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312B1 -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312B1
KR101196312B1 KR20110108507A KR20110108507A KR101196312B1 KR 101196312 B1 KR101196312 B1 KR 101196312B1 KR 20110108507 A KR20110108507 A KR 20110108507A KR 20110108507 A KR20110108507 A KR 20110108507A KR 101196312 B1 KR101196312 B1 KR 10119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load
washing chamber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천일
Original Assignee
고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천일 filed Critical 고천일
Priority to KR2011010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312B1/ko
Priority to US13/304,516 priority patent/US87897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부에 내장되는 교반부(20)를 보호하는 하우징(10)은, 받침틀(14)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에 전면판(11) 및 배면판(12) 및 한 쌍의 측면판(13)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상측에는 전방경사상판(15-1)과 후방수평상판(15-2)으로 형성되는 상판(15)을 설치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받침틀(14)의 밑면 모서리에는 하우징고정부(17)와, 상기 하우징고정부(17)의 일측에 형성된 케스터(18)을 각각 장착하여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장치 하부 프레임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다리 사이에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각각 장착하여 장치가 허용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보다 더 많이 투입되었을 경우 콘트롤러에서 이에 대한 경고를 터치 스크린에 나타내거나 장치 외부에 연결된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켜 장치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두 개의 독립된 축이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스크류의 이송에 의해 이동되고 교반하되 회전축의 끝단에 교반 날개가 형성되어 두개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이 교반통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동, 교반하는 효과를 가져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FOOD & DRINK WASTE FOR DE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축에는 나선 모양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교반암이 형성되어 있어 교반통에 삽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폐기물은 동/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하여 단백질과 탄수화물 및 칼슘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분해하여 소멸시키지 않고 매립하게 되면 유기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추출물이 지중으로 유입되어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의 소멸처리장치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소멸시키는 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12627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12628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6-4300호ㆍ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5-7395호ㆍ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5-24804호 등의 음식물쓰레기나 유기물을 비료 또는 사료화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이나 장치는 유기폐기물을 감량시키는데 다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능률이 떨어지고, 처리능력이 떨어져 완전히 처리하지 못하고 배출시키게 되어 유해가스로 인해 악취가 극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270982호의 "유기폐기물분해장치"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19663호 "음식물쓰레기 소멸화기기" 및 특허등록 제10-535699호의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조 구조"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270982호의 "유기폐기물분해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쉘케이스의 내부 중앙수평선상에는 다수의 암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을 장착하여 기어드모터와 기동스프로킷 및 연동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한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쉘케이스의 내부 상측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으며, 온수탱크를 설치하여 온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쉘케이스의 내부에 분사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며, 쉘케이스에는 프리히터가 구비된 온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쉘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19663호 "음식물쓰레기 소멸화기기"는, 처리조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밀을 통과하면서 분쇄되어 낙하하고, 분쇄되어 낙하된 음식물쓰레기는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되면서 소멸화되어 배출시키며, 처리조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분사시스템에 의해 용수를 분사시켜 내부를 청소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535699호의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조 구조"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는 교반날개가 내부에 구비되고 밑면의 배수공에 망체가 고정된 상부바닥을 설치하고, 상부바닥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밑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바닥을 일체로 고정시켜, 외부케이스의 투입구를 통해 상부바닥의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되고,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는 망체를 통해 하부바닥으로 배출된 후에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들은 아날로그방식에 의한 수동스위치장치들에 의해 작동시키므로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 또는 수동 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에는 온수를 분사 공급시킬 수 없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소멸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없어 악취가 격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취출수가 집수되는 하측바닥을 세정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악취가 극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쉘케이스(교반통)에는 취출수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쉘케이스(교반통)의 상측으로 넘치는 취출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없어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8132호 "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발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는 교반통의 양 측면부의 베어링에 의해 체결된 회전축 어셈블리의 교반날개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교반 날개가 다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모두를 교반하는 역할로는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여 교반되지 못한 음식물이 한쪽에 몰려 있게 되는 데드존이 발생하고, 상기 데드존에 계속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쌓이게 되므로 전반적인 장치의 성능 저하를 가져오므로 교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체인에 의해 가동되는 회전축 어셈블리는 장기간 운전 시 지속적인 윤활제의 공급을 필요로 하며, 잦은 고장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개선된 구동체 연결방법이 요구되었다.
또한, 기계를 직접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비용 절감에 효과적임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에 따라 제시된 허용 용량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경향이 있아 회전체에 허용된 하중보다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정상적인 음식물 분해 효과가 일어나기 어렵고, 결국 기계의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되며,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안전한 사용법을 주지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또한, 분해된 음식물이 교반통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워싱챔버로 이동되어 진 후, 워싱챔버에 장착된 워싱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되어 드레인으로 빠져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점성이 높은 음식물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구멍에 잔존하여 구멍을 막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워싱챔버에서 이루어지는 세척은 워싱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을 이용한 세척할 뿐만 아니라, 직접 기계적으로 구멍에 있는 음식물 분해 물질을 세척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81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가 허용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보다 더 많이 투입하여 회전축에 과부하를 주고 결국 장치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장치 하부 프레임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다리 사이에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각각 장착하고 로드셀에서 나온 전기적 신호를 장치의 PLC콘트롤러에 입력하며, 콘트롤러에 세팅되어 있는 허용 하중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허용 용량보다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였을 경우, 콘트롤러에서 이에 대한 경고를 터치 스크린에 나타내거나 장치 외부에 연결된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교반을 위하여 나선 모양의 스크류가 회전축에 지지대로 연결되어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독립된 축이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스크류의 이송에 의해 이동되고 교반되며, 회전축의 끝단에는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회전축으로 넘겨 줄 수 있도록 교반 날개가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고 두개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이 교반통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동, 교반하는 효과를 가져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해된 음식물이 교반통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워싱챔버로 이동되어 워싱챔버에 장착된 워싱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되어 드레인으로 빠져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점성이 높은 음식물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구멍에 잔존하여 구멍을 막아버리는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워싱챔버 내에 직선운동을 하는 이송장치를 설치하며, 이송장치에는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브러쉬를 장착하여, 이송장치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 브러쉬가 구멍에 잔존하는 분해된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 설치된 워싱노즐을 통한 물에 의한 세척과 브러쉬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져 분해된 음식물을 확실하게 배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의 궤적이 상하로 되어 있어, 개폐 도어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개폐도어의 자체 하중으로 인한 닫힘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폐도어를 미닫이 문의 형태로 장착하여, 열고 닫힘을 좌우 방향으로 바꾸어 주고, 개폐도어의 재질을 투명 플라스틱으로 함으로써 장치의 운전 중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운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도어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간단히 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장되는 교반부(20)를 보호하는 하우징(10)은, 받침틀(14)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에 전면판(11) 및 배면판(12) 및 한 쌍의 측면판(13)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상측에는 전방경사상판(15-1)과 후방수평상판(15-2)으로 형성되는 상판(15)을 설치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받침틀(14)의 밑면 모서리에는 하우징고정부(17)와, 상기 하우징고정부(17)의 일측에 형성된 케스터(18)을 각각 장착하여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고정부(17)는 상기 받침틀(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일측에 로드셀(17-1)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틀(14)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하우징고정부(17) 사이에 하중을 측정함으로서 사용자가 허용된 하중보다 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했을 때, 로드셀(17-1)이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터치패널(40)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를 나타내는 램프의 점멸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15-3)의 상측에 장착되는 도어(19)는 미닫이 문의 형태로 장착하여, 열고 닫힘을 상하에서 좌우 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개폐 도어의 오작동 및 자체 하중으로 인한 닫힘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두 개의 회전축(2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1)에는 스크류 형상의 리본(22)이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20)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분쇄시켜 상기 워싱챔버(3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1)의 일측에는 교반암(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본(22)에 의해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가 리본(22)에 의해 이동되면 장착된 교반 암(24)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다른 회전죽의 리본(22)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연속적인 내용물의 이동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부(20)의 일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싱챔버(30)는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26)을 통해 유입되는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통공(26)을 세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31)와, 상기 브러쉬(31)를 수평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장치(32)와, 상기 워싱챔버(30)의 내측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워싱 노즐 파이프(33)와, 상기 워시챔버(30)의 저면에 위치하여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는 장치 하부 프레임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다리 사이에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각각 장착하여 장치가 허용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보다 더 많이 투입되었을 경우 콘트롤러에서 이에 대한 경고를 터치 스크린에 나타내거나 장치 외부에 연결된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켜 장치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두 개의 독립된 축이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스크류의 이송에 의해 이동되고 교반하되 회전축의 끝단에 교반 날개가 형성되어 두개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이 교반통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동, 교반하는 효과를 가져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워싱챔버 내에 직선운동을 하는 이송장치를 설치하며, 이송장치에는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브러쉬를 장착하여, 이송장치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 브러쉬가 구멍에 잔존하는 분해된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성이 높은 음식물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구멍에 잔존하여 구멍을 막아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폐도어를 미닫이 문의 형태로 장착하여, 열고 닫힘을 좌우 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개폐 도어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개폐도어의 자체 하중으로 인한 닫힘이 일어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도어의 재질을 투명 플라스틱으로 함으로써 장치의 운전 중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운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하우징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투입구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부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워싱챔버에 대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에 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하우징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투입구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교반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의 워싱챔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소멸처리장치(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내부에 내장되는 교반부(20)를 보호하는 하우징(10)은, 받침틀(14)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에 전면판(11) 및 배면판(12) 및 한 쌍의 측면판(13)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상측에는 전방경사상판(15-1)과 후방수평상판(15-2)으로 형성되는 상판(15)을 설치하여 형성하였다.
전면판(11)과 양측의 측면판(13)에는 복수 개씩의 손잡이(16)를 각각 형성하여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받침틀(14)의 밑면 모서리에는 하우징고정부(17)와, 상기 하우징고정부(17)의 일측에 형성된 케스터(18)을 각각 장착하여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우징고정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틀(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일측에 로드셀(17-1)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틀(14)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하우징고정부(17) 사이에 하중을 측정함으로서 사용자가 허용된 하중보다 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했을 때, 로드셀(17-1)이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터치패널(40)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를 나타내는 램프의 점멸 등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에 의하여 또는 임의로 장치가 허용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이 투입되여, 회전축에 과부하가 걸려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보호는 물론, 사용자가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상판(15)을 형성하는 전방경사상판(15-1)의 중앙에는 투입구(15-3)를 형성하고, 그 투입구(15-3)의 상측에 도어(19)를 장착하였고, 도어(19)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소멸처리장치(1)의 작동을 터치하여 컨트롤하는 콘트롤터치패널(40)을 설치하였다.
상기 콘트롤터치패널(40)은 음식물쓰레기소멸처리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기본 메뉴(MENE)를 영상으로 표시하였고, 영상으로 표시된 메뉴를 터치방식으로 조작하여 작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콘트롤터치패널(40)에 영상으로 표시되는 메뉴(MENE)는 자동 작동(Auto Working) 또는 수동작동(Manual Working) 모드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각각에 따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 작동(Auto Working) 모드는 이미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이 작동으로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수동 작동(Manual Working) 모드는 각 기능의 ON/OFF스위치가 표시되도록 하였으며, 각 기능의 작동스위치를 조작(ON/OFF)함으로써 각 기능을 가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콘트롤터치패널(4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 기능의 작동 상태(여부)가 자동작동(Auto Working) 모드 또는 수동작동(ManualWorking) 모드에 의해 선택된 것과는 무관하게 화상으로 표시되도록 토탈모니터링(Total Monitoring) 모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타임세팅(Time Setting)모드와 알람메시지(Alarm Message)모드 및 기능셋팅(Fuction Setting)모드를 선택하여 각 기능 즉, 음식물쓰레기소멸처리장치(1)의 전체운용(total operating), 교반기운용(agitater operating), 세척수공급(shell water supply), 세척작업(washing working)의 작동시간과 작동이 개시되거나 완료한 후에 알려주는 알람기능 및 각 기능의 작동상태의 표시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기능의 작동상태는 당해 표시등이 점등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투입구(15-3)의 상측에 장착되는 도어(1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문의 형태로 장착하여, 열고 닫힘을 상하에서 좌우 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개폐 도어의 오작동 및 자체 하중으로 인한 닫힘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어(19)의 가운데 부분을 투명 플라스틱으로 함으로써 장치의 운전 중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치의 동작중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운전 중 내부를 직접 봄으로써,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교반부(20)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설치하되 교반부(20)의 상부가 투입구(15-3)와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에는 상기 교반부(20)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워싱챔버(30)가 형성된다.
상기 교반부(2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두 개의 회전축(2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1)에는 스크류 형상의 리본(22)이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20)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분쇄시켜 상기 워싱챔버(3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21)에는 다수개의 지지대(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본(22)을 회전축(2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23)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리본(22)의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3)를 회전축(21)으로부터 분리하여 리본(22)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1)의 일측에는 교반암(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본(22)에 의해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가 리본(22)에 의해 이동되면 장착된 교반 암(24)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다른 회전죽의 리본(22)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연속적인 내용물의 이동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부(20)의 일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이 많을수록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의 분해 속도는 더 빨라 지며 이를 통한 장치의 성능개선 효과가 이루어지므로 음식물의 지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회전축(21)과 다른 회전축(21)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21)에 연결된 가이드 모터(25)에 감속기를 내장하여 직결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축(21)과 가이드모터(25)의 직결연결은 체인연결하는 종래의 연결방법에 있어 체인이 끊어지거나, 정기적으로 윤활제를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21)의 리본(22)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되어 하부의 워싱챔버(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교반된 음식물쓰레기가 내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여 배축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워싱챔버(30)는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26)을 통해 유입되는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통공(26)을 세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31)와, 상기 브러쉬(31)를 수평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장치(32)와, 상기 워싱챔버(30)의 내측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워싱 노즐 파이프(33)와, 상기 워시챔버(30)의 저면에 위치하여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34)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부(20)에서 분해된 음식물이 상기 통공(26)을 통하여 워싱챔버(30)로 이동되면 점성이 높은 음식물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통공(26)에 잔존하여 상기 통공(26)을 막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워싱챔버 내부에 수평이송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장치(32)를 장착하고, 이의 수직방향으로 브러쉬(31)를 설치함으로써, 장치가 수평이송하는 중에 브러쉬(31)가 상기 통공(26)을 훑고 지나가면서 상기 통공(26)에 남아있는 잔존물을 세척하도록 한다. 또한, 워싱챔버(30)내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워싱 노즐 파이프(33)는 브러쉬(31)가 이송하는 동안 물을 분사시켜 줌으로써 물에 의한 세척 및 브러쉬(31)에 의한 기계적인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상기 통공(26)의 막힘으로 인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좀 더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분해물질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하우징 20 : 교반부
30 : 워싱챔버 40 : 콘트롤터치패널

Claims (6)

  1. 내부에 내장되는 교반부(20)를 보호하는 하우징(10)은, 받침틀(14)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에 전면판(11) 및 배면판(12) 및 한 쌍의 측면판(13)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상측에는 전방경사상판(15-1)과 후방수평상판(15-2) 및 투입구(15-3)로 형성되는 상판(15)을 설치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받침틀(14)의 밑면 모서리에는 하우징고정부(17)와, 상기 하우징고정부(17)의 일측에 형성된 케스터(18)을 각각 장착하여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
    상기 교반부(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두 개의 회전축(2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1)에는 스크류 형상의 리본(22)이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20)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분쇄시켜 워싱챔버(3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21)의 일측에는 교반암(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본(22)에 의해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가 리본(22)에 의해 이동되면 장착된 교반 암(24)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다른 회전축의 리본(22)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연속적인 내용물의 이동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부(20)의 일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워싱챔버(30)는 상기 교반부(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통공(26)을 통해 유입되는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통공(26)을 세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31)와, 상기 브러쉬(31)를 수평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장치(32)와, 상기 워싱챔버(30)의 내측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워싱 노즐 파이프(33)와, 상기 워싱챔버(30)의 저면에 위치하여 교반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고정부(17)는 상기 받침틀(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일측에 로드셀(17-1)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틀(14)과 이에 연결된 네 개의 하우징고정부(17) 사이에 하중을 측정함으로서 사용자가 허용된 하중보다 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했을 때, 로드셀(17-1)이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터치패널(40)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를 나타내는 램프의 점멸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5-3)의 상측에 장착되는 도어(19)는 미닫이 문의 형태로 장착하여, 열고 닫힘을 상하에서 좌우 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개폐 도어의 오작동 및 자체 하중으로 인한 닫힘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10108507A 2011-10-24 2011-10-24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119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8507A KR101196312B1 (ko) 2011-10-24 2011-10-24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US13/304,516 US8789779B2 (en) 2011-10-24 2011-11-25 Food waste dispos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8507A KR101196312B1 (ko) 2011-10-24 2011-10-24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312B1 true KR101196312B1 (ko) 2012-11-09

Family

ID=4756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8507A KR101196312B1 (ko) 2011-10-24 2011-10-24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89779B2 (ko)
KR (1) KR101196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454B1 (ko) * 2015-12-24 2016-05-12 최진오 투입구가 전방 상단에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72156B1 (ko) * 2017-04-26 2018-06-28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13171815A (zh) * 2021-05-11 2021-07-27 陈文婷 一种高效低耗智能化碾米装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5108A1 (en) * 2012-09-28 2014-04-03 Iain Milnes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 food reduced by a waste food machine
ITBO20130453A1 (it) * 2013-08-07 2015-02-08 Ambientalia S R L Impianto e metodo di trattamento di rifiuti organici.
US10035734B2 (en) * 2016-03-10 2018-07-31 James Chun Koh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N109289276B (zh) * 2018-12-06 2020-12-08 江西书源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的农村沟渠污水净化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9379A (en) * 1948-06-24 1950-05-30 Gustav A Vasel Apparatus for grinding, mixing, and kneading materials
US2571300A (en) * 1949-03-07 1951-10-16 Simpson Martha Offenhauser Mixing and cutting machine
US3865319A (en) * 1972-04-25 1975-02-11 Rainville Company Inc Multiple helical blade rotary grinder for light density material
GB2124194B (en) * 1981-03-13 1985-06-26 Ecomax Insulation dispensing apparatus
US4852817A (en) * 1988-05-20 1989-08-01 Tipton Walter E Machine for breaking up food containers and for recovering food product therefrom
KR100219909B1 (ko) 1997-01-06 1999-10-01 신일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IT1307541B1 (it) * 1999-12-31 2001-11-06 Giuseppe Loppoli Trituratore-miscelatore per residui legnosi
DE10241315A1 (de) * 2002-09-04 2004-03-18 D & S Kompostiertechnik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biogenen Abfällen
KR100808132B1 (ko) 2007-03-02 2008-02-29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0832785B1 (ko) 2007-04-20 2008-05-27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KR20090030394A (ko) 2007-09-20 2009-03-25 한창희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06032A (ko) 2008-04-04 2009-10-08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음식물 쓰레기 저장 호퍼
KR20110004592A (ko) 2009-07-08 2011-01-14 백승엽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 세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619454B1 (ko) * 2015-12-24 2016-05-12 최진오 투입구가 전방 상단에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KR101872156B1 (ko) * 2017-04-26 2018-06-28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13171815A (zh) * 2021-05-11 2021-07-27 陈文婷 一种高效低耗智能化碾米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9034A1 (en) 2013-04-25
US8789779B2 (en) 201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12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0808132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083278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CN111167840B (zh) 一种用于蟑螂养殖的餐厨垃圾处理设备
AU2017203130A1 (en) Apparatus for treating medical waste
KR100831380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110847309A (zh) 一种垃圾预处理的厨房垃圾处理器
CN209916796U (zh) 一种兽医用注射废品处理装置
CN108724539B (zh) 一种医疗用塑料垃圾快速处理装置
CN203987820U (zh) 无水马桶
CN205797404U (zh) 用于染疫食品处理机的粉碎桶
CN206082723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10005152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CN104557157A (zh) 一种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388560B1 (ko)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786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0306B1 (ko)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07591B1 (ko) 칼날, 칼집 및 레일이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CN214021126U (zh) 一种避免土壤污染的可降解废弃物预处理装置
KR101724570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0305B1 (ko)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CN212550983U (zh) 斜卧内螺旋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KR102304759B1 (ko) 주방 씽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