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071B1 -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071B1
KR102283071B1 KR1020200121716A KR20200121716A KR102283071B1 KR 102283071 B1 KR102283071 B1 KR 102283071B1 KR 1020200121716 A KR1020200121716 A KR 1020200121716A KR 20200121716 A KR20200121716 A KR 20200121716A KR 102283071 B1 KR102283071 B1 KR 10228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ounting groove
roller
unit
ma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정희찬
Original Assignee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30Drawing through a d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4Labels, badges, e.g. marker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축 라벨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특히 종방향 연신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를 통과하는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를 포함하여 원단의 연신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수축 라벨 필름의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이다.

Description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PRODUCING DEVICE FOR SHRINKABLE LABEL FILME}
본 발명은 수축 라벨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특히 종방향 연신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를 통과하는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를 포함하여 원단의 연신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수축 라벨 필름의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 필름은 유리병, 플라스틱, 건전지, 식용유, 식품, 세제류의 라벨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있으며, 라벨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용제성, 내열성, 내후성 등의 물성이 요구되고 특히 MD방향(길이방향=기계방향)으로의 수축균일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축 라벨 필름을 제조 하기 위한 장치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169749호 및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부(10)와, 상기 압출부(1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특정 두께의 원단(W)을 성형하는 T다이부(20)와, 상기 T다이부(2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W)을 종방향 연신하는 종방향 연신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부(1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소정의 재료를 투입한 후 용융하여 T다이부(20)측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한편, 다층 구조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압출부(10)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축 라벨 필름이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스킨층 및 제2스킨을 가지는 경우 상기 필름을 성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스킨층은 75mm 압출기(배럴온도 200℃)로, 코어층은 120mm압출기(배럴온도 200℃)로 원료를 용융시킨 후 1900mm T다이부(20)를 통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단(W)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원단(W)은 종방향 연신부(30)를 통해 특정 배수(예를 들어 5배)로 길이 방향 연신하여 특정 두께의 수축 라벨 필름(F)을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를 통해 연신된 필름은 폭 방향 연신부(40)를 통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필름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방향 연신부(30)는 다수 개의 롤러(R)를 포함하여 원단(W)이 상기 롤러(R)를 통과하며 연신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원단(W)의 진행 방향이 일정하지 못하고 특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원단(W)의 연신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축 라벨 필름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수축 라벨 필름 및 수축 라벨 필름의 제조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93324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19827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16974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7405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방향 연신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를 통과하는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를 포함하여 원단의 연신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수축 라벨 필름의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중 조절을 위한 코어층(F2)과 상기 코어층(F2)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내열성을 구비하는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3)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 필름(F)을 제조하는 장치(1)로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코어층(F2)과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2)을 압출하는 압출부(10)와, 상기 압출부(1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특정 두께의 원단(W)을 성형하는 T다이부(20)와, 상기 T다이부(2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W)을 종방향 연신하여 수축 라벨 필름(F)을 성형하는 종방향 연신부(30)와,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를 통과하는 원단(W)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100)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사행 방지부(100)는 상기 원단(W)의 폭 방향 가장자리(W1)를 검출하는 영상 촬영부(110)와, 상기 원단(W)을 이송하는 롤러(R)의 각도를 조절하는 롤러 조절부(120)와, 상기 영상 촬영부(110)와 롤러 조절부(12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 상기 원단(W)의 폭 방향 가장자리(W1)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획득된 영상의 기울기를 산출하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원단(W)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CON)가 롤러 조절부(120)를 구동하여 롤러(R)를 특정 각도로 조절한다.
상기에서, 상기 롤러 조절부(120)는 상기 롤러(R)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121)와, 상기 동력 발생부(121)에 의해 전후진하며 상기 롤러(R) 일 측에 핀 결합하는 가압 바아(1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의 롤러(R)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구동부(200)는 롤러(R)의 양 측에 배치된 지지 브라켓(210)과 상기 지지 브라켓(210)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구동부(220)에 설치되고 롤러(R)와 연동되는 샤프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30) 일 측에는 샤프트 지지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30)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400)는 지면 혹은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 상에 구비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케이스(420)와, 상기 케이스(42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230)가 관통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샤프트 관통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420) 내부에는 주름관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며 하측은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되는 탄성 변형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450) 일 측에는 차단 디스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 디스크(440)는 탄성 변형부(450)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는 상기 차단 디스크(440)에 의해 상하 방향 구획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450) 상측에는 유체 분출부(460)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420)가 하강할 때,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의 유체는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통해 분출된다.
상기에서, 상기 탄성 변형부(450)는 주름관 형상이고 내부는 비어 있어 유체가 내부에 충진되는 탄성 변형부 본체(451)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452)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45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45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탄성 변형부 본체(45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디스크 형상이고 중앙은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상부 플랜지(452)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461)과 상기 베이스 판(46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분출부(462)를 포함하고, 상기 분출부(462)는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에 수직 관통공(462-2)이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분출부 본체(462-1)를 포함하되, 상기 분출부 본체(462-1)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관통공(462-2)과 연통되어 유체이 분출부 본체(462-1)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분출공(462-3)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420)의 저면과 베이스(410)사이에는 스프링(47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20)의 내측면에는 연동 바아(422)가 돌출되고, 상기 유체 분출부(460)의 분출부(462) 외측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홈(462-4)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동 바아(422)는 상기 나선홈(462-4)에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420)는 중공 형상이고 하측은 개방된 케이스 본체(421)와, 상기 케이스 본체(421)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판(423)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423)의 저면과 베이스(410) 사이에는 변형 지지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변형 지지부(500)는 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4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510)와, 상기 고정구(510)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520)는 구 형상의 연동볼(521)과, 상기 연동볼(521) 외부에 수평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연동볼(521) 하측에 하향 돌출되는 다수 개의 삽입 바아(522)와, 상기 연동볼(521)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423)과 연동되는 연결 바아(52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510)는 중공의 구 형상이고 상부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고정구 본체(511)와, 상기 고정구 본체(511) 내측에 돌출되고 중공 형상이며 내측 방향은 개방된 고정 격벽(512)과,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구비된 흡수 매트(513)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매트(513)는 압축성 유체가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삽입 바아(522)는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삽입되고 흡수 매트(513)에 접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격벽(512)은 깊이 방향으로 요홈된 제2매트 장착홈(5121-3)과, 상기 고정 격벽(512)의 폭 방향으로 요홈된 제1매트 장착홈(51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1고정 돌기(5121-2)가 깊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2고정 돌기(5121-4)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은 상기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제11매트 장착홈(5121-11)과 제12매트 장착홈(5121-12)로 구획되고,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은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는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은 상기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제21매트 장착홈(5121-21)과 제22매트 장착홈(5121-22)로 구획되고,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은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는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 매트(513)는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에 장착되는 제1매트(5131)와,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에 장착되는 제2매트(5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5131)는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 삽입되는 제11매트(5131-1)와,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에 삽입되는 제12매트(51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매트(5131-1)는 제12매트(5131-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고, 상기 제2매트(5132)는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 삽입되는 제21매트(5132-1)와,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에 삽입되는 제22매트(51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1매트(5132-1)는 제22매트(5132-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으며, 상기 제11매트(5131-1)와 제12매트(5131-2)는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21매트(5132-1)와 제22매트(5132-2)는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상호 이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방향 연신부에서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여 고 품질의 수축 라벨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사행 방지부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사행 방지부에 의해 원단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샤프트 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샤프트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장치의 변형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 조절을 위한 코어층(F2)과 상기 코어층(F2)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내열성을 구비하는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3)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 필름(F)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상기 코어층(F2)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폴리스티렌을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층(F2)에 의해 수축 라벨 필름(F)의 비중을 조절하여 재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킨층(F1)과 제2스킨층(F3)은 내열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축 라벨 필름(F)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코어층(F2)과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3)을 압출하는 압출부(10)와, 상기 압출부(1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특정 두께의 원단(W)을 성형하는 T다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부(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스킨층(F1)및 제2 스킨층(F3)은 75mm 압출기(배럴온도 200℃)로, 코어층(F2)은 120mm압출기(배럴온도 200℃)로 원료를 용융시킨 후 1900mm T다이부(20)를 통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단(W)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T다이부(20)를 통해 토출되는 원단(W)은 종방향 연신부(30)를 통해 특정 배수(예를 들어 5배) 만큼 연신된다. 이러한 종방향 연신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롤러(R)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종방향 연신부(30) 자체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T다이부(20)를 통해 토출되고 종방향 연신부(30)를 통해 연신되는 과정에 있는 것을 원단이라고 지칭하고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를 통해 연신된 것을 수축 라벨 필름이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를 통과하는 원단(W)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100)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롤러(R)를 통과하는 원단은 롤러(R)의 회전 방향에 접하는 직선 방향으로 전진해야 한다. 그런데 외력의 작용 등에 의해 롤러(R)의 회전이 일정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원단이 정확한 직선 이동을 하지 못하고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사행이라 한다. 상기 원단이 사행을 하는 경우 상기 종방향 연신부(30)에서 정확한 비율로 연신되지 못하여 원하는 품질의 수축 라벨 필름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사행 방지부(100)를 포함하여 상기 원단의 사행을 방지한다. 이러한 사행 방지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연신부(50)의 폭 방향 가장자리(W1)를 검출하는 영상 촬영부(110)와, 상기 수축 라벨 필름(F)을 이송하는 롤러(R)의 각도를 조절하는 롤러 조절부(120)와, 상기 영상 촬영부(110)와 롤러 조절부(12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즉,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 원단(W)의 폭 방향 가장자리(W1, 도 2에서 도면상 좌우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폭 방향 가장자리(W1)는 획득된 영상의 픽셀의 색채 정보(R,G,B 색채 값)을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영상 이미지 중 원단(W)에 해당하는 부분을 영역I이라 하고 원단(W) 외측 부분을 영역II라고 하면, 상기 영역I에서의 픽셀의 색채 정보는 큰 변화없이 일정하게 도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영역I에서 영역II로 넘어갈때 픽셀의 색채 값은 급격하게 변동된다. 이때, 상기 색채 값이 급변하기 직전의 특정 영역을 상기 폭 방향 가장자리(W1)로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영상 촬영부(110)는 널리 알려진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 상기 수축 라벨 필름(F)의 폭 방향 가장자리(F1)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획득된 영상의 기울기를 산출하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원단(W)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즉, 도 3에서 도면상 하측 방향이 원단(W)의 진행방향인 경우 도면상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 검출된 원단 가장자리(W1)의 기울기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기울기는 상기 기준 방향에서 예각 방향의 각도(θ)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θ)가 기 설정된 기울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CON)가 롤러 조절부(120)를 구동하여 롤러(R)를 특정 각도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진행 방향이 도면상 우측으로 치우쳐서 상기 기울기(θ)가 기 설정된 기울기 보다 큰 경우 상기 롤러(R)의 각도를 변경하여 case 1과 같이 도시된 방향으로 조절하거나 혹은 반대로 원단(W)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case 2와 같은 방향으로 조절하여 원단(W)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R)의 각도 조절은 롤러 조절부(120)에 의해 행하여 진다. 이러한 롤러 조절부(120)는 상기 롤러(R)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121)와, 상기 동력 발생부(121)에 의해 전후진하며 상기 롤러(R) 일 측에 핀 결합하는 가압 바아(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 바아(122)의 전후진에 의해 롤러(R)의 각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롤러(R)를 case 1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가압 바아(122)가 상기 롤러(R)를 원단의 진행 방향(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밀거나 혹은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가압 바아(122)를 원단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롤러(R)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조절부(120)를 한 쌍 구비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롤러 조절부(120)에 의해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여 고 품질의 수축 라벨 필름을 성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는 다수 개의 롤러(R)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R)는 롤러 구동부(200)에 의해 구동된다(도 1참조). 이러한 롤러 구동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R)의 양 측에 배치된 지지 브라켓(210)과 상기 지지 브라켓(210)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구동부(220)에 설치되고 롤러(R)와 연동되는 샤프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210)은 지면이나 또 다른 지지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지지 브라켓(210)에 설치되는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30)는 상기 구동부(220)에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롤러(R)는 상기 샤프트(230)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2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230)는 상기 지지 브라켓(210)을 관통하여 구동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브라켓(210)에 각각 설치되어 단일한 샤프트(23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230) 일 측에는 샤프트 지지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30)를 지지한다. 즉, 상기 롤러(R)는 자체 중량 외에도 원단을 가압 연신하는 관계로 롤러(R)에 큰 힘이 작용하거나 혹은 진동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상기 샤프트(230)에도 큰 힘 또는 진동이 작용하여 샤프트(230)가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롤러(R)의 회전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지지부(400)는 지면 혹은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 상에 구비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케이스(420)와, 상기 케이스(42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230)가 관통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샤프트 관통부(4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샤프트 관통부(430)를 통과하면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30)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230)와 샤프트 관통부(430) 사이에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420) 내부에는 주름관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예를 들어 공기)가 충진된 탄성 변형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450) 일 측에는 차단 디스크(4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단 디스크(440)는 탄성 변형부(450)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는 상기 차단 디스크(440)에 의해 상하 방향 구획된다.
상기 탄성 변형부(450) 상측에는 유체 분출부(460)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420)가 하강할 때,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의 압축성 유체는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통해 분출된다.
즉, 롤러의 자중 등에 의해 샤프트(230)에 힘이 부가되어 샤프트(23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230)의 하강에 의해 샤프트 관통부(430)와 케이스(420)가 하강한다. 상기 케이스(420)가 하강하면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가압하여 하강시킨다. 상기 유체 분출부(460)가 하강하면 상기 탄성 변형부(450)가 하강하면서 압축된다. 이는 상기 탄성 변형부(450)의 하측이 베이스(410)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 변형부(450)가 압축되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압축성 유체가 연동되어 압축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롤러의 자중 등에 의해 부가되는 힘을 흡수하여 샤프트(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만일 상기 샤프트(230)에 가해지는 힘이 특정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탄성 변형부(450)가 하강하면서 압축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통해 케이스(420) 내부 공간으로 분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샤프트(23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420) 내부 공간은 차단 디스크(440)에 의해 상하 방향인 영역1 및 영역2로 구획된다. 즉,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 유체는 상기 차단 디스크(440)에 차단되어 케이스(420) 하측 즉, 영역2로 유동하지 못하고 차단 디스크(440) 상방향 공간 즉, 영역1에 충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충진된 유체가 상기 유체 분출부(460)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 디스크(440)와 케이스(420) 내측면사이에 실링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480)는 널리 알려진 O-RING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 디스크(440)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450)는 주름관 형상이고 내부는 비어 있어 유체가 내부에 충진되는 탄성 변형부 본체(451)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452)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4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45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탄성 변형부 본체(451) 내부와 연통된다. 즉,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는 널리 알려진 주름관 형상을 가져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452)는 판체 형상을 가지되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탄성 변형부 본체(451)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453) 역시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베이스(410)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디스크 형상이고 중앙은 개방된 형상인 베이스 판(461)과 상기 베이스 판(46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분출부(46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판(461)은 상기 상부 플랜지(45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 분출부(460)가 하강하면 상기 베이스 판(461)이 하강하여 상부 플랜지(452) 및 탄성 변형부 본체(451)를 하강시켜 압축되게 한다.
상기 분출부(462)는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에 수직 관통공(462-2)이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분출부 본체(462-1)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출부 본체(462-1)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관통공(462-2)과 연통되어 유체가 분출부 본체(462-1)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분출공(462-3)이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분출부(462)는 베이스 판(46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판(461) 하측에는 상부 플랜지(452)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452)의 내부는 개방되어 탄성 변형부 본체(451)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가 압축되면 내부에 충진된 유체 역시 압축되어 상부 플랜지(45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분출부 본체(462-1)의 하측면에 접한다. 이때, 상기 분출부 본체(462-1)의 하측면에는 수직 관통공(46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된 유체는 수직 관통공(462-2)을 경유하여 상승한다. 상기 수직 관통공(462-2)에는 분출공(46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체는 상기 분출공(462-3)을 경유하여 분출부(462) 외부로 분출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롤러 등의 자중에 의해 샤프트에 힘이 작용하여 샤프트가 하향 변형되면 이에 의해 탄성 변형부(450)가 압축되고 이에 의해 탄성 변형부 본체(451) 내부에 충진된 압축성 유체가 압축되면서 상기 샤프트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한다. 이때, 상기 압축성 유체의 압력이 특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관통공(462-2)과 분출공(462-3)을 통해 분출부(462) 외부로 토출되므로 상기 샤프트에 작용되는 힘을 추가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부(450)의 상부 플랜지(452)는 유체 분출부(460)의 베이스 판(461)과 접하며 상기 상부 플랜지(452)와 베이스 판(461)은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420)의 저면과 베이스(410)사이에는 스프링(4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샤프트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케이스(420)가 하강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스(420)가 베이스(410)와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스프링(470)이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410)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411)와, 상기 베이스 본체(411) 상에 돌출하는 고정 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450)의 하부 플랜지(453)의 경우 상부 플랜지(452)와 유사하게 판체 형상이고 중앙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플랜지(453)의 중앙 부분에 상기 고정돌기(412)가 삽입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453)와 베이스 본체(411)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420)의 내측면에는 연동 바아(422)가 돌출되고, 상기 유체 분출부(460)의 분출부(462) 외측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홈(462-4)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 바아(422)는 상기 나선홈(462-4)에 삽입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샤프트 등에 복합적인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케이스(41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 바아(422)가 상기 나선홈(462-4)에 삽입된 상태로 케이스(410)가 회전하도록 하여 케이스(4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4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방향1)로 회전할 수 있고, 상하 방향(방향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정 방향(방향3)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향2의 이동은 상술한 탄성 변형부(450)와 분출부(460)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방향1 및 방향3의 이동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 지지부(50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420)는 도 6과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이고 하측은 개방된 케이스 본체(421)와, 상기 케이스 본체(421)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판(423)을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판(423)의 저면과 베이스(410) 사이에 변형 지지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변형 지지부(500)는 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4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510)와, 상기 고정구(510)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520)는 구 형상의 연동볼(521)과, 상기 연동볼(521) 외부에 수평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연동볼(521) 하측에 하향 돌출되는 다수 개의 삽입 바아(522)와, 상기 연동볼(521)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423)과 연동되는 연결 바아(5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삽입 바아(522)는 연동볼(521) 외부에 수평 원주 방향(도 12에서 수평 방향)으로 특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 바아(522)는 연동볼(521)의 하측에도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 바아(522)는 연동볼(521)의 수평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 바아(523)는 돌출판(423)과 연동되며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판(423)에 삽입홈(423-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23-1)에 연결 바아(523)가 삽입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상기 고정구(510)는 중공의 구 형상이고 상부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고정구 본체(511)와, 상기 고정구 본체(511) 내측에 내향 돌출되고 중공 형상이며 내측 방향은 개방된 고정 격벽(512)과,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구비된 흡수 매트(51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격벽(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는 비어 있고 고정구 본체(511)의 내측방향으로는 개방된다. 이러한 고정 격벽(512) 내부에 흡수 매트(513)가 삽입된다. 상기 흡수 매트(513)는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상기 삽입 바아(522)는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삽입되고 흡수 매트(513)에 접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410)는 특정 방향(방향1)로 회전할 수 있고, 특정 방향(방향3)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1 및 방향3의 이동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 지지부(500)가 구비된다.(도 9참조)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특정 방향의 힘이 작용되어 상기 케이스(410)가 예를 들어 방향1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 바아(523) 역시 연동되어 방향a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 바아(523)가 방향a로 이동하면, 삽입 바아(522) 중 제4삽입 바아(522-4)는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3삽입 바아(522-3)는 상향 이동하며 제5삽입 바아(522-5)는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각 삽입 바아(522)는 고정 격벽(512)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흡수 매트(513)에 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삽입 바아(522-1)가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흡수 매트(513)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흡수 매트(513)는 압축된다. 상기 압축된 흡수 매트(513)는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제1삽입 바아(522-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나머지 삽입 바아의 경우도 동일하게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스(410)가 방향 1로 회전하거나 혹은 방향 3으로 경사지게 되면 상기 삽입 바아 역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외력이 사라지면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샤프트에 특정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상기 변형 방지부(500)에 의해 상기 케이스(4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의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연신 공정 역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 격벽(512)은 흡수 매트(513)가 장착되며 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방향으로 요홈된 제2매트 장착홈(5121-3)과, 상기 고정 격벽(512)의 폭 방향으로 요홈된 제1매트 장착홈(5121-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1고정 돌기(5121-2)가 깊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2고정 돌기(5121-4)가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은 상기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제11매트 장착홈(5121-11)과 제12매트 장착홈(5121-12)로 구획되고,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은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는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은 상기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제21매트 장착홈(5121-21)과 제22매트 장착홈(5121-22)로 구획되고,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은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는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수 매트(513)는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에 장착되는 제1매트(5131)와,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에 장착되는 제2매트(5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매트(5131)는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 삽입되는 제11매트(5131-1)와,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에 삽입되는 제12매트(51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매트(5131-1)는 제12매트(5131-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1매트(5131-1)는 제12매트(5131-2)보다 변형이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 바아가 상기 제1매트(5131)에 접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제11매트(5131-11)가 먼저 변형되고 제12매트(5131-12)가 그 후에 변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력의 강도에 따라 순착적으로 흡수 매트가 작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하게된다.
또한, 유사하게 상기 제2매트(5132)는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 삽입되는 제21매트(5132-1)와,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에 삽입되는 제22매트(51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1매트(5132-1)는 제22매트(5132-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게 형성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매트(5131-1)와 제12매트(5131-2)는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21매트(5132-1)와 제22매트(5132-2)는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상호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1매트(5131-1)가 일정 크기만큼 먼저 변형된 후 제12매트(5131-2)가 변형되어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제21매트(5132-1)가 먼저 변형되고 제22매트(5132-2)가 변형되어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사행 방지부 110 : 영상 촬영부
120 : 롤러 조절부 121 : 동력 발생부
122 : 가압 바아 200 : 롤러 구동부
210 : 지지 브라켓 220 : 구동부
230 : 샤프트 400 : 샤프트 지지부
410 : 베이스 420 : 케이스
430 : 샤프트 관통부 440 : 차단 디스크
450 : 탄성 변형부 451 : 탄성 변형부 본체
452 : 상부 플랜지` 453 : 하부 플랜지
460 : 유체 분출부 461 : 분출부
462 : 분출부 462-1 : 분출부 본체
462-2 : 수직 관통공 462-3 : 분출공
462-4 : 나선홈 470 : 스프링
480 : 실링부 500 : 변형 지지부
510 : 고정구 511 : 고정구 본체
512 : 고정 격벽 520 : 연동부
521 : 연동볼 522 : 삽입 바아
523 : 연결 바아

Claims (8)

  1. 비중 조절을 위한 코어층(F2)과 상기 코어층(F2)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내열성을 구비하는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3)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 필름(F)을 제조하는 장치(1)로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코어층(F2)과 제1스킨층(F1) 및 제2스킨층(F3)을 압출하는 압출부(10)와, 상기 압출부(1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특정 두께의 원단(W)을 성형하는 T다이부(20)와, 상기 T다이부(20)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W)을 종방향 연신하여 수축 라벨 필름(F)을 성형하는 종방향 연신부(30)와,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를 통과하는 원단(W)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부(100)와, 상기 종방향 연신부(3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연신부(30)의 롤러(R)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구동부(200)는 롤러(R)의 양 측에 배치된 지지 브라켓(210)과 상기 지지 브라켓(210)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구동부(220)에 설치되고 롤러(R)와 연동되는 샤프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30) 일 측에는 샤프트 지지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30)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400)는 지면 혹은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 상에 구비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케이스(420)와, 상기 케이스(42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230)가 관통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샤프트 관통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420) 내부에는 주름관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며 하측은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되는 탄성 변형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450) 일 측에는 차단 디스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 디스크(440)는 탄성 변형부(450)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는 상기 차단 디스크(440)에 의해 상하 방향 구획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450) 상측에는 유체 분출부(460)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420)가 하강할 때, 상기 탄성 변형부(450) 내부의 유체는 상기 유체 분출부(460)를 통해 분출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 방지부(100)는 상기 원단(W)의 폭 방향 가장자리(W1)를 검출하는 영상 촬영부(110)와, 상기 원단(W)을 이송하는 롤러(R)의 각도를 조절하는 롤러 조절부(120)와, 상기 영상 촬영부(110)와 롤러 조절부(12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 상기 원단(W)의 폭 방향 가장자리(W1)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획득된 영상의 기울기를 산출하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원단(W)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CON)가 롤러 조절부(120)를 구동하여 롤러(R)를 특정 각도로 조절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절부(120)는 상기 롤러(R)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121)와, 상기 동력 발생부(121)에 의해 전후진하며 상기 롤러(R) 일 측에 핀 결합하는 가압 바아(122)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450)는 주름관 형상이고 내부는 비어 있어 유체가 내부에 충진되는 탄성 변형부 본체(451)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452)와, 상기 탄성 변형부 본체(4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45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45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탄성 변형부 본체(45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 분출부(460)는 디스크 형상이고 중앙은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상부 플랜지(452)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461)과 상기 베이스 판(46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분출부(462)를 포함하고,
    상기 분출부(462)는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에 수직 관통공(462-2)이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분출부 본체(462-1)를 포함하되,
    상기 분출부 본체(462-1)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관통공(462-2)과 연통되어 유체이 분출부 본체(462-1)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분출공(462-3)이 형성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20)의 저면과 베이스(410)사이에는 스프링(47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20)의 내측면에는 연동 바아(422)가 돌출되고,
    상기 유체 분출부(460)의 분출부(462) 외측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홈(462-4)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동 바아(422)는 상기 나선홈(462-4)에 삽입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20)는 중공 형상이고 하측은 개방된 케이스 본체(421)와, 상기 케이스 본체(421)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판(423)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423)의 저면과 베이스(410) 사이에는 변형 지지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변형 지지부(500)는 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4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510)와, 상기 고정구(510)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520)는 구 형상의 연동볼(521)과, 상기 연동볼(521) 외부에 수평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연동볼(521) 하측에 하향 돌출되는 다수 개의 삽입 바아(522)와, 상기 연동볼(521)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423)과 연동되는 연결 바아(52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510)는 중공의 구 형상이고 상부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고정구 본체(511)와, 상기 고정구 본체(511) 내측에 돌출되고 중공 형상이며 내측 방향은 개방된 고정 격벽(512)과,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구비된 흡수 매트(513)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매트(513)는 압축성 유체가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삽입 바아(522)는 상기 고정 격벽(512) 내부에 삽입되고 흡수 매트(513)에 접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격벽(512)은 깊이 방향으로 요홈된 제2매트 장착홈(5121-3)과, 상기 고정 격벽(512)의 폭 방향으로 요홈된 제1매트 장착홈(51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1고정 돌기(5121-2)가 깊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양 내측면 중앙부에는 제2고정 돌기(5121-4)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은 상기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제11매트 장착홈(5121-11)과 제12매트 장착홈(5121-12)로 구획되고,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은 제1매트 장착홈(5121-1)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는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은 상기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제21매트 장착홈(5121-21)과 제22매트 장착홈(5121-22)로 구획되고,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은 제2매트 장착홈(5121-3)의 바닥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는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서 고정 격벽(512)의 중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 매트(513)는 상기 제1매트 장착홈(5121-1)에 장착되는 제1매트(5131)와, 상기 제2매트 장착홈(5121-3)에 장착되는 제2매트(5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5131)는 상기 제11매트 장착홈(5121-11)에 삽입되는 제11매트(5131-1)와, 상기 제12매트 장착홈(5121-12)에 삽입되는 제12매트(51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매트(5131-1)는 제12매트(5131-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고,
    상기 제2매트(5132)는 상기 제21매트 장착홈(5121-21)에 삽입되는 제21매트(5132-1)와, 상기 제22매트 장착홈(5121-22)에 삽입되는 제22매트(51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1매트(5132-1)는 제22매트(5132-2)보다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이 낮으며,
    상기 제11매트(5131-1)와 제12매트(5131-2)는 제1고정 돌기(5121-2)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21매트(5132-1)와 제22매트(5132-2)는 제2고정 돌기(5121-4)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0200121716A 2020-09-21 2020-09-21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283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6A KR102283071B1 (ko) 2020-09-21 2020-09-21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6A KR102283071B1 (ko) 2020-09-21 2020-09-21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071B1 true KR102283071B1 (ko) 2021-07-29

Family

ID=7712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716A KR102283071B1 (ko) 2020-09-21 2020-09-21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07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9-06-15 박건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208538B1 (ko) * 1997-06-24 1999-07-15 성수경 필름제조용 압출연신장치
KR200240561Y1 (ko) * 1998-10-09 2001-11-22 김유일 에어스프링
JP2003145647A (ja) * 2001-11-06 2003-05-20 Nan Ya Plast Corp 型内一体成形用の三層共押出二軸延伸パール光沢合成紙巻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設備
KR100933242B1 (ko) 2007-04-30 2009-12-22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생분해성 mdo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9749B1 (ko) 2010-02-03 2012-07-30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mdo 열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9876B1 (ko) * 2012-08-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KR101606915B1 (ko) * 2015-07-28 2016-03-25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KR101740597B1 (ko) 2010-11-15 2017-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내열성 열수축 필름
KR101829308B1 (ko) * 2011-04-22 2018-02-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의 패턴의 사행 제어 장치
KR101867951B1 (ko) * 2018-02-21 2018-06-20 주식회사 정아유압 오일댐퍼
KR101983692B1 (ko) * 2016-12-01 2019-06-04 박종수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9-06-15 박건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208538B1 (ko) * 1997-06-24 1999-07-15 성수경 필름제조용 압출연신장치
KR200240561Y1 (ko) * 1998-10-09 2001-11-22 김유일 에어스프링
JP2003145647A (ja) * 2001-11-06 2003-05-20 Nan Ya Plast Corp 型内一体成形用の三層共押出二軸延伸パール光沢合成紙巻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設備
KR100933242B1 (ko) 2007-04-30 2009-12-22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생분해성 mdo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9749B1 (ko) 2010-02-03 2012-07-30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mdo 열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0597B1 (ko) 2010-11-15 2017-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내열성 열수축 필름
KR101829308B1 (ko) * 2011-04-22 2018-02-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의 패턴의 사행 제어 장치
KR101399876B1 (ko) * 2012-08-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사행 보정장치
KR101606915B1 (ko) * 2015-07-28 2016-03-25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KR101983692B1 (ko) * 2016-12-01 2019-06-04 박종수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KR101867951B1 (ko) * 2018-02-21 2018-06-20 주식회사 정아유압 오일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23446B1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en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CA2166170C (en)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foam
US7323128B2 (en) In-mold foam molding equipment and molding method
US7074027B2 (en) Extrusion die and method for forming dual wall corrugated plastic pipe and dual wall plastic pipe having a foam annular core
JP3814032B2 (ja) 成形品
US20090252935A1 (en) Multilayer film for use in simultaneous injection molding-lamination method
KR102283071B1 (ko)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CA2486159A1 (en) To enhance the thermal insulation of polymeric foam by reducing cell anisotropic ratio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NL8004049A (nl) Dunwandige diepgetrokken houder van thermoplastische har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20140339124A1 (en) Heat-resistant food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90246482A1 (en) Multilayer film for use in simultaneous injection molding-lamination method
KR20070094731A (ko) 플라스틱 제품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20010072827A (ko) 발포방향성 열가소성중합체로 된 2축방향성박포일의제조방법
CN100377014C (zh) 层压无缝带及其制造方法和含有该层压无缝带的成像设备
AU6122400A (en) Production of lenticular material
WO2001036521A2 (en) Thermoformed polyolefin foams and methods of their production
JP5401030B2 (ja) 押出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26327B1 (ko) 초미세 발포용 성형 장치
FI5736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tunnvaeggiga presstycken av termoplastisk plast
JP2001287258A (ja) 押出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押出成形品の連続製造方法
CN109334060A (zh) 二泡内注水吹胀pvc热收缩标签膜制备方法
HUT601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lumnlike body
KR101586672B1 (ko) 두개의 실리콘 압출실린더가 평행으로 형성된 이중 압출장치
KR19990063440A (ko) 발포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1981055B2 (en) Injection mold, injection molding machine including injectio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molded product using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