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038B1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038B1
KR101871038B1 KR1020160036659A KR20160036659A KR101871038B1 KR 101871038 B1 KR101871038 B1 KR 101871038B1 KR 1020160036659 A KR1020160036659 A KR 1020160036659A KR 20160036659 A KR20160036659 A KR 20160036659A KR 101871038 B1 KR101871038 B1 KR 10187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terminal
mating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241A (ko
Inventor
아츠히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과제) 임피던스 특성이 안정된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도전성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배부, 및 상기 배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도체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상면부에 대향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있어서, 상기 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상기 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스마트 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PDA),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정보 기기나, 가전 제품 등의 전기 기기의 내부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정보 기기의 소형화에 의해, 커넥터의 소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 소형의 커넥터여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중심 도체 (중심 단자) 는, 두꺼운 판상편 (片) 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 (打拔) 가공하고, 다음으로 타발 가공한 판상편을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파쇄 가공 (절곡 가공) 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파쇄 가공을 실시한 중심 도체의 여분의 부분을 삭제하는 타발 가공을 하고, 다음으로 타발 가공을 한 중심 도체를 외부 도체와 함께 절연체 하우징과 일체 성형하여, 마지막으로, 케이블과 접속하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용의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충분한 유효 끼워맞춤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유효 끼워맞춤 길이의 컨트롤도 가능하여, 접촉 신뢰성에 영향이 없는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27398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넥터는, 특허문헌 1 의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 (42) (하우징) 는, 접촉부 (441) (중심 단자) 를 넣기 위한 관통공 (421) 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관통공 (421) 은, 접촉부 (441) 의 형상·크기에 따라 설계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와 반대측에 관통공을 갖는 커넥터에서는,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와 끼워맞추면, 접촉부 (441) 가 상대 커넥터와 반대측으로 변위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외부 쉘 (46) 의 덮개 (465) 와 접촉부 (441) 의 거리가 변동되기 때문에, 덮개 (465) 와 접촉부 (441) 사이의 임피던스도 변동되고, 그 결과, 신호의 전달 특성이 바뀐다는 과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특히, 커넥터가 소형화되고 있으므로, 덮개 (465) 와 접촉부 (441) 사이에 약간의 거리 변동이 발생한 것만으로도 신호의 품질을 열화시키게 된다. 또, 접촉부 (441) 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덮개 (465) 와 접촉하여 단락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임피던스의 특성이 안정적이고, 단락이 잘 발생하지 않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도전성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배부 (背部), 및 상기 배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도체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상면부에 대향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있어서, 상기 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상기 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착탈시에 발생하는, 중심 단자와 외부 도체 사이의 거리의 변동을 저하시키고, 중심 단자와 외부 도체 간의 임피던스의 변동을 저하시켜, 신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기 (1)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상기 관통공의 면적은, 상기 접촉부의 면적보다 크게 해도 된다.
(3)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면의 일부에만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부가 공기에 접함으로써, 커넥터의 전기적 성능이 향상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4)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의 폭이 상기 배면의 폭보다 작게 해도 된다.
(6)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7)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일방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8) 상기 (3)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 접하지 않고, 상기 배면 상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가 상기 통부의 내주보다 크고, 상기 통부의 상대 커넥터측과 반대측에 단부 (段部)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혹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가 상기 통부의 내주보다 작고, 상기 상면부의 상대 커넥터측에 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만 도금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대해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 단자 전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보다, 도금의 사용량이 적어도 된다.
(12) 상기 (11) 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상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 성형된 상기 단자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하우징을 외부 도체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또한, 일체 성형하기 전의 단자는, 평판 금속으로부터 타발 가공되어, 절곡 성형되어 제조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커넥터의 케이블에 결선 (結線) 된 상태에 있어서의 바닥측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커넥터를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커넥터의 하우징과 일체 형성된 단자의 이측 (裏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커넥터의 하우징과 일체 형성된 단자의 표측 (表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이 90 도 상이한, 이른바 라이트 앵글형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트레이트형의 커넥터여도 되고, 동축 케이블용이 아니라, 기판간 접속 커넥터여도 된다. 또, 리셉터클측의 커넥터여도 되고, 플러그측의 커넥터여도 된다.
도 1 은, 동축 케이블 (10) 이 결선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바닥형 평면도, 도 2 는, 이 커넥터 (1) 를 동축 케이블 (10) 과 함께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된 하우징 (40) 의 바닥측 사시도, 도 4 는, 그 표측 사시도이다. 커넥터 (1) 는, 동축 케이블 (10) 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형상을 이루고, 주로, 도전성의 중심 단자 (20) 와,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된 절연성의 하우징 (40) 과, 하우징 (40) 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 (1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70) (외부 도체 쉘) 를 구비한다. 또한,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것들을 분해할 수는 없지만, 도 2 에서는, 편의적으로 이것들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1) 의 조립시에는, 단자 (20) 및 하우징 (40) 이나 동축 케이블 (10) 은, 도시 화살표 「β」방향을 따라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바닥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외부 도체 쉘 (70) 에 배치되고, 외부 도체 쉘 (70) 에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높이 (β 방향) 는 0.6 ㎜ 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형적으로는 3 ㎜ 이하의 높이, 더욱 전형적으로는 1.5 ㎜ 이하의 높이를 갖는 소형 커넥터에 적용된다.
동축 케이블 (10) 은, 종래 일반적인 동축 케이블과 동일 구조, 즉, 최외각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절연 피복 (11), 외부 도체 (12), 절연체 (13), 심선 (芯線) (14) 을 갖는다. 이 구조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단자 (20) 는, 동축 케이블의 연장 방향인 도시 화살표 「α」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하우징 (40) 의 케이블 연장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46) 의 중간 부근에는 단부 (2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 (25) 에 의해, 일체 성형된 하우징 (40) 에 있어서, 단자의 후단측 (24) 을 전단측 (22) 보다 동축 케이블 (10) 에 접근시키고, 그 한편으로, 단자 (20) 의 전단측 (22) 을 후단측 (24) 보다 외부 도체 (70) 의 내면 (78) 에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 (20) 의 후단측 (24) 에는,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과 접속시키는 접속부 (2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부 (24) 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조립시에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이 배치된다. 접속부 (24) 에는 돌출부 혹은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단자 (20) 와 심선 (14) 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는, 접속부 (24) 에 오목부 (26) 를 갖는다. 또, 단자 (20) 의 전단측 (22) 에는,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와 접촉하는 접촉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22) 는, 평탄한 배부 (21) 와, 배부 (21)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를 사이에 끼우고 파지하여 접촉하고,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와 도통을 확보하는 2 개의 접촉편 (27) 을 갖는다. 물론,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구성으로서 접촉편 (27) 이외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접촉편 (27) 을 원통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동축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방향이 반대측에 있는 상대 단자와 끼워맞추는 스트레이트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단순한 원통상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대 커넥터의 단자를 삽입하여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하우징 (40) 은, 주로, 끼워맞춤부 (42) 와, 끼워맞춤부 (42) 의 외측에 형성된 본체부 (46) 를 갖는다. 끼워맞춤부 (42) 는,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 방향 (β 방향) 에 대해 상대 커넥터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부 (41) 와, 상면부 (41) 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의 상대 커넥터측으로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 (47) 를 갖는다.
통부 (47) 와 상면부 (41) 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 (43) 에는, 단자 (20) 의 접촉부 (22) 가 배치되고, 접촉부 (22) 의 배부 (21) 의 외측의 면이며, 외부 도체 (70) 와 대향하는 배면 (23) 이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의 내면 상에 위치한다. 단자 (20) 의 접속부 (24) 는, 수용부 (43) 내에 있는 접촉부 (22) 로부터, 수용부 (43) 의 외측에 있는 본체부 (46) 로 연장되고, 재치 (載置) 면 (45) 상에서 노출되게 된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는, 통부 (47) 는, 상대 커넥터의 통형 쉘과 끼워맞추고, 이것과 동시에, 상대 커넥터의 통형 쉘 내에 있는 원기둥상 단자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단자 (20) 의 접촉부 (22) 의 접촉편 (27)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하게 된다. 끼워맞춤부 (42) 는, 상면부 (41) 로부터 선측 및 좌우 측방을 향해 연장된 3 개의 돌기 (44) 를 갖는다. 이들 돌기 (44) 는,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70) 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체부 (46) 는, 전체적으로 대략 입방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 (46) 에는, 단자 (20) 의 접속부 (24) 를 재치하는 재치면 (45) 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의 일체 성형 후에도, 단자 (20) 의 접속부 (24) 는, 이 재치면 (45) 으로부터 노출되어,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과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된다.
외부 도체 (70) 는, 한 장의 판상 금속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외부 도체 (70) 에는, 주로, 하우징 (40) 이나 동축 케이블 (10) 이 배치되고, 배면 (23) 및 상면부 (41) 의 외측의 면과 대향하는 배치면 (85) 과, 이 배치면 (85) 의 선단측에 형성된 대략 원통부 (72) 와, 추가로, 복수의 코킹부 (80, 83, 84) 를 포함한다. 대략 원통부 (72) 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의 외부 도체 (도시되어 있지 않음) 와 접속하여 로크되는 부분이다. 배치면 (85) 의 선단측에는, 전체적으로 스콥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 (41) 에 대향하여 덮개가 되는 내면 (78), 스푼부를 구성하는 일부인 입상부 (立上部) (74) 에 의해 대략 원통부 (72) 를 포위하여, 대략 원통부 (72) 의 강도를 강화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 (73) 가 형성되어 있다. 대략 원통부 (72) 는, 선단측 및 좌우에 3 개의 절결 (71) 을 갖고 있고, 하우징 (40) 과 대면하고 있는 외부 도체 (70) 의 면 (78) 과 절결 (71) 사이에,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3 개의 돌기 (44) 가 사이에 끼워져, 외부 도체 쉘 (70) 에 하우징 (40) 을 고정시킬 수 있다.
코킹부는, 배치면 (85)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각각이 배치된 쌍을 이루는 코킹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동축 케이블 (10) 의 연장 방향 (α 방향) 을 따라 합계 3 세트, 즉, 전측 코킹부 (80), 중간 코킹부 (83), 후측 코킹부 (84) 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 코킹부 (80A, 80B) 는, 주로, 하우징 (40) 의 압착편 (50A, 50B) 을 외부로부터 코킹하여, 접속부 (24) 와 심선 (14) 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것, 중간 코킹부 (83A, B) 는, 주로, 외부 도체 (12) 를 코킹하기 위한 것, 후측 코킹부 (84A, B) 는, 주로, 절연 피복 (11) 을 코킹하기 위한 것이다.
커넥터 (1) 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단자 (20) 는, 통상, 금속 평면판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21) 는 평탄하고, 상대 커넥터와 반대측을 향한 배면 (23) 을 갖는다. 한편, 접촉편 (27) 은, 타발된 금속판에 있어서 배부 (21) 로부터 축선 방향 (α 방향) 에 대해 수직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2 개의 돌출편을 절곡하여,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접촉부 (22) 의 접촉편 (27) 은, 서로 마주 보는 2 장의 금속편으로 구성되고, 끼워맞춤부 (42) 의 수용부 (43) 의 직경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2 장의 금속편으로 구성된 접촉편 (27) 은, 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접촉편 (27) 간의 거리가 상대 커넥터의 단자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접촉편 (27) 사이에 삽입된 상대 커넥터의 단자를 파지시킬 수 있다. 또, 접촉편 (27) 의 선단 부분은, 외측 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이것은, 상대 커넥터의 단자를 2 장의 금속편 사이에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 (40) 은, 수지 몰드에 의해, 절곡 성형된 단자 (20) 와 일체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단, 단자 (20) 의 일부는, 일체 성형 후에도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단자 (20) 의 노출부에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속하는 접속부 (24) 의 선단 부분, 및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하는 접촉부 (22) 의 접촉편 (27) 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들 부분의 주위 등 그 밖의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을 일체 성형한 후에, 단자 (20) 에 대해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도금 처리는, 예를 들어, 단자 (20) 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상대 커넥터와의 착탈시에,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여 단자 (20) 의 표면에 마모가 생기지만, 이 마모로부터 단자 (20) 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단자 (20) 의 표면에는 도금 처리가 실시된다. 도금의 재료에는, 예를 들어, 니켈이나 금이 사용된다. 또, 복수 종류의 재료를 사용하여, 반복하여 도금을 실시하여, 복수 층을 갖는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도금 처리의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어느 방법도 커넥터의 도금 처리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한, 배척하는 것은 아니다. 도금 처리의 방법의 일례로는, 하우징 (40) 과 일체 성형된 단자에 대해, 도금 재료를 도포하여 전기 도금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액체화한 도금 재료를 용기에 모아, 단자 (20) 를 도금욕 내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도금은,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 (40) 의 표면에는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 (40) 을 단자 (20) 에 일체 성형한 후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면, 입체 형상의 접촉부 (22) 가 하우징의 수용부 (43) 내에 보호되어 취급이 용이함과 함께, 하우징 (40) 에 의해 덮인 단자 (20) 의 표면에는 도금 처리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단자 (20) 의 비노출 부분의 표면적만큼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에는, 관통공 (4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 (48) 은, 하우징 (40) 과 단자 (20) 를 일체 성형한 후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접속부 (24) 와 같은 평면 부분은, 하우징 (40) 과 일체 성형한 후에도 도금을 실시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접촉부 (22) 는, 끼워맞춤부 (42) 에 둘러싸여 있는 데다가 입체적 형상을 가지므로, 접촉부 (22) 에 도금을 접촉부 (22) 전체에 실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도 3 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5 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편 (27) 이, 배부 (21) 와 접속하는 절곡 위치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부풀어올라, 내측으로 연장된다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대 커넥터측에서 보면, 접촉편 (27) 의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측에 배후가 되는 면 (27') 이 존재한다. 관통공 (48)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배후가 되는 면 (27') 에서는, 도금액의 유동이 곤란하거나, 혹은, 도금욕에 침지시켰을 때에 공기가 모이거나 하는 이유에 의해, 도금 처리가 충분히 실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관통공 (48) 이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에 존재함으로써, 끼워맞춤 방향의 상대 커넥터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도금을 도포할 수도 있고, 도금욕에 침지시킨 경우에도 공기가 잘 모이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관통공 (48) 에 의해, 접촉편 (27) 전체에 도금이 고루 퍼지기 쉬워진다. 관통공 (48) 은, 접촉부 (22) 의 배부 (21) 의 상측 평탄면인 배면 (23) 에만 위치하는 경우에는, 배면 (23) 에 의해 관통공 (48) 이 막혀, 도금이 접촉편 (27) 전체에 고루 퍼지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관통공 (48) 은, 수용부 (43) 와 연통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관통공 (48) 의 면적은, 접촉부 (22) 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도금을 도포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면부 (41) 에는, 배부 (21) 의 배면 (23) 과 외부 도체 (70) 의 내면 (78) 사이에, 관통공 (48) 의 내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내면까지 배부 (21) 의 배면 (23) 을 따라 연장되고, 접촉부 (22) 의 배면 (23) 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49)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높이가 0.6 ㎜ 인 소형 커넥터이기 때문에 단자 (20) 의 배면 (23) 과 외부 도체 (70) 의 내면 (78) 이 0.1 ㎜ 이하에 근접하고 있지만, 지지부 (49) 는, 배부 (21) 가 상대 커넥터와의 착탈에 의한 상대 커넥터와 반대측으로의 변위를 방지하여, 배부 (21) 와 외부 도체 (70) 의 덮개부 (73)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고주파 신호를 흐르게 하는 동축 커넥터로서의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지지부 (49) 가 존재함으로써, 접촉부 (22) 가 외부 도체 (70) 의 대향하는 면 (78) 과 전기적으로 단락하는 것이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에, 끼워맞춤부 (42) 의 상면부 (41) 가 관통공 (48) 을 가짐과 함께, 지지부 (49) 를 가짐으로써, 하우징 (40) 과 일체 성형한 후에, 단자 (20) 에 도금 처리를 실시해도 실용성을 갖는 커넥터가 제조되게 된다.
도 5 를 보면, 상면부 (41) 와 통부 (47) 의 접속 부분의 높이에, 끼워맞춤 방향의 상면부측을 향해 배면 (23) 의 높이와 동일 위치에 단차부 (51) 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단차부 (51) 는, 관통공 (48) 의 외주가, 통부 (47) 의 내주보다 큰 것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 (40) 과 단자 (20) 의 일체 성형은, 2 분할된 금형이, 끼워맞춤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단자 (20) 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장착되어 수지 유입 부분과 격절 (隔絶) 된 후에, 금형 내부에 수지 몰드를 흘려 넣음으로써 실시된다. 단차부 (51) 가 존재함으로써, 중실상 (中實狀) 의 상면부 (41) 측의 금형이, 중공상의 통부 (47) 측의 금형보다 폭 방향으로 크기 때문에, 상부 금형의 일단이 배면 (23) 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덮개를 하도록 막아 상하의 금형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금형의 중실상과 중공상을 바꿔 넣는 경우에는, 관통공 (48) 의 외주를 통부 (47) 의 내주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면부 (41) 의 일부로서 끼워맞춤 방향의 상대 커넥터측을 향한 면을 갖는 단부를 형성해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금 처리 후에는, 단자 (20) 의 표면에 도금되지 않고 잔존한 도금 재료 및 그 밖의 먼지 등을 씻어내기 위한 세정 처리를 실시한다. 세정 처리에 있어서, 끼워맞춤 방향 상대 커넥터측에서 보아, 배후가 되는 부분이 세정하기 어려운 것은 도금 처리와 동일하지만, 관통공 (48)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세정을 충분히 실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관통공 (48) 을 형성하지 않으면 세정액의 충분한 배출이 곤란해져, 세정 처리 후에도, 세정액이 배후가 되는 면 (27') 과 상면부 (41) 사이 등에 남는 경우가 있다.
축선 방향에서 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23) 의 폭이 지지부 (49) 의 폭보다 약간 크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23) 의 폭이나 길이가 지지부의 폭이나 길이보다 커도 된다. 지지부가, 배면 (23) 의 일부만이라도 지지하면, 상대 커넥터와의 착탈이나 도금 등에 의한, 접촉부 (22) 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저항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배면 (23) 의 폭이 지지부의 폭보다 큰 경우에는, 접촉부 (22) 의 상부측에, 수지 몰드가 아니라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수지 몰드가 공기와 비교하여 높은 유전율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특히 고주파 신호를 흐르게 하는 경우에, 전기적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배면 (23) 상에 있는 지지부의 면적을 저하시킴으로써,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면 (23) 의 폭보다 가는 폭의 지지부를 채용함으로써, 접촉부 (22) 가 절곡을 방지하거나 하는 것에 의한 내구성의 향상과 전기적 성능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 6 에,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의 상면부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48) 의 내벽의 케이블측과, 케이블측의 반대측의 양측으로부터 지지부 (49') 가 배면 (23) 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양 지지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배면 (23) 상에 위치하는 지지부 (49') 의 양을 줄이면서, 배면 (23) 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부 (22) 의 내구성의 향상과 커넥터의 전기적 성능의 향상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통공 (48) 의 내면의 케이블측 또는 케이블측과 반대측의 일방만으로부터 배면 (23) 을 따라 지지부가 돌출되는 실시형태나, 지지부가 관통공 (48) 의 내벽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배면 (23) 상에 도 (島)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에는,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는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단자와 외부 도체를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뿐만 아니라, 그 밖의 동축 커넥터에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또, 참고의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도전성의 단자와, 상기 단자와 일체 성형된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배부, 및 상기 배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도체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만 도금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는, 동축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종류의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단자 전체에 도금을 실시한 경우보다, 도금의 사용량이 적어도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2) 상기 (1)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상면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2)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상면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있어서, 상기 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3)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면의 일부에만 접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5) 상기 (3) 또는 (4)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6) 상기 (5)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의 폭이 상기 배면의 폭보다 작게 해도 된다.
(7)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8) 혹은,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일방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 성형된 상기 단자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1 : 동축 케이블 커넥터
10 : 동축 케이블
11 : 절연 피복
12 : 외부 도체
13 : 절연체
14 : 심선
20 : 단자
21 : 배부
22 : 접촉부
23 : 배면
24 : 접속부
25 : 단부
26 : 오목부
27 : 접촉편
40 : 하우징
41 : 상면부
42 : 끼워맞춤부
43 : 수용부
44 : 돌기
45 : 재치면
46 : 본체부
47 : 통부
48 : 관통공
49 : 지지부
50 : 압착편
51 : 단차부
70 : 외부 도체 쉘
71 : 절결
72 : 대략 원통부
73 : 덮개부
74 : 입상부
78 : 내면
80A, 80B : 전측 코킹부
83 : 중간 코킹부
84 : 후측 코킹부
85 : 배치면

Claims (13)

  1. 도전성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일체 성형으로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배부, 및 상기 배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도체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상면부에 대향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있어서, 상기 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상기 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상기 관통공의 면적은, 상기 접촉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면의 일부에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이 상기 배면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일방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 접하지 않고, 상기 배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외주가 상기 통부의 내주보다 크고, 상기 통부의 상대 커넥터측과 반대측에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외주가 상기 통부의 내주보다 작고, 상기 상면부의 상대 커넥터측에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만 도금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 성형된 상기 단자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하우징을 외부 도체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3. 도전성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배부, 및 상기 배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도체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상면부에 대향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있어서, 상기 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상기 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20160036659A 2015-03-31 2016-03-28 동축 커넥터 KR10187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0783 2015-03-31
JP2015070783A JP6427840B2 (ja) 2015-03-31 2015-03-31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241A KR20160117241A (ko) 2016-10-10
KR101871038B1 true KR101871038B1 (ko) 2018-06-25

Family

ID=5708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59A KR101871038B1 (ko) 2015-03-31 2016-03-28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27840B2 (ko)
KR (1) KR101871038B1 (ko)
CN (1) CN106025734B (ko)
TW (1) TWI641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8927B (zh) * 2016-11-07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L型同軸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6974226B2 (ja) * 2018-03-23 2021-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7143207B2 (ja) * 2018-12-21 2022-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6844760B1 (ja)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JP2022135664A (ja) * 2021-03-05 2022-09-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22135636A (ja) 2021-03-05 2022-09-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0971U (zh) * 2009-09-28 2010-08-04 张崑田 同轴电缆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1957B1 (ko) * 1968-04-01 1976-09-09
JP4076157B2 (ja) * 2003-07-30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CN101682152B (zh) * 2007-06-01 2015-09-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
JP2009099478A (ja) * 2007-10-19 2009-05-07 Kuurii Components Kk コネクタプラグ
TWM354927U (en) * 2008-10-02 2009-04-11 jian-ting Chen High-frequency connector
JP2013157113A (ja) * 2012-01-27 2013-08-15 Hosiden Corp 同軸コネクタ
JP2014127398A (ja) 2012-12-27 2014-07-07 D D K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5015174A (ja) * 2013-07-05 2015-01-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中心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0971U (zh) * 2009-09-28 2010-08-04 张崑田 同轴电缆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1191B (zh) 2018-11-11
JP6427840B2 (ja) 2018-11-28
CN106025734A (zh) 2016-10-12
JP2016192274A (ja) 2016-11-10
CN106025734B (zh) 2019-07-02
TW201644122A (zh) 2016-12-16
KR20160117241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038B1 (ko) 동축 커넥터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US9653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JP5947885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CN110663143B (zh) L型同轴连接器和带同轴线缆的l型同轴连接器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WO2020230733A1 (ja)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JP2010108719A (ja) コネクタ
JPWO2018025875A1 (ja) コンタクト
US2009014904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y and steadily enagagement between metallic shells and grounding terminals
JP201922032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端子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US9231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supporting plat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JP5229924B2 (ja) コネクタ
KR101951520B1 (ko) 절연 성능을 높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WO2016178861A1 (en) Connector assembly
CN217405861U (zh) 同轴连接器和同轴连接器套件
JP5473758B2 (ja) コネクタ
CN110622368A (zh) 同轴连接器以及同轴连接器安装基板
EP214994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7070711B2 (ja) L型同軸コネクタにおける絶縁性部材の位置決め構造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4119253A (ja) 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