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449A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449A
KR20230067449A KR1020220020979A KR20220020979A KR20230067449A KR 20230067449 A KR20230067449 A KR 20230067449A KR 1020220020979 A KR1020220020979 A KR 1020220020979A KR 20220020979 A KR20220020979 A KR 20220020979A KR 20230067449 A KR20230067449 A KR 2023006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transfer
soli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광재
유효상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음식물을 편리하게 처리하고, 처리 효율을 상승시키며,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입된 음식물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 고액분리부, 고액분리부에서 전달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부, 분해부로부터 전달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수거부 및 기계적 구동에 의해 분해부의 음식물 적어도 일부를 수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WASTE DISPOSAL UNI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각 가정 또는 업소에서 배출되고, 배출되어 모인 음식물 쓰레기들은 발효되어 퇴비 또는 일반쓰레기로 처리된다. 그런데 배출 전까지 가정 또는 업소에서 누적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각 가정 또는 업소로 하여금 악취, 부패, 오염을 발생시켜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에, 각 가정 또는 업소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전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음식물 처리기는 가정 또는 업소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가공을 수행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에 분쇄, 건조 및 발효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음식물 가공 방식에 따라, 음식물 처리기는 크게 분쇄 건조 방식과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분류된다.
분쇄 건조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목표로 하는 크기 및 함수율을 달성한다. 건조된 음식물은 악취가 감소되고, 적당한 크기로 분쇄되어 후처리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분쇄 건조 방식은 여전히 음식물로 취급되므로, 배출후 별도의 처리를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쇄 및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 중 음식물 처리기 내부로 음식물을 추가 투입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음식물 처리기는 건조만 수행하는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미생물 분해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는 미생물이 음식물을 발효시킴으로써 분해한다. 분해를 위해 미생물과 음식물은 한 공간에 구비되는데, 분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음식물 처리기는 미생물과 음식물을 교반시킬 수 있다. 음식물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중 적어도 일부는 수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미생물 분해 방식을 통해 분해된 음식물은 일반쓰레기로 취급되어 후처리가 더욱 자유롭다.
음식물 처리기는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스탠딩 얼론형, 그리고 싱크대 내부 설치형이 있다.
스탠딩 얼론형 음식물 처리기는 주방 또는 싱크로 인한 배치의 제약이 없으며, 다른 파츠와 결합될 필요가 없어 설치가 간편하다. 또 음식물 처리기에서 음식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위치나 형상 등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상승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싱크대 일체형의 경우 음식물 처리기가 통상의 싱크대, 예를 들어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된다. 싱크볼의 배출구가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투입구로 대체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음식물을 배출구로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한 번 설치되기만 하면 급수 및 배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처리기가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아 미관에 도움을 주고 공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환경 조건, 기호 등의 여러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음식물 처리 방식에 따른 장치, 그리고 설치 방식에 따른 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 특허 10-2017-0107837(이하 '837 특허)은 음식물 처리기의 일 예이다. '837 특허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음식물이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음식물 처리 케이스, 음식물 처리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 교반 날개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 교반 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음식물 처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처리된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시키는 통로인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여과 부재 및 하부 여과 부재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음식물 분해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미생물 배양체를 포함한다. '837 특허의 장치는 하면이 타공부로 이루어진 공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두고, 지속적으로 교반한다. 교반되는 음식물은 미생물에 의해 작은 입자로 분해되고, 부산물로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작은 입자와 물은 하면의 타공부로 배출되어 하수관으로 이동한다. 특히 '837 특허의 장치는 타공망 일부에 미생물 배양체를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투입되지 않거나, 극소량만이 투입되는 경우 분해부 공간에 잔류 음식물 전부가 배출되어 분해조에 미생물이 충분히 남지 않는 상황을 방지한다.
하지만, '837 특허와 같이 미생물 배양체를 통해 미생물 숫자를 보충하는 것은 미생물 배양체의 교체 주기를 앞당기고, 충분한 미생물 숫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비효율성을 수반한다.
일본 특허 4022036(이하 '036 특허)은 음식물 처리기의 또 다른 일 예이다. '036 특허의 장치는, 음식물 취수구로부터 음식물이 투입되면 탈수 파쇄 장치의 탈수용 스크류는 탈수를, 파쇄 커터는 파쇄를 수행한다. 처리조의 발효실 및 건조실은 탈수 및 파쇄를 수행한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어 이동해 교반체에 의해 휘저어 지면서 발효 건조 처리된다. 탈수 파쇄 장치로부터 발생한 배수는 배수 고임으로 유입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제1 발효실을 가득 채우게 되면 오버플로우 되어 제2 발효실로 이동하고, 제2 발효실과 건조실 사이 격벽에 원형 연통로가 있어 건조된 음식물은 건조실로 이동하게 된다. 건조실이 가득차면 건조실 상부의 취출구로 음식물이 배출된다.
하지만 '036 특허의 장치는 교반체의 구동에 의해 발효실에서 건조실로, 또 건조실에서 취출구로 단순히 넘쳐 흐르는 방식으로 이동될 뿐이다. 이러한 구조는 음식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교반체의 구동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교반체만 구동시켜 음식물을 발효시키되 음식물이 다른 공간으로 이동 또는 배출되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 특히 취출구를 통해 음식물이 배출되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취출수가 탈거되었을 때에도 교반체가 계속 구동하여 음식물이 넘쳐 장치 내, 또는 장치 외에 누적되면 고장, 악취 발생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565813(이하 '813 특허)는 음식물 처리기의 또 다른 예이다. '813 특허의 장치는 싱크의 배수구를 통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횡방향으로 반송하고, 횡방향으로 반송된 파쇄 음식물 쓰레기를 상방으로 반송하면서 탈수하고, 탈수되어 배출된 파쇄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하면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방의 쓰레기 용기로 회수시킨다.
하지만 '813 특허의 장치는 분해 또는 건조를 거친 음식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구조로서 배출양의 조절이 쉽지 않고, 미생물의 유출로 인한 소진 속도가 빨라 미생물을 자주 보충해주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고액분리부가 단순한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되어 장치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는 악취의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가 음식물 분해 과정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음식물 처리기를 거친 후에도 여전히 음식물로 취급되어 별도의 처리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미생물이 빠르게 소진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미생물의 빠른 소진을 막기 위해 교반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미생물 배양을 위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된 음식물이 일정량 이상 누적되면 수거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충분한 양이 누적되었음에도 충분한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된 음식물이 일정량 이상 누적되면 수거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음식물의 이동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음식물의 교반을 불가피하게 멈춰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입된 음식물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 고액분리부, 고액분리부에서 전달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부, 분해부로부터 전달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수거부 및 기계적 구동에 의해 분해부의 음식물 적어도 일부를 수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제공하여 음식물 분해 및 처리의 능동적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미생물의 불필요한 소진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해부 및 수거부는 수평배치되고, 이송부는 분해부 및 수거부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능동적인 구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의 일 영역은 분해부의 상부에, 나머지 일 영역은 수거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음식물 이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음식물의 이송 방향을 중심축으로 구비되는 이송스크류 및 이송스크류 외주면을 둘러싸고, 음식물이 유입되는 타공영역을 포함하는 이송스크린을 포함하여 분해된 음식물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스크린은 분해부 영역에 구비되고, 타공영역은 이송스크린 상부 절반 영역에 형성되어 분해된 음식물이 의도하지 않게 이송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반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는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단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단순한 구동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역방향 회전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출구를 개폐하되, 음식물이 이송부로부터 토출될 때에는 배출구를 열고,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복원력에 의해 배출구를 닫는 체크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문제, 악취가 새어나가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거함은 음식물 처리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고, 배출구의 시작점이 아래를 향하고, 종료점이 측방을 향하도록 배출구를 사선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분해된 음식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식물을 미생물로 분해시킴에 따라 후처리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계적 구동에 의해 분해부의 음식물을 능동적으로 수거부로 이송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분해 및 수거 과정에 대한 신뢰도를 보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분해부 및 수거부를 수평 배치시키고, 이송부도 수평 배치시킴으로써 이송부로 음식물을 강제적으로 유입시키거나 이송부로부터 음식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분해부 및 수거부를 수평 배치시키고, 이송부도 수평 배치시킴으로써 미생물이 필요 이상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분해부 및 수거부를 수평 배치시키고, 이송부를 분해부 및 수거부의 상부에 구비시킴으로써 음식물 처리기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장치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액분리부와 분해부의 수직 배치를 통해 고액분리부의 음식물이 별도의 기계/전자적 구동없이 자연스럽게 분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서도, 고액분리부의 입구 공간과 출구 공간을 구획하여 밀폐시킴으로써 고액분리부의 입구로 악취 등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입부의 투입커버 조작을 통해 고액분리부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투입커버를 닫는 동작 및 그와 연속되는 자연스러운 동작만으로 음식물 처리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급수관, 또는 외부 배수관을 음식물 처리기에 연결하는 동작만으로 음식물 처리기에 급수 및 배수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만 타공영역이 형성된 이송스크린을 통해, 분해되어 이송부로 유입된 음식물이 다시 이송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송스크류와 교반샤프트를 단일 모터 구조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의 수거함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거함이 음식물 처리기에 결합시 수거부와 이송부의 밀폐 상태를 유지시켜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수거함이 이송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이송부의 토출 방향 개구부가 자동적으로 밀폐되는 구조를 구현하여 이송부로부터 음식물이 토출되거나 냄새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커버 및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해부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8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 및 이송부 일부의 정면 사시도로서, 수거함의 분리 전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이 제거된 음식물 처리기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부의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부의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부의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부의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10)의 투입커버(111) 및 도어(13)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처리기(10)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10)는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서, 음식물은 음식물 처리기(10)의 상단에 위치한 입구(11)로 유입되어 음식물 처리기(10) 내부에서 분해과정을 거친다. 분해된 음식물은 음식물 처리기(10)의 하단에 위치한 출구(12)로 배출될 수 있다.
투입커버(111)는 입구(11)를 개폐 가능하도록 덮되, 입구(11)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의 악취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수거함(411)은 분해된 음식물이 배출되어 보관된다. 수거함(411)은 밀폐 구조를 구현하여 음식물 처리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새어나오지 않게 한다.
음식물 처리기(10)에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 처리기(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폐함으로써 악취가 음식물 처리기(10)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3)가 밀폐구조를 통해 음식물 처리기(10) 출구(12)를 덮도록 구비된 경우, 음식물 처리기(10)는 수거함(411) 및 도어(13)에 의해 이중의 밀폐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악취가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13)는 일 모서리가 음식물 처리기(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개폐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음식물 처리기(10) 출구(12)와 연결된 수거함(411)은 출구(1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분리된 수거함(411)은 수거된 음식물을 비우고 다시 음식물 처리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수거함(411)은 음식물 처리기(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도어(13)는 안착 공간에 안착된 수거함(411)을 가리도록 닫힐 수 있다.
투명창(14)은 음식물 처리기(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식물 처리기(10)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투명창(14)은 경우에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음식물 처리기(10) 내부로 물질을 투입시키거나 내부로부터 물질을 꺼내도록 할 수 있다. 도어(13)는 투명창(14)을 가리도록 구성되어 원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한 투명창(14)의 경우 투명창(14)에 대응하는 개구부(15)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다.
투입커버(111)는 입구(11)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커버(111)는 나사 방식으로 회전되어 입구(11)에 결합함으로써 투입커버(111)와 입구(11) 사이의 밀폐력을 보장받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입구(11)와 나사 구조의 계합 형상을 갖는 투입커버(111)는 입구(11)에 안착된 후 회전됨에 따라 하향하고, 이로써 투입커버(111)와 입구(11)는 더욱 밀착될 수 있다. 투입커버(111)에는 밀폐력을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커버(111)의 회전은, 음식물 처리기(10)의 동작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입커버(111) 및 투입커버(111)가 결합되는 투입부(100)에는 자석 및 홀 센서의 센싱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투입커버(111)를 입구에 체결한 뒤 밀폐가 되도록 회전하면, 회전 후 상호 대응되는 지점에 자석 및 홀 센서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석 및 홀 센서가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를 동작 신호로 취급하여 음식물 처리기(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밀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동작 입력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10)가 싱크대 내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음식물 처리기(10)의 투입부(100)는 싱크볼의 중앙 배출구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처리기(10)를 싱크대에 설치하는 경우 결합을 위한 별도의 싱크볼을 구비할 필요없이 기존의 싱크볼의 중앙 배출구에 음식물 처리기(10)의 투입부(100)를 결합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면을 기준으로, 입구(11)는 음식물 처리기(10)의 일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입구(11)가 일측에 구비되면, 협소하거나 제약이 있는 싱크대 하부 공간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 음식물 처리기(10)의 음식물 처리 과정에 따른 구성들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투입부(100)는 음식물 처리기(10)로 투입되는 음식물을 수용한다.
고액분리부(200)는 투입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투입부(100)로부터 이동한 음식물로부터 액체를 분리한다. 음식물이 용이하게 분해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하의 함수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액분리부(200)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한다.
고액분리부(200)는 물을 공급받아 세척될 수 있다. 고액분리부(200)에서는 음식물이 분해되지 않으므로 잔여물이 남는 경우 부패될 수 있으며,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요구된다. 일 예로, 외부의 물이 고압으로 공급되어 고액분리부(200) 내부 영역에 분사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10)의 하우징(600)에는 배관 접속부(6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관 접속부(611)에는 음식물 처리기(10) 외부에 구비되어 음식물 처리기(10)에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관 및 음식물 처리기(10)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외부 배수관이 연결된다. 한편 음식물 처리기(10) 내부에 구비된 내부 급수관(631)은 배관 접속부(611)를 통해 고액분리부(200)와 외부 급수관을 연결하고, 내부 배수관(632)은 배관 접속부(611)를 통해 고액분리부(200)와 외부 배수관을 연결한다(도 8 참조).
경우에 따라, 내부 배수관(632)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배수관(622)과 분해부(300)를 연결하여 분해부(300)에서 배출되는 물이 나가도록 할 수도 있다.
분해부(300)는 고액분리부(200)의 아래에 구비되어 액체가 제거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음식물을 분해한다. 분해부(300)에서는 미생물을 통해 음식물을 분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해부(300)는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없이 음식물을 가열 건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처리할 수도 있다.
수거부(400)는 분해부(300)에서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음식물 처리기(10) 외부로 배출할 음식물을 예비적으로 보관한다. 수거부(400)는 분해부(300)와 수평 배치될 수 있다. 분해부(300)와 수거부(400)는 측벽(641)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측벽(641)에 형성된 측벽 개구부(642)룰 통해 분해부(300)의 음식물이 수거부(4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500)는 분해부(300)에서 분해된 음식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부(400)로 이송시킨다. 이송부(500)는 측벽 개구부(642)를 통해 분해부(300)의 음식물을 수거부(4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500)는 기계적 구동에 의해 분해부(300)의 음식물을 수거부(400)로 이동시킨다. 즉 분해부(300)의 음식물은 측벽 개구부(642)를 통해 수평 방향인 수거부(400)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송부(500)가 능동적으로 음식물을 이송시킨다.
이송부(500)는 분해부(300) 및 수거부(400)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부(500)는 분해부(300) 및 수거부(4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송부(500)의 일 영역은 분해부(300)의 상부에, 나머지 일 영역은 수거부(4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분해부(300)의 음식물 중 상단에 위치한 음식물을 수거부(4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투입부(100), 고액분리부(200), 분해부(300), 수거부(400) 및 이송부(500)는 모두 음식물 처리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600)에 내에 실장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분해부(300) 상면도이다.
고액분리부(200)는 분해부(300) 위에 적어도 일 영역이 겹치도록 구비되고, 고액분리부(200)의 출구는 이 겹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고액분리부(200)의 출구를 통해 나온 음식물은 자유 낙하하여 분해부(300)로 전달된다. 공간의 효율을 위해서 이송부(500)는 상면을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벽(3203)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액분리부(200)의 출구는 이송부(500)의 폭방향 일측 절반 영역에 대응하여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이 이송부(500)와 분해부(300) 일측 벽이 형성하는 구석 함몰 영역(3205)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고액분리부(200) 출구는 분해부(300)의 폭방향 타측벽(3204)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8은 측면도이다.
분해부(300)는 분해부(300)로 전달된 음식물을 미생물과 교반한다.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은 분해 효율을 증가시킨다.
교반샤프트(310)는 분해부(300) 내에서 회전하고, 교반부재(311)는 교반샤프트(310)에 연결되어 교반샤프트(310)와 함께 회전한다. 교반부재(311)는 교반샤프트(3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반경방향으로 분기된 아암(312)의 외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교반샤프트(310)는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아암(312)은 교반샤프트(310)에 수직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해부 케이스(320)는 미생물 및 음식물이 가둠으로써 분해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교반샤프트(310)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부재(311)의 궤적에 대응하여, 분해부 케이스(320)는 곡면의 공간을 마련한다. 특히, 분해부 케이스(320) 하단은 교반부재(311)가 닿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회전축을 갖는 교반샤프트(310)의 일측은 분해부(300) 외측벽(320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은 외측벽(3201)과 마주하는 내측벽(3202)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교반샤프트(310)는 음식물 처리기(10)에 구비된 모터(7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모터(710)의 구동력은 교반샤프트(310)와 고정된 기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분해부(300)에는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33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열 수단(331)은 예를 들어 열선 히터일 수 있다. 열선 히터는 분해부 케이스(320)의 외측면에 구비됨으로써 분해부 케이스(320)를 통해 분해부(300) 내부 공간에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분해부 케이스(3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분해부 케이스(320)는 필요에 따라 금속 및 비금속의 이형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해부(300)의 내부 공간은 가열됨으로써 미생물이 음식물을 분해하기에 적절한 온도에 도달할 수 있으며, 또 음식물의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거나 기화될 수 있도록 하여 처리를 용이하도록 한다.
분해부(300)에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개(341, 3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마개(341)와 하부 마개(342)가 구비된다. 상부 마개(341)는 사용자의 손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구비될 수 있고, 하부 마개(342)는 적당히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하부 마개(342)를 열었을 때 내부 물질이 의도하지 않게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마개(341) 또는 하부 마개(342)는 전술한 투명창(14)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분해부(300)에는 배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분해부(300)의 배수 구조는 고액분리부(200)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음식물의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분해부(300)에서는 전달된 음식물과 미생물을 포함하는 분해된 음식물이 혼합되어 누적된다. 누적된 음식물은 분해부(300)의 상단에 위치한 이송부(500)를 통해 수거부(400)로 이송된다. 이송부(500)는 이송스크류(510)와 이송스크린(520)을 통해 이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송부(500)는 분해된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이 수거부(400)로 이송되는 이송 공간(501)을 갖는다. 이송스크린(520)은 분해된 음식물만 이송 공간(501)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면체의 구조물에 분해된 음식물만 통과할 수 있는 구멍(521)이 복수로 구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는 이송 공간(501)으로 유입된 음식물을 수거부(400)로 이송시킨다. 이송스크류(510)는 음식물의 이송 방향을 중심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에서 돌출된 나선형의 날개(511)가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을 수거부(400) 측으로 밀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스크류(510)가 오른나사로 구비된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음식물은 수거부(400) 측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음식물은 수거부(400)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이송스크류(510)가 왼나사로 구비된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음식물은 수거부(400) 측으로 이동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음식물은 수거부(400)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통상적으로, 모터(710)는 음식물이 분해부(300) 영역에서 수거부(400)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스크류(5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나, 필요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거부(400) 영역의 음식물이 분해부(300) 영역으로 되돌아 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수거부(400)에 구비된 수거함(411)이 가득찬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식물이 수거부(400) 영역에서 분해부(300)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모터(710)가 회전될 수 있다. 모터(710)의 회전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터(710)의 반대 방향 회전은 수거부(400) 영역에 대응하는 이송스크류(510)에 음식물이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측벽(641)에 구비된 측벽 개구부(642)를 관통하여 구비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공간(501)은 분해부(300) 및 수거부(400)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린(520)은 이송스크류(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형을 띨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는 측벽(641)을 관통하여 분해부(300) 및 수거부(400)에 걸쳐 구비되고, 반면 이송스크린(520)은 분해부(300)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수거부(400) 영역에서는 분해된 음식물이 유입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분해된 음식물이 의도하지않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송부 캡(532)은 이송스크린(520)과 함께 이송 공간(501) 경계를 형성한다. 이송부 캡(532)은 수거부(400) 영역에서 이송 공간(501)을 가두어 이동된 음식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송부 브라켓(531)은 측벽 개구부(642) 둘레에 체결되어 이송부(500)를 음식물 처리기(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의 회전은 모터(710) 구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터(710)의 구동력은 이송스크류(510)와 고정된 기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모터(710)에 고정된 기어를 제1 기어부(711), 이송스크류(510)에 고정된 기어를 제2 기어부(512), 교반샤프트(310)에 고정된 기어를 제3 기어부(313)로 정의할 때, 제1 기어부(711)는 제2 기어부(512)와 직접적으로 맞물리고, 제3 기어부(313)는 제2 기어부(512)를 통해 제1 기어부(711)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기어부(512)와 제3 기어부(313)가 맞물리는 경우 제1 기어부(711)와 고정된 단일의 모터(710) 구동을 통해 교반샤프트(310) 및 이송스크류(510)의 구동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로써 모터(7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치 소형화에 기여하고, 전력 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모터(710)는 공간적으로 여유있는 고액분리부(200)의 수평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가 오른 나사 구조로 구비된 경우 모터(710)는 이송스크류(5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되거나, 이송스크류(510)가 왼 나사 구조로 구비된 경우 모터(710)는 이송스크류(5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됨으로써 음식물을 분해부(300)에서 수거부(4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모터(710)는 음식물이 수거부(400)에서 분해부(3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분해부(300)의 음식물이 이송부(500)를 통해 수거부(400)로 이송되다가 구동이 멈추는 경우, 이송되던 음식물은 수거부(400) 영역에 머무르거나 원하지 않는 음식물 토출이 계속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악취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일반 이송 구동이 진행되다 멈춘 경우 기 설정된 만큼 이송스크류(510)가 역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음식물이 수거부(400)에서 분해부(3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분해부(300)의 음식물이 수거부(400) 측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서도 음식물 분해를 위한 교반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분해된 음식물 처리를 위해 수거함(411)을 수거부(400)의 안착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동안에도 음식물의 교반은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모터(710)의 구동 속도 및 구동 방향은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측면도이다.
또는 이송스크류(510)와 교반샤프트(310)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스크류(510)는 제1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교반샤프트(310)는 제2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와 교반샤프트(310)가 독립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이송부(500) 기능만 수행하거나, 분해부(300)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송스크류(510)와 교반샤프트(310)의 회전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하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할 수도 있어 세부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교반샤프트(31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경우 일측 영역 음식물이 적체됨에 따라 음식물이 골고루 교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교반샤프트(310)는 주기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이송스크류(510)는 계속적으로 분해부(300)에서 수거부(400)측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음식물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은 경우 교반샤프트(310)만 회전하고, 이송스크류(510)는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1 모터의 제4 기어부(314)는 이송스크류(510)의 제6 기어부(316)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은 직접 수행되거나 제5 기어부(315)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제2 모터의 제7 기어부(317)도 교반샤프트(310)의 제9 기어부(319)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은 직접 수행되거나 제8 기어부(318)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토크, 회전수 및 공간 배치 등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50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정면도이고, 도 1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일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500)의 특징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본다.
이송스크린(520)에 구비된 구멍(521)의 크기는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 입자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복수의 구멍(521)은 특정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영역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멍(521)이 구비되는 이 영역을 타공영역(5201)으로 정의한다. 타공영역(5201)의 크기는 수거부(400)로 이동하는 음식물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의 설정이 요구된다. 복수의 구멍(521)은 면체에 타공(打孔)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면체에서 구멍(521)이 추가되는 제조 방식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멍(521)은 원형일 수 있다. 또는, 구멍(521)은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멍(521)은 이송 공간(501)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과 같은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드 형상은 음식물이 용이하게 이송 공간(501)으로 투입되게 함과 동시에 이송 공간(501)으로 투입된 음식물이 다시 밖으로 나오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이송스크린(520)의 타공영역(5201)은 상부에만 구비되고, 하부에는 막힘영역(5202)이 구비될 수 있다. 막힘영역(5202)은 이송 공간(501)으로 유입된 분해된 음식물이 다시 낙하되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다만 막힘영역(5202)이 과도하게 넓고 타공영역(5201)이 과도하게 좁게 구비되는 경우 음식물이 이송 공간(501)으로 유입될 확률이 급격히 낮아지므로, 타공영역(5201)을 막힘영역(5202)보다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스크린(520)의 수직 절반 상부는 타공영역(5201)이, 수직 절반 하부는 막힘영역(520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음식물이 이송스크린(520)을 지속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송스크린(520)의 타공영역(5201)은 분해된 음식물 등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세척부(54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스크린(520)의 외주면에 엉겨붙거나 걸린 음식물을 이송스크린(520)으로부터 박리시킨다.
세척부(540)가 이송스크린(520)으로부터 음식물을 박리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부(540)는 물 또는 바람을 강하게 분사시킴으로써 이송스크린(520)의 음식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분해의 건조 환경 및 뒤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측면에서 물 보다는 바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세척부(540)는 이송스크린(520)의 외주면을 직접 쓸거나 긁어내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세척부(540)는 이송스크린(520)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세척솔(54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류(510)에 고정되어 이송스크류(5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송스크린(520)은 이송스크류(51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이송스크류(510)가 동작하면 세척솔(541)도 함께 회전하여 이송스크린(520)의 외주면 둘레를 공전하게 되고,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린(520) 외주면(즉, 음식물 유입면)의 음식물을 박리시킨다. 세척솔(541)과 이송스크류(510)가 고정됨으로써 세척솔(541)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세척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장치 구성에 대한 비용 및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 구조의 경량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다.
세척부(540)는 일측이 이송스크류(510)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이송부(500) 중 수거부(400)에서 먼쪽을 의미한다. 수거부(400)에서 먼쪽은 세척부(540)와 이송스크류(510)의 고정 구조인 고정부(543)가 구비되더라도 분해된 음식물이 이송부(500) 내에서 이동하는데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세척부(540)의 타측은 분해된 음식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송스크류(5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이는 외팔보 형태가 된다.
고정부(543)는 이송스크류(510)와 세척솔(541)이 연결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510)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543)는 세척솔(541)에 결합면을 제공하기 위해 'ㄱ'-형상의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어 피로(stress)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중 다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외팔보 형태의 세척부(540)의 타단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측벽(641)에는 세척부(540)의 타단 회전을 가이드하는 원형의 지지 레일(643)이 구비될 수 있다(도 14 참조). 세척부(540)의 타단인 세척솔(541) 또는 보호캡(542)은 지지 레일(643)을 지지한 상태로 지지 레일(643)이 형성하는 원형의 공간을 따라 원운동 할 수 있다. 지지에 의한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척부(540)의 지지 레일(643) 측 단부에는 볼 베어링 구조, 또는 점 접합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류(510)의 축을 향해 반경 내측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호캡(542)은 세척솔(541)의 반경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호캡(542)은 반경 내측이 개구된 'C'-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정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이송 공간(501)은 수거부(400)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린(520)은 수거부(400) 및 분해부(300)의 경계인 측벽(641)에 구비되는 측벽 개구부(642)를 막는 형태로 구비되어 이송 공간(501)의 측방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 캡(532) 등의 구성은 이송 공간(501)의 나머지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분해부(300)에서 분해된 음식물은 이송스크린(520)을 통과하여 이송 공간(501)으로 유입된다.
이송스크류(510)는 수거부(400) 영역에 구비된다. 이송스크류(510)는 이송 공간(501)으로 유입된 음식물을 더 이동시켜 이송 공간(501) 상에서 음식물이 균일하게 퍼지고, 나아가 수거함(411)으로 용이하게 음식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분해부(300)로 유입되는 음식물이 이송스크류(510) 또는 이송스크린(520)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이송되던 분해된 음식물이 새로 투입되는 음식물의 액체와 섞이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이는 분해부(300)의 공간이 충분히 크지 않아 분해부(300)로 투입되는 음식물이 이송부(500)와 간섭될 확률이 높은 경우 특히 효과적이다(도 6 참조).
이송스크류(510) 및 세척부(54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이송부 샤프트(513)는 분해부(300)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 샤프트(513)는 제2 기어부(512)와 이송스크류(510)를 연결한다. 이송부 샤프트(513)와 이송스크류(510)의 샤프트는 동일한 구조물이 연결 또는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날개(511)가 수거부(400) 영역에만 구비되었다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이송스크류(510)를 구동하는 기어부가 수거부(400) 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이송부 샤프트(51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해부(300)의 음식물이 불필요하게 다른 구성과 맞닿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고장 문제, 위생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송스크린(520)은 측벽(641)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송스크린(520)은 분해부(300) 영역측으로 돌출되거나 수거부(400) 영역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된 이송스크린(520)은 표면적이 증가하는 점,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음식물이 통과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식물이 이송스크린(520)을 통과할 확률을 높인다. 이러한 예로, 이송스크린(520)은 돌출된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된 이송스크린(520)이 구비되는 경우 그 돌출 방향으로 이송스크류(510) 및 날개(511) 또한 최대한 함께 돌출되는 것이 음식물 이송에 효과적이다.
이송 공간(501)이 수거부(400) 영역에 구비되는 실시예에서, 세척부(540)는 이송부 샤프트(513)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세척솔(54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솔(541)은 원형의 이송스크린(520) 영역에 대해 180도 간격으로 2개 돌출된 구조(직경 일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구비)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이보다 더 적은 1개의 돌출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더 많은 3개 이상의 돌출된 방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세척부(540)의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린(520)에 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류(510)와 함께 회전하고, 이송스크린(520)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에 대한 특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류(510)에 연결되어 즉 분해부(300) 공간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척솔(541)은 이송스크린(520)의 양면 중 음식물 유입면인 분해부(300) 측으로 노출된 이송스크린(520) 면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스크린(520)은 중심영역에 이송부 샤프트(513)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져 이송스크린(520)이 이송부 샤프트(513)의 구비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캡(542), 그리고 이송스크린(520)의 세부 특징은 앞선 실시예의 보호캡(542)의 특징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과 관련된 실시예도 단일 모터를 통해 이송스크류(510) 및 교반샤프트(310)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고, 개별 구동부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특히 이송스크류(510)가 수거부(400) 영역에 있는 음식물이 분해부(300)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음식물이 분해부(300)로 쉽게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출구(522) 등으로 음식물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거나 악취가 새어 나오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송부 샤프트(513)가 구비되지 않고 이송스크류(510)의 구동부가 교반샤프트(310)의 구동부와 반대쪽에 배치되는 경우, 개별 구동부를 통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미도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400) 및 이송부(500) 일부의 정면 사시도로서, 수거함(411)의 분리 전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411)이 제거된 음식물 처리기(10)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송부(500)는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에 의해 수거부(400) 측으로 이송된 분해된 음식물은 배출구(522)를 통해 이송부(50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배출구(522)와 수거함(411)이 연통함으로써, 배출구(522)를 통해 배출된 분해된 음식물은 수거함(411)에 모인다. 수거함(411)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비우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이송부(500)의 배출구(522)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522)는 이송스크린(520) 외주면을 감싸는 이송부 캡(532)의 하단에서 시작되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533)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33)는 이송부 캡(532)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533)는 배출 시작점인 이송부 캡(532)에서 분기되는 지점에서는 수직 하방으로 개구되어 음식물이 하단으로 쉽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 종료점인 수거함(411)과 연결되는 지점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어 수거함(411)과 배출구(522)가 측방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체크밸브(534)는 배출구(522)를 개폐하되, 음식물이 이송부(500)로부터 토출될 때에는 토출되는 음식물에 밀려 배출구(522)를 열고, 음식물이 이송부(500)로부터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복원력에 의해 배출구(522)를 닫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체크밸브(534)는 탄성에 의해 개폐 거동할 수 있다. 체크밸브(534)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일 예로, 체크밸브(534)는 실리콘 소재로 구비되어 상측 변이 배출구(522) 상측 변에 고정될 수 있다. 체크밸브(534)의 고정 부위는 힌지 체결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부(200)의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2는 상면도이고, 도 2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단면도이다.
고액분리부(200)는 원기둥 형상의 외관을 갖는 고액분리부 케이스(201)를 포함한다. 고액분리부(200)의 상면에는 입구(202)가 구비되고 하면에는 출구(203)가 구비된다. 고액분리부 케이스(201)가 상부 케이스(2011) 및 하부 케이스(2012)의 결합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입구(202)는 상부 케이스(2011)에, 출구(203)는 하부 케이스(2012)에 구비된다.
투입부(100)의 음식물은 고액분리부(200)의 입구(202)로 전달되고, 고액분리부(200)를 거친 음식물은 고액분리부(200)의 출구(203)를 통해 분해부(300)로 전달된다. 고액분리부(200)의 출구(203)는 분해부(300)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또는 분해부(300)의 입구 그 자체로서 기능하여 분해부(300)의 입구와 일치할 수도 있다.
고액분리부 케이스(201)는 고액분리부(200)의 내부 공간(220, 이하 '고액분리공간'이라 한다)을 형성한다. 음식물은 입구(202)를 통해 고액분리공간(220)으로 투입되고, 고액분리공간(220)에서 액체가 분리된 음식물은 출구(203)를 통해 토출된다. 입구(202) 및 출구(203)의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원활한 음식물 토출을 위해 출구(203)는 입구(202)보다 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획 부재(210)는 입구(202)를 통해 고액분리공간(220) 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출구(203)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구동부(216)는 구획 부재(210)를 회전시키고, 구획 부재(210)가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은 구획 부재(210)에 밀려 출구(203)측으로 이동되고, 출구(203)에 도달한 음식물은 자연스레 분해부(300)로 낙하한다.
고액분리공간(220)은 구획 부재(21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특히, 구획 부재(210)는 원기둥 형상의 수직 중심축(215)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격벽(211)을 통해 고액분리공간(220)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수직 중심축(215)에서 분기된 복수의 격벽(211)은 케이스(201)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격벽(211) 외측단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므로, 고정 브라켓(214)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14)은 복수의 격벽(211)의 외측단을 고정한채로 복수의 격벽(2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획된 복수의 공간은 세 공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격벽(211)은 120°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세 개의 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획 부재(210)가 일 상태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세 공간은 투입 공간(221), 토출 공간(222), 사이 공간(223)으로 정의될 수 있다. 투입 공간(221)은 고액분리부(200)의 입구(202)가 구비되어 음식물이 최초로 유입되는 공간을 의미하고, 토출 공간(222)은 고액분리부(200)의 출구(203)가 구비되어 고액분리부(200)의 목적이 달성된 음식물이 분해부(300)로 토출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구동부(216)는 구획 부재(210)를 투입 공간(221), 사이 공간(223) 및 토출 공간(222)이 구비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을 투입 공간(221), 사이 공간(223) 및 토출 공간(222)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사이 공간(223)이 구비되는 경우 고액분리부(200)로 투입된 음식물을 투입 공간(221)에 머무르지 않도록 하면서도, 토출 공간(222)으로 즉시 이동시키지 않고 사이 공간(223)에서 충분히 머무르도록 하여 음식물로부터 충분히 액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위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구동부(216)는 구획 부재(210)를 120°씩 회전시킬 수 있다. 입구(202)로 투입된 음식물은 구획 부재(120)의 1회 120° 회전에 의해 사이 공간(223)에 위치하게 되고, 액체가 분리된 음식물은 2회 120° 회전에 의해 토출 공간(222)에 위치하여 출구(203)를 통해 토출된다. 이러한 동작을 감안하면, 입구(202) 및 출구(203)의 각 중심은 고액분리부(200)의 수직 중심축(215)을 기준으로 240°의 사이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액분리공간(220)을 세 공간으로 구획되고 있으나, 두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네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획되어야 하는 이유는 고액분리부(200)의 입구(202)와 출구(203)가 구분되기 위함이다. 투입 공간(221)과 토출 공간(222)은 격벽(211)에 의해 구획되어 서로 밀폐되고, 이는 분해부(300) 등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 그리고 사이 공간(223) 또는 토출 공간(222)에 위치한 음식물에 의한 악취가 고액분리부(200) 입구(202)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투입 공간(221) 및 사이 공간(223)에 대응하는 영역 바닥에는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망(231)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망(231)은 투입 공간(221) 및 사이 공간(223)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구비되어 토출 공간(222)의 출구(203)에 음식물이 도달하기 전까지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액체가 배수망(231)을 통해 아래로 투과될 수 있다.
배수망(231)을 통해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케이스(201)의 투입 공간(221) 및 사이 공간(223) 하단면은 토출 공간(222)의 하단면인 단차 상부(2013) 보다 낮은 단차 하부(2014)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 하부에는 배수홀(232)이 구비되어 투과된 액체가 배수홀(232)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배수망(231)의 처짐 방지를 위해 단차 하부(2014)에는 처짐방지돌기(233)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11)은 중심 영역이 강성 부재(212)로 구비되고,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이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21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213)는 강성 부재(21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하단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격벽(211)의 강성 부재(212) 영역은 음식물을 각 공간에서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획 부재(210)에 강성을 부가하고, 탄성 부재(213) 영역은 구획 부재(210)가 분리한 복수의 공간을 상호 밀폐한다. 탄성 부재(213)의 최상단은 케이스(201) 상면 내측에 접하거나 밀착하여 구비되고, 탄성 부재(213)의 최하단은 케이스(201) 하면 내측에 접하거나 밀착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벽(230)은 구획 부재(210)에 연결되어 입구(202) 영역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즉, 가이드벽(230)이 없는 경우 입구(202) 보다 투입 공간(221)이 넓게 형성되고, 이는 음식물의 끼임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벽(230)이 없는 경우 입구(202)의 너비보다 긴 길이의 음식물을 별도의 처리 없이 투입 공간(221)으로 투입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큰 공간을 차지하는 음식물은 내부 구조물에 걸려 토출 공간(222)으로 이동하지 못하거나, 또는 구획 부재(210) 자체가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될 위험도 있다. 나아가서는 음식물이 구획 부재(210)와 간섭되어 구획 부재(210)를 파손시킬 위험도 있다.
가이드벽(23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큰 음식물이 고액분리부(200)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가이드벽(230)은 입구(202)가 아래로 연장된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투입될 수 있는 음식물의 크기를 제한한다. 또, 가이드벽(230)은 음식물이 구획 부재(210)와 간섭하여 구획 부재(210)의 구동에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구획 부재(210)를 파손시킬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 음식물이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 음식물을 쉽게 다시 꺼낼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벽(230)은 입구(202) 영역에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입구(202)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벽(230)은 원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의 일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벽(230)은 인접한 두 격벽(2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211)이 세 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벽(230)도 세 개의 격벽(211)이 만드는 세 공간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세 개의 격벽(211) 및 세 개의 가이드벽(230)은 고액분리부(200)의 연속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음식물이 사이 공간(223) 또는 토출 공간(222)에 있는 상태에서도 투입 공간(221)을 통해 새로운 음식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이드벽(230)이 원기둥의 일부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가이드벽(230)의 일측단은 인접한 두 격벽(211) 중 하나에, 타측단은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고액분리부(200)가 튼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벽(230)은 강성 부재(2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벽(23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벽(230)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원기둥 형상 가이드벽(230)과 비교하여 가이드벽(2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에 음식물 투입을 가이드 하는 효과는 여전히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가이드벽(230)의 상단 경계는 격벽(211)의 상단 경계와 일치할 수 있다. 반면, 가이드벽(230)의 하단 경계는 격벽(211)의 하단 경계와 일치하지 않고 격벽(211)의 하단 경계보다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벽(230)은 하단이 케이스(201)의 하단면에 맞닿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구획 부재(210), 구체적으로는 격벽(211)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두어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 수분 등이 충분히 마를 수 있도록 하여 세균의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의 정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음식물 처리기(10)는 고액분리부(2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해부(300)는 가열 수단(331)을 가짐으로써 음식물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으며, 또 분해부(300)가 배수 수단을 가져 고액분리부(200)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액분리부(20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음식물 처리기 11: 음식물 처리기 입구
12: 음식물 처리기 출구 13: 도어
14: 투명창 15: 투명창 대응 개구부
100: 투입부 111: 투입커버
200: 고액분리부 201: 고액분리부 케이스
2011: 고액분리부 상부 케이스 2012: 고액분리부 하부 케이스
2013: 단차 상부 2014: 단차 하부
202: 고액분리부 입구 203: 고액분리부 출구
210: 구획 부재 211: 격벽
212: 강성 부재 213: 탄성 부재
214: 고정 브라켓 215: 고액분리부 수직 중심축
216: 고액분리부 구동부 220: 내부 공간
221: 투입 공간 222: 토출 공간
223: 사이 공간 230: 가이드벽
231: 배수망 232: 배수홀
233: 처짐방지돌기 300: 분해부
310: 교반샤프트 311: 교반부재
312: 아암 313: 제3 기어부
314: 제4 기어부 315: 제5 기어부
316: 제6 기어부 317: 제7 기어부
318: 제8 기어부 319: 제9 기어부
320: 분해부 케이스 3201: 분해부 케이스 외측벽
3202: 분해부 케이스 내측벽 3203: 분해부 폭방향 일측 벽
3204: 분해부 폭방향 타측 벽 3205: 구석 함몰 영역
331: 가열 수단 341: 상부 마개
342: 하부 마개 400: 수거부
411: 수거함 412: 안착 공간
500: 이송부 510: 이송스크류
511: 날개 512: 제2 기어부
513: 이송부 샤프트 520: 이송스크린
521: 구멍 5201: 타공영역
5202: 막힘영역 522: 배출구
531: 이송부 브라켓 532: 이송부 캡
533: 가이드부 534: 체크밸브
540: 세척부 541: 세척솔
542: 보호캡 543: 고정부
600: 하우징 611: 배관 접속부
621: 외부 급수관 622: 외부 배수관
631: 내부 급수관 632: 내부 배수관
641: 측벽 642: 측벽 개구부
643: 지지 레일 710: 모터
711: 제1 기어부

Claims (22)

  1. 투입된 음식물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 고액분리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전달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부;
    상기 분해부로부터 전달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수거부; 및
    기계적 구동에 의해 상기 분해부의 음식물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부 및 수거부는 수평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해부 및 수거부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 영역은 상기 분해부의 상부에, 나머지 일 영역은 상기 수거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상기 분해부의 위에 적어도 일 영역이 겹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액분리부의 출구는 상기 겹침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싱크볼에 구비된 중앙 배출구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투입커버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고액분리부, 분해부, 수거부 및 이송부를 내부에 실장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관 및 외부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관 접속부;
    상기 배관 접속부를 통해 상기 고액분리부와 상기 외부 급수관을 연결하는 내부 급수관; 및
    상기 배관 접속부를 통해 상기 고액분리부와 상기 외부 배수관을 연결하는 내부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음식물의 이송 방향을 중심축으로 구비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 외주면을 둘러싸고, 분해된 음식물이 이송 공간으로 통과되도록 타공영역을 포함하는 이송스크린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린은 상기 분해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린은 분해된 음식물을 통과시키는 타공영역 및 분해된 음식물의 통과를 막는 막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영역은 상기 이송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막힘영역은 상기 이송스크린의 하부에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부는,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교반샤프트; 및
    상기 교반샤프트에 연결된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부 및 수거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샤프트의 일측단은 상기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는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단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음식물 처리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고액분리부의 수평 일측에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거부 측으로 이송된 음식물이 토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되, 음식물이 이송부로부터 토출될 때에는 상기 배출구를 열고,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배출구의 일측 변에 체결되어 체결 영역이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된 음식물 처리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을 보관하고, 상기 음식물 처리기에 대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음식물 처리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의 시작점이 아래를 향하고, 종료점이 측방을 향하도록 배출구를 사선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수직축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세개의 격벽으로 구성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을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 공간;
    상기 분해부로 음식물이 토출되는 토출 공간; 및
    상기 투입 공간 및 토출 공간 사이의 사이 공간으로 구획하는 음식물 처리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중심 영역이 강성 부재로 구비되고,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처리기.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투입 공간, 사이 공간 및 토출 공간의 구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음식물 처리기.
  22. 외부로부터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부;
    상기 분해부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수단;
    상기 분해부로부터 전달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수거부; 및
    기계적 구동에 의해 상기 분해부의 음식물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20979A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KR20230067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463 2021-11-08
KR20210152463 2021-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49A true KR20230067449A (ko) 2023-05-16

Family

ID=8654594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30A KR20230067450A (ko)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20979A KR20230067449A (ko)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20948A KR20230067448A (ko)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74372A KR20230067481A (ko) 2021-11-08 2022-06-17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0220105305A KR20230067498A (ko) 2021-11-08 2022-08-23 음식물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30A KR20230067450A (ko)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48A KR20230067448A (ko) 2021-11-08 2022-02-17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74372A KR20230067481A (ko) 2021-11-08 2022-06-17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0220105305A KR20230067498A (ko) 2021-11-08 2022-08-23 음식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3006745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98A (ko) 2023-05-16
KR20230067481A (ko) 2023-05-16
KR20230067450A (ko) 2023-05-16
KR20230067448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021B1 (ko) 파쇄기가 장착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953448B2 (ja) 台所用食べ物屑処理装置
KR20230067449A (ko) 음식물 처리기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907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368042B1 (ko)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810994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KR201000416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유닛
KR1003116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75792B1 (ko) 경사판 유동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63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JP2013146725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619454B1 (ko) 투입구가 전방 상단에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2377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00102466A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 분해방법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200407326Y1 (ko) 발효장치
KR2019003160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32958A (ko)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