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39B1 -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39B1
KR100476439B1 KR10-2002-0013367A KR20020013367A KR100476439B1 KR 100476439 B1 KR100476439 B1 KR 100476439B1 KR 20020013367 A KR20020013367 A KR 20020013367A KR 100476439 B1 KR100476439 B1 KR 10047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iston
cylinder
fil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692A (ko
Inventor
박대원
김상헌
Original Assignee
박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원 filed Critical 박대원
Priority to KR10-2002-001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의 건축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이 지진 등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건축구조물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일측에 분할된 제 1공간과 제 2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갖는 분할판, 제 1공간에 채워지는 제 1충전재, 제 2공간에 채워지는 제 2충전재, 제 1공간과 제 2공간간의 압력차이의 정도에 따라 분할판의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기구, 제 1공간을 제 1챔버와 제 2챔버로 분할하고 제 1충전재의 제 1챔버와 제 2챔버 상호간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 1충전재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피스톤 및 타측 구조물에 설치 가능하고 피스톤과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능이 뛰어나고, 제작이 쉬우며, 상시하중 작용 시에는 구조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충격력을 완충하여 감쇠시키며, 고강도 지진에 의한 충격력 등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강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지진력이 고정단 등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a structure}
본 발명은 실린더형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등의 건축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이 지진 등에 의해 견딜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건축구조물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경우에 지진이나 차량의 왕복에 따라 큰 반복하중을 받게되는데, 이러한 하중은 주로 저주파의 형태이지만 교량 자체의 무게에 의한 하중 값이 크기 때문에 이를 완충시켜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내진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은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교각(12)과 각 교각(12) 상에 수평 되게 설치되는 상판(14)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상태에서 상판(14)은 고정단(16)에서는 교각(12)에 고정되고, 가동단(18)에서는 교각(12)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교량(10)의 상판(14)과 가동단(18)의 교각(12) 사이에 내진장치(20)가 설치된다.
즉, 지진 등에 의해 상판(14)과 교각(12) 상호간에 상판(14)의 길이방향으로 충격력이 작용하는 경우 내진장치(20)가 상판(14)과 교각(12) 상호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여 준다. 이에 따라 고정단(16)에 작용하는 충격력도 줄어들어 고정단(16)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내진장치로는 영국의 Colebrand사에서 개발한 Luck-up Device(이하, LUD라 함)가 있다. 이 LUD는 실린더 내부에 실리콘 퍼티(Silicon Putty)를 충전하여 만든 것으로, HDB(Hysteretic Damping Bearing)나 HDRB(High Damping Rubber Bearing)에 비하여 그 작동 원리가 간단하고, 크기도 작다.
또, LUD는 그 제작 단가가 낮으며, 고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LUD에 사용되는 실리콘 퍼티는 Colebrand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반-유체(semi-fluid) 물질로서 그 제조기술을 공개하지 않아 타사에서 만들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실리콘 퍼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내진성능을 가지는 내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제조가 어려운 실리콘 퍼티의 사용 없이도 성능이 뛰어나고, 그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낮은 건축구조물용 내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유동 가능한 두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두 구조물 사이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내진장치에 있어서, 일측 구조물에 설치 가능한 실린더,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일측에 분할된 제 1공간과 제 2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갖는 분할판, 제 1공간에 채워지는 제 1충전재, 제 2공간에 채워지는 제 2충전재, 제 1공간과 제 2공간간의 압력차이의 정도에 따라 분할판의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기구, 실린더의 내부 제 1공간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제 1공간을 제 1챔버와 제 2챔버로 분할하고 제 1충전재의 제 1챔버와 제 2챔버 상호간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 1충전재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피스톤 및 타측 구조물에 설치 가능하고 피스톤과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실린더는 원통체와 원통체의 일단을 폐쇄하는 제 1폐쇄구와 원통체의 타단을 폐쇄하고 피스톤 로드의 통과를 허용하는 로드결합공을 갖는 제 2폐쇄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 1폐쇄구의 외측으로는 일측 구조물에 실린더를 체결하기 위한 돌출부가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분할판은 제 1폐쇄구에서 피스톤 로드 쪽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분할판을 통과하는 내측 연장부에 지지되어 있고, 밸브기구는 분할판을 통과한 내측 연장부에 결합되어 내측 연장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밸브체와 내측 연장부 둘레에 결합되어 밸브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제 1충전재로는 실리콘 오일이 적당하다.
위 제 2충전재로는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피스톤의 중앙부에는 로드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는 그 안쪽 끝단이 로드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에 체결되어 피스톤에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의 사이 및/또는 너트와 피스톤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제 1충전재 통로는 피스톤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이고, 실린더 내경은 25∼75㎜, 피스톤 로드 직경은 20∼70㎜, 오리피스의 직경은 1∼3㎜, 오리피스의 개수는 3∼8개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위 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1.5∼20KN/m, 분할판에 형성되는 통공의 직경은 1∼3㎜, 개수는 2∼8개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100)는 실린더(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1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체(111)와 이 원통체(111)의 개구된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제 1폐쇄구(121)와 제 2폐쇄구(131)로 되어 있다.
제 1폐쇄구(121)는 원통체(111)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모양을 하고 있으며, 내부 중앙부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분할판(140)을 지지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150)쪽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122)가 형성되고, 외부 중앙부에는 구조물 또는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별도의 부재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124)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헤드 커버(121a)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24)의 끝단에는 나선(1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 커버(121a)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서는 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26)에는 헤드 커버(121a)와 원통체(111) 사이의 기밀을 위해 오-링(O-ring, 127)과 백업-링(backup ring, 128)이 설치된다. 이러한 헤드 커버(121a)가 반드시 용기모양을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2폐쇄구(131)는 원통체(111)의 타단을 폐쇄하고 피스톤 로드(150)의 통과를 허용하는 로드결합공(132)을 갖는 로드 커버(131a)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 커버(133)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서는 오-링(137)과 백업-링(138)을 위한 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드 커버(131a)의 로드결합공(132)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로드 부시(133)가 장착되고, 로드 부시(133)의 내주면에 피스톤 로드(150)와 로드 부시(133) 사이의 유밀을 위한 로드 실(rod seal, 134)과 스냅 링(snap ring, 135)이 장착된다. 또, 로드 커버(131a) 외주면의 홈(136)에는 원통체(111)와 로드 커버(131a) 사이의 유밀을 위한 오-링(137)과 백업 링(138)이 장착된다.
위 제 1폐쇄구(121)와 제 2폐쇄구(131)는 원통체(111)의 양측 개구부를 각각 폐쇄할 수 있고, 또 원통체(111) 및 피스톤 로드(150)와 기밀 또는 유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100)는 실린더(110)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112)과 제 2공간(117)으로 분할하는 분할판(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분할판(140)의 단면으로는 제 1공간(112)과 제 2공간(117)을 연결하는 통공(14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홈(144)이 형성되어 있고, 홈(144)에는 오-링(146)이 장착된다. 이러한 분할판(140)은 헤드 커버(121a)의 연장부(122) 끝단에 결합된다. 이 분할판(140)에 의해 분할되는 제 1공간(112)에는 제 1충전재(160)로서 실리콘 오일이 충전되고, 제 2공간(117)에는 제 2충전재(162)로서 가스 상태의 질소가 충전된다.
제 1충전재(160)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은 온도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적고, 압축율이 크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고, 표면장력이 작고, 응고점이 낮고, 전기특성이 뛰어나고, 무색투명하며 무취, 무미로 위생적이며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다른 물질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 2충전재(162)로서의 질소는 안정적이며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제 2충전재(162)로는 다른 가스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할판(140)을 통과하는 연장부(122)에는 밸브기구(170)가 장착된다. 이 밸브기구(170)는 제 1공간(112)과 제 2공간(117)간의 압력차이의 정도에 따라 통공(142)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밸브기구(170)는 연장부(122)의 끝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연장부(122)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밸브체(172)와 연장부(122) 둘레에 결합되어 밸브체(17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74)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장부(122)의 끝단에 스냅 링(176)이 장착되어 밸브체(172)가 연장부(12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100)는 피스톤(18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스톤(180)은 실린더(110) 내부의 제 1공간(112)을 제 1챔버(112a)와 제 2챔버(112b)로 분할하여 주며, 제 1충전재(160)가 제 1챔버(112a)와 제 2챔버(112b) 상호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충전재 통로(18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 1충전재 통로(182)는 피스톤(180)에 직접 형성되는 오리피스(orifice)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제 2충전재 통로(182)는 실린더(110)의 원통체(111)와 피스톤(180) 사이의 틈새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피스톤(180)의 외주면에는 홈(184)들이, 그 단면 중앙부에는 로드 결합공(1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180)의 홈(184)들에는 피스톤(180)과 원통체(111) 사이로 제 1충전재(160)가 통과되는 것을 막고 빨리 닳는 것을 막기 위한 오-링(187), 웨어 링(wear ring, 188), 피스톤 실(piston seal, 189)이 장착된다.
피스톤 로드(150)는 그 일측이 제 2폐쇄구(131)를 관통하여 실린더(110) 내부로 유입되고, 그 상태에서 끝단은 피스톤(180)의 결합공(186)에 삽입된 후 너트(152)와 체결된다. 피스톤 로드(150)와 피스톤(180)의 사이 및/또는 너트(152)와 피스톤(180) 사이에는 와셔(154a, 154b)가 개재되어 있다. 이 와셔(154a,154b)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너트(152)의 풀림을 방지하고 피스톤(180)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 로드(150)는 교량 등의 타측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에 결합되거나 직접 타측 구조물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 피스톤 로드(150)의 바깥쪽 끝단에는 나선(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100)를 5톤∼300톤 용량으로 설계하고자하는 경우 탄성부재(174)의 스프링 상수는 1.5∼20KN/m, 분할판(140)에 형성되는 통공(142)의 직경은 1∼3㎜, 통공(142)의 개수는 2∼8개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되고, 또 실린더(110) 내경은 25∼75㎜, 피스톤 로드(150)의 직경은 20∼70㎜, 오리피스 즉, 제 1충전재 통로(182)의 직경은 1∼3㎜, 오리피스의 개수는 3∼8개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100)에서 차량의 이동, 열팽창 및 수축에 따른 상시하중 또는 작은 진도의 지진력 등에 의해 피스톤 로드(15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 2챔버(112b)의 압력이 제 1챔버(112a)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제 2챔버(112b)에서 제 1챔버(112a)로의 제 1충전재(160)의 유동이 발생된다. 만약 오리피스의 크기나 작거나 그 개수가 적으면 피스톤(180)에 큰 유동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제 2챔버(112b)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제 2챔버(112b)에 있던 일부 제 1충전재(160)가 통공(142)을 통해 제 2공간(117)으로 이동되어 제 2챔버(112b)와 제 2공간(117)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조정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80)이 제 1챔버(112a)쪽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감소시켜 감쇠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피스톤 로드(150)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공간(117)이 없거나 완전히 닫혀 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또, 한편으로 매우 큰 진도의 지진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150)가 순간적으로 오른쪽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경우, 제 2챔버(112b)의 압력이 제 2공간(117)의 압력보다 갑자기 커지게 되고, 제 2챔버(112b)에 충전된 실리콘 오일이 통공(142)을 통해 제 2공간(117)으로 급속히 이동되고, 그 때의 실리콘 오일의 흐름에 의해 밸브체(172)는 분할판(140)에 밀착되면서 통공(142)을 막는다. 이에 따라 제 1공간(112)이 제 2공간(117)과 완전히 차단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고, 큰 힘으로 피스톤(180)의 운동에 저항하게 된다. 이 경우 내진장치(100)는 그 전체가 강체와 유사한 역할을 하여 가동단이 고정단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피스톤 로드(150)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공간(117)이 없거나 완전히 닫혀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도 5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의 돌출부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의 내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50)와 실린더(110)의 돌출부(124)에는 교량의 교각과 상판 등 필요한 곳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19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고정구(190)는 교량의 교각이나 상판, 피씨 빔(PC beam)등 필요한 곳에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 바닥판(192)과 바닥판(192)에 수직하게 바닥판(192) 상에 나란하게 설치된 지지판(194)과 두 지지판(194)에 결합된 지지축(196) 및 지지축(196)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체결부재(198)로 이루어져 있다. 체결부재(198)는 피스톤 로드(150) 또는 돌출부(124)의 끝단과 나사결합 된다. 이러한 고정구는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구조물에 직접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용 내진장치는 실리콘 퍼티를 사용치 않으면서도 성능이 뛰어나고, 실린더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단가가 싼 실리콘 오일과 질소가스를 이용할 수 있어 제작이 쉬우며 단가도 낮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용 내진장치는 상시하중 작용 시에는 구조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충격력을 완충하여 감쇠시키며, 고강도 지진에 의한 충격력 등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강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지진력이 고정단 등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도 1은 내진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의 돌출부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의 내진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내진장치 110 : 실린더
111 : 원통체 112 : 제 1공간
112a : 제 1챔버 112b : 제 2챔버
117 : 제 2공간 121 : 제 1폐쇄구
121a : 헤드 커버 122 : 연장부
124 : 돌출부 126, 136, 144, 184 : 홈
127, 137, 146, 187 : 오-링 128, 138 : 백업 링
131 : 제 2폐쇄구 132 : 로드 결합공
133 : 로드 부시 134 : 로드 실
135 : 스냅 링 140 : 분할판
142 : 통공 150 : 피스톤 로드
160 : 제 1충전재 162 : 제 2충전재
170 : 밸브기구 172 : 밸브체
174 : 탄성부재 176 : 스냅 링
180 : 피스톤 182 : 제 1충전재 통로
188 : 웨어 링 189 : 피스톤 실
190 : 고정구

Claims (8)

  1. 상호 유동 가능한 두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두 구조물 사이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내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구조물에 설치 가능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분할된 제 1공간과 제 2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갖는 분할판;
    상기 제 1공간에 채워지는 제 1충전재;
    상기 제 2공간에 채워지는 제 2충전재;
    상기 제 1공간과 제 2공간간의 압력차이의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할판의 상기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기구;
    상기 실린더의 내부 제 1공간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제 1공간을 제 1챔버와 제 2챔버로 분할하고 상기 제 1충전재의 상기 제 1챔버와 제 2챔버 상호간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 1충전재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피스톤; 및
    상기 타측 구조물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판은 상기 제 1폐쇄구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 쪽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분할판을 통과하는 내측 연장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분할판을 통과한 상기 내측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밸브체와 상기 내측 연장부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일단을 폐쇄하는 제 1폐쇄구와 상기 원통체의 타단을 폐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통과를 허용하는 로드결합공을 갖는 제 2폐쇄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폐쇄구의 외측으로는 상기 일측 구조물에 상기 실린더를 체결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충전재는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충전재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중앙부에는 로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그 안쪽 끝단이 상기 로드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 및/또는 상기 너트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충전재 통로는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이고, 상기 실린더 내경은 25∼75㎜, 상기 피스톤 로드 직경은 20∼70㎜,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은 1∼3㎜, 상기 오리피스의 개수는 3∼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는 1.5∼20KN/m, 상기 분할판에 형성되는 통공의 직경은 1∼3㎜, 개수는 2∼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
KR10-2002-0013367A 2002-03-12 2002-03-12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KR10047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67A KR100476439B1 (ko) 2002-03-12 2002-03-12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67A KR100476439B1 (ko) 2002-03-12 2002-03-12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92A KR20030073692A (ko) 2003-09-19
KR100476439B1 true KR100476439B1 (ko) 2005-03-16

Family

ID=3222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367A KR100476439B1 (ko) 2002-03-12 2002-03-12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3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523B1 (ko) * 2006-08-19 2006-11-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의 교좌 장치 겸용 낙교방지시설
KR100722850B1 (ko) * 2006-04-19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진에 의한 교량의 붕괴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한 교량용낙교방지장치
KR20090027400A (ko) * 2007-09-12 2009-03-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KR100965236B1 (ko) 2007-10-01 2010-06-22 손기택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0994175B1 (ko) 2009-12-07 2010-11-15 유문식 하이브리드 진동 격리장치
KR101710709B1 (ko) 2017-01-12 2017-02-28 (주)은성이앤씨 누유 방지 구조를 갖는 점성 댐퍼
KR101867951B1 (ko) * 2018-02-21 2018-06-20 주식회사 정아유압 오일댐퍼
KR102348381B1 (ko) 2021-09-17 2022-01-11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59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58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64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20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84B1 (ko) * 2006-04-06 2007-03-29 주식회사 태명엔지니어링 내진 수단을 구비한 교량 구조체 및 내진 수단의 설치 방법
KR100760212B1 (ko) * 2006-11-20 2007-09-20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수평력 제어를 위한 스틸댐퍼
KR100965235B1 (ko) * 2007-10-01 2010-06-22 손기택 방진댐퍼
KR101379224B1 (ko) * 2012-07-02 2014-03-28 (주)스템코 오리피스 피스톤 구조를 이용한 실린더형 내진장치
KR102250708B1 (ko) * 2020-02-04 2021-05-11 안상억 내진성능 보강 구조의 실린더형 유체댐퍼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119A (en) * 1974-05-11 1976-06-22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upport leg for bridges
JPS54109328U (ko) * 1978-01-20 1979-08-01
JPS5813275A (ja) * 1981-07-10 1983-01-25 Aisan Ind Co Ltd 混合栓
JPS58211044A (ja) * 1982-05-31 1983-12-08 Kayaba Ind Co Ltd シヨツクアブソ−バ及びその減衰力制御方法
JPH053315U (ja) * 1991-07-04 1993-01-19 川口金属工業株式会社 橋梁用緩衝装置
US5347771A (en) * 1991-06-20 1994-09-20 Kajima Corporation High damping device for seismic response controlled structure
US5462141A (en) * 1993-05-07 1995-10-31 Tayco Developments, Inc. Seismic isolator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structures against damage from seismic forces
JPH07317822A (ja) * 1994-05-30 1995-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高減衰シリンダー型オイルダンパー
EP0694652A1 (fr) * 1994-07-29 1996-01-31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transmission d'efforts pour ouvrages de génie civil
WO1997025497A1 (fr) * 1996-01-09 1997-07-17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Dispositif d'amortissement pour des elements d'une structure de genie civil
JPH10195821A (ja) * 1997-01-14 1998-07-28 Kawaguchi Kinzoku Kogyo Kk 落橋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119A (en) * 1974-05-11 1976-06-22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upport leg for bridges
JPS54109328U (ko) * 1978-01-20 1979-08-01
JPS5813275A (ja) * 1981-07-10 1983-01-25 Aisan Ind Co Ltd 混合栓
JPS58211044A (ja) * 1982-05-31 1983-12-08 Kayaba Ind Co Ltd シヨツクアブソ−バ及びその減衰力制御方法
US5347771A (en) * 1991-06-20 1994-09-20 Kajima Corporation High damping device for seismic response controlled structure
JPH053315U (ja) * 1991-07-04 1993-01-19 川口金属工業株式会社 橋梁用緩衝装置
US5462141A (en) * 1993-05-07 1995-10-31 Tayco Developments, Inc. Seismic isolator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structures against damage from seismic forces
JPH07317822A (ja) * 1994-05-30 1995-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高減衰シリンダー型オイルダンパー
EP0694652A1 (fr) * 1994-07-29 1996-01-31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transmission d'efforts pour ouvrages de génie civil
WO1997025497A1 (fr) * 1996-01-09 1997-07-17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Dispositif d'amortissement pour des elements d'une structure de genie civil
JPH10195821A (ja) * 1997-01-14 1998-07-28 Kawaguchi Kinzoku Kogyo Kk 落橋防止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50B1 (ko) * 2006-04-19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진에 의한 교량의 붕괴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한 교량용낙교방지장치
KR100647523B1 (ko) * 2006-08-19 2006-11-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의 교좌 장치 겸용 낙교방지시설
KR20090027400A (ko) * 2007-09-12 2009-03-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KR100965236B1 (ko) 2007-10-01 2010-06-22 손기택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0994175B1 (ko) 2009-12-07 2010-11-15 유문식 하이브리드 진동 격리장치
KR101710709B1 (ko) 2017-01-12 2017-02-28 (주)은성이앤씨 누유 방지 구조를 갖는 점성 댐퍼
KR101867951B1 (ko) * 2018-02-21 2018-06-20 주식회사 정아유압 오일댐퍼
KR102348381B1 (ko) 2021-09-17 2022-01-11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59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58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64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7420B1 (ko)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92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439B1 (ko)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US9540807B2 (en) Structure vibration control device
US6340153B1 (en) Shock and acoustic mount
JP4053640B2 (ja) 改良された、位置の影響を受けない、キャビテーション作用のない、差動的な、二方向緩衝器
US7182188B2 (en) Isolator using externally pressurized sealing bellows
US20190264396A1 (en) Adaptive vibration isolator
US4995583A (en) Devices for damping the vibrations of stay cables
WO2006060956A1 (fr) Amortisseur
US6896109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vibration isolator
JP6798749B2 (ja)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使用方法
US9404550B2 (en) Rotary damper
KR100965235B1 (ko) 방진댐퍼
BR9805333A (pt) Amortecedor com função de tamponamento intermediária e compensação de temperatura.
KR101678424B1 (ko)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JP2017053135A (ja) 建物の制振構造
CN110080094A (zh) 装配式混凝土桥墩
US4241816A (en) Self-locking shock absorber with volume compensation
US20050218570A1 (en) Vibration control equipment
CN209876153U (zh) 一种用于管道隔振防冲击的万向粘滞阻尼器
EP1040283A1 (en) Shock transmission unit
KR100965236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CN101173703A (zh) 阻尼器
JPH0689807B2 (ja) 液入り防振装置
JP2533330Y2 (ja) 橋梁用緩衝装置
KR19980033252A (ko) 상이한 공진진동수의 유체를 가지는 유체봉입식 원통형 진동감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