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496B1 -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496B1
KR101070496B1 KR1020080053893A KR20080053893A KR101070496B1 KR 101070496 B1 KR101070496 B1 KR 101070496B1 KR 1020080053893 A KR1020080053893 A KR 1020080053893A KR 20080053893 A KR20080053893 A KR 20080053893A KR 101070496 B1 KR101070496 B1 KR 101070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rotation
rotating
expansion joint
movab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362A (ko
Inventor
공혜선
강영구
Original Assignee
강영구
공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구, 공혜선 filed Critical 강영구
Priority to KR102008005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4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및 근접한 구조물간의 다양한 신축, 단차, 이동, 회전 등의 변위를 흡수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상판 단속부나 근접 구조물간에 대향되게 설치된 연결장치(30)가 온도변화, 지반이동,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한 신축, 침하, 비틀림, 이동 등의 다양한 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이나 구조물 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가 손상발생 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규모가 큰 블록(block)방식이 아닌 규모가 작은 세트(set)방식으로 크기가 작아 무게도 가볍고, 취급 및 조립도 쉬우며, 특히 보수시에 차량의 통행을 거의 제한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고, 신축이음장치 교체시 특정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신축이음장치, 내진신축이음장치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도1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중 회전장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중 고정장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중 연결장치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중 회전장치와 고정장치 조립순서 사시도,
도5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 조립순서를 보인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이 교축직각방향 변위를 수용하는 원리를 보인 개념도,
도7는 본 발명이 상,하방향 단차변위를 수용하는 원리를 보인 개념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9은 본 발명이 불규칙한 복합변위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이 상,하 단차변위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1)를 보인 사시도,
도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2)를 보인 사시도,
도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3)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상판 2 : Block Out
3 : 베이스 플레이트 10 : 회전장치
11 : 회전원통 12 : 좌우회전돌기
13 : 상하회전돌기 20 : 고정장치
21 : 결속홈 22 : 좌우회전홈
23 : 몸통부 30 : 연결장치
40 : 회전중심축부 41 : 정착홀
42 : 조립유도홈 43 : 회전지지부
50 : 윤하중재하부 60 : 가동축부
61 : 이동지지부 62 : 이탈방지볼트
63 : 이탈방지너트 64 : 이탈방지홀
65 : 이탈방지봉
본 발명은 이동 및 회전을 수용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변화 등에 의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신축과, 지점침하 등에 의한 상,하 방향 단차와, 지진이나 토압변화에 의해 발생한 불규칙한 변위를 수용하면서도, 교량상판(1) 및 구조물의 연속성을 유지시켜주며, 보수교체도 용이한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를 선정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설계조건으로는 교축방향으로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신축량과 구조물의 회전변위 및 처짐량, 그리고 구조적으로 필요한 여유량 등이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은 대부분 교축방향을 대상으로 정의된 것이며, 현재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설계방법도 계산된 교축방향 신축량을 수용할 수 있는 신축이음 장치를 선정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으며, 교축직각방향의 신축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지진시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할 경우 신축이음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교나 곡선교에서처럼 고정교량받침으로부터 맞은편 교량상판(1) 단부 양측까지의 신축장이 서로 다른 경우, 동일교량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의 신축량이 발생하게 되어 교량상판(1) 단부는 신축에 따른 평행이동을 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가진 부채꼴 모양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존의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며, 기존 신축이음장치 단면형상 변경 등의 추가적인 조치 및 정밀시공 등이 요구되기도 한다.
기존 신축이음장치는 손상이 발생하면, 일정한 크기의 블록 전체를 교체해야하고, 보수교체를 위한 교통 통제 구간이 넓어지며, 보수교체를 위한 작업시간도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신축이음장치 보수교체시 교체블록의 무게도 인력으로 취급하기에 어렵고 보조장비의 추가투입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신축이음장치는 교축방향 신축만 수용하고 지진시 불규칙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지진시 변위 흡수능력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진시 변위 흡수능력을 구비한 신축이음 장치의 경우도 구성 자체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도 어렵고, 보수교체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축방향 변위 뿐만아니라 상,하 단차 변위도 흡수하고 교축직각방향 변위 및 교량상판(1)의 평면상 비틀림 거동도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없이 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상판(1)의 연속성을 유지시켜 차량통행이 가능토록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 세트(SET)로 제작되면서도 구성이 단순하여 보수교체시 취급도 쉽고, 교체방법도 간단하여 교통통제 구간 및 시간을 최소화 해 줄 수 있는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의 각 부 상세구성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장치(10)와 고정장치(20) 그리고 연결장치(30)로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 상면에 결합된 고정장치(20)에 회전장치(10)가 끼워져서 결속되고, 회전장치(10)에 연결장치(30)가 조립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회전장치(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원통(11)과 좌우회전돌기(12)와 상하회전돌기(13)로 구성된다. 회전원통(11)은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20)와 조립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면 무방하고, 회전장치(10)의 몸체를 구성한다. 좌우회전돌기(12)는 도1에서와 같이 회전원통(11) 내부에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기둥 모양의 돌기로 형성된다. 상하회전돌기(13)는 도1에서와 같이 회전원통(11) 외부에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기둥 모양의 돌기로 형성된다. 상하회전돌기(13)의 설치위치는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회전중심축부(40)의 하면에 구비된 회전지지부(43)를 따라 형성된 원곡선의 중심점과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좌우회전돌기(12)의 설치위치는 상하회전돌기(13) 위치와는 무관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조립 및 구성을 단순화 하도록 상하회전돌기(13)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고정장치(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 목부, 몸통부(23)의 3단으로 구성된다. 머리부는 고정장치(20)의 상단으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측면에 결속홈(21)을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결속홈(21)의 크기는 좌우회전돌기(12) 직경크기로 구성되면 무방하다. 목부는 머리부와 몸통부(23) 사이에 구비되며, 머리부 및 몸통부(23) 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 모양으로 설치되어 좌우회전홈(22)을 형성하고, 목부의 직경은 좌우회전돌기(12)의 돌출길이와 저촉되지 않는 직경으로 구성되면 무방하고, 목부길이는 좌우회전돌기(12)의 단면크기와 일치시키면 무방하며, 설치위치는 회전장치(10)의 좌우회전돌기(12) 설치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23)는 도2에서와 같이 고정장치(20)의 하단에 위치하며, 원기둥 모양으로, 단면크기는 머리부와 동일하면 무방하고, 밑면을 베이스플레이트(3)에 결합시킬 때 보통의 나사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나, 작업의 단순화 및 구성의 단순화를 위해 용접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연결장치(30)는 도3에서와 같이 회전중심축부(40)와 윤하중재하부(50)와 가동축부(60)로 구성된다. 회전중심축부(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정착홀(41)과 조립유도홈(42)과 회전지지부(43)로 구성되며, 가동축부(60)는 부재의 구성에 따라 일체식과 분리식으로 구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일체식은 이동지지부(61)와 이탈방지봉(65)으로 구성되고, 분리식은 이동지지부(61)와 이탈방지볼트(62)와 이탈방지너트(63)와 이탈방지홀(64)로 구성된다.
상기의 회전중심축부(40)에서 정착홀(41)은 도5에서와 같이 회전장치(1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폭은 회전장치(10)의 외측직경과 일치되도록 하며, 연결장치(30)가 상하회전시에 회전장치(10)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유도홈(42)은 도5에서와 같이 회전장치(10)의 상하회전돌기(13)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설치깊이 및 폭은 상하회전돌기(13)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무방하고, N 자의 형태를 따라서 정착홀(41) 양측면에 구비되며, 조립유도홈(42)의 끝부분은 회전지지부(43)를 따라 형성된 원곡선의 중심점과 일치시켜 제작한다. 회전지지부(43)는 도3에서와 같이 회전중심축부(40) 하부에 형성된 원곡선을 따라서 회전중심축부(40)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의 가동축부(60)에서 이동지지부(61)는 도3에서와 같이 가동축부(60) 하단에 형성된 원곡선 형태를 따라서 가동축부(60) 하부에 구비된다. 이탈방지봉(65)은 일체식 가동축부(60)에 설치되는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장치(30)의 가동축부(60) 내측 하단에 구비된다. 이탈방지볼트(62)와 이탈방지너트(63)와 이탈방지홀(64)은 분리식 가동축부(60)에 설치되는데, 도3에서와 같이 이탈방지홀(64)은 가동축부(60) 하단에 설치되는 원형홀로써, 이동지지부(61) 상단에 위치하며, 이탈방지홀(64)로 이탈방지볼트(62)가 삽입된다. 이탈방지볼트(62)는 도3에서와 같이 머리부, 몸체부, 나사부로 구분되며, 머리부는 이탈방지홀(64)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되고, 몸체부는 이탈방지홀(64)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되면 무방하고 나사부는 이탈방지볼트(62) 몸체 끝부분에 이탈방지너트(63) 폭 만큼 나사산이 새겨져 구비되며, 이탈방지볼트(62) 몸체의 길이는 가동축부(60)의 외측면간 거리를 확보하면 무방하다.
상기의 윤하중재하부(50)는 도3에서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앞,뒤로는 회전중심축부(40)와 가동축부(60)가 결합되어 재하되는 각종하중을 회전지지부(43)와 이동지지부(61)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6은 본 발명의 평면상 거동을 예시한 개념도로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지진하중이나 수평하중이 작용하여 교량상판(1)이 교축직각방향으로 Δh만큼 이동변위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이 변위를 수용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6에서와 같이 교축직각방향으로 Δh만큼의 수평변위가 발생하면 본 발명의 일측 연결장치(30)의 회전중심축부(40)와 대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30)의 회전중심축부(40) 축선 사이에는 θ1의 회전변위가 발생되며, 축선을 따라서 일측의 이탈방지볼트(62)는 대향되어 설치된 윤하중 재하부(50)내의 최초위치에서 Δd/(cosθ1)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6의 그림에서와 같이 교량상판(1)에 발생한 교축직각방향 수평변위에 대해서 본 발명이 회전변위(θ1)와 이동변위(Δd/(cosθ1))를 조합하여 교량상판(1)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참고로 도9의 내용은 본 발명이 교축직각방향의 수평변위 뿐만아니라 교량상판(1) 양측의 변위가 다른 경우에도 평면상 불규칙한 비틀림 변위를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측면상 거동을 예시한 개념도로서, 지점침하 등에 의해 교량상판(1)에 상,하방향으로 ΔV만큼 단차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이 변위를 수용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ΔV만큼 단차가 발생하면 일측의 연결장치(30)는 회전장치(10)의 상하회전돌기(13)를 중심으로 θ2의 회전변위를 발생시키며, 일측의 가동축부(60)는 대향되어 설치된 윤하중 재하부(50) 내부의 최초위치에서 Δs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7의 그림에서와 같이 교량상판(1)에 발생한 상,하방향 단차에 대해서 본 발명이 회전변위(θ2)와 이동변위(Δs)를 조합하여 교량상판(1)의 단차변위를 수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참고로 도10의 내용은 본 발명이 교량상판(1)에 발생한 단차를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간에 평면상의 비틀림 거동이 발생한 경우 연결장치(30)가 좌우로 회전하게되면, 회전중심축부(40)의 조립유도홈(42)에 조립된 회전장치(10)의 상하회전돌기(13)를 좌우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 힘은 상하회전돌기(13)를 통해 회전원통(11)으로 전달되므로써 회전장치(10)는 고정장치(2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게 되며, 회전운동시 좌우회전돌기(12)는 고정장치(20)의 좌우회전홈(22)에 조립되어 있어서 회전장치(10)가 고정장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회전지지부(43)와 이동지지부(61)는 원곡선 형태를 따라 형성되므로 도10에서와 같이 상하단차에 따른 변위발생시에도 동일한 지지면적 확보가 가능하고, 윤하중재하부(50)로 부터 전달되는 각종 하중을 베이스플레이트(3)를 통해 교량상판(1)에 전달하게 된다.
이탈방지봉(65) 및 이탈방지볼트(62)는 연결장치(30)의 윤하중재하부(50)에 간섭되므로써 양측의 연결장치(30) 가동축부(60)가 상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일측의 연결장치(30)에 구비된 가동축부(60)는 대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30)의 윤하중재하부(50)에 맞물려 횡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되고 윤하중재하부(50)를 따르는 직선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조립유도홈(42)은 정착홀(41)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하회전돌기(13)가 안착되어 있어서 연결장치(30)의 이동은 구속되고, 상하회전만 가능하며, N자 모양으로 음각되어 조립유도홈(42)에서 상하회전돌기(13)가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조립은 쉽게된다.
일측의 가동축부(60)가 일체식이면, 대향되어 설치된 가동축부(60)는 분리식만 가능하고, 일측의 가동축부(60)가 분리식이면, 대향되어 설치된 가동축부(60)는 일체식과 분리식 모두가 가능하다.
상기의 연결장치는 도11과 도12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8 등에 표현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연결장치(30)에서 윤하중재하부(50) 및 가동축부(60) 등의 개수 및 형식은 교량의 규모, 교량의 길이, 신축량, 차량 통행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교량상판(1)에 발생하는 교축방향 신축변위 뿐만아니라, 교축직각방향 수평변위와 지점침하 등에 의한 상,하 단차 변위 및 평면상 비틀림 변위도 수용할 수 있다.
둘째, 사교나 곡선교 단부에서 발생하는 온도신축이나 지진 등에 의한 불균등 변위도 수용할 수 있다.
세째, 일반적인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직교에 적용하는 형식을 사교나 곡선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면형상의 변경이나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기본단면형상의 변경없이 직교, 사교, 곡선교에 동일한 형상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네째, 일반적인 신축이음장치가 큰 블록 단위로 제작되어 설치시나 유지관리시 인력작업 및 취급이 어렵고, 추가적인 장비를 투입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경우 작은 세트(SET)로 제작되고, 구성도 단순해서 인력작업이 간단하고 취급도 쉽다.
다섯째, 보수교체시 일반적인 신축이음의 경우, 교체시간이나 차량통제 등 간접비용의 손실이 크지만, 본 발명의 경우 교체시간도 짧고, 국부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여섯째, 기존의 신축이음장치는 연결부에 인발력 등이 발생하여 연결부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연결부에 인발력 등의 단면력이 발생하지 않고 지지부에서 수직반력만 발생되므로 연결부 손상이 방지된다.

Claims (10)

  1. 구조물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에 고정장치(20)가 다수개 설치되고 이 고정장치(20)의 결속홈(21)을 통해 회전장치(10)가 삽입되며, 회전장치(10)의 상하회전돌기(13)에 연결장치(30)의 정착홀(41) 양측면에 구비된 조립유도홈(42)을 끼워 넣음으로써 연결장치(30)가 좌우로 회전을 하게 되면 조립유도홈(42)에 끼워진 상하회전돌기(13)가 고정장치(20)의 좌우회전홈(22)을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좌우 회전변위를 수용할 수 있고, 연결장치(30)가 상하 회전하게 되면 조립유도홈(42)에 끼워진 상하회전돌기(13)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간의 단차발생에 따른 변위도 수용가능 하게되며, 상기와 같이 결합된 연결장치(30)에서 윤하중재하부(50)와 가동축부(60)가 대향되어 설치된 각 연결장치(30) 윤하중재하부(50)와 가동축부(60) 구성체 사이 공간에 안착되고 이탈방지볼트(62)로 결합되면 수평방향 변위를 수용가능함에 따라, 구조물과 구조물 또는 교량과 교량을 연결하여 교축방향 수평변위와 교축직각방향 수평변위, 상하방향 단차, 평면상의 비틀림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모양의 회전원통(11)과 그 양측면 내부 및 외부 각각에 좌우회전돌기(12)와 상하회전돌기(13)가 구비된 회전장치(10)와;
    머리부 양측면에 결속홈(21)이 설치되고, 목부에는 좌우회전홈(22)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몸통부(23)가 구비된 고정장치(20)와;
    회전중심축부(40)는 내부에 정착홀(41)이 구비되고, 그 내부 양측면으로 조립유도홈(42)이 설치되고, 양측 하면에 회전지지부(43)가 형성되며, 가동축부(60)는 이동지지부(61)와 이탈방지봉(65)으로 구성되는 일체식과 이동지지부(61)와 이탈방지볼트(62)와 이탈방지너트(63)와 이탈방지홀(64)로 구성되는 분리식으로 구분되며, 회전중심축부(40)와 가동축부(60)를 연결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윤하중재하부(50)가 구비된 연결장치;
    로 구성되는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회전돌기(12)는 원기둥 모양으로 회전원통(11)의 내부에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하며, 회전원통(11) 외부에 설치된 상하회전돌기(13)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고, 고정장치(20)의 결속홈(21)에 삽입되어 좌우회전홈(2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하회전돌기(13)는 원기둥 모양으로 회전장치(10)의 회전원통(11) 외부에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하며, 회전중심축부(40) 하단에 형성된 원곡선의 중심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속홈(21)은 고정장치(20)의 머리부 양측면에 180°의 각도로 대칭되도록 하며, 좌우회전돌기(12)의 폭과 길이에 맞춰 고정장치(20)의 목부 상단까지 음각되어 설치되고, 좌우회전돌기(1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우회전홈(22)은 고정장치(20)의 목부직경을 좌우회전돌기(12)의 돌출길이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머리부 및 몸통부(23)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하면 목부둘레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회전장치(10)의 좌우회전돌기(12)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조립유도홈(42)은 회전중심축부(40)의 정착홀(41) 양측면에 N자 형태로서 상하회전돌기(13)의 돌출길이와 간섭되지 않는 깊이로 설치되고, 조립유도홈(42)의 끝단은 회전중심축부(40) 하단에 형성된 원곡선의 중심까지 연장되어 상하회전돌기(13)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회전지지부(43)는 회전중심축부(40)에서 정착홀(41)을 배제한회전중심축부(40) 하면에 원곡선을 따라서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3) 위에 거치되어 상,하 회전 및 좌,우 회전 그리고 이동시에도 항상 일정한 지지면적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이동지지부(61)는 가동축부(60) 하면에 원곡선을 따라서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3) 위에 거치되어 상,하 회전 및 좌,우 회전 그리고 이동시에도 항상 일정한 지지면적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봉(65)은 원기둥 모양으로서 가동축부(60)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며, 가동축부(60)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서 가동축부(60)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대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30)의 윤하중재하부(50)에 간섭되어 가동축부(60)가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이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볼트(62)는 각부가 원기둥의 모양으로 머리부, 몸체부, 나사부로 구분되며, 머리부는 몸체부와 나사부에 비해서 직경이 크며, 몸체부 및 나사부는 이탈방지홀(64)과 같은 직경으로서 몸체부 길이는 가동축부(60) 외측면간 거리를 유지하고, 나사부는 이탈방지너트(63) 길이만큼 나사산이 가공되며, 이탈방지볼트(62)가 이탈방지홀(64)에 조립되면, 가동축부(60)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대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30)의 윤하중재하부(50)에 이탈방지볼트(62)가 간섭되어 가동축부(60)가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20080053893A 2008-06-09 2008-06-09 신축이음장치 KR101070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93A KR101070496B1 (ko) 2008-06-09 2008-06-09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93A KR101070496B1 (ko) 2008-06-09 2008-06-09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362A KR20080059362A (ko) 2008-06-27
KR101070496B1 true KR101070496B1 (ko) 2011-10-05

Family

ID=3980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893A KR101070496B1 (ko) 2008-06-09 2008-06-09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96B1 (ko)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2645128B1 (ko) 2023-07-26 2024-03-0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겹침이음 구조를 갖는 저소음형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553B (zh) * 2015-06-25 2018-09-25 贵阳花溪新光节能机械经营部 齿式公路桥梁伸缩缝连接装置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58Y1 (ko) 2006-03-15 2006-05-24 서팔훈 보도용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673792B1 (ko) 2006-02-28 2007-01-24 유니슨 주식회사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438684Y1 (ko) 2007-04-05 2008-02-2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92B1 (ko) 2006-02-28 2007-01-24 유니슨 주식회사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417258Y1 (ko) 2006-03-15 2006-05-24 서팔훈 보도용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438684Y1 (ko) 2007-04-05 2008-02-2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96B1 (ko)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2645128B1 (ko) 2023-07-26 2024-03-0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겹침이음 구조를 갖는 저소음형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362A (ko) 200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478B2 (ja) タワー制振装置
EP2208913A1 (en) Seismic isolation system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US20120066986A1 (en) Multi-directional torsional hysteretic damper (mthd)
KR100743044B1 (ko)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CN104070536A (zh) 具备平衡器装置的工业用机器人
KR101070496B1 (ko) 신축이음장치
US20040131287A1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KR20140011821A (ko) 유압장치를 응용한 복합 면진장치
US20160319499A1 (en) Viscoelastic damping device
RU2401753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46138B1 (ko) 교축 방향과 교축 직각 방향의 지진 하중을 동시에제어하는 교량용 충격전달장치 세트 및 내진 장치
US9181665B2 (en) Barrier system and connector
KR100673792B1 (ko) 내진 신축이음장치
CN211713666U (zh) 一种桥梁的伸缩缝装置
CN105953666A (zh) 一种空间对接误差补偿机构
CN105840725B (zh) 螺钉减振隔震器
KR100805186B1 (ko) 방음벽 어셈블리
CN115354768B (zh) 一种公共建筑消能减震结构的施工方法
KR102071677B1 (ko) 댐퍼 구조
KR101891770B1 (ko) 양단 지지 핑거를 이용한 교량 신축 이음 장치
KR200422408Y1 (ko)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CN202755295U (zh) 一种具有工作开关的液体粘滞阻尼器
KR102250708B1 (ko) 내진성능 보강 구조의 실린더형 유체댐퍼 장치
JP6507303B2 (ja) 3次元ブラケット付き落橋防止装置
CN214578557U (zh) 一种具有安装结构的粘滞阻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