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59B1 -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59B1
KR101876259B1 KR1020180001794A KR20180001794A KR101876259B1 KR 101876259 B1 KR101876259 B1 KR 101876259B1 KR 1020180001794 A KR1020180001794 A KR 1020180001794A KR 20180001794 A KR20180001794 A KR 20180001794A KR 101876259 B1 KR101876259 B1 KR 10187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rail
running
drive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후카자와
히데아키 시오자와
전승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주)키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주)키토코리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6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wheels an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 가능하고, 또한 트롤리 기구의 구동 차륜이 주행 레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복수의 주행 레일(20)과, 구동 차륜 및 구동 모터(36)를 구비하고 또한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복수의 주행 레일(20)의 제1 주행부를 각각 따라 구동 차륜이 주행하는 트롤리 기구(30)와, 트롤리 기구(30)에 적어도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70)을 반송하는 차륜을 구비하는 레일 반송 기구와, 전동 호이스트체(110)와, 제1 주행부를 협지하여 구동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고 또한 구동 차륜과 함께 작동하여 제1 주행부에 따라 주행하는 튐 방지 롤러(45)를 구비하는 튐 방지 기구(42)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SLIDE RAIL TYPE OVERHEAD CRAN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장치나 부품을 반송(搬送)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는, 천장에 부설한 주행 레일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그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권상기(卷上機)가 더 슬라이딩(횡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횡가재(100)의 하면에 2개의 주 레일(1)(주행 레일)이 배치되고, 그 아래쪽에 전동 트롤리(3)나 레일 슬라이드기(4)를 통하여 슬라이드 레일(2)이 더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지지 부재(1)에 롤러 지지 부재(22)가 장착되어 있고, 그 롤러 지지 부재(22)의 지지 롤러(8)를 통하여 송출 레일(2)(슬라이드 레일)이 송출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은, 튀어오름 방지용 가압 롤러(6)를 구비하고 있고, 송출 레일(2)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330090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소61-29599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안정적으로 짐을 매달아서 주행하기 위해서는, 2개의 메인 레일(1)의 간격을 넓게 잡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2개의 메인 레일(1)의 간격을 넓게 잡으면, 슬라이드 레일(2)의 슬라이드량이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안정적으로 짐을 매달아서 주행하는 것을 다소 희생시키고, 또는 중량이 있는 짐을 매달지 않도록 하여, 2개의 메인 레일(1)의 간격을 좁게 취하고 있다. 그리고, 2개의 메인 레일(1)의 바로 아래의 범위에서 벗어난 부위에서 짐을 매달기 위하여, 2개의 메인 레일(1)의 간격보다 슬라이드 레일(2)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고 있다. 그 경우, 메인 레일(1)로부터 슬라이드 레일(2)이 튀어나오는 양이 커지면, 메인 레일(1)이 존재하는 한쪽의 레일 슬라이드기(4)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슬라이드 레일에 대한 편하중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2)이 회동하려고 한다. 그 대책으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레일 슬라이드기(4)는, 구동륜(4a)과 함께 부상 방지 롤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한쪽의 메인 레일(1)로부터의 슬라이드 레일(2)의 튀어나옴 양이 커진 상태에서, 그 튀어나온 선단 측에 하중이 걸리면, 한쪽의 메인 레일(1)[레일 슬라이드기(4)]을 지점으로 하여, 다른 쪽의 메인 레일(1)에 배치한 전동 트롤리(3)가 레일 슬라이드기(4)와 함께 부상하여 주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을 조합해도,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주행 레일의 상면으로부터 권상기의 훅 권취(卷取) 최상 위치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 레일에 대한 편하중에 의해 트롤리 기구(機構)의 구동 차륜의 윤압이 감소 또는 주행 레일로부터 부상하는 것에 의해 공전(空轉)해도, 사행 또는 주행 불가능으로 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로서, 위쪽의 장착 부위에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또한 제1 주행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행 레일과, 구동 차륜 및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또한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복수의 주행 레일의 제1 주행부를 각각 따라서 구동 차륜이 주행하는 복수의 트롤리 기구와, 트롤리 기구에 적어도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을 반송하는 차륜을 구비하는 레일 반송 기구와,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짐을 매달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전동 호이스트체와, 제1 주행부를 협지(sandwich)하여 구동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고 또한 구동 차륜과 함께 작동하여 제1 주행부룰 따라 주행하는 튐 방지 롤러를 구비하는 튐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구동 모터와 튐 방지 롤러 사이에는, 튐 방지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튐 방지 롤러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튐 방지 롤러는, 구동 차륜과 동일한 직경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에는, 차륜이 주행 가능한 제2 주행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반송 기구는 제2 튐 방지 기구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2 튐 방지 기구는 회전 가능한 제2 튐 방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튐 방지 롤러는, 제2 주행부를 협지하여 레일 반송 기구의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주행 레일의 사이로서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측에는 연결 빔이 배치되어 있고, 연결 빔의 일단(一端) 측과 타단(他端) 측에는, 트롤리 기구가 강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의 제2 주행부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 플랜지에는, 전동 호이스트체를 하측 플랜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호이스트 주행 장치는 전동 호이스트체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에 연결되어 있고, 전동 호이스트체는 하측 플랜지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트롤리 기구에 부상력이 발생해도 트롤리 기구가 공전하는 것(주행 불가능으로 됨)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치의 조작성, 안정성, 내구성을, 대형화, 특히 건물 높이 방향의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트롤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레일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연결 빔의 중도 부분에 있어서의 레일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튐 방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레일 종동(從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전동 호이스트체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동 호이스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3개의 주행 레일의 배열 중, 중간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트롤리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스테이의 양단 측이 트롤리 기구와 연결 빔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의 주행 레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가 포함하는 레일 종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레일 종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XYZ 직교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XYZ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 X방향은, 슬라이드 레일(70)의 길이 방향을 가리키고, 횡행 방향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X방향에 있어서의 X1 측은 도 1 및 도 2에서 우측을 가리키고, X2 측은 그것과는 반대의 좌측을 가리킨다. 또한, Y방향은 주행 레일의 연신 방향을 가리키고, 전후 방향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Y방향에 있어서의 Y1 측은 도 1에서 하측을 가리키고, Y2 측은 그것과는 반대의 도 1에서의 상측을 가리킨다. 또한, Z방향은 연직 방향을 가리키고, Z1 측은 도 2에서 하측을 가리키고, Z2 측은 그것과는 반대의 도 2에서의 상측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주행 레일(20)과, 트롤리 기구(30)와, 연결 빔(60)과, 슬라이드 레일(70)과, 레일 구동 장치(80)와, 레일 종동 장치(100)와, 전동 호이스트체(110)와, 장착 프레임체(120)와,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를 포함하고 있다. 트롤리 기구(30)는, 주행 새들이나 엔드 트럭이라고도 불리는 장치이며,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는, 횡행 장치나 횡행 트롤리라고도 불리는 장치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 트롤리 기구, 호이스트 주행 기구라고 칭한다.
주행 레일(20)은, 예를 들면 H강(H-steel)을 사용한 것이며,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시설 내의 천장에,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 부재(2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상기 주행 레일(20)에 있어서는, 상측 플랜지(21) 측이 지지 부재(25)에 고정되고, 하측 플랜지(22) 측에서 트롤리 기구(30)를 지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주행 레일(20)은 2개 설치되어 있으나, 그 2개의 주행 레일(20)은, 슬라이드 레일(70)의 길이에 따른 충분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플랜지(22)는 제1 주행부에 대응한다.
<트롤리 기구에 대하여>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포함하는 트롤리 기구(3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30)는, 횡행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타방 측(X2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롤리 기구(30)는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과, 트롤리 구동 기구(35)와, 튐 방지 기구(42)를 가지고 있다. 이들 중,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은, 트롤리 구동 기구(35) 및 튐 방지 기구(4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은, Y방향을 긴 쪽으로 하도록 연신되어 있지만, 이들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의 길이는,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이 전후 방향(Y방향)에 있어서 배치되어 있는 치수보다 길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롤리 구동 기구(35)는, 한 쌍의 연결 빔(60)의 대향 부위보다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앞쪽(Y1 측)의 트롤리 구동 기구(35)는, 앞쪽(Y1 측)의 연결 빔(60)보다 앞쪽(Y1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뒤쪽(Y2 측)의 트롤리 구동 기구(35)는, 뒤쪽(Y2 측)의 연결 빔(60)보다 뒤쪽(Y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앞쪽(Y1 측)과 뒤쪽(Y2 측)의 각각에, 트롤리 구동 기구(3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은, 한 쌍의 결합 부재(33, 34)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결합 부재(33, 34)는 하측 플랜지(22)의 아래쪽(Z2 측)에서, 새들 프레임(31, 32)의 사이를 강성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한 쌍의 결합 부재(33, 34)는 L형강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새들 프레임(31, 32) 중 전후 방향(Y방향)의 앞쪽(Y1 측)과 뒤쪽(Y2 측)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트롤리 구동 기구(35)는 구동 모터(36)과, 내측 차륜부(37)와, 내측 맞물림 기어(43)와, 구동 전달축(44)과, 외측 맞물림 기어(46)와, 외측 차륜부(47)를 가지고 있다. 구동 모터(36)는, 트롤리 기구(30)가 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주행)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면, 감속 기어가 내장된 기어드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의 모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내측 차륜부(37)는 내측 회전축(38), 내측 허브(39), 내측 구동 차륜(40), 내측 대경(大徑) 기어(41)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구동 모터(36)의 구동력은, 기어를 통하여 내측 대경 기어(41)에 전달되고, 내측 구동 차륜(40)과 내측 대경 기어(41)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내측 회전축(38)에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내측 허브(39)의 X1 측의 대경 부분(39a)이 내측 대경 기어(41), X2 측의 소경(小徑) 부분(39b)에 타이어(40a)가 장착되어, 내측 구동 차륜(40)을 구성하고 있다. 내측 대경 기어(41)는 내측 맞물림 기어(43)와는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도록 맞물리고, 전달된 구동력은 구동 전달축(44)을 통하여 외측 맞물림 기어(46)에 전달되고, 또한, 외측 맞물림 기어(46)는 외측 차륜부(47)의 외측 대경 기어(51)와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로써, 구동 모터(36)의 구동력은 외측 차륜부(47)에 전달된다. 그리고, 내측 대경 기어(41)와 내측 맞물림 기어(43)는, 구동력 전달 기구에 대응하지만, 구동력 전달 기구는 이들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중, 내측 구동 차륜(40)과 외측 구동 차륜(50)은, 주행 레일(20)의 하측 플랜지(22)의 상면 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부분이며, 그 회전에 의해 트롤리 기구(30)는 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내측 대경 기어(41)는, 튐 방지 기구(42)에도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이지만, 내측 구동 차륜(40)의 하측 플랜지(22)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플랜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부재(33, 34)에 하측 플랜지(22)를 따라 회전하도록 장착된 사이드 롤러(33a, 34a)에 의해 가로 방향(X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튐 방지 기구(42)는 내측 맞물림 기어(43)와, 구동 전달축(44)과, 튐 방지 롤러(45)를 가지고 있다. 내측 맞물림 기어(43)는 전술한 내측 대경 기어(41)와 맞물리는 부분이다. 또한, 내측 맞물림 기어(43)는 구동 전달축(44)의 일방 측(X1 측)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전달축(44)은, 내측 맞물림 기어(4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며, 또한 튐 방지 롤러(45)와 외측 맞물림 기어(46)를 장착하여, 이들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부분이다. 내측 대경 기어(41)와 구동 전달축(44)은, 튐 방지 기구(42)의 구성 요소 일부이지만, 트롤리 구동 기구(35)의 구성 요소를 동시에 구성(겸용)한다.
튐 방지 롤러(45)는, 주행 레일(20) 하측 플랜지(22)의 하면 측에 맞닿는 차륜이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45)는, 통상은 하측 플랜지(22)의 하면 측에 맞닿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트롤리 기구(30)가 연결 빔(60)의 회동 등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이로써, 내측 대경 기어(41)를 하측 플랜지(22)의 상면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부상(회동)이 발생한 경우, 튐 방지 롤러(45)는 하측 플랜지(22)의 하면 측에 맞닿는다. 이로써, 트롤리 기구(30)가 공전하여 주행 구동력을 소실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하고, 구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이 일방 측의 주행 레일(20)로부터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으로 크게 튀어나온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70)의 한쪽의 단부 측(X1 측)에 전동 호이스트체(110)가 존재하고, 짐의 매달아 올리기를 행했을 경우를 고려한다. 이 때, 슬라이드 레일(70)은 2개의 주행 레일(20) 중 일방 측(X1 측)에 위치하는 트롤리 기구(30)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레일(70)의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은 연결 빔(60)을 들어올리도록 회동하려고 하지만, 그에 의해 연결 빔(60)의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도 트롤리 기구(30)를 들어올리도록 회동하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의 트롤리 기구(30)에서는, 내측 구동 차륜(40)이 하측 플랜지(22)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하는(멀어짐) 경우가 있다.
그러나, 내측 구동 차륜(40)이 하측 플랜지(22)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내측 구동 차륜(40)이 헛도는 상태라도, 튐 방지 롤러(45)는 하측 플랜지(22)의 하면 측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튐 방지 롤러(45)를 통하여, 튐 방지 기구(42)가 주행 레일(20)을 따라 진행하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트롤리 구동 기구(35)와 튐 방지 기구(42)는, 함께 작동하여 트롤리 기구(30)를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킨다. 이로써,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사행 및 주행 불가능을 방지하고 안정된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함께 작동하여」란, 구동 차륜에 대응하는 내측 구동 차륜(40)이나 외측 구동 차륜(50)과, 튐 방지 기구(42)가 서로 보완하면서, 주행 레일(20)을 따라 주행(구동)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구동 차륜에 대응하는 내측 구동 차륜(40)이나 외측 구동 차륜(50)이, 하측 플랜지(22)의 상면과 접하고 있을 때는, 이들 내측 구동 차륜(40)이나 외측 구동 차륜(5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트롤리 기구(30)가 주행 레일(20)을 따라 주행한다. 한편, 튐 방지 기구(42)가 하측 플랜지(22)의 하면과 접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튐 방지 기구(42)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트롤리 기구(30)가 주행 레일(20)을 따라 주행한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45)는,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과 동일한 직경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내측 대경 기어(41)와 내측 맞물림 기어(43)의 기어수를 동일하게 해 두면, 튐 방지 롤러(45)가 하측 플랜지(22)에 맞닿은 상태에서 트롤리 기구(30)가 진행하는 속도를,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이 하측 플랜지(22)에 맞닿은 상태에서 트롤리 기구(30)가 진행하는 속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트롤리 기구(30)에 부상이 생긴 경우라도, 좌우의 주행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내측 구동 차륜(40)과 외측 구동 차륜(50)은, 동일한 직경이 아니어도 되고, 또한 내측 대경 기어(41)와 내측 맞물림 기어(43)의 기어수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구동 전달축(44)의 타방 측(X2 측)에는, 외측 맞물림 기어(46)가 장착되어 있다. 외측 맞물림 기어(46)는 내측 맞물림 기어(43)와 동일한 기어이고, 외측 차륜부(47)의 외측 대경 기어(51)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외측 차륜부(47)는, 상기의 외측 대경 기어(51) 이외에, 내측 회전축(38)과 동일한 외측 회전축(48), 내측 허브(39)와 동일한 외측 허브(49), 내측 구동 차륜(40)과 동일한 외측 구동 차륜(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측 허브(49)에는 대경 부분(39a)과 동일한 대경 부분(49a)이 설치되고, 소경 부분(39b)과 동일한 소경 부분(49b)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구동 차륜(50)에는, 타이어(40a)와 동일한 타이어(50a)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구동 차륜(40)과 외측 구동 차륜(50)은, 구동 차륜에 대응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롤리 구동 기구(35)에는, 내측 차륜부(37)의 구성 요소인 내측 종동 차륜(52)과, 외측 차륜부(47)의 구성 요소인 외측 종동 차륜(53)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롤리 구동 기구(35)에는, 4개의 차륜이 존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롤리 구동 기구(35)가, 주행 레일(20)의 연신 방향(Y방향)의 앞쪽(Y1 측)과 뒤쪽(Y2 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트롤리 기구(30)가 연결 빔(60)이나 슬라이드 레일(70) 등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주행 레일(20)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롤리 기구(30)가,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주행 레일(20) 중 횡행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측)의 주행 레일(2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주행 레일(20) 중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의 주행 레일(20)에도, 트롤리 기구(3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에 위치하는 트롤리 기구(30)는,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부터 튐 방지 롤러(45)를 제외한 구성이며, 또한 구동 모터(36)가 트롤리 기구(30)의 타방 측(X2 측)에 장착되어 있지만, 그 이외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빔에 대하여>
다음에, 연결 빔(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들 프레임(31)에는, 2개의 연결 빔(60)이 고정되어 있다. 연결 빔(60)은, 후술하는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고, 또한 횡행 방향(X방향)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트롤리 기구(30)의 주행에 있어서의 일체성을 유지하고, 사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개의 연결 빔(60)은, 그 중도부에서 중간 스테이(6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 빔(60)의 길이 방향(X방향)의 전체에 걸쳐,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결 빔(60)의 양단에 트롤리 기구(30)를 강고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트롤리 기구(30)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빔(60)에는 슬라이드 레일(70)을 슬라이딩시키는 레일 구동 장치(8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트롤리 기구(30)의 사행을 방지하는 강도에 더하여, 슬라이드 레일(70)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하는 강도도 연결 빔(60)은 갖추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 빔(60)의 하단(下端)은 트롤리 기구(30)의 새들 프레임(31, 32)의 하단과 대략 동일하고, 연결 빔(60)의 상단(上端)은 새들 프레임(31, 32)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레일(20)의 상측 플랜지(21)는 새들 프레임(31, 32)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연결 빔(60)의 상단은 상측 플랜지(21)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다음에, 슬라이드 레일(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은, 트롤리 기구(30) 및 연결 빔(6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지만, 그 슬라이드 레일(70)은, 트롤리 기구(30) 또는 연결 빔(60)에 장착된 레일 구동 장치(80)에 의해 횡행 방향(X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은, 예를 들면 H형강을 사용한 것이며, 상측 플랜지(71) 측의 하면 측에서 레일 구동 장치(80)에 매달아져 있다. 슬라이드 레일(70)의 하측 플랜지(72)의 상면은, 후술하는 전동 호이스트체(110)의 차륜이 주행하여, 전동 호이스트체(110)가 슬라이드 레일(7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의 길이 방향(X방향)의 양단 측에는, 단부 스테이(73, 74)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 사이의 폭이 변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이 일체적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레일 구동 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레일 구동 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레일 구동 장치(80)는 레일 반송 기구의 일부에 대응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포함하는 레일 구동 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는,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의 트롤리 기구(3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30)의 구성과는 횡행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상기 레일 구동 장치(8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81, 82)을 구비하고, 이들이 상측 플랜지(71)보다 상방 측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트롤리 기구(30)의 새들 프레임(31, 32)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 구동 장치(8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81, 82) 이외에, 구동 모터(83)와, 한 쌍의 구동 차륜부(84, 85)과, 한 쌍의 종동 차륜부(87, 8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모터(83)는,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지지 프레임(81)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83)는, 슬라이드 레일(70)이 슬라이딩하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부분이고, 예를 들면 구동 모터(36)와 같이 감속 기어가 내장된 기어드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의 모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구동 차륜부(84, 85)도, 지지 프레임(8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구동 차륜부(84, 85)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들은 전술한 내측 차륜부(37) 등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구동 차륜부(84, 85)는 내측 회전축(38)에 상당하는 지지축(84a, 85a)과, 내측 허브(39)에 상당하는 구동 허브(84b, 85b)와, 내측 구동 차륜(40)에 상당하는 구동 차륜(84c, 85c)과, 내측 대경 기어(41)에 상당하는 전달 기어(84d, 85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 허브(84b, 85b)의 대경 부분(부호 생략)이 전달 기어(84d, 85d)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차륜(84c, 85c)은 차륜의 일례에 대응한다.
그리고, 구동 허브(84b, 85b)의 소경 부분(부호 생략)은, 타이어를 장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타이어를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전달 기어(84d, 85d)는 내측 대경 기어(41) 등과 마찬가지로, 하측 플랜지(72)로부터 구동 차륜(84c, 85c)이 빠지는 것을 막는 플랜지로서의 기능을 해내고 있다.
전술한 구동 모터(83)의 구동력은 기어를 통하여 전달 기어(84d)에 전달되고, 구동 차륜부(84)가 회전된다. 여기에서, 구동 차륜부(84)와 구동 차륜부(85) 사이에는, 중간 기어(8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 기어(86)가 전달 기어(84d)와 전달 기어(85d)의 양쪽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 차륜부(84)를 회전시키면,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 차륜부(85)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레일 구동 장치(80)는 슬라이드 레일(7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한다.
한편, 지지 프레임(81)과는 슬라이드 레일(70)의 폭 방향(Y방향)의 반대 측의 지지 프레임(82)에는, 한 쌍의 종동 차륜부(87, 8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종동 차륜부(87, 88)는 종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전술한 내측 종동 차륜(52) 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일 구동 장치(80)도 4개의 차륜이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레일(7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차륜부(84, 85)는, 슬라이드 레일(70)의 폭 방향의 일방 측(Y1 측)에만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은 2개 존재하고 있고, 반대 측의 슬라이드 레일(70)에도 레일 구동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 측의 슬라이드 레일(70)에 있어서의 레일 구동 장치(80)는, Y방향의 위치 관계가 도 7에 나타내는 것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이 슬라이딩할 때는, 그 슬라이드가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인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1, 82)에는, 그 연신 방향의 양단 측에 사이드 롤러(89)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사이드 롤러(89)는 상측 플랜지(71)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고, 슬라이드 레일(70)이 레일 구동 장치(80)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부재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빔(60)의 중도 부분에도, 레일 구동 장치(80)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상측 플랜지(71)의 하면 측에 구동 차륜부(84, 85)가 맞닿아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구비하는 연결 빔(60)의 중도 부분에 있어서의 레일 구동 장치(80)를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연결 빔(60)의 중도 부분에는, 주행 레일(20)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트롤리 기구(30)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연결 빔(60)의 중도 부분에 존재하는 레일 구동 장치(80)에서는, 지지 프레임(81, 82)은 연결 빔(60)의 웹(63)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그 형상이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약간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대하여, 레일 구동 장치(80)에 있어서의 구동 모터(83)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여, 구동 차륜부(84)와 구동 차륜부(85)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구동 모터(83)의 구동력은 기어를 통하여 전달 기어(84d, 85d)에 전달되고, 중간 기어(86)를 생략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외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레일 구동 장치(80)에 대향하여 튐 방지 기구(90)가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상이하다.
<튐 방지 기구에 대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구동 장치(80) 및 상측 플랜지(71)의 상면 측에는, 튐 방지 기구(9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튐 방지 기구(90)는 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포함하는 튐 방지 기구(9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튐 방지 기구(90)는, 슬라이드 레일(70)의 회동에 의한 구동 차륜부(84, 85)로부터의 부상을 억제하면서, 슬라이드 레일(70)의 길이 방향(X방향)의 타단 측(X2 측)이 연결 빔(60)의 하측 플랜지(62) 또는 트롤리 기구(30)에 접촉하여, 주행 저항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튐 방지 기구(90)는, H형강 형상의 연결 빔(60)의 하측 플랜지(62)와 웹(63)을 절결한 오목부(6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플랜지(62)와 웹(63)의 일부를 절결한 경우라도, 연결 빔(60)의 강도를 보강·유지하기 위하여, 오목부(64)에는 튐 방지 기구(90)의 외주 상부를 덮는 만곡 플랜지(65)가 하측 플랜지(62)와 웹(63)의 절결된 오목부(64)에 대향하는 부분을 용접 등에 의해 고착시키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튐 방지 기구(90)는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91, 92)와, 지지축(93)과, 튐 방지 롤러(95)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91, 92)는, 웹(63)의 상면(Y1 측의 면) 및 하면(Y2 측의 면)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웹(63)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연결구(96)를 통하여,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91, 92)끼리를 서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웹(63)에 튐 방지 기구(90)의 전체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91, 92)에는 지지축(9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93)에는, 축받이(94)를 통하여 튐 방지 롤러(9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95)는 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한다. 상기 튐 방지 롤러(9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빔(60)의 하측 플랜지(62)보다 하방 측(Z2 측)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상측 플랜지(71)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0)의 회동에 의한 구동 차륜부(84, 85)로부터의 부상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95)는 상측 플랜지(71)에 맞닿지 않고, 약간의 간극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레일 종동 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레일 종동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레일 종동 장치(100)는, 레일 반송 기구의 일부에 대응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종동 장치(100)는, 2개의 주행 레일(20) 중 횡행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 및 트롤리 기구(30)의 하방 측(Z2 측)에 위치하고, 그 트롤리 기구(30)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포함하는 레일 종동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종동 장치(100)는, 도 6이나 도 8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유사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나, 구동 모터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일 종동 장치(10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1, 102)에 4개의 종동 차륜부(103∼10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0)의 길이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측)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70)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양호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70)이 일방 측(X1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일 종동 장치(100)로 슬라이드 레일(70)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되지만, 그 경우, 슬라이드 레일(70)은 연결 빔(60)의 중도에 위치하는 레일 구동 장치(80)까지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레일(70)은, 연결 빔(60)의 중도에 위치하는 레일 구동 장치(80)를 넘어, 일방 측(X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종동 장치(100)에도 사이드 롤러(107)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롤러(107)는, 지지 프레임(101, 102)의 연신 방향의 양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0)의 이동이 레일 종동 장치(100)에 의해 원활하게 가이드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0)이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으나, 슬라이드 레일(70)을 횡행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방향)으로도 슬라이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일 종동 장치(100) 대신에 레일 구동 장치(80)를 배치하도록 한다. 그 경우, 연결 빔(60)에도 복수의 레일 구동 장치(80)와 튐 방지 기구(90)를 슬라이드량에 맞추어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 호이스트에 대하여>
다음에, 전동 호이스트체(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가 포함하는 전동 호이스트체(110)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동 호이스트체(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호이스트체(110)는 권상기 본체(111)와, 장착 프레임체(120)와,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권상기 본체(111)는 권상 모터(11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권상 모터(112)가 도시하지 않은 로드 시브(load sheave)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체인의 감아올리기 및 감아내리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 본체(111)의 아래쪽으로부터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이 아래로 드리워져 있지만, 그 체인의 하단 측에는, 훅(11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훅(113)에 짐을 걸면, 권상 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짐을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올려진 짐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권상기 본체(111)와 훅(113)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은, 벨로즈 등과 같은 신축 가능한 커버(114)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체인이 감아내려져도, 외부를 향하여 체인으로부터의 금속 분진이나 기계유의 비말 등의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 본체(111)보다 하방 측에는, 감아올린 체인을 수납하는 체인 버킷(bucket)(115)도 설치되어 있어, 감아올린 체인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권상기 본체(111)가 장착 프레임체(120)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체(120)는 한 쌍의 연결 바(121, 122)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3, 124)과, 한 쌍의 연결 부재(125, 126)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연결 바(121, 122)는, 주행 레일(20)의 연신 방향(Y방향)을 따르는 봉형(棒形)의 부재이며, 한 쌍의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5, 136)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바(121)는 장착 프레임체(120)의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바(122)는, 장착 프레임체(120)의 횡행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측)에 배치되고, 연결 바(12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연결 바(121, 122) 사이에는, 권상기 본체(111)로부터 체인 및 훅(113), 체인 버킷(115)을 더 매달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한 쌍의 연결 바(121, 12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 모터(112)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111)를, 하방 측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3, 124)은, 전술한 연결 바(121, 122)에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연신 방향(X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프레임(123, 124) 사이에, 권상기 본체(1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3, 124)은 한 쌍의 연결 부재(125, 1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부재(125, 126)는, 예를 들면 막대나사나 너트를 구비하고 있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3, 124)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3, 124)의 상부 측(Z1 측)에는, 현수(suspension) 프레임(127)이 장착되어 있다. 현수 프레임(127)은, 권상기 본체(111)를 매단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장착 프레임체(120)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는 4개의 차륜 세트(131∼134)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차륜 세트(131∼134)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5, 136)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5, 136)에, 4개의 차륜부(137∼14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 바(121, 122)도,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5, 13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장착 프레임체(120)가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4개의 차륜 세트(131∼134) 중 2개는, 구동 모터(141)가 장착된 구동 차륜 세트(131, 134)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차륜 세트(131, 134)에서는, 예를 들면 도 6∼도 8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동일한 방식으로, 횡행 방향(X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차륜부(137, 138)에 대하여, 구동 모터(141)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구동력은 다른 방식에 의해 전달되어도 된다. 그리고, 4개의 구동 차륜 세트(131∼134) 중 나머지 2개는, 구동 모터(141)가 존재하지 않는 종동 차륜 세트(132, 133)로 되어 있으나, 모두를 구동 차륜 세트로 하고 구동력을 분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가 구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전동 호이스트체(110)는 슬라이드 레일(7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호이스트체(110)에 있어서는, 권상기 본체(111)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70)의 하측 플랜지(72)보다 상방 측에, 권상기 본체(111)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70)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 본체(111)가 하측 플랜지(7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체인의 수납 시에 훅(113) 등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에서는, 트롤리 기구(30)를 작동시킴으로써, 주행 레일(20)의 연신 방향(Y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슬라이드 레일(7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70)을 이동시킨 후에, 또는 슬라이드 레일(70)의 이동과 함께, 훅(113)에 짐을 매단 상태에서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짐을 매달아 올리거나, 짐을 내리거나, 짐을 매단 상태에서 주행 레일(20)의 연신 방향(Y방향)으로 트롤리 기구(30)에 의해 주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일 구동 장치(80)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레일(70)의 연신 방향(X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레일(7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빔(60)의 연신 방향(X방향)의 일단 측(X1 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보다도, 횡행 방향(X방향)의 일방 측(X1 측)에 슬라이드 레일(70)을 크게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돌출시킨 위치에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이동시켜, 짐을 매달아 올리거나, 짐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효과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위쪽의 장착 부위에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7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또한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를 구비하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주행 레일(2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 및 구동 모터(36)를 구비하고 또한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복수의 주행 레일(20)의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를 각각 따라서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이 주행하는 복수의 트롤리 기구(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레일 구동 장치(80)(레일 반송 기구)를 포함하고, 그 레일 구동 장치(80)(레일 반송 기구)는 트롤리 기구(30)에 적어도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70)을 반송하는 구동 차륜(84c, 85c)(차륜)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슬라이드 레일(70)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짐을 매달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튐 방지 기구(42)를 포함하고, 그 튐 방지 기구(42)는,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를 협지하여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고 또한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과 함께 작동하여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를 따라 주행하는 튐 방지 롤러(4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일 구동 장치(80)를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70)의 연신 방향(X방향)의 한쪽의 단부 측(X1 측)에 전동 호이스트체(110)가 존재하고, 짐의 매달아 올리기를 행했을 경우, 슬라이드 레일(70)의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은 연결 빔(60)을 들어올리고, 그에 의해 연결 빔(60)의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도 트롤리 기구(30)를 들어 올리려고 하여,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의 트롤리 기구(30)에서는, 내측 구동 차륜(40)이 하측 플랜지(22)의 하면으로부터 부상하는(멀어지는) 경우가 있어, 주행 구동력의 소실 또는 주행의 저항으로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는,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과 함께 작동하여 주행 레일(20)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를 따라 주행하는 튐 방지 롤러(45)를 구비하는 튐 방지 기구(42)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트롤리 기구(30)의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이, 하측 플랜지(22)(제1 주행부)로부터 부상하여 이들이 공전해도, 사행 또는 주행 불가능으로 되지 않고 주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크레인에 의한 작업 영역을 대폭으로 확장할 수 있고, 작업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모터(36)와 튐 방지 롤러(45) 사이에는, 튐 방지 롤러(45)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는 내측 대경 기어(41) 및 내측 맞물림 기어(43)(구동력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튐 방지 롤러(45)는 구동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튐 방지 롤러(45)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용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부품수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주행 저항의 증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총중량의 증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부상력에 저항하는 스프링력을 구동 차륜에 가압하는 구성보다 주행 저항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의해 소비 전력의 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튐 방지 롤러(45)는, 내측 구동 차륜(40) 및 외측 구동 차륜(50)(구동 차륜)과 동일한 직경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내측 구동 차륜(40)이나 외측 구동 차륜(50)과, 튐 방지 롤러(45)의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수가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내측 구동 차륜(40)이나 외측 구동 차륜(50)이 하측 플랜지(22)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하고(멀어짐), 튐 방지 롤러(45)가 하측 플랜지(22)의 하면에 접촉한 경우에, 하측 플랜지(22)에 대하여 같은 속도로 튐 방지 롤러(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횡행 방향(X방향)의 타방 측(X2 측)의 트롤리 기구(30)와, 일방 측(X1 측)의 트롤리 기구(30) 사이에서, 반송 속도가 상이한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행이나 주행 불가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0)에는, 구동 차륜(84c, 85c)(차륜)이 주행 가능한 상측 플랜지(71)(제2 주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레일 구동 장치(80)(레일 반송 기구)는 튐 방지 기구(90)(제2 튐 방지 기구)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튐 방지 기구(90)(제2 튐 방지 기구)는 회전 가능한 튐 방지 롤러(95)(제2 튐 방지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튐 방지 롤러(95)(제2 튐 방지 롤러)는, 상측 플랜지(71)(제2 주행부)를 협지하여 레일 구동 장치(80)(레일 반송 기구)의 구동 차륜(84c, 85c)(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튐 방지 롤러(95)(제2 튐 방지 롤러)와 구동 차륜(84c, 85c)(차륜)에 의해, 상측 플랜지(71)를 협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70)의 선단 측(X1 측)에 전동 호이스트체(110)가 존재하고, 짐의 매달기를 행하고, 슬라이드 레일(70)의 다른 쪽의 단부 측(X2 측)이 들어올려지도록 회동해도, 상측 플랜지(71)의 상면에 튐 방지 롤러(95)를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 플랜지(71)의 상부가 연결 빔(6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에 있어서의 주행 저항으로 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주행 레일(20)의 사이로서 슬라이드 레일(70)의 상부 측(Z1측)에는, 연결 빔(60)이 배치되고 있고, 그 연결 빔(60)의 일단 측(X1 측)과 타단 측(X2 측)에는, 트롤리 기구(30)가 강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2개의 트롤리 기구(30)의 사이를, 연결 빔(60)으로 강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트롤리 기구(30)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트롤리 구동 기구(35) 및 레일 구동 장치(80)의 주행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이드 롤러(33a, 34a, 89, 107)의 마모를 저감시켜,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를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0)에는, 하부 측(Z2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7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 플랜지(72)에는,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는,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120)에 연결되어 있고, 그 전동 호이스트체(110)는, 하측 플랜지(72)보다 상방 측(Z1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체(12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3이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슬라이드 레일(70) 사이의 죽은 공간(dead space)에,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높이 방향(Z방향)의 공간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예를 들면 클린 룸 내에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를 설치해도, 클린 룸의 천장 높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클린 룸의 건축 비용, 공기 청정 장치의 비용을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서,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에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도 주행 레일(20)과, 트롤리 기구(30)와, 연결 빔(60)과, 슬라이드 레일(70)과, 레일 구동 장치(80)와, 레일 종동 장치(100)와, 전동 호이스트체(110)와, 장착 프레임체(120)와, 호이스트 주행 장치(130)를 포함하고 있다.
<주행 레일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와는 상이하게, 주행 레일(20)은 3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 가능한 범위를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3개의 주행 레일(20)의 존재에 의해, 전동 호이스트체(110)를 매달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하중을 증대시키고 있다.
<트롤리 기구에 대하여>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서는, 트롤리 기구(30)는 전술한 3개의 주행 레일(2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들 트롤리 기구(30) 중, 3개의 주행 레일(20)의 배열 중, 중앙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에 지지되는 트롤리 기구(30)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3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트롤리 기구(30)와 비교하여, 구동 모터(36)의 장착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새들 프레임(31, 32)은 연결 빔(60B)의 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3개의 주행 레일(20)의 배열 중, 양단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에 지지되어 있는 트롤리 기구(30)는,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부터 튐 방지 롤러(45)를 제외한 것이다. 또한, 타단 측(X2 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에 지지되어 있는 트롤리 기구(30)에서는, 구동 모터(36)가 트롤리 기구(30)의 타방 측(X2 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과는 상이하다. 그러나, 양단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20)에 지지되어 있는 트롤리 기구(30)에서는, 그 이외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빔 및 연결 스테이에 대하여>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 빔(60)과는 상이한 연결 빔(60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에서는, 전후 방향(Y방향)에 2개의 연결 빔(60)이 배치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Y방향)에는, 하나의 연결 빔(60B)만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횡행 방향(X방향)에는, 연결 빔(60B)은 2개 나란한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Y방향에 있어서의 연결 빔(60B)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결 빔(60B)에는 연결 스테이(150)가 연결되어 있다. 도 17은, 연결 스테이(150)의 양단 측이 트롤리 기구(30)와 연결 빔(60B)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7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연결 스테이(150)는, 연결 빔(60B)의 연신 방향(X방향) 및 트롤리 기구(30)의 연신 방향(Y방향)으로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되고, 트러스로서 기능하고 있다. 연결 스테이(150)는, 연결 빔(60B)으로부터 Y1 측 및 Y2 측을 향해 연신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연결 빔(60B)과 트롤리 기구(30)의 결합 강도·강성을 향상시켜, 주행 시의 트롤리 기구(30)끼리의 평행도를 유지하여 트롤리 기구(30)의 사행을 방지하고 주행 불가능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레일 구동 장치(80B1, 80B2, 80B3)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0)의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작동시켜, 작동 불량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주행 레일(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롤리 기구(30)도 합계 3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3개의 주행 레일(20) 중 양단의 주행 레일(20)이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들 프레임(31)의 연신 방향(Y방향)의 앞쪽(Y1 측) 및 뒤쪽(Y2 측)에서, 2개의 연결 스테이(150)의 일단 측이 연결되고, 2개의 연결 스테이(150)의 타단 측이 연결 빔(60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주행 레일(20) 중, 중간의 주행 레일(20)이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새들 프레임(31)의 연신 방향(Y방향)의 앞쪽(Y1 측) 및 뒤쪽(Y2 측)에 2개의 연결 스테이(150)의 일단 측이 연결되고, 또한 새들 프레임(32)의 연신 방향(Y방향)의 앞쪽(Y1 측) 및 뒤쪽(Y2 측)에 2개의 연결 스테이(150)의 일단 측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의 트롤리 기구(30)에 대하여는, 합계 4개의 연결 스테이(150)가 연결되어 있다.
<레일 구동 장치, 튐 방지 기구 및 레일 종동 장치에 대하여>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0)을 슬라이딩시키는 레일 구동 장치(80), 튐 방지 기구(90) 및 레일 종동 장치(100)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3개의 주행 레일(20)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부위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와 동일한 구성의 레일 구동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구성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3개의 주행 레일(20)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레일 구동 장치(80)를, 레일 구동 장치(80B1, 80B2)로 한다.
또한, 3개의 주행 레일(20) 중 중간의 주행 레일(20)이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 구동 장치(80)[이하, 레일 구동 장치(80B3)로 함]도, 전술한 레일 구동 장치(80B1, 80B2)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레일 구동 장치(80B3)에는, 후술하는 튐 방지 기구(160)가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중간의 주행 레일(20)이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 구동 장치(80B3)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레일 구동 장치(80B3)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구동 장치(80B3)에는, 튐 방지 기구(16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튐 방지 기구(160)는 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한다. 튐 방지 기구(160)는, 지지 프레임(81, 82)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 부재(161)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튐 방지 기구(160)는 새들 프레임(31, 32)에 장착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튐 방지 기구(160)는 한 쌍 설치되어 있고, 그 한 쌍의 튐 방지 기구(160)가 레일 구동 장치(80B3)의 양단 측(X1 측 및 X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튐 방지 기구(160)는, 도 9에 나타내는 튐 방지 기구(90)와 유사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튐 방지 기구(160)는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162, 163)와, 지지축(164)과, 튐 방지 롤러(166)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162, 163)는, 상측 플랜지(71)의 상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플랜지(71)는 제2 주행부에 대응한다.
또한, 한 쌍의 협지 플레이트(162, 163)에는 지지축(164)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축(164)에는, 축받이(165)를 통하여 튐 방지 롤러(16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166)는 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한다. 튐 방지 롤러(166)는 튐 방지 기구(90)와 마찬가지로, 연결 빔(60B)의 하측 플랜지(62)보다 하방 측(Z2 측)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상측 플랜지(71)에 맞닿는다.
이와 같은 튐 방지 기구(160)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0)의 회동에 의한 구동 차륜부(84, 85)의 부상[슬라이드 레일(70)이 구동 차륜부(84, 85)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튐 방지 롤러(95)는 상측 플랜지(71)에 맞닿지 않고, 약간의 간극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있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 종동 장치(100)는 레일 구동 장치(80B1)와 레일 구동 장치(80B3)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레일 구동 장치(80B3)와 레일 구동 장치(80B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레일 종동 장치(100)를, 레일 종동 장치(100B)로 호칭한다. 도 20은,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가 포함하는 레일 종동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의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레일 종동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종동 장치(100B)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1B, 102B)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지지 프레임(101B)에는, 2개의 종동 차륜부(103, 104)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상태에서, 횡행 방향(X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02B)에도, 2개의 종동 차륜부(105, 106)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상태에서, 횡행 방향(X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지 프레임(101B)과 지지 프레임(102B)은 연결 프레임(108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프레임(101B), 지지 프레임(102B) 및 연결 프레임(108B)은 대차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대차형의 외측에 종동적으로 회전하는 종동 차륜부(103B∼106B)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종동 차륜부(103B∼106B)는,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의 상측 플랜지(71)의 상면을 주행하지만, 종동 차륜부(103B∼106B)의 플랜지가 상측 플랜지(71)의 상면의 내측 에지로부터 빠진 상태로 되어 있고, 각각의 종동 차륜부(103B∼106B)의 탈륜(脫輪)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레일 종동 장치(100B)에도 사이드 롤러(107B)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사이드 롤러(107B)는 상측 플랜지(71)의 상면의 내측면에 대하여 회동 가능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롤러(107B)에 의해서도, 종동 차륜부(103B∼106B)가 탈륜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효과에 대하여>
이상 설명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A)와 동일한 효과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10B)에서는, 주행 레일(20)의 연신 방향(Y방향)에 있어서는, 연결 빔(60B)은 하나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2개의 슬라이드 레일(70)의 상부 측(Z1측)에서는, 연결 빔(60B)이 근접 대향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고, 슬라이드 레일(70)의 상부 측(Z1측)에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튐 방지 기구(160) 등을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 외에도 각종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레일(20)은, 2개 또는 3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레일(20)은 2개 이상이라면 몇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4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레일은 H형강을 사용한 주행 레일(2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주행 레일은, H형강 이외의 단면이 T자 형상인 것이나,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이들의 경우에는, 제1 주행부는 구동 차륜이 접하는 부분으로 된다. 슬라이드 레일로서는, H형강을 사용한 슬라이드 레일(70)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레일은, H형강 이외의 단면이 T자 형상인 것이나,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이들의 경우에는, 제2 주행부는 구동 차륜이 접하는 부분으로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구동 차륜(40)과 외측 구동 차륜(50)이 구동 차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차륜(84c, 85c)이 차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롤러나 벨트 등이 구동 차륜이나 차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대경 기어(41)나 내측 맞물림 기어(43)가 구동력 전달 기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구성이 구동력 전달 기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으로서는, 그 외의 기어, 벨트, 직접 결합 또는 자기(磁氣) 등에 의해 간접 결합된 커플링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철분이 꺼려지는 환경에서는, 차륜이나 사이드 롤러 등은 경질 우레탄 차륜 또는 스테인레스제 차륜, 수지성 롤러가 바람직하고, 또한 레일 답면(踏面)에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튐 방지 기구(42)의 구동력을 트롤리 구동 기구를 통하여 얻도록 하고 있으나, 튐 방지 기구(42)에 전용의 구동 모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레일 구동 장치(80, 80B1∼80B3)나 레일 종동 장치(100, 100B)가 레일 반송 기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레일 반송 기구는 이들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으로서는, 도시한 것 이외의 롤러나 굴림대,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튐 방지 기구(42)가 튐 방지 기구에 대응하고, 튐 방지 기구(90)나 튐 방지 기구(160)가 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튐 방지 롤러(45)가 튐 방지 롤러에 대응하고, 튐 방지 롤러(95)나 튐 방지 롤러(166)가 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외의 롤러나 굴림대 등이 튐 방지 롤러나 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상기의 롤러나 굴림대 등을 구비하는 구성을 튐 방지 기구나 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튐 방지 기구의 튐 방지 롤러(95) 및 튐 방지 롤러(166)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10A, 10B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20 : 주행 레일
21 : 상측 플랜지
22 : 하측 플랜지(제1 주행부에 대응)
25 : 지지 부재
30 : 트롤리 기구
31, 32 : 새들 프레임
33, 34 : 결합 부재
33a, 34a : 사이드 롤러
35 : 트롤리 구동 기구
36 : 구동 모터
37 : 내측 차륜부
38 : 내측 회전축
39 : 내측 허브
39a, 49a : 대경 부분
39b, 49b : 소경 부분
40 : 내측 구동 차륜(구동 차륜에 대응)
40a, 50a : 타이어
41 : 내측 대경 기어(구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에 대응)
42 : 튐 방지 기구
43 : 내측 맞물림 기어(구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에 대응)
44 : 구동 전달축
45 : 튐 방지 롤러
45, 46 : 외측 맞물림 기어
47 : 외측 차륜부
48 : 외측 회전축
49 : 외측 허브
50 : 외측 구동 차륜(구동 차륜에 대응)
51 : 외측 대경 기어
52 : 내측 종동 차륜
53 : 외측 종동 차륜
60, 60B : 연결 빔
61 : 중간 스테이
62 : 하측 플랜지
63 : 웹
64 : 오목부
65 : 만곡 플랜지
70 : 슬라이드 레일
71 : 상측 플랜지(제2 주행부에 대응)
72 : 하측 플랜지
73, 74 : 단부 스테이
80, 80B1∼80B3 : 레일 구동 장치(레일 반송 기구의 일부에 대응)
81, 82 : 지지 프레임
83 : 구동 모터
84 : 구동 차륜부
84a, 85a : 지지축
84b, 85b : 구동 허브
84c, 85c : 구동 차륜(차륜의 일부에 대응)
84d, 85d : 전달 기어
85 : 구동 차륜부
85d : 전달 기어
86 : 중간 기어
87 : 종동 차륜부,
89 : 사이드 롤러
90 : 튐 방지 기구(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
91, 92 : 협지 플레이트
93 : 지지축
94 : 축받이
95 : 튐 방지 롤러(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
96 : 연결구
100, 100B : 레일 종동 장치(레일 반송 기구의 일부에 대응)
101, 102, 101B, 102B : 지지 프레임
103∼106, 103B∼106B : 종동 차륜부
107, 107B : 사이드 롤러
108B : 연결 프레임
110 : 전동 호이스트체
111 : 권상기 본체
112 : 권상 모터
113 : 훅
114 : 커버
115 : 체인 버킷
120 : 장착 프레임체
121, 122 : 연결 바
123, 124 : 측면 프레임
125, 126 : 연결 부재
127 : 현수 프레임
130 : 호이스트 주행 장치
131, 134 : 구동 차륜 세트
132, 133 : 종동 차륜 세트
135, 136 : 지지 프레임
137 : 차륜부
141 : 구동 모터
150: 연결 스테이
160 :튐 방지 기구(제2 튐 방지 기구에 대응)
161 : 연결 부재
162, 163 : 연결 부재
164 : 지지축
165 : 축받이
166 : 튐 방지 롤러(제2 튐 방지 롤러에 대응)

Claims (11)

  1.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로서,
    위쪽의 장착 부위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고 또한 제1 주행부
    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행 레일;
    구동 차륜 및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복수의 상기 주행 레일의 상기 제1 주행부를 각각 따라 상기 구동 차륜이 주행하는 복수의 트롤리 기구(機構);
    상기 트롤리 기구에 적어도 장착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반송(搬送)하는 차륜을 구비하는 레일 반송 기구;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짐을 매달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전동 호이스트체; 및
    상기 제1 주행부를 협지(sandwich)하여 상기 구동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 차륜과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제1 주행부를 따라 주행하는 튐 방지 롤러를 구비하는 튐 방지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튐 방지 롤러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튐 방지 롤러 사이에는, 상기 튐 방지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튐 방지 롤러는, 상기 구동 차륜과 동일한 직경으로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튐 방지 롤러는, 상기 구동 차륜과 동일한 직경으로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상기 차륜이 주행 가능한 제2 주행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레일 반송 기구는 제2 튐 방지 기구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튐 방지 기구는 회전 가능한 제2 튐 방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튐 방지 롤러는, 상기 제2 주행부를 협지하여 상기 레일 반송 기구의 상기 차륜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행 레일 사이로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측에는, 연결 빔이 배치되고 있고,
    상기 연결 빔의 일단(一端) 측과 타단(他端) 측에는, 상기 트롤리 기구가 강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행 레일 사이로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측에는, 연결 빔이 배치되고 있고,
    상기 연결 빔의 일단 측과 타단 측에는, 상기 트롤리 기구가 강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가 상기 차륜이 주행 가능한 제2 주행부로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플랜지에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상기 하측 플랜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 주행 장치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는, 상기 하측 플랜지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기 제2 주행부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이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플랜지에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상기 하측 플랜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 주행 장치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는, 상기 하측 플랜지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가 상기 차륜이 주행 가능한 제2 주행부로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플랜지에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상기 하측 플랜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 주행 장치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는, 상기 하측 플랜지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기 제2 주행부는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이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하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플랜지에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상기 하측 플랜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호이스트 주행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 주행 장치는,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를 지지하는 장착 프레임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동 호이스트체는, 상기 하측 플랜지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KR1020180001794A 2017-09-25 2018-01-05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KR101876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3542 2017-09-25
JP2017183542A JP6821532B2 (ja) 2017-09-25 2017-09-25 スライドレール式天井クレー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259B1 true KR101876259B1 (ko) 2018-07-09

Family

ID=6291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94A KR101876259B1 (ko) 2017-09-25 2018-01-05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21532B2 (ko)
KR (1) KR101876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91B1 (ko) 2019-11-04 2020-01-23 정일용 육류 이송용 크레인
CN114803877A (zh) * 2022-03-14 2022-07-29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线集中布局翻车机厂房内超重件的起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8339A (zh) * 2019-07-09 2019-11-26 太原科技大学 一种可缓和刚性冲击的吊轨滑轮装置
CN110329916B (zh) * 2019-08-16 2024-03-12 河南恒远恒山工业有限公司 一种防爆电动单梁悬挂起重机
CN111153323A (zh) * 2020-01-10 2020-05-15 太原科技大学 一种用于差速装置的驱动组件及可差速过环轨桥式起重机
CN113636464B (zh) * 2021-07-22 2023-12-12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装卸吊运装置、岸桥、轨桥一体捷运系统及翻坝运输系统
CN114476960B (zh) * 2022-04-19 2022-08-19 河南省矿山起重机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轨功能的飞行员模拟用起重机
CN115340008A (zh) * 2022-09-14 2022-11-15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plc控制的桥式起重机
CN118239381B (zh) * 2024-05-28 2024-08-06 科捷(河南)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双梁欧式起重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5994A (ja) * 1985-06-21 1986-12-26 株式会社 キト− 送り出しレ−ルを有する運搬装置
JP2000109284A (ja) * 1998-10-05 2000-04-18 Nippon Hoist Kk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
JP2000233888A (ja) * 1999-02-15 2000-08-29 Super Tool Co Ltd クレーン
JP3300909B2 (ja) * 1993-09-09 2002-07-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ライド式走行クレーン
KR200424489Y1 (ko) * 2006-05-12 2006-08-25 김영대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KR100724715B1 (ko) * 2006-07-21 2007-06-04 한국고벨주식회사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용 호이스트
JP4976774B2 (ja) * 2006-07-28 2012-07-18 Ihi運搬機械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
KR101460906B1 (ko) * 2013-07-31 2014-11-12 주식회사 프로모텍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JP5945402B2 (ja) * 2011-11-24 2016-07-05 株式会社スーパーツール 天井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090U (ko) * 1973-05-19 1975-01-22
JPS6128775U (ja) * 1984-07-23 1986-02-20 有限会社 大谷工業所 コンテナ用走行クレ−ン
JP3153296B2 (ja) * 1991-11-22 2001-04-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天井クレーンの駆動装置及び移動警告装置
JP2534180B2 (ja) * 1992-05-14 1996-09-11 株式会社キトー 送り出しレ―ルを有する搬送装置
JPH0653578U (ja) * 1992-12-22 1994-07-22 近藤 彰宏 荷役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5994A (ja) * 1985-06-21 1986-12-26 株式会社 キト− 送り出しレ−ルを有する運搬装置
JP3300909B2 (ja) * 1993-09-09 2002-07-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ライド式走行クレーン
JP2000109284A (ja) * 1998-10-05 2000-04-18 Nippon Hoist Kk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
JP2000233888A (ja) * 1999-02-15 2000-08-29 Super Tool Co Ltd クレーン
KR200424489Y1 (ko) * 2006-05-12 2006-08-25 김영대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KR100724715B1 (ko) * 2006-07-21 2007-06-04 한국고벨주식회사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용 호이스트
JP4976774B2 (ja) * 2006-07-28 2012-07-18 Ihi運搬機械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
JP5945402B2 (ja) * 2011-11-24 2016-07-05 株式会社スーパーツール 天井クレーン
KR101460906B1 (ko) * 2013-07-31 2014-11-12 주식회사 프로모텍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91B1 (ko) 2019-11-04 2020-01-23 정일용 육류 이송용 크레인
CN114803877A (zh) * 2022-03-14 2022-07-29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线集中布局翻车机厂房内超重件的起升装置
CN114803877B (zh) * 2022-03-14 2024-02-02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线集中布局翻车机厂房内超重件的起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1532B2 (ja) 2021-01-27
JP2019059561A (ja)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59B1 (ko) 슬라이드 레일식 천정 크레인 장치
US7721654B2 (en) Stacker crane
US10435043B2 (en) Funicular driven by a cable with two towing se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funicular
JP2007120244A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JP2009083953A (ja) 搬送装置
JP2008239262A (ja) クレーン用車輪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天井クレーン
JP2008044400A (ja) 搬送台車システム
JP4298683B2 (ja) 搬送装置
JP5293999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物品収納設備
JP2012171773A (ja) スラットコンベヤ
CN107207218B (zh) 用于起重装置的小车
JP5170543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物品収納設備
CN112429480A (zh) 物料搬运系统
JP5046040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物品収納設備
JP4450200B2 (ja)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CN214242575U (zh) 物料搬运系统
JP2007050986A (ja) 搬送装置
JP5618168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物品収納設備
JP5470307B2 (ja) 作業ライン用コンベヤ設備
KR101488700B1 (ko) 크레인
JP4867539B2 (ja) コンベアトロリ
KR100861054B1 (ko) 더블박스 타입의 호이스트
KR20160116271A (ko)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JP4424487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2022030071A (ja) 有軌道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