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424B1 -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 Google Patents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424B1
KR101678424B1 KR1020160131215A KR20160131215A KR101678424B1 KR 101678424 B1 KR101678424 B1 KR 101678424B1 KR 1020160131215 A KR1020160131215 A KR 1020160131215A KR 20160131215 A KR20160131215 A KR 20160131215A KR 101678424 B1 KR101678424 B1 KR 101678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ylinder
cylinder housing
piston ro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이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진 filed Critical 이병진
Priority to KR102016013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100)과, 피스톤(200)과, 상기 피스톤(2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30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는 제1헤드(400)와, 상기 제1헤드(400)를 통과하는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단(50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는 제2헤드(600)와, 상기 제2헤드(600)가 결합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캡(700)과, 상기 고정캡(700)에 나사 결합되는 제2연결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의 누유 방지가 가능하여 내구성 및 신뢰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 보호캡을 통해 내부 구조물의 보호 및 육안 관찰이 가능하여 유지관리의 용이성 확보, 유지 관리비 절감, 제품 손상의 방지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Viscous Damper}
본 발명은 교량 및 건축 구조물 등에서 바람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구조물의 감쇠비를 증대시켜 구조물에 발생하는 부재의 가속도와 변위응답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물을 지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공용중인 기존 교량 구조물의 보강 시에는 교통 통제가 필요 없고 기존의 교량받침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내진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점성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댐퍼의 설치시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의 누유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내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내부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외부에서 내부 구조물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육안 조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에 적용되는 공지의 댐퍼로는 강재댐퍼(Metallic Damper), 마찰댐퍼(Friction Damper), 점성댐퍼(Viscous Damper) 등이 있다.
통상 점성댐퍼는 가동단 교각의 교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시에는 가동단 교각에 아무 저항없이 신축하다가 지진시에는 동적거동 (F=CVα : F:감쇠력,C:점성계수,α)에 의해 지진력을 저감시키고, 점성댐퍼가 설치된 교각으로 지진력을 분산시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한 점성댐퍼의 구성은 크게 실린더 본체, 실린더 헤드, 점성유체, 피스톤, 피스톤 로드, 핀 연결부, 실린더 보호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성댐퍼의 거동특성을 살펴보면 운동속도에 비례하여 감쇠력이 발생하며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가 피스톤의 주변 틈 사이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분자간의 마찰열이 발생되어 지진력을 저감해주는 원리로써, 상시 온도변화에 의한 느린 이동 같이 작용시간이 긴 저속하중에는 속도가 낮아 매우 작은 마찰열이 발생되고, 바람과 지진처럼 빠르게 이동하며 작용시간이 짧은 고속하중에서는 매우 높은 마찰열이 발생되어 감쇠력을 발휘한다.
또한, 별도의 보조장치나 외부의 전력이 필요 없고, 큰 지진 후에도 점성댐퍼의 손상과 점성유체의 누유만 없다면 성능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점성유체는 에너지를 소산시키며 감쇠력을 발휘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점성유체 누유 시에는 지진 발생에 따른 점성댐퍼의 감쇠력을 발휘할 수 없다.
하지만, 공용 중 외기에 장기간 노출된 점성댐퍼는 유지관리 소홀에 따른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의 누유 조사가 어려우며, 유지관리 시에도 실린더 보호캡의 해체에 따른 점성댐퍼의 손상 없이는 조사가 불가능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으로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 누유 시에는 지진 발생에 따른 구조물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점성댐퍼의 조립형상에 따라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를 실린더 본체와 실린더 헤드로 밀착 후 볼트로 체결한 조립방식은 공용 중 외부 충격과 진동에 의해 볼트가 쉽게 풀리는 현상과 함께 실린더 헤드의 유격이 발생 후 점성유체가 누유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누유 방지가 뛰어난 점성댐퍼의 개발이 필요하고 실린더 보호캡을 고무자바라 형식으로 사용 시 공용 중 고무의 경화 및 관리 소홀에 따른 찢김 형상이 발생하여 외기에 노출 시 피스톤 로드의 부식 발생을 내포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발 또한 필요한 실정에 있다.
종래 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0793호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을 밀폐하고 연결바가 설치된 제1캡과, 상기 몸체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2캡으로 이루어진 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환형(環形)의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스토퍼와의 사이에 점성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환형(環形)의 제2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에 밀착되도록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제1스토퍼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1림블록과, 상기 제2스토퍼에 밀착되도록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제2스토퍼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2림블록으로 이루어진 림블록과; 상기 실린더의 제2캡을 관통하여 몸체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서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로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로드의 피스톤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점성유 유통홈이 형성되어, 피스톤이 제1림블록이나 제2림블록에 내부에 삽입될 때 점성유 유통홈을 통하여 점성유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에는 제1,2패킹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드와 제1스토퍼, 상기 로드와 제2스토퍼 사이로 점성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점성댐퍼는 운동속도에 비례하여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가 피스톤의 주변 틈사이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분자간의 마찰열이 발생되어 지진력을 저감해주는 원리로써,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유통홈을 통한 점성유의 이동 시 마찰열을 발생시켜 지진력을 저감해주기 어려운 구조이며, 점성유를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를 구성 시 공용 중 주입구를 통해 누유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1, 2패킹을 통한 누유 조사가 외부 육안 검사시 이를 확인할 수 없어 누유 현상 발생시 점성댐퍼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등록특허 제10-1400793호 공고일 2014. 05. 29 KR 등록특허 제10-1381283호 공고일 2014. 04. 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의 누유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실린더 보호캡 해체에 따른 점성댐퍼의 손상없이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점성댐퍼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말해,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가 누유되지 않도록 실린더 본체와 실린더 헤드가 나사산 형태로 형성 후 볼트 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어 완벽한 점성유체의 누유 방지를 제공하며, 피스톤 로드 및 실린더 헤드의 누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을 형성하여 실린더 보호캡의 해체없이 점성댐퍼의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함을 제공하였으며, 이와 함께 피스톤 로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자바라 형식의 실린더 보호캡이 아닌 강재 보호캡을 사용하며 유격이 발생하는 부위에 외기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부식 방지용 보호재를 제공 하였으며, 부식방지 기능외에 추가로 실린더 보호캡과 점검창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실린더와 헤드의 접합 시 나사 연결부의 충분한 기밀 보존과 나사 연결부의 밀폐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실린더와 헤드의 연결부는 테이퍼 가공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확실한 고정력 및 안정된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성댐퍼에 있어서,
양쪽 단부에 나사면이 형성된 중공홀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과; 외측 둘레면이 상기 중공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중심에 안내홀이 관통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안내홀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중간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를 통과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며 일측에 링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단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제2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뒷쪽에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나사면이 형성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고 일측에 링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의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잠금캡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스톤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피스톤로드의 중간부 양쪽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피스톤에 밀착 결합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제1연결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접하여 내부를 폐쇄하게 되는 실린더 보호캡(9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보호캡의 내주홀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마찰재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보호캡의 일측에 촬영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헤드와 접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측에 눈금이 표시되어 센싱된 신호값을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신호값을 제어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 또는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보호캡의 일측에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투시창이 가이드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개방구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의 양단이 슬라이드 되며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가이드레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측이 개방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투시창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이 회동되면서 개방구를 커버하는 경첩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의 누유 방지가 가능하여 내구성 및 신뢰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 보호캡을 통해 내부 구조물의 보호 및 육안 관찰이 가능하여 유지관리의 용이성 확보, 유지 관리비 절감, 제품 손상의 방지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성댐퍼 부식 방지로 내구연한의 증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댐퍼의 외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다른 예로서 실린더 보호캡이 결합된 상태의 외관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실린더 보호캡의 표면에 투시 가능한 점검용 투시창이 형성됨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외관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투시창의 결합상태를 보인 실시예,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2의 "F"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분리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사항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 등에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하는 점성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댐퍼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100)과, 피스톤(200)과, 상기 피스톤(2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30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는 제1헤드(400)와, 상기 제1헤드(400)를 통과하는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단(50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는 제2헤드(600)와, 상기 제2헤드(600)가 결합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캡(700)과, 상기 고정캡(700)에 나사 결합되는 제2연결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은, 파이프 형상으로 중공홀(1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양쪽 단부에 나사면(120)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200)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110)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외측 둘레면이 상기 중공홀(11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중심에 안내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중공홀(110)의 내벽과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부재(220)가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00)는, 상기 안내홀(210)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중간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헤드(400)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110)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4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단(500)은, 상기 제1헤드(400)를 통과하는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일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며 일측에 고정구(540) 연결을 위한 링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헤드(600)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110)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300)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61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700)은, 상기 제2헤드(600)의 뒷쪽에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110)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면(7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단(800)은, 상기 고정캡의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구(840) 연결을 위한 링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700)의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잠금캡(780)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단부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피스톤(200)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중간부 양쪽에 형성되는 나사부(310)(312)와, 상기 나사부(310)(31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피스톤(200)에 밀착 결합되는 너트부재(320)(322)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외측에 실린더 보호캡(9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은 원통 형상으로 내측 중공홀 일측이 상기 제1연결단(9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을 커버하며 슬라이드 결합된다.
즉,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은, 상기 피스톤로드(300) 이동시 상기 제1연결단(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단(50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중공홀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마찰재(96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을 통해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일측에 촬영센서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제1헤드(500)와 접하는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외측에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여 센싱된 신호값을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신호값을 제어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 또는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일측에 내부 투시 가능한 투시창(94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일측에 개방구(942)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942)에 투시창(940)이 가이드수단을 통해 결합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개방구(942)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940)의 양단이 슬라이드 되며 상기 개방구(942)를 커버하는 가이드레일(950)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측이 개방구(942)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투시창(940)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940)이 회동되면서 개방구(942)를 커버하는 경첩(950a)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다른 예로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과 접하는 상기 제1헤드(400)의 일측에 실링재(480)가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480)는,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에 상기 제1헤드(400)의 결합시 탄성 압축력을 발생하며 실링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실링재(480)는, 그 외형이 오링 형상을 취하며, 상기 제1헤드(40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460)에 감싸진 상태에서 한 쌍의 링부재(470)(472)에 의해 고정된다.
조립시에는, 상기 제1헤드(400)의 단턱(460)에 링부재(47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링재(480)을 결합시키고 순차적으로 링부재(472)를 서로 접하도록 결합시켜 상기 실링재(480)가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 일측에 형성된 나사면(102)이 테이퍼각(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헤드(400)의 외측 나사면(402)이 테이퍼각(a)이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테이퍼각(a,a')은, 안정된 결합을 위해 0.001~0.025 rad 으로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1헤드(400)의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결합시 테이퍼각을 통해 간편하게 결속되고 또한 실링재(480)를 통해 안정된 결합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설치 그리고 유지 보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피스톤(200)과 피스톤로드(300)를 일체로 결합시킨 다음 피스톤(200)이 결합된 피스톤로드(300)를 실린더 하우징(100)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시킨다. 그러면 피스톤(200)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슬라이드 되면서 위치되고 이후, 실린더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제1헤드(400)를 나사 결합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헤드(400)를 통과하는 피스톤로드(300)의 단부에 제1연결단(500)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연속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타측에 피스톤로드(300)의 단부가 슬라이드 통과될 수 있도록 제2헤드(600)를 나사결합시키고 순차적으로 고정캡(700)을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30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헤드(600) 및 고정캡(700)을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고정캡(700)을 실린더 하우징(100)에 잠금캡(780)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700)에 제2연결단(800)을 나사결합시켜 연결하면 된다.
설치시에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점성댐퍼를 제1 및 제2연결단(500)(800)의 링홀을 설치 장소의 고정구(540)(840)에 각각 연결시켜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유지 보수시에는, 실린더 보호캡(900)에 구비된 투시창(940)을 통해 육안으로 감시하면서 훼손 여부 및 교체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100: 실린더 하우징
200: 피스톤
300: 피스톤로드
400: 제1헤드
500: 제1연결단
600: 제2헤드
700: 고정캡
800: 제2연결단
900: 실린더 보호캡
940: 투시창 942: 개방구
950: 가이드레일 950a: 경첩
960: 마찰재

Claims (11)

  1. 점성댐퍼에 있어서,
    양쪽 단부에 나사면이 형성된 중공홀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100)과; 외측 둘레면이 상기 중공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중심에 안내홀이 관통 형성되는 피스톤(200)과; 상기 안내홀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중간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30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제1헤드(400)와; 상기 제1헤드를 통과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며 일측에 링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단(50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슬라이드 통과되도록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제2헤드(600)와; 상기 제2헤드의 뒷쪽에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홀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나사면이 형성되는 고정캡(700)과; 상기 고정캡의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고 일측에 링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단(8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700)의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잠금캡(780)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1연결단(5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접하여 내부를 폐쇄하게 되는 실린더 보호캡(90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내주홀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마찰재(9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일측에 촬영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헤드와 접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측에 눈금이 표시되어 센싱된 신호값을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신호값을 제어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 또는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호캡(900)의 일측에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투시창이 가이드수단을 통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개방구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의 양단이 슬라이드 되며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가이드레일(950)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측이 개방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투시창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이 회동되면서 개방구를 커버하는 경첩(950a)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과 접하는 상기 제1헤드(400)의 일측에 실링재(480)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재(480)가,
    상기 제1헤드(40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460)에 감싸져 결합되는 링부재(470)(472)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의 중공홀 일측에 형성된 나사면이 테이퍼각(a')을 형성하고, 상기 제1헤드(400)의 외측 나사면이 테이퍼각(a)을 형성하며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테이퍼각(a,a')이,
    0.001~0.025 rad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KR1020160131215A 2016-10-11 2016-10-11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KR101678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15A KR101678424B1 (ko) 2016-10-11 2016-10-11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15A KR101678424B1 (ko) 2016-10-11 2016-10-11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424B1 true KR101678424B1 (ko) 2016-11-22

Family

ID=5754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15A KR101678424B1 (ko) 2016-10-11 2016-10-11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4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37Y1 (ko) * 2017-06-21 2017-11-09 마게바이앤씨 주식회사 로드 방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댐퍼
KR101843709B1 (ko) * 2018-01-17 2018-03-29 김성환 누유 방지를 위한 점성 댐퍼
CN109306659A (zh) * 2018-09-25 2019-02-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设自由微动装置的液体粘滞阻尼器
KR102071677B1 (ko) 2019-09-30 2020-01-30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댐퍼 구조
CN111720475A (zh) * 2020-06-24 2020-09-29 南京长江都市建筑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阻尼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230A (ja) * 1998-02-06 1999-08-27 Sanwa Tekki Corp 油圧制振装置
JP2004116552A (ja) * 2002-09-24 2004-04-15 Kayaba Ind Co Ltd 制震ダンパ
JP2014009804A (ja) * 2012-07-03 2014-01-20 Kayaba Ind Co Ltd 緩衝器
KR101381283B1 (ko) 2012-06-01 2014-04-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시 진동 고정형 점성댐퍼
KR101400793B1 (ko) 2013-04-08 2014-05-29 안상은 점성댐퍼
JP2016161081A (ja) * 2015-03-03 2016-09-05 株式会社テクノタイヨー ダンパ、建築物の制振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230A (ja) * 1998-02-06 1999-08-27 Sanwa Tekki Corp 油圧制振装置
JP2004116552A (ja) * 2002-09-24 2004-04-15 Kayaba Ind Co Ltd 制震ダンパ
KR101381283B1 (ko) 2012-06-01 2014-04-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시 진동 고정형 점성댐퍼
JP2014009804A (ja) * 2012-07-03 2014-01-20 Kayaba Ind Co Ltd 緩衝器
KR101400793B1 (ko) 2013-04-08 2014-05-29 안상은 점성댐퍼
JP2016161081A (ja) * 2015-03-03 2016-09-05 株式会社テクノタイヨー ダンパ、建築物の制振構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37Y1 (ko) * 2017-06-21 2017-11-09 마게바이앤씨 주식회사 로드 방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댐퍼
KR101843709B1 (ko) * 2018-01-17 2018-03-29 김성환 누유 방지를 위한 점성 댐퍼
CN109306659A (zh) * 2018-09-25 2019-02-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设自由微动装置的液体粘滞阻尼器
CN109306659B (zh) * 2018-09-25 2024-01-2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设自由微动装置的液体粘滞阻尼器
KR102071677B1 (ko) 2019-09-30 2020-01-30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댐퍼 구조
CN111720475A (zh) * 2020-06-24 2020-09-29 南京长江都市建筑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阻尼器
CN111720475B (zh) * 2020-06-24 2021-01-12 南京长江都市建筑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424B1 (ko)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KR101305935B1 (ko) 배관용 다차원 완충장치
JP5620596B1 (ja) 構造物の制振装置
KR100810518B1 (ko)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댐퍼
KR101345996B1 (ko) 배관 충격 완충장치
KR100476439B1 (ko) 건축 구조물용 내진장치
Li et al. Self-centering hybrid dampers for improving seismic resilience
EA03131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сеяния энергии
KR101873363B1 (ko) 대칭적 유압라인의 자장유압 댐퍼를 구비한 케이블 댐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진동제어 방법
CN104233951A (zh) 一种多功能粘滞阻尼器及其连接方法
CN102296528A (zh) 多跨桥梁抗震用高精度速度锁定器
CN112780721A (zh) 一种单向受压自复位阻尼器及单向受压可滑移结构
CN1095477A (zh) 高压氧环境中密封件的试验装置
US4241816A (en) Self-locking shock absorber with volume compensation
JP4468212B2 (ja) 落橋防止装置
KR102071677B1 (ko) 댐퍼 구조
RU273492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мпфирования вибраций троса, в частности вантового троса
KR20090036724A (ko) 안전장치를 갖는 수격방지기
KR101070496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970172B1 (ko) 배관용 내진 슬립 조인트
Duflot et al. Experience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viscous dampers
KR101843709B1 (ko) 누유 방지를 위한 점성 댐퍼
JP5246495B2 (ja) 液圧緩衝器
CN101718076B (zh) 运动锁定装置
US20190346007A1 (en) Load damping assembly with gapping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