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951B1 - 오일댐퍼 - Google Patents

오일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951B1
KR101867951B1 KR1020180020435A KR20180020435A KR101867951B1 KR 101867951 B1 KR101867951 B1 KR 101867951B1 KR 1020180020435 A KR1020180020435 A KR 1020180020435A KR 20180020435 A KR20180020435 A KR 20180020435A KR 101867951 B1 KR101867951 B1 KR 10186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cket
cylinder unit
oil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아유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아유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아유압
Priority to KR102018002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오일댐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는, 제1 구조물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오일충진부가 구비된 실린더유닛과, 제1 구조물에 연결된 제2 구조물에 연결되고 실린더유닛에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린더유닛에 대한 상대이동 시 오일충진부에 충진된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피스톤부를 구비하는 로드유닛과, 실린더유닛에 연결되고 제1 구조물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과, 로드유닛에 연결되고 제2 구조물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며, 제1 진동 저감부는, 실린더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브라켓부와, 제1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제1 브라켓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 블록부와, 제1 고정 블록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제1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제1 브라켓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제1 브라켓부는, 실린더유닛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와, 브라켓 몸체부에 결합되며 탄성체에 연결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며, 탄성체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다수개의 탄성체는 중심축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오일댐퍼{A oil damper}
본 발명은 오일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구조물에 발생되는 변위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오일댐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건축 및 토목분야에서 구조공학의 발전 및 고강도 재료의 사용에 따라서 구조물이 대형화, 경량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건축분야에서 구조강성과 감쇠비가 매우 낮은 초고층건물 혹은 교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교령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 및 진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댐퍼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댐퍼에는 강재댐퍼(Metallic Damper), 마찰댐퍼(Friction Damper), 점성댐퍼(Viscous Damper)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점성댐퍼는, 점성댐퍼의 축방향이 가동단 교각의 교축방향에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지진 시에는 점성댐퍼의 축방향의 지진력을 저감시켜 지진력을 분산시키고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특성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점성댐퍼는, 교축방향(댐퍼의 축방향)의 외력만을 완충할 뿐이어서, 교축방향(댐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외력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212호(2007.09.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댐퍼의 축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을 완충할 뿐만 아니라 댐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댐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오일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구조물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오일충진부가 구비된 실린더유닛; 상기 제1 구조물에 연결된 제2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유닛에 상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유닛에 대한 상대이동 시 상기 오일충진부에 충진된 상기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피스톤부를 구비하는 로드유닛;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조물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 및 상기 로드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조물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 저감부는, 상기 실린더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브라켓부; 상기 제1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브라켓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 블록부;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브라켓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부는,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 상기 브라켓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는 상기 중심축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댐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부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블록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과,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에 연통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벽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 블록부의 내벽에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로드유닛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저감부는, 상기 로드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 상기 제2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브라켓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 블록부; 및 상기 제2 고정 블록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브라켓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켓부는, 상기 로드유닛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 상기 브라켓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는 상기 중심축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부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블록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과,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에 연통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벽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 블록부의 내벽에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린더유닛에 유닛에 연결되고 제1 구조물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와, 로드유닛에 연결되고 제2 구조물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를 구비함으로써,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실린더유닛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오일댐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댐퍼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일댐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오일댐퍼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진동 저감부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댐퍼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오일댐퍼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오일댐퍼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진동 저감부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댐퍼(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조물(1)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오일충진부(111)가 구비된 실린더유닛(110)과, 제1 구조물(1)에 연결된 제2 구조물(2)에 연결되고 실린더유닛(110)에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린더유닛(110)에 대한 상대이동 시 오일충진부(111)에 충진된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피스톤부(121)를 구비하는 로드유닛(120)과, 실린더유닛(110)에 연결되고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130)와, 로드유닛(120)에 연결되고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140)와, 실린더유닛(110)에 마련되며 로드유닛(120)에 접촉되어 로드유닛(120)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50)과, 감지유닛(150)에 연결되며 외부의 관제소(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조물(1)은 교각이고, 제2 구조물(2)은 교각에 지지되는 상판슬라브에 해당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은 다양한 건축 구조물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은 지진 또는 차량 운행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진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유닛(110)은 제1 구조물(1)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린더유닛(110)의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는 오일충진부(11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실린더유닛(110)에는 실린더유닛(11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로드유닛(120)에 의해 오일충진부(111) 내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오링(미도시)이 마련된다.
로드유닛(120)은 제2 구조물(2)에 마련된 설치블록(2a)에 연결된다. 이러한 로드유닛(120)은,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유닛(110)에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즉,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은 오일댐퍼(100)의 축방향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유닛(120)은 오일충진부(111)를 관통한다. 이러한 로드유닛(120)은 상술한 누설방지부재(미도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오일충진부(111)에서 오일이 오일충진부(111)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로드유닛(120)은, 실린더유닛(110)에 대한 상대이동 시 오일충진부(111)에 충진된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피스톤부(121)와, 오일충진부(111)로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122)와, 오일 저장부(122)에 저장된 오일을 가압하는 오일 가압부(123)를 포함한다.
오일 저장부(122)는 로드유닛(12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오일 저장부(122)에는 오일충진부(111)로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된다.
피스톤부(121)는 실린더유닛(110)에 대한 상대이동 시 오일충진부(111)에 충진된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부(121)는 오일충진부(11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121)의 외벽면과 오일충진부(111)의 내벽면 사이에는 작은 이격간격(d)이 마련된다.
이러한 피스톤부(121)에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저장부(122)와 오일충진부(111)를 연통시키는 안내유로(124)가 마련된다.
오일 가압부(123)는 오일 저장부(122)에 저장된 오일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일 가압부(123)는, 오일 저장부(122)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판(123a)과, 피스톤부(121)의 내벽면에 지지되고 가압판(123a)에 연결되며 가압판(123a)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123b)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일 가압부(123)는, 오일댐퍼(100)의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일충진부(111) 내의 오일 압력이 낮아진 경우, 오일 저장부(122) 내의 오일을 가압하여 오일충진부(111)로 오일 저장부(122) 내의 오일을 급유함으로써 오일충진부(111)의 내의 오일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실린더유닛(110)과 로드유닛(120)은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X축 방향에서의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 사이의 변위 및 진동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X축 방향으로의 변위 및 진동 외에 도 1 내지 도 3의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의 변위 및 진동이 발생 시 상술한 실린더유닛(110)과 로드유닛(120)은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없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진동 저감부(130)와 제2 진동 저감부(140)가 없는 종래기술의 댐퍼는 이러한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오일댐퍼(100)는 제1 진동 저감부(130)와 제2 진동 저감부(140)를 구비함으로써,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오일댐퍼(100)는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진동 저감부(130)와 제2 진동 저감부(140)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를 통해 제1 진동 저감부(130)를 자세히 설명하고 제2 진동 저감부(140)는 제1 진동 저감부(130)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간략히 설명한다. 제2 진동 저감부(140)의 내부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진동 저감부(130)의 내부구조와 거의 유사하다.
제1 진동 저감부(130)는 실린더유닛(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진동 저감부(130)는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도 1 내지 도 3의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을 저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진동 저감부(130)는, 실린더유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브라켓부(131)와,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에 지지되며 제1 브라켓부(131)가 삽입되는 제1 고정 블록부(135)와, 제1 고정 블록부(135)의 내벽에 지지되고 제1 브라켓부(131)에 연결되어 제1 브라켓부(131)를 가압하는 탄성체(S)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부(131)는 실린더유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부(131)는 실린더유닛(110)에 유니버셜 조인트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라켓부(131)는, 실린더유닛(110)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132)와, 브라켓 몸체부(132)에 결합되며 탄성체(S)에 연결되는 중심축부(133)를 포함한다.
중심축부(133)는 브라켓 몸체부(13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중심축부(133)는, 브라켓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133a)와, 연결부(133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133b)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33b)는, 제1 고정 블록부(135)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고정 블록부(135)에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와 제1 고정 블록부(135)의 상측 내벽이 플랜지부(133b)의 상부벽과 하부벽에 각각 연결되어 플랜지부(133b)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플랜지부(133b)의 외벽에는 탄성체(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133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부용 안착홈(133c)은 4개로 마련되며 상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고정 블록부(135)는,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고정 블록부(135)에는 플랜지부(133b)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블록부(135)에는, 연결부(133a)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135a)과, 연결부용 관통공(135a)에 연통되며 플랜지부(133b)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135b)이 마련된다.
연결부용 관통공(135a)은 제1 고정 블록부(135)의 상측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부용 관통공(135a)은, 연결부(133a)의 직경보다는 크고 플랜지부(133b)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플랜지부용 삽입공(135b)은 연결부용 관통공(135a)에 연통된다. 이러한 플랜지부용 삽입공(135b)은, 삽입된 플랜지부(133b)가 플랜지부용 삽입공(135b)의 내부에서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33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고정 블록부(135)의 내벽에는 탄성체(S)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135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135c)은 4개로 마련되며 상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탄성체(S)는 제1 고정 블록부(135)에 지지되고 플랜지부(133b)에 연결되어 플랜지부(133b)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S)는 4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체(S)들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33b)를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제2 진동 저감부(140)는 로드유닛(120)에 유닛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진동 저감부(140)는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도 1 내지 도 3의 Y축 방향과 Z축 방향의 변위 및 진동을 저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진동 저감부(140)는, 로드유닛(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141)와,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44)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지지되며 제2 브라켓부(141)가 삽입되는 제2 고정 블록부(145)와,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벽에 지지되고 제2 브라켓부(141)에 연결되어 제2 브라켓부(141)를 가압하는 탄성체(S)를 포함한다.
제2 브라켓부(141)는 로드유닛(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부(141)는 로드유닛(120)에 유니버셜 조인트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브라켓부(141)는, 로드유닛(120)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142)와, 브라켓 몸체부(142)에 결합되며 탄성체(S)에 연결되는 중심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중심축부(미도시)는 브라켓 몸체부(14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중심축부(미도시)는, 브라켓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부(미도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플랜지부(미도시)는,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2 고정 블록부(145)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와 제1 고정 블록부(135)의 상측 내벽은 플랜지부(미도시)의 상부벽과 하부벽에 각각 연결되어 플랜지부(미도시)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플랜지부(미도시)의 외벽에는 탄성체(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133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부용 안착홈(133c)은 4개로 마련되며 상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고정 블록부(145)는,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2 고정 블록부(145)에는 플랜지부(미도시)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 블록부(145)에는, 연결부(미도시)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과,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에 연통되며 플랜지부(미도시)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은 제2 고정 블록부(145)의 상측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은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은 연결부(미도시)의 직경보다는 크고 플랜지부(미도시)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플랜지부용 삽입공(미도시)은 연결부용 관통공(미도시)에 연통된다. 이러한 플랜지부용 삽입공(미도시)은, 삽입된 플랜지부(미도시)가 플랜지부용 삽입공(미도시)의 내부에서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미도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벽에는 탄성체(S)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135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135c)은 4개로 마련되며 상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탄성체(S)는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벽에 지지되고 플랜지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플랜지부(미도시)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S)는 4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체(S)들은 플랜지부(미도시)를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플랜지부(미도시)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한편, 감지유닛(150)은 로드유닛(120)에 접촉되어 로드유닛(120)의 가압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유닛(15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유닛(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유닛(150)은 로드셀(load cell)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유닛(150)은 로드유닛(120)의 외벽에 마련된 누름부재(P)에 의해 가압되어 로드유닛(120)의 가압력을 감지한다. 즉, 실린더유닛(110)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로드유닛(120)의 이동에 의해 누름부재(P)가 감지유닛(150)을 가압하고, 누름부재(P)에 가압된 감지유닛(150)이 로드유닛(120)의 가압력을 측정한다.
통신유닛(미도시)은 감지유닛(150)에 감지된 가압력을 관제소(미도시)로 송신한다. 관제소(미도시)에서는 감지유닛(150)에 의해 감지된 가압력을 분석하여 오오일댐퍼(100)에 의해 완충된 가압력이 아닌 오일댐퍼(100)에 실제 인가된 외력의 크기를 계산하여 오일댐퍼(100)의 파손여부를 추정하여 오일댐퍼(100)의 교환여부를 결정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댐퍼(100)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에 X축 방향의 외력 또는 진동이 인가 시 로드유닛(120)이 실린더유닛(11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된다. 이러한 로드유닛(120)의 상대이동에 의해 피스톤부(121)가 오일충진부(111)에 충진된 오일을 가압하여 X축 방향의 외력 또는 진동을 완충한다.
한편,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에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의 외력 또는 진동의 인가 시 제1 진동 저감부(130) 및 제2 진동 저감부(140)가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외력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오일댐퍼(100)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진동 저감부(130) 및 제2 진동 저감부(140)가 없이 실린더유닛(110)과 로드유닛(120)이 직접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에 각각 결합되는 종래기술의 댐퍼의 경우,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 각각에 Y축 방향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력 또는 진동이 인가되면 실린더유닛(110)과 피스톤유닛이 Y축 방향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댐퍼가 파손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오일댐퍼(100)는 실린더유닛(110)과 로드유닛(120)이 직접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에 각각 결합되지 않고 제1 진동 저감부(130) 및 제2 진동 저감부(140)를 통해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 각각에 Y축 방향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력 또는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인가된 외력 또는 진동을 탄성체(S)가 흡수할 수 있어 오일댐퍼(100)에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효과는 제1 구조물(1)과 제2 구조물(2) 각각에 Z축 방향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력 또는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댐퍼(100)는, 실린더유닛(110)에 유닛에 연결되고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130)와, 로드유닛(120)에 연결되고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오일댐퍼(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제1 구조물 2: 제2 구조물
2a: 설치블록 100: 오일댐퍼
110: 실린더유닛 111: 오일충진부\
120: 로드유닛 121: 피스톤부\
122: 오일 저장부 123: 오일 가압부
123a: 가압판 123b: 탄성 스프링
124: 안내유로 130: 제1 진동 저감부
131: 제1 브라켓부 132: 브라켓 몸체부
133: 중심축부 133a: 연결부
133b: 플랜지부 133c: 플랜지부용 안착홈
134: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35: 제1 고정 블록부
135a: 연결부용 관통공 135b: 플랜지부용 삽입공
135c: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 140: 제2 진동 저감부
141: 제2 브라켓부 142: 브라켓 몸체부
144: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45: 제2 고정 블록부
150: 감지유닛 P: 누름부재
S: 탄성체

Claims (4)

  1. 제1 구조물(1)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오일충진부(111)가 구비된 실린더유닛(110);
    상기 제1 구조물(1)에 연결된 제2 구조물(2)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상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대한 상대이동 시 상기 오일충진부(111)에 충진된 상기 오일을 가압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피스톤부(121)를 구비하는 로드유닛(120);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1 진동 저감부(130); 및
    상기 로드유닛(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유닛(110)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저감하는 제2 진동 저감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 저감부(130)는,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브라켓부(131);
    상기 제1 구조물(1)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4)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브라켓부(131)가 삽입되는 제1 고정 블록부(135);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부(135)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브라켓부(1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브라켓부(131)를 가압하는 탄성체(S)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부(131)는,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132);
    상기 브라켓 몸체부(132)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S)에 연결되는 중심축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S)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S)는 상기 중심축부(133)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부(133)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132)에 연결되는 연결부(133a); 및
    상기 연결부(133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13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블록부(135)에는,
    상기 연결부(133a)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135a)과,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135a)에 연통되며 상기 플랜지부(133b)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135b)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135a)은 상기 연결부(133a)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플랜지부(133b)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133b)의 외벽에는 상기 탄성체(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133c)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 블록부(135)의 내벽에는 상기 탄성체(S)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135c)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댐퍼(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110)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유닛(120)에 접촉되어 상기 로드유닛(120)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50)을 더 포함하는 오일댐퍼(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저감부(140)는,
    상기 로드유닛(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141);
    상기 제2 구조물(2)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44);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브라켓부(141)가 삽입되는 제2 고정 블록부(145); 및
    상기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브라켓부(141)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브라켓부(141)를 가압하는 탄성체(S)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켓부(141)는,
    상기 로드유닛(120)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부(142);
    상기 브라켓 몸체부(142)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S)에 연결되는 중심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S)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S)는 상기 중심축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부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142)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블록부(145)에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연결부용 관통공과,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에 연통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삽입공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용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벽에는 상기 탄성체(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플랜지부용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 블록부(145)의 내벽에는 상기 탄성체(S)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블록부용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댐퍼(100).
KR1020180020435A 2018-02-21 2018-02-21 오일댐퍼 KR10186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35A KR101867951B1 (ko) 2018-02-21 2018-02-21 오일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35A KR101867951B1 (ko) 2018-02-21 2018-02-21 오일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951B1 true KR101867951B1 (ko) 2018-06-20

Family

ID=6277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435A KR101867951B1 (ko) 2018-02-21 2018-02-21 오일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71B1 (ko) * 2020-09-21 2021-07-29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401283B1 (ko) * 2020-12-24 2022-05-23 도경환 자동 높이 조절 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39B1 (ko) * 2002-03-12 2005-03-16 박대원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KR100760212B1 (ko) 2006-11-20 2007-09-20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수평력 제어를 위한 스틸댐퍼
KR20090024550A (ko) * 2007-09-04 2009-03-09 노우철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KR100965235B1 (ko) * 2007-10-01 2010-06-22 손기택 방진댐퍼
KR101333445B1 (ko) * 2011-12-14 2013-11-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쇠력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변위센서 내장형 오일댐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39B1 (ko) * 2002-03-12 2005-03-16 박대원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KR100760212B1 (ko) 2006-11-20 2007-09-20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수평력 제어를 위한 스틸댐퍼
KR20090024550A (ko) * 2007-09-04 2009-03-09 노우철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KR100965235B1 (ko) * 2007-10-01 2010-06-22 손기택 방진댐퍼
KR101333445B1 (ko) * 2011-12-14 2013-11-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쇠력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변위센서 내장형 오일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71B1 (ko) * 2020-09-21 2021-07-29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401283B1 (ko) * 2020-12-24 2022-05-23 도경환 자동 높이 조절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951B1 (ko) 오일댐퍼
JP2011094749A (ja) 緩衝器
CS222266B2 (en) Hydropneumatic springing device of the motor vehicle undercarriage
JP6626671B2 (ja) 建物の制振構造
JP5886721B2 (ja) 構造物用制振ダンパー
JP4546860B2 (ja) 液圧緩衝器
KR100820001B1 (ko) 댐퍼부재를 갖는 교좌장치
CN211117315U (zh) 压力缓冲设备
KR20020049528A (ko) 쇽업소버
US20130069293A1 (en) Suspension device
KR20090058430A (ko)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JP2004124993A (ja) シリンダ装置
JP2020029925A (ja) 複合型制震装置
JP2004052920A (ja) 油圧式ダンパ
JP4591242B2 (ja) 振動エネルギ吸収装置
JP5539629B2 (ja) ピストンシリンダアッセンブリ
JP5370650B2 (ja) 制振ダンパ及び構造物
JP4066490B2 (ja) 油圧支持装置
JPH09177865A (ja) 内部車高調整機構を有する自動吸排形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式緩衝ストラット
JP2006510859A (ja) 振動減衰要素の支持支承
JPH053315U (ja) 橋梁用緩衝装置
CN112400071B (zh) 与支撑结构一起使用的阻尼组件和对结构进行减幅的方法
US10328537B2 (en) Device for supporting and/or driving machines, instruments and/or structures in general, particularly for supporting and/or driving a telescope
JP4543784B2 (ja) 長ストローク用ダンパ
JPH1194001A (ja) 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