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855B1 -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855B1
KR102102855B1 KR1020180116761A KR20180116761A KR102102855B1 KR 102102855 B1 KR102102855 B1 KR 102102855B1 KR 1020180116761 A KR1020180116761 A KR 1020180116761A KR 20180116761 A KR20180116761 A KR 20180116761A KR 102102855 B1 KR102102855 B1 KR 10210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irring
food waste
sedimentation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494A (ko
Inventor
정정희
Original Assignee
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희 filed Critical 정정희
Priority to KR102018011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8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Abstract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투입가이드; 투입가이드와 침전조의 사이에 설치되어 침전조의 상부를 밀폐하고, 투입가이드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조로 유도하는 유도가이드; 유도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 하단에 배출홈 및 배출구가 마련되는 침전조; 침전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바이오볼이 충전되고, 외주면과 하단면에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교반조; 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교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를 회전구동하는 교반모터; 교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교반모터축에 설치되고, 교반조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을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를 촉진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비교적 적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교반날개와 연동하는 스퀴즈날개 및 급수유니트 등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FOOD WASTE MICROBIAL DECOMPOSION APPARATUS FOR KITCHEN SINK }
본 발명은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투입가이드를 통해 교반조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모터 및 교반날개를 통해 바이오볼과 교반하여 미생물발효 및 분해과정으로 소멸시키거나 미세한 크기의 분해찌꺼기 상태로 침전조로 배출하도록 하고, 침전조의 내부에 교반날개와 연동하는 스퀴즈날개를 설치하여 교반모터 작동과정에서 스퀴즈날개를 통해 분해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급수유니트를 통해 주기적으로 교반조에 미생물발효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동시에 교반조 및 침전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과정이나 설거지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게 되며, 최근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대부분 분리 수거하여 처리업체에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지 않고 일반쓰레기와 함께 배출하는 예도 많은데, 처리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부패가 이루어지게 되고, 악취나 나쁜 세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분리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처리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미생물발효 및 분해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계하는 것으로, 특히 씽크대의 배수구에 직결하여 음식물쓰레기 발생장소인 주방에서 음식물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계한다.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발효에 의해 분해하고, 분해찌꺼기를 오수와 함께 배출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거름망이 안착되고 싱크대의 개수구에 설치되는 상부 플랜지; 상부 플랜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의 저부에 위치하는 분해조; 분해조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교반축; 및 교반축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날개; 분해조의 내부에 충진되는 바이오 볼; 교반축에 결합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와 분해조의 사이에 밸브 하우징을 더 형성하되, 밸브 하우징에는 그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차단밸브가 안착되며, 차단밸브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축에 의해 차단판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분해조와 구동모터의 사이에 베어링 하우징을 더 형성하되, 베어링 하우징의 중심에 형성된 베어링은 교반축의 하단과 구동모터의 축에 각각 결합되며; 밸브 하우징과 베어링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은 각각 트랩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고; 교반축의 하단부에 위치한 원형의 배수망은 베어링 하우징에 안착되며; 분해조의 내주면에 원통형의 미분판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싱크대의 하부에 결합된 분해조에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과 동시에 분쇄하고 미생물이 접종된 고밀도 바이오 볼로 생분해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잔류물이 남지 않으며, 차단밸브에 의해 분해조의 분리 및 기밀이 유지됨과 동시에 트랩의 역류방지 구조로 음식물쓰레기의 냄새가 역류하지 않고, 분해조의 회전날개 구조 및 미분판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교반, 분쇄, 분해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형태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유입구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직결되고, 측면상 "ㄱ"자 형상으로 절곡 구성되어 하수와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 유입부;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갖는 회전축이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와 하수를 교반하는 교반부; 일단부가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교반부의 하부 위치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교반부의 상부 위치와 통하도록 유입관이 배치되어 음식물쓰레기와 하수를 교반부로 투입하면서 그 배출부위 하부위치까지는 하수가 상시 채워져 있도록 작용하는 봉수부; 및 교반부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며, 발효 미생물을 교반부에 투입해주는 미생물 투입부로 구성하여,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통해 완전 분해하여 배출함으로써 수질 오염 및 환경 오염을 방지토록 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2272호(2012년 11월 1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5466호(2018년 02월 28일 등록)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비교적 구성부품이 많아 제작이 번거롭고, 제조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교반조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효율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조에서 배출되는 분해찌꺼기를 배출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분해찌꺼기를 제거해야 하는 등 유지관리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비교적 적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발효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교반조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교반조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교반조 및 침전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투입가이드; 투입가이드와 침전조의 사이에 설치되어 침전조의 상부를 밀폐하고, 투입가이드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조로 유도하는 유도가이드; 유도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 하단에 배출홈 및 배출구가 마련되는 침전조; 침전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바이오볼이 충전되고, 외주면과 하단면에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교반조; 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교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를 회전구동하는 교반모터; 교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교반모터축에 설치되고, 교반조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을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를 촉진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침전조 및 교반조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원통 형태이고, 교반조가 침전조보다 약간 작은 긱경을 가지는 동시에 침전조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구성되어 교반조의 외주면와 침전조의 내주면 사이에 미립화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찌꺼기가 낙하할 수 있는 낙하공간이 마련되고, 교반조의 하단과 침전조의 내부 하단 사이에 침전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침전조의 하단이 중심부가 높고 외곽이 낮은 경사로 형성되고, 침전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배출홈이 마련되고, 침전조의 하단 일측에 배출홈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침전조의 외주 하단부에 다수의 세척노즐이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다수의 세척노즐 중의 하나는 배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조 하부의 교반모터축에 설치되어 교반날개와 동시에 회전구동되고, 침전조의 침전공간로 침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홈 및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스퀴즈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침전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침전조의 내주면 및 교반조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를 침전조의 내부 바닥면으로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급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급수유니트가,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 급수제어밸브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급수공급관; 급수공급관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T형 연결관; T형 연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도가이드의 상단에 접속되어 교반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 T형 연결관의 타측에 설치되고, 링형 분사관의 상단 일측에 접속되는 제2급수관; 침전조 외주면와 교반조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분해찌꺼기 낙하공간의 상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마련된 다수의 분사구멍을 통해 침전조의 내주면 및 교반조의 외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링형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적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교반날개와 연동하는 스퀴즈날개를 통해 침전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침전조에 축적되는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의 양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급수유니트를 통해 교반조에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를 촉진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급수유니트를 통해 주기적으로 교반조의 외주면과 침전조의 내주면을 세척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전조의 평면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날개의 평면도,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스퀴즈날개의 사시도,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장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투입가이드(110), 유도가이드(120), 침전조(130), 교반조(140), 교반모터(150), 교반날개(160), 스퀴즈날개(170), 급수유니트(180)를 포함한다.
투입가이드(110)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부분으로,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다.
투입가이드(11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진다.
유도가이드(120)는 침전조(130)의 상부를 밀폐하고, 투입가이드(11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조(140)로 유도하는 부분으로, 투입가이드(110)와 침전조(1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유도가이드(120)는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투입가이드(110)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침전조의 평면도이다.
침전조(130)는 교반조(140)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쓰레기가 침전되는 부분으로, 유도가이드(1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침전조(13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유도가이드(12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
침전조(130)의 상단과 유도가이드(120)의 하단은 플랜지 결합된다.
침전조(130)의 하단은 중심부가 높고 외곽이 낮은 경사로 형성되고,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배출홈(131)이 마련되고, 침전조(130)의 하단 일측에는 배출홈(131)과 연결되는 배출구(132)가 마련된다.
침전조(130)의 하단 일측에는 고객 서비스나 제품 정기 청소시에 침전조(130)의 외부에서 침전조(130)의 내부로 물을 일시에 대량 공급하여 침전조(130) 및 교반조(140)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구(133)가 마련된다.
상기 청소구(133)는 밀폐마개를 통해 밀폐되고, 청소과정에서만 개방됨은 물론이다.
침전조(130)의 외주 하단부에는 다수의 세척노즐(134)이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다수의 세척노즐(134) 중의 하나는 배출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교반조(140)는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141)이 주기적으로 교반되면서 미생물 발효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소멸되는 공간으로, 침전조(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교반조(14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원통 형태이고, 침전조(130)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침전조(130)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반조(140)의 외주면와 침전조(130)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립화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찌꺼기가 낙하할 수 있는 낙하공간(S1)이 마련되고, 교반조(140)의 하단과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사이에는 침전공간(S2)이 마련된다.
교반조(140)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볼(141)이 충전된다.
교반조(140)의 외주면과 하단에는 바이오볼(1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배출구멍(14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교반조(140)의 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구멍(142)은 중심쪽이 아닌 바깥쪽에 설치된다.
교반모터(150)는 교반조(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60)를 회전구동하는 것으로, 침전조(130)의 하단에 설치된다.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날개의 평면도이다.
교반날개(160)는 교반조(14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141)을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분해, 소멸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교반조(140)의 내부로 돌출되는 교반모터축(151)에 설치된다.
교반날개(160)는 교반모터축(151)과 접속되는 원통 형태의 접속부(161); 접속부(160)의 외주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날개부(162); 접속부(161)의 외주 하부 전후방에 설치되는 하부날개부(163)를 포함한다.
상부날개부(162)의 내측 전방 또는 내측 후방에는 결여부(162a)가 마련되고, 좌측의 것은 내측 전방보다 내측 후방이 높은 경사로 설치되고, 우측의 것은 내측 전방보다 내측 후방이 낮은 경사로 설치된다.
하부날개부(163)의 내측 상부에는 결여부(163a)가 마련되고, 내측 상부가 내측 하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사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부날개부(162)의 내측 및 하부날개부(163)의 내측은 접속부(161) 쪽을 의미한다.
스퀴즈날개(170)는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에 침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홈(131)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교반조(140) 하부의 교반모터축(151)에 설치된다.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스퀴즈날개의 사시도이다.
스퀴즈날개(170)는 교반모터축(151)과 접속되는 접속부(171); 접속부(171)의 하단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날개부(172); 날개부(172)에 설치되는 스퀴즈패드(173);를 포함한다.
스퀴즈날개(170)의 스퀴즈패드(173)의 재질은 밀착력이 좋은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급수유니트(180)는 침전조(13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를 침전조(130)의 바닥면으로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급수유니트(180)는 침전조(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181); 급수제어밸브(181)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급수공급관(182); 급수공급관(182)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T형 연결관(183); T형 연결관(183)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도가이드(120)의 상단에 접속되어 교반조(14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184); T형 연결관(183)의 타측에 설치되고, 링형 분사관(186)의 상단 일측에 접속되는 제2급수관(185); 침전조(130) 외주와 교반조(140)의 내주 사이에 마련되는 분해찌꺼기 낙하공간(S1)의 상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마련된 다수의 분사구멍(186a)을 통해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링형 분사관(186);을 포함한다.
급수유니트(180)는 급수제어밸브(181)가 작동되면 급수공급관(182)과 T형 연결관(183), 제1급수관(184)의 제1급수경로를 통해 교반조(140)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수분이 공급되고, 그와 동시에 급수공급관(182)과 T형 연결관(183), 제2급수관(185), 링형 분사관(186)의 제2급수경로를 통해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를 침전조(130)의 바닥면으로 씻어내리게 된다.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장착상태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씽크대(200)의 배수구(201) 하부에 장착된다.
씽크대(200)의 배수구(201)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투입가이드(110), 유도가이드(120)를 통해 바이오볼(141)이 충전된 교반조(140)로 낙하하고, 교반조(140)의 외주면과 하단면에 형성된 배출구멍(142)을 통해 침전공간(S2)으로 낙하한 후 침전조(130)의 배출구(132)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한편, 음식물 조리과정이나 설거지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씽크대(200)의 배수구(201)에 설치된 투입가이드(110)로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유도가이드(120)를 통해 교반조(140)에 충전된 바이오볼(141) 위로 떨어지게 되고, 바이오볼(141)과 상호작용하여 미생물발효에 의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교반모터(150) 및 교반날개(160)를 통해 교반조(14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141)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처리효율을 높이게 되며, 이때 교반모터(150)의 작동은 제어유니트(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들어 제어유니트는 교반모터(150)를 1시간 간격마다 6분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유니트는 교반모터(150)가 1분간 정방향 회전한 후 1분간 역방향 회전하는 동작을 3회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교반조(140)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바이오볼(141)과 교반되면서 미생물발효 및 분해되어 작은 크기로 처리된 분해찌꺼기는 교반조(140)의 외주면과 교반조(140)의 하단면에 형성된 배출구멍(142)를 통해 배출되어 침전조(130)로 낙하하게 되고, 침전조(130)와 교반조(140) 사이의 침전공간(S2)에 침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교반조(140) 하부의 교반모터축(151)에 설치되어 교반날개(160)와 동시에 회전구동되고, 침전조(130)의 침전공간(S2)로 침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홈(131) 및 배출구(132)로 이동시키는 스퀴즈날개(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유니트에 의해 교반모터(150) 및 교반날개(160)가 동작하는 동안에 스퀴즈날개(17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침전조(130)의 바닥면에 떨어진 분해찌꺼기를 긁어서 배출홈(131)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배출홈(131)으로 떨어진 분해찌꺼기가 배출구(13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침전공간(S2)에 침전되어 있는 분해찌꺼기의 양이 항상 최소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유니트(18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는 교반조(140)에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를 침전조(130)의 바닥면 쪽으로 씻어내릴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제어유니트는 30분 간격으로 10초간 교반조(14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급수유니트(180)의 급수제어밸브(18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급수유니트(180)의 급수제어밸브(181)가 개방되면 급수공급관(182)과 T형 연결관(183), 제1급수관(184)의 제1급수경로를 통해 교반조(140)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물이 공급되고, 그와 동시에 급수공급관(182)과 T형 연결관(183), 제2급수관(185), 링형 분사관(186)의 제2급수경로를 통해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물이 분사됨으로써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가 침전조(130)의 바닥면으로 씻겨내려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에서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가 침전되는 침전조(130)의 바닥면은 중심부가 높고 외곽이 낮은 경사로 형성되므로 씽크대의 배수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가 물에 의해 배출홈(131) 및 배출구(132)가 마련된 침전조(130)의 바닥면 외곽쪽으로 쓸려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분해찌꺼기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에서 침전조(130)의 외주 하단부에는 다수의 세척노즐(134)이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다수의 세척노즐(134) 중의 하나는 배출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세척노츨(134)을 통해 배출홈(131)을 포함한 침전조(130)의 바닥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0 : 투입가이드
120 : 유도가이드
130 : 침전조
140 : 교반조
150 : 교반모터
160 : 교반날개
170 : 스퀴즈날개
180 : 급수유니트

Claims (7)

  1. 씽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투입가이드(110);
    투입가이드(110)와 침전조(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침전조(130)의 상부를 밀폐하고, 투입가이드(11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조(140)로 유도하는 유도가이드(120);
    유도가이드(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 하단에 배출홈(131) 및 배출구(132)가 마련되는 침전조(130);
    침전조(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바이오볼(141)이 충전되고, 외주면과 하단면에 다수의 배출구멍(142)이 형성된 교반조(140);
    침전조(130)의 하단에 설치되고, 교반조(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60)를 회전구동하는 교반모터(150);
    교반조(140)의 내부로 돌출되는 교반모터축(151)에 설치되고, 교반조(14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볼(141)을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를 촉진시키는 교반날개(160)를 포함하되;
    침전조(130) 및 교반조(14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원통 형태이고, 교반조(140)는 침전조(130)보다 약간 작은 긱경을 가지는 동시에 침전조(130)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구성되어 교반조(140)의 외주면와 침전조(130)의 내주면 사이에 미립화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찌꺼기가 낙하할 수 있는 낙하공간(S1)이 마련되고, 교반조(140)의 하단과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사이에 침전공간(S2)이 마련되며,
    침전조(130)의 하단은 중심부가 높고 외곽이 낮은 경사로 형성되고,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일측에 배출홈(131)이 마련되고, 침전조(130)의 하단 일측에 배출홈(131)과 연결되는 배출구(132)가 마련되며,
    침전조(130)의 외주 하단부에 다수의 세척노즐(134)이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다수의 세척노즐(134) 중의 하나는 배출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교반조(140) 하부의 교반모터축(151)에 설치되어 교반날개(160)와 동시에 회전구동되고, 침전조(130)의 침전공간(S2)으로 침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홈(131) 및 배출구(132)로 이동시키는 스퀴즈날개(170)를 포함하며,
    침전조(13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발효 및 분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해찌꺼기를 침전조(130)의 내부 바닥면으로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급수유니트(180)를 포함하며,
    급수유니트(180)는.
    침전조(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181);
    급수제어밸브(181)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급수공급관(182);
    급수공급관(182)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T형 연결관(183);
    T형 연결관(183)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도가이드(120)의 상단에 접속되어 교반조(14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184);
    T형 연결관(183)의 타측에 설치되고, 링형 분사관(186)의 상단 일측에 접속되는 제2급수관(185);
    침전조(130) 외주면과 교반조(140)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분해찌꺼기 낙하공간(S1)의 상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마련된 다수의 분사구멍(186a)을 통해 침전조(130)의 내주면 및 교반조(140)의 외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링형 분사관(186)을 포함하되;
    침전조(130)의 하단 일측에는 외부에서 침전조(130)의 내부로 물을 일시에 대량 공급하여 침전조(130) 및 교반조(140)를 청소할 수 있는 청소구(133)가 마련되고,
    청소구(133)는 밀폐마개를 통해 밀폐되며,
    교반날개(160)는 상부날개부(162) 및 하부날개부(163)를 포함하되;
    상부날개부(162)는, 결여부(162a)가 마련되고, 좌측의 것은 내측 전방보다 내측 후방이 높은 경사로 설치되고, 우측의 것은 내측 전방보다 내측 후방이 낮은 경사로 설치되며,
    하부날개부(163)는, 결여부(163a)가 마련되고, 내측 상부가 내측 하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사로 설치되고,
    스퀴즈날개(170)는, 침전조(130)의 내부 하단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날개부(172)와 날개부(172)에 설치되는 스퀴즈패드(173)를 포함하며,
    스퀴즈패드(173)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이고,
    제어유니트가 더 구비되되;
    제어유니트는,
    교반모터(150)를 1시간 간격마다 6분간 동작하도록 제어하면서, 교반모터(150) 및 교반날개(160)가 동작하는 동안 스퀴즈날개(17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제어유니트는,
    30분 간격으로 10초간 교반조(14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급수유니트(180)의 급수제어밸브(18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6761A 2018-10-01 2018-10-01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0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61A KR102102855B1 (ko) 2018-10-01 2018-10-01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61A KR102102855B1 (ko) 2018-10-01 2018-10-01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494A KR20200037494A (ko) 2020-04-09
KR102102855B1 true KR102102855B1 (ko) 2020-04-22

Family

ID=7027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61A KR102102855B1 (ko) 2018-10-01 2018-10-01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408B1 (ko)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065570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
KR102490688B1 (ko) 2021-10-27 2023-01-19 서은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970B1 (ko) * 2020-06-30 2022-07-07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822157A (zh) * 2020-08-07 2020-10-27 曾国庆 一种智能环保垃圾桶
KR102475831B1 (ko) * 2021-02-10 2022-12-09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72796B1 (ko) * 2021-06-25 2022-12-05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78B1 (ko) * 2012-02-01 2012-09-19 박종국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KR101202272B1 (ko) 2012-02-02 2012-11-16 김석복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7427B1 (ko)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83B1 (ko)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130025936A (ko) * 2013-02-08 2013-03-12 이춘우 개수대에 구비된 음식쓰레기 절단 및 탈수장치
KR101835466B1 (ko) 2017-02-27 2018-03-09 정대성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78B1 (ko) * 2012-02-01 2012-09-19 박종국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KR101202272B1 (ko) 2012-02-02 2012-11-16 김석복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7427B1 (ko)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408B1 (ko)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065570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시소개폐뭉치
KR102490688B1 (ko) 2021-10-27 2023-01-19 서은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494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855B1 (ko)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4141331B (zh) 食物垃圾处理器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60079847A (ko)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배수관 세정 장치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70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7882591B2 (en) Prewash dish cleaning device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13235704B (zh) 厨余垃圾处理装置和垃圾处理系统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10225001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CN1849171A (zh) 生垃圾处理装置及排水管洗涤装置
JP2006095467A (ja) 生ごみの切断処理装置
KR20170143168A (ko)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소변기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CN113520249A (zh) 一种清洗机及其清洁方法
KR102304759B1 (ko) 주방 씽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KR10229978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CN219324258U (zh) 一种用于饲料加工的原料破碎装置
KR102399844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11903544B2 (en) Filtration assembly with grinding mechanism
KR20230158186A (ko) 음식물2차분쇄발효소멸기 더블통 일체식 수동수전 내장형 초음파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