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691B1 -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 Google Patents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691B1
KR101876691B1 KR1020177015647A KR20177015647A KR101876691B1 KR 101876691 B1 KR101876691 B1 KR 101876691B1 KR 1020177015647 A KR1020177015647 A KR 1020177015647A KR 20177015647 A KR20177015647 A KR 20177015647A KR 101876691 B1 KR101876691 B1 KR 10187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ring hole
protruding
bearing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687A (ko
Inventor
요시츠구 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7008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8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 F16C11/083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different elements of fixed geomet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1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requiring a specific angula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Leaf or l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metry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구조에 있어서, 축 및 축받이 구멍을 형성하는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동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축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회동부재(16)는 축체(36)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된 축용 벽체(44)에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돌출축(46)을 가진다. 또한, 회동부재는 돌출축의 선단면에 돌출 형성되되 돌출축에 대해서 직경을 작게 한 돌기부(48)를 구비한다. 통상은 돌출축이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구멍(26)에 수용됨으로써, 회동부재는 베이스부재에 축지지되어 있다. 예측 불가능한 외력이 회동부재에 가해졌을 때, 돌출축이 축받이 구멍에서 이탈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돌기부는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져서 축받이 구멍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PIVOTALLY SUPPORTING STRUCTURE AND CUP HOLDER COMPRISING PIVOTALLY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컵 홀더에 적용되는 축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컵 홀더 등에 적용되는 축지지 구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축지지 구조에서는, 축부 및 축받이부 중 일방 또는 쌍방에 테이퍼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된 회동부재가 베이스부재에 걸려서 회동범위의 한도에 있을 때에, 회동부재에 그 한도를 넘으려고 하는 예측 불가능한 회전 하중이 가해지면, 테이퍼 형상의 작용에 의해서 축부와 축받이부의 걸어맞춤이 즉시 해제된다. 따라서, 축부 및 축받이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868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축지지 구조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회전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회동부재에 대한 축지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회동부재가 탈락하게 되고, 그 낙하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회동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 회동부재를 다시 장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수고를 끼치는 것이었다. 또한, 종이컵 등과 같이 뚜껑이 없는 용기 또는 뚜껑을 덮지 않은 용기에 액체를 넣은 상태로 그 용기를 유지하고 있었던 경우, 회동부재의 탈락과 함께 용기가 낙하함으로써 액체가 흘러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지 않으면, 회동부재에 예측 불가능한 회전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 또는 축받이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부 및 축받이부를 완강한 소재 또는 형상으로 하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축부 및 축받이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동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축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부재(14)에 회동부재(16)를 축지지하기 위한 축지지 구조(6)로서, 상기 회동부재(16) 및 상기 베이스부재(14) 중의 일방 부재의 좌우 축용 벽체(44)에 서로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돌출축(46)과, 상기 축용 벽체(44)에 대해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기 양 부재 중의 타방 부재의 좌우 축받이 벽체(22)에 상기 돌출축(46)을 수용하기 위해서 형성된 축받이 구멍(26)과, 상기 돌출축(46)의 선단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48, 64, 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출축이 축받이 구멍에서 탈락되더라도 돌기부가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베이스부재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출축이 축받이 구멍에서 탈락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돌출축, 축용 벽체 및 축받이 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양 부재가 서로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양 부재 간의 회동범위가 규정되고, 상기 축용 벽체(44) 및 상기 축받이 벽체(22) 중 일방 또는 쌍방에 소정의 가요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양 부재 간에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를 넘으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가요성을 가지는 상기 축용 벽체(44) 및 상기 축받이 벽체(22) 중 일방 또는 쌍방이 변형됨에 의해서 상기 축받이 구멍(26)에서 상기 돌출축(46)이 탈락되고, 상기 돌기부(48, 64, 74)가 상기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해진 외력의 방향이 양 부재가 서로 맞닿아 있는 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돌출축 및 축받이 구멍 간을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양 벽체에 좌우방향의 큰 휨 내력은 요구되지 않는다. 또, 일방 또는 쌍방의 벽체가 휘어짐으로써 외력의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돌출축, 축용 벽체 및 축받이 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양부재가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에 가까워지는 상대 회동을 함에 따라서, 상대 회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탄지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30)가 상기 축용 벽체(44) 및 상기 축받이 벽체(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부재의 회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탄지력에 의해서, 회동범위의 한도 부근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구성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돌기부(48)의 선단에는 테이퍼면(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50)이 형성된 측의 측부는 상기 돌출축(46)과 상기 축받이 구멍(26)이 서로 압접하는 측을 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퍼면에 의해서 회동부재의 베이스부재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장착 후에는, 테이퍼면은 돌기부가 축받이 구멍에서 탈락하는 원인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의 축지지 구조(6)와, 상기 축지지 구조(6)의 상기 베이스부재(14)를 내부에 고정하며 상부가 개구된 상자부재(4)를 구비한 컵 홀더(2)로서, 상기 회동부재(16)는 회동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한 표면(42)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요동체(38)를 가지며, 상기 표면(42)은 상기 회동범위의 일방의 한도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측을 향하고, 또한 하측으로 향하는 회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높이가 낮은 용기(컵)를 유지할 때는 요동체의 표면을 바닥으로 하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용기를 유지할 때는 회동부재를 밀어 올리도록 회동시켜서 상자부재의 저벽을 바닥으로 함으로써, 높이가 다른 용기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38)는 좌우방향의 중간 영역이 좌우 양 측부에 대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된 이면과, 기단측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을 연결하는 기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기단면의 좌우 양 측부(56)가 상기 베이스부재(14)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기 회동범위의 상기 일방의 한도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동범위의 일방의 한도에 있어서 외력을 받았을 때에, 기단면의 좌우 양 측부가 베이스부재에 맞닿아서 걸려 있는 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돌출축과 축받이 구멍 간에 회전력이 가해지는데, 돌출축과 돌기부의 단차에 비해서 돌출축 및 돌기부에서부터 상기 지지점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각도 변화가 적으며, 그 결과 요동체의 표면은 수평에서부터 크게 경사지지 않는다. 따라서, 요동체에 지지된 용기에 들어 있는 액체가 넘쳐 흐르기 어렵게 된다. 또, 대부분의 용기는 원통형 또는 이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회동부재를 밀어올려서 비교적 높이가 있는 용기를 유지할 때에도, 요동체 이면의 돌출된 좌우 양 측부는 용기의 수용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수용 가능한 용기의 최대 직경은 감소하지 않는다.
예측 불가능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돌출축이 축받이 구멍에서 이탈됨으로써 부재의 파손이 방지됨과 아울러, 돌기부가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회동부재의 탈락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축지지 구조가 적용된 컵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축지지 구조의 폐쇄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축지지 구조의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축받이 구멍 주변의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부재의 일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돌출축 주변의 확대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축지지 구조의 기능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축지지 구조의 기능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도 10은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부재의 일부의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부재의 일부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컵 홀더(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2)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콘솔박스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컵 홀더(2)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자동차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과 일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2)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컵 홀더(2)는 상자부재(4)와, 축지지 구조를 가지며 상자부재(4)의 내부에 고정된 세퍼레이터(6)를 구비한다. 컵 홀더(2)의 형상은 상하방향의 중심축 주위로 180°회전시키면 원래의 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대칭성을 구비한다. 컵 홀더(2)의 형상은 회전 대칭성에 더하여 또는 회전 대칭성 대신에 전후로 경상(鏡像) 대칭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자부재(4)는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부를 가지는 상자형상을 이룬다. 상자부재(4)는 라운딩된 직사각형 형상의 저벽(8)과, 저벽(8)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세워지게 형성된 둘레벽(10)을 구비하고, 둘레벽(10)의 외면에서는 컵 홀더(2)를 나사 등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돌편(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6)는 상자부재(4)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상자부재(4)의 내부를 전후로 칸막이하고 있다. 세퍼레이터(6)에 의해서 칸막이된 전후 2개의 공간에 각각 1개의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6)는 베이스부재(14)와 이 베이스부재(14)에 축지지된 2개의 회동부재(16)를 구비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회동부재(16)의 표면이 베이스부재(14)에 근접한 상태(도 2)를 폐쇄상태라 하고, 회동부재(16)의 표면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도 3)를 개방상태라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4)는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으로서, 상자부재(4)의 내부에 고정되는 다리부(18)와, 다리부(18)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칸막이판(20)과, 다리부(18)의 좌우 양 단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1쌍의 축받이 벽체(22)를 구비한다.
다리부(18)는 상자부재(4)의 내부를 전후로 2등분하도록 그 저면이 상자부재(4)의 저벽(8)의 상면에 맞닿고, 좌우 측면이 상자부재(4)의 둘레벽(10)의 좌우 내주면에 맞닿고, 전후의 면이 상자부재(4)의 둘레벽(10)의 전후 내주면과 대향하고 있다. 다리부(18)의 높이는 상자부재(4)의 깊이의 3분의 1∼2분의 1 정도이다(도 1 참조). 
대략 평판형상을 나타내는 칸막이판(20)은 주면(主面)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다리부(18)의 상면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두께는 다리부(18)의 전후방향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칸막이판(20)의 좌우 양 측단은 상자부재(4)의 둘레벽(10)의 내면으로부터 약간 이간되어 있다. 칸막이판(20)의 상부의 좌우방향의 중앙에는 고무를 소재로 하는 완충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완충부재(24)는 칸막이판(20)보다도 전후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회동부재(16)가 폐쇄상태로 될 때에 회동부재(16)와 칸막이판(20)의 충돌을 완화시킨다.
1쌍의 축받이 벽체(22)는 칸막이판(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1쌍의 축받이 벽체(22)의 각각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한 2개의 축받이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의 축받이 구멍(26)은 칸막이판(20)에 대해서 전방에 형성되고, 타방의 축받이 구멍(26)은 칸막이판(20)에 대해서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축받이 구멍(26) 사이의 중간 영역의 두께는 좌우방향으로 휘어지기 쉽도록 축받이 구멍(26)의 주위에 비해서 얇게 되어 있다. 도 5는 우측의 축받이 벽체(22)의 후측의 축받이 구멍(26) 주변의 확대도이다. 2개의 축받이 구멍(26) 각각은 대향하는 축받이 벽체(22)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26)과 쌍을 이루고 있다. 1쌍의 축받이 구멍(26)은 좌우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축받이 벽체(22)가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칸막이판(20)에 대한 전후방향의 반대 측에 있어서 축받이 구멍(26)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로의 대향 거리가 길어지게 되도록 테이퍼면(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축받이 벽체(22)에는 판스프링(3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32)이 각 축받이 구멍(26)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3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U자의 개구 측이 장착구멍(32)에 삽입되어 축받이 벽체(22)에 지지되고, U자의 바닥부분이 전후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판스프링(30)의 자유단을 구성하고 있다. 판스프링(30)의 U자의 바닥부분은 대략 주면이 좌우방향을 향한 판형상을 나타내고, 자신이 장착된 축받이 벽체(22)와는 반대 측, 즉 좌우방향의 중앙 측으로 향해서 만곡된 만곡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4)의 능선은 축받이 구멍(26)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16)는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으로서, 베이스부재(14)에 축지지되는 축체(36)와 이 축체(36)에서 돌출 형성되는 요동체(38)를 가진다. 요동체(38)는 축체(36)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며, 즉 자유단이 축체(36)를 중심으로 한 원호 궤도상을 소정의 범위에서 변위하도록 회동한다. 요동체(38)는 요동체 본체(40)와 이 요동체 본체(40)의 개방상태에서의 상면에 고정된 트레이판(42)을 가진다. 도 6은 트레이판(42)을 생략한 회동부재(16)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그 축체(36)의 측면 확대도이다. 
축체(36)는 좌우 양 측부에 축용 벽체(44)를 구비한다. 축용 벽체(44)는 대략 원판형상을 나타내며, 그 주면이 축선방향(즉,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축용 벽체(44)의 좌우방향 외측의 주면에는 원기둥형상의 돌출축(4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축용 벽체(44)에 돌출 형성된 2개의 돌출축(46)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쌍을 이루고 있다. 1쌍의 돌출축(46)이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구멍(26)에 수용됨으로써, 회동부재(16)는 베이스부재(1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돌출축(46)의 외경은 축받이 구멍(26)의 내경과 거의 같으며, 돌출축(46)의 외주가 축받이 구멍(26)의 내주를 슬라이딩함으로써 회동부재(16)가 회동한다. 돌출축(46)의 선단면에는, 돌출축(46)에 대해서 직경을 작게 한 돌기부(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8)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형상의 선단측을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잘라낸 형상이며, 돌출축(46)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돌기부(48)의 상기 잘라낸 형상에 의해서 구성된 테이퍼면(50)은 요동체(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부에서 요동체(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의 측부로 향해서 축선방향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축용 벽체(44)의 좌우방향 외측의 주면에는 돌출축(46)과 동축적이면서 돌출축(46)을 둘러싸는 원형의 돌조(52)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52)의 돌출 길이는 돌출축(46)의 돌출 길이에 비해서 짧다. 돌조(52)는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벽체(22)에 맞닿아서 회동부재(16)가 베이스부재(14)에 대해서 회동할 때에 양자 간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하고 있다. 또한, 축용 벽체(44)의 외측의 주면에는 돌조(52)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에 2개의 볼록부(54)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볼록부(54) 중 일방은 축 중심에 대해서 돌기부(48)의 테이퍼면(50)이 형성된 측에 형성되고, 타방은 트레이판(42) 측에 형성된다. 2개의 볼록부(54) 각각은 대응하는 회동범위의 한도의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부재(14)에 장착된 판스프링(30)의 만곡부(34)에 압접되고, 회동범위의 한도에 있어서는 만곡부(34)를 타고 넘은 위치에 배치된다. 돌조(52)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2개의 볼록부(54) 간의 축용 벽체(44)의 주면은 판스프링(30)의 만곡부(34)가 접촉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요동체(38)는 축체(36)에서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1개의 면이 오목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낸다. 요동체(38)의 좌우 양 측면은 상자부재(4)의 내면에 근접 대향하고 있으며, 요동체(38)의 자유단은 개방상태에서 상자부재(4)의 둘레벽(10)의 내면에 대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한다. 
트레이판(42)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에 대해서 그 자유단 측의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있고, 표면 측의 자유단 및 좌우 양단에 가장자리가 세워지게 형성된 형상이다.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즉, 트레이판(42)이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은 좌우방향에서 만곡되어 있고, 기단에서 자유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직선적이다. 기단 측에 있어서의 트레이판(42)에서부터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에 걸친 두께는 좌우방향의 중앙부에서 축체(36)의 두께와 거의 같고, 좌우 양 측부에서 중앙부보다도 두껍다. 요동체 본체(40)의 기단 측의 기단면에는, 좌우 양 측부에 기단면에 대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56)는 개방상태에서 베이스부재(14)의 다리부(18)에 맞닿아서 걸리게 된다. 요동체 본체(40)의 자유단 측의 좌우의 코너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체(38)는 칸막이판(20)에 장착된 완충부재(24)에 트레이판(42)의 표면이 맞닿는 폐쇄상태(도 2)와 이 폐쇄상태에서 약 90°회동하여 트레이판(42)의 표면이 상측을 향하고 또한 걸림부(56)가 베이스부재(14)의 다리부(18)에 걸린 개방상태(도 3)의 사이에서 요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컵 홀더(2)는, 회동부재(16)의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상자부재(4)의 저면 및 내주면, 베이스부재(14)의 다리부(18) 및 요동체(38)의 이면에 의해서 용기 등의 유지공간이 획정되며, 500mL 용량의 패트병과 같은 비교적 높이가 있는 음료 용기를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이때, 다리부(18)의 좌우방향 중앙부와 요동체(38)의 이면의 좌우방향 중앙부는 대략 직선형상으로 정합되어 있으며, 이 직선은 획정된 공간의 상부가 넓어지도록 상하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져 있다. 또, 컵 홀더(2)는, 회동부재(16)의 개방상태에서는 트레이판(42)의 표면, 상자부재(4)의 내주면 및 베이스부재(14)의 칸막이판(20)의 주면에 의해서 용기 등의 유지공간이 획정되며, 캔 용기나 종이컵과 같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음료 용기를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다음은 컵 홀더(2)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회동부재(16)를 손가락으로 움직여서 폐쇄상태와 개방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회동부재(16)의 폐쇄상태는 회동부재(16) 자신의 중력이나 돌출축(46)과 축받이 구멍(26)의 마찰력에 의해서, 또 판스프링(30)의 만곡부(34)가 요동체(38)의 반대 측에 배치된 볼록부(54)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유지된다. 회동부재(16)의 개방상태는 회동부재(16)의 걸림부(56)가 베이스부재(14)의 다리부(18)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유지된다. 
회동부재(16)의 폐쇄상태의 근방에 있어서는, 트레이판(42) 측에 배치된 볼록부(54)가 판스프링(30)의 만곡부(34)에 얹혀지도록 슬라이딩하여 압접하기 때문에, 회동부재(16)는 개방방향으로 향하여 항력을 받는다. 따라서, 트레이판(42)이 완충부재(24)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 회동부재(16)의 개방상태의 근방에 있어서는, 요동체(38)의 반대 측에 배치된 볼록부(54)가 판스프링(30)의 만곡부(34)에 얹혀지도록 슬라이딩하여 압접하기 때문에, 회동부재(16)는 폐쇄방향으로 향하여 항력을 받는다. 따라서, 걸림부(56)가 다리부(18)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 있어서는, 볼록부(54)가 만곡부(34)를 타고 넘기 때문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돌출축(46)의 축받이 구멍(26)으로부터의 이탈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개방상태에서 돌출축(46)이 축받이 구멍(26)에 수용된 상태{도 8의 실선, 도 9(a)}와 돌출축(46)이 축받이 구멍(26)에서 이탈된 상태{도 8의 이점 쇄선, 도 9(b)}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판스프링(30)를 생략하고 있다.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벽체(22) 및 회동부재(16)의 축용 벽체(44)는 서로 근접 대향하고 있으나, 수지를 소재로 하는 얇은 판형상의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개방상태에서 회동범위의 한도를 넘으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은 걸림부(56)가 다리부(18)에 맞닿아서 걸려 있는 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축체(36)를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때, 축받이 벽체(22) 및 축용 벽체(44)가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돌출축(46)이 축받이 구멍(26)에서 이탈되지만, 돌기부(48)는 축받이 구멍(26)에 걸어 맞춰진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회동부재(16)는 베이스부재(14)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탈락하지 않는다. 이때의 변위량, 즉 돌출축(46)에 대한 돌기부(48)의 축경폭(縮徑幅)은 돌출축(46) 및 돌기부(48)에서부터 걸림부(56)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충분히 짧기 때문에, 회동부재(16)의 각도 변화는 극히 적은 것이 된다. 즉, 외력이 작용하여 돌출축(46)이 축받이 구멍(26)에서 탈락하더라도 트레이판(42)의 표면은 수평에서부터 약간 경사지는 정도이므로, 트레이판(42)에 지지된 음료 용기에서 음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축체(36)에서부터 걸림부(56)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더라도 폐쇄상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용기의 폭이나 직경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은 폐쇄상태에 있어서 용기 수용 공간의 일 측면을 획정하지만, 많은 음료 용기가 원통형 또는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부(56)를 형성하기 위해서 요동체 본체(40)의 이면의 좌우를 돌출시키더라도 수용 가능한 용기의 최대 직경은 감소하지 않는다.  
또, 축받이 벽체(22) 및 축용 벽체(44)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며, 따라서 돌출축(46), 축용 벽체(44) 및 축받이 벽체(22)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 돌출축(46)이 축받이 구멍(26)에서 탈락한 상태에서는 돌기부(48)가 축받이 구멍(26)에 수용되어 있고, 또한 휘어진 축받이 벽체(22) 및 축용 벽체(44)가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동부재(16)를 움직임으로써 용이하게 돌출축(46)을 축받이 구멍(26)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 돌기부(48)의 테이퍼면(50)은, 컵 홀더(2)의 제조과정에서 축받이 벽체(22)의 테이퍼면(28)에 슬라이딩시켜서 돌출축(46) 및 돌기부(48)를 축받이 구멍(26)에 수용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8)의 테이퍼면(50)은 개방상태에서의 돌출축(46)의 축받이 구멍(26)으로부터의 이탈시에 이탈 방향과 반대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돌기부(48)의 축받이 구멍(26)으로부터의 이탈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폐쇄상태에서도 이탈 방향으로부터 약 90° 어긋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다.
또,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동범위의 한도를 넘으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은 걸림부(56)가 다리부(18)에 맞닿아서 걸려 있는 점을 지지점으로 하는 도 8의 화살표 방향의 힘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축받이 구멍(26)이 형성된 축받이 벽체(22)에 대한 휨 모멘트는 축받이 벽체(22)의 두께방향(좌우방향)보다도 폭방향(상하방향)으로 크게 발생한다. 두께방향에 비해서 폭방향의 내력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베이스부재(14)를 성형할 때의 용접선이 축받이 벽체(22)에 생기더라도 축받이 벽체(22)는 그 외력에 견딜 수 있으며, 2개의 축받이 구멍(26)을 연결하는 부분을 얇게 하여 축받이 벽체(22)를 휘어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변형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부재(60)를, 트레이판(42)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체(62)의 돌기부(64)의 형상이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돌기부(64)의 형상은 대략 직육면체에서 선단 측의 1개의 변을 잘라낸 형상이다. 이 잘라낸 형상에 의한 테이퍼면(66)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동부재(60)를 베이스부재(14)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이다. 돌기부(64)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각 길이는 돌출축(46)의 직경보다도 짧다. 이와 같이, 돌기부(64)는 원기둥형상이나 돌출축(46)에 동축으로 하지 않더라도 돌출축(46)에 대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면, 즉 돌출축(46)에 대해서 단차가 생기도록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각 방향의 길이가 돌출축(46)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돌출축의 선단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면, 돌출축(46)의 축받이 구멍(26)으로부터의 탈락시에 축받이 구멍(26)에 걸어 맞춰져서 수용됨으로써 회동부재(60)의 탈락을 방지한다는 기능을 완수한다.  
도 11은 또 다른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부재(70)를, 트레이판(42)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체(72)의 돌기부(74)가 태핑나사 등의 나사의 머리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점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돌기부(74)를 구성하는 나사의 머리부의 직경은 돌출축(46)의 직경보다도 작고, 나사의 머리부와 돌출축(46)의 선단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축(46)을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구멍(26)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축받이 구멍(26)의 반대 측에서 태핑나사를 장착함으로써 회동부재(70)를 베이스부재(14)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에 돌출축 및 돌기부가 형성된 축용 벽체를 형성하고, 회동부재에 축받이 구멍이 형성된 축받이 벽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컵 홀더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용기를 수용하는 것이어도 좋고, 베이스부재를 상자부재의 둘레벽과 일체화시켜도 좋다. 돌기부로서 나사의 머리부를 이용할 경우에는 축받이 구멍은 관통구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동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할 때에 축받이 구멍이 형성된 벽체의 테이퍼면 및 돌기부의 테이퍼면을 이용하여 돌기부를 축받이 구멍에 수용시킬 경우에는 축받이 구멍은 관통구멍이어도 좋고, 오목형상의 구멍이어도 좋다.
2: 컵 홀더 4: 상자부재
6: 세퍼레이터(축지지 구조) 14: 베이스부재
16,60,70: 회동부재 18: 다리부
22: 축받이 벽체 26: 축받이 구멍
30: 판스프링 38: 요동체
42: 트레이판 44: 축용 벽체
46: 돌출축 48,64,72: 돌기부
50,66: (회동부재의)테이퍼면 56: 걸림부

Claims (6)

  1. 베이스부재에 회동부재를 축지지하기 위한 축지지 구조로서,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중의 일방 부재의 좌우 축용 벽체에 서로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돌출축과,
    상기 축용 벽체에 대해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기 양 부재 중의 타방 부재의 좌우 축받이 벽체에 상기 돌출축을 수용하기 위해서 형성된 축받이 구멍과,
    상기 돌출축의 선단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부재가 서로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양 부재 간의 회동범위가 규정되고,
    상기 축용 벽체 및 상기 축받이 벽체 중 일방 또는 쌍방에 소정의 가요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양 부재 간에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를 넘으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가요성을 가지는 상기 축용 벽체 및 상기 축받이 벽체 중 일방 또는 쌍방이 변형됨에 의해서 상기 축받이 구멍에서 상기 돌출축이 탈락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지지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 부재가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에 가까워지는 상대 회동을 함에 따라서, 상대 회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탄지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가 상기 축용 벽체 및 상기 축받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지지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범위의 한도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이 형성된 측의 측부는 상기 돌출축과 상기 축받이 구멍이 서로 압접하는 측을 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지지 구조.
  5.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지지 구조와, 상기 축지지 구조의 상기 베이스부재를 내부에 고정하며 상부가 개구된 상자부재를 구비한 컵 홀더로서,
    상기 회동부재는 회동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한 표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요동체를 가지며,
    상기 표면은 상기 회동범위의 일방의 한도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측을 향하고, 또한 하측으로 향하는 회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는 좌우방향의 중간 영역이 좌우 양 측부에 대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된 이면과, 기단측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을 연결하는 기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기단면의 좌우 양 측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기 회동범위의 상기 일방의 한도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177015647A 2014-11-14 2015-10-26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KR101876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1509 2014-11-14
JP2014231509A JP6251155B2 (ja) 2014-11-14 2014-11-14 軸支構造及び軸支構造を備えるカップホルダ
PCT/JP2015/005355 WO2016075875A1 (ja) 2014-11-14 2015-10-26 軸支構造及び軸支構造を備えるカップ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687A KR20170081687A (ko) 2017-07-12
KR101876691B1 true KR101876691B1 (ko) 2018-07-09

Family

ID=5595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647A KR101876691B1 (ko) 2014-11-14 2015-10-26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8928B2 (ko)
JP (1) JP6251155B2 (ko)
KR (1) KR101876691B1 (ko)
CN (1) CN107076197B (ko)
MX (1) MX2017006258A (ko)
WO (1) WO2016075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1639S1 (en) * 2021-06-19 2024-04-09 Chien-Ting Lin Drink bottle holder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35U (ja) * 1984-07-25 1986-02-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0168A (en) * 1979-10-15 1981-09-22 Rca Corporation Hinge construction with positive locking means
JPS62200815U (ko) * 1986-06-11 1987-12-21
US5008975A (en) * 1990-06-08 1991-04-23 Wang Rong W Hinge device
EP0500248A1 (en) 1991-02-20 1992-08-26 Trico-Folberth Limited Pivot joint
JP3314903B2 (ja) * 1995-07-04 2002-08-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JP2000008687A (ja) 1998-06-19 2000-01-11 Piolax Inc 開閉体の軸支構造
JP3833925B2 (ja) *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US20080083857A1 (en) * 2006-10-05 2008-04-10 Nifco Inc. Cup holder
JP2011185301A (ja) * 2010-03-04 2011-09-22 Nifco Inc 軸支持構造
US20110297201A1 (en) * 2010-06-03 2011-12-08 Yi-Ming Chen Pivot knuckle joint and tent using the same
JP5721657B2 (ja) * 2012-03-30 2015-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35U (ja) * 1984-07-25 1986-02-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6197B (zh) 2020-01-21
US20170370404A1 (en) 2017-12-28
JP6251155B2 (ja) 2017-12-20
KR20170081687A (ko) 2017-07-12
MX2017006258A (es) 2017-11-17
JP2016094994A (ja) 2016-05-26
US10138928B2 (en) 2018-11-27
CN107076197A (zh) 2017-08-18
WO2016075875A1 (ja)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74B1 (ko) 컵 홀더
KR10056934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KR101895298B1 (ko) 용기
US8783635B2 (en) Cup holder
US20050072889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JP2011111072A (ja) カップホルダ
CN111823991B (zh) 旋转式托架装置
JP6841923B2 (ja) 容器収納構造
KR101876691B1 (ko)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JP6948200B2 (ja) 車両用内装の収納構造
KR100774402B1 (ko) 차량용 컵홀더
JP5096724B2 (ja) 車室内収納ケース
JP6106048B2 (ja) カップホルダ
JP5430111B2 (ja) カップホルダ
JP2007062696A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2007145216A (ja) 物品ホルダー
JP5853861B2 (ja) カップホルダ
JP2019119241A (ja) 車両用収容装置
JP2019127146A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H0971172A (ja) 車両用収納ケース
JP6192053B2 (ja) ラッチ装置
JP7351729B2 (ja) カップホルダ
JP4033057B2 (ja) 収容具
JP5251244B2 (ja) カップホルダ兼用物品収納容器
JP2008230570A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