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430A -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 Google Patents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430A
KR20090058430A KR1020070125199A KR20070125199A KR20090058430A KR 20090058430 A KR20090058430 A KR 20090058430A KR 1020070125199 A KR1020070125199 A KR 1020070125199A KR 20070125199 A KR20070125199 A KR 20070125199A KR 20090058430 A KR20090058430 A KR 20090058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tmd
semi
activ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우성식
정란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430A/ko
Publication of KR2009005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 및 점성을 갖는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TMD(Tuned Mass Damper, 동조질량감쇠기) 질량체, 상기 TMD 질량체가 이동될 때, 이동 반대 방향으로 상기 TMD 질량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상기 TMD 질량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TMD 질량체의 움직임을 멈추는 하나 이상의 전동식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된 별도의 감쇠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수동형 TMD에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TMD 질량체를 가이드레일 위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TMD 질량체의 유효강성 및 점성을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동조질량감쇠, STMD, TMD 질량체, 전동식 브레이크, 납-고무베어링

Description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Semi active tuned mass damper with lead-rubber bearing and auto brake}
본 발명은 강성 및 점성을 갖는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조공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건축구조물이 점차 고층화, 대형화가 되고 있다. 초고층 건축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횡하중에 의한 진동의 제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 확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가 된다. 따라서 횡하중에 의한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철제 블록 및 액체와 같은 부가적인 질량체를 설치하고 상기 질량체에 발생한 관성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줄이는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TMD)가 사용된다.
TMD는 진동을 제어하고자 하는 주 시스템에 설치되어 주 시스템의 진동방향과 반대로 움직여서 진동을 제어하는 장치로 기계진동과 같이 특정한 진동수성분을 주로 갖는 동적하중에 대하여 특히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크게 가진기 및 센서의 유무에 따라 수동형, 능동형 그리고 준능동형으로 구분이 된다.
수동형 TMD는 움직이는 질량체에 강성과 점성이 설치된 감쇠기이고, 능동형 TMD(Active TMD, ATMD)는 가력기를 설치하여 상기 TMD의 질량체에 직접적으로 관성력을 부가할 수 있는 장치이며, 준능동형 TMD(Semi active TMD, STMD)는 상기 수동형 TMD에 부가적으로 준능동형 감쇠기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강성 혹은 점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도 1a는 종래의 강성 변환형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강성 변환형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의 감성 변환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c는 종래의 MR 감쇠기가 설치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d는 종래의 능동형 변환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TMD의 유효강성을 바꿀 수 있는 강성 변환형 STMD(10)는 가진기(14)에 의해 수직 방향의 변위를 유발시켜 강성 스프링(16)의 수평방향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TMD 질량체(12)의 수평방향 유효강성을 변화시키는 장치이고, 강성/점성 변환형 STMD(20)는 상기 강성 변환형 STMD(10)에 점성항(28)을 추가하여 강성과 점성을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MR 감쇠기(34)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변하는 항복응력을 갖는 점소성 거동을 하기 때문에 이 장치를 이용한 준능동 제어는 자기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MR 감쇠기(34)가 설치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30)는 전기신호에 의해 변화하는 MR 유체를 사용한 MR 감쇠기(34)를 강성 및 점성과 병렬로 TMD 질량체(32)에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TMD 질량체(32)가 준능동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능동형 변환강성 시스템(40)은 피스톤(42), 오일로 채워진 두 개의 방(Camber), 방을 연결하는 관, 그리고 제어신호에 의해 연결관의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44)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관이 닫히는 경우에 오일의 움직임이 방해되어 피스톤(42)이 움직이지 않게 되고, 관이 열리면 오일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므로 피스톤(42)도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이러한 보-가새 접합부를 사용하여 가새의 연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STMD의 경우에는 강성 또는 점성만을 변화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일반적인 TMD의 형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TMD에 부가적으로 강성 또는 점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장치를 제작하는데 큰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성 또는 점성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입력신호를 계산하기 위한 컴퓨터가 부가적으로 요구되고, 종래의 변환강성시스템은 가새부재의 연결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접합부가 필요하며, MR 감쇠기를 사용하는 STMD의 경우에는 유체의 특성이 매우 고가이고, 내구성이 검증되지 못해 실제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강성 및 점성자체의 변화를 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STMD 제어알고리즘을 구현할 컴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센서를 통해 계측된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만 을 조절하여 납-고무베어링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상부에 설치된 TMD의 유효강성과 유효점성을 변화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TMD(Tuned Mass Damper, 동조질량감쇠기) 질량체, 상기 TMD 질량체가 이동될 때, 이동 반대 방향으로 상기 TMD 질량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상기 TMD 질량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TMD 질량체의 움직임을 멈추는 하나 이상의 전동식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 부위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각각의 고정부와 TMD 질량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TMD 질량체에 매립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TMD 질량체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TMD 질량체와 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납-고무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된 별도의 감쇠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수동형 TMD에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TMD 질량체를 가이드레일 위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TMD 질량체와 납-고무베어링에 의한 유효강성 및 유효점성을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센서에서 계측된 신호의 부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박스에서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만 결정하여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및 유지관리가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에 상기 TMD 질량체는 상기 TMD 질량체에 설치된 스프링과 하단에 설치된 납-고무베어링에 의해서만 거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납-고무베어링의 점성과 강성에 의해 상기 TMD 질량체에 추가적인 강성이 발생되어 구조물의 진동이 추가적으로 감쇠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Semi-active tuned mass damper, STMD, 100)는, 구조물(200)의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에 고정부(220)가 설치가 되고, 상기 고정부(220) 사이에는 가이드레일(21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위에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TMD(Tuned mass damper) 질량체(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이 상기 TMD 질량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부(220)에 연결되는 스프링(120)은 상기 TMD 질량체(110)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20)은 상기 TMD 질량체(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TMD 질량체(110)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10) 위에 상기 TMD 질량체(110)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TMD 질량체(110)의 하단에 바퀴(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TMD 질량체(110)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위에 설치되거나, 상기 TMD 질량체(110)의 하단에 상기 가이드레일(210) 위에 올라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다른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TMD 질량체(110)가 가이드레일(210) 위에서 부드럽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TMD 질량체(110)의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TMD 질량체(110)의 하단에는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장착이 되 는데,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는 상기 바퀴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바퀴를 잡아서 상기 TMD 질량체(110)의 움직임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 자체를 잡음으로써 상기 TMD 질량체(110)의 움직임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의 설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든지 변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TMD 질량체(110)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관성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바퀴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로 잡고 상기 바퀴와 가이드레이(210)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이상으로 작용한다고 하여도, 상기 TMD 질량체(110)의 질량으로 인하여 진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는 바퀴를 정지시키는 것보다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직접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TMD 질량체(110)가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진동을 하여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을 감쇠하고,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작동된 후에는 상기 TMD 질량체(110)에 장착된 납-고무베어링(114)에 의해 추가적인 강성과 감쇠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납-고무베어링(114)는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와 TMD 질량체(1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납-고무베어링(114)은 천연고무를 가황 처리하고 클로로프렌계 혼화재를 첨가하여, 탄성력을 갖춘 합성고무의 사용으로 부식이 거의 없고,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그리고 다층의 고무판과 철판이 층상화되어 제작된 적층고무에 납봉을 주입시켜, 상부 물체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여 상부구조에 유발되는 지진력의 크기를 줄이고자하는 면진받침의 일종으로 납으로 하여금 풍하중, 제동하중 등의 낮은 레벨의 진동은 초기 강성으로 제어하고, 지진시 발생할 수 있는 수평력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물체에 발생할 수 있는 거동에 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TMD 질량체(110)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위에서 고유진동수로 진동을 하여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할 때, 상기 납-고무베어링(114)은 상기 TMD 질량체(110)를 완충시키는 역할만 하고,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작동되면 상기 TMD 질량체(110)의 움직임이 멈추고, 상기 납-고무베어링(114)의 점성과 강성이 상기 TMD 질량체에 추가되어 다시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TMD 질량체(110)는 제자리를 유지하려는 관성을 가지므로 상기 구조물(200)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릴 때, 즉, 일측으로 휘어질 때, 상기 구조물(200)이 휘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구조물(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TMD 질량체(110)가 상기 구조물(200)이 휘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TMD 질량체(110)가 이동하는 측의 스프링(120)이 압축되므로, 상기 구조물(200)은 압축된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휘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아 흔들림이 감소된다. 이때, 실제 STMD(100)의 성능을 확보하는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STMD(100)의 진동수를 구조물(200)의 진동수와 동조시키 는 것이다. 정확히 동조되지 않은 상기 STMD(100)의 진동수로 인하여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수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구조물(200)은 골조공사, 마감공사, 입주 그리고 입주 후 수명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수가 조금씩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STMD(100)의 실제적용에 있어서도 실계측을 통한 동조과정이 반드시 요구되며 사용 기간 중에서도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수가 바뀌면 그에 맞추어 상기 STMD(100)의 진동수도 바뀌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STMD(100)는 상기 TMD 질량체(110)에 가속도센서(112)를 매립하여 상기 TMD 질량체(110)가 받는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구조물(200)에는 속도계(230)를 설치하여 상기 구조물(200)의 속도를 측정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112)는 상기 TMD 질량체(110)에 매립되고 상기 TMD 질량체(110)의 외부에 위치한 컨트롤박스(140)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속도계(230)는 상기 구조물(200)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박스(140)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속도센서(112)와 속도계(230)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40)에서는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10) 종방향의 양측에는 스토퍼(13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TMD 질량체(110)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TMD 질량체(110)의 진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TMD 질 량체(110)와 직접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TMD 질량체(11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고무 등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STMD(100)는 수평방향에서 한쪽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만 작동이 되도록 설계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200)의 진동이 사방으로 진동이 되는 것을 감쇠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STMD(100) 두 개를 서로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의 (a)와 (b)는 TMD 및 STMD 제어 시간이력결과로 각각 변위와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를 보면 수동형 TMD의 경우 반응속도가 느려 구조물의 초기응답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작은 반면 STMD는 초기 비정상응답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크며 구조물의 최대변위를 크게 줄임을 알 수 있고, 도 4의 (b)는 스트로크가 클 경우 질량체가 레일의 양단에 충돌하여 TMD 및 STMD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과도한 스트로크가 발행할 것에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TMD는 양단에 충격방지용 버퍼로 스토퍼(130)가 설치되고 STMD가 TMD의 약 50%수준의 스트로크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도 5의 (a)와 (b)는 탄성구조물과 비탄성구조물의 변위 주파수 응답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에서는 TMD가 설치됨으로써 고유 진동수 성분의 응답이 크게 감소 함을 알 수 있으며, STMD가 수동형 TMD보다 큰 변위응답감소효과를 가짐을 주파수 영역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도 5의 (b)에서는 수동 TMD를 설치함으로써 비탄성구조물의 응답의 고유진동수 성분은 조금 줄일 수 있으나 그 감소폭은 탄성구조물에 설치된 TMD와 비교할 때 매우 작다. 주파수 응답의 크기가 비탄성구조물이 탄성구조물보다 크게 작게 나타난 것은 구조물의 비탄성 거동에 의하여 감쇠가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수동형 TMD에 의한 감쇠증가가 응답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해진 것이다. 도 5의 (b)는 비탄성거동에 기인한 영구변형으로 수동형 TMD는 이 영구변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지 않으나 STMD는 이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도 6의 (a), (b), (C)는 각각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 수동 TMD 제어를 하는 경우, STMD 제어를 하는 경우에 비탄성구조물 힘-변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비제어구조물과 수동형 TMD가 설치된 구조물의 힘-변위 관계는 거의 유사한 반면에 STMD가 설치된 구조물의 이력곡선의 면적을 크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강성 변환형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강성/점성 변환형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의 감성/점성 변환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종래의 MR 감쇠기가 설치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d는 종래의 능동형 변환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TMD 및 STMD 제어 시간이력결과로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b)는 TMD 및 STMD 제어 시간이력결과로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탄성구조물의 변위 주파수 응답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b)는 비탄성구조물의 변위 주파수 응답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제어를 하지 않을 때의 비탄성구조물 힘-변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b)는 수동 TMD 제어를 하는 경우에 비탄성구조물 힘-변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c)는 STMD 제어를 하는 경우에 비탄성구조물 힘-변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준능동 동종질량감쇠 장치(STMD) 110: 동조질량감쇠 질량체
112: 가속도센서 114: 납-고무베어링
116: 전동식 브레이크 120: 스프링
130: 스토퍼 140: 컨트롤박스
200: 구조물 210: 가이드레일
220: 고정부 230: 속도계

Claims (6)

  1. 구조물(200)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10);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TMD(Tuned Mass Damper, 동조질량감쇠기) 질량체(110);
    상기 TMD 질량체(110)가 이동될 때, 이동 반대 방향으로 상기 TMD 질량체(1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20);
    상기 TMD 질량체(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TMD 질량체(110)의 움직임을 멈추는 하나 이상의 전동식 브레이크(11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양단 부위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조물(2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120)은 각각의 고정부(220)와 TMD 질량체(110)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MD 질량체(110)에 매립되는 가속도센서(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센서(112)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116)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140);
    상기 컨트롤박스(140)에 연결되어 상기 TMD 질량체(110)가 설치되는 구조물(20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계(2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MD 질량체(110)와 전동식 브레이크(116)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납-고무베어링(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능동 동조질량감쇠 장치.
KR1020070125199A 2007-12-04 2007-12-04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KR20090058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99A KR20090058430A (ko) 2007-12-04 2007-12-04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99A KR20090058430A (ko) 2007-12-04 2007-12-04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430A true KR20090058430A (ko) 2009-06-09

Family

ID=4098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199A KR20090058430A (ko) 2007-12-04 2007-12-04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4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751A (zh) * 2010-12-23 2011-04-27 湖南大学 电涡流阻尼调节的大吨位悬臂梁式水平调谐质量阻尼器
CN102995786A (zh) * 2012-12-11 2013-03-27 山东电力集团公司检修公司 双向水平可调式调谐质量阻尼器
CN103674346A (zh) * 2013-12-26 2014-03-26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板式橡胶支座脱空预警装置
CN106088391A (zh) * 2016-07-08 2016-11-09 贵州理工学院 调谐质量型屈服消能减震墙装置
CN106917459A (zh) * 2017-04-07 2017-07-04 同济大学 一种半主动单摆式调谐质量阻尼器
CN107938497A (zh) * 2018-01-02 2018-04-20 湖南省潇振工程科技有限公司 竖向调谐质量阻尼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751A (zh) * 2010-12-23 2011-04-27 湖南大学 电涡流阻尼调节的大吨位悬臂梁式水平调谐质量阻尼器
CN102995786A (zh) * 2012-12-11 2013-03-27 山东电力集团公司检修公司 双向水平可调式调谐质量阻尼器
CN103674346A (zh) * 2013-12-26 2014-03-26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板式橡胶支座脱空预警装置
CN103674346B (zh) * 2013-12-26 2015-07-08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板式橡胶支座脱空预警装置
CN106088391A (zh) * 2016-07-08 2016-11-09 贵州理工学院 调谐质量型屈服消能减震墙装置
CN106088391B (zh) * 2016-07-08 2018-09-21 贵州理工学院 调谐质量型屈服消能减震墙装置
CN106917459A (zh) * 2017-04-07 2017-07-04 同济大学 一种半主动单摆式调谐质量阻尼器
CN107938497A (zh) * 2018-01-02 2018-04-20 湖南省潇振工程科技有限公司 竖向调谐质量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KR20090058430A (ko) 납-고무베어링과 전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준능동동조질량감쇠기
JP5018936B2 (ja) 走行式クレーンの免震構造
KR102094884B1 (ko) 감쇠성능을 향상시킨 면진장치
JP5886721B2 (ja) 構造物用制振ダンパー
EP2093454B1 (en) Vibration energy absorber
KR101475156B1 (ko) 자력 댐퍼
KR101593576B1 (ko) 압전 mr유체 면진받침
KR20120068119A (ko) 고감쇠 수평형 동흡진기
JP2012042016A (ja) 3次元免震装置
KR102444015B1 (ko) 방진 전기 안전제어반
JP5993658B2 (ja) 振動試験機
CA3045493A1 (en) A viscoelastic bracing damper
KR101166258B1 (ko) 건설구조물의 진동제어장치
CN109722983B (zh) 粘滞阻尼器及桥梁
JPH01247666A (ja) 減衰装置
KR101867951B1 (ko) 오일댐퍼
KR101927863B1 (ko) 자기유변감쇠기와 토글가새를 결합한 면진장치
KR102415384B1 (ko) 건축 마감 패널용 내진 파스너
JP6726381B2 (ja) 回転マスダンパの設置構造
KR20090033669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CN209891044U (zh) 粘滞阻尼器及桥梁
JP2005248989A (ja) 制振用ダンパ
JP2001106455A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3803940B2 (ja) 直交2方向の建物周期が異なる超高層建物の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