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803B1 -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803B1
KR101777803B1 KR1020140108398A KR20140108398A KR101777803B1 KR 101777803 B1 KR101777803 B1 KR 101777803B1 KR 1020140108398 A KR1020140108398 A KR 1020140108398A KR 20140108398 A KR20140108398 A KR 20140108398A KR 101777803 B1 KR101777803 B1 KR 10177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ink
main body
inl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616A (ko
Inventor
최선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to KR102014010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8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 분해물을 오수를 이용하여 배출시키고, 싱크대의 내부에 구비된 배관에 간섭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설치하며, 교반 및 분해 시 상면이나 구석에 음식물 쓰레기가 들러붙은 않도록 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이러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교반 및 분해된 분해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를 갖는 원통형의 분해실, 상기 분해실에서 배출된 분해물을 집수하여 배출시키도록 배출관을 갖는 집수실, 상기 본체의 유입구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실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집수실에는 트랩에서 공급된 오수를 이용하여 집수실에 퇴적된 분해물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FOOD PROCESSOR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 분해물을 배출시키고, 싱크대의 내부에 구비된 배관에 간섭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설치하며, 교반 및 분해 시 상면이나 구석에 음식물 쓰레기가 들러붙은 않도록 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기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처리 방식에 따라 건조, 분쇄, 미생물발효 등으로 대별된다.
상술한 건조 및 분쇄 방식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및 분쇄하는데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쓰레기로 버려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미생물발효 방식은 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없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므로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미생물발효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8905호(2013.09.10)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가 공개되어 있으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살펴보면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상부 투입구가 연결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통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상,하부 공간을 분리 형성하여 상부 공간에는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익에 의해 교반하면서 분해시키는 분해실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분리수거실을 구성하되 상기 분해실과 분리수거실 사이에는 차단부와 타공부으로 구성되는 격판을 설치하여 상기 타공부는 분해실과 분리 수거실을 구멍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부의 하부에는 차단판의 상단을 고정시키고, 하부는 유입구를 구성하고, 음식물 처리통의 상부에는 이격판의 하단을 설치하여 상부는 유출구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역류 필터를 설치하고, 일정 수위 이상의 오수만 역류 필터를 통해 오버 플로우시켜 분리 배출하는 오수 분리배출실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종래 기술은 싱크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오수는 역류 필터를 이용하여 배출시켜야 하므로 역류 필터의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종래 기술은 분해실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실의 상면이나 구석에 들러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미생물로 분해된 고형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종래 기술은 분리수거실의 바닥에 쌓여서 퇴적된 미세고형물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은 고형물과 오수층에서 일정 수위 이상의 오수만이 역류 필터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분리수거실의 바닥에 쌓인 고형물을 깨끗하게 씻어서 배출시킬 수 없는 것이다.
넷째, 상기 종래 기술은 음식물 처리통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싱크대에 설치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내부 안쪽에는 난방 및 급수를 위해 여려 배관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관의 간섭으로 인하여 싱크대의 배수구에 음식물 처리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고 오수를 이용하여 퇴적된 분해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키며, 교반 및 분해 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실의 구석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고, 싱크대의 내부에 구비된 배관에 간섭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교반 및 분해된 분해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를 갖는 원통형의 분해실, 상기 분해실에서 배출된 분해물을 집수하여 배출시키도록 배출관을 갖는 집수실, 상기 본체의 유입구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실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집수실에는 트랩에서 공급된 오수를 이용하여 집수실에 퇴적된 분해물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교반날개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노즐은 본체에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세척노즐은 세척액을 공급하는 헤더에 분기관으로 각각 연결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와 유입구 사이에는 교체링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구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후면 하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실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물이 아래로 흐르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수를 선택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트랩에서 공급되는 오수를 이용하여 집수실에 퇴적된 분해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랩 내의 봉수에 의해 배출관에서 놀라오는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노즐이 본체에 설치되어 교반날개로 세척액을 분사하므로 분해물의 배출을 도모하는 동시에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며, 교체링에 의하여 유입구의 공간을 확보하므로 분해실 내로 손을 넣어서 수리 등을 할 수 있고, 본체의 후면에 경사판이 구비되어 각종 배관의 간섭을 방지하므로 설치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10)의 배수구(12)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20)를 갖는 본체(100), 유입구(120)를 개폐시키는 커버(130), 유입구(120)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교반 및 분해된 분해물을 본체(100)의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복수의 배출공(142a)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142)를 갖는 원통형의 분해실(140), 분해실(140)에서 배출된 분해물을 집수하여 배출시키도록 배출관(176)을 갖는 집수실(170), 본체(100)의 유입구(120)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실(170)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트랩(18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고 반원형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로 형성하되, 후면 하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110)이 구비되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므로 난방 및 급수 배관의 간섭을 방지하여 이전보다 싱크대(10)의 배수구(12)에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면 중앙에는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싱크대(10)의 배수구(12)에 연결되고, 이 유입구(120)는 커버(13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며, 이 커버(130)의 상부에는 고리(131)가 연결되어 용이한 개폐를 도모하게 된다. 여기서, 커버(130)와 유입구(134) 사이에는 교체링(134)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분해실(140)로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분해실(140)에서 분해할 수 없는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거나 교반날개(150)를 수리할 때, 유입구(120)에서 커버(130)와 교체링(134)을 분리하면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손을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는 투명창(160)이 구비되어 분해실(140)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본체(100)의 좌측에는 모터(도시생략)가 내장되어 교반날개(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분해실(140)은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를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분해실(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해 분해실(140)의 상부는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원형의 단면을 이루고 그 하부에는 반원형의 배출플레이트(142)가 결합되어 마감된다.
여기서, 배출플레이트(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배출공(142a)이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천공되는데, 이러한 배출공(142a)은 직경 0.7㎜ 이하로 형성되어 분해실(140)에서 분해된 분해물과 오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분해실(14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날개(1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입구(120)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시켜서 혼합하므로 분해 효율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 신속하게 분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해실(140)은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가 내면에 들러붙지 않고 아래로 흐르게 되어 용이한 배출을 도모하게 된다.
집수실(170)은 분해실(140)에서 배출된 분해물 및 오수를 집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집수실(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플레이트(142)의 배출공(142a)에서 떨어지는 분해물 및 오수가 모이는데, 그 후면은 상술한 경사판(110)에 의해 마감되어 배출플레이트(142)의 우측에 천공된 배출공(142)에서 떨어지는 분해물 및 오수를 중앙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 5는 교반날개(150)와 배출플레이트(142) 등의 내부구성을 생략한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실(140)의 바닥 좌측에는 트랩(180)이 연결되고 우측에는 배출관(176)이 연결되며, 트랩(180)과 배출관(176) 사이의 바닥에는 구획판(174)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배출유로(172)를 형성하게 된다. 배출유로(172)는 집수실(170)의 넓은 면적을 좁은 길로 형성하여 배출플레이트(142)의 배출공(142a)에서 배출된 분해물을 배출관(176)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트랩(180)의 일단(182)은 유입구(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184)은 집수실(170)의 바닥 좌측에 연결되어 유입구(120)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실(170)로 공급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랩(180)에서 공급되는 오수에 의해 집수실(170)의 바닥에 쌓인 분해물은 배출유로(172)를 따라 안내되어 배출관(176)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트랩(180)은 유입되는 오수가 곡부에 차서 봉수(W)를 형성하므로 배출관을 통하여 올라오는 냄새, 벌레 등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교반날개(150)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노즐(200)을 더 포함한다. 세척노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어 분해실(140)을 관통하며, 세척노즐(200)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으로 교반날개(150)에 들러붙은 분해물을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노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복수의 세척노즐(200)은 세척액을 공급하는 헤더(220)에 분기관(210)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으로 고리(131)를 잡고 커버(130)를 들어서 유입구(120)를 개방하여 싱크대(10)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구(120)로 버린다.
이어서, 유입구(120)를 통하여 분해실(140)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공급한 후 교반날개(150)를 작동시키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혼합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어 작은 입자의 분해물로 되는데, 이때 분해실(1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분해물이 내면에 들러붙지 않고 아래로 흐르게 된다.
계속해서, 분해실(140) 내의 분해물은 배출플레이트(142)의 배출공(142a)을 통하여 집수실(170)로 떨어져서 모이게 되는데, 이때 배출플레이트(142)의 우측에 천공된 배출공(142a)을 통하여 떨어지는 분해물은 경사판(110)에 의하여 배출유로(172)의 가운데로 모이게 된다.
다음, 도 7에서와 같이 유입구(120)를 커버(130)로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10)에서 발생된 오수를 유입구(120)로 흘려보내면, 트랩(180)의 일단부로 유입된 오수가 집수실(170)의 바닥으로 공급된 후 배출유로(172)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때 집수실(170)에 쌓여서 퇴적된 분해물은 오수에 의하여 배출유로(172)를 따라 안내되어 배출관(176)으로 배출된다.
한편, 교반날개(150)에 분해물이 들러붙게 되면, 세척노즐(200)에서 세척액을 분사하여 교반날개(150)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분해실(140)로 손을 넣어서 분해할 수 없는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거나 교반날개(150)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커버(130)와 교체링(134)을 분리하면 더욱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리할 때 손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싱크대 12 : 배수구
100 : 본체 110 : 경사판
120 : 유입구 130 : 커버
140 : 분해실 150 : 교반날개
160 : 투명창 170 : 집수실
180 : 트랩 200 : 세척노즐
220 : 헤더

Claims (5)

  1.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교반 및 분해된 분해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를 갖는 원통형의 분해실, 상기 분해실에서 배출된 분해물을 집수하여 배출시키도록 배출관을 갖는 집수실, 상기 본체의 유입구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실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집수실에는 트랩에서 공급된 오수를 이용하여 집수실에 퇴적된 분해물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교반날개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노즐은 본체에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세척노즐은 세척액을 공급하는 헤더에 분기관으로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유입구 사이에는 교체링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구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 하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20140108398A 2014-08-20 2014-08-20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77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98A KR101777803B1 (ko) 2014-08-20 2014-08-20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98A KR101777803B1 (ko) 2014-08-20 2014-08-20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16A KR20160022616A (ko) 2016-03-02
KR101777803B1 true KR101777803B1 (ko) 2017-09-18

Family

ID=5558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98A KR101777803B1 (ko) 2014-08-20 2014-08-20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26B1 (ko) 2020-08-05 2021-05-18 손명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63408B1 (ko) *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295515B1 (ko) 2020-12-16 2021-08-31 손명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41B1 (ko) * 2019-04-04 2020-02-20 양영애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102628053B1 (ko) * 2022-03-03 2024-01-23 유상채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905B1 (ko) * 2013-03-12 2013-09-23 주식회사 퍼휴먼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905B1 (ko) * 2013-03-12 2013-09-23 주식회사 퍼휴먼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26B1 (ko) 2020-08-05 2021-05-18 손명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63408B1 (ko) *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295515B1 (ko) 2020-12-16 2021-08-31 손명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16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CN104141331B (zh) 食物垃圾处理器
KR10162742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21099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308905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2229107B1 (ko) 주방용 오물 분쇄기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KR1016801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02331276A (ja) 排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JP2002331276A5 (ko)
KR200445578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JP615321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206478B1 (ko) 음식물복합처리기
JP2001293460A (ja)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99915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1463574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소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