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78Y1 -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 Google Patents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78Y1
KR200445578Y1 KR2020090000847U KR20090000847U KR200445578Y1 KR 200445578 Y1 KR200445578 Y1 KR 200445578Y1 KR 2020090000847 U KR2020090000847 U KR 2020090000847U KR 20090000847 U KR20090000847 U KR 20090000847U KR 200445578 Y1 KR200445578 Y1 KR 200445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tic tank
food waste
waste treatment
treatment apparatu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욱
Original Assignee
고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욱 filed Critical 고태욱
Priority to KR2020090000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는 디스포저(D)와 인접하는 싱크대(S)상에 설치되고, 물과 함께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 후 하수도상으로 방류하도록 정화조(10), 침전실(20), 미생물공급수단(30) 등을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한꺼번에 대량의 음식물찌꺼기가 정화조내부로 유입되더라도 격판상단에 형성된 걸름홈에 의해 물과 음식물찌꺼기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음식물찌꺼기의 완전분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음식물찌꺼기, 정화조, 격판, 걸름홈

Description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septic tank fo garbage disposer}
본 고안은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및 식당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를 분쇄 후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분해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찌꺼기는 수분이 다량함유된 상태이므로 일반쓰레기와 함께 취급시 부패로 인해 악취발생, 세균번식으로 비위생적임에 따라 반드시 일반쓰레기와 분리해 두었다가 주변에 비치된 별도의 음식물쓰레기통에 분리배출해야 한다. 하지만 음식물쓰레기통이 주로 옥외에 비치되므로 다세대주택의 경우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수시로 오르내려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자에는 싱크대 배수구상에 디스포저(예컨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절삭날과 같은 분쇄부재가 회동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음식물찌꺼기를 잘게 분쇄함과 동시에 정화에 필요한 미생물을 추가로 분사한 다음 방류하고 있지만, 잘게 분쇄된 입자상태의 음식물찌꺼기가 미생물에 의해 완전분해되어 정화되기도 전에 하수구로 배출되므로 수질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번호 제0813476호에서 다수의 침전실을 거쳐 1차 적으로 분리된 물은 신속하게 배출되면서 입자상태의 음식물 찌꺼기는 침전된 상태로 자연 교반되면서 정량주입된 미생물에 의해 2차적으로 완전분해되는 구조를 가지는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를 선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는 사용상에 있어서, 대량의 음식물 찌꺼기를 한꺼번에 배출시 음식물찌꺼기가 정화조내에서 완전분해되지 못하고 그대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즉, 디스포저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찌꺼기가 정화조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시 음식물찌꺼기의 이동이 격판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넘처흘러 배출구로 방류되므로 음식물찌꺼기의 완전분해 처리성능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찌꺼기의 배출량에 무관하게 침전실내에서 음식물찌꺼기의 수거침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싱크대(S)에 설치된 디스포저(D)의 토출구(D1)상에 연결되는 주입구(12)가 일측 상단에 형성되고, 다른 일측 저면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출구(14)가 구비되는 정화조(10); 상기 정화조(10)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서로 상이한 수위로 저장되도록 상단에 걸름홈(22a)이 구비된 다수의 격판(22)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침전실(20); 및 상기 정화조(10) 의 주입구(12)와 인접하는 침전실(20)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노즐(32)과, 노즐(32)상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는 펌프(34a)가 설치된 저장탱크(34)가 구비되는 미생물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화조(10)는 상부가 개방되어 패킹(11d)이 구비된 덮개(11)에 의해 마감되고, 덮개(11)는 후크(11a)와 후크홈(11b)에 의해 체결되면서 일단에 정화조(10)상에 걸림체결되는 걸림턱(1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4)는 정화조(10) 내부에 설치되는 마감판(34b)에 의해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마감판(34b)은 정화조(10)와 분할제작되어 가이드홈(10a)을 통하여 삽입설치후 기밀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조(10)는 측면이 투명한 검사창(4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실(20)은 바닥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호퍼(42)와, 호퍼(42) 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밸브(44)가 설치되는 찌꺼기배출수단(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실(20)은 정화조(10)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격판(22)사이에 설치되는 보조격판(50)에 의해 선단부가 국부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꺼번에 대량의 음식물찌꺼기가 정화조내부로 유입되더라도 격판상단에 형성된 걸름홈에 의해 물과 음식물찌꺼기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음식물찌꺼기의 완전분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정화조 내부 공간이 마감판에 의해 분할되어 미생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덮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저장탱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는 디스포저(D)와 인접하는 싱크대(S)상에 설치되고, 물과 함께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 후 하수도상으로 방류하도록 정화조(10), 침전실(20), 미생물공급수단(30) 등을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10)는 싱크대(S)에 설치된 디스포저(D)의 토출구(D1)상에 연결되는 주입구(12)가 일측 상단에 형성되고, 다른 일측 저면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출구(14)가 구비된다. 정화조(10)는 내부가 빈 중공의 탱크로서, 설치 위치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고려하여 원통형 혹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주입구(12)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내부로 투입되면, 후술하는 다수의 침전실(20)을 거처 완전분해된 상태로 배출구(14)로 방류되되, 여기서 배출구(14)는 하수도관과 연결된다.
그리고, 주입구(12)는 정화조(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고, 배출구(14)는 다른 일측 하단에 형성됨에 따라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정화조(10) 내부로 투입시 침전실(20)에 서로 상이한 수위로 저장되면서 단계적으로 흘러 내려 방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배출구(14)는 도 1과 같이 정화조(10)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침전실(20) 중 마지막 침전실(20)로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면 배출구(14) 높이만큼 저장된 후에 넘쳐 하수도상으로 방류된다. 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분해되어 방류되는 직전까지 미분해된 음식물 찌꺼기를 침전시켜 완전분해를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정화조(10)는 상부가 개방되어 패킹(11d)이 구비된 덮개(11)에 의해 마감되고, 덮개(11)는 후크(11a)와 후크홈(11b)에 의해 체결되면서 일단에 정화조(10)상에 걸림체결되는 걸림턱(11c)이 형성된다. 이에 덮개(11)를 조립시 걸림턱(11c)은 도 2와 같이 "ㄴ"자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정화조(10)의 상부일측에 걸린상태로 후크(11a)와 후크홈(11b)에 의해 결속되고, 정화조(10)와 덮개(11)사이는 패킹에 의해 긴밀하게 밀패처리된다.
또한, 침전실(20)은 정화조(10)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서로 상이한 수위로 저장되도록 상단에 걸름홈(22a)이 구비된 다수의 격판(22)에 의해 분할형성된다. 격판(22)은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주입구(12) 측에서부터 점차 낮은 순으로 설치되어 서로 다른 저장수위를 가진 다수의 침전실(20)이 형성된다.
이에 침전실(20)은 주입구(12)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비교적 큰 입자상태의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바닥에 침전되면서 미세한 크기의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 포함된 물은 다음 침전실(20)로 유입되고, 이러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입자상태의 음식물 찌꺼기가 모두 제거된 물은 배출구(14)를 통하여 방류되며, 침전실(20)에 침전된 입자상태의 음식물 찌꺼기는 후술하는 미생물공급수단(30)을 통하여 주입되는 미생물에 의해 완전분해된 상태로 방류된다.
이때, 상기 격판(22)은 상단에 걸름홈(22a)이 형성되는바, 여기서 걸름홈(22a)은 상대하협구조의 "V"자형 홈이 다수개소에 구비되어 음식물 찌꺼기가 대량으로 유입시 물은 배출시키되, 음식물 찌꺼기의 이동은 차단되어 음식물 찌꺼기가 긴밀하게 수거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이 걸름홈(22a)을 통과시 물줄기형태로 낙하되면서 다음 침전실(20)에 저장된 물과 마찰되어 후술하는 미생물공급수단(30)을 통하여 공급된 미생물을 신속하게 배합시킴은 물론 침전실(20)에 저장된 물속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1의 확대도에서처럼 주입구(12)와 대응하는 격판(22) 일측은 민자형태로 돌출시켜 유입압력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공급수단(30)은 정화조(10)의 주입구(12)와 인접하는 침전실(20)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노즐(32)과, 노즐(32)상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는 펌프(34a)가 설치된 저장탱크(34)가 구비된다. 저장탱크(34)는 미생물이 저장되는 탱크로써, 정화조(10)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할형성되어 정화조(1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튜브를 통하여 노즐(32)과 연결되는 펌프(34a)의 작동에 의해 미생물이 침전실(20)상으로 주입된다.
이때, 펌프(34a)는 주입구(12)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정화조(10)내부로 투입되는 동안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미생물이 정량공급되도록 디스포저(D)와 연계작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노즐(32)은 첫번째 침전실(20)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미생물이 공급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미생물이 번식하여 서서히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다른 침전실(20)로 단계적으로 이송되면서 고르게 분산되므로 미생물이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4)는 도 3과 같이 정화조(10) 내부에 설치되는 마감판(34b)에 의해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마감판(34b)은 정화조(10)와 분할제작되어 가이드홈(10a)을 통하여 삽입설치후 기밀접착된다. 즉 정화조(10)의 내측벽면에 가이드홈(10a)을 세로방향으로 형성시키고, 가이드홈(10a)상에 마감판(34b)을 삽입설치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면 저장탱크(34)가 형성된다.
이처럼 마감판(34b)을 사용하여 정화조(10) 내부에 저장탱크(34)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또 정화조(10)의 구조가 간단하여 사출성형을 통한 정화조 제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작동상에 있어서, 우선 주방에서 요리 및 식기세척 후 디스포저(D)를 작동시키면, 싱크대(S)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가 분쇄되어 토출구(D1)를 통하여 정화조(10)의 주입구(12)상으로 투입되면서 펌프(34a)가 디스포저(D)와 연계작동되어 노즐(32)을 통하여 미생물이 침전실로 분사된다. 이때 정화조(10) 내부로 투입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물과 교반된 상태이므로 첫번째 침전실(20)을 거쳐 비교적 큰 입자를 가진 음식물 찌꺼기는 침전된 상태로 다음 침전실(20)로 이동하고, 이러한 단계를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입자상태의 음식물 찌꺼기가 제거된 물은 배출구(14)를 통하여 하수도관으로 방류된다.
그리고, 침전실(20)에 바닥에 침전된 입자상태의 음식물 찌꺼기는 미생물에 의해 서서히 분해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침전실(20)을 단계적으로 거쳐 물과 함께 방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찌꺼기배출수단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찌꺼기배출수단(40)은 침전실(20) 바닥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호퍼(42)와, 호퍼(42) 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밸브(44)가 설치된다. 호퍼(42)는 각각의 침전실(20) 혹은 첫번째 침전실(20) 바닥에 형성(예컨대, 도 4에서는 첫번째 침전실(20)에만 구비된 구성을 도시)되어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생선뼈, 갑각류껍데기, 과일씨앗 등과 같은 음식물 찌꺼기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고, 밸브(44)는 호퍼(42)에 포집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장기간 사용으로 침전실(20) 바닥에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음식물 찌꺼기가 대량으로 쌓이더라도 밸브(44)를 개방하여 간단하게 배출시킴으로 유지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제공된다.
이때, 침전실(20) 바닥에 침전된 음식물 찌꺼기의 두께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화조(10) 측면이 투명한 검사창(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보조격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상기 침전실(20)은 정화조(10)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격판(22)사이에 설치되는 보조격판(50)에 의해 선단부가 국부적으로 분할된다. 즉 보조격판(50)의 하단이 침전실(20)의 저장수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침전실(20)의 선단부를 분할하도록 격판(22) 사이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침전실(20)로 유입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다음 침전실(2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보조격판(50)을 따라 침전실(20) 하부로 하강 후, 다시 상승되는 순환구조를 가짐에 따라 침전실(20) 바닥에 침전된 음식물 찌꺼기가 교반되면서 미생물이 빠르게 침투되어 분해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보조격판(5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침전실(20)에 머무르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의 침전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덮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저장탱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찌꺼기배출수단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의 보조격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6)

  1. 싱크대(S)에 설치된 디스포저(D)의 토출구(D1)상에 연결되는 주입구(12)가 일측 상단에 형성되고, 다른 일측 저면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출구(14)가 구비되는 정화조(10)와, 상기 정화조(10)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서로 상이한 수위로 저장되도록 다수의 격판(22)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침전실(20)과, 상기 정화조(10)의 주입구(12)와 인접하는 침전실(20)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노즐(32)과, 노즐(32)상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는 펌프(34a)가 설치된 저장탱크(34)가 구비되는 미생물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0)는 상부가 개방되어 패킹(11d)이 구비된 덮개(11)에 의해 마감되고, 덮개(11)는 후크(11a)와 후크홈(11b)에 의해 체결되면서 일단에 정화조(10)상에 걸림체결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1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22)은 상단에 상대하협구조의 "V"자형 홈으로 형성된 걸름홈(22a)이 다수개소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34)는 정화조(10) 내부에 설치되는 마감판(34b)에 의해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마감판(34b)은 정화조(10)와 분할제작되어 가이드홈(10a)을 통하여 삽입설치후 기밀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0)는 측면이 투명한 검사창(4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실(20)은 바닥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호퍼(42)와, 호퍼(42) 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밸브(44)가 설치되는 찌꺼기배출수단(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실(20)은 정화조(10)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격판(22)사이에 설치되는 보조격판(50)에 의해 선단부가 국부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KR2020090000847U 2009-01-23 2009-01-23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KR200445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47U KR200445578Y1 (ko) 2009-01-23 2009-01-23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47U KR200445578Y1 (ko) 2009-01-23 2009-01-23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78Y1 true KR200445578Y1 (ko) 2009-08-14

Family

ID=413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847U KR200445578Y1 (ko) 2009-01-23 2009-01-23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64B1 (ko) * 2012-09-28 2014-06-27 한승남 음식물 쓰레기 감량 장치
EP2838675A4 (en) * 2012-04-17 2016-01-13 Rensa Entreprenad Sverige Ab SYSTEM FOR THE TREATMENT OF FOOD WASTE IN DISHWASHING FACILITIES
CN110668647A (zh) * 2019-10-24 2020-01-10 天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净化系统
KR102106600B1 (ko) * 2019-02-13 2020-05-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80U (ko) * 1998-02-19 1999-09-27 박성도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부패 정화조 장치
JP2000279987A (ja) 1999-03-29 2000-10-10 Taiyo Kagaku Kogyo Kk 有機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75036B1 (ko) 2007-07-14 2007-11-09 (주)디엔씨화인컴퍼니 슬러지수집 및 침전탈수장치.
KR100813476B1 (ko) * 2007-10-12 2008-03-13 고태욱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80U (ko) * 1998-02-19 1999-09-27 박성도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부패 정화조 장치
JP2000279987A (ja) 1999-03-29 2000-10-10 Taiyo Kagaku Kogyo Kk 有機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75036B1 (ko) 2007-07-14 2007-11-09 (주)디엔씨화인컴퍼니 슬러지수집 및 침전탈수장치.
KR100813476B1 (ko) * 2007-10-12 2008-03-13 고태욱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8675A4 (en) * 2012-04-17 2016-01-13 Rensa Entreprenad Sverige Ab SYSTEM FOR THE TREATMENT OF FOOD WASTE IN DISHWASHING FACILITIES
KR101410364B1 (ko) * 2012-09-28 2014-06-27 한승남 음식물 쓰레기 감량 장치
KR102106600B1 (ko) * 2019-02-13 2020-05-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 장치
CN110668647A (zh) * 2019-10-24 2020-01-10 天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9033A (ko) 2단 칼날 구조와 자체 정화 구조를 가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20130059090A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445578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540096B1 (ko) 음식물 처리 후 잔유물 걸름 장치
US20150048021A1 (en) Separation devices for processing waste foods disposed of via sinks
CN104588394A (zh) 垃圾连续处理设备
CN104129892B (zh) 一种集成式鱼类废水过滤桶及其使用方法
KR10091577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KR101308905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20160022616A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CN104588396A (zh) 垃圾处理设备
KR20080065945A (ko)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204544951U (zh) 垃圾一体式处理设备
CN204448789U (zh) 一体式垃圾综合处理设备
CN2774994Y (zh) 餐厨垃圾专用收集装置
CN208667290U (zh) 一种铝提纯废水处理装置
KR100813476B1 (ko)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CN109454095A (zh) 一种用于源头预处理后餐厨废弃物的料仓
CN208146642U (zh) 一种餐厨和果蔬垃圾与污水综合处理系统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6320471B (zh) 一种多功能环保型餐厨垃圾处理机
CN212792352U (zh) 一种餐厨垃圾综合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