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73B1 -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73B1
KR102419973B1 KR1020210142132A KR20210142132A KR102419973B1 KR 102419973 B1 KR102419973 B1 KR 102419973B1 KR 1020210142132 A KR1020210142132 A KR 1020210142132A KR 20210142132 A KR20210142132 A KR 20210142132A KR 102419973 B1 KR102419973 B1 KR 10241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m
stretching
ba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정희찬
Original Assignee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2035/0283Thermal pretreatment of the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로서, 특히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와,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와, 상기 두께 감지부 및 가변형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필름의 두께에 따라 히터를 조절하여 폭 방향 연신 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생산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이다.

Description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DEVICE OF EXTENDING WIDTH FOR FILM WITH TEMPERATURE ADJUSTER}
본 발명은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로서, 특히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와,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와, 상기 두께 감지부 및 가변형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필름의 두께에 따라 히터를 조절하여 폭 방향 연신 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생산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폭 방향으로 연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을 예열부(A)에 배치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이후, 스트레칭부(B)에서 필름(F)을 소정의 폭으로 연신한다. 상기 스트레칭부(B)에서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연신한 후 쿨링부(C)에서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여 필름(F)의 제조를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트레칭부(B)에서 필름(F)을 폭 방향을 연신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름(F)의 재질이나 혹은 스트레칭부(B)의 온도에 따라 폭 방향 연신된 후 두께가 달라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상기 스트레칭부(B)에서 폭 방향 연신된 후 최종 생산된 필름의 두께가 달라져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필름의 제조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등록 특허 제683684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93324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19827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16974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740597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0350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와,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와, 상기 필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두께 감지부 및 가변형 히터와 온도 좆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필름의 두께에 따라 히터와 온도 조절부를 조절하여 폭 방향 연신 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생산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름(F)을 예열하는 예열부(A)와, 예열된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트레칭부(B)와, 상기 연신된 필름(F)을 쿨링하는 쿨링부(C)와,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되어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2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의 또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1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히터(100)에 인접하며 상기 필름(F)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00)와, 상기 두께 감지부(200) 및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B)는 상기 필름(F)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트레칭 테이블(B1)과,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표면에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상기 가변형 히터(100)와 유량 조절부(RE)를 수용하는 제1요홈부(B2)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다수 개의 히터(H)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300)는 상기 제1요홈부(B2) 바닥에 배치되는 송풍 팬(3100)과 상기 송풍 팬(3100)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RE)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량 조절부(RE)는 수동형 유량 조절부(3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형 유량 조절부(3200)는 상기 송풍 팬(3100)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210)과 상기 제1조절판(32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판(32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2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211)의 중앙에 돌출되는 회동 바아(3214)와, 상기 제1조절판 본체(32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개방부(3212)와, 상기 제1개방부(3212) 사이에 돌출되는 걸림 바아(3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절판(32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2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2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바아(3214)가 삽입되는 관통공(3224)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212)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개방부(3222)와, 상기 제2개방부(322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3223)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3223)은 특정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223)에 상기 걸림 바아(3213)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유량 조절부(RE)는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는 상기 송풍 팬(3100)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310)과 상기 제1조절판(33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320)과, 상기 제1조절판(3310)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3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판(33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3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중앙에 요홈되는 장착홈(3314)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개방부(331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340)는 상기 장착홈(3314)에 배치되는 모터부(3341)와 상기 모터부(3341)에 연동되는 샤프트(3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절판(33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3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342)가 삽입되어 연동되는 관통공(3324)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개방부(33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상기 히터(H)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거나 히터(H)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스트레칭부(B) 상에 배치되는 필름(F)의 두께를 조절하고, 상기 두께 감지부(200)는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어 필름(F)의 두께 방향 측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10)를 포함하고, 제어부(CON)는 상기 영상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필름(F)의 두께를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두께에 따라 가변형 히터(100)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히터(H)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가변부(1000)와, 상기 제1가변부(10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가변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가변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변부(2000)는 상기 제1요홈부(B2)의 바닥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판체부(2100)와, 상기 판체부(2100)에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500)과, 상기 판체부(2100)에 배치되어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바아(2200)와, 상기 판체부(2100)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2200)를 회전하는 구동부(M)와, 상기 회동 바아(2200)에 연동되고 가이드 홈(2500)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바아(26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구동부(M)는 상기 판체부 본체(2110)의 반대측 측면에 구비되는 모터부(M1)와, 상기 모터부(M1)에 연동되고 상기 개방부(2120)를 관통하는 샤프트(M2)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바아(2200)는 바아 형상의 회동 바아 본체(2210)와,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2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은 상기 샤프트(M2)에 연동되어 판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 바아(2600)는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가변부(1000)가 배치되는 무빙 바아 본체(2610)와,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2200)의 개방부(2220)를 관통한 후 가이드 홈(2500)에 삽입되는 걸림핀(262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무빙 바아(2600)는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결합부(2630)와 지지부(2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결합부(2630)은 상기 판체부(2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41)는 무빙 바아(2600)와 암수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무빙 바아 본체(2610)와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가 상대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2640)는 중앙에 개방부(2642)가 형성되어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삽입되는 지지부 본체(2641)와, 상기 지지부 본체(2641) 일 측면에서 돌출되어 스트레칭 테이블(B1)의 가이드 홈(B4)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2643)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B4)은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제1요홈부(B2) 바닥에 특정 깊이로 요홈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가변부(1000)는 상부가 개방되는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채널부(1300)와, 상기 채널부(1300) 일 측단에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베이스(1600)와, 상기 채널부(1300)의 타 측단에 배치되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베이스(1400)와, 상기 고정 베이스(1600)에 구비되는 고정 접철부(1700)와,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 구비되는 선단 접철부(1800)와, 상기 고정 접철부(1700)와 선단 접철부(1800)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 접철부(1500)와, 상기 고정 접철부(1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철부(1700)를 전후진하는 동력 발생부(11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철부(1700)와 신축 접철부(1500) 그리고 선단 접철부(1800)에 히터(H)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접철부(17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600)에 구비되는 고정 핀(1710)과, 상기 고정 핀(17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 접철 바아(172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1100)는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본체(1110)와,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고정판(112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는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되어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를 전후진하게 하고, 상기 고정판(1120)은 상기 제2가변부(2000)의 무빙 바아(2600)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신축 접철부(1500)는 채널부(13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무빙 핀(1510)과, 상기 무빙 핀(1510)에 상호 교차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신축 접철 바아(1520)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 접철부(1800)는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 구비되는 선단 핀(1810)과, 상기 선단 핀(18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선단 접철 바아(1820)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고정 접철부(17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선단 접철부(18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선단 접철 바아(18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할 때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제조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폭 방향 연신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단면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수동형 유동 조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자동형 유량 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제1가변부에 의해 히터의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제2가변부에 의해 히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두께 감지부와 제어부 그리고 가변형 히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제1가변부로서 펼쳐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제1가변부로서 단축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신 장치의 제2가변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 방향 연신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을 예열하는 예열부(A)와, 예열된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트레칭부(B)와, 상기 연신된 필름(F)을 쿨링하는 쿨링부(C)와,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되어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2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의 또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1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히터(100)에 인접하며 상기 필름(F)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00)와, 상기 두께 감지부(200) 및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예열부(A)와 스트레칭부(B) 그리고 쿨링부(C) 자체는 종래 기술(도 1참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되어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2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의 또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1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히터(100)에 인접하며 상기 필름(F)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00)와, 상기 두께 감지부(200) 및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즉, 상기 두께 감지부(200)와 제어부(CON)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한다. 이러한 두께 감지부(200)는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어 필름(F)의 두께 방향 측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210)는 널리 알려진 카메라나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제어부(CON)에서 상기 필름의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획득된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여 기존에 설정된 스탠다드(즉, 픽셀 수와 두께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통해 필름의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된 두께 감지부(200)에 의해 측정된 두께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CON)가 온도 조절부(300)를 조절하여 필름의 온도를 낮추거나 혹은 가변형 히터(100)를 제어하여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증가한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필름의 연신율을 조절하여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는 스트레칭부(B)에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트레칭부(B)는 상기 필름(F)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트레칭 테이블(B1)과,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표면에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상기 가변형 히터(100)와 유량 조절부(RE)를 수용하는 제1요홈부(B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요홈부(B2)에 가변형 히터(100)가 구비되며,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다수 개의 히터(H)를 포함한다. 이러한 히터(H)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거나 히터(H)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스트레칭부(B) 상에 배치되는 필름(F)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필름(F)의 두께를 조절한다. 즉, 상기 측정된 두께에 따라 가변형 히터(100)를 제어하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할 때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300)는 상기 제1요홈부(B2) 바닥에 배치되는 송풍 팬(3100)과 상기 송풍 팬(3100)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RE)를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 팬(310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고 상기 유량 조절부(RE)에서 유동의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온도 조절부(300)에 의해 필름측에 가해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필름의 온도를 조절한다.
상기 송풍 팬(3100)은 내장된 팬 및 전동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어 송풍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300)는 제1요홈부(B2)에 배치되며 제1요홈부(B2)의 바닥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도입구(B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RE)는 수동형 유동 조절부(3200)와 자동형 유동 조절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온도 조절부(3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팬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210)과 상기 제1조절판(32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판(3210)과 제2조절판(3220)에는 제1개방부(3212)와 제2개방부(322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조절판(3220)은 제1조절판(3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2조절판(3220)의 회전에 따라 제2개방부(3222)와 제1개방부(3212)가 겹치는 영역의 크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개방부(3212,3222)의 겹치는 영역을 조절하여 공기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1조절판(32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2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211)의 중앙에 돌출되는 회동 바아(32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개방부(3212)는 상기 회동 바아(3214)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부(3212) 사이에는 걸림 바아(3213)가 돌출된다.
상기 제2조절판(32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2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2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바아(3214)가 삽입되는 관통공(32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동 바아(3214)의 직경보다 관통공(3224)의 직경을 다소 크게 형성하여 제2조절판(322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3224) 주위에는 제2개방부(3222)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상기 제2개방부(3222) 사이에 걸림홈(3223)이 형성되어 걸림 바아(3213)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3223)은 특정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조절판 본체(3221)를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홈(3223)에 걸림 바아(3213)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걸림홈(3223)의 원주 방향 길이 만큼 제2조절판(3221)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수동으로 제2조절판 본체(3212)를 회전시켜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조절판 본체(3212)의 회전 각도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팬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310)과 상기 제1조절판(33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320)과, 상기 제1조절판(3310)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3340)를 포함한다. 즉, 제2조절판(3320)이 제1조절판(3310) 상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점은 수동형 유량 조절부와 동일하다. 다만,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의 경우 구동부(3340)에 의해 제2조절판(3320)을 자동으로 회전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제1조절판(33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3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중앙에 요홈되는 장착홈(3314)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개방부(3312)를 포함한다. 즉, 제1개방부(3312)가 제1조절판 본체(33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조절판 본체(3311) 상에 장착홈(3314)이 형성되어 구동부(3340)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3340)는 상기 장착홈(3314)에 배치되는 모터부(3341)와 상기 모터부(3341)에 연동되는 샤프트(33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터부(3341)는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제2조절판(33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3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342)가 삽입되어 연동되는 관통공(3324)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개방부(33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모터부(3341)에 의해 샤프트(3342)가 회전하면 제2조절판 본체(331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2개방부(3322)와 제1개방부(3312)가 겹치는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3341)는 제어부(CON, 도 8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필름의 온도 센서(400, 도 2참조)에서 온도 정보를 확보하여 제어부(CON)에서 모터부(3341)를 제어하여 필름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히터(H)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가변부(1000)와, 상기 제1가변부(10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가변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가변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변부(1000)에 의해 다수 개의 히터(H) 사이 간격을 좁히거나 넓혀서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도 6참조) 또한, 제2가변부(2000)에 의해 히터(H)의 각도를 변경하여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도 7참조)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변부(2000)는 상기 제1요홈부(B2)의 바닥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판체부(2100)와, 상기 판체부(2100)에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5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2500)은 상기 판체부(2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특정 깊이로 요홈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체부(2100)에는 회동 바아(220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 바아(2200)는 상기 판체부(2100) 일 측에 배치되어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판체부(2100)는 판체 형상이 판체부 본체(2110)와 상기 판체부 본체(2110) 일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12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바아(2200)는 상기 판체부(2100)에 배치되는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M)는 판체부 본체(2110)의 반대측 측면에 구비되는 모터부(M1)와, 상기 모터부(M1)에 연동되고 상기 개방부(2120)를 관통하는 샤프트(M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M2)는 회동 바아(2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동 바아(2200)에는 무빙 바아(2600)가 연동된다. 즉, 상기 회동 바아(2200)가 상기 샤프트(M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이에 연동되어 무빙 바아(2600)가 회전하며, 이러한 무빙 바아(2600)는 상기 가이드 홈(2500)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2100)는 스트레칭부(B)의 제1요홈부(B2)에 안착되고, 상기 판체부(2100)의 반대측(도 7에서는 하측면)에는 모터부(M1)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부(M1)는 상기 제1요 홈부(B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요홈부(M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바아(2200)는 바아 형상의 회동 바아 본체(2210)와,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은 상기 판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M)의 샤프트(M2)가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를 관통하여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M2)가 회전하면 회동 바아 본체(22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무빙 바아(2600)는 제1가변부(1000)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 바아(2600)는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가변부(1000)가 배치되는 무빙 바아 본체(2610)와,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2200)의 개방부(2220)를 관통한 후 가이드 홈(2500)에 삽입되는 걸림 핀(26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회동 바아(2200)가 회전하면 걸림 핀(2620)이 회동 바아(2200)의 개방부(2220)에 걸림되어 걸림 핀(2620)이 연동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걸림 핀(2620)의 이동에 의해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 핀(2620)의 이동에 따라 무빙 바아 본체(2610)는 회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빙 바아 본체(2610)의 회전이 발생하므로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에 가이드 결합부(26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2630)은 상기 판체부(2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41)는 무빙 바아(2600)와 암수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호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는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에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의 상면 개방부 폭을 무빙 바아 본체(2610) 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가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무빙 바아 본체(2610)는 회전하므로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 역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의 저면에는 회동핀(2632)이 돌출되고 판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단에 지지부(26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2640)는 중앙에 개방부(2642)가 형성되어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삽입되는 지지부 본체(2641)와, 상기 지지부 본체(2641) 일 측면에서 돌출되어 스트레칭 테이블(B1)의 가이드 홈(B4)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26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B4)은 상기 가이드 핀(2643)의 궤적에 맞추어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B4)은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제1요홈부(B2) 바닥에 특정 깊이로 요홈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가변형 히터(100)는 제1가변부(1000)와 제2가변부(20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변부(1000)는 제2가변부(2000)의 무빙 바아(26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가변부(1000)는 상부가 개방되는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무빙 바아(2600) 상에 구비되는 채널부(1300)와, 상기 채널부(1300) 일 측단 및 타 측단에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1600) 및 무빙 베이스(1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베이스(1600)는 상기 채널부(1300)의 일 측단에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빙 베이스(1400)는 상기 채널부(1300)의 타 측단에 배치되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베이스(1600)에 고정 접철부(1700)가 구비된다.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는 선단 접철부(18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접철부(1700)와 선단 접철부(1800) 사이에는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 접철부(15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 접철부(1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철부(1700)를 전후진하는 동력 발생부(11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동력 발생부(1100)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고정 접철부(1700)를 전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신축 접철부(1500)가 신장되고, 이에 연동되어 선단 접철부(1800)가 전진한다. 반대로 동력 발생부(1100)에서 후진하는 힘이 발생하면 연동되어 신축 접철부(1500)가 축소되고 이에 의해 선단 접철부(1800)가 후진한다. 이러한 고정 접철부(1700)와 신축 접철부(1500) 그리고 선단 접철부(1800)에 히터(H)가 다수 개 구비된다. 즉, 상기 신축 접철부(1500)의 신축 여부에 따라 히터(H) 사이 간격이 변동되어 필름 측으로 전달하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H)는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는 열선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내장한 열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 접철부(17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600)에 구비되는 고정 핀(1710)과, 상기 고정 핀(17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 접철 바아(17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핀(1710)은 상기 v형 고정 접철 바아(1720)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발생부(1100)는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본체(1110)와,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고정판(1120)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는 널리 알려진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 발생부 본체(1110)는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되어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를 전후진하게 한다. 상기 고정판(1120)은 상기 제2가변부(2000)의 무빙 바아(2600)에 설치된다. 즉, 상기 동력 발생부(1100)에서 전후진 동력 발생할 때 각도가 변경되므로 이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동력 발생부(1100)가 고정판(1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120)은 무빙 바아(2600)에 고정된다.
상기 신축 접철부(1500)는 채널부(13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무빙 핀(1510)과, 상기 무빙 핀(1510)에 상호 교차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신축 접철 바아(15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는 x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무빙 핀(15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는 상기 무빙 핀(1510)을 중심으로 상호 근접하거나 혹은 멀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의 양 측단에는 연결 핀(EP)이 구비된다. 즉,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고정 접철 바아(1720) 방향측 단부에도 연결 핀(EP)-이하 제1연결핀(EP1)이라 함-이 구비되고 반대 방향에도 연결 핀(EP)-이하 제2연결핀(EP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핀(EP1)에 고정 접철 바아(1720)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신축 접철 바아(1520)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동력 발생부(1110)의 작동 로드(1111)가 상기 제1연결핀(EP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로드(1111)가 전진하면 고정 접철 바아(1720)가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이에 의해 신축 접철 바아(1520) 역시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 접철 바아(12520)의 신장에 의해 선단 접철 바아(1820) 역시 전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무빙 베이스(1400) 역시 전진한다. 히터(H)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접철 바아(1520)에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1111)가 후진하면 고정 접철 바아(1720)가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이에 의해 신축 접철 바아(1520) 역시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동 로드(1111)의 전후진에 의해 신축 접철 바아(1520)가 신장되거나 단축되어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에 구비된 히터의 밀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필름측으로 방열하는 열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단 접철부(1800)는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 구비되는 선단 핀(1810)과, 상기 선단 핀(18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선단 접철 바아(18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고정 접철부(17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선단 접철부(18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선단 접철 바아(18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 로드(1111)의 전진 시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가 상호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단 접철 바아(1820) 역시 상호 근접되어 상기 선단 접철 바아(1820)가 전진한다. 반대로 작동 로드(1111) 후진 시 신축 접철 바아(1520)가 상호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선단 접철 바아(1820) 역시 상호 멀어지게되어 상기 선단 접철 바아(1820)가 후진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다시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가변형 히터(1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변부(1000)의 작동 로드(1111)가 전진하면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신축 접철 바아(1520) 그리고 선단 접철 바아(1820)가 상호 근접하면서 신축 접철 바아(1520)가 신장되고 이에 의해 선단 접철 바아(1820)가 전진한다. 반대로 작동 로드(1111)가 후진하면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신축 접철 바아(1520) 그리고 선단 접철 바아(1820)가 상호 멀어지면서 신축 접철 바아(1520)가 단축되고 이에 의해 선단 접철 바아(1820)가 후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축 접철 바아(1520)에 배치되는 히터들의 밀도가 변경되어 필름에 가하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변부(1000)는 제2가변부(2000)에 배치된다. 상기 제2가변부(2000)의 가이드 홈(2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제1홈(2510), 수평 방향의 제3홈(2530) 그리고 제1홈(2510)과 제3홈(2530)을 연결하고 특정 곡률을 가지는 제2홈(2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바아(2600)의 걸림핀(2620)이 상기 제1홈(2510)에 있는 상태에서 회동 바아(2200)가 샤프트(M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무빙 바아(2600)는 상승하게 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아(2200)가 계속 회전하면 상기 걸림핀(2620)은 제2홈(2520)에 배치되고 이때 무빙 바아(2600)는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2620)이 제3홈(2530)에 배치되면 상기 무빙 바아(2600)은 수평 방향으로 전도된다. 즉, 수직 방향에서 출발하여 수평 방향으로 전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무빙 바아(2600) 상에 배치된 제1가변부(1000)의 위치가 변동되어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400)에 의해 필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 조절부(300)를 구동하여 필픔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폭방향 연신 장치(10)를 이용한 연신 방법에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트레칭부(B) 또는 쿨링부(C)를 통과하는 필름(F)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 감지부(2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된 두께가 기 설정된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CON)를 통해 가변형 히터(100)를 조절하여 히터(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측정된 두께가 기 설정된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히터사이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증가된 열에 의해 필름의 연신량이 증가하여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두께가 기 설정된 두께보다 얇은 경우 히터사이 간격을 멀게 하여 필름에 가해지는 열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감소된 열에 의해 필름의 연신량이 감소되어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가변형 히터 1000 : 제1가변부
1100 : 동력 발생부 1300 : 채널부
1400 : 무빙 베이스 1500 : 신축 접철부
1510 : 무빙 핀 1520 : 신축 접철 바아
1600 : 고정 베이스 1700 : 고정 접철부
1710 : 고정 핀 1720 : 고정 접철 바아
1800 : 선단 접철부 1810 : 선단 핀
1820 : 선단 접철 바아 2000 : 제2가변부
2100 : 판체부 2200 : 회동 바아
2210 : 회동 바아 본체 2220 : 개방부
2500 : 가이드 홈 2510 : 제1가이드 홈
2520 : 제2가이드 홈 2530 : 제3가이드 홈
2600 : 무빙 바아 2610 : 무빙 바아 본체
2620 : 걸림핀 2630 : 가이드 결합부
2640 : 지지부 300 : 온도 조절부
3100 : 송풍 팬 3200 : 수동형 유량 조절부
3300 : 자동형 유량 조절부

Claims (10)

  1. 삭제
  2. 필름(F)을 예열하는 예열부(A)와, 예열된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트레칭부(B)와, 상기 연신된 필름(F)을 쿨링하는 쿨링부(C)와,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되어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2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의 또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1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히터(100)에 인접하며 상기 필름(F)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00)와, 상기 두께 감지부(200) 및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B)는 상기 필름(F)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트레칭 테이블(B1)과,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표면에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상기 가변형 히터(100)와 유량 조절부(RE)를 수용하는 제1요홈부(B2)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다수 개의 히터(H)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300)는 상기 제1요홈부(B2) 바닥에 배치되는 송풍 팬(3100)과 상기 송풍 팬(3100)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RE)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부(RE)는 수동형 유량 조절부(3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형 유량 조절부(3200)는 상기 송풍 팬(3100)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210)과 상기 제1조절판(32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판(32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2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211)의 중앙에 돌출되는 회동 바아(3214)와, 상기 제1조절판 본체(32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개방부(3212)와, 상기 제1개방부(3212) 사이에 돌출되는 걸림 바아(3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절판(32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2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2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바아(3214)가 삽입되는 관통공(3224)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212)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개방부(3222)와, 상기 제2개방부(322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3223)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3223)은 특정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223)에 상기 걸림 바아(3213)이 삽입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3. 필름(F)을 예열하는 예열부(A)와, 예열된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트레칭부(B)와, 상기 연신된 필름(F)을 쿨링하는 쿨링부(C)와,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되어 폭 방향 연신되는 필름(F)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2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의 또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을 가열하는 가변형 히터(100)와, 상기 스트레칭부(B)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히터(100)에 인접하며 상기 필름(F)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00)와, 상기 두께 감지부(200) 및 가변형 히터(100)와 온도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B)는 상기 필름(F)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트레칭 테이블(B1)과,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표면에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상기 가변형 히터(100)와 유량 조절부(RE)를 수용하는 제1요홈부(B2)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다수 개의 히터(H)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300)는 상기 제1요홈부(B2) 바닥에 배치되는 송풍 팬(3100)과 상기 송풍 팬(3100)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RE)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부(RE)는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형 유량 조절부(3300)는 상기 송풍 팬(3100)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절판(3310)과 상기 제1조절판(331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조절판(3320)과, 상기 제1조절판(3310)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3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판(3310)은 판체 형상의 제1조절판 본체(3311)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중앙에 요홈되는 장착홈(3314)과, 상기 제1조절판 본체(33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개방부(331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340)는 상기 장착홈(3314)에 배치되는 모터부(3341)와 상기 모터부(3341)에 연동되는 샤프트(3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절판(3320)은 판체 형상의 제2조절판 본체(3312)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342)가 삽입되어 연동되는 관통공(3324)과, 상기 제2조절판 본체(3312)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개방부(3322)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상기 히터(H)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거나 히터(H)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스트레칭부(B) 상에 배치되는 필름(F)의 두께를 조절하고,
    상기 두께 감지부(200)는 상기 스트레칭부(B) 및 쿨링부(C) 일 측에 배치어 필름(F)의 두께 방향 측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10)를 포함하고,
    제어부(CON)는 상기 영상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필름(F)의 두께를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두께에 따라 가변형 히터(100)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히터(100)는 히터(H)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가변부(1000)와, 상기 제1가변부(10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가변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가변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변부(2000)는 상기 제1요홈부(B2)의 바닥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판체부(2100)와, 상기 판체부(2100)에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500)과, 상기 판체부(2100)에 배치되어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바아(2200)와, 상기 판체부(2100)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2200)를 회전하는 구동부(M)와, 상기 회동 바아(2200)에 연동되고 가이드 홈(2500)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바아(2600)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2100)는 판체 형상의 판체부 본체(2110)와 상기 판체부 본체(2110) 일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12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M)는 상기 판체부 본체(2110)의 반대측 측면에 구비되는 모터부(M1)와, 상기 모터부(M1)에 연동되고 상기 개방부(2120)를 관통하는 샤프트(M2)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바아(2200)는 바아 형상의 회동 바아 본체(2210)와,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2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바아 본체(2210) 일 측은 상기 샤프트(M2)에 연동되어 판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 바아(2600)는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가변부(1000)가 배치되는 무빙 바아 본체(2610)와,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2200)의 개방부(2220)를 관통한 후 가이드 홈(2500)에 삽입되는 걸림핀(2620)을 포함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아(2600)는 상기 무빙 바아 본체(2610) 일 측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결합부(2630)와 지지부(2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결합부(2630)은 상기 판체부(2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결합부 본체(2641)는 무빙 바아(2600)와 암수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무빙 바아 본체(2610)와 가이드 결합부 본체(2631)가 상대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2640)는 중앙에 개방부(2642)가 형성되어 무빙 바아 본체(2610)가 삽입되는 지지부 본체(2641)와, 상기 지지부 본체(2641) 일 측면에서 돌출되어 스트레칭 테이블(B1)의 가이드 홈(B4)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2643)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B4)은 상기 스트레칭 테이블(B1)의 제1요홈부(B2) 바닥에 특정 깊이로 요홈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부(1000)는 상부가 개방되는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채널부(1300)와, 상기 채널부(1300) 일 측단에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베이스(1600)와, 상기 채널부(1300)의 타 측단에 배치되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베이스(1400)와, 상기 고정 베이스(1600)에 구비되는 고정 접철부(1700)와,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 구비되는 선단 접철부(1800)와, 상기 고정 접철부(1700)와 선단 접철부(1800)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 접철부(1500)와, 상기 고정 접철부(1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철부(1700)를 전후진하는 동력 발생부(11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철부(1700)와 신축 접철부(1500) 그리고 선단 접철부(1800)에 히터(H)가 구비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철부(17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600)에 구비되는 고정 핀(1710)과, 상기 고정 핀(17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 접철 바아(172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1100)는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본체(1110)와,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고정판(112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 본체(1110)는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되어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를 전후진하게 하고, 상기 고정판(1120)은 상기 제2가변부(2000)의 무빙 바아(2600)에 설치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접철부(1500)는 채널부(13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무빙 핀(1510)과, 상기 무빙 핀(1510)에 상호 교차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신축 접철 바아(1520)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 접철부(1800)는 상기 무빙 베이스(1400)에 구비되는 선단 핀(1810)과, 상기 선단 핀(18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선단 접철 바아(1820)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고정 접철부(17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고정 접철 바아(17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축 접철 바아(1520) 중 선단 접철부(1800) 방향 끝단 부분은 상기 선단 접철 바아(182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KR1020210142132A 2021-10-22 2021-10-22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KR10241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32A KR102419973B1 (ko) 2021-10-22 2021-10-22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32A KR102419973B1 (ko) 2021-10-22 2021-10-22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973B1 true KR102419973B1 (ko) 2022-07-13

Family

ID=8240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132A KR102419973B1 (ko) 2021-10-22 2021-10-22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7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849Y2 (ko) 1987-01-20 1993-09-17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9-06-15 박건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80083563A (ko) * 2007-03-12 2008-09-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JP2008542080A (ja) * 2005-06-01 2008-1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配置可能なヒーターを使用するクロスウェブ熱分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33242B1 (ko) 2007-04-30 2009-12-22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생분해성 mdo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9749B1 (ko) 2010-02-03 2012-07-30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mdo 열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3505A (ko) 2011-06-30 2013-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층필름
KR20150113857A (ko) * 2014-03-31 2015-10-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및 필름 연신설비
JP2016215393A (ja) *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カネカ フィルム延伸装置及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740597B1 (ko) 2010-11-15 2017-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내열성 열수축 필름
WO2019142503A1 (ja) * 2018-01-18 2019-07-25 東レ株式会社 プリプレグ表面の樹脂状態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KR20190089769A (ko) * 2018-01-23 2019-07-31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849Y2 (ko) 1987-01-20 1993-09-17
KR100198276B1 (ko) 1996-09-03 1999-06-15 박건규 열수축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8542080A (ja) * 2005-06-01 2008-1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配置可能なヒーターを使用するクロスウェブ熱分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83563A (ko) * 2007-03-12 2008-09-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KR100933242B1 (ko) 2007-04-30 2009-12-22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생분해성 mdo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9749B1 (ko) 2010-02-03 2012-07-30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mdo 열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0597B1 (ko) 2010-11-15 2017-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내열성 열수축 필름
KR20130003505A (ko) 2011-06-30 2013-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층필름
KR20150113857A (ko) * 2014-03-31 2015-10-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및 필름 연신설비
JP2016215393A (ja) *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カネカ フィルム延伸装置及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142503A1 (ja) * 2018-01-18 2019-07-25 東レ株式会社 プリプレグ表面の樹脂状態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KR20190089769A (ko) * 2018-01-23 2019-07-31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694B2 (en) Method for supplying a building material
US8232505B2 (en) Hair-styling device with guide
KR102419973B1 (ko)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EP2799210B1 (de) Heizeinrichtung und Heizverfahren für Blasmaschine sowie Blasmaschine
JP4525326B2 (ja)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延伸方法
US20140318081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Tube of Pocket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cket Spring String
JPH0698671B2 (ja) 溶融押出式フイルム成形の膜厚制御装置
KR102419971B1 (ko) 가변형 히터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및 방법
US20160007413A1 (en) Heating plant for container preforms
CA10723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ving sheets in the plastic state
JP2007030466A (ja) フィルム伸縮装置および配向フィルムの製造方法
BR112017017910B1 (pt) Extrusora e método para extrudar componentes de pneu reforçados por cabo
CN106103049B (zh) 用于吹制诸如容器之类的物品的机器
JP2003295692A (ja) トナーを被印刷材に定着させる方法及びマイクロ波装置
KR101507302B1 (ko) 정렬 가능한 압출기용 냉각 플러그
JP6317753B2 (ja) 溶接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において熱可塑性プロファイルを螺旋状に巻回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102000922B1 (ko) 금속 3d 프린터의 레이저 빔 사이즈 조절장치
JP6696182B2 (ja) ブロー成形金型装置
FI101210B (fi) Menetelmä ja laite astian valmistamiseksi
JP4258610B2 (ja) ガラス母材の延伸方法
CA2068241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or external cooling in an extruder for making tubular film
JP4089511B2 (ja) 樹脂シートの圧延装置
JP2749669B2 (ja) ガラス棒の延伸方法
KR101607056B1 (ko) 코일 냉각장치
CN209599883U (zh) 位置可调的焊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