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276B1 -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276B1
KR100198276B1 KR1019960038026A KR19960038026A KR100198276B1 KR 100198276 B1 KR100198276 B1 KR 100198276B1 KR 1019960038026 A KR1019960038026 A KR 1019960038026A KR 19960038026 A KR19960038026 A KR 19960038026A KR 100198276 B1 KR100198276 B1 KR 10019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ing
heat
roller
heat shrin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785A (ko
Inventor
박건규
Original Assignee
박건규
주식회사유주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규, 주식회사유주왕 filed Critical 박건규
Priority to KR101996003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2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로 만들어진 제품의 라벨이나 제작되어진 용기를 한 묶음으로 만들어 낼수 있는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수축필름의 연신방향을 종방향으로 할 수 있는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의 연신방향을 종방향으로 40∼55%의 연신율 특성을 가지는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로써, 특히 밧데리등과 같이 종방향으로 연신율을 가지는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철판인쇄를 하던 것을 대체하여 필름에 용이하게 인쇄를 하여 밧데리등과 같은 제품에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포장지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본 발명은 용기로 만들어진 제품의 라벨이나 제작되어진 용기를 한 묶음으로 만들어 낼수 있는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수축필름의 연신방향을 종방향으로 할 수 있는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열수축필름이라 함은 열을 가함으로써 규격이 줄어드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필름을 말하고, 이때 사용되는 열수축필름은 각각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수축율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기의 라벨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열을 가하여 그 필름이 수축을 할 경우 수축율은 주로 폭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통상 그 수축율은 폭방향 50∼55%, 길이방향으로 5% 이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수축라벨 부착 제품은 상기 사양으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밧데리(주로 소형밧데리 AA SIZE 또는 AAA SIZE)의 경우 사용되는 수축라벨의 특성은 상기 사양과 전혀 다른 수축율 특성이 요구되는데, 그 수축율 특성의 비율은 폭방향 5% 이내, 길이방향 40∼55%이다.
따라서, 종래의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로 제조된 열수축필름은 밧데리등과 같은 수축율 특성을 요구하는 제품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철판인쇄를 하여 사용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로 제조되어지는 열수축필름의 연신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40∼55%연신되며, 폭방향으로는 5% 이내로 연신되는 열수축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의 구조는 필름을 보급하기 위한 권출기와; 상기 권출기로부터 필름을 보급받아 길이 방향으로 40∼55%연신을 하기 위하여 다수의 열전롤러가 설치된 종연신기와; 상기의 종연신기에서 연신되어진 열수축필름을 폭방향으로 5% 이내로 연신하기 위한 횡연신기; 상기의 권출기로부터 보급되어, 종연신기 및 횡연신기를 통과하여 완성된 열수축필름을 롤러에 감기위한 권취기로 이루어진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종연신기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종연신기와 횡연신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권출기 12 : 필름이 감긴 로울러
20 : 종연신기 22 : 열전롤러
24a : 제1연신롤러 24b : 제2연신롤러
30 : 횡연신기 40 : 권취기
42 : 롤러 100 : 열수축필름 제조장치
P : 열수축필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종연신기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의 종연신기와 횡연신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부호100은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이다.
먼저, 부호10은 열수축필름을 보급하기 위한 필름이 감긴 롤러(12)를 설치할 수 있는 권출기이고, 부호20은 권출기(10)로부터 필름(P)을 보급 받아 연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름(P)에 열을 가해주는 다수의 열전롤러와, 상기의 다수의 열전롤러를 통과한 필름(P)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롤러(24)가 설치된 종연신기이다.
또한, 부호30은 종연신기(20)에서 연신되어진 열수축필름을 폭방향으로 5% 이내로 연신하기 위한 관용의 횡연신기이고, 부호40은 권출기(10)로부터 보급되어, 종연신기(20) 및 횡연신기(30)를 통과하여 완성된 열수축필름을 롤러에 감기 위한 권취기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의 특징적인 작용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름이 감긴 롤러(12)을 권출기(10)에 설치하고, 상기의 권출기(10)에 설치된 필름이 감긴 롤러(12)의 필름(P)을 연신하기 위해 종연신기(20)에 보내진다.
상기 종연신기(20)로 보내진 필름(P)을 연신하기 위해 필름(P)에 열을 가해야만 필름(P)을 원활히 연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필름(P)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열전롤러(22)를 다수설치하여, 이 열전롤러(22)에 열풍을 가하여 열전롤러(22)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롤러(22)에 필름(P)을 보급하여 이동시키면 필름(P)이 연신하기에 필요한 열이 필름(P)에 충분히 흡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충분한 열을 흡수한 필름(P)을 연신롤러(24)를 통하여 사용시에 필요한 연시율을 얻어내는 것이다.
상기의 연신율을 얻어내기 위한 연신롤러(24)의 작동은 제1연신롤러(24a)와 제2연신롤러(24b)의 회전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제1연신롤러(24a)보다도 제2연신롤러(24b)의 속도를 크게 하면 제1연신롤러(24a)에서 제2연신롤러(24b)에 보급되어지는 필름(P)의 속도보다도 제2연신롤러(24b)에 의해 배출되는 필름(P)의 속도가 크기 때문에 필름(P)은 자연히 연신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제2연신롤러(24b)의 속도를 조정하여 필름(P)을 사용하기에 필요한 연신율을 얻어낼 수 있는 것으로, 제2연신롤러(24b)의 속도를 크게 하면 필름(P)의 연신율이 높아지고, 제2연신롤러(24b)의 속도를 작게 하면 필름(P)의 연신율은 작아지는 것이다[제2도 참조].
상기와 같이 종연신기(20)을 통과한 필름(P)은 길이방향으로 40∼55% 정도의 연신율을 가지는 필름(P)을 얻을 수 있다. 이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어진 필름(P)은 폭방향으로 약 5% 정도 줄어드는 현상이 있으므로, 폭방향으로 줄어진 길이만큼을 연신시키기 위하여 관용의 횡연신기(30)를 설치하여 필름(P)의 폭방향을 5% 정도 이내로 연신시키는 것이다[제3도 참조].
관용의 횡연신기는 열풍이 순환하는 오븐장치와 오븐장치속 양쪽에 필름을 잡아 끌수 있도록 크립을 장착한 레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븐 양쪽에 장치된 레일은 좌우로 조절되어 있는 입구부에서 양쪽크립에 의해 물려 있는 필름을 오븐속에서 연화시킨 후 오븐 중간지점에서부터 서서히 좌우의 레일의 폭을 늘려주어 폭방향으로 연신을 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길이방향으로 40∼55%연신되고, 폭방향으로 5% 연신되어진 필름(P)은 권출기(40)로 보내져 롤러(42)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필름의 연신방향을 길이방향으로 40∼55%, 폭방향으로 5% 이내의 연신율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밧데리등과 같이 종방향으로 연신율을 가지는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철판인쇄를 하던 것을 대체하여 필름에 용이하게 인쇄를 하여 밧데리 등과 같은 제품에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포장필름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용기로 만들어진 제품의 라벨이나 제작되어진 용기를 한 묶음으로 만들어 낼수 있는 열수축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수축필름(P)을 가열된 다수개의 열전롤러(22)에 통과시켜 가열하고 연신롤러(24)로 길이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축소된 폭을 원상태의 폭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열후 폭방향으로 연신시켜, 길이방향으로 40∼55%, 폭방향으로 5% 이내의 연신률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필름의 제조방법.
  2. 열수축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 권출기(10)로부터 필름(P)을 보급 받아 연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름(P)에 열을 가해주는 다수의 열전롤러(22)와, 상기의 다수의 열전롤러(22)를 통과한 필름(P)을 길이방향으로 40∼55%연신시키기 위한 제1연신롤러(24a)와, 제1연신롤러보다 속도가 빠른 제2연신롤러(24b)가 설치된 종연신기(20)와; 상기의 종연신기(20)에서 연신되어진 열수축필름(P)을 폭방향으로 5% 이내로 연신시키기 위한 관용의 열풍이 순환하는 오븐장치와 그 오븐장치 속에는 필름을 잡아 끌 수 있는 크립을 장착한 레일로 구성된 횡연신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필름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연신롤러(24a)와 제2연신롤러(24b)의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필름의 연신율을 원하는 만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필름 제조장치.
KR1019960038026A 1996-09-03 1996-09-03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19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026A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6-09-03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026A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6-09-03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85A KR19980019785A (ko) 1998-06-25
KR100198276B1 true KR100198276B1 (ko) 1999-06-15

Family

ID=1947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026A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6-09-03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71B1 (ko) 2020-09-21 2021-07-29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419973B1 (ko)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KR102419971B1 (ko)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가변형 히터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92A (ko) * 2001-08-03 2003-02-11 (주)코스켐 관 연결용 밀봉 패드 연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71B1 (ko) 2020-09-21 2021-07-29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수축 라벨 필름 제조 장치
KR102419973B1 (ko)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KR102419971B1 (ko)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가변형 히터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85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2103B2 (en) Method of packaging objects by means of a sheet of heat-shrink material, and corresponding packaging machine
US32619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m stretching
KR100431976B1 (ko)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US9180994B2 (en) Method of conforming a label to the contour of a container
KR20010012164A (ko) 연신 포장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1314647B1 (en) Method for making a package of products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US4140740A (en) Flatness control of thermoplastic film
CA2060778C (en) Process for producing shrink film and resultant shrink film layers and laminates
KR100198276B1 (ko)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4435310B2 (ja) 延伸フィルム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に従って製造される延伸フィルムならびに荷物を包装する方法
GB12856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polyamide film
US46414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apping packages with heat shrinkable material
EP1369510A3 (en) Beam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CA2698790C (en) Heat treatment of thin polymer films
US201203132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m with markings
US4808363A (en) Composite web decurling apparatus and method
JP4512218B2 (ja) 収縮フィルム包装方法
JPH08175708A (ja) フイルムの巻取り方法
US602942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ynthetic packaging
JP2777527B2 (ja) 外装フイルム付き包装体の製造方法
JP6844682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CA253416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orming a label to the contour of a container
GB2215300A (en) Tape applicator machine
JPH04323156A (ja) カール除去装置
JPH06122261A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