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056B1 - 코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056B1
KR101607056B1 KR1020150057341A KR20150057341A KR101607056B1 KR 101607056 B1 KR101607056 B1 KR 101607056B1 KR 1020150057341 A KR1020150057341 A KR 1020150057341A KR 20150057341 A KR20150057341 A KR 20150057341A KR 101607056 B1 KR101607056 B1 KR 10160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coil
pedestal
insulating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현
유광현
임준석
조승한
황진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코일 냉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코일 냉각장치는: 코일이 수용되는 단열박스와,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적치대와,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COIL}
본 발명은 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을 설정온도와 속도로 냉각시키는 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23552호(2009.10.19. 등록, 발명의 명칭: 열연코일 냉각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냉각 시 온도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는: 코일이 수용되는 단열박스;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적치대; 및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박스는, 받침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단열커버;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상에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풍유입구; 및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상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커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는, 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열판; 상기 단열판의 내면부에 결합되고,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는 내부커버; 및 상기 단열판의 외면부를 커버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유입구는, 상기 코일적치대에 안착된 상기 코일의 중심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박스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는: 코일이 수용되는 단열박스;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을 가압하여 상기 코일의 형상을 교정하는 형상교정장치; 및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교정장치는, 상기 코일의 일측부가 안착되는 제1코일적치대;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타측부가 안착되는 제2코일적치대; 및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상기 제2코일적치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의 일측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수나사부; 상기 스크류바의 타측부에 상기 제1수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나사부; 상기 제1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1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구; 및 상기 제2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코일적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 시 상기 제1이동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에 의하면,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어, 단열박스 내부에 수용된 코일의 냉각속도, 온도를 코일의 재질, 냉각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의 전면(全面)이 단열박스의 내부에서 균일한 온도와 접하게 되므로, 코일을 상온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시 주변 환경, 근접한 다른 코일들의 영향 등으로 부위에 따라 그 냉각 속도가 달라 재질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재의 품질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교정장치를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코일의 형상을 교정함과 동시에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일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작업공간부와, 코일을 설정 온도, 설정 속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작업공간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이, 단열박스 하나에 해당되는 공간부상에서 코일의 형상 교정과 냉각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의 형상교정장치에 짱구 형상의 코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의 형상교정장치로 짱구 형상의 코일을 원형으로 교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의 형상교정장치에 짱구 형상의 코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의 형상교정장치로 짱구 형상의 코일을 원형으로 교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1)는 단열박스(10), 형상교정장치(20), 열풍공급장치(30), 배기장치(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단열박스(10)는 주변 환경과 독립된 온도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박스형 공간부를 제공한다. 단열박스(10)는 단열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코일(2)이 수용된다. 단열박스(10)는 그 내면부와 코일(2)과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코일(2)보다 확장된 내부 체적을 가진다.
형상교정장치(20)는 코일(2)을 가압하여 코일(2)의 형상을 교정하는 장치로,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수용된다. 형상교정장치(20)는 코일(2)이 안착될 수 있는 코일적치대(21)를 포함한다. 코일(2)은 코일적치대(21)에 안착된 상태로 단열박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온도분위기에 따라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열풍공급장치(30)는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열풍공급장치(3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단열박스(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배기장치(40)는 단열박스(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한다. 배기장치(40)에 의해 단열박스(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열풍공급장치(30)에서 단열박스(10) 내부를 거쳐 배기장치(40)에 이르는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는 열풍공급장치(3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유량, 배기장치(4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제어부(50)는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코일(2)의 재질, 냉각 조건에 따라 기설정된 온도데이터와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열풍공급장치(3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유량, 배기장치(4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1시점에 기설정된 온도값이 100℃, 단열박스(10) 내부의 실제 온도가 150°이고, 열풍공급장치(30)에서 100℃의 열풍을 10㎥/h의 유량으로 송풍, 배기장치(40)에서 10㎥/h의 유량으로 배기하는 중이라면, 열풍공급장치(3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70℃ 등으로 낮추거나, 열풍공급장치(30)의 송풍 유량과, 배기장치(40)의 배기 유량을 30㎥/h 등으로 증가시키는 제어를 함으로써, 단열박스(10) 내부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값에 보다 근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10)는 받침대(11), 단열커버(12), 열풍유입구(13), 배기구(14)를 포함한다.
받침대(11)는 단열박스(10)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1)는 내부에 형상교정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상을 가진다. 받침대(11)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형상교정장치(20)를 받침대(11)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받침대(11) 중 코일(2)의 축방향 연장선상에는, 예를 들어 전방부와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코일(2)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원형의 홈부가 형성된다. 코일(2)은 홈부를 통해 받침대(1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받침대(11)의 내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단열커버(12)는 단열박스(10)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단열커버(12)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받침대(11)의 상부에 안착된다. 단열커버(12)의 하부에는 받침대(11)의 홈부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를 홈부에 맞춰 끼우는 조립에 의해 단열커버(12)를 받침대(11)상의 정위치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12)는 단열판(121), 내부커버(122), 외부커버(123)를 포함한다.
단열판(121)은 단열박스(10)의 내외부를 단열시킬 수 있으면서도 700℃ 이하 온도의 내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소재로 이루어진다. 단열소재로는 석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내부커버(122)는 단열판(121)의 내면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내부커버(122)는 단열박스(10) 내부의 공기와 접하게 되고, 거울과 같이 매끈한 표면을, 즉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단열커버(12)의 열차단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커버(123)는 단열판(121)의 외면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외부커버(123)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10)의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열박스(10)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단열판(121)을 보호한다.
열풍유입구(13)는 공기를 설정 온도로 가열, 송풍하는 열풍공급장치(30)로부터 단열박스(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받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열풍유입구(13)는 받침대(11) 또는 단열커버(12)상에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열풍공급장치(30)에서 공급된 공기는 열풍유입구(13)를 통해 단열박스(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유입구(13)는 코일적치대(21)에 안착된 코일(2)의 중심부에, 즉 코일(2)의 내권부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유입구(13)를 코일(2)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면, 열풍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코일(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확산되며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코일(2)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 중인 공기는 코일(2)의 단부와 고르게 접할 수 있고, 코일(2)의 외권부 외측과, 내권부 내측에 도달된 공기는 코일(2)의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열풍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코일(2)의 전면에 걸쳐 보다 고르게 접촉, 열전달될 수 있다.
배기구(14)는 단열커버(1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배기구(14)는 받침대(11) 또는 단열커버(12)상에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배기구(14)를 통해 단열박스(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열풍유입구(13)에서 송풍된 공기가 밀폐된 단열박스(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다.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교정장치(20)는 코일적치대(21)와 간격조절장치(24)를 포함한다.
코일적치대(21)는 코일(2)이 안착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대(21)는 코일(2)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를 포함한다.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는 코일(2)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 및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1코일적치대(22)에는 코일(2)의 좌측부가 안착되고, 제2코일적치대(23)에는 코일(2)의 우측부가 안착된다.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 중 코일(2)과 접하는 코일안착부는 원주 형상을 가지는 코일(2)의 외면부에 대응되는 오목한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간격조절장치(24)는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장치(24)는 모터(25), 스크류바(26), 제1수나사부(26a), 제2수나사부(26b), 제1이동구(27), 제2이동구(28)를 포함한다.
스크류바(26)는 원형 봉의 형상을 가지고,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의 하부에 코일(2)의 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른 표현으로는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를 연속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스크류바(26)는 모터(25)의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수나사부(26a)는 제1코일적치대(22)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스크류바(26)의 일측부, 즉 스크류바(26)의 좌측부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제2수나사부(26b)는 제2코일적치대(23)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스크류바(26)의 타측부, 즉 스크류바(26)의 우측부 둘레에 제1수나사부(26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이동구(27)는 제1수나사부(26a)에 대응되는 제1암나사부(27a)를 구비하여 스크류바(26)의 좌측부 둘레에 결합되고, 제1코일적치대(22)와 연결된다. 제2이동구(28)는 제2수나사부(26b)에 대응되는 제2암나사부(28a)를 구비하여 스크류바(26)의 우측부 둘레에 결합되고, 제2코일적치대(23)와 연결된다. 스크류바(26)의 회전 시 제1이동구(27)와 제2이동구(28)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짱구 형상으로 변형된 코일(2)을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구(27)는 좌측 기준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d1의 거리에 위치되고, 제2이동구(28)는 우측 기준지점으로부터 좌측으로 d1의 거리에 위치된다.
스크류바(2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이동구(27)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d2만큼 더 이동되고, 제2이동구(28)는 좌측으로 동일한 거리 d2만큼 이동된다. 이때, 제1코일적치대(22)와 제2코일적치대(23)는 제1이동구(27), 제2이동구(28)와 함께 코일(2)측으로 이동되면서 코일(2)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압하여 원형으로 그 형상을 교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냉각장치(1)에 의하면,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설정 온도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어, 단열박스(10) 내부에 수용된 코일(2)의 냉각속도, 온도를 코일(2)의 재질, 냉각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2)의 전면(全面)이 단열박스(10)의 내부에서 균일한 온도와 접하게 되므로, 코일(2)을 상온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시 주변 환경, 근접한 다른 코일(2)들의 영향 등으로 부위에 따라 그 냉각 속도가 달라 재질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재의 품질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교정장치(20)를 단열박스(1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코일(2)의 형상을 교정함과 동시에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일(2)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작업공간부와, 코일(2)을 설정 온도, 설정 속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작업공간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이, 단열박스(10) 하나에 해당되는 공간부상에서 코일(2)의 형상 교정과 냉각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코일 냉각장치 2 : 코일
10 : 단열박스 11 : 받침대
12 : 단열커버 13 : 열풍유입구
14 : 배기구 20 : 형상교정장치
21 : 코일적치대 22 : 제1코일적치대
23 : 제2코일적치대 24 : 간격조절장치
25 : 모터 26 : 스크류바
26a : 제1수나사부 26b : 제2수나사부
27 : 제1이동구 27a : 제1암나사부
28 : 제2이동구 28a : 제2암나사부
30 : 열풍공급장치 40 : 배기장치
50 : 제어부 121 : 단열판
122 : 내부커버 123 : 외부커버

Claims (8)

  1. 코일이 수용되는 단열박스;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적치대; 및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박스는,
    상기 단열박스의 하부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코일적치대를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단열박스의 상부를 이루며,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단열커버;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풍유입구; 및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 상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커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상기 코일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한 반원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받침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 이송되며,
    상기 단열커버는, 하부에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부에 맞춰 끼우는 조립에 의해 상기 받침대 상의 정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커버는,
    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열판;
    상기 단열판의 내면부에 결합되고,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는 내부커버; 및
    상기 단열판의 외면부를 커버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입구는, 상기 코일적치대에 안착된 상기 코일의 중심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박스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6. 코일이 수용되는 단열박스;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을 가압하여 상기 코일의 형상을 교정하는 형상교정장치; 및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설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박스는,
    상기 단열박스의 하부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형상교정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단열박스의 상부를 이루며,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단열커버;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풍유입구; 및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단열커버 상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커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상기 코일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한 반원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받침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 이송되며,
    상기 단열커버는, 하부에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부에 맞춰 끼우는 조립에 의해 상기 받침대 상의 정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교정장치는,
    상기 코일의 일측부가 안착되는 제1코일적치대;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타측부가 안착되는 제2코일적치대; 및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상기 제2코일적치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의 일측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수나사부;
    상기 스크류바의 타측부에 상기 제1수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나사부;
    상기 제1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1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코일적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구; 및
    상기 제2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코일적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 시 상기 제1이동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냉각장치.
KR1020150057341A 2015-04-23 2015-04-23 코일 냉각장치 KR10160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41A KR101607056B1 (ko) 2015-04-23 2015-04-23 코일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41A KR101607056B1 (ko) 2015-04-23 2015-04-23 코일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056B1 true KR101607056B1 (ko) 2016-03-28

Family

ID=5700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41A KR101607056B1 (ko) 2015-04-23 2015-04-23 코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729A (ko) * 2016-07-11 2018-01-19 장충석 차량용 핸들 조작식 코일 적재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19Y2 (ja) * 1989-04-13 1994-07-2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高温金属コイルの冷却装置
JPH11221616A (ja) * 1998-02-04 1999-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ボックス
KR101235767B1 (ko) * 2011-08-19 2013-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박스
KR20130120931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권취코일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19Y2 (ja) * 1989-04-13 1994-07-2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高温金属コイルの冷却装置
JPH11221616A (ja) * 1998-02-04 1999-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ボックス
KR101235767B1 (ko) * 2011-08-19 2013-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박스
KR20130120931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권취코일 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729A (ko) * 2016-07-11 2018-01-19 장충석 차량용 핸들 조작식 코일 적재 받침대
KR101924688B1 (ko) * 2016-07-11 2018-12-03 장충석 차량용 핸들 조작식 코일 적재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6723B (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hermischen behandeln von substraten
JP2014209569A (ja) 断熱構造体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259761B2 (en) Heat treatment system, heat treat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648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plastic preforms
JP5766647B2 (ja) 熱処理システム、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07056B1 (ko) 코일 냉각장치
US8764915B2 (en) Carburiz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64622A (ko) 반가공된 제품에 의해 몰딩된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H0698671B2 (ja) 溶融押出式フイルム成形の膜厚制御装置
CN107342244B (zh) 热处理装置
TWI497627B (zh) 熱處理裝置及熱處理方法
JP5073257B2 (ja) 単結晶製造装置及び方法
JP6647988B2 (ja) 鋳造機金型の予熱装置および予熱方法
JP4567457B2 (ja) 加熱及び冷却要素を有する真空キャストセラミックファイバー絶縁バンド
US4179617A (en) Ion-nitriding apparatus
KR20150142602A (ko) 열처리로
KR20140064400A (ko) 리플로우 장치
JPH07110511B2 (ja) 射出成形機の加熱シリンダ温度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H02205623A (ja) 真空炉における被処理物の冷却方法及び真空炉
KR20170021505A (ko) 턴디쉬 예열기의 제어장치
JP2005183596A (ja) 熱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9017146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CN218224254U (zh) 局部动态加热与成形一体式渐进成形装置
JP5808469B2 (ja) 浸炭処理装置
JPS63211720A (ja) 半導体熱処理炉の温度分布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