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50B1 -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50B1
KR101872150B1 KR1020170022314A KR20170022314A KR101872150B1 KR 101872150 B1 KR101872150 B1 KR 101872150B1 KR 1020170022314 A KR1020170022314 A KR 1020170022314A KR 20170022314 A KR20170022314 A KR 20170022314A KR 101872150 B1 KR101872150 B1 KR 10187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air
portions
width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048A (ko
Inventor
히로미치 오가와
신야 야마모토
히로유키 나카이마
다카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1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2Pistons piston shoe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05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two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는, 회전축과, 하우징과, 사판과, 1 쌍의 실린더 보어와, 양헤드 피스톤과, 1 쌍의 슈를 포함한다. 양헤드 피스톤은, 1 쌍의 슈 유지부와, 넥부와, 1 쌍의 헤드부와, 1 쌍의 연결부를 갖는다. 연결부의 각각은, 외측부와 내측부를 갖는다. 내측부 및 외측부의 대향 방향과,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넥부는, 대향 방향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대향 방향보다 폭 방향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의 각각의 폭은, 넥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다. 내측부의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부에 있어서 슈 유지부보다 헤드부 쪽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연결부는, 사판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에 대하여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패임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DOUBLE-HEADE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로서, 예를 들어,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사판과, 사판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동하는 양헤드 피스톤을 구비하고, 양헤드 피스톤이 왕복동하는 것에 의해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 형성된 압축실 내의 유체를 압축하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61173호 참조).
여기서, 상기와 같은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동축도와 양헤드 피스톤의 동축도 사이에서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양헤드 피스톤은, 당해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과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축선이 어긋난 상태로 왕복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양헤드 피스톤과 1 쌍의 실린더 보어가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양헤드 피스톤과 1 쌍의 실린더 보어가 악화되지 않도록, 양헤드 피스톤의 헤드부와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간극이 커지면, 압축실의 유체가 누출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손실의 증대화가 염려된다.
특히,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1 쌍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 쌍의 실린더 보어끼리에서도 동축도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에 걸쳐서 배치되는 양헤드 피스톤은, 악화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헤드 피스톤과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악화를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는, 회전축과, 하우징과, 사판과, 1 쌍의 실린더 보어와, 양헤드 피스톤과, 1 쌍의 슈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축선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용된다. 상기 사판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그 1 쌍의 실린더 보어는 서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한다. 상기 양헤드 피스톤은,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동 가능하다. 상기 1 쌍의 슈는, 상기 양헤드 피스톤을 상기 사판에 계류한다.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의해 1 쌍의 압축실이 획정되어 있다. 상기 사판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양헤드 피스톤이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동함으로써, 각 압축실 내의 유체가 압축된다. 상기 양헤드 피스톤은, 1 쌍의 슈 유지부와, 넥부와, 1 쌍의 헤드부와, 1 쌍의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1 쌍의 슈 유지부는,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1 쌍의 슈를 유지한다. 상기 넥부는, 상기 1 쌍의 슈 유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사판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1 쌍의 헤드부는,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그 1 쌍의 헤드부는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 배치된다. 상기 1 쌍의 연결부는, 상기 1 쌍의 슈 유지부와 상기 1 쌍의 헤드부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은, 외측부와 내측부를 갖는다. 상기 외측부는,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외측부와 상기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대향 방향과,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상기 넥부는, 상기 사판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대하여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대향 방향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대향 방향보다 상기 폭 방향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의 폭은, 상기 넥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슈 유지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은 폭의 폭협부를 가지고 있다. 당해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 상기 슈 유지부보다 상기 헤드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1 쌍의 연결부는, 상기 사판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대하여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폭 방향으로 패임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넥부 및 연결부의 적어도 일방이 패이는 것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의 동축도와 양실린더 보어의 동축도의 어긋남에서 기인하는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과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크게 하지 않고, 악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우바이의 증대화를 억제하면서 양헤드 피스톤의 원활한 왕복동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의 폭이 넥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판으로부터 폭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연결부 및 넥부가 패이기 쉽다. 이에 의해, 사판으로부터 폭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그 하중을 연결부 및 넥부의 쌍방으로 분산시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넥부에 국소적인 부하가 부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는, 내측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슈 유지부보다 헤드부 쪽에 배치되어 있는 폭협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폭 방향에 의해 패이기 쉽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게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대하여, 상기 1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상기 폭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부를 갖고, 상기 판상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 쌍의 연결부가 폭 방향으로 패이기 쉬운 상태를 확보하면서, 사판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에 부여되는 하중을 수용하기 위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상부에는, 상기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를 보다 패이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양헤드 피스톤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판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는 판상부의 일부는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에 있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서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부는, 상기 헤드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슈 유지부보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슈 유지부 근방의 단부는, 상기 대향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슈 유지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단부의 측방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부와 상기 슈 유지부를 연결하는 리브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넥부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패인 경우에는, 내측부가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에 당접하고, 그 당접 지점에서 사판으로부터 부여되는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가 슈 유지부보다 회전축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와 사판의 간섭이 염려된다. 이에 반하여, 본 구성에 의하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단부의 측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을 사판이 통과함으로써, 사판과 양헤드 피스톤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넥부가 보다 대향 방향으로 패이기 쉬워짐과 함께, 양헤드 피스톤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협동하여 제어실을 구획하는 구획체를 갖고, 상기 제어실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실 내의 압력 조정을 실시함으로써, 압축하는 유체의 용량 가변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가 넥부와 동일 또는 그것보다 좁게 구성되고 또한 내측부가 폭협부를 가지고 있는 양헤드 피스톤은, 사이드 포스를 수용하는 위해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비교하여, 경량이 되기 쉽다. 이에 의해,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악화의 억제와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쌍의 헤드부는 제 1 헤드부 및 제 2 헤드부이고, 상기 제 2 헤드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헤드부와 제 2 헤드부에서, 수압 면적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압축시에 발생하는 압축 반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가변을 실시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부에는,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서의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넥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헤드부보다 상기 제 2 헤드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는, 대직경측인 제 1 헤드부측보다 강도가 낮아지기 쉬운 소직경측의 제 2 헤드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부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인 제 2 헤드부측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 및 그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 및 그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의 패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의 패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양헤드 피스톤의 패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다른 예의 양헤드 피스톤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예의 양헤드 피스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다른 예의 양헤드 피스톤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다른 예의 양헤드 피스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의 다른 예의 양헤드 피스톤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압축 대상이 되는 유체는 냉매이다. 또한, 도 1, 5 ∼ 9 에 있어서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을 측면도 또는 상면도로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이후 간단히 압축기라고 한다) (10) 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하우징 (11) 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하우징 (11) 내에는 회전축 (20) 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회전축 (20) 은, 하우징 (11) 내에 있어서 중앙쪽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과 하우징 (11) 의 축선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을 간단히 축선 방향 (Z) 이라고 한다.
하우징 (11) 은, 하우징 (11) 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Z) 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통상의 프론트 하우징 (12) 과, 하우징 (11) 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Z) 의 타단부를 구성하는 유저 통상의 리어 하우징 (13) 과, 프론트 하우징 (12) 및 리어 하우징 (13) 사이에 배치된 1 쌍의 실린더 블록 (14, 15) 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 블록 (14, 15) 은, 회전축 (20) 이 삽통 가능한 축공 (21, 22) 을 갖는 통상이다.
제 1 실린더 블록 (14) 의 제 1 축공 (21) 은, 제 1 실린더 블록 (14) 을 축선 방향 (Z) 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1 축공 (21) 은, 회전축 (20) 보다 약간 큰 직경의 제 1 축경공 (21a) 과, 제 1 축경공 (21a) 보다 큰 제 1 확경공 (21b) 을 가지고 있다. 제 1 축경공 (21a) 은, 제 1 확경공 (21b) 보다 프론트 하우징 (12) 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린더 블록 (15) 의 제 2 축공 (22) 은, 제 2 실린더 블록 (15) 을 축선 방향 (Z) 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2 축공 (22) 은, 회전축 (20) 보다 약간 큰 직경의 제 2 축경공 (22a) 과, 제 2 축경공 (22a) 보다 큰 제 2 확경공 (22b) 을 가지고 있다. 제 2 축경공 (22a) 은, 제 2 확경공 (22b) 보다 리어 하우징 (13) 쪽에 형성되어 있다. 양실린더 블록 (14, 15) 은, 양축공 (21, 22) (상세하게는 양확경공 (21b, 22b)) 이 축선 방향 (Z) 에 대향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2) 과 제 1 실린더 블록 (14) 사이에는, 제 1 밸브/포트체 (23) 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3) 과 제 2 실린더 블록 (15) 사이에는, 제 2 밸브/포트체 (24)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포트체 (23, 24) 는 각각 평판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포트체 (23, 24) 의 내경은 회전축 (20)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회전축 (20) 은, 양축공 (21, 22) 및 양밸브/포트체 (23, 24) 에 삽통된 상태로, 프론트 하우징 (12) 부터 리어 하우징 (13) 까지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의 일단부는, 프론트 하우징 (12) 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의 타단부는, 리어 하우징 (13) 과 제 2 실린더 블록 (15) 에 의해 구획된 조정실 (A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 (20) 은, 양실린더 블록 (14, 15) 을 관통하고 있다. 조정실 (A1)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0) 과 제 1 축경공 (21a) 의 내주면 사이에는, 회전축 (20)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래디얼 베어링 (31) 이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회전축 (20) 과 제 2 축경공 (22a) 의 내주면 사이에는, 회전축 (20)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래디얼 베어링 (41)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20) 은, 양래디얼 베어링 (31, 41) 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우징 (11) 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20) 은, 제 1 확경공 (21b) 내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 (20) 의 직경 방향 (R) (이후 간단히 「직경 방향 (R)」 이라고 한다) 으로 돌출된 제 1 축 돌기 (20a) 와, 제 2 확경공 (22b) 내에 배치되고 또한 직경 방향 (R) 으로 돌출된 제 2 축 돌기 (20b) 를 가지고 있다. 제 1 축 돌기 (20a) 는, 제 1 축경공 (21a) 과 제 1 확경공 (21b) 을 연결하는 링상의 단차면과 축선 방향 (Z) 으로 대향하고 있고, 제 1 축 돌기 (20a) 와 상기 단차면 사이에는 제 1 트러스트 베어링 (3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축 돌기 (20b) 는, 제 2 축경공 (22a) 과 제 2 확경공 (22b) 을 연결하는 링상의 단차면과 축선 방향 (Z) 으로 대향하고 있고, 제 2 축 돌기 (20b) 와 상기 단차면 사이에는 제 2 트러스트 베어링 (42) 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1) 내에는, 2 개의 흡입실 (33, 43) 및 2 개의 토출실 (34, 4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흡입실 (33) 및 제 1 토출실 (34) 의 각각은, 프론트 하우징 (12) 과 제 1 밸브/포트체 (23)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2 흡입실 (43) 및 제 2 토출실 (44) 의 각각은, 리어 하우징 (13) 과 제 2 밸브/포트체 (24)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양흡입실 (33, 43) 은 축선 방향 (Z) 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양토출실 (34, 44) 은 축선 방향 (Z) 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흡입실 (33, 43) 및 토출실 (34, 44) 은, 축선 방향 (Z) 으로부터 보아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토출실 (34, 44) 은, 흡입실 (33, 43) 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는, 회전축 (20)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사판 (50) 을 구비하고 있다. 사판 (50) 은,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사판 (50) 은, 회전축 (20) 이 삽통된 사판 삽통공 (51) 을 갖는 평판 링상의 본체 사판부 (52) 를 가지고 있다. 본체 사판부 (52) 는, 제 1 실린더 블록 (14) 을 향하는 제 1 경사면 (52a) 과, 제 1 경사면 (52a) 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제 2 경사면 (52b) 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사판 (50) 은,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11) 에는, 사판 (50) 을 수용하는 사판실 (A2) 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실 (A2) 은, 양실린더 블록 (14, 15) 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다. 사판실 (A2) 은, 양축공 (21, 2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양축공 (21, 22) 과 연통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린더 블록 (15) 에 있어서의 사판실 (A2) 을 구획하는 측벽에는, 흡입구 (5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입구 (53) 와 사판실 (A2) 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11) 에는, 사판실 (A2) 과 흡입실 (33, 43) 을 연통하는 흡입 통로 (54)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 (54) 는, 제 1 실린더 블록 (14) 및 제 1 밸브/포트체 (23) 를 축선 방향 (Z) 으로 관통하는 것으로서 사판실 (A2) 과 제 1 흡입실 (33) 을 연통하는 제 1 흡입 통로 (54a) 와, 제 2 실린더 블록 (15) 및 제 2 밸브/포트체 (24) 를 축선 방향 (Z) 으로 관통하는 것으로서 사판실 (A2) 과 제 2 흡입실 (43) 을 연통하는 제 2 흡입 통로 (54b) 를 갖는다. 흡입 통로 (54a, 54b) 는, 실린더 블록 (14, 15) 에 있어서의 축공 (21, 22) 의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입구 (53) 로부터 흡입된 유체는, 사판실 (A2) 및 흡입 통로 (54) 를 통과하여, 흡입실 (33, 43) 에 흘러 들어간다. 이 경우, 사판실 (A2) 및 사판실 (A2) 과 연통되어 있는 양확경공 (21b, 22b) 내의 압력은, 흡입구 (53) 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유체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11) 내에는, 양토출실 (34, 44) 과 연통하는 토출 통로 (55)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통로 (55) 는, 사판실 (A2) 및 후술하는 실린더 보어 (91, 92) 에 대하여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 통로 (55) 는, 하우징 (11) (상세하게는 제 2 실린더 블록 (15) 의 측벽) 에 형성된 토출구 (56) 에 연통되어 있다. 양토출실 (34, 44) 내의 유체는, 토출 통로 (55) 를 통과하여, 토출구 (56) 로부터 토출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는, 사판 (50) 의 경사 각도의 변경을 허용하면서, 사판 (50) 과 회전축 (20) 이 일체 회전하도록 양자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 (60) 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 기구 (60) 는, 일부를 제외하고, 사판 (50) 보다 프론트 하우징 (12) 쪽에 있다.
링크 기구 (60) 는, 제 1 확경공 (21b) 내 및 사판실 (A2) 에 걸쳐서 배치되는 러그 아암 (61) 과, 러그 아암 (61) 이 요동 가능한 상태로 러그 아암 (61) 과 사판 (50) 을 연결하는 제 1 링크 핀 (62) 과, 러그 아암 (61) 이 요동 가능한 상태로 러그 아암 (61) 과 회전축 (20) 을 연결하는 제 2 링크 핀 (63) 을 갖는다.
러그 아암 (61) 은, 프론트 하우징 (12) 을 향하는 기단부와, 사판 (50) 을 향하는 선단부를 갖는 대략 L 자형이다. 러그 아암 (61) 의 선단부는, 사판 (50) 의 본체 사판부 (52) 에 형성된 아암용 관통공 (52c) 을 개재하여 사판 (50) 으로부터 리어 하우징 (13)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부분에는 웨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용 관통공 (52c) 은, 예를 들어, 사판 (50) 의 전체 둘레에 이르는 환상이 아니라 축선 방향 (Z) 으로부터 보아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아암용 관통공 (52c) 의 내면은, 사판 삽통공 (51) 과 아암용 관통공 (52c) 의 병설 방향 및 사판 (50) 의 판 두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1 쌍의 대향 내면을 포함한다.
제 1 링크 핀 (62) 은, 예를 들어 원주상이고, 제 1 링크 핀 (62) 의 축선 방향과 상기 1 쌍의 대향 내면의 대향 방향이 일치하도록 아암용 관통공 (52c)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링크 핀 (62) 은, 러그 아암 (61) 의 축선 방향 (Z) 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한 상태로, 사판 (50) 에 장착되어 있다. 러그 아암 (61) 의 축선 방향 (Z) 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제 1 링크 핀 (62) 의 축을 제 1 요동 중심 (M1) 으로 하여, 사판 (50) 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링크 핀 (63) 은, 예를 들어 원주상이고, 제 2 링크 핀 (63) 의 축선 방향과 제 1 링크 핀 (62) 의 축선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링크 핀 (63) 은, 러그 아암 (61) 의 기단부 중, 러그 아암 (61) 의 축선 방향 (Z) 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간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링크 핀 (63) 은, 러그 아암 (61) 의 기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축 (20) 에 고정되어 있다. 러그 아암 (61) 의 기단부는, 제 2 링크 핀 (63) 의 축을 제 2 요동 중심 (M2) 으로 하여, 회전축 (20) 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는, 사판 (50)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액츄에이터 (70) 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 (70) 는, 사판 (50) 보다 리어 하우징 (13) 쪽에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70) 는, 축선 방향 (Z) 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 (71) 와, 이동체 (71) 와 협동하여 제어실 (A3) 을 구획하는 구획체 (72) 와, 이동체 (71) 와 사판 (50) 을 연결하는 1 쌍의 연결편 (73) 을 가지고 있다. 제어실 (A3) 은, 사판 (50) 의 경사 각도의 제어에 사용되는 실이다.
이동체 (71) 는, 저부와 통부를 갖고 또한 일방으로 개구한 유저 통상 (상세하게는 유저 원통형) 이고, 이동체 (71) 의 저부에는, 회전축 (20) 이 삽통 가능한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 (71) 는, 상기 삽통공에 회전축 (20) 이 삽통되고 또한 이동체 (71) 의 개구가 사판실 (A2) 을 향한 상태로, 회전축 (20) 과 일체 회전한다.
구획체 (72) 는, 평판 링상이고, 그 외경은 이동체 (71) 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구획체 (72) 는, 회전축 (20) 에 삽통되고 또한 이동체 (71) 에 감입된 상태로, 회전축 (20) 과 일체 회전하도록 회전축 (20) 에 고정되어 있다. 이동체 (71) 의 사판실 (A2) 쪽의 개구는, 구획체 (72) 에 의해 막혀 있다. 제어실 (A3) 은, 이동체 (71) 의 내면과, 구획체 (72) 에 있어서의 사판실 (A2) 과는 반대측의 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동체 (71) 의 내주면과 구획체 (72) 의 외주면 사이는 시일되어 있고, 제어실 (A3) 과 사판실 (A2) 사이의 유체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실 (A3) 과, 사판실 (A2) 및 제 2 확경공 (22b) 내는 압력이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실 (A3) 과 사판실 (A2) 의 압력 차에 따라, 이동체 (71) 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 (20) 에는, 조정실 (A1) 과 제어실 (A3) 을 연통하는 축내 통로 (74) 가 형성되어 있다. 축내 통로 (74) 는, 조정실 (A1) 에 개구하고 또한 축선 방향 (Z) 으로 연장된 축 방향 부분과, 축 방향 부분과 연통되어 있는 직경 방향 부분을 가지고 있다. 직경 방향 부분은, 제어실 (A3) 에 개구하고 또한 직경 방향 (R)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축내 통로 (74) 를 개재하여, 제어실 (A3) 과 조정실 (A1) 사이에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실 (A3) 과 조정실 (A1) 은 압력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압축기 (10) 는, 조정실 (A1) 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 (75) 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 제어부 (75) 는, 제 2 흡입실 (43) 과 조정실 (A1) 을 연통하는 저압 유로와, 제 2 토출실 (44) 과 조정실 (A1) 을 연통하는 고압 유로와, 저압 유로 상에 형성되고, 조정실 (A1) 로부터 제 2 흡입실 (43) 로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밸브와, 고압 유로 상에 형성되고, 고압 유로를 흐르는 토출 유체의 유량을 조이는 오리피스를 가지고 있다. 압력 제어부 (75) 는,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조정실 (A1) 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이동체 (71) 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1 쌍의 연결편 (73) 은, 축선 방향 (Z) 으로부터 보아 이동체 (71) 에 있어서의 환상의 개구단의 일부로부터 사판 (50)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1 쌍의 연결편 (73) 은, 축선 방향 (Z) 으로부터 보아, 회전축 (20) 에 대하여 러그 아암 (61) 의 선단부측과는 반대측의 이동체 (71) 의 부분으로부터 사판 (50)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1 쌍의 연결편 (73) 은, 양요동 중심 (M1, M2) 의 요동축 방향 (요동 중심 (M1, M2) 이 연장되는 방향) 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사판 (50) 은, 제 2 경사면 (52b) 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요동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1 쌍의 연결편 (73) 에 겹치는 판상의 연결 수용부 (76) 를 가지고 있다. 연결 수용부 (76) 는, 제 2 경사면 (52b) 중 사판 삽통공 (51) 에 대하여 아암용 관통공 (52c)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수용부 (76) 에는, 연결 핀 (77) 이 삽통 가능한 연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핀 (77) 은, 상기 요동축 방향으로 연장된 핀이고, 1 쌍의 연결편 (7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핀 (77) 은, 상기 연결용 구멍에 삽통된 상태로 1 쌍의 연결편 (73) 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판 (50) 과 이동체 (71) 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이동체 (71) 의 이동에 수반하여 사판 (50)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요컨대, 이동체 (71) 의 위치 조정에 의해 사판 (50) 의 경사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의 간략화를 위하여, 연결 핀 (77) 과 연결용 구멍은 동일 형상으로 했지만, 실제로는 연결용 구멍은, 사판 (50) 의 경사 각도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결 핀 (77) 보다 직경이 큰 세로로 긴 오벌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0) 은, 제 1 경사면 (52a) 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돌출부 (81) 와, 연결 수용부 (76) 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제 2 경사면 (52b) 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부 (82) 를 가지고 있다.
제 1 돌출부 (81) 는, 제 1 경사면 (52a)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 1 경사면 (52a) 중 사판 삽통공 (51) 에 대하여 아암용 관통공 (52c) 과는 반대측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 (82) 는, 제 2 경사면 (52b) 중 사판 삽통공 (51) 의 주위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돌출부 (81, 82) 는, 경사면 (52a, 52b) 중 후술하는 1 쌍의 슈 (121, 122) 에 협지되는 부분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판 (50) 의 외주 단부는, 양돌출부 (81, 82) 나 연결 수용부 (76)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비교하여 얇다.
회전축 (20) 의 제 1 축 돌기 (20a) 에는, 복귀 스프링 (83) 이 고정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83) 은, 제 1 축 돌기 (20a) 로부터 사판실 (A2) 을 향하여 축선 방향 (Z) 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구획체 (72) 와 사판 (50) 사이에는, 경각 감소 스프링 (84) 이 형성되어 있다. 경각 감소 스프링 (84) 의 일단은 구획체 (72) 에 고정되어 있고, 경각 감소 스프링 (84) 의 타단은 사판 (50) 에 고정되어 있다. 경각 감소 스프링 (84) 은, 사판 (50) 을, 사판 (50) 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압축기 (10) 는, 하우징 (11) 내에 있어서의 회전축 (20) 에 대하여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축선 방향 (Z) 으로 대향하는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보어 (91, 92) 는, 축공 (21, 22) 에 대하여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가, 실린더 블록 (14, 15) 의 축공 (21, 22) 의 주위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양실린더 보어 (91, 92) 는 사판실 (A2) 을 개재하여 서로 축선 방향 (Z) 으로 대향하고 있다. 양실린더 보어 (91, 92) 는, 제 1 실린더 보어 (91) 의 축선인 제 1 실린더 보어 축선 (L1) 과 제 2 실린더 보어 (92) 의 축선인 제 2 실린더 보어 축선 (L2) 이 일치하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양실린더 보어 (91, 92) 는,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형편상, 도 1 에 있어서는, 양실린더 보어 (91, 92) 를 1 개씩 나타낸다. 또한, 흡입 통로 (54a, 54b) 와 실린더 보어 (91, 92) 는, 축공 (21, 22) 의 주위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91, 92) 는, 실린더 블록 (14, 15) 을 축선 방향 (Z) 으로 관통한 통상 (상세하게는 원통형) 이다. 실린더 보어 (91, 92) 의 일방의 개구는 사판실 (A2) 과 연통되어 있는 한편, 실린더 보어 (91, 92) 의 타방의 개구는 밸브/포트체 (23, 24) 에 의해 막혀 있다. 제 1 실린더 보어 (91) 의 내부 공간과, 제 1 흡입실 (33) 및 제 1 토출실 (34) 은, 제 1 밸브/포트체 (23) 에 의해 나뉘어 있고, 제 2 실린더 보어 (92) 의 내부 공간과, 제 2 흡입실 (43) 및 제 2 토출실 (44) 은, 제 2 밸브/포트체 (24) 에 의해 나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포트체 (23, 24) 는, 실린더 보어 (91, 92) 의 개구를 막고 있고, 흡입실 (33, 43) 과 연통되어 있는 흡입 포트 (23a, 24a) 와, 밸브를 개재하여 토출실 (34, 44) 과 연통되어 있는 토출 포트 (23b, 24b) 를 가지고 있다. 흡입 포트 (23a, 24a) 및 토출 포트 (23b, 24b) 는, 실린더 보어 (91, 92) 가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압축기 (10) 는,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내를 왕복동 가능한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양헤드 피스톤 (100) 을 사판 (50) 에 계류하는 1 쌍의 슈 (121, 122) 를 구비하고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이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다시 말하면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의 대향 방향) 과 일치하도록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은, 그 축선인 피스톤 축선 (L3) 과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이 동축이 되도록,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가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즉, 양헤드 피스톤 (100) 은,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에 1 개씩 형성되어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등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헤드 피스톤 (100) 은, 넥부 (101) 와, 1 쌍의 슈 (121, 122) 를 유지하는 슈 유지부 (102, 112) 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1 쌍의 헤드부 (103, 113) 와, 슈 유지부 (102, 112) 와 헤드부 (103, 113) 를 연결하는 1 쌍의 연결부 (104, 114) 를 가지고 있다.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넥부 (101) 는,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 (104, 114) 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직경 방향 (R) 으로 대향 배치된 내측부 (105, 115) 와, 외측부 (106, 116) 와, 내측부 (105, 115) 및 외측부 (106, 116) 의 쌍방을 연결하고 있는 판상부 (107, 117) 를 가지고 있다. 내측부 (105, 115) 는, 외측부 (106, 116)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 (다시 말하면 회전축 (20) 에 가까운 양헤드 피스톤 (100) 의 부위)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이란, 1 쌍의 헤드부 (103, 113) 의 대향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고, 직경 방향 (R) 이란, 내측부 (105, 115) 및 외측부 (106, 116) 의 대향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과, 내측부 (105, 115) 및 외측부 (106, 116) 의 대향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W) 이라고 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는, 서로 대향하는 반구면 (102a, 112a) 을 가지고 있다. 반구면 (102a, 112a) 은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해져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0) 의 외주 단부는,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슈 (121, 122) 중 제 1 슈 (121) 는, 사판 (50) 의 제 1 경사면 (52a) 과 제 1 슈 유지부 (102) 의 제 1 반구면 (102a)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슈 (122) 는, 사판 (50) 의 제 2 경사면 (52b) 과 제 2 슈 유지부 (112) 의 제 2 반구면 (11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양슈 (121, 122) 는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슈 (121, 122) 의 저면은, 경사면 (52a, 52b) 의 외주단 부분에 당접하고 있고, 슈 (121, 122) 의 구면은 반구면 (102a, 112a) 에 당접하고 있다.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는, 사판 (50) 의 외주 단부가 1 쌍의 슈 (121, 122) 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1 쌍의 슈 (121, 122) 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1 쌍의 슈 (121, 122) 에 의해 사판 (50) 에 계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판 (50) 이 회전한 경우, 양슈 (121, 122) 를 개재하여, 양헤드 피스톤 (100) 에 축선 방향 (Z) 의 성분을 포함하는 하중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사판 (50) 의 회전이,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왕복동으로 변환된다. 이 경우, 사판 (50) 의 경사 각도에 따라,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스트로크량이 변경된다.
넥부 (101) 는, 사판 (50) 의 외주측, 상세하게는 사판 (50)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넥부 (101) 는, 직경 방향 (R) 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직경 방향 (R) 보다 폭 방향 (W) 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직경 방향 (R) 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이다. 넥부 (101) 는, 폭 방향 (W) 의 단면 계수보다 직경 방향 (R) 의 단면 계수가 작게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는, 넥부 (101) 의 내주면 중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넥부 (101) 의 폭 (W1) 은, 슈 유지부 (102, 112) 의 폭인 슈 좌폭 (W2) 과 동일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넥부 (101) 의 폭 (W1) 은, 슈 좌폭 (W2) 보다 넓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넥부 (101) 의 외주면은, 제 1 실린더 보어 (91) 의 내주면인 제 1 내주면 (91a) 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넥부 (101) 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오목한 넥 오목부 (101a) 가 형성되어 있다. 넥 오목부 (101a) 는, 폭 방향 (W) 으로 이간시켜 1 쌍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넥부 (101) 의 폭 방향 (W) 의 양단 부분은, 폭 방향 (W) 의 중앙 부분보다 얇게 되어 있고, 직경 방향 (R) 으로 패이기 쉽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103, 113) 는,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저면 (103a, 113a) 및 측면 (다시 말하면 외주면) (103b, 113b) 을 갖는 것으로서 슈 유지부 (102, 112) 를 향하여 개구한 유저 통상이다. 헤드부 (103, 113) 의 측면 (103b, 113b) 과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린더 보어 (91) 의 제 1 내주면 (91a) 과 제 1 헤드부 (103) 의 측면 (103b) 사이에는 제 1 간극 (108) 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실린더 보어 (92) 의 제 2 내주면 (92a) 과 제 2 헤드부 (113) 의 측면 (113b) 사이에는 제 2 간극 (118)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헤드부 (103) 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일부가 제 1 실린더 보어 (91) 내에 수용되어 있고, 제 2 헤드부 (113) 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일부가 제 2 실린더 보어 (9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는, 헤드부 (103, 113) 의 저면 (103a, 113a) 과,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과, 밸브/포트체 (23, 24) 에 의해 구획된 압축실 (A4, A5) 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실 (A4, A5) 은, 흡입 포트 (23a, 24a) 를 개재하여 흡입실 (33, 43) 과 연통되어 있고, 토출 포트 (23b, 24b) 를 개재하여 토출실 (34, 44) 과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왕복동함으로써, 흡입실 (33, 43) 로부터 압축실 (A4, A5) 에 흡입된 흡입 유체가 압축되고, 그 압축된 유체가 토출실 (34, 44) 에 토출된다. 이 경우, 사판 (50) 의 경사 각도에 따라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스트로크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압축되는 유체의 용량도 변화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는, 용량 가변형이다.
참고로, 양헤드 피스톤 (100) 에는, 양슈 (121, 122) 를 개재하여 사판 (50) 으로부터 하중이 부여됨과 함께, 압축실 (A4, A5) 내의 유체의 압축에 수반하는 압축 반력이 부여된다. 또한, 압축실 (A4, A5) 내의 유체는, 간극 (108, 118) 을 개재하여 유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헤드부 (103) 는, 제 2 헤드부 (113)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헤드부 (103) 와 제 2 헤드부 (113) 에서, 유체의 수압 면적이 상이하다.
또한, 양헤드부 (103, 113) 의 직경의 차이에 대응시켜, 제 1 실린더 보어 (91) 는, 제 2 실린더 보어 (92) 보다 한 사이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내주면 (91a) 의 직경은, 제 2 내주면 (92a) 의 직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양간극 (108, 118) 의 크기 (상세하게는 직경 방향 (R) 의 길이) 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참고로,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이 되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는 양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의 직경이 상이한 관계상, 제 1 내주면 (91a)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은, 제 2 내주면 (92a)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주면 (91a)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은, 제 2 실린더 블록 (15) 에 있어서의 사판실 (A2) 을 구획하는 측벽의 내주면인 측벽 내주면 (15a) 과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벽 내주면 (15a) 과 제 2 내주면 (92a) 은 단차상으로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그 전체가 넥부 (101) 의 폭 (W1) 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의 단면 계수가 직경 방향 (R) 의 단면 계수보다 작다.
제 1 연결부 (104) 의 제 1 내측부 (105) 및 제 1 외측부 (106) 의 외주면은, 제 1 내주면 (91a) 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114) 의 제 2 내측부 (115) 및 제 2 외측부 (116) 의 외주면은, 제 2 내주면 (92a) 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부 (106) 는, 제 1 헤드부 (103)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넥부 (101) 를 개재하여 제 1 슈 유지부 (102) 와 제 1 헤드부 (103) 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외측부 (106) 는, 넥부 (101) 에 있어서의 제 1 슈 유지부 (102) 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와, 제 1 헤드부 (103) 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R) 외측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제 1 외측부 (106) 는, 폭 방향 (W) 으로 폭을 갖고, 또한, 직경 방향 (R) 으로 두께를 갖는 판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외측부 (106) 의 양단부 (106a, 106b) 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넓은 폭이 되도록 역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외측부 (106) 의 폭인 폭 (W11) 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부 (106) 는, 어느 위치에서도 폭 (W11) 이 넥부 (101) 의 폭 (W1)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외측부 (106) 의 폭 (W11) 의 최대치는, 넥부 (101) 의 폭 (W1) 이하이다. 제 1 외측부 (106) 에 있어서의 양단부 (106a, 106b) 사이의 부분, 상세하게는 폭 (W11) 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부분은 슈 좌폭 (W2)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측부 (105) 는, 제 1 헤드부 (103)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헤드부 (103) 근방에 배치된 제 1 기단부 (105a) 와, 제 1 슈 유지부 (102) 근방에 배치된 제 1 선단부 (105b) 를 가지고 있다. 제 1 선단부 (105b) 가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슈 유지부 근방의 단부」 에 상당한다.
제 1 내측부 (105) 는, 폭 방향 (W) 을 따른 폭을 갖고, 또한, 직경 방향 (R) 을 따른 두께를 갖는 판상이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내측부 (105) 의 길이 (X11) 는, 제 1 외측부 (106) 의 길이보다 짧다. 이 때문에,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선단부 (105b) 는,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제 1 헤드부 (103) 와 제 1 슈 유지부 (1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측부 (105) 에 있어서의 제 1 기단부 (105a) 이외의 부분은, 일정 폭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기단부 (105a) 는, 제 1 선단부 (105b) 로부터 제 1 헤드부 (103) 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넓은 폭이 되는 역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측부 (105) 의 폭인 폭 (W12) 은, 위치에 따라 변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내측부 (105) 는, 어느 위치에서도 폭 (W12) 이 넥부 (101) 의 폭 (W1)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의 최대치는, 넥부 (101) 의 폭 (W1) 이하이다.
제 1 내측부 (105) 는, 슈 좌폭 (W2) 보다 좁은 제 1 폭협부 (105c) 를 가지고 있다. 제 1 폭협부 (105c)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내측부 (105) 에 있어서 제 1 슈 유지부 (102) 보다 제 1 헤드부 (103) 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폭협부 (105c)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슈 유지부 (102) 와 제 1 헤드부 (10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측부 (105) 의 전체가 제 1 폭협부 (105c) 가 되어 있다. 즉,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의 최대치는, 슈 좌폭 (W2)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외측부 (106) 에 있어서의 일정 폭 부분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의 폭 (W11) 과, 제 1 내측부 (105) 에 있어서의 일정 폭 부분의 폭 (W12) 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 에서는, 제 1 외측부 (106) 는, 그 대부분이 제 1 내측부 (105) 에 겹쳐 있다.
참고로, 제 1 연결부 (104) 의 폭은, 제 1 외측부 (106) 의 폭 (W11) 과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중 큰 쪽이다. 양폭 (W11, W12) 이 위치에 따라 변동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연결부 (104) 의 폭은, 양폭 (W11, W12) 의 최대치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내측부 (105) 는, 제 1 슈 유지부 (10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선단부 (105b) 와 제 1 슈 유지부 (102) 는 단차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104) 는, 단차상으로 되어 있는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선단부 (105b) 와 제 1 슈 유지부 (102) 를 연결하는 제 1 리브부 (109) 를 가지고 있다. 제 1 리브부 (109) 는,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선단부 (105b) 의 측방에 제 1 공간 (A11) 이 형성되도록 제 1 내측부 (105) 의 제 1 선단부 (105b) 와 제 1 슈 유지부 (102) 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리브부 (109) 는,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경사져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부 (105) 의 길이 (X11) 는, 제 1 리브부 (109) 의 길이 (X12) 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0) 이 회전한 경우에는, 제 1 돌출부 (81) 는 제 1 공간 (A11) 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제 1 돌출부 (81) 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 (A11) 은, 사판 (50) 의 경사 각도 및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에서의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 1 돌출부 (81) 와 양헤드 피스톤 (100) 이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 (104) 의 제 1 판상부 (107) 는, 폭 방향 (W) 을 두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제 1 판상부 (107) 는 폭 방향 (W) 을 따른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 1 판상부 (107) 의 판 두께는, 양폭 (W11, W12) 보다 얇다. 제 1 판상부 (107) 에는, 폭 방향 (W) 으로 관통하고 있는 제 1 관통공 (107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관통공 (107a) 은, 예를 들어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제 1 슈 유지부 (102) 를 향하여 오목해진 형상이고, 유저 통상의 제 1 헤드부 (103) 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114) 는, 제 1 연결부 (104) 보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긴 것 등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제 1 연결부 (104) 와 동일하다.
상세하게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외측부 (116) 는, 제 2 헤드부 (113)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넥부 (101) 를 개재하여 제 2 슈 유지부 (112) 와 제 2 헤드부 (113) 를 연결하고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외측부 (116) 의 양단부 (116a, 116b) 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넓은 폭이 되도록 역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외측부 (116) 의 폭인 폭 (W21) 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외측부 (116) 는, 어느 위치에서도 폭 (W21) 이 넥부 (101) 의 폭 (W1)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부 (116) 에 있어서의 양단부 (116a, 116b) 사이의 부분, 즉 폭 (W21) 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부분은 슈 좌폭 (W2)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측부 (115) 는, 제 2 헤드부 (113)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헤드부 (113) 근방에 배치된 제 2 기단부 (115a) 와, 제 2 슈 유지부 (112) 근방에 배치된 제 2 선단부 (115b) 를 가지고 있다. 제 2 선단부 (115b) 는,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제 2 헤드부 (113) 와 제 2 슈 유지부 (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내측부 (115) 에 있어서의 제 2 기단부 (115a) 이외의 부분은 일정 폭으로 되어 있는 한편, 제 2 내측부 (115) 의 제 2 기단부 (115a) 는, 제 2 선단부 (115b) 로부터 제 2 헤드부 (113) 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넓은 폭이 되는 역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선단부 (115b) 가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슈 유지부 근방의 단부」 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측부 (115) 는,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내측부 (115) 의 폭인 폭 (W22) 이 넥부 (101) 의 폭 (W1)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내측부 (115) 의 폭 (W22) 의 최대치는, 넥부 (101) 의 폭 (W1) 이하이다.
제 2 내측부 (115) 는, 슈 좌폭 (W2) 보다 좁은 제 2 폭협부 (115c) 를 가지고 있다. 제 2 폭협부 (115c)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내측부 (115) 에 있어서 제 2 슈 유지부 (112) 보다 제 2 헤드부 (113) 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폭협부 (115c)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슈 유지부 (112) 와 제 2 헤드부 (1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내측부 (115) 의 전체가 제 2 폭협부 (115c) 로 되어 있다. 즉, 제 2 내측부 (115) 의 폭 (W22) 의 최대치는, 슈 좌폭 (W2) 이하이다.
참고로, 제 2 연결부 (114) 의 폭은, 제 2 외측부 (116) 의 폭 (W21) 과 제 2 내측부 (115) 의 폭 (W22) 중 큰 쪽이다. 양폭 (W21, W22) 이 위치에 따라 변동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 2 연결부 (114) 의 폭은, 양폭 (W21, W22) 의 최대치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측부 (115) 는, 제 2 슈 유지부 (11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내측부 (115) 의 제 2 선단부 (115b) 와 제 2 슈 유지부 (112) 는 단차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내측부 (115) 는, 단차상으로 되어 있는 제 2 내측부 (115) 의 제 2 선단부 (115b) 와 제 2 슈 유지부 (112) 를 연결하는 제 2 리브부 (119) 를 가지고 있다. 제 2 리브부 (119) 는,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제 2 내측부 (115) 의 제 2 선단부 (115b) 의 측방에 제 2 공간 (A12) 이 형성되도록 제 2 내측부 (115) 의 제 2 선단부 (115b) 와 제 2 슈 유지부 (112) 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리브부 (119) 는,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경사져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측부 (115) 의 길이 (X21) 는, 제 2 리브부 (119) 의 길이 (X22) 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0) 이 회전한 경우에는, 제 2 돌출부 (82) 는 제 2 공간 (A12) 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제 2 돌출부 (82) 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간 (A12) 은, 사판 (50) 의 경사 각도 및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에서의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 수용부 (76) 및 제 2 돌출부 (82) 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 (114) 의 제 2 판상부 (117) 의 판 두께는, 양폭 (W21, W22) 보다 얇다. 제 2 판상부 (117) 에는, 폭 방향 (W) 으로 관통하고 있는 제 2 관통공 (117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통공 (117a) 은, 예를 들어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제 2 슈 유지부 (112) 를 향하여 오목해진 형상이고, 유저 통상의 제 2 헤드부 (113) 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도 3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넥 오목부 (101a) 의 외주면에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 (123)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 (123) 는, 넥 오목부 (101a) 보다 제 2 슈 유지부 (112) 쪽, 상세하게는 넥부 (101) 의 외주면 중 제 2 슈 유지부 (112) 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 정지부 (123) 는, 넥부 (101)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제 1 헤드부 (103) 보다 제 2 헤드부 (113) 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고, 넥부 (101)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제 1 연결부 (104) 보다 제 2 연결부 (114) 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회전 정지부 (123) 는 폭 방향 (W) 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정지부 (123) 의 폭 방향 (W) 의 양단부는,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넥부 (101) 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 (123) 의 외주면은, 측벽 내주면 (15a) 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 (123) 의 외주면이 측벽 내주면 (15a) 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 축선 (L3) 을 중심으로 하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정지부 (123) 는, 제 2 슈 유지부 (112)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 1 슈 유지부 (102) 근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넥부 (101) 에 있어서의 제 1 슈 유지부 (102) 근방의 부위는, 제 2 슈 유지부 (112) 근방의 부위보다 패이기 쉬운 한편, 넥부 (101) 에 있어서의 제 2 슈 유지부 (112) 근방의 부위의 강도는, 제 1 슈 유지부 (102) 근방의 부위의 강도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양헤드 피스톤 (100) 은, 회전 정지부 (123) 가 제 1 실린더 보어 (91) 의 사판실 (A2) 쪽의 개구단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양헤드 피스톤 (100) 은, 넥부 (101) 에 있어서의 제 1 슈 유지부 (102) 근방의 일부가 제 1 실린더 보어 (91) 내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피스톤 축선 (L3) 과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이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가공시의 오차 등에 의해, 피스톤 축선 (L3) 과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은 완전하게 동축이 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 어긋날 수 있다. 또한,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끼리도 완전하게 동축이 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즉,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양실린더 보어 (91, 92) 에 있어서 동축도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음과 함께, 양실린더 보어 (91, 92) 끼리에 있어서도 동축도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양헤드 피스톤 (100) 에는, 사판 (50) 의 회전에 수반하여, 양슈 (121, 122) 를 개재하여 직경 방향 (R) 의 성분과 폭 방향 (W) 의 성분을 포함하는 하중이 부여된다. 그리고, 당해 하중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직경 방향 (R) 및 폭 방향 (W) 의 적어도 일방으로 패임으로써, 피스톤 축선 (L3) 과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실린더 보어 (91, 92) 에 대하여 잘 악화되지 않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축선 (L3) 이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에 대하여 폭 방향 (W) 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사판 (50) 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양연결부 (104, 114) 가 폭 방향 (W) 으로 패임으로써,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에 대하여 잘 악화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이 피스톤 축선 (L3) 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양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패인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전체적으로 폭 방향 (W) 에 있어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휜다.
한편,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이 피스톤 축선 (L3) 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양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에 있어서 상이한 방향으로 패인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S 자형이 되도록 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축선 (L3) 이 양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에 대하여 직경 방향 (R) 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넥부 (101) 가 직경 방향 (R) 으로 패임으로써,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에 대하여 잘 악화되지 않게 되어 있다.
참고로, 넥부 (101) 가 직경 방향 (R) 으로 패인 경우, 내측부 (105, 115) 가,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에 당접 (다시 말하면 슬라이딩) 하고, 당해 당접 지점이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는 굽힘 하중을 수용한다.
또한, 도 7 ∼ 도 9 에 대해서는, 도시의 형편상, 제 1 실린더 보어 축선 (L1), 제 2 실린더 보어 축선 (L2) 및 피스톤 축선 (L3) 의 어긋남을 크게 나타낸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도 8 및 도 9 에 있어서는, 간극 (108, 118) 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압축기 (10) 는, 사판 (50) 의 회전에 수반하여 양헤드 피스톤 (100) 이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서 왕복동함으로써,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실 (A4, A5) 내의 유체를 압축하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이다. 압축실 (A4, A5) 은, 1 쌍의 실린더 보어 (91, 92) 와 양헤드 피스톤 (100) 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1 쌍의 슈 (121, 122) 를 유지하는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와,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를 연결하고 사판 (50) 의 외주측에 형성된 넥부 (101) 를 가지고 있다.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1 쌍의 헤드부 (103, 113) 와, 1 쌍의 헤드부 (103, 113) 와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를 연결하는 1 쌍의 연결부 (104, 114) 를 갖는다. 1 쌍의 헤드부 (103, 113) 는,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사이에 간극 (108, 118) 이 형성된 상태로 실린더 보어 (91, 9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 (104, 114) 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 (106, 116) 와, 외측부 (106, 116)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 (105, 115) 를 가지고 있다. 내측부 (105, 115) 와 외측부 (106, 116) 는 직경 방향 (R) 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넥부 (101) 는, 내측부 (105, 115) 와 외측부 (106, 116) 의 대향 방향인 직경 방향 (R) 으로 패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직경 방향 (R) 보다 폭 방향 (W) 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그 전체가 넥부 (101) 의 폭 (W1) 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부 (105, 115) 는, 슈 좌폭 (W2) 보다 작은 폭의 폭협부 (105c, 115c) 를 가지고 있고, 폭협부 (105c, 115c) 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부 (105, 115) 에 있어서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헤드부 (103, 113)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직경 방향 (R) 및 폭 방향 (W) 의 적어도 일방으로 패이는 것에 의해, 피스톤 축선 (L3) 과 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의 축 어긋남에서 기인하는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 축선 (L3) 과 실린더 보어 축선 (L1, L2) 의 축 어긋남이 발생해 있는 상황하에서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를 왕복동하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에 걸려,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왕복동이 저해된다. 즉,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실린더 보어 (91, 92) 에 대하여 악화될 수 있다. 특히, 간극 (108, 118) 이 작으면,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실린더 보어 (91, 92) 의 악화는 발생하기 쉽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직경 방향 (R) 및 폭 방향 (W) 의 적어도 일방으로 패이는 것에 의해, 동축도 어긋남이 발생해 있는 경우에도,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를 원활하게 왕복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간극 (108, 118) 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극 (108, 118) 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 (108, 118) 을 크게 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블로우바이의 증대화를 억제하면서, 악화를 억제하는 것을 통해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원활한 왕복동 (슬라이딩) 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양헤드 피스톤 (100) 이 패이는 것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과 실린더 보어 (91, 92) 의 내주면 (91a, 92a) 의 슬라이딩시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슬라이딩 마모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104, 114) 의 폭이 넥부 (101) 의 폭 (W1) 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W) 에 있어서는, 연결부 (104, 114) 및 넥부 (101) 의 쌍방이 패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폭 방향 (W) 의 하중을, 연결부 (104, 114) 와 넥부 (101) 에서 분산시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넥부 (101) 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 (105, 115) 는, 슈 좌폭 (W2) 이하의 폭의 폭협부 (105c, 115c) 를 갖고, 폭협부 (105c, 115c) 의 적어도 일부는, 슈 유지부 (102, 112) 로부터 떨어진 위치, 상세하게는 내측부 (105, 115) 에 있어서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헤드부 (103, 113)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 (104, 114) 가 보다 패이기 쉬워져 있기 때문에, 악화를, 보다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 (W) 에 있어서 연결부 (104, 114) 를 넥부 (101) 보다 우선적으로 패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넥부 (101) 가 직경 방향 (R) 및 폭 방향 (W) 의 쌍방으로 패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넥부 (101) 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사판 (50) 의 회전에 의해 왕복동하는 편헤드 피스톤에 있어서는, 사판 (50) 으로부터 사이드 포스가 부여된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편헤드 피스톤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이고 헤드부측의 부분은, 상기 사이드 포스를 수용하기 위해서 폭 방향 (W) 에 있어서 넓은 폭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헤드 피스톤은, 폭 방향 (W) 으로 잘 패이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의 양헤드 피스톤 (100) 은, 악화의 억제에 주목하여, 통상적으로 넓은 폭이 되는 지점인 내측부 (105, 115) 에 있어서의 헤드부 (103, 113) 쪽의 부분을 적극적으로 좁은 폭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을, 보다 바람직하게 폭 방향 (W) 으로 패이게 할 수 있다.
(2) 연결부 (104, 114) 는, 내측부 (105, 115) 및 외측부 (106, 116) 의 쌍방을 연결하는 판상부 (107, 117) 를 가지고 있고, 판상부 (107, 117) 는 폭 방향 (W) 을 따른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 1 판상부 (107) 의 두께는,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및 제 1 외측부 (106) 의 폭 (W11) 의 쌍방보다 작고, 제 2 판상부 (117) 의 두께는, 제 2 내측부 (115) 의 폭 (W22) 및 제 2 외측부 (116) 의 폭 (W21) 의 쌍방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연결부 (104, 114) 가 폭 방향 (W) 으로 패이기 쉬운 상태를 확보하면서, 사판 (50) 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3) 판상부 (107, 117) 에는, 판상부 (107, 117) 를 폭 방향 (W) 으로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 (107a, 117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 (104, 114) 를 보다 패이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양헤드 피스톤 (100) 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판상부 (107, 117) 에 관통공 (107a, 117a) 을 형성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부 (107, 117) 의 일부, 상세하게는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쪽의 부분이 남아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에 있어서 필요한 강도, 다시 말하면 1 쌍의 슈 (121, 122) 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서술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4) 내측부 (105, 115) 는, 헤드부 (103, 113)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부 (105, 115) 에 있어서의 슈 유지부 (102, 112) 근방의 단부인 선단부 (105b, 115b) 는, 직경 방향 (R) 으로부터 보아 슈 유지부 (102, 112) 와 헤드부 (103, 1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 (104, 114) 는,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선단부 (105b, 115b) 의 측방에 공간 (A11, A12) 이 형성되도록, 선단부 (105b, 115b) 와 슈 유지부 (102, 112) 를 연결하는 리브부 (109, 119) 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측부 (105, 115) 는,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 (105, 115) 는,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내주면 (91a, 92a)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에 가까워져 있다. 이 때문에, 넥부 (101) 가 패이는 것에 의해,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휜 경우에는,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내측부 (105, 115) (상세하게는 선단부 (105b, 115b)) 가 내주면 (91a, 92a) 에 우선적으로 당접 (슬라이딩) 한다. 그리고, 그 당접 지점에서 사판 (50) 으로부터 부여되는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으로의 굽힘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내측부 (105, 115) 가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내측부 (105, 115) 와 사판 (50) 의 간섭이 염려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사판 (50) 은, 연결 수용부 (76) 나 양돌출부 (81, 82)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판 (50) 과의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공간 (A11, A12)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 (105, 115) 와 사판 (50) 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부 (105, 115) 가 슈 유지부 (102, 112) 보다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5)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내측부 (105, 115) 의 길이 (X11, X21) 는, 리브부 (109, 119) 의 길이 (X12, X22) 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측부 (105, 115) 는, 사판 (50) 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판 (50) 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의 굽힘 하중에 대한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만일 사판 (50) 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점에 주목하면, 공간 (A11, A12) 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리브부 (109, 119) 의 길이 (X12, X22) 를 내측부 (105, 115) 의 길이 (X11, X21) 보다 길게 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리브부 (109, 119) 의 길이 (X12, X22) 가 길어지면, 내측부 (105, 115) 의 선단부 (105b, 115b) 와, 사판 (50) 으로부터 하중이 부여되는 슈 유지부 (102, 112) 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내측부 (105, 115) 의 선단부 (105b, 115b) 가 내주면 (91a, 92a) 에 당접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가 커지기 쉽고, 굽힘 하중에 대한 강도 (내성) 가 저하하기 쉽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판 (50) 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내측부 (105, 115) 의 길이 (X11, X21) 를, 리브부 (109, 119) 의 길이 (X12, X22) 보다 길게 하였다. 이에 의해, 내측부 (105, 115) 의 선단부 (105b, 115b) 가 내주면 (91a, 92a) 에 당접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의 굽힘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6) 넥부 (101) 의 외주면에는 넥 오목부 (10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넥부 (101) 가 보다 직경 방향 (R) 으로 패이기 쉬워짐과 함께, 양헤드 피스톤 (100) 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7) 압축기 (10) 는, 사판 (50)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액츄에이터 (70) 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 (70) 는, 회전축 (20) 의 축선 방향 (Z) 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 (71) 와, 이동체 (71) 와 협동하여 제어실 (A3) 을 구획하는 구획체 (72) 를 가지고 있다. 압축기 (10) 는, 제어실 (A3) 내의 압력에 따라 이동체 (71) 가 이동함으로써 사판 (50)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제어실 (A3) 내의 압력 조정에 의해, 용량 가변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용량 가변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그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 (W) 으로 패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연결부 (104, 114) 가 넥부 (101) 보다 좁게 구성되고 또한 내측부 (105, 115) 가 폭협부 (105c, 115c) 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사이드 포스를 수용하기 위해서 폭 방향 (W) 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비교하여, 양헤드 피스톤 (100) 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악화의 억제와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8) 제 2 헤드부 (113) 의 직경은, 제 1 헤드부 (103) 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헤드부 (103) 와 제 2 헤드부 (113) 에서, 유체로부터의 수압 면적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압축시에 발생하는 압축 반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가변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가변의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9) 넥부 (101) 에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이 양실린더 보어 (91, 92) 내에서 피스톤 축선 (L3) 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 (123)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 (123) 는, 넥부 (101) 에 있어서의 제 1 헤드부 (103) 보다 제 2 헤드부 (113) 쪽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 (123) 는, 대직경측보다 강도가 낮아지기 쉬운 소직경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헤드부 (103, 113) 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인 제 2 헤드부 (113) 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부 (105, 115) 의 선단부 (205b, 215b) 는, 내측부 (105, 115) 의 중앙부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넥부 (101) 의 폭 (W1) 이 슈 좌폭 (W2) 보다 넓은 구성에 있어서는, 내측부 (105, 115) 의 선단부는, 넥부 (101) 의 폭 (W1) 이하의 범위 내에서 슈 좌폭 (W2) 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내측부 (105, 115) 에 있어서의 헤드부 (103, 113) 쪽의 부분이 폭협부 (105c, 115c) 가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104, 114) 가 폭 방향 (W) 으로 패임 변형 가능하다. 또한, 양내측부 (105, 115) 중 적어도 일방이 폭협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 넥부 (101) 의 폭 (W1) 이 슈 좌폭 (W2) 보다 넓은 구성에 있어서는, 외측부 (106, 116) 는, 적어도 일부가 넥부 (101) 의 폭 (W1) 이하의 범위 내에서 슈 좌폭 (W2) 보다 넓은 폭이어도 된다. 또한, 외측부 (106, 116) 의 양단부는 역테이퍼상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일정 폭이어도 된다. 외측부 (106, 116) 를 내측부 (105, 115) 보다 두껍게 해도 되고, 그 반대여도 된다.
○ 내측부 (105, 115) 의 기단부 (105a, 115a) 는, 역테이퍼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고, 예를 들어 일정 폭이어도 된다.
○ 도 11 ∼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우 대칭 형상의 양헤드 피스톤 (300) 을 채용해도 된다. 양헤드 피스톤 (300) 은, 넥부 (101) 와, 1 쌍의 슈 유지부 (102, 112) 와, 헤드부 (303, 313) 와, 연결부 (304, 314) 와, 리브부 (309, 319) 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양헤드 피스톤 (100) 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단, 양헤드부 (303, 313) 의 직경은 동일하고, 양헤드 피스톤 (3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연결부 (304, 314) 의 길이는 동일하다.
연결부 (304, 314) 는, 내측부 (305, 315), 외측부 (306, 316) 및 판상부 (307, 317) 를 가지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연결부 (304, 314) 의 폭은, 넥부 (101) 의 폭 (W1)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내측부 (305, 315) 의 폭 (W12, W22) 은 슈 좌폭 (W2)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 (123) 는, 넥부 (101) 의 외주면 중 양헤드 피스톤 (300) 의 축선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넥 오목부 (101a) 는, 넥부 (101) 의 외주면 중 회전 정지부 (123) 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실시형태에서는,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 1 연결부 (104) 의 길이는 제 2 연결부 (114) 보다 길게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양연결부 (304, 314) 와 같이 양자의 길이는 동일해도 된다. 또한, 제 2 연결부가 제 1 연결부보다 길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헤드부와 제 2 헤드부는 동일한 크기여도 된다. 또한, 제 2 헤드부가 제 1 헤드부보다 커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우 대칭 형상의 양헤드 피스톤 (300)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실린더 보어 (91, 92) 는, 동일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 리브부 (109, 119) 는, 사판 (50) 과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으면 그 구체적인 형상은 임의이고, 예를 들어 폭 방향 (W) 으로부터 보아 L 자형 또는 역 L 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 넥부 (101) 및 연결부 (104, 114) 의 구체적인 형상은,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양연결부 (104, 114) 중 어느 일방이 넥부 (101) 의 폭 (W1) 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좁고, 타방이 넥부 (101) 의 폭 (W1) 보다 넓은 구성이어도 된다. 즉, 양연결부 (104, 114) 의 적어도 일방이 넥부 (101) 의 폭 (W1) 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좁고 폭 방향 (W) 으로 패임 변형 가능하면 된다.
○ 헤드부 (103, 113) 는 원주상이어도 된다.
○ 넥 오목부 (101a) 의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넥 오목부 (101a) 를 생략해도 된다.
○ 관통공 (107a, 117a) 의 구체적인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양관통공 (107a, 117a) 의 적어도 일방을 생략해도 되고, 판상부 (107, 117) 의 적어도 일방을 생략해도 된다.
○ 회전 정지부 (123) 는, 넥 오목부 (101a) 보다 제 1 슈 유지부 (102) 쪽의 위치에 있어도 되고, 넥 오목부 (101a) 보다 제 1 슈 유지부 (102) 쪽의 위치 및 넥 오목부 (101a) 보다 제 2 슈 유지부 (112) 쪽 위치의 쌍방에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 정지부 (123) 를 생략해도 된다.
○ 액츄에이터 (70) 는, 사판 (50) 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다. 동일하게, 링크 기구 (60) 는, 회전축 (20) 의 동력을 사판 (50) 에 전달할 수 있으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다.
○ 제 1 돌출부 (81) 및 제 2 돌출부 (82) 의 적어도 일방을 생략해도 된다.
○ 실린더 보어 (91, 92) 및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수는 임의이고, 예를 들어 1 개여도 된다.
○ 내측부 (105, 115) 의 길이 (X11, X21) 는, 리브부 (109, 119) 의 길이 (X12, X22) 보다 짧아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 실시형태에서는, 양내측부 (105, 115) 의 폭 (W12, W22) 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해도 된다. 동일하게, 양외측부 (106, 116) 의 폭 (W11, W21) 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과 제 2 외측부 (116) 의 폭 (W2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1 내측부 (105) 의 폭 (W12) 및 제 2 외측부 (116) 의 폭 (W21)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 내측부 (105, 115) 의 두께는, 외측부 (106, 116) 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되고, 그 반대여도 된다. 또한, 내측부 (105, 115) 의 두께와 외측부 (106, 116) 의 두께는, 동일해도 된다.
○ 1 쌍의 연결부 (104, 114) 의 폭은, 넥부 (101) 의 폭 (W1) 과 동일해도 된다.
○ 제 1 폭협부 (105c) 및 제 2 폭협부 (115c) 의 적어도 일방은, 슈 좌폭 (W2) 과 동일폭이어도 된다.
○ 내측부 (105, 115) 및 외측부 (106, 116) 의 적어도 일방은, 양헤드 피스톤 (100) 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져도 된다.
○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는, 용량 가변형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량 고정형, 즉 사판 (50) 의 경사 각도가 고정된 것이어도 된다.
○ 압축기 (10) 의 압축 대상의 유체는, 냉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고, 예를 들어 공기 등이어도 된다.
○ 압축기 (10) 의 탑재 대상은,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다른 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Claims (8)

  1. 축선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이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사판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된 1 쌍의 실린더 보어로서, 그 1 쌍의 실린더 보어는 서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동 가능한 양헤드 피스톤과,
    상기 양헤드 피스톤을 상기 사판에 계류하는 1 쌍의 슈를 구비하고,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의해 1 쌍의 압축실이 획정되어 있고,
    상기 사판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양헤드 피스톤이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동함으로써, 각 압축실 내의 유체가 압축되고,
    상기 양헤드 피스톤은,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1 쌍의 슈를 유지하는 1 쌍의 슈 유지부와,
    상기 1 쌍의 슈 유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사판의 외주측에 형성된 넥부와,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1 쌍의 헤드부로서, 그 1 쌍의 헤드부는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1 쌍의 헤드부의 각각은,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중 대응하는 1 개의 내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1 쌍의 헤드부와,
    상기 1 쌍의 슈 유지부와 상기 1 쌍의 헤드부를 각각 연결하는 1 쌍의 연결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외측부와 상기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내측부를 갖고,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대향 방향과,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면,
    상기 넥부는, 상기 사판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대하여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대향 방향으로 패임 변형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대향 방향보다 상기 폭 방향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의 폭은, 상기 헤드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슈 유지부측의 단부까지의 전체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슈 유지부의 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작은 폭의 폭협부를 갖고,
    당해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 상기 슈 유지부보다 상기 헤드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1 쌍의 연결부는, 상기 사판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에 대하여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폭 방향으로 패임 변형 가능한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판상부를 가지고 있고,
    그 판상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판상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폭보다 작은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에는, 그 판상부를 상기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슈 유지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슈 유지부 근방의 단부는, 상기 대향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슈 유지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내측부의 상기 단부의 측방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의 상기 단부와 상기 슈 유지부를 연결하는 리브부를 가지고 있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액츄에이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협동하여 제어실을 구획하는 구획체를 갖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어실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도록 동작 가능한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헤드부는 제 1 헤드부 및 제 2 헤드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헤드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은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에는, 상기 1 쌍의 실린더 보어 내에서의 상기 양헤드 피스톤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넥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헤드부보다 상기 제 2 헤드부 쪽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70022314A 2016-03-30 2017-02-20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7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8653 2016-03-30
JP2016068653A JP2017180291A (ja) 2016-03-30 2016-03-30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048A KR20170113048A (ko) 2017-10-12
KR101872150B1 true KR101872150B1 (ko) 2018-06-27

Family

ID=5988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14A KR101872150B1 (ko) 2016-03-30 2017-02-20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67299B2 (ko)
JP (1) JP2017180291A (ko)
KR (1) KR101872150B1 (ko)
CN (1) CN107269489B (ko)
DE (1) DE10201710400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068B2 (ja) * 1990-08-10 1998-09-3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可変容量式斜板型圧縮機
KR100379980B1 (ko) * 1999-08-26 2003-04-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이 캐스팅 피스톤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04003457A (ja) * 2002-03-25 2004-01-08 Sanden Corp ピスト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4621B2 (ja) 1993-12-27 1999-07-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揺動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ピストン
JPH10299654A (ja) * 1997-04-22 1998-11-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
KR19990010734A (ko) 1997-07-18 1999-02-18 윤종용 광디스크 시스템에서의 이.에프.엠 신호 비대칭량 보정장치
JPH11173265A (ja) * 1997-12-10 1999-06-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片側斜板式圧縮機
JP2000274350A (ja) 1999-03-23 2000-10-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
JP2000337250A (ja) * 1999-05-28 2000-12-0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
US6813990B2 (en) 2002-03-25 2004-11-09 Sanden Corporation Piston unit with a piston skirt comprising two rings jointed by joint elements at angularly-spaced positions
DE102004061941B4 (de) * 2004-12-22 2014-02-13 AeroLas GmbH Aerostatische Lager- Lasertechnik Axial angetriebene Kolben-Zylinder-Einheit
CN2811591Y (zh) * 2005-03-31 2006-08-30 牡丹江富通汽车空调有限公司 塑料活塞环斜盘式压缩机
KR101031812B1 (ko) * 2005-12-26 2011-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CN101270745A (zh) * 2008-03-26 2008-09-24 浙江大元汽车空调有限公司 汽车空调压缩机的降噪音活塞
CN101598121B (zh) * 2009-07-09 2011-04-13 南京奥特佳冷机有限公司 斜盘式双头活塞式压缩机
JP5983657B2 (ja) 2014-02-26 2016-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083291B2 (ja) 2013-03-27 2017-02-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123665B2 (ja) * 2013-12-16 2017-05-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068B2 (ja) * 1990-08-10 1998-09-3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可変容量式斜板型圧縮機
KR100379980B1 (ko) * 1999-08-26 2003-04-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이 캐스팅 피스톤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04003457A (ja) * 2002-03-25 2004-01-08 Sanden Corp ピスト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04004A1 (de) 2017-10-05
CN107269489B (zh) 2019-07-19
JP2017180291A (ja) 2017-10-05
CN107269489A (zh) 2017-10-20
US20170284382A1 (en) 2017-10-05
US10267299B2 (en) 2019-04-23
KR2017011304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483B2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EP2728183A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7972118B2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2001304102A (ja) 可変容量圧縮機
KR20080066928A (ko) 가변 용량 압축기
KR101872151B1 (ko)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72150B1 (ko)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20170113047A (ko) 양헤드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8174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81714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9719501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2927492A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0356185A (ja) 斜板式圧縮機用ピストン
JP200629174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18145968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6329085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4239093A (ja) 揺動斜板型可変容量圧縮機
JP2008240692A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1159392A (ja) 斜板式圧縮機用の片頭ピストン
JP2001032769A (ja) 斜板式冷媒圧縮機
JP2010031767A (ja)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JP2016121667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7297921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H0814158A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