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064B1 -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64B1
KR102286064B1 KR1020190150689A KR20190150689A KR102286064B1 KR 102286064 B1 KR102286064 B1 KR 102286064B1 KR 1020190150689 A KR1020190150689 A KR 1020190150689A KR 20190150689 A KR20190150689 A KR 20190150689A KR 102286064 B1 KR102286064 B1 KR 10228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stirring
odor
disp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452A (ko
Inventor
김이교
Original Assignee
미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01F15/00538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9/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수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와 연동하여 분쇄물을 이동시킨 후 분쇄물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처리한 후 분해 발효시키는 교반작업까지 일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교반작업 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음식물 처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작업성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는 디스포저(20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디스포저(2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이송 투입되면 분쇄물에서 폐수는 제거되도록 탈수처리하고 물기가 제거된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된 탈수처리부(20)와, 상기 고형분쇄물(A)과 미생물을 교반블레이드(33)로 교반하여 분해 발효시키도록 하우징(10) 타측에 형성된 교반드럼(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탈수처리부(20)는 분쇄물이 수용되는 탈수실(21)이 형성되고,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분쇄물에서 분리되는 폐수를 배출하도록 통공(22)을 갖는 다공판(23)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판(23)에서 분리 배출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4)가 배수구(60)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23)은 하부에서 분쇄물이 투입하도록 탈수실(21)의 바닥부(21a)를 관통하는 분쇄물투입구(25)가 형성되며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교반드럼(30)과 연통하는 연통공(23a)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Food fermentatio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하는 디스포저와 연결되어 분쇄물이 투입되면 탈수처리하여 폐수와 고형분쇄물을 분리하여 미생물을 통해 고형분쇄물을 발효 처리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즉 디스포저(Disposer)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5142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하부에서 분쇄 커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일부 분해가 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관로가 막히거나 역한 냄새가 외부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종말처리장에서의 처리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분쇄물에 미생물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38717호에 개시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도를 높이고 냄새와 하수도의 막힘 현상을 완화시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쇄물을 분해하는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정이나 식당에서 모두 처리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탈수한 분쇄물을 다시 교반기로 수작업으로 넣어야 줘야 하는 번거로움과 미생물에 의한 분해 발효 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사용 시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B1) 제10-1051425호 KR (B1) 제10-0838717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디스포저에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쓰레기 분쇄물을 수용하여 탈수한 후 폐수는 배출하고 고형분쇄물만 교반기에서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여 발효 및 분리하게 되며, 발효 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음식물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악취로 인한 단점이 개선된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포저(20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디스포저(2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이송 투입되면 분쇄물에서 폐수는 제거되도록 탈수처리하고 물기가 제거된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된 탈수처리부(20)와, 상기 고형분쇄물(A)과 미생물을 교반블레이드(33)로 교반하여 분해 발효시키도록 하우징(10) 타측에 형성된 교반드럼(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탈수처리부(20)는 분쇄물이 수용되는 탈수실(21)이 형성되고,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분쇄물에서 분리되는 폐수를 배출하도록 통공(22)을 갖는 다공판(23)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판(23)에서 분리 배출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4)가 배수구(60)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23)은 하부에서 분쇄물이 투입하도록 탈수실(21)의 바닥부(21a)를 관통하는 분쇄물투입구(25)가 형성되며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교반드럼(30)과 연통하는 연통공(23a)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수처리부(20)는 탈수실(21)은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커버(26)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26)와 다공판(23) 사이로 분쇄물에서 폐수와 고형분쇄물(A)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저어줌과 동시에 고형분쇄물(A)을 연통공(23a)으로 유인하여 교반드럼(30)으로 투입시키도록 상측 구동모터(28)에 의해 회동하는 복수의 스크래이퍼(2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크래이퍼(27)는 다공판(23)으로 긴밀히 밀착되어 세척하도록 하여 통공(2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헤어(27a)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반드럼(30)은 상부에 미생물 제제 및 분해 발효된 부산물을 인출하도록 개폐구(35) 및 개폐커버(36)가 형성되고, 복수의 교반블레이드(33)가 형성된 수평회전축(32)이 일측의 회동모터(34)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교반드럼(30)의 외주면에 발효 및 분해효과의 증진을 위해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팅수단(3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포저(200)와 탈수처리부(20)를 연결시 악취가 디스포저(2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악취역류방지트랩(4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악취역류방지트랩(40)은 디스포저(200)의 배출부(201)와 탈수처리부(20) 하부에 분쇄물투입구(25)를 U형 트랩(41)으로 연결하여 분쇄물을 공급한 후, U형 트랩(41)으로 세척수가 고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반드럼(30)에서 고형분쇄물(A)을 분해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악취유도수단(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악취유도수단(50)은 교반드럼(30)에 악취배출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악취배출공(51)를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24)가 연결되는 배수구(60)로 연결하여 악취를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악취배출공(51)과 배수구(60) 사이로 악취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배기팬(52)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에 의하면, 개수대 하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와 연동하도록 디스포저의 일측에 배치하여 디저포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바로 이송되어 투입과 동시에 분쇄물을 탈수하여 폐수와 고형분쇄물로 분리한 후, 고형분쇄물을 히팅열에 의해 미생물과 교반하여 분해 발효하도록 구서됨에 따라 음식물 처리 성능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형분쇄물의 분해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디스포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토록 U형 트랩으로 연결 구성하고, 배수구측으로 악취를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작용과정에서 악취로 인한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내에서 음식물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하수구로 분쇄물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수질오염이나 하수구가 막하는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일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를 결합한 형상에서 일부 절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중 탈수처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탈수처리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탈수처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는 개수대 하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즈와 연결하여 디스포즈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분쇄물을 다시 수용하여 분쇄물을 탈수한 후 고형분쇄물(또는 고형의 음식물찌꺼기)만 교반기로 투입하여 미생물과 교반하면서 분해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또 상기 디스포즈로 악취가 역류하거나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악취가 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100)는 하우징(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디스포저(200)에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 분쇄물(이하에서 분쇄물로만 명칭하기로 한다)을 수용하여 분쇄물에서 폐수를 분리하여 고형분쇄물(A)을 형성하는 탈수처리부(20)와, 하우징(10) 타측에 탈수된 고형분쇄물(A)을 수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분해시키는 교반드럼(30)과, 디스포저(200)와 탈수처리부(20)를 연결시 악취가 디스포저(2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하는 악취역류방지트랩(40)과, 교반드럼(30)에서 고형분쇄물(A)을 분해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폐수를 배출하는 배수구로 악취를 유도하여 배출하는 악취유도수단(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탈수처리부(20) 및 교반드럼(30)이 내장되며 교반드럼(30)의 구동부와 전선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보호하도록 외부 형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탈수처리부(20)는 하우징(10) 일측 상단에 디스포저(200)에서 분쇄처리된 분쇄물이 수용되는 탈수실(21)이 형성되고,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분쇄물이 안착된 상태로 탈수 시 폐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22)이 관통된 다공판(23)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판(23)에서 배출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탈수실(21)의 바닥부(21a)에 하향 돌출되는 배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와 다공판(23)을 관통하여 하부측에서 다공판(23)으로 분쇄물을 투입하도록 분쇄물투입구(25)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판(23)은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배출하도록 교반드럼(30)과 연통하는 연통공(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실(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커버(2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밀폐커버(26)와 다공판(23) 사이로 분쇄물을 저어주도록 하여 폐수는 다공판(23) 아래로 배출시키고 고형분쇄물(A)은 연통공(23a)을 통해 교반드럼(30)으로 투입하도록 유인하는 복수의 스크래이퍼(27)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26)의 상부에 스크래이퍼(27)가 축 연결되어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28)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24)는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수구(60)와 연결되어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는 다공판(23)에서 낙하된 물을 배출구(24)쪽으로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폐수를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상기 교반드럼(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타측에 하부가 만곡진 형상으로 교반공간(31)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교반드럼(30)으로 수용되는 미생물과 고형분쇄물(A)을 교반하기 위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축설되는 수평회전축(32)에 의해 복수의 교반블레이드(33)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드럼(30)의 일측으로 수평회전축(32)이 연장되어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모터(34)가 축설되고, 상기 교반드럼(30)의 상부측에 미생물 투입하고, 고형분쇄물(A)이 발효 분해된 부산물을 인출하도록 개폐구(35) 및 상기 개폐구(35)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36)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구(35) 및 개폐커버(36)는 탈수처리부(20)를 경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드럼(30)에서 교반시 히팅열이 발산되어 발효 및 분해효과를 높이도록 교반드럼(30)의 외주면에는 히팅수단(37)이 형성되어 히팅열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수단(37)은 교반드럼(30)의 외주면으로 열선 또는 히팅코일이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블레이드(33)는 수평회전축(32)에서 일정간격마다 복수로 형성되되, 고형분쇄물(A)을 미생물과 고르게 교반하면서 분해작용을 하도록 교호되게 형성된다.
상기 악취방지역류트랩(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포저(200)의 배출부(201)와 탈수처리부(20) 하부에 분쇄물투입구(25)를 U형 트랩(41)으로 연결하게 되어 분쇄물이 디스포저(2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디스포저(200)에서 분쇄후 세척수로 디스포저(200)를 세척하도록 함에 따라 U형 트랩(41)으로 세척수가 고이게 되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악취유도수단(50)은 교반드럼(30)의 일단부에 악취배출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악취배출공(51)이 폐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24)와 연결되는 배수구(60)와 연결하여 미생물과 고형분쇄물(A)을 히팅열에 의해 교반 시 발효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수구(60)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배출공(51)과 배수구(60) 사이로 배기팬(52)이 추가 개재되도록 하여 배수구(60)를 통해 악취의 유도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60)의 경우 탈수처리부(20)의 배출구(24)와 악취배출공(51)이 동시 연결을 위해 T형의 한쌍의 인입구(61,62)와 하나의 인출구(63)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개수대(300)가 설치된 싱크대 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개수대 (300)하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200)와 연동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포저(2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100)의 탈수처리부(20)로 바로 이동되도록 디스포저(200)의 배출부(201)와 탈수처리부(20)의 분쇄물투입구(25)가 악취역류방지트랩(40)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는 디스포저(200)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로 옮겨 주는 작업이 필요없이 디스포저(200)에서 분쇄되어진 분쇄물이 U형 트랩(41)을 따라 바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악취역류방지트랩(40)이 U형 트랩(41)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탈수실(21)의 다공판(23) 하부측에서 분쇄물을 투입하여 안착시키게 되며, U형 트랩(41)의 오목한 곡선구간으로 세척수가 채움된 상태가 됨에 따른 분쇄물에 의한 악취가 디스포즈(200)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디스포즈(200)의 분쇄물이 탈수실(21)로 투입되어 다공판(23) 상측으로 안착된 상태가 되면, 분쇄물에 혼합된 폐수는 다공판(23)의 통공(22)을 통해 탈수실(21)의 바닥부(21a)로 배출되면서 다공판(23)으로 물기가 빠진 고형분쇄물(A)만 잔여하게 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탈수실(21)의 다공판(23) 상부에서 구동모터(28)에 의해 스크래이퍼(27)가 회전하면서 폐수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형분쇄물(A)은 다공판(23)에 뚫린 연통공(23a)으로 유도되어 교반드럼(30)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래이퍼(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다공판(23)으로 긴밀히 밀착되어 세척해주도록 하기 위해 모헤어(27a)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모헤어(27a)에 의해 다공판(23)의 통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통공(23a)으로 고형분쇄물 외에 폐수에 의한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여기서 교반드럼(30)에는 고형분쇄물의 분해 발효를 위해 개폐구(35)를 통해 소정량의 미생물 제제가 투입된 상태이며 고형분쇄물(A)이 투입되면 교반블레이드(33)가 수평회전축(32)을 따라 회동하면서 고형분쇄물(A)과 미생물을 교반시키면서 분해 발효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교반 과정에서 분해 발효작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반드럼(30)의 외주면에 부설된 히팅수단(37)이 작동하여 교반공간(31)으로 히팅열을 발산시켜주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고형분쇄물(A)을 교반하여 분해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악취유도수단(50)이 교반작용과 동시 작동하게 된다.
즉, 교반드럼(30)의 일측에 형성된 악취배출공(51)과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구(60)가 연통하도록 열결된 구조에서 배기팬(52)이 교반드럼(30) 내에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수구(60)쪽으로 신속히 유도하게 되어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또는 차단시켜주게 된다
상기 교반드럼(30) 내에 고형분쇄물(A)이 분해 발효된 부산물이 일정량 채워지게 되면 부산물을 인출하여 퇴비로 사용하거나 일반쓰레기로 버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디스포저(200)와 연계하여 폐수를 분리하는 탈수 및 교반하여 분해 발효시키는 작업이 일괄적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아주 편리하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시켜줌으로써 사용 시 악취로 인한 불편함이 전혀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는 풋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발로 누름시 동작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동작방법은 풋스위치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A:고형분쇄물
10:하우징
20;탈수처리부
21:탈수실 21a:바닥부 22:통공 23:다공판
23a:연통공 24:배출구 25:분쇄물투입구
26:밀폐커버 27:스크래이퍼 27a:모헤어
28:구동모터
30:교반드럼
31:교반공간 32:수평회전축 33:교반블레이드 34:회동모터
35:개폐구 36:개폐커버 37:히팅수단
40:악취역류방지트랩
41:U형 트랩
50:악취유도수단
51:악취배출공 52:배기팬
60;배수구
61,62:인입구 63:인출구
200:디스포저 201:배출부
300:개수대

Claims (6)

  1. 디스포저(20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디스포저(2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이송 투입되면 분쇄물에서 폐수는 제거되도록 탈수처리하고 물기가 제거된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된 탈수처리부(20)와, 상기 고형분쇄물(A)과 미생물을 교반블레이드(33)로 교반하여 분해 발효시키도록 하우징(10) 타측에 형성된 교반드럼(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처리부(20)는 분쇄물이 수용되는 탈수실(21)이 형성되고,
    상기 탈수실(21)의 바닥부(21a)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분쇄물에서 분리되는 폐수를 배출하도록 통공(22)을 갖는 다공판(23)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판(23)에서 분리 배출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4)가 배수구(60)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23)은 하부에서 분쇄물이 투입하도록 탈수실(21)의 바닥부(21a)를 관통하는 분쇄물투입구(25)가 형성되며 고형분쇄물(A)을 교반드럼(30)으로 공급하도록 교반드럼(30)과 연통하는 연통공(23a)이 구성되며,
    교반드럼(30)은 상부에 미생물 제제 및 분해 발효된 부산물을 인출하도록 개폐구(35) 및 개폐커버(36)가 탈수처리부(20)를 경유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교반블레이드(33)가 형성된 수평회전축(32)이 일측의 회동모터(34)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교반드럼(30)의 외주면에 발효 및 분해효과의 증진을 위해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팅수단(37)이 구성되며,
    교반드럼(30)에서 고형분쇄물(A)을 분해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악취유도수단(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악취유도수단(50)은 교반드럼(30)에 악취배출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악취배출공(51)를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24)가 연결되는 배수구(60)로 연결하여 악취를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수처리부(20)는 탈수실(21)은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커버(26)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26)와 다공판(23) 사이로 분쇄물에서 폐수와 고형분쇄물(A)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저어줌과 동시에 고형분쇄물(A)을 연통공(23a)으로 유인하여 교반드럼(30)으로 투입시키도록 상측 구동모터(28)에 의해 회동하는 복수의 스크래이퍼(2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크래이퍼(27)는 다공판(23)으로 긴밀히 밀착되어 세척하도록 하여 통공(2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헤어(27a)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포저(200)와 탈수처리부(20)를 연결시 악취가 디스포저(2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악취역류방지트랩(4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악취역류방지트랩(40)은 디스포저(200)의 배출부(201)와 탈수처리부(20) 하부에 분쇄물투입구(25)를 U형 트랩(41)으로 연결하여 분쇄물을 공급한 후, U형 트랩(41)으로 세척수가 고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악취배출공(51)과 배수구(60) 사이로 악취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배기팬(52)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KR1020190150689A 2019-11-21 2019-11-21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KR10228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89A KR102286064B1 (ko) 2019-11-21 2019-11-21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89A KR102286064B1 (ko) 2019-11-21 2019-11-21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452A KR20210062452A (ko) 2021-05-31
KR102286064B1 true KR102286064B1 (ko) 2021-08-05

Family

ID=7615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689A KR102286064B1 (ko) 2019-11-21 2019-11-21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38B1 (ko) 2023-04-27 2023-12-22 김일구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44B1 (ko) * 2015-01-23 2016-03-17 주식회사 건호내추럴시스템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 발효소멸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0129B1 (ko) 2015-10-20 2016-11-28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689990B1 (ko)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35559B1 (ko) * 2016-10-19 2018-03-07 주식회사 허머 미생물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7B1 (ko) 2007-03-13 2008-06-19 서경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101051425B1 (ko) 2010-10-15 2011-07-22 에스앤제이클린텍(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90065092A (ko) * 2017-12-01 2019-06-11 송영봉 히팅장치가 구비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44B1 (ko) * 2015-01-23 2016-03-17 주식회사 건호내추럴시스템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 발효소멸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0129B1 (ko) 2015-10-20 2016-11-28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689990B1 (ko)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35559B1 (ko) * 2016-10-19 2018-03-07 주식회사 허머 미생물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38B1 (ko) 2023-04-27 2023-12-22 김일구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452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86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70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145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86064B1 (ko) 음식물 발효 처리장치
JP2001347250A (ja) 生ごみの処理装置
KR102545017B1 (ko)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감량장치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16801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786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368042B1 (ko)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KR1008133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0374173A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处理器及其实现方法
JP3092047B2 (ja) シンク装置
JPH1143202A (ja) 生ゴミ粉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ゴミ処理装置
KR20023283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570305B1 (ko)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20170023349A (ko) 친환경적이고 스마트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 장치
KR1014075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45881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JP3639565B2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