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570B1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4570B1 KR101724570B1 KR1020160121845A KR20160121845A KR101724570B1 KR 101724570 B1 KR101724570 B1 KR 101724570B1 KR 1020160121845 A KR1020160121845 A KR 1020160121845A KR 20160121845 A KR20160121845 A KR 20160121845A KR 101724570 B1 KR101724570 B1 KR 101724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food
- tank
- microorganisms
- stirring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6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01F7/002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09B3/008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미생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 및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제2 음식물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투입구와,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일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배출공을 구비하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이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되는 교반조; 및 교반조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에 상호 나란하게 복수 개 결합되어 제1 회전축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가압하여 채칼방식으로 복수의 제1 배출공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게 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각하는 경우에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이옥신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배출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에도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하므로 악취가 발생하며 토양 또는 수질오염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아 수거나 가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시간 보관해야 하므로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되어 주변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으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한 퇴비는 농작물에 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로 농민들에게 기피되고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별도로 수거하여 매립 또는 소각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연구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배출함으로써, 악취 등을 발생을 억제하면서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미생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 및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제2 음식물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투입구와,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일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배출공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이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되는 교반조; 및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에 상호 나란하게 복수 개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가압하여 채칼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게 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웨이브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교반날개의 타단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교반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교반날개는 하나의 단위 교반날개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상기 단위 교반날개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조는 내주면에 상기 교반날개의 개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개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와의 상호 작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으깨도록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교반조의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와 상기 슬롯은 "王"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상기 교반조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은 상기 음식물 투입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조는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조 내의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제2 배출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내부에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복수의 제2 배출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막힘 방지부는 바퀴 형상을 가지며, 바퀴 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공의 직경이 상기 제1 배출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공과 상기 제2 배출공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배출공과 상기 제2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상기 제2 음식물 처리유닛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하부에 상기 교반조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에서 유입된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미세분쇄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를 구비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도록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채워진 제1 미생물 분해조; 및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 배출구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미세분쇄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를 구비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도록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채워진 제2 미생물 분해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상기 복수의 제1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도록 상호 이격된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반형 스크류는 링 형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에 맞물리는 톱니; 및 링 형상의 외주면의 내측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바닥면에 마련되어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는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2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구의 높이가 상기 제2 배출구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물과 함께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로 이동된 후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내부를 가열하는 제1 히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는 내부를 가열하는 제2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미생물이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의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은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침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2 음식물 처리유닛으로 배출하고, 제2 음식물 처리유닛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배출함으로써, 악취 등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정, 음식점 등의 주방 싱크대에 간편하게 직접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분리수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와 슬롯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힘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와 슬롯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힘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와 슬롯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힘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미생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 연통되며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가정, 음식점 등의 주방 싱크대에 간편하게 직접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분리수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1차로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교반하여 슬러지화하며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에 배출한다.
그리고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더욱 미세분쇄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배출됨으로써, 악취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하수도 막힘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내부 상부영역에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이 마련되고, 하부영역에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이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교반하여 슬러지화하며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혼합한 후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교반조(210)와, 교반조(210)에 마련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270)과, 교반조(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날개(230)를 포함한다.
교반조(2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투입구(211)와, 일영역(구체적으로 하부영역)에 형성되어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을 포함한다.
교반조(210)는 드럼형상을 가지며 수평되게 누운상태로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분쇄 및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혼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조(210)의 상부영역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투입구(211)가 마련되고, 하부영역에는 교반조(210)의 내부에서 분쇄되어 교반되어 슬러지화되며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다.
한편,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교반조(210)의 하부영역은 후술할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채워진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조(210) 내에서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되어 교반 및 분쇄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는 동안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이 혼합된다.
또한 교반조(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의 하부영역에는 교반조(210) 내의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제2 배출공(215)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배출공(213)의 직경은 5mm이고 제2 배출공(215)의 직경은 7mm로써, 수분을 다량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물이 교반조(210)에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2 배출공(215)의 직경이 제1 배출공(2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270)은 교반조(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음식물 투입구(211)에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한다.
절단칼(270)은 교반조(210)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A1)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A1)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한다.
절단칼(270)은 음식물 투입구(211)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중 특히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미리 절단하여 후술할 교반날개(230)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교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절단칼(270)은 음식물 투입구(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음식물 투입구(211)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먼저 절단한다. 본 실시예는 절단칼(27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를 줄인 후 후술할 교반날개(230)로 하여금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분쇄하고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의 교반날개(230)는 제1 회전축(A1)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A1)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면서 교반조(21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교반날개(230) 각각은 제1 회전축(A1)에 결합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C"자형의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교반날개(230)의 타단부에는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교반조(210)의 하부영역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231)가 형성된다. 이는 교반날개(230)의 타단부가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교반조(210)의 하부영역 내주면에 밀착되게 회전되면, 교반날개(230)의 타단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교반조(210)의 하부영역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며 채칼방식에 의해 복수의 제1 배출공(213)에 의해 분쇄된 후 배출된다. 즉 절단칼(270)에 의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날개(230)에 의해 교반조(210)에서 교반되고 복수의 제1 배출공(213)에서 채칼방식으로 더욱 분쇄된 후 후술할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날개(230)는 폭이 4cm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복수의 제1 배출공(213)에 의해 채칼방식으로 분쇄되게 한다.
그리고, 복수의 교반날개(230)는 인접하는 2개의 교반날개(230)가 하나의 단위 교반날개(230a)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단위 교반날개(230a)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절단칼(270)과 복수의 교반날개(230)의 회전은 교반조(210)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A1)의 일단에 연결된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음식물 투입구(211)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구동모터(M1)를 설정시간 예를들어 1시간 동작시켜 제1 회전축(A1)을 회전시킴으로써 절단칼(270) 및 복수의 교반날개(230)로 하여금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교반조(210)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도록 교반조(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교반조(21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물 분사부는 6시간 단위로 교반조(21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여 교반조(2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교반조(210)의 내부에서 분쇄되고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를 으깨어 슬러지화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조(210)의 내주면에는 교반날개(230)와 상호 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으깨는 복수의 돌기(217)가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217)는 교반조(210)의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일영역, 구체적으로 하부영역의 외측에 마련되고 교반조(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복수의 돌기(217)에 대응하여 교반날개(230)의 타단부에는 돌기(21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돌기(217)가 관통하는 동안 돌기(217)와의 상호 작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으깨는 슬롯(23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돌기(217)와 슬롯(233)의 형상은 "王"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교반날개(230)가 회전하는 동안 교반조(210)에 설치된 "王"자 형상의 돌기(217)가 교반날개에 형성된 "王"자 형상의 슬롯(233)을 통과하면서 슬롯(233)과 돌기(217)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으깨지며 슬러지화된다. 그리고 슬러지화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날개(23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을 통해 분쇄되어 배출되고 다시 슬롯(233)과 돌기(217)에 의해 으깨지는 동작을 반복적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며 교반조(210) 내에서 분쇄되는 동안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교반조에 채워진 물과 함께 교반조(210)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배출공(215)이 교반조(210)의 길이방향 양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되고 제2 배출공(215)의 직경이 제1 배출공(2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교반조(210)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배출공(213)이 아닌 제2 배출공(215)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배출공(215)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제2 배출공(2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은 교반조(210)의 내부에 교반조(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교반조(210) 내에서 복수의 제2 배출공(215) 방향으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가 복수의 제2 배출공(215)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힘 방지부(250)를 더 포함한다.
물막힘 방지부(250)는 제1 회전축(A1)이 중심부에 결합되며 바퀴 살(251)에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칼날이 형성된 바퀴 형상을 가진다.
물막힘 방지부(250)는 제1 회전축(A1)에 결합되어 교반날개(2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배출공(21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2 배출공(215)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퀴 살(251)이 회전하면서 절단하여 제2 배출공(2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 의해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을 통해 배출되고, 교반조(210) 내의 물은 복수의 제2 배출공(215)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 의해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400)은 교반조(2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교반조(210)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으로 안내되며, 가이드유닛(400)은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과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을 연통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은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은 가이드유닛(400)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와,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제1 미생물 분해조(31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제2 미생물 분해조(330)를 포함한다.
제1 미생물 분해조(310)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미생물 분해조(310)는 가이드유닛(400)에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미세분쇄하고 교반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311)를 포함한다.
제1 음식물 처리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중 당근, 무, 대파, 케일, 김치 등이 교반날개(230)와 복수의 제1 배출공(213)에 의해 채칼방식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는 경우에 실처럼 길게 잘라진 상태로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섬유질이 많아 미생물에 의한 발효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1 미생물 분해조(310)의 상부영역에는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스크류(311)를 맞물린 상태로 배치하여,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스크류(311)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고, 3개의 제1 스크류(311) 중 가운데 위치한 제1 스크류(311)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 및 후술할 제2 미생물 분해조(33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2 회전축(A2)에 결합된다.
한편, 제2 회전축(A2)의 일단에는 제2 구동모터(M2)가 연결되며,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제1 스크류(311)는 맞물린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며, 또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교반한다. 또한 전술한 제어유닛에 의해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은 제2 구동모터(M2)를 1시간 동작시켜 제2 회전축(A2)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제1 스크류(311)로 하여금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 및 교반한다.
그리고 제1 미생물 분해조(310)는 복수의 제1 스크류(311)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는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315)는 복수의 제1 스크류(311)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2 회전축(A2)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3 회전축(A3)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315)는 제3 회전축(A3)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제1 미생물 분해조(310) 내의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315) 각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315) 각각은 링 형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스크류(311)에 맞물리는 톱니(316)와, 내측에 마련되되 제3 회전축(A3)에 결합되는 중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링 형상의 외주면의 내측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317)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미생물이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공급유닛(50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미생물 공급유닛(500)은 물 유입구(511)와 물 배출구(513)를 구비한 케이스(510)와, 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된 미생물이 함유된 볼(5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미생물 공급유닛(500)은 물 유입구(511)에 유입된 물이 물 배출구(513)로 흘러가면서 물이 미생물이 함유된 볼(530)에 접촉되면, 미생물이 물에 혼합되어 물 배출구(513)로 배출된다. 그리고 미생물이 혼합된 물은 제1 미생물 분해조(310)로 공급된다.
미생물 공급유닛(500)에서 공급된 미생물이 혼합된 물은 제1 미생물 분해조(310)를 채우며 교반조(210)의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하부영역은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미생물 공급유닛(500)은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예를들어 6시간동안 1.5리터(ℓ) 공급하여 제1 미생물 분해조(31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따라 자연스럽게 미생물이 혼합되고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미생물 분해조(330)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제1 미생물 분해조(310)는 바닥면에 마련되어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공급부(319)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의 바닥면 일측에 미생물이 함유된 볼(319a)이 수납되고 물이 출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미생물 분해조(310)로 공급되는 물이 미생물이 함유된 볼(319a)에 접촉되어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지속적으로 미생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제2 미생물 분해조(330)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서 미생물이 혼합되고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재차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미생물 분해조(330)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재차 미세분쇄하고 교반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331)를 포함한다.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공급되어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물이 채워진 경우에, 제1 미생물 분해조(310)의 제1 배출구(313)를 통해 물과 함께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미생물 분해조(33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 미생물 분해조(330)에서 분해된 음식물은 제2 미생물 분해조(33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2 배출구(333)를 통해 하수도 등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1 미생물 분해조(310)와 제2 미생물 분해조(330)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각각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 히팅부(미도시)와 제2 히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팅부와 제2 히팅부에 의해 제1 미생물 분해조(310)와 제2 미생물 분해조(330)의 내부온도는 30℃이상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히팅부와 제2 히팅부는 제1 미생물 분해조(310)와 제2 미생물 분해조(330)에 매설된 열선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팅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미생물 분해조(310)와 제2 미생물 분해조(330)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가정, 음식점 등의 주방 싱크대에 직접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는 싱크대에서 교반조(210)의 상부에 마련된 음식물 투입구(211)를 통해 교반조(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음식물 투입구(211)에는 별도의 덮개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덮개부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투입구(211)가 개폐된다.
음식물 투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투입구(211)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유닛은 음식물 투입구(2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제1 구동모터(M1)와 제2 구동모터(M2)를 설정시간 동안 회전시킨다.
이때 음식물 투입구(211)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 특히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제1 회전축(A1)에 결합된 절단칼(270)에 의해 일차로 절단된다.
또한 교반조(210)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제1 회전축(A1)에 결합된 복수의 교반날개(230)의 타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복수의 제1 배출공(213)에 의해 채칼방식으로 분쇄된 후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을 통해 가이드유닛(400)으로 배출된다. 이때 교반조(210)의 복수의 제1 배출공(213)이 형성된 하부영역은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되므로 분쇄되고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에는 미생물도 함께 혼합된다.
또한 교반조(210)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복수의 교반날개(230)의 타단부에 형성된 "王" 자 형상의 슬롯(233)과 복수의 교반날개(230)의 슬롯(2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교반조(2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돌기(217)와 상호 작용에 의해 으깨져 슬러지화된다. 이와 동시에 교반조(210)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복수의 교반날개(230)의 회전에 의해 교반조(210) 내에서 교반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은 교반조(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배출공(215)을 통해 가이드유닛(400)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2 배출공(215)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배출공(215)을 막아 물 배출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제2 배출공(215)이 형성된 교반조(210)의 양측면에 인접하게 물막힘 방지부(250)가 설치된다.
물막힘 방지부(250)는 바퀴 형상을 가지며 제1 회전축(A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바퀴 살(251)에 형성된 칼날에 의해 제2 배출공(215) 방향으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과 제2 배출공(215)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제거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배출공(213)과 제2 배출공(215)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가이드유닛(400)을 통해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의 제1 미생물 분해조(310)로 유입된다.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회전축(A2)의 회전에 의해 상호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는 복수의 제1 스크류(311)에 의해 미세분쇄된다.
그리고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는 미생물 공급유닛(500)에 의해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며, 복수의 제1 스크류(311)의 회전에 의해 미생물이 혼합되고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된다.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 제1 미생물 분해조(310)에 내재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배출구(313)를 통해 인접한 제2 미생물 분해조(330)로 유입된다.
제2 미생물 분해조(330)에 유입된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회전축(A2)에 회전에 의해 상호 맞물진 상태로 회전되는 복수의 제2 스크류(331)에 의해 재차 미세분쇄된 후 제2 배출구(333)를 통해 하수도 등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0: 하우징
200: 제1 음식물 처리유닛 210: 교반조
211: 음식물 투입구 213: 제1 배출공
215: 제2 배출공 217: 돌기
230: 교반날개 233: 슬롯
250: 물막힘 방지부 270: 절단칼
300: 제2 음식물 처리유닛 310: 제1 미생물 분해조
311: 제1 스크류 313: 제1 배출구
330: 제2 미생물 분해조 331: 제2 스크류
333: 제2 배출구 400: 가이드유닛
500: 미생물 공급유닛
200: 제1 음식물 처리유닛 210: 교반조
211: 음식물 투입구 213: 제1 배출공
215: 제2 배출공 217: 돌기
230: 교반날개 233: 슬롯
250: 물막힘 방지부 270: 절단칼
300: 제2 음식물 처리유닛 310: 제1 미생물 분해조
311: 제1 스크류 313: 제1 배출구
330: 제2 미생물 분해조 331: 제2 스크류
333: 제2 배출구 400: 가이드유닛
500: 미생물 공급유닛
Claims (20)
-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고 미생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처리유닛; 및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세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제2 음식물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투입구와, 분쇄 및 교반되고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일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배출공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이 미생물이 혼합된 물에 침지되는 교반조; 및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에 상호 나란하게 복수 개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가압하여 채칼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게 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는 내주면에 상기 교반날개의 개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개에는 상기 돌기와의 상호 작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으깨도록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웨이브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교반날개의 타단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교반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교반날개는 하나의 단위 교반날개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상기 단위 교반날개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교반조의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슬롯은 "王" 자 형상을 갖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해 직교되게 회전하며, 상기 교반조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을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칼은 상기 음식물 투입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조 내의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제2 배출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내부에 상기 교반조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복수의 제2 배출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힘 방지부는 바퀴 형상을 가지며, 바퀴 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칼날이 형성된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공의 직경이 상기 제1 배출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공과 상기 제2 배출공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배출공과 상기 제2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상기 제2 음식물 처리유닛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하부에 상기 교반조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식물 처리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에서 유입된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미세분쇄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를 구비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도록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채워진 제1 미생물 분해조; 및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 배출구에 연통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미세분쇄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를 구비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도록 미생물이 혼합된 물이 채워진 제2 미생물 분해조를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상기 복수의 제1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도록 상호 이격된 복수의 원반형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형 스크류는,
링 형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에 맞물리는 톱니; 및
링 형상의 외주면의 내측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대류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바닥면에 마련되어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는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2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구의 높이가 상기 제2 배출구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물과 함께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로 이동된 후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는 내부를 가열하는 제1 히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미생물 분해조는 내부를 가열하는 제2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미생물이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의 상기 복수의 제1 배출공이 형성된 일영역은 상기 제1 미생물 분해조에 침지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45A KR101724570B1 (ko) | 2016-09-23 | 2016-09-23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45A KR101724570B1 (ko) | 2016-09-23 | 2016-09-23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4570B1 true KR101724570B1 (ko) | 2017-04-10 |
Family
ID=5858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845A KR101724570B1 (ko) | 2016-09-23 | 2016-09-23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45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6509A (ko) * | 2019-09-26 | 2021-04-05 | 장아람 |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2194Y1 (ko) | 2000-06-07 | 2001-02-15 | 김은규 | 싱크대 전용 3중 스크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130013611A (ko) * | 2011-07-28 | 2013-02-06 | 주식회사 이지크린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01579963B1 (ko) * | 2014-04-28 | 2015-12-28 |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1845A patent/KR101724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2194Y1 (ko) | 2000-06-07 | 2001-02-15 | 김은규 | 싱크대 전용 3중 스크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130013611A (ko) * | 2011-07-28 | 2013-02-06 | 주식회사 이지크린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01579963B1 (ko) * | 2014-04-28 | 2015-12-28 |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6509A (ko) * | 2019-09-26 | 2021-04-05 | 장아람 |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02334156B1 (ko) * | 2019-09-26 | 2021-12-01 | 장아람 |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9990B1 (ko) | 음식물 처리 장치 | |
JP2020508213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KR200186976Y1 (ko) |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 |
KR101322325B1 (ko) | 고온성미생물을 이용한 동물폐기물의 아미노산 액비제조장치 및 방법 | |
KR102054380B1 (ko) |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410362B1 (ko) |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 |
KR101724570B1 (ko)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50033003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1936872B1 (ko) |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장치 | |
KR102279935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20707Y1 (ko) |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 |
JP2000015227A (ja) | ゴミ処理装置 | |
KR102453198B1 (ko) | 미생물 액상발효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101570306B1 (ko) |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 |
KR100241242B1 (ko)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80048504A (ko) | 음식물 쓰레기 발효 소멸방법 | |
JP2004057946A (ja) | 発酵処理槽及び発酵処理装置 | |
KR10081334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299306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폐유기물 블랜더 | |
KR100681507B1 (ko) | 개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
KR102700174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JP2003146781A (ja) | 汚泥の堆肥化方法及び装置 | |
CN216261216U (zh) | 一种城市有机废弃物回收用破碎收集装置 | |
KR20100102466A (ko) |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 분해방법 | |
KR20160005590A (ko) | 음식물 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