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789A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789A
KR20090060789A KR1020070127725A KR20070127725A KR20090060789A KR 20090060789 A KR20090060789 A KR 20090060789A KR 1020070127725 A KR1020070127725 A KR 1020070127725A KR 20070127725 A KR20070127725 A KR 20070127725A KR 20090060789 A KR20090060789 A KR 2009006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mposition
tank
sludge
separation tank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901B1 (ko
Inventor
채규식
Original Assignee
신세기 시스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기 시스템 (주) filed Critical 신세기 시스템 (주)
Priority to KR102007012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9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소멸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수질오염을 억제하고 수자원을 과도하게 낭비하지 않도록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교반장치와 미생물 담채가 구비되어 내부로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1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과 함께 교반시켜 상기 미생물을 통해 분해시키도록 마련된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에서 분해된 분해물과 미분해 슬러지가 포함된 분해액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분해조 하부에 상기 분해조와 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미분해 슬러지는 하부에 침전되고 상기 분해물은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에 부유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분해액을 분리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 저부에 침전된 미분해 슬러지가 상기 분해조로 재투입되도록 상기 미분해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슬러지순환유닛과;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 쪽 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분해물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분리조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GARBAG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소멸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면서도 수질오염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는 산업화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각종 음식문화의 발달로 인해 증가 추세에 있다.
종래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들은 통상 매립장에 매립하여 처리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로 이러한 쓰레기 매립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분해하고, 이렇게 분해된 분해물을 물과 함께 액상상태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액상소멸식으로 마련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본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분해 되는 분해조를 구비하고, 분해조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기 위한 복수개의 미생물 담채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가 마련된다.
또 분해조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사이의 교반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면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물이 공급되는데, 이에 따라 분해조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장치의 교반동작을 통해 미생물과 교반되면서 발효되어 분해된다.
그리고 분해조에서 분해된 분해물은 물과 함께 분해액을 형성한 상태로 분해조 바닥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분해조 하부에 마련된 집수조로 전달된다.
집수조에는 분해조와 별도로 물이 공급되어 분해조로부터 전달받은 분해액이 외부로 연결된 배수관을 따라 외부로 씻겨 내려가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해조에서 집수조로 전달되는 분해액 중에는 분해물 외에도 분해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미분해 슬러지가 섞여 있게 마련인데,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경우 이러한 미분해 슬러지와 함께 분해물이 바로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어 있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소멸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수질오염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교반장치와 미생물 담채가 구비되어 내부로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1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과 함께 교반시켜 상기 미생물을 통해 분해시키도록 마련된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에서 분해된 분해물과 미분해 슬러지가 포함된 분해액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분해조 하부에 상기 분해조와 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미분해 슬러지는 하부에 침전되고 상기 분해물은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에 부유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분해액을 분리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 저부에 침전된 미분해 슬러지가 상기 분해조로 재투입되도록 상기 미분해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슬러지순환유닛과;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 쪽 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분해물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분리조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순환유닛은 상기 분리조 저부와 상기 분해조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와, 상기 분해조 쪽으로 펌핑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유로 상에 마련된 펌핑수단과, 상기 제1연결유로 상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유로 중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유로 상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배수유로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제1밸브보다 상기 제1연결유로의 상류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는 상기 제1개폐밸브와 상기 펌핑수단 사이의 상기 제1연결유로에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하길이방향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조의 분해액이 상기 분해액의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링유닛을 거쳐 상기 배수유로로 배수되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조는 상기 필터 하부 쪽 상기 몸체 내부와 제3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필터 상부 쪽 상기 몸체 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필터링유닛의 몸체와 연결된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3연결유로 상부 쪽 상기 분리조 내부와 연결되는 제2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상부 쪽 상기 몸체 내부에는 제3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급수관은 상기 몸체 내부 수위가 상기 필터의 위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필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슬러지순환유닛과 필터링유닛을 통해 분해조에서 분리조로 집수된 분해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해 슬러지는 슬러지순환유닛을 통해 반복적으로 분해조로 재투입되어 완 전하게 분해물로 분해되고, 분해액 중 나머지 분해물은 필터링유닛을 통해 필터링될 수 있게 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분해 과정에서는 분해물이 필터링된 깨끗한 상태의 정화수만이 배수유로를 따라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수질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요인을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어 음식물 쓰레기(g)를 수용하며 분해하는 분해조(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밀폐된 박스형태를 취하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분해조(20)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g)를 투입하기 위해 분해조(20)를 개폐하는 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제어부가 내장되며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12a)이 마련된 콘트롤패널(12)이 설치된다.
또 분해조(20)에는 음식물 쓰레기(g)를 분해하기 위해 호기성 미생물이 고정화된 미생물 담채(13)가 배치되고, 분해조(20)의 내부 중앙에는 음식물 쓰레기(g)의 교반을 위한 교반장치(14)가 마련된다. 교반장치(14)는 횡방향으로 분해조(20) 를 횡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축(14a)과, 회전축(14a)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교반날개(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14a)은 일단에 직경방식으로 결합된 모터(14c)의 구동을 통해 회전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교반날개(14b)는 회전축(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회전축(14a)에 결합된다.
여기서 교반날개(14b)는 분해조(20) 내부 음식물 쓰레기(g)를 고르게 교반시켜 미생물에 의해 잘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축(14a) 축선에 대해 각각 다양한 기울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분해조(20)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g)와 미생물 사이의 교반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면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물이 공급된다.
분해조(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분해조(20) 내부 상측에는 제1급수관(21)이 설치된다. 분해조(20) 내부 제1급수관(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구멍(21a)이 형성되며, 분해조(20) 외부로 연장되는 제1급수관(21)의 일단은 외부 급수원(100)과 연결된다.
그리고 분해조(20) 외부 제1급수관(21) 상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급수원(100)의 물이 제1급수관(21)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1물공급밸브(21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해조(20)의 바닥 쪽에는 복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분해조(20)의 하부에는 분해조(20)에서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 분해물이 물 에 섞여 있는 분해액을 집수하여 분리시키는 분리조(30)가 설치된다. 분리조(30)는 하부 쪽 직경이 상부에 비해 좁도록 깔대기 형태를 취한다.
또 분리조(30) 일측에는 본체(10)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유로(200)가 연결되고, 분리조(30) 내부에는 분리조(30)의 청소시 사용될 수 있게 분해조(20)와 별도로 물이 공급되게 마련된다. 분리조(3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분리조(30) 내부 상측에는 제2급수관(31)이 설치된다. 제2급수관(31)은 제1급수관(21)과 같이 다수의 분사구멍(31a)을 구비하고 상기 제1급수관(21) 함께 외부 급수원(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분리조(30) 외부 제2급수관(31) 상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급수원(100)의 물이 제2급수관(31)으로 안내되어 분리조(30)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2물공급밸브(31b)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분해조(2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g)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패널(12)을 조작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3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물공급밸브(21b)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급수관(21)의 분사구멍(21a)에서는 분해조(20) 내부로 소정시간 동안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g)는 교반되는 과정에서 미생물을 통해 분해되고, 이렇게 분해된 분해물은 물에 섞인 분해액 형태로 분해조(20) 바닥에 형성된 통공(22)을 통해 분리조(30)로 집수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조(20)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g)를 완전히 분해물(102)로 분리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분리조(30)에 집수된 분해액 중에는 소량의 미분해 슬러지(101)가 포함되게 마련이다. 그리고 미분해 슬러지(101)나 분해물과 물 사이에는 비중차가 존재하므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분리조(30) 내부를 보면, 도 2와 같이 미분해 슬러지(101)와 분해물(102)이 상호 분리된 상태가 된다. 즉 비중이 큰 미분해 슬러지(101)는 분리조(30) 하부 바닥 쪽에 침전되어 미분해 슬러지층(30A)을 형성하고, 대부분의 분해물(102)은 바닥 쪽에 침전되어 있는 미분해 슬러지(101) 상부 물 속에 부유된 상태로 물과 함께 분해액층(30B)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분해액층(30B) 내에서도 분해물(102)은 하부 쪽에 더 많이 량이 분포되며, 분해액층(30B)의 상부 쪽에는 분해물(102)이 거의 없거나 있어도 소량만 존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는 상기 분리조(20)의 미분해 슬러지층(30A)에 위치된 미분해슬러지(101)가 분해조(20)로 재투입되도록 미분해 슬러지(101)를 순환시키는 슬러지순환유닛(40)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러지순환유닛(40)은 미분해 슬러지가 분리조(20)에서 본체(10) 외부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분해조(20)로 재투입되도록 하여 미생물을 통해 다시 분해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미분해 슬러지(101)가 상기 배수유로(200)을 따라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면서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슬러지순환유닛(40)은 미분해 슬러지층(30A)이 형성되는 분리조(30) 저부와 분해조(20)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41)와, 상기 분해조(20) 쪽으 로 펌핑력을 발생시키도록 통상의 펌프로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유로(41) 상에 설치되는 펌핑수단(42)과, 상기 제1연결유로(41) 상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된 제1개폐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펌핑수단(42)과 제1개폐밸브(4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g)가 분해된 분해물(102)의 경우에도 미분해 슬러지(101)에 비해서는 약하더라도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분해액층(30B)의 분해액이 배수유로(200)를 따라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분해액 중에 포함된 분해물(102)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분해물의 필터링 작업은 필터링유닛(50)을 통해 이루어진다.
필터링유닛(50)은 먼저 내부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51)와, 몸체(51) 내부의 상하길이방향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52)를 구비한다.
또 분해액층(30B)의 분해액은 별도의 구동원이 없이 분리조(20) 내부 분해액의 수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필터링유닛(50)을 거쳐 상기 배수유로(200) 중 제1배수유로(201)로 안내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51)는 분리조(30)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조(20)는 필터(52) 하부 쪽 상기 몸체(51) 내부와 제3연결유로(53)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배수유로(201)는 상기 필터(52) 상부 쪽 상기 몸체(51) 내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분리조(30) 내부 분해액의 수위가 몸체(51)보다 높을 경우 분해액 층(30B) 분해액은 자동적으로 제3연결유로(53)를 통해 필터링유닛(50)의 몸체(51) 내부로 유입되고, 분해액 중의 분해물(102)은 분해액의 수위가 필터(52)의 위치보다도 높아 몸체(51) 내부로 유입된 분해액의 수위가 필터(52) 상부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필터(52)에 걸려 필터링된다. 따라서 분해액은 필터(52)를 거치는 과정에서 분해물(102)이 제거되어 정화수가 되고, 이러한 정화수는 제1배수유로(201)를 따라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g)의 처리 과정에서 분해조(20)를 거쳐 분리조(30)로 공급된 미분해 슬러지(101)는 슬러지순환유닛(40)을 통해 분해조(20)로 재투입되어 반복적으로 분해되고, 분해된 상태의 분해물(102)은 필터(52)에 의해 필터링 되며, 본체(10) 외부로는 배출되는 배출물은 분해물(102)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정화수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g)의 처리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요인을 모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분해물(102)과 물과의 비중차로 인해 분해액층(30B)의 상부 쪽에는 분해물(102)이 거의 없는 정화수 상태의 물만 존재하게 되므로, 이러한 분해액층(30B) 상부의 물은 별도로 필터(52)를 거쳐 배수유로(200)로 배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배수우로(200)는 상기 필터링유닛(50)의 몸체(51)와 연결되는 제1배수유로(201)와, 제3연결유로(53) 상부 쪽 분리조(2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배수유로(202)와, 제1배수유로(201)와 제2배수유로(202)가 합류되는 제3배수유 로(2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분해물(102)이 거의 없는 분해액층(30B) 상부의 맑은 물은 필터링유닛(50)을 거칠 필요 없이 상기 제2배수유로(202)를 따라 본체(10)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배수유로(201,202)에 의해서는 제3연결유로(53) 하부 쪽 분리조(30)의 분해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없게 되는데, 분리조(20)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나 음식물 쓰레기(g)의 처리작업이 종결된 상태에서는 분리조(30) 하부의 분해액도 본체(10)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연결유로(41) 중도와 상기 제3배수유로(203) 사이에는 제2연결유로(61)가 마련되며, 제2연결유로(61) 상에는 제1연결유로(41)와 제3배수유로(203)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개폐밸브(62)가 마련된다.
따라서 콘트롤패널(12)을 조작하여 제1개폐밸브(43)를 폐쇄하고 제2개폐밸브(62)를 개방시킬 경우 분리조(20) 저부는 제3배수유로(203)와 통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슬러지순환유닛(40)의 펌핑수단(42)을 통해 분리조(20) 저부의 분해액을 제3배수유로(203)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펌핑수단(42)은 제1개폐밸브(43)보다 제1연결유로(41)의 상류 쪽에 마련되고, 제2연결유로(61)는 제1개폐밸브(43)와 상기 펌핑수단(42) 사이의 상기 제1연결유로(4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소정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필터링유닛(50)의 필터(52)에는 많은 량의 분해물이 걸리게 되면서 필터(52)가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는 필요에 따라 필터(52)를 청소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외부 급수원(100)으로부터는 상기 제1 및 제2급수관(21,31) 외에 제3급수관(71)이 분기되고, 이러한 제3급수관(71) 끝단의 분사구(71a)는 상기 필터링유닛(50)의 필터(52) 상부 쪽 몸체(51) 내부로 연결되며, 제3급수관(71)의 중도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급수원(100)의 물이 제3급수관(71)의 분사구(71a)를 통해 몸체(51)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3물공급밸브(71b)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순환유닛(40)을 통해 분리조(30) 내부의 미분해 슬러지(101)가 분해조(20)로 재공급되거나 제1연결유로(41)와 제3배수유로(203)가 연통되어 분리조(30) 저부의 분해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처럼 분리조(30) 내부 분해액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서 몸체(51) 내부의 수위가 필터(52)의 위치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상기 제3개폐밸브(71b)를 개방시키게 되면, 필터(52)는 제3급수관(71)을 따라 상부에서 분사되는 물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되면서 다시 원활한 필터링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필터(52)가 과도하게 막혀 제3급수관(71)의 분사구(71a)를 따라 분사되는 물을 통해 잘 세척되지 않을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몸체(51)의 일측에는 필터(52) 를 외부로 꺼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분해조(20)에서 분리조(30)로 공급된 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해 슬러지(101)가 분해조(20)로 재투입되어 반복적으로 분해되고, 나머지 분해액의 경우 분해물(102)이 필터링 된 정화수 상태로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질을 오염시킬 만한 요인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동작을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미생물 담채(13)가 수용되어 있는 분해조(20)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g)를 투입하고 다시 도어(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콘트롤패널(12)을 조작하여 회전축(14a)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급수관(21)을 통해 분해조(20) 내부로 소정시간 물이 급수되도록 한다.
그러면 교반날개(14b)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g)는 교반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분해물(102)로 분해되고,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g)는 분해되지 않은 미분해 슬러지(101) 상태가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분해물(102)과 미분해 슬러지(101)는 물과 함께 분해액을 형성한 상태로 통공(22)을 따라 분리조(30)로 집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후 대부분의 분해액이 집수조(30)로 집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급수관(21)의 급수를 중지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정시간 이상이 지나면 미분해 슬러지(101)와 분해물(102)의 비중 차로 인해 분리조(30) 내부의 분해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의 미분해 슬러지층(30A)과 상부의 분해액층(30B)으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분해물(102)이 거의 없는 분해액층(30B) 상부의 물은 제2배수유로(202)를 따라 바로 배수되기 시작하고, 분해물(102)이 부유되어 있는 하부 분해액층(30B)의 분해액은 상기 제3연결유로(53)를 따라 필터링유닛(50)을 거치는 과정에서 분해물(102)이 제거된 정화수 상태로 제1배수유로(201)를 따라 배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개폐밸브(43)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펌핑수단(42)을 구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조(30) 저부의 미분해 슬러지층(30A)의 미분해 슬러지(101)를 제1연결유로(41)를 따라 분해조(20)로 재투입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다시 일련의 분해과정을 반복시켜 미분해 슬러지(101)가 모두 분해물(102)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미분해 슬러지(101)의 재분해 과정은 미분해 슬러지(101)가 모두 분해물(102)로 분해될 때 까지 수차례 걸쳐 반복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이 분리조(30) 저부의 미분해 슬러지(101)가 분해조(20)로 재투입되는 과정에서는 분리조(30)의 수위가 큰 폭으로 낮아지게 되면서 필터링유닛(50)의 몸체(51) 내부 수위도 필터(52) 보다 낮아질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몸체(51) 내부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제3물공급밸브(71b)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필터(52)는 제3급수관(71)의 분사구(71a)를 통해 상부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g)의 분해 과정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급수관(31)을 통해 분리조(30) 내부로 물을 공급한 후 제1개폐밸브(43)가 폐쇄된 상태로 제2개폐밸브(62)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펌핑수단(42)을 구동시켜 분리조(30) 내부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분리조(30)가 청소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분해조에서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 분해물이 분리조로 집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분리조에 집수된 분해액이 하부의 미분해 슬러지층과 상부의 분해액층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분리조 저부의 미분해 슬러지가 분해조로 재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분해조 30: 분리조
40: 슬러지순환유닛 41: 제1연결유로
42: 펌핑수단 43: 제1개폐밸브
50: 필터링유닛 51: 몸체
52: 필터 53: 제3연결유로
61: 제2연결유로 62: 제2개폐밸브
200: 배수유로 201: 제1배수유로
202: 제2배수유로 203: 제3배수유로

Claims (7)

  1. 교반장치와 미생물 담채가 구비되어 내부로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1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과 함께 교반시켜 상기 미생물을 통해 분해시키도록 마련된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에서 분해된 분해물과 미분해 슬러지가 포함된 분해액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분해조 하부에 상기 분해조와 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미분해 슬러지는 하부에 침전되고 상기 분해물은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에 부유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분해액을 분리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 저부에 침전된 미분해 슬러지가 상기 분해조로 재투입되도록 상기 미분해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슬러지순환유닛과;
    상기 미분해 슬러지 상부 쪽 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분해물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분리조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순환유닛은 상기 분리조 저부와 상기 분해조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와, 상기 분해조 쪽으로 펌핑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유로 상에 마련된 펌핑수단과, 상기 제1연결유로 상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1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로 중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유로 상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배수유로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제1밸브보다 상기 제1연결유로의 상류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는 상기 제1개폐밸브와 상기 펌핑수단 사이의 상기 제1연결유로에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하길이방향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조의 분해액이 상기 분해액의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링유닛을 거쳐 상기 배수유로로 배수되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조는 상기 필터 하부 쪽 상기 몸체 내부와 제3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필터 상부 쪽 상기 몸체 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필터링유닛의 몸체와 연결된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3연결유로 상부 쪽 상기 분리조 내부와 연결되는 제2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상부 쪽 상기 몸체 내부에는 제3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급수관은 상기 몸체 내부 수위가 상기 필터의 위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필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070127725A 2007-12-10 2007-1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95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25A KR100959901B1 (ko) 2007-12-10 2007-1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25A KR100959901B1 (ko) 2007-12-10 2007-1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789A true KR20090060789A (ko) 2009-06-15
KR100959901B1 KR100959901B1 (ko) 2010-05-26

Family

ID=4099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725A KR100959901B1 (ko) 2007-12-10 2007-1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9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79B1 (ko) * 2015-11-18 2017-04-11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30835B1 (ko) * 2019-11-22 2020-08-05 최병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63325B1 (ko) * 2019-10-25 2020-10-08 김유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2195045B1 (ko) * 2020-04-20 2020-12-24 성진하이쿨(주)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48839B1 (ko) * 2021-12-07 2022-09-28 김갑두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102660446B1 (ko) 2023-06-12 2024-04-24 김갑두 고형물 자원화수단을 갖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고형물 자원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51B1 (ko) * 2013-06-11 2015-04-08 최석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5031B1 (ko) 2014-03-19 2014-06-12 (주)청수 피드백 유입관을 가지는 고효율 침전조
KR101579963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07872A (ko) 2015-03-06 2016-09-19 이주성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08952B1 (ko) * 2016-07-28 2017-12-13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67309B1 (ko) 2017-07-26 2018-06-14 이주성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824A (ja) 2001-10-29 2003-05-07 Ok Bio Kenkyusho:Kk 汚泥ゼロの浄化槽と醗酵処理装置
JP2006095374A (ja) 2004-09-28 2006-04-13 Earth Technica:Kk 湿式微生物循環生ごみ処理装置
JP2006312139A (ja) * 2005-05-09 2006-11-16 Asakawagumi:Kk 有機物処理装置
KR200436943Y1 (ko) 2007-03-20 2007-10-18 주탁 음식물 찌꺼기의 분해 및 소멸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79B1 (ko) * 2015-11-18 2017-04-11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63325B1 (ko) * 2019-10-25 2020-10-08 김유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2130835B1 (ko) * 2019-11-22 2020-08-05 최병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95045B1 (ko) * 2020-04-20 2020-12-24 성진하이쿨(주)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48839B1 (ko) * 2021-12-07 2022-09-28 김갑두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WO2023106671A1 (ko) * 2021-12-07 2023-06-15 김갑두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102660446B1 (ko) 2023-06-12 2024-04-24 김갑두 고형물 자원화수단을 갖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고형물 자원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901B1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90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38908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762914A (zh) 一种石油化工废水处理系统
KR10213083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079002U (zh) 餐饮泔水高效处理机
KR102023513B1 (ko) 혐기소화조의 스컴제거장치 및 스컴제거방법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57578B1 (ko) 가압식 진공분리 폐수처리시스템
KR10180895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05254166A (ja) 汚泥処理装置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20160095489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감량장치
WO2023106671A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81541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CN213977264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KR10071724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JP2006007221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1835466B1 (ko)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55832B1 (ko) 잔반 분해 소멸기용 배출구
CN220597271U (zh) 一种含油污泥处理装置
CN216377748U (zh) 一种鞋厂废水处理装置
CN216998883U (zh) 一种染色棉花配色池
KR201601078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3537549U (zh) 一种印刷油墨废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