다.
또한, 내부 챔버(200)는 둘레부의 하부 및 바닥부에 복수의 배수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내부 챔버(20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발생된 침출수는 내부 챔버(200)에 형성된 배수공(210)을 통해 외부 챔버(4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챔버(200)는 외부 챔버(400)에 집수된 침출수 및 슬러지가 드레인관(620)으로 배출되도록, 내부 챔버(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래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크래퍼(220)는 내부 챔버(200)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220)는 내부 챔버(200)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 챔버(40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외부 챔버(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침출수 및 슬러지를 드레인관(620)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챔버(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 챔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내부 챔버(200)가 구비되고, 내부 챔버(200)의 배수공(210)을 통해 배출된 침출수가 집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 챔버(400)는 내부 챔버(200)와 동일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챔버(400)는 외부 챔버(400)와 내부 챔버(200) 사이에 위치하는 브러쉬부(410)와 수직형 세척 파이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410)는 외부 챔버(400)와 내부 챔버(200)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410)는 내부 챔버(200)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내부 챔버(200)가 회전함에 따라, 내부 챔버(200)의 외부면을 청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410)는 외부 챔버(400)의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브러쉬 고정부 및 브러쉬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는 내부 챔버(200)의 둘레면에 형성된 배수공(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410)는회전축(310)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수직형 세척 파이프(420)는 브러쉬부(41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내부 챔버(200)의 둘레부 외부면에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수직형 세척 파이프(420)는 브러쉬부(410)로 온수를 분사하여, 내부 챔버(200)의 외부면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으로,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부(101) 및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물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물 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수직형 세척 파이프(4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챔버(400)는 외부 챔버(400)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내부 챔버(20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30)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며, 내부 챔버(200)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내부 챔버(20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롤러(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의 간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300) 및 회전 구동부(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반부(300)는 회전축(310), 복수의 교반날개지지바(320), 및 교반날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10)은 회전 구동부(500)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10)은 그 일단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311) 및 그 타단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3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의 교반날개지지바(32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3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축(310)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교반날개(330)는 교반날개지지바(320) 각각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반날개(330)는 체결부재에 의해 교반날개지지바(3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캐스팅금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교반날개지지바(320) 및 교반날개(33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됨에 따라 장치하우징(100) 내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지지바(320) 및 교반날개(330)에 의해 교반 및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내부 챔버(200) 내에 투입된 미생물 및 분해성 물질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이때, 분해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배수공(210)을 통해 외부 챔버(400)로 배출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00)는 모터(510), 유성기어부(520), 및 벨트부(530)를 포함한다.
모터(510)는 교반부(300) 및 내부 챔버(200)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벨트부(530)는 모터(510)의 동력을 유성기어부(5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벨트부(530)는 모터(510)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기동스프로킷(531) 및 회전축(310)의 일단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연동스프로킷(532)을 경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510)가 작동하여 기동스프로킷(531)이 회전되면, 연동스프로킷(532)이 회전될 수 있다. 연동스프로킷(53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310)이 회전되어 교반날개지지바(320) 및 교반날개(330)가 회전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520)는 벨트부(5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교반부(300) 및 내부 챔버(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부(520)는 교반부(300)와 내부 챔버(2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성기어부(520)는, 도 7을 참조하면, 교반부(300)의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 기어(521), 선 기어(521)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 유성기어(522), 제1 유성기어(522) 각각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 유성기어(523), 제2 유성기어(523)에 치합되고, 내주연에 기어가 형성된 링기어(5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챔버(200)는 제1 유성기어(522) 또는 제2 유성기어(523)에 연결되고, 교반부(300)의 회전축(310)은 선 기어(5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선 기어(521)는 모터(5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선 기어(521)에 연결된 회전축(3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성기어(522)는 선 기어(521)에 치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유성기어(523)는 제1 유성기어(522)에 치합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유성기어(522, 523)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유성기어(522) 또는 제2 유성기어(523)에 연결된 내부 챔버(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챔버(200)와 회전축(31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내부 챔버(200)로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이 저장된 드럭탱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럭탱크부(800)는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8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위센서(810)는 드럭탱크부(800) 내부에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의 수위가 일정이하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설치된 조작부(900)에 알람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개폐도어(120) 및 개폐도어(120)를 구동하는 도어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개폐도어(120)는 도어 구동부(130)에 의해 자동으로 열림구동 또는 닫힘 구동될 수 있다.
개폐도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타입일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1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개폐도어(120)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음식물 투입구(110)가 개폐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120)의 양쪽에는 도어 가이드부(140)가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도어(120)는 SUS(Steal Use Stainless)일 수 있으며, 도어 가이드부(140)는 아스탈 수지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워 노즐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워 노즐부(610)는 내부 챔버(200)의 내부로 온수를 공급하여, 내부 챔버(200) 내부에서 미생물 활동 및 소멸처리를 도울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외부 챔버(4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부(700)는 외부 챔버(400)의 외부면에 감겨있는 트레이스 히터(710) 및 트레이스 히터(710)와 외부 챔버(400)의 외부면을 감싸는 보온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 조절부(700)는 외부의 조작부(900)를 통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하우징(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다수의 조작 항목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되는 조작항목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작부(90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조작부(900)는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자동 구동을 위한 항목, 전반적인 구동 상태를 도시하는 항목, 각 기능을 시운전할 수 있는 항목, 구동의 파라미터를 셋팅할 수 있는 항목, 알람 메시지를 볼 수 있는 항목, 각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도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각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택하여 내부 챔버(20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 챔버(20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은 경우, 온도 조절부(700)를 이용하여 내부 챔버(20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챔버(20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높은 경우, 내부 챔버(200) 내의 미생물이 작용을 못할 수 있으므로, 작동을 잠시 중단할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그 상태 정보가 외부 서버에 수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되는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상태 정보로는, 음식물쓰레기 투입량,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량, 물 사용량, 전기 사용량 등과 같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상태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상태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될 수 있고, 원격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사용자가,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를 리스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의해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외부 서버에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고, 전송 또는 저장된 정보에 따라 청구서가 발행되어 사용자에게 청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의해 처리되는 음식물 양은 하루, 일주일 및 한달 단위로 측정될 수 있는바,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는 하루, 일주일 및 한달 단위 중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부(900)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상태 정보가 외부 서버에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0 : 하우징 110 : 음식물 투입구
120 : 개폐도어 130 : 도어 구동부
140 : 도어 가이드부
200 : 내부 챔버 210 : 배수공
220 : 스크래퍼 230 : 베어링
300 : 교반부 310 : 회전축
311, 312 : 베어링
320 : 교반날개 지지바 330 : 교반날개
400 : 외부 챔버
410 : 브러쉬부 420 : 수직형 세척 파이프
430 : 가이드 롤러
500 : 회전 구동부 510 : 모터
520 : 유성기어부 521 : 선 기어
522 : 제1 유성기어 523 : 제2 유성기어
524 : 링기어 530 : 벨트부
610 : 샤워 노즐부 620 : 드레인관
700 : 온도 조절부 710 : 트레이스 히터
720 : 보온재
800 : 드럭탱크부 810 : 수위센서
900 : 조작부

Claims (20)

  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모아지는 내부 챔버;
    상기 내부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내부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챔버;
    상기 교반부 및 내부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외부 챔버에 집수된 침출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관;
    상기 외부 챔버와 내부 챔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챔버의 둘레부 외부면에 온수를 분사하는 수직형 세척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챔버는
    상기 외부 챔버에 집수된 침출수 및 슬러지가 드레인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챔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챔버 및 교반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회전축;
    서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 지지바; 및
    상기 교반날개 지지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일단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 및 그 타단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교반부 및 내부 챔버가 연결되는 유성기어부;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유성기어부로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교반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 기어;
    상기 선 기어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 유성기어;
    상기 제1 유성기어 각각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 유성기어;
    상기 제2 유성기어에 치합되고, 내주연에 기어가 형성된 링기어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성기어 또는 제2 유성기어에 상기 내부 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선 기어에 상기 교반부가 연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는
    둘레부의 하부 및 바닥부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챔버로 온수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워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챔버는
    상기 외부 챔버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 챔버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챔버의 외주면에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외부 챔버의 외부면에 감겨있는 트레이스 히터; 및
    상기 트레이스 히터와 상기 외부 챔버의 외부면을 감싸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를 구동하는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개폐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로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이 저장된 드럭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럭탱크부는
    미생물 또는 분해성 물질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다수의 조작 항목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되는 조작항목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가 외부 서버에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투입구는
    호퍼형상의 투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모아지는 내부 챔버;
    상기 내부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내부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챔버;
    상기 교반부 및 내부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외부 챔버와 내부 챔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챔버의 둘레부 외부면에 온수를 분사하는 수직형 세척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챔버는
    둘레부의 하부 및 바닥부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챔버에 집수된 침출수 및 슬러지가 드레인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챔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챔버 및 교반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60123253A 2016-03-10 2016-09-2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79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67,152 2016-03-10
US15/067,152 US10035734B2 (en) 2016-03-10 2016-03-10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60A KR20170106160A (ko) 2017-09-20
KR101879255B1 true KR101879255B1 (ko) 2018-07-17

Family

ID=5636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253A KR101879255B1 (ko) 2016-03-10 2016-09-2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35734B2 (ko)
EP (1) EP3216778B1 (ko)
JP (1) JP6373326B2 (ko)
KR (1) KR101879255B1 (ko)
CN (1) CN1071752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4A1 (ko) * 2021-12-03 2023-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기성폐기물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699B2 (en) 2015-12-17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US10047018B2 (en) 2016-03-09 2018-08-14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sliding lid with a seal assembly
US10501381B2 (en) 2016-05-19 2019-12-10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with funnel assembly
USD1027351S1 (en) 2016-03-09 2024-05-14 Whirlpool Corporation Food recycler
US10000429B2 (en) 2016-03-09 2018-06-1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mposter device
US9895726B1 (en) 2016-07-27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food waste recycling bin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US10513468B2 (en) 2016-06-03 2019-12-24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with sliding lid
US10590046B2 (en) 2016-05-19 2020-03-17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with door and fascia
US20180029948A1 (en) * 2016-07-27 2018-02-01 Whirlpool Corporation Food waste recycler with mixing assembly
US10400204B2 (en) 2016-10-28 2019-09-03 Whirlpool Corporation Reservoir for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US20190092575A1 (en) * 2017-09-25 2019-03-28 James Chun Koh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with food waste conveying system
CN107723209A (zh) * 2017-11-17 2018-02-23 珠海万博科学服务有限公司 一种谷壳类淀粉完全生物降解环保装置
CN108554270B (zh) * 2018-05-23 2021-02-12 王秋文 一种生活污水预处理装置
CN109046121A (zh) * 2018-08-22 2018-12-21 广州树熊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先进的多色果冻生产设备
CN109046128A (zh) * 2018-08-22 2018-12-21 互动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制药设备
CN109351249A (zh) * 2018-11-12 2019-02-19 大连君方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混合搅拌装置及方法
US11235297B2 (en) 2018-11-13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US10995042B2 (en) 2018-11-13 2021-05-04 Whirlpool Corporation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CN110283702A (zh) * 2019-06-14 2019-09-27 台圣环保设备(马鞍山)有限公司 旋转发酵罐供电装置
CN110559925A (zh) * 2019-09-24 2019-12-13 沧州普赛晶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玻璃瓶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1036122A (zh) * 2019-12-24 2020-04-21 盐城顶益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稳定剂生产用混合装置
WO2021184127A1 (en) * 2020-03-20 2021-09-23 9372-2791 Quebec Inc. Organic wast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N111773977A (zh) * 2020-07-24 2020-10-16 张建华 一种有机硅生产用搅拌装置
CN111890649B (zh) * 2020-08-03 2022-01-04 明德新材料科技(浙江)股份有限公司 一种仿古户外建材加工工艺
CN112009535A (zh) * 2020-08-27 2020-12-01 蚌埠鲲鹏食品饮料有限公司 一种多功能食品加工用框底车结构
JP7450510B2 (ja) 2020-10-06 2024-03-15 キユーピー株式会社 攪拌装置
CN113583815A (zh) * 2021-07-22 2021-11-02 欧阳海珠 一种能够基于工作状态调整进气量的生物发酵箱
CN113560284B (zh) * 2021-07-30 2022-05-1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水产养殖网箱杂物清理装置及其操作方法
CN113351076B (zh) * 2021-08-11 2021-10-12 山东金隆环境工程有限公司 垃圾渗滤液联合催化氧化反应器
CN114225730B (zh) * 2021-12-24 2024-04-26 湖北省吉美化妆品有限公司 乳液类护肤品乳化装置及乳化工艺
CN114345191A (zh) * 2022-02-07 2022-04-15 深圳市合威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控制的厨余垃圾低温固化处理用搅拌器
CN114409442B (zh) * 2022-02-28 2022-11-29 扬州市凯尔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餐厨废弃物垃圾再利用制肥装置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5271A (en) * 1976-09-13 1978-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ydroextracting device
JPS53155781U (ko) * 1978-03-30 1978-12-07
JPH04120005U (ja) * 1991-04-09 1992-10-27 住友建機株式会社 地盤改良機の撹拌混合軸
JPH06238256A (ja) * 1993-02-18 1994-08-30 Sanyo Electric Co Ltd 厨芥処理装置
JPH10137722A (ja) * 1996-11-08 1998-05-26 Toko Giken Kk 生ごみの分解処理方法と装置
JP2003300044A (ja) * 2002-04-08 2003-10-21 Takayuki Shidara 生ゴミ処理機
JP2003326229A (ja) * 2002-05-07 2003-11-18 Mk Seiko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WO2004014576A1 (ja) * 2002-08-08 2004-02-19 Ota Chuzosho Co.,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5205376A (ja) * 2004-01-26 2005-08-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生ごみ処理機
KR20070038082A (ko) * 2007-03-20 2007-04-09 (주)이웃사랑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JP2008253970A (ja) * 2007-04-04 2008-10-23 Nano Bio Development Corp 生ゴミ処理機
KR100975116B1 (ko) * 2007-12-07 2010-08-11 이영조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공급장치
KR101240760B1 (ko) * 2006-02-28 2013-03-07 주식회사 동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24036A (ko) * 2013-08-26 2015-03-06 아인텍(주)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7511A6 (ko) * 1969-08-25 1971-05-21 Lamort Pierre
US4105412A (en) * 1977-08-04 1978-08-08 Petzinger Manfred W A Portable compost container
DE19602489A1 (de) * 1996-01-25 1997-07-31 Christian Widmer Verfahren zur biologischen Behandlung von organischen Materiali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11309333A (ja) * 1998-04-30 1999-11-09 Toyo Dynam Kk 給排水式微生物脱臭装置
KR100734349B1 (ko) * 2000-11-17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배플을 갖는 드럼세탁기
CA2435017C (en) * 2002-07-17 2007-04-17 9087-7374 Quebec Inc. Continuous composter
US7288187B1 (en) * 2004-10-28 2007-10-30 Bovaird & Co. Organic waste management system
EP1879963B1 (en) 2005-05-12 2018-01-03 JTEKT Corporatio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KR100808132B1 (ko) * 2007-03-02 2008-02-29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0832785B1 (ko) 2007-04-20 2008-05-27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AP2011005684A0 (en) * 2007-10-02 2011-04-30 Clearford Ind Inc Biogas capture and/or collection system.
KR101196312B1 (ko) * 2011-10-24 2012-11-09 고천일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FR3003560B1 (fr) * 2013-03-19 2015-03-13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Sciences Et Tech Pour Lenvironnement Et Lagriculture Irstea Dispositif et procede de brassage de matiere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5271A (en) * 1976-09-13 1978-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ydroextracting device
JPS53155781U (ko) * 1978-03-30 1978-12-07
JPH04120005U (ja) * 1991-04-09 1992-10-27 住友建機株式会社 地盤改良機の撹拌混合軸
JPH06238256A (ja) * 1993-02-18 1994-08-30 Sanyo Electric Co Ltd 厨芥処理装置
JPH10137722A (ja) * 1996-11-08 1998-05-26 Toko Giken Kk 生ごみの分解処理方法と装置
JP2003300044A (ja) * 2002-04-08 2003-10-21 Takayuki Shidara 生ゴミ処理機
JP2003326229A (ja) * 2002-05-07 2003-11-18 Mk Seiko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WO2004014576A1 (ja) * 2002-08-08 2004-02-19 Ota Chuzosho Co.,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5205376A (ja) * 2004-01-26 2005-08-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生ごみ処理機
KR101240760B1 (ko) * 2006-02-28 2013-03-07 주식회사 동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38082A (ko) * 2007-03-20 2007-04-09 (주)이웃사랑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JP2008253970A (ja) * 2007-04-04 2008-10-23 Nano Bio Development Corp 生ゴミ処理機
KR100975116B1 (ko) * 2007-12-07 2010-08-11 이영조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공급장치
KR20150024036A (ko) * 2013-08-26 2015-03-06 아인텍(주)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4A1 (ko) * 2021-12-03 2023-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기성폐기물분쇄장치
KR20230083571A (ko) * 2021-12-03 2023-06-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기성폐기물분쇄장치
KR102578066B1 (ko) * 2021-12-03 2023-09-13 대한민국 유기성폐기물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6778B1 (en) 2022-04-06
CN107175250B (zh) 2021-05-14
KR20170106160A (ko) 2017-09-20
JP2017159289A (ja) 2017-09-14
CN107175250A (zh) 2017-09-19
US20170260108A1 (en) 2017-09-14
US10035734B2 (en) 2018-07-31
EP3216778A1 (en) 2017-09-13
JP6373326B2 (ja)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5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08132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US11702375B2 (en)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US8789779B2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US11801484B2 (en)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KR1012761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EP3275854B1 (en) Food waste composting recycler with mixing assembly
KR101069173B1 (ko) 정제코팅기의 오염 방지 장치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87B1 (ko)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8B1 (ko) 전기히터봉을 이용한 온도 유지 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4477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13146725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619454B1 (ko) 투입구가 전방 상단에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KR101703156B1 (ko) 미생물액 투입구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3154339A (ja) 生ごみ処理装置
CN216261216U (zh) 一种城市有机废弃物回收用破碎收集装置
CN210905743U (zh) 一种建筑施工物料搅拌装置
KR1013700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16B1 (ko) 히팅부를 가지는 수통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04B1 (ko) 캡슐형 미생물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00260A (ko)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230067449A (ko) 음식물 처리기
KR1017032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이력 기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