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08B1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08B1
KR102263408B1 KR1020200152232A KR20200152232A KR102263408B1 KR 102263408 B1 KR102263408 B1 KR 102263408B1 KR 1020200152232 A KR1020200152232 A KR 1020200152232A KR 20200152232 A KR20200152232 A KR 20200152232A KR 102263408 B1 KR102263408 B1 KR 10226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ole
tap water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15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릇이나 용기의 설거지를 마칠 무렵 세제 및 염분은 수돗물과 함께 모두 주변홀(P2), 수돗물가이더(G), 사이드이격공간(K2) 및 언더이격공간(K1)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H2)로 배출되고, 싱크대(1)에 잔존하는 음식물은 간단히 물기를 짜내 세제 및 염분을 더욱 확실하게 없앤 상태로 뚜껑(D)을 열고 센터홀(P1) 및 중심홀(N3)을 통해 처리조(J) 속으로 투입하면, 외함(H)의 센터축결합부(H1)에 내장된 모터(M)의 샤프트(M1)에 고정된 교반날개(W)가 바이오볼(B)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처리조(J)의 미세홀(J1)들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바이오볼(B)의 미생물은 세제 및 염분의 침투가 없는 환경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DISPOSAL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릇이나 용기의 설거지를 마칠 무렵 세제 및 염분은 수돗물과 함께 모두 주변홀, 수돗물가이더,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되고, 싱크대에 잔존하는 음식물은 간단히 물기를 짜내 세제 및 염분을 더욱 확실하게 없앤 상태로 뚜껑을 열고 센터홀 및 중심홀을 통해 처리조 속으로 투입하여, 외함의 센터축결합부에 내장된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된 교반날개가 바이오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처리조의 미세홀들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바이오볼의 미생물이 세제 및 염분의 침투가 없는 환경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먹은 후 설거지를 할 경우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대에 쌓이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전용의 봉투에 담아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그 양이 지나치게 많아 수거차 및 처리플랜트의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어,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자체 처리하기 위한 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6143호)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7)를 경유하여 분쇄실(60)로 낙하된 음식물이 모터(3)에 의해 회전되는 가동 분쇄날(20)에 의해 분쇄되면서 배출구(8)를 통해 배출된 다음 탈수실(4)에서 탈수되어 도어 부재(43)에 쌓이도록 한 상태에서 쓰레기봉투와 같은 쓰레기 수집구(100)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공(4a)를 경유한 물을 배수구(5)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각종 세제 및 염분 등이 일체 분쇄실(60)로 투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미생물[미생물은 세제 또는 염분이 투입될 경우 사멸됨]을 활용한 음식물의 분해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83878호)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0) 및 하부 플랜지(12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이 분해조(150) 내의 교반실(140)로 낙하될 경우 구동모터(70)에 연동되는 회전날개(151)와 함께 회전되면서 고밀도 바이오 볼(180)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후 파이프형 롤러(162)의 롤링으로 분해수 배출부(152)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고밀도 바이오 볼(180)은 교반실(140)의 내부에 충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및 생분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미생물의 접종이 잘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볼 또는 칩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고밀도 바이오 볼(180)에는 음식물 분해용 균주인 셀룰루모나스, 바실러스, 에어로박터, 나이트로박터, 슈도모나스의 미생물을 주로 접종하되, 나이트로박터의 미생물도 일부 접종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역시 각종 세제 및 염분 등이 일체 분해조(150)로 투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의 분해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미생물은 세제 또는 염분이 투입될 경우 사멸됨)를 안고 있다.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02855호)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며, 도 3d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투입가이드(110) 및 유도가이드(120)를 경유하여 침전조(130) 내의 교반조(140)로 낙하될 경우 교반모터(150)에 연동되는 교반날개(160)와 함께 회전되면서 바이어볼(141)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후 스퀴즈날개(170)의 회전으로 배출구(132)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역시 각종 세제 및 염분 등이 일체 교반조(140)로 투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의 분해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미생물은 세제 또는 염분이 투입될 경우 사멸됨)를 안고 있다.
도 4a는 선행기술문헌 4(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27427호)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c는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또는 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가 마련된 투입부(10)와, 투입부(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는 처리조(20)와, 상부가 투입부(10)에 결합되며 처리조(20)를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감싸며 측면의 하부 일부에 배출구(41)가 마련된 세척조(40)와, 세척조(40)의 하부에 마련되어 처리조(20) 내에 마련된 교반기(32)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1)를 수용하는 구동조(30)와, 투입부(10)와 인접한 위치의 처리조(20)와 세척조(40) 사이에 마련되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물이 일부는 처리조(20)에 유입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처리조(20)의 외측에 마련된 세척조(40)로 유입되도록 하는 트랩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랩부(50)는 투입부(10)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각각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1격벽부(51) 및 제2격벽부(52)와,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의 사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 사이공간을 U자형의 트랩으로 만드는 제3격벽부(53)를 포함한다.
처리조(20)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는 동안에도 싱크대를 사용하게 되며, 사용된 물은 거름부(13)의 측면을 통해 배수되어 일부는 처리조(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처리조(20)의 외면과 세척조(40)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투입부(10)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면, 배수되는 물은 투입부몸체(14)의 안쪽에 삽입고정되는 거름부(13)의 측면을 통해 배수되며, 배수된 물은 제3격벽부(53)와 제4격벽부(54)가 이루는 공간을 통해 배출된다.
이처럼 배출된 물은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가 이루는 공간으로 유입되며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를 넘어 오버플로우 되면서 처리조(20)와 세척조(40)로 나뉘어 유입된다.
또한,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가 이루는 공간 내에는 투입부(10)를 통해 물이 배수되지 않는 때에도 물이 고여 있으며, 제3격벽부(53)와 제4격벽부(54)가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의 사이 공간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끝단의 일부가 고여있는 물에 잠기게 됨으로써, 세척조(40) 내부의 냄새가 투입부(10)측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세척조(40)로 유입된 물은 처리조(20)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세척을 하게 되며, 처리조(2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세척조(40)의 하부커버부(45)에 마련된 유로부(48)에 집수됨과 아울러 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처리조(20)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는 동안에도 싱크대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사용된 물이 거름부(13)의 측면을 통해 배수되면서 일부는 처리조(20)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종 세제 및 염분 등이 처리조(20))로 여전히 투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의 분해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미생물은 세제 또는 염분이 투입될 경우 사멸됨]를 안고 있다.
나아가,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가 이루는 공간 내에 물이 고이도록 하여 미생물을 활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할 경우 제1격벽부(51)와 제2격벽부(52) 사이의 공간 내에 고인 물에 의해 오히려 각종 균이 번식되는 문제점까지 초래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61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838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028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274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먹고 난 후 설거지를 할 때, 뚜껑으로 언더플랜지의 센터홀을 폐쇄시킬 경우 세제 그리고 음식물 속에 함유된 염분이 수돗물과 함께 주변홀을 통해 빠져나가 수돗물가이더에 의해 사이드이격공간으로 낙하된 후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되면서 세제 및 염분 등이 처리조 속으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처리조 내의 바이오볼에 서식하고 있는 음식물 분해용 균주인 미생물로의 영향을 주지 않아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수명 역시 보장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릇이나 용기의 설거지를 마칠 무렵 세제 및 염분은 수돗물과 함께 모두 주변홀, 수돗물가이더,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되고, 싱크대에 잔존하는 음식물은 간단히 물기를 짜내 세제 및 염분을 더욱 확실하게 없앤 상태로 뚜껑을 열고 센터홀 및 중심홀을 통해 처리조 속으로 투입하여, 외함의 센터축결합부에 내장된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된 교반날개가 바이오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처리조의 미세홀들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바이오볼의 미생물이 세제 및 염분의 침투가 없는 환경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홀상향측벽 및 이격상향측벽 사이의 가이드유로가 언더플랜지의 주변홀에 대향됨과 동시에 사이드이격공간을 향하여 열려져 언더플랜지의 센터홀을 뚜껑으로 폐쇄시킬 경우 설거지 등에 의한 세제 및 염분과 함께하는 수돗물이 처리조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전량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조 내의 바이오볼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판의 하향테두리와 내함의 상향테두리의 끼움 합치와 더불어 가이드판의 하향홈과 내함의 상향돌기의 끼움 합치로서 어퍼플랜지의 센터홀에 합치된 내측홀상향측벽과 더불어 가이드판을 사이에 두고 언더플랜지 및 내함이 샌드위치 결합되어 어퍼플랜지, 언더플랜지, 가이드판 및 내함이 종방향과 더불어 횡방향으로의 견고한 조립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홈이 가이드판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향돌출테에 의해 마련되어 하향홈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별히 가이드판 위로 돌출[프러스(+)]시키지 않아도 되어 가이드유로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판과 언더플랜지 상호간의 샌드위치 결합 역시 용이토록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함이 가이드유로의 끝단에 맞추어 상단 및 측단을 따라 낙하유도홈을 가지도록 하여 가이드유로를 경유한 수돗물이 정확하게 낙하유도홈을 따라 길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조가 낙하유도홈의 하측방향으로 일치되는 미세홀열외부를 가지도록 하여 세제 및 염분이 함유된 수돗물이 미세홀들을 통해 처리조 속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유로의 끝단에 시소개폐뭉치를 장착시켜 주변홀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클로즈되는 반면 주변홀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가이드유로를 클로즈시켜 냄새의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봉쇄하는 대신 수돗물의 낙하시에만 가이드유로를 오픈시켜 세제 및 염분 등이 씻겨나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돗물의 낙하 유무에 따른 수돗물의 무게에 따라 고정개폐구의 힌지홈에 끼워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개폐구가 개폐홀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클로즈 또는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의 냄새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면서 시소개폐뭉치 역시 고정개폐구와 시소개폐구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시의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소개폐구가 힌지축의 일측으로 펼쳐져 개폐홀을 개폐시키는 일측마개 및 힌지축의 타측으로 펼쳐진 타측무게추로 간소하게 이루어져 전자식이 아닌 무게중심에 의한 물리적 구조로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까지 보장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함이 처리조에 수돗물을 주기적으로 미량 주입하는 체크밸브가 연통되어 바이오볼 속의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더욱 유용하게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모터의 샤프트를 내장하는 센터축결합부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배출로를 지닌 외함과,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교반날개를 내장하면서 미세홀들이 뚫려져 상기 외함으로부터 언더이격공간 및 사이드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센터축결합부에 탑재되는 처리조와,
측단 위의 상단 중심에 중심홀을 지니면서 상기 외함으로부터 사이드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처리조 위에 씌워지는 내함과,
상기 중심홀을 향한 센터홀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센터홀의 외곽으로 주변홀을 지니면서 상기 외함에 결합되는 언더플랜지와,
상기 센터홀을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분리로 상기 센터홀을 오픈시킬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처리조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교반날개와 함께 회전되는 바이오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상기 미세홀들을 통해 상기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뚜껑의 조립으로 상기 센터홀을 닫을 경우 수도물을 상기 주변홀,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시켜 상기 미세분해물과 함께 상기 하부배출로로 배출토록 하는 수돗물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고 난 후 설거지를 할 때, 뚜껑으로 언더플랜지의 센터홀을 폐쇄시킬 경우 세제 그리고 음식물 속에 함유된 염분이 수돗물과 함께 주변홀을 통해 빠져나가 수돗물가이더에 의해 사이드이격공간으로 낙하된 후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되면서 세제 및 염분 등이 처리조 속으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처리조 내의 바이오볼에 서식하고 있는 음식물 분해용 균주인 미생물로의 영향을 주지 않아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수명 역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릇이나 용기의 설거지를 마칠 무렵 세제 및 염분은 수돗물과 함께 모두 주변홀, 수돗물가이더,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되고, 싱크대에 잔존하는 음식물은 간단히 물기를 짜내 세제 및 염분을 더욱 확실하게 없앤 상태로 뚜껑을 열고 센터홀 및 중심홀을 통해 처리조 속으로 투입하여, 외함의 센터축결합부에 내장된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된 교반날개가 바이오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처리조의 미세홀들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바이오볼의 미생물이 세제 및 염분의 침투가 없는 환경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측홀상향측벽 및 이격상향측벽 사이의 가이드유로가 언더플랜지의 주변홀에 대향됨과 동시에 사이드이격공간을 향하여 열려져 언더플랜지의 센터홀을 뚜껑으로 폐쇄시킬 경우 설거지 등에 의한 세제 및 염분과 함께하는 수돗물이 처리조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전량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조 내의 바이오볼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판의 하향테두리와 내함의 상향테두리의 끼움 합치와 더불어 가이드판의 하향홈과 내함의 상향돌기의 끼움 합치로서 어퍼플랜지의 센터홀에 합치된 내측홀상향측벽과 더불어 가이드판을 사이에 두고 언더플랜지 및 내함이 샌드위치 결합되어 어퍼플랜지, 언더플랜지, 가이드판 및 내함이 종방향과 더불어 횡방향으로의 견고한 조립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향홈이 가이드판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향돌출테에 의해 마련되어 하향홈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별히 가이드판 위로 돌출[프러스(+)]시키지 않아도 되어 가이드유로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판과 언더플랜지 상호간의 샌드위치 결합 역시 용이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함이 가이드유로의 끝단에 맞추어 상단 및 측단을 따라 낙하유도홈을 가지도록 하여 가이드유로를 경유한 수돗물이 정확하게 낙하유도홈을 따라 길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처리조가 낙하유도홈의 하측방향으로 일치되는 미세홀열외부를 가지도록 하여 세제 및 염분이 함유된 수돗물이 미세홀들을 통해 처리조 속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유로의 끝단에 시소개폐뭉치를 장착시켜 주변홀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클로즈되는 반면 주변홀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가이드유로를 클로즈시켜 냄새의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봉쇄하는 대신 수돗물의 낙하시에만 가이드유로를 오픈시켜 세제 및 염분 등이 씻겨나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돗물의 낙하 유무에 따른 수돗물의 무게에 따라 고정개폐구의 힌지홈에 끼워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개폐구가 개폐홀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클로즈 또는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의 냄새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면서 시소개폐뭉치 역시 고정개폐구와 시소개폐구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시의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소개폐구가 힌지축의 일측으로 펼쳐져 개폐홀을 개폐시키는 일측마개 및 힌지축의 타측으로 펼쳐진 타측무게추로 간소하게 이루어져 전자식이 아닌 무게중심에 의한 물리적 구조로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함이 처리조에 수돗물을 주기적으로 미량 주입하는 체크밸브가 연통되어 바이오볼 속의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더욱 유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3d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도 4a는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c는 선행기술문헌 4에 따른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싱크대의 일부 단면을 포함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처리조 및 내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가이드판의 사시도 및 저면도 그리고 내함의 사시도를 포함한 분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싱크대(1)의 일부 단면을 포함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의 샤프트(M1)를 내장하는 센터축결합부(H1)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배출로(H2)를 지닌 외함(H)과, 모터(M)의 샤프트(M1)에 고정되는 교반날개(W)를 내장하면서 미세홀(J1)들이 뚫려져 외함(H)으로부터 언더이격공간(K1) 및 사이드이격공간(K2)을 두고 센터축결합부(H1)에 탑재되는 처리조(J)와, 측단(N1) 위의 상단(N2) 중심에 중심홀(N3)을 지니면서 외함(H)으로부터 사이드이격공간(K2)을 두고 처리조(J) 위에 씌워지는 내함(N)과, 내함(N)의 중심홀(N3)을 향한 센터홀(P1)을 가짐과 동시에 센터홀(P1)의 외곽으로 주변홀(P2)을 지니면서 외함(H)에 결합되는 언더플랜지(P)와, 언더플랜지(P)의 센터홀(P1)을 개폐시키는 뚜껑(D)과, 언더플랜지(P)에 결합되는 어퍼플랜지(Q)와, 뚜껑(D)의 분리로 센터홀(P1)을 오픈시킬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조(J)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모터(M)에 연동되는 교반날개(W)와 함께 회전되는 바이오볼(B)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미세홀(J1)들을 통해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뚜껑(D)의 조립으로 센터홀(P1)을 닫을 경우 수도물을 주변홀(P2), 사이드이격공간(K2) 및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시켜 미세분해물과 함께 하부배출로(H2)로 배출토록 하는 수돗물가이더(G)를 포함한다.
언더플랜지(P)는 외함(H)에 체결(나사체결)될 수 있음과 동시에 싱크대(1)를 사이에 두고 어퍼플랜지(Q)에 조립되어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싱크대(1)의 하부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는 수돗물 및 음식물쓰레기의 미세분해물은 외함(H)의 하부배출로(H2)를 경유하여 미 도시된 하수파이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음식물을 먹고 난 후 설거지를 할 때, 뚜껑(D)으로 언더플랜지(P)의 센터홀(P1)을 폐쇄시킬 경우 세제 그리고 음식물 속에 함유된 염분이 수돗물과 함께 주변홀(P2)을 통해 빠져나가 수돗물가이더(G)에 의해 사이드이격공간(K2)으로 낙하된 후 언더이격공간(K1)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H2)로 배출되면서 세제 및 염분 등이 처리조(J) 속으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처리조(J) 내의 바이오볼(B)에 서식하고 있는 음식물 분해용 균주인 미생물로의 영향을 주지 않아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수명 역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그릇이나 용기의 설거지를 마칠 무렵 세제 및 염분은 수돗물과 함께 모두 주변홀(P2), 수돗물가이더(G), 사이드이격공간(K2) 및 언더이격공간(K1)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H2)로 배출되고, 싱크대(1)에 잔존하는 음식물은 간단히 물기를 짜내 세제 및 염분을 더욱 확실하게 없앤 상태로 뚜껑(D)을 열고 센터홀(P1) 및 중심홀(N3)을 통해 처리조(J) 속으로 투입하면, 외함(H)의 센터축결합부(H1)에 내장된 모터(M)의 샤프트(M1)에 고정된 교반날개(W)가 바이오볼(B)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처리조(J)의 미세홀(J1)들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바이오볼(B)의 미생물은 세제 및 염분의 침투가 없는 환경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뚜껑(D)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순수한 수돗물을 센터홀(P1) 및 중심홀(N3)을 통해 투입하여 처리조(J)를 세척하면서 미세홀(J1)들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언더이격공간(K1)에 쌓인 미세분해물과 함께 하부배출로(H2)를 경유하여 미 도시의 하수파이프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거나, 뚜껑(D)을 클로즈시킨 상태에서 순수한 수돗물을 주변홀(P2), 수돗물가이더(G) 및 사이드이격공간(K2)으로 낙하시켜 언더이격공간(K1)에 쌓인 미세분해물과 함께 하부배출로(H2)를 경유하여 미 도시의 하수파이프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처리조(J) 및 내함(N)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가이드판(G10)의 사시도 및 저면도 그리고 내함(N)의 사시도를 포함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수돗물가이더(G)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플랜지(Q)의 센터홀(P1)과 더불어 언더플랜지(P)의 중심홀(N3)에 합치되는 내측홀상향측벽(G11) 및 내측홀상향측벽(G11)으로부터 이격된 이격상향측벽(G12) 사이에서 언더플랜지(P)의 주변홀(P2)에 대향됨과 동시에 사이드이격공간(K2)을 향하여 열려진 가이드유로(G13)를 구비하여 언더플랜지(P) 및 내함(N)에 의해 샌드위치 조립되는 가이드판(G10)을 포함한다.
가이드판(G10)의 내측홀상향측벽(G11)에 센터홀(P1) 및 중심홀(N3)이 샌드위치 합치되어 내함(N)과 더불어 어퍼플랜지(Q)를 종방향으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케 하여 모터(M)에 의한 교반날개(W)의 회전시 흔들림없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소음까지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내측홀상향측벽(G11) 및 이격상향측벽(G12) 사이의 가이드유로(G13)가 언더플랜지(P)의 주변홀(P2)에 대향됨과 동시에 사이드이격공간(K2)을 향하여 열려져 언더플랜지(P)의 센터홀(P1)을 뚜껑(D)으로 폐쇄시킬 경우 설거지 등에 의한 세제 및 염분과 함께하는 수돗물이 처리조(J)로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전량 사이드이격공간(K2) 및 언더이격공간(K1)을 경유하여 하부배출로(H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조(J) 내의 바이오볼(B)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내함(N)은 중심홀(N3)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향테두리(N4)와, 상단(N2)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기(N5)를 구비하고, 가이드판(G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N)의 상향테두리(N4)에 끼워지는 하향테두리(G16)와, 상향돌기(N5)를 수용하는 하향홈(G14)을 구비하여, 가이드판(G10)의 하향테두리(G16)와 내함(N)의 상향테두리(N4)의 끼움 합치와 더불어 가이드판(G10)의 하향홈(G14)과 내함(N)의 상향돌기(N5)의 끼움 합치로서 어퍼플랜지(Q)의 센터홀(P1)에 합치된 내측홀상향측벽(G11)과 더불어 가이드판(G10)을 사이에 두고 언더플랜지(P) 및 내함(N)이 샌드위치 결합되어 어퍼플랜지(Q), 언더플랜지(P), 가이드판(G10) 및 내함(N)이 종방향과 더불어 횡방향으로의 견고한 조립을 함께 보장할 수 있다.
이때, 하향홈(G14)은 가이드판(G10)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향돌출테(G15)에 의해 마련되어 하향홈(G14)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별히 가이드판(G10) 위로 돌출[프러스(+)]시키지 않아도 되어 가이드유로(G13)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판(G10)과 언더플랜지(P) 상호간의 샌드위치 결합 역시 용이토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내함(N)은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맞추어 상단(N2) 및 측단(N1)을 따라 낙하유도홈(N6)을 가지도록 하여 가이드유로(G13)를 경유한 수돗물이 정확하게 낙하유도홈(N6)을 따라 길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처리조(J)는 낙하유도홈(N6)의 하측방향으로 일치되는 미세홀열외부(J2)를 가지도록 하여 세제 및 염분이 함유된 수돗물이 미세홀(J1)들을 통해 처리조(J) 속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된 수돗물가이더(G)는 도 5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장착되어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클로즈되는 반면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오픈되는 시소개폐뭉치(S)를 포함한다.
가이드유로(G13)가 상시 오픈될 경우 센터홀(P1)을 뚜껑(D)으로 폐쇄시키더라도 처리조(J)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때 발생하는 냄새가 미세홀(J1)들을 경유하여 사이드이격공간(K2) 및 가이드유로(G13)로 역분출하여 결국 주변홀(P2)을 통해 외부로 퍼져 주방 및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킬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시소개폐뭉치(S)를 장착시켜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클로즈되는 반면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가이드유로(G13)를 클로즈시켜 냄새의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봉쇄하는 대신 수돗물의 낙하시에만 가이드유로(G13)를 오픈시켜 세제 및 염분 등이 씻겨나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소개폐뭉치(S)는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고정되어 연통되는 개폐홀(S12)을 지닌 링형바디(S11)의 측면에 힌지홈(S13)을 구비한 고정개폐구(S10)와, 힌지홈(S13)에 끼워져 시소회전되는 힌지축(S21)을 지니면서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개폐홀(S12)을 클로즈시키는 반면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홀(S12)을 오픈시키는 시소개폐구(S20)를 포함한다.
수돗물의 낙하 유무에 따른 수돗물의 무게에 따라 고정개폐구(S10)의 힌지홈(S13)에 끼워진 힌지축(S21)을 중심으로 시소개폐구(S20)가 개폐홀(S12)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클로즈 또는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의 냄새 역분출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면서 시소개폐뭉치(S) 역시 고정개폐구(S10)와 시소개폐구(S20)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시의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시소개폐구(S20)는 힌지축(S21)의 일측으로 펼쳐져 개폐홀(S12)을 개폐시키는 일측마개(S22) 및 힌지축(S21)의 타측으로 펼쳐진 타측무게추(S23)로 간소하게 이루어져 전자식이 아닌 무게중심에 의한 물리적 구조로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까지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소개폐뭉치(S)는 링형바디(S11)의 양측에 마련된 통공(S14)과, 통공(S14)을 경유하여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체결되는 나사(S30)를 포함하여 그 조립 역시 매우 수월하게 된다.
한편, 내함(N)은 처리조(J)에 수돗물을 주기적으로 미량 주입하는 체크밸브(V)가 연통되어 바이오볼(B) 속의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더욱 유용하게 한다(건조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외함(H)의 하부에 조립되어 모터(M)를 보호하는 하부케이스(C)를 포함하여 모터(M)를 보호함과 더불어 싱크대(1) 하부의 수납공간에 대한 보다 깔끔한 상태를 유지케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며, 어퍼플랜지는 싱크대에 설치 여부에 따라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고, 뚜껑의 조립으로 센터홀을 닫을 경우 수돗물을 주변홀에서 사이드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시킬 때 사이드이격공간에는 주변홀 및 언더이격공간을 연통시켜 수돗물을 낙하시기키 위한 호스를 마련할 수 있고, 나아가 내함의 외측 또는 외함의 내측에 수돗물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돗물의 낙하는 주변홀에서부터 사이드이격공간 및 언더이격공간으로 낙하시키는 기술사상에 해당됨은 물론이다.
1 : 싱크대 M : 모터
M1 : 샤프트 H : 외함
H1 : 센터축결합부 H2 : 하부배출로
J : 처리조 J1 : 미세홀
J2 : 미세홀열외부 W : 교반날개
K1 : 언더이격공간 K2 : 사이드이격공간
N : 내함 N1 : 측단
N2 : 상단 N3 : 중심홀
N4 : 상향테두리 N5 : 상향돌기
N6 : 낙하유도홈 P : 언더플랜지
P1 : 센터홀 P2 : 주변홀
D : 뚜껑 Q : 어퍼플랜지
B : 바이오볼 G : 수돗물가이더
G10 : 가이드판 G11 : 내측홀상향측벽
G12 : 이격상향측벽 G13 : 가이드유로
G14 : 하향홈 G15 : 하향돌출테
G16 : 하향테두리 S : 시소개폐뭉치
S10 : 고정개폐구 S11 : 링형바디
S12 : 개폐홀 S13 : 힌지홈
S14 : 통공 S20 : 시소개폐구
S21 : 힌지축 S22 : 일측마개
S23 : 타측무게추 S30 : 나사
V : 체크밸브 C : 하부케이스

Claims (12)

  1. 삭제
  2. 모터(M)의 샤프트(M1)를 내장하는 센터축결합부(H1)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배출로(H2)를 지닌 외함(H)과, 상기 샤프트(M1)에 고정되는 교반날개(W)를 내장하면서 미세홀(J1)들이 뚫려져 상기 외함(H)으로부터 언더이격공간(K1) 및 사이드이격공간(K2)을 두고 상기 센터축결합부(H1)에 탑재되는 처리조(J)와, 측단(N1) 위의 상단(N2) 중심에 중심홀(N3)을 지니면서 상기 외함(H)으로부터 사이드이격공간(K2)을 두고 상기 처리조(J) 위에 씌워지는 내함(N)과, 상기 중심홀(N3)을 향한 센터홀(P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센터홀(P1)의 외곽으로 주변홀(P2)을 지니면서 상기 외함(H)에 결합되는 언더플랜지(P)와, 상기 센터홀(P1)을 개폐시키는 뚜껑(D)과, 상기 뚜껑(D)의 분리로 상기 센터홀(P1)을 오픈시킬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처리조(J)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모터(M)에 연동되는 교반날개(W)와 함께 회전되는 바이오볼(B)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미세분해물로 분해하여 상기 미세홀(J1)들을 통해 상기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뚜껑(D)의 조립으로 상기 센터홀(P1)을 닫을 경우 수도물을 상기 주변홀(P2), 사이드이격공간(K2) 및 언더이격공간(K1)으로 낙하시켜 상기 미세분해물과 함께 상기 하부배출로(H2)로 배출토록 하는 수돗물가이더(G)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가이더(G)는 상기 센터홀(P1)과 더불어 상기 중심홀(N3)에 합치되는 내측홀상향측벽(G11) 및 상기 내측홀상향측벽(G11)으로부터 이격된 이격상향측벽(G12) 사이에서 상기 주변홀(P2)에 대향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이격공간(K2)을 향하여 열려진 가이드유로(G13)를 구비하여 상기 언더플랜지(P) 및 내함(N)에 의해 샌드위치 조립되는 가이드판(G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N)은 상기 중심홀(N3)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향테두리(N4)와, 상기 상단(N2)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기(N5)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G10)은 상기 상향테두리(N4)에 끼워지는 하향테두리(G16)와, 상기 상향돌기(N5)를 수용하는 하향홈(G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홈(G14)은 상기 가이드판(G10)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향돌출테(G15)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N)은 상기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맞추어 상기 상단(N2) 및 측단(N1)을 따라 낙하유도홈(N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J)는 상기 낙하유도홈(N6)의 하측방향으로 일치되는 미세홀열외부(J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가이더(G)는 상기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클로즈되는 반면 상기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오픈되는 시소개폐뭉치(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개폐뭉치(S)는
    상기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고정되어 연통되는 개폐홀(S12)을 지닌 링형바디(S11)의 측면에 힌지홈(S13)을 구비한 고정개폐구(S10)와,
    상기 힌지홈(S13)에 끼워져 시소회전되는 힌지축(S21)을 지니면서 상기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개폐홀(S12)을 클로즈시키는 반면 상기 주변홀(P2)을 통해 수돗물이 낙하될 경우 수돗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개폐홀(S12)을 오픈시키는 시소개폐구(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개폐구(S20)는 상기 힌지축(S21)의 일측으로 펼쳐져 상기 개폐홀(S12)을 개폐시키는 일측마개(S22) 및 상기 힌지축(S21)의 타측으로 펼쳐진 타측무게추(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개폐뭉치(S)는 상기 링형바디(S11)의 양측에 마련된 통공(S14)과, 상기 통공(S14)을 경유하여 상기 가이드유로(G13)의 끝단에 체결되는 나사(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1.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N)은 상기 처리조(J)에 수돗물을 주기적으로 미량 주입하는 체크밸브(V)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2.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H)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모터(M)를 보호하는 하부케이스(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200152232A 2020-11-13 2020-11-13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26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32A KR102263408B1 (ko) 2020-11-13 2020-11-13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32A KR102263408B1 (ko) 2020-11-13 2020-11-13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408B1 true KR102263408B1 (ko) 2021-06-21

Family

ID=7659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32A KR102263408B1 (ko) 2020-11-13 2020-11-13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688B1 (ko) 2021-10-27 2023-01-19 서은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143A (ko) 2001-11-26 2002-04-06 송무석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183878B1 (ko) 2012-02-01 2012-09-19 박종국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KR101365033B1 (ko) * 2013-03-27 2014-02-20 김재우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JP2014034001A (ja) * 2012-08-08 2014-02-24 Tsunehisa Tahashi 生ゴミ処理装置
KR101485843B1 (ko) * 2013-06-10 2015-01-26 (주)바이오스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7427B1 (ko)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7803B1 (ko) * 2014-08-20 2017-09-18 주식회사 휴먼스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2102855B1 (ko) 2018-10-01 2020-04-22 정정희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143A (ko) 2001-11-26 2002-04-06 송무석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183878B1 (ko) 2012-02-01 2012-09-19 박종국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JP2014034001A (ja) * 2012-08-08 2014-02-24 Tsunehisa Tahashi 生ゴミ処理装置
KR101365033B1 (ko) * 2013-03-27 2014-02-20 김재우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 2013-06-10 2015-01-26 (주)바이오스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7803B1 (ko) * 2014-08-20 2017-09-18 주식회사 휴먼스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627427B1 (ko)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02855B1 (ko) 2018-10-01 2020-04-22 정정희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688B1 (ko) 2021-10-27 2023-01-19 서은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62742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6078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7778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060104368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615321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6801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22006557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86064B1 (ko)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KR101065720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04572U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일체형 감량장치
KR20170102663A (ko) 필터링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9648359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机
KR102331542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00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955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9990021745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