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347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347B1
KR102466347B1 KR1020220022888A KR20220022888A KR102466347B1 KR 102466347 B1 KR102466347 B1 KR 102466347B1 KR 1020220022888 A KR1020220022888 A KR 1020220022888A KR 20220022888 A KR20220022888 A KR 20220022888A KR 102466347 B1 KR102466347 B1 KR 10246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agitation
shaft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주식회사 씨에스렌탈
주식회사 앳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주식회사 씨에스렌탈, 주식회사 앳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Priority to KR102022002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발효 분해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로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한편 그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교반돌기를 갖는 수용조; 수용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제1,2 교반축; 제1,2 교반축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제1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중앙부에서 회전되면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제2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측부에서 회전되면서 수용조의 측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도록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Mixer for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에서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 발효 분해시키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매일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환경오염 예방을 위해 해양 투기와 직접 매립이 금지돼 있어, 일반 폐기물과는 달리 분리 수거한 후, 별도의 시설로 운반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식물류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에 비하여 그 처리에 훨씬 많은 비용이 들게 되며, 인구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매년 음식물류 폐기물이 늘어나는 추세여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이러한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을 줄일 필요가 있는데, 가장 효과적이 방법은 주 발생처인 각 가정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는 자구 노력과 함께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처리하게 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을 가급적 집 밖으로 배출하지 않는 게 최선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물류 폐기물에 대한 전체 처리비용은 2005년 기준 약 6,000억원에서 2010년 기준 약 8,000억원으로 늘어났으며, 2012년부터 해양 투기가 금지되면서 그 처리 비용은 해마다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2013년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한 재활용 자원 매립을 단계적으로 금지하는 자원 순환 정책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가정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취식하는 과정에서 남는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다양하며, 처리 방식에 따라 건조방식, 분쇄방식, 분쇄/건조방식, 발효소멸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또한 설치 형태에 따라 독립형과,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이 있는데, 이른바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이 사용에 편리하고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으며, 별도의 공간을 차지 않는 점에서 독립형보다는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614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교반기 내부에는 임펠러를 구비하되, 임펠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소정의 간격마다 인출되는 지지대에 부착되는 교반날개로 이루어지며, 교반기 전측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교반기의 외부 일측에는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가 설치되며,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있어서, 지지대의 끝단에 부착되는 교반날개는 지지대와 결합되는 "ㄱ"자 형태의 제 1,2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면의 일측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출유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면의 일측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교반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도면과 교반면 사이의 외측 끝단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배출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서는 교반날개가 지지대의 끝단에만 구비돼 있으므로 교반날개의 면적이 작아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율이 저조하게 되고, 교반날개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구동모터가 체인(벨트)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데, 이는 교반날개에 의한 교반시 구동모터의 동력이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회전축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에 의한 작동소음이 매우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614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에서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교반시의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는,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발효 분해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로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한편 그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교반돌기를 갖는 수용조; 수용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제1,2 교반축; 제1,2 교반축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제1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중앙부에서 회전되면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제2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측부에서 회전되면서 수용조의 측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도록, 제1 교반날개는 회전축과 근접한 제1 교반축의 내측단에서 회전축과 원거리로 이격된 외측단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다수의 삼각 형상이 그 면적이 작은 삼각형으로부터 면적이 큰 삼각형 순으로 연속되는 다단 구조의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교반축은 회전축의 중앙부에서 대칭되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되, 제1 교반축의 일단부에는 단차진 평탄부가 형성되고, 제1 교반축의 평탄부는 회전축의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한 상태로 면접되게 위치되어 하나의 환봉을 이룬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교반날개는 제2 교반축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그 코너부에는 수용조의 내측 모서리에 대응한 곡률로서 라운드진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구동모듈은 교반모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되는 한편 회전축에 결합 고정되어 제1,2 교반날개와 같이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감속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에서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한번에 많은 양을 교반시켜 교반효율을 향상시키고, 교반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저감시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에 구성되는 수용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조 내에 구성되는 교반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구성되는 교반날개와 구동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날개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이에 구성되는 수용조와 교반장치, 구동모듈 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주방의 개수대에 구비되는 싱크볼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발효 분해되는 수용조(200)와, 수용조(200) 내에서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장치와, 수용조(200)에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모듈과, 수용조(200)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냄새 즉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모듈과, 수용조(200) 내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200)의 육면을 박스 형태로 감싸는 각각의 판이 구비된다.
즉, 수용조(200)의 하면에는 수용조(200)를 받쳐 지지하는 하판(150)이 구비되고, 수용조(200)의 전면과 후면, 측면에는 전판(110)과 후판(130), 측판(120)이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며, 수용조(200)의 상면에는 상판(140)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전판(110)의 하측에는 발효 분해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 즉 가루 형태의 퇴비가 수납되어 저장되는 후술될 수납함(281)이 서랍 타입으로 출입되는 인출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 측판(120)에는 파지구(121)가 형성되고, 양 파지구(121)에 의해 처리기(100)를 간편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양 측판(120)의 후단부에는 수용조(200)의 후면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는 후판(130)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게 결합된다.
후판(130)은 수용조(200)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 측에 자성체(131)가 구비되고, 이 자성체(131)에 의해 수용조(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판(130)이 양 측판(120)의 플랜지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판(140)은 그 중앙부에 후술될 도어프레임(300)의 투입구에 대응한 개구부(141)에 형성되고, 상판(140)의 전 테두리부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판(140)의 플랜지 내측으로 전판(110), 양 측판(120), 후판(1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게다가, 상판(140)의 전면 플랜지에는 처리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패널이 구비되나, 이러한 조작패널은 전판(110)에 구성될 수도 있다.
수용조(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나, 하면은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게 구비된다.
이때, 수용조(200) 하면은 도 4에서와 같이, 후술될 제1,2 교반날개(240)(250)가 회전될 때 그리는 원호에 대응한 반경을 갖는 곡률로 형성되어 제1,2 교반날개(240)(250)에 의한 교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용조(200)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교반돌기(20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2 교반날개(240)(250)에 의한 교반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용조(200)에는 수용조(200)의 교반돌기(201)를 포함한 교반장치가 구성되고, 교반장치는 수용조(200) 내의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하여 교반시키게 된다.
이러한 교반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200)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10)과, 회전축(210) 상에 결합 고정된 제1 교반축(220)과, 제1 교반축(2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미생물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 교반날개(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교반축(2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의 중앙부에서 대칭되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직선상으로 구비되어 제1 교반날개(240)에 의한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교반축(220)의 일단부에는 환봉의 1/2 두께를 갖도록 단차진 평탄부(221)가 형성되고, 제1 교반축(220)의 평탄부(221)는 회전축(210)의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한 상태로 면접되게 위치되어 하나의 환봉을 이룬 상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면접되어 환봉을 이룬 제1 교반축(220)의 평탄부(221)에는 별도의 고정핀이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어 양측의 제1 교반축(220)을 회전축(210)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양측의 제1 교반축(220)을 회전축(210)에 일직선상으로 위치시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축(210)에는 전술한 제1 교반축(220) 이외에도 다른 타입의 제2 교반축(23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웃하는 제1,2 교반축(220)(230)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한편 한 쌍을 이루는 제1 교반축(220)과 제2 교반축(230)은 서로 직교되게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제1,2 교반축(220)(230)은 모두 회전축(2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교반축(220)에 구비되는 후술될 제1 교반날개(240)에 의한 교반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교반축(220)을 회전축(210)에 대칭되게 구비한 것과는 달리 제2 교반축(23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 역할에 맞게 회전축(210)의 일측에만 구비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1,2 교반축(220)(230)에는 각각의 제1,2 교반날개(240)(250)가 구비되는 바, 제1 교반날개(240)는 회전축(210)의 중앙부에서 수용조(200)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메인 날개이므로 제2 교반날개(25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제1 교반축(22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제2 교반날개(250)는 수용조(200) 내의 측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퍼올려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이에 부합되게 수용조(200)의 내측면을 향하는 측으로만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제1 교반날개(240)는 교반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날개에 엉키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리스마스 트리와 같은 형상 즉 회전축(210)과 근접한 제1 교반축(220)의 내측단에서 회전축(210)과 원거리로 이격된 외측단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교반날개(240)는 하나의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크기가 다른 다수의 삼각형이 면적이 작은 삼각형으로부터 면적이 큰 삼각형 순으로 연속되는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교반날개(240)는 그 양측부가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직경을 갖는 경사부(242)와, 경사부(242)에서 회전축(210) 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된 수평부(24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제1 교반날개(240)에 음식물 쓰레기가 엉키게 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축(210)에 결합된 제1 교반축(220)의 내측단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다단의 수평부(221)에서 각각 걸림되어 정지돼 있으므로 교반 작동을 방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엉킨 음식물 쓰레기가 분산돼 있으므로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교반날개(25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 교반축(230)과 평행한 제2 교반날개(250)의 외측면이 완만하게 라운드진 요철 형태의 요철부(25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요철부(252)와 제2 교반날개(250)의 전,후면(또는 상,하면)을 잇는 각 코너부는 수용조(200) 내측의 모서리에 대응한 곡률로서 라운드진 만곡부(251)로 형성되고, 이 만곡부(251)에 의해 수용조(200) 내의 측부 즉 모서리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남김없이 모두 꺼내 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용조(200)에 설치된 회전축(210)에서 직각을 이루는 제1,2 교반날개(240)(250)가 회전축(21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수용조(200) 내의 중앙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수용조(200) 내의 측부에 쌓여 적체되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모두 고루 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장치에는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듈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모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모터(500)와, 교반모터(50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510)와, 구동기어(510)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한편 교반장치의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제1,2 교반날개(240)(250)와 같이 회전되게 구비되는 종동기어(520)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기어(510)와 종동기어(520)는 감속비를 갖은 채로 직접 치합되어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체인 구동방식에서 비롯된 작동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구동기어(510)의 외측에는 구동기어(510)의 회전축에 결합 고정되어 구동기어(510)와 같이 동시에 회전되는 이탈방지 가이드(511)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 가이드(511)는 구동기어(5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구동기어(510)와 종동기어(520)가 맞물린 치합부위까지 덮어 커버함으로써 치합된 구동기어(510)와 종동기어(5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반모터(500)는 측판(120) 또는 하판(150)에 고정되게 구비되나, 이 경우 교반모터(500)와 측판(120) 또는 하판(150)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패킹과 같은 댐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교반장치가 구성되는 수용조(200)의 일측면 즉 제1 교반날개(240)가 위에서 아래로 회전될 때 이와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수용조(200) 내에서 발효 분해되어 건조된 가루 즉 분말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퇴비)가 배출되는 배출부(260)가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부(260)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용조(200)의 일면에 배출플레이트(26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플레이트(261)에는 천공된 배출구(264)가 형성되어, 가루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64)를 통해 후술될 수납부(28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또한, 배출부(260)에는 수납부(280)가 호퍼브라켓(270)과 배출관(271)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수납부(280)에는 수납함(281)이 서랍 구조로 출입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배출부(260)의 배출구(264)를 통해 배출된 가루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수납부(280)에 구비되는 수납함(281)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수용조(200)의 상부에는 도어 개폐모듈이 구비되는 바, 도어 개폐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200) 상면의 개구에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 개폐모듈은 수용조(200)의 개구에 결합되는 한편 수용조(200) 내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도어프레임(300)과, 도어프레임(300)에서 양측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도어패널(3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도어패널(310)은 도어프레임(300)에서 기어수단에 의해 동시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어프레임(300)의 투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기(100)의 수용조(200) 내에 버리고자 할 시 처리기(100)의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도어프레임(300)에서 양 도어패널(310)을 각각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투입구를 개방한 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투입 후에는 다시 양 도어패널(31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투입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처리기(100)의 조작패널을 통해 교반장치와 탈취모듈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교반장치의 작동은, 교반모터(500)에 의해 구동기어(510)가 회전되고, 이에 치합된 종동기어(520)가 연동되어 회전되며, 종동기어(520)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 고정된 수용조(200)의 회전축(21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10)이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축(210)에 고정된 제1,2 교반날개(240)(25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수용조(200) 내의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여 발효 분해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210) 중앙부의 제1 교반날개(240)는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직접 계속해서 교반시키고, 제2 교반날개(250)는 수용조(200) 내의 측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퍼내 교반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회전되는 제1,2 교반날개(240)(250)가 근접하게 지나는 수용조(200) 바닥면의 교반돌기(201)에 의해 교반효율은 더욱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극대화된 교반효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신속하게 발효 분해되고, 탈취과정에서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발효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어 가루 형태로 퇴비화되며, 가루 형태의 건조한 퇴비는 제1 교반날개(240)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용조(200)의 배출구(264) 측으로 비산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가루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호퍼브라켓(270)과 배출관(271)을 통해 수납부(280)에 결합돼 있는 수납함(281)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처리기 110 : 전판
111 : 인출구 120 : 측판
121 : 파지구 130 : 후판
131 : 자성체 140 : 상판
141 : 개구부 150 : 하판
200 : 수용조 201 : 교반돌기
210 : 회전축 220,230 : 교반축
221 : 평탄부 240 : 제1 교반날개
241 : 수평부 242 : 경사부
250 : 제2 교반날개 251 : 만곡부
252 : 요철부 260 : 배출부
261 : 배출플레이트 264 : 배출구
270 : 호퍼브라켓 271 : 배출관
280 : 수납부 281 : 수납함
300 : 도어프레임 310 : 도어패널
500 : 교반모터 510 : 구동기어
511 : 이탈방지 가이드 520 : 종동기어

Claims (4)

  1.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발효 분해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로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한편 그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교반돌기를 갖는 수용조;
    수용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제1,2 교반축;
    제1,2 교반축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제1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중앙부에서 회전되면서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제2 교반날개는 수용조의 측부에서 회전되면서 수용조의 측부에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도록,
    제1 교반날개는 회전축과 근접한 제1 교반축의 내측단에서 회전축과 원거리로 이격된 외측단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다수의 삼각 형상이 그 면적이 작은 삼각형으로부터 면적이 큰 삼각형 순으로 연속되는 다단 구조의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교반축은 회전축의 중앙부에서 대칭되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되, 제1 교반축의 일단부에는 단차진 평탄부가 형성되고, 제1 교반축의 평탄부는 회전축의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한 상태로 면접되게 위치되어 하나의 환봉을 이룬 상태로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교반날개는 제2 교반축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그 코너부에는 수용조의 내측 모서리에 대응한 곡률로서 라운드진 만곡부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모듈은 교반모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되는 한편 회전축에 결합 고정되어 제1,2 교반날개와 같이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감속비를 갖도록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20220022888A 2022-02-22 2022-02-2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246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88A KR102466347B1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88A KR102466347B1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347B1 true KR102466347B1 (ko) 2022-11-16

Family

ID=8423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88A KR102466347B1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3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213A (ja) * 2004-01-06 2005-07-21 Kiichiro Nakajima 生ごみ処理装置
KR100676146B1 (ko) 2005-10-27 2007-02-01 주식회사 쿠젠 교반 및 배출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100094259A (ko) * 2009-02-18 2010-08-26 (주)협성산업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20160141993A (ko) * 2015-06-02 2016-12-12 김한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18202285A (ja) * 2017-05-31 2018-12-27 ヤンマー株式会社 有機物処理装置
KR20210084865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미프렉시블 소음이 저감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213A (ja) * 2004-01-06 2005-07-21 Kiichiro Nakajima 生ごみ処理装置
KR100676146B1 (ko) 2005-10-27 2007-02-01 주식회사 쿠젠 교반 및 배출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100094259A (ko) * 2009-02-18 2010-08-26 (주)협성산업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20160141993A (ko) * 2015-06-02 2016-12-12 김한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18202285A (ja) * 2017-05-31 2018-12-27 ヤンマー株式会社 有機物処理装置
KR20210084865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미프렉시블 소음이 저감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5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개폐장치
KR1024663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US6284528B1 (en) Small scale automated composter
KR1024663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8352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자동 배출시스템
KR1018786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049984B2 (ja) 堆肥化資材の製造装置
JP4049983B2 (ja) 堆肥化資材の製造装置
KR101943275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JP3873710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570306B1 (ko)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JPH0726572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000416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유닛
JP3238042B2 (ja) 厨芥処理機
KR200384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감속 교반날개 연동장치
KR102359093B1 (ko) 미생물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음식물 처리기.
CA2090164C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pulverizing and biologically decomposing garbage
JP3249252B2 (ja) 厨芥処理装置
JPH0985218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2035717A (ja) 生ゴミ処理装置ならびに生ゴミ処理装置用の消臭装置
JPH08217581A (ja) 生ゴミ処理機
KR200429373Y1 (ko)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0155149Y1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088142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727861B2 (ja) 生ごみ処理機及び生ごみ処理機の撹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