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013B1 -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013B1
KR102250013B1 KR1020200158331A KR20200158331A KR102250013B1 KR 102250013 B1 KR102250013 B1 KR 102250013B1 KR 1020200158331 A KR1020200158331 A KR 1020200158331A KR 20200158331 A KR20200158331 A KR 20200158331A KR 102250013 B1 KR102250013 B1 KR 10225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washing water
space
stirring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한상명
Original Assignee
김현숙
주식회사 이노밴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주식회사 이노밴티지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20015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0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교반기 내부에 원통형 몸체를 갖는 방향전환노즐을 구비하여 회전시켜 경사배출부를 교반공간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방향전환노즐의 회전 방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방향전환노즐의 작동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나 세척수가 싱크대 내부로 누수되는 것 역시 방지됨은 물론 방향전환노즐을 포함하는 배출전환수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음식물 쓰레기와 세척수의 안정적인 배출 전환이 가능해 배출전환수단의 고장 발생 우려 역시 낮고 설거지 등에 사용하는 세척수가 교반기의 교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회 배출하면서도 세척수 내에 일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공간으로 회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세척수에 섞여 그대로 하수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수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food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home}
본 발명은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기 및 교반기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식기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가 교반기 내 교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교반공간 내 미생물이 세제로 인해 사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세척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쓰레기의 30% 이상은 음식물 쓰레기이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자연분해시 심한 악취를 유발함은 물론 각종 병원균이 자생하여 위생상 문제됨은 물론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상수원,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실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신속하게 처리를 하지 않으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가정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처리기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크게 분쇄 회수방식과 미생물 소멸방식의 2가지로 분류된다. 우선 분쇄 회수방식은 1차 처리수단(분쇄기)에서 음식물을 분쇄한 후 이동관을 통해 통해 2차 처리수단(회수기)으로 투입되는 방식으로, 이는 음식물을 투입하면 20%만 2차 처리수단(회수기) 하단의 하수배출관으로 배출되어야 하며 나머지 80%는 사용자가 재회수하여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아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미생물 소멸방식은 1차 처리수단(분쇄기)에서 음식물을 분쇄한 후 이동관을 통해 통해 2차 처리수단(교반기)로 투입되는 방식으로, 이는 음식물을 투입하면 2차 처리수단(교반기) 내에서 80%는 미생물이 먹거나 부피를 줄여가는 방식으로 최종 20% 미만으으로만 하수배출관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미생물 소멸방식의 경우 음식물이 2차 처리수단(교반기)로 유입되더라도 식기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가 교반기 내부로 유입되면 2차 처리수단(교반기) 내 미생물이 세제로 인해 사멸되어 음식물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분쇄된 오물과 오물 없이 유입된 세제 및 세척물을 서로 다른 배출구로 구분하여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등록특허 제10-1579963호(참고문헌) 등을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기 참고문헌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수대의 배수구 하부에 설치되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개수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유닛과 분쇄된 오물과 오물 없이 유입된 세제 및 세척물을 서로 다른 배출구로 구분하여 배출하는 전환밸브유닛을 가지는 오물 분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환밸브유닛은 제1 및 제2분기관의 분기부분에 설치되는 전환밸브와, 전환밸브의 자세를 변경시켜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밸브모터와, 전환밸브의 전환위치를 감지하는 밸브위치 감지센서를 구비한다. 이에 더해 전환밸브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고, 나머지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하나의 연통공을 가진다. 이러한 전환밸브는 밸브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제1 및 제2분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참고문헌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환밸브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며 개방된 하나의 연통공을 가지고 있어, 밸브모터에 의해 전환밸브가 수평상태에서 회전하면 연통공의 위치가 측면 또는 하측으로 향하게 되어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과 연통되는 구조여서 연통공에 음식물 찌꺼기 등이 끼게 되면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의 정확한 연결이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 찌꺼기나 세제 및 세척물이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 주변으로 누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기 쉬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참고문헌의 전환밸브가 수평상태에서 회전시 이러한 음식물 찌꺼기 등의 간섭에 의해 전환밸브의 원활한 회전이 불안정적이고, 이에 전환밸브를 강제로 회전시키기 위해 밸브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 우려가 큰 문제점도 있다.
이에 더해 참고문헌의 전환밸브의 회전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만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과 연통되어 음식물 찌꺼기나 세제 및 세척물이 연통 이음부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원활한 음식물 찌꺼기나 세제 및 세척물의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그 작동이 까다롭고 구조 역시 복잡한 단점을 안고 있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1579963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기 내 교반공간으로 투입하고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는 교반기 내 교반공간으로 투입하지 않고 우회 배출하여 미생물이 서식하는 교반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와 세척수의 배출 방향을 전환시키는 배출전환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 쓰레기나 세척수가 싱크대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거지 등에 사용하는 세척수가 교반기로 유입시 우회 배출하면서도 세척수 내에 일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하수배출관으로 배출되어 하수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교반통과 상기 분쇄기를 거쳐 배출되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세척수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교반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교반공간으로 안내하고 상기 분쇄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방향 전환수단과,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쇄기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연결관의 단부에는 상기 교반기의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통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교반통으로 회수하는 경사거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사거름망은 상기 일측은 상기 교반통의 유입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고 세척수만 하측의 마감판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망부와, 상기 망부의 외부를 지지하는 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거름망의 틀부의 일단에는 세척수가 망부에서 걸러지면서 교반통의 교반공간으로 흘러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턱이 상향 돌출되고, 상기 물넘침 방지턱의 단부에는 망부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통의 교반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기 내부에 원통형 몸체를 갖는 방향전환노즐을 구비하여 회전시켜 경사배출부를 교반공간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방향전환노즐의 회전 방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방향전환노즐의 작동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나 세척수가 싱크대 내부로 누수되는 것 역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설거지 등에 사용하는 세척수가 교반기 내 교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회 배출하면서도 세척수 내에 일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공간으로 회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세척수에 섞여 그대로 하수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수배출관이 막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세척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음식물 쓰레기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의 배출방향 전환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100)는 싱크대(1)의 개수대(10) 하부에 설치되어 개수대에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교반 처리하고 하수배출관(30)을 통해 배출한다. 이 경우 싱크대(1)의 개수대(1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도 유입된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100)는 개수대(10)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110)와, 상기 분쇄기(11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공간(121)과 상기 분쇄기(110)를 거쳐 배출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이 형성되는 교반기(120)와, 상기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교반공간(121)으로 안내하고 상기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안내하는 배출방향 전환수단(130)과,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분쇄기(110)는 분쇄용 모터(118)의 구동에 따라 싱크대(1)의 개수대(10)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분쇄하며, 상기 교반기(120)의 교반공간(121)은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간으로 교반용 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한다. 이러한 분쇄기(110) 및 교반기(120)는 분쇄날 및 교반축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분쇄기(110)의 음식물 유입구는 개수대(10)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기(120)의 세척수 이동공간(12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123)에 하수배출관(3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분쇄기(110)에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연결관(15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150)의 타단은 상기 교반기(12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50)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를 상기 교반기(120)의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토출부(152)가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15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 배출이 원활하다면 사각관 등의 다양한 배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쇄기(110)와 교반기(120)는 하나의 하우징(100a)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분쇄기(110)에서 상기 교반기(120)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연결관(1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분쇄기(110)와 교반기(120)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교반기(120)는 분쇄기(11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공간(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교반통(121a)이 구비된다. 이러한 교반통(121a)에 의해 그 외측에 상기 분쇄기(110)를 거쳐 배출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이 구분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교반공간(121)이 형성되는 교반통(121a)의 상단 유입구(121b) 일측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세척수를 안내하도록 하향 경사진 마감판(121c)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교반기(120)의 교반공간(121)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간으로 교반용 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하며, 상기 분쇄기(110)를 거쳐 배출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는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의 구동에 따라 마감판(121c) 상면 방향으로 배출되어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이동하며 이는 교반공간(121) 하부에 마련된 안내공간(127)을 따라 하수배출관(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안내공간(127)은 하수가 원활하게 하수배출관(30)으로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통(121a)의 상부 일측에는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에 의해 안내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교반통(121a)으로 회수하는 경사거름망(129)이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거름망(129)은 일측은 상기 교반통(121a)의 유입구(121b)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사거름망(129)은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고 세척수만 하측의 마감판(121c)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망부(129a)와, 상기 망부(129a)의 외부를 지지하는 틀부(129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거름망(129)의 틀부(129b)의 일단에는 세척수가 망부(129a)에서 걸러지면서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흘러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턱(129c)이 상향 돌출되고, 상기 물넘침 방지턱(129c)의 단부에는 망부(129a)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29d)가 하향 연장된다.
이러한 경사거름망(129)은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멍을 타공한 형태의 타공판으로 구성하여 망부(129a), 틀부(129b), 물넘침 방지턱(129c) 및 안내돌부(129d)를 일체로 가공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금속망을 망부(129a)로 구성하고 틀부(129b), 물넘침 방지턱(129c) 및 안내돌부(129d)는 금속판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의 작동에 의해 세척수가 경사거름망(129) 상측으로 투입되면 망부(129a)에서 세척수만 하부로 배출되고 세척수에 일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망부(129a)에서 걸러져 물넘침 방지턱(129c) 및 안내돌부(129d)를 따라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회수되며, 이 경우 세척수는 물넘침 방지턱(129c)에 의해 교반공간(1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교반공간(121) 내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또는 발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은 상기 교반기(12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50)을 통해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교반공간(121)으로 안내하고 상기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은 상기 교반기(12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50)의 토출부(152)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32a)가 상측에 되는 원통형상의 몸체(132b)의 하단에 상기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하도록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배출부(132c)가 형성되는 방향전환노즐(132)과,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 단부가 상기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1b)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용 모터(13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교반기(120)의 내부에는 배출전환수단(130)이 구비되는 설치공간(124)이 상측에 형성되도록 격벽(125)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125)에는 관통공(126)이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가 하부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32)에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원통형 몸체(132b)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이에 방향전환노즐(132)이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2b) 외주면에는 종동기어(135)가 구비되며, 상기 방향전환용 모터(138)의 회전축(128a)에는 상기 종동기어(135)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2b) 외주면에 종동기어(135)를 일체로 구비함도 가능하며 이에 상기 방향전환용 모터(138)가 구동되면 구동기어(136)가 회전하면서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의 단부가 상기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원통형 몸체(132b) 외측에는 감지돌기(132d)가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32b)가 회전시 교반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감지용 스위치(137,139)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의 단부가 향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용 스위치(137,139)는 일 예로 감지돌기(132d)가 접촉되는 상태에서만 ON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감지용 스위치(137,139)는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2b) 중심에서 180°간격으로 배치되며, 제어수단(140)에 의해 제어되는 방향전환용 모터(138)의 정역회전에 따라 몸체(132b)가 회전하면 제1 또는 제2 감지용 스위치(137,139)에서 제1 또는 제2 접촉신호가 제어수단(140)으로 입력되며 이에 상기 제어수단(140)은 상기 방향전환용 모터(138)를 정지하여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 단부가 상기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40)은 가정용 콘센트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41)와, 상기 전원부(141)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상기 분쇄기(110) 및 교반기(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2)와, 상기 분쇄기(110) 및 교반기(120)를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1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141)는 상용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42)와 상기 분쇄기(110) 및 교반기(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변압 및 정류 기능을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2)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위치(143)는 분쇄기(110)만을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교반기(120)의 구동 또는 정지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분쇄기(110)와 교반기(120)를 서로 다르게 구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분쇄용 및 교반용 구동스위치로 분리 구비함도 가능하다. 아울러 구동스위치(143) 이외에도 제어부(142) 구동을 위한 전원스위치를 더 구비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치의 갯수 및 스위칭 신호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상기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 바닥에는 제1거름망(160)이 구비되어 상기 교반공간(121)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수분이나 음식물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교반통(121a) 하부 즉 교반공간(121)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진 안내공간(127)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제1거름망(160)은 금속판재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멍을 타공한 형태의 타공판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금속망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120)의 교반통(121a)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에는 교반용 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161)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용 모터(128)는 교반통(121a) 상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교반통(121a) 하측에 설치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축(161)은 상기 제1거름망(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관통공(160a)을 관통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161)에는 지지대(162)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161)과 이격거리를 달리하는 복수의 교반축(163)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에 구비되는 회전축(161)에는 수평으로 지지대(162)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162) 하부에는 회전축(161)과 이격되게 수직으로 교반축(163)이 고정된다. 이러한 교반축(163)은 회전축(161)과 이격거리를 달리하도록 복수가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교반축(163)을 구비하는 경우 회전축(161)과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서 음식물이 교반공간(121) 내에서 한쪽을 쏠리지 않고 고르게 교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반축(163)은 수직으로 상기 지지대(162) 하부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1거름망(160)의 상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세척구(164)가 고정된다. 이러한 제1세척구(164)는 상기 제1거름망(160)의 상면에 탄성 밀착 가능한 흡착판 구조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솔 등의 탄성 브러쉬 등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채용함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세척구(164)은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제1거름망(160)의 상면에 저항없이 원활하게 밀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축(161)의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거름망(160)의 하부에는 상기 제1거름망(160)을 통과한 수분은 물론 세척수 이동공간(122)에서 유입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가 안내공간(127)의 상면으로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는 제2거름망(16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거름망(165)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61)이 관통하는 축관통공(165a)이 형성되고, 안내공간(127)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61)의 하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축지지부(127a)가 형성되고 제2거름망(16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거름망(160)을 통과한 수분은 물론 세척수 이동공간(122)에서 유입되는 세제 등이 혼합된 세척수가 제2거름망(165)을 통해 안내공간(127)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감부(165b)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161)의 상기 제2거름망(165)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관통공(165a)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거름망(165)은 제1거름망(160)과 동일한 구조로서 금속판재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멍을 타공한 형태의 타공판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금속망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거름망(160)과 제2거름망(165) 사이의 이격공간(166)에도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는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미세한 음식물 쓰레기나 세척수 이동공간(12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격공간(166)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 이격공간(166)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거름망(160)과 제2거름망(165) 사이의 이격공간(166)에는 상기 회전축(161)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1거름망(160)의 하면과 상기 제2거름망(165)의 상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세척구(167)가 하나 이상 고정된다. 이러한 제2세척구(167)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세척몸체(167a)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제1거름망(160)의 하면과 제2거름망(165)의 상면에 밀착 가능한 세척부(167b)가 구비된다. 이러한 세척부(167b)는 실리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솔 등의 탄성 브러쉬 등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채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세척부(167b)는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제1거름망(160)의 하면 및 제2거름망(165)의 상면에 저항없이 원활하게 밀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축(161)의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161)이 회전시 일체로 고정되는 제2세척구(165)가 회전하면서 제1거름망(160)의 하면과 제2거름망(165)의 상면에 달라붙는 이물질일 제거하여 제1거름망(160)과 제2거름망(16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이나 세척수가 원활하게 제2거름망(160)을 통해 연결부(123)에 연결된 하수배출관(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동 예를 설명한다.
우선 분쇄기(110)의 구동을 위해 구동스위치(143)를 동작(예를 들어 ON)시키면 제어수단(140)의 제어부(142)에 구동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40)의 제어부(142)는 분쇄기(110) 동작 전에 방향전환용 모터(138)를 제어(예를 들어 정회전)하여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2b)를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 감지용 스위치(137)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 단부가 상기 교반공간(121)으로 향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향전환용 모터(138)를 정지시키고 상기 분쇄기(11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1)의 개수대(10)로 투입하여 분쇄기(110)에서 잘게 분쇄되면서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를 통해 교반기(120)의 교반공간(121)으로 투입된다.
한편, 사용자는 분쇄기(110)를 정지시키기 위해 구동스위치(143)를 정지(예를 들어 OFF)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어수단(140)의 제어부(142)는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분쇄기(110)를 정지시킨 후 방향전환용 모터(138)를 제어(예를 들어 정회전)하여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2b)를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 감지용 스위치(139)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 단부가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향전환용 모터(138)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싱크대(1)의 개수대(10)에서 각종 식기 등을 세제로 세척시 수돗물로 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세척수가 분쇄기(110)를 통해 이동하면서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를 통해 경사거름망(129)을 통과하여 교반기(120)의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유입되며 하수배출관(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세척수가 경사거름망(129) 상측으로 투입되면 망부(129a)에서 세척수만 하부로 배출되고 세척수에 일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는 망부(129a)에서 걸러져 물넘침 방지턱(129c) 및 안내돌부(129d)를 따라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회수되며, 이 경우 세척수는 물넘침 방지턱(129c)에 의해 교반공간(1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교반공간(121) 내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또는 발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교반기(120)의 교반용 모터(128)가 구동되면 회전축(161)이 회전하면서 회전축(161)과 이격되는 교반축(161)도 함께 회전하면서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에 채워진 미생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고루게 교반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은 제1거름망(160)과 그 하부의 제2거름망(165)을 통과하면서 안내공간(127)을 통해 하수배출관(3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교반축(163) 하단에 구비되는 제1세척구(164)와, 회전축(161)에 결합되는 제2세척구(1667) 역시 회전하면서 제1거름망(160)의 상면 및 하면과, 제2거름망(165)의 상면에 달라붙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싱크대 10: 개수대
100: 음식물 처리기 110: 분쇄기
120: 교반기 121: 교반공간
122: 세척수 이동공간 127: 안내공간
128: 교반용 모터 129: 경사거름망
129a: 망부 129b: 틀부
129c: 물넘침 방지턱 129d: 안내돌부
130: 배출방향 전환수단 132: 방향전환노즐
137: 제1 감지용 스위치 138: 방향전환용 모터
139: 제2 감지용 스위치 140: 제어수단
160: 제1거름망 161: 회전축
162: 지지대 163: 교반축
164: 제1세척구 165: 제2거름망
167: 제2세척구

Claims (3)

  1. 싱크대의 개수대(10)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110)와, 상기 분쇄기(11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공간(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교반통(121a)과 상기 분쇄기(110)를 거쳐 배출되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이 형성되는 교반기(120)와, 상기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교반공간(121)으로 안내하고 상기 분쇄기(1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안내하는 배출방향 전환수단(130)과,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40)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쇄기(110)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또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연결관(150)의 단부에는 상기 교반기(120)의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토출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은 상기 연결관(150)의 토출부(152) 하단이 상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132b)의 하단에 상기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하도록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배출부(132c)가 형성되는 방향전환노즐(132)과,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경사배출부(132c) 단부가 상기 교반공간(121) 또는 세척수 이동공간(122)으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노즐(132)의 몸체(131b)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용 모터(138)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통(121a)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배출방향 전환수단(130)에 의해 안내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교반통(121a)으로 회수하는 경사거름망(129)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거름망(129)은 상기 일측은 상기 교반통(121a)의 유입구(121b)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 이동공간(12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고 세척수만 하측의 마감판(121c)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망부(129a)와, 상기 망부(129a)의 외부를 지지하는 틀부(129b)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거름망(129)의 틀부(129b)의 일단에는 세척수가 망부(129a)에서 걸러지면서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흘러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턱(129c)이 상향 돌출되고, 상기 물넘침 방지턱(129c)의 단부에는 망부(129a)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통(121a)의 교반공간(121)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29d)가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158331A 2020-11-24 2020-11-24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Active KR10225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31A KR102250013B1 (ko) 2020-11-24 2020-11-24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31A KR102250013B1 (ko) 2020-11-24 2020-11-24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013B1 true KR102250013B1 (ko) 2021-05-10

Family

ID=7591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331A Active KR102250013B1 (ko) 2020-11-24 2020-11-24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833B1 (ko) * 2021-05-04 2022-02-15 김경은 절수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300A (ja) * 1996-11-05 1998-05-19 Denso Corp 生ごみ処理装置
JP2002273390A (ja) * 2001-03-16 2002-09-24 Yukio Hashimoto 無機質分解濾過媒体材を使用し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生ごみ処理機
JP2004025155A (ja) * 2002-06-21 2004-01-29 Shinyo Sangyo Kk 流し台等装着の生ごみ分解消滅機。
KR100832482B1 (ko) * 2007-02-12 2008-05-26 새림글로벌주식회사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0959179B1 (ko) *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2061B1 (ko) * 2013-06-27 2013-11-22 윤장효 분쇄와 분해가 동시에 수행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79963B1 (ko)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41350A (ko) * 2015-10-07 2017-04-17 노권학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79056B1 (ko)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300A (ja) * 1996-11-05 1998-05-19 Denso Corp 生ごみ処理装置
JP2002273390A (ja) * 2001-03-16 2002-09-24 Yukio Hashimoto 無機質分解濾過媒体材を使用し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生ごみ処理機
JP2004025155A (ja) * 2002-06-21 2004-01-29 Shinyo Sangyo Kk 流し台等装着の生ごみ分解消滅機。
KR100832482B1 (ko) * 2007-02-12 2008-05-26 새림글로벌주식회사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0959179B1 (ko) *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2061B1 (ko) * 2013-06-27 2013-11-22 윤장효 분쇄와 분해가 동시에 수행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79963B1 (ko)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41350A (ko) * 2015-10-07 2017-04-17 노권학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79056B1 (ko)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833B1 (ko) * 2021-05-04 2022-02-15 김경은 절수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1331B (zh) 食物垃圾处理器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905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59033A (ko) 2단 칼날 구조와 자체 정화 구조를 가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02855B1 (ko) 씽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29107B1 (ko) 주방용 오물 분쇄기
KR10225001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17778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17004135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29978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22955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481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835466B1 (ko)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CN104863220B (zh) 旋转式防堵防臭下水器
KR101709107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2229110B1 (ko) 주방용 오물 분쇄기
JP6169672B2 (ja) 生ごみ粉砕機及び生ごみ処理装置
KR102304759B1 (ko) 주방 씽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