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67B1 - 코일 박스 - Google Patents

코일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767B1
KR101235767B1 KR1020110082648A KR20110082648A KR101235767B1 KR 101235767 B1 KR101235767 B1 KR 101235767B1 KR 1020110082648 A KR1020110082648 A KR 1020110082648A KR 20110082648 A KR20110082648 A KR 20110082648A KR 101235767 B1 KR101235767 B1 KR 10123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housing
exhaust port
rolled steel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9/00Devices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8Combined heat-treatments not provided for above
    • C21D1/785Thermo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강판 제조공정 중에 조압연된 열연강판을 코일 박스에 임시로 저장하여 가열할 때 내부공간의 온도편차를 저감해주는 코일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박스는 열간압연 설비에서 이동되는 열연강판을 코일링(coiling) 및 언코일링(uncoiling)하여 가열로 및 버퍼역할을 하는 코일 박스로서, 일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교대로 코일링 및 언코일링되는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이 구비되는 박스 하우징과; 상기 박스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 하우징 내부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을 각각 가열시키는 상부 가열유닛 및 하부 가열유닛과; 상기 박스 하우징의 측면 중 상기 인입구가 형성되는 일측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타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하우징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제 1 배기구 및 제 2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 박스{COIL BOX}
본 발명은 코일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연강판 제조공정 중에 조압연된 열연강판을 코일 박스에 임시로 저장하여 가열할 때 내부공간의 온도편차를 저감해주는 코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관 제철소는 제선 -> 제강 -> 연속주조 -> 열간압연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원료인 철광석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철강재를 생산하고 있다. 각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선은 고로의 상부를 통해 괴 형태의 철광석 및 코크스를 장입한 후 아래로부터 열풍을 불어 넣어 상호 환원시킴으로써 쇳물인 용선을 얻는 공정이고, 제강은 용선을 전로, 2차 정련 등의 여러 단계의 성분 조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용강을 얻는 공정이다.
연속주조는 통상 만곡 형태로 된 연속주조기를 통해 액체 상태인 용강을 연속적으로 냉각 응고시켜 250mm 두께의 슬래브와 같은 중간소재를 얻는 공정이며, 열간압연은 중간소재를 1100 ~ 1300℃의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조압연 및 마무리 압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두께와 폭으로 최종 압연하는 공정이다. 자동차 강판 등 더욱 우수한 품질이 요구되는 경우 열간압연된 강판을 가지고 냉간압연 및 도금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으나, 기본적인 제철 공정은 상기 제선, 제강, 연속주조, 열간압연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통적인 제철 공정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개발된 것이 미니밀 공정이다. 미니밀은 전기로에서 고철 등을 용해시켜 생산된 용강을 사용하므로 자원 재활용성이 우수하고, 연속주조기를 통해 생산된 50 ~ 100mm 정도의 얇은 슬라브(Thin slab)에 대해 열간압연을 연연속으로 실시하여 제품을 생산하므로 생산설비가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높다.
다만, 미니밀은 성분 제어가 어려워 다양한 종류의 강판을 생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고속 연주와 압연을 통해 미니밀 열연코일의 표면과 내부 응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하이밀 공정이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제철 공정이나 미니밀 공정 및 하이밀 공정에서 열간압연을 하는 동안 강판의 온도, 특히 열연강판의 길이 방향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위하여 맨드렐(mandrel) 타입의 코일 박스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맨드렐 타입의 코일 박스는 통상 조압연과 마무리 압연 사이에 위치하여 열연강판을 감거나(coiling) 풀(uncoiling)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맨드렐 타입의 코일 박스의 사용 여부는 열연강판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나, 통상적으로 강판의 두께가 20mm 이하에서는 맨드렐을 사용하여야 원형으로 권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코일 박스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열간압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턴디쉬(1)에서 공급되는 용강은 만곡형의 연속주조기(2)를 통해 50 ~ 100mm의 얇은 슬라브로 주조되고, 이 얇은 슬라브는 조압연기(3)를 통해 1차 압연된다. 1차 압연된 열연강판은 절단기(4)를 통해 1개의 코일 길이에 해당하는 무게 단위로 절단되고, 유도 가열로(5)를 통과하는 동안 통상 1100℃ 이상 온도로 균일하게 재가열된다.
재가열된 열연강판은 마무리 압연기(7)의 압연속도에 맞추기 위하여 코일 박스(6) 내에 설치된 맨드렐(6a)에 임시로 권취된다. 권취된 동안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코일 박스(6)에는 가열로 기능이 포함된다. 맨드렐(6a)에서 권출된 열연강판은 마무리 압연기(7)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두께로 압연되어 다운 코일러(8)에 최종 권취된다.
이렇게 맨드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맨드렐의 온도 유지 및 코일 내권부의 온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박스가 가열로(Furnace)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 박스는 열연강판을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단순히 다수의 버너가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코일 박스 내부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열연강판의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번호 10-2011-0072963 (2011.06.29)
본 발명은 코일 박스에서 가열된 가스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코일 박스 내부 각 영역에서의 온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코일 박스를 제공한다.
특히, 가열유닛에 의한 가열 위치 및 배기구의 위치를 최적으로 설계하여 코일 박스 내부의 온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코일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박스는 열간압연 설비에서 이동되는 열연강판을 코일링(coiling) 및 언코일링(uncoiling)하여 가열로 및 버퍼역할을 하는 코일 박스로서, 일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교대로 코일링 및 언코일링되는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이 구비되는 박스 하우징과; 상기 박스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 하우징 내부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을 각각 가열시키는 상부 가열유닛 및 하부 가열유닛과; 상기 박스 하우징의 측면 중 상기 인입구가 형성되는 일측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타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하우징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제 1 배기구 및 제 2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열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파이프(pipe) 타입 버너이고, 상기 하부 가열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슬릿(slit) 타입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배기구 및 제 2 배기구는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배기구 및 제 2 배기구에는 각각 배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박스 하우징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제 3 배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열유닛은 상기 제 3 배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일 박스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및 코일 박스의 배기구 위치를 고르게 분포시켜 코일 박스 내부의 열분포 및 가스 유동도를 최적화시킴에 따라 코일 박스 내부의 온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연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일 박스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일 박스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열간압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비교예인 종래의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a는 종래의 코일 박스 내부 가스 유동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종래의 코일 박스 내부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 내부 가스 유동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 내부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는 열연강판의 제조설비 중 조압연과 마무리 압연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열연강판을 코일링(coiling; 판재를 코일로 만듦) 및 언코일링(uncoiling; 코일을 풀어줌)하여 가열로 및 버퍼(buffer)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멘드렐(mandrel) 타입의 코일 박스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멘트렐 타입의 코일 박스에 한정되지 않고, 열연강판을 코일링 및 언코일링하여 가열로 및 버터 역할을 하는 다양한 방식의 코일 박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100)는 열연강판이 교대로 코일링 및 언코일링되는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이 구비되는 박스 하우징(110)과; 상기 박스 하우징(110)에 고르게 이격 및 분포되어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를 가열시키는 다수의 가열유닛(120, 130)과; 상기 박스 하우징(110)에 고르게 이격 및 분포되어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다수의 배기구(14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 하우징(110)은 열연강판을 코일링 및 언코일링 하는 동시에 가열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열연강판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함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열연강판이 인입되는 인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연강판이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열연강판이 코일링되는 제 1 드럼(115)과 언코일링되는 제 2 드럼(11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은 멘드렐 타입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의 위치는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위치를 바꿔가면서 열연강판의 코일링 및 언코일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멘드렐 타입의 드럼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 관계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정확성을 위하여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을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110A) 및 하부 영역(110B)으로 각각 구분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유닛(120, 130)은 고온 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가열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에 권취되어 있는 열연강판을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열연강판을 고르게 가열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가열유닛(120, 130)이 서로 이격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120, 130)은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상부 영역(110A)을 가열시키는 상부 가열유닛(120)과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하부 영역(110B)을 가열시키는 하부 가열유닛(130)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상부 가열유닛(1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파이프(pipe) 타입 버너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가열유닛(13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슬릿(slit) 타입 버너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가열유닛(120)으로 4개의 파이프 타입 버너(121 내지 124)를 서로 이격 배치하여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상면에 구비하였고, 하부 가열유닛(130)으로 2개의 슬릿 타입 버너(131, 132)를 서로 이격 배치하여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하면,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제 3 배기구(143)에 인접되도록 구비하였다. 특히 상기 하부 가열유닛(130)은 상기 박스 하우징(110)에 형성된 인입구(111)와 배출구(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상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가열유닛(130)은 상기 박스 하우징(110)에 형성된 인입구(111) 및 배출구(113)를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부 가열유닛(120) 및 하부 가열유닛(130)의 타입, 배치 및 개수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기구(140)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순환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가스 유동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기구(140)가 서로 이격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구(140)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측면 중 상기 인입구(111)가 형성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배기구(141)와,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배기구(142)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 1 배기구(141)와 제 2 배기구(142)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가스 유동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110A),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구(111) 및 배출구(113)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구(140)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110B),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3 배기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기구(141), 제 2 배기구(142) 및 제 3 배기구(143)에는 원활한 가스의 순환을 위하여 각각 배기팬(141a, 142a, 143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의 내부 고온 가스의 유동도 및 내부 온도분포를 종래의 코일 박스에 따른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도 4는 비교예인 종래의 코일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a는 종래의 코일 박스 내부 가스 유동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종래의 코일 박스 내부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 내부 가스 유동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 내부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박스 하우징(110)의 상면에 상부 가열유닛(120), 즉 4개의 파이프 타입 버너(121, 122, 123, 124)가 구비되고, 박스 하우징(110)의 하면에 하부 가열유닛(130), 즉 2개의 슬릿 타입 버너(131, 1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110A)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가 형성되고, 박스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제 3 배기구(1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배기구(141), 제 2 배기구(142) 및 제 3 배기구(143)에는 각각 배기팬(141a, 142a, 143a)이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코일 박스인 비교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하우징(10)의 상면에만 4개의 버너(11)가 구비되고, 박스 하우징(10)의 인입구(10a)가 형성되는 일측 측면에만 2개의 배기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박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드럼(13) 및 제 2 드럼(1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가스 유동도를 코일 박스에 대한 전산유체해석결과(CFD)를 통해 가시화된 결과를 보고 비교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에 따른 코일 박스는 상면에 구비된 버너(11)에서 고온 가스가 박스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될 때 고온 가스가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고온 가스가 제 1 드럼(13) 및 제 2 드럼(14)의 하부 영역으로 통과하기 이전에 배기구(12)로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코일 박스의 에너지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5b의 사진 중 왼쪽 및 가운데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에 따른 코일 박스는 장치의 가동 중에 박스 하우징(10)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의 온도차가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 1 드럼(13) 및 제 2 드럼(14) 주위 온도의 상부와 하부의 편차가 상당히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b의 사진 중 오른쪽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언코일링 후 다음 공정으로 열연강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배출구(10b)가 오픈 될 경우 차가운(저온) 외기가 유입되어 배출구(10b) 부근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결과의 원인은 비교예에 따른 코일 박스가 단순히 상부에서 하부로 고온 가스를 분사시키는 구조이고, 배기구(12)가 인입구(10a)측 일면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박스 하우징(10) 내부에서 가스의 흐름이 반시계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는 동시에 배출구(10b)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반면에, 도 6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는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동시에 고온 가스가 유입되고,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가스의 흐름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전체 영역에서 활발한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 주위로 상부와 하부에 가스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 박스는 장치의 가동 중에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의 온도차가 비교예에 비하여 심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 주위 온도의 상부와 하부의 편차가 비교예에 비하여 상당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부 가열유닛(130)에 의해 박스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배출구(113)에서 차가운 배기가 유입되어 배출구(113) 부근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결과의 원인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박스에서 가열 유닛(120, 130)의 배치가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동시에 고온 가스를 분사시키는 구조이고, 배기구(140)가 박스 하우징(110) 내부에서 고온 가스가 일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하부 가열유닛(130)에 의해 배출구(113) 부근을 직접 가열시킴으로써 배출구(113)로 유입되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을 최소화시킨 것도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상하 온도 편차를 저감시킨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코일 박스 110: 박스 하우징
111: 인입구 113: 배출구
115: 제 1 드럼 117: 제 2 드럼
120: 상부 가열유닛 130: 하부 가열유닛
140: 배기구 141: 제 1 배기구
142: 제 2 배기구 143: 제 3 배기구

Claims (6)

  1. 열간압연 설비에서 이동되는 열연강판을 코일링(coiling) 및 언코일링(uncoiling)하여 가열로 및 버퍼역할을 하는 코일 박스로서,
    일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인입되는 인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열연강판이 교대로 코일링 및 언코일링되는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이 구비되는 박스 하우징(110)과;
    상기 박스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상부 영역(110A) 및 하부 영역(110B)을 각각 가열시키는 상부 가열유닛(120) 및 하부 가열유닛(130)과;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측면 중 상기 인입구(111)가 형성되는 일측과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되는 타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열유닛(1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파이프(pipe) 타입 버너(121, 122, 123, 124)이고,
    상기 하부 가열유닛(13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슬릿(slit) 타입 버너(131, 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는 상기 제 1 드럼(115) 및 제 2 드럼(117)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110A)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구(141) 및 제 2 배기구(142)에는 각각 배기팬(141a, 141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상기 박스 하우징(110) 내부의 가스가 배기되는 제 3 배기구(14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열유닛(130)은 상기 제 3 배기구(143)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박스.
KR1020110082648A 2011-08-19 2011-08-19 코일 박스 KR10123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648A KR101235767B1 (ko) 2011-08-19 2011-08-19 코일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648A KR101235767B1 (ko) 2011-08-19 2011-08-19 코일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767B1 true KR101235767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648A KR101235767B1 (ko) 2011-08-19 2011-08-19 코일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6B1 (ko) * 2015-04-23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532A (ja) * 1993-09-10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ボックスのコイル加熱装置
JPH09271841A (ja) * 1996-04-03 1997-10-21 Chugai Ro Co Ltd 粗圧延コイルの加熱方法およびコイルボックスのコイル加熱装置
JPH11221616A (ja) 1998-02-04 1999-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ボックス
KR100286607B1 (ko) 1996-10-08 2001-05-02 이구택 바이패스 압연이 가능한 엔드리스 압연용 코일 박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532A (ja) * 1993-09-10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ボックスのコイル加熱装置
JPH09271841A (ja) * 1996-04-03 1997-10-21 Chugai Ro Co Ltd 粗圧延コイルの加熱方法およびコイルボックスのコイル加熱装置
KR100286607B1 (ko) 1996-10-08 2001-05-02 이구택 바이패스 압연이 가능한 엔드리스 압연용 코일 박스 장치
JPH11221616A (ja) 1998-02-04 1999-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ボ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6B1 (ko) * 2015-04-23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4819B (zh) 用于制造热轧制钢带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联合浇铸轧制设备
KR101809108B1 (ko) 열간 강 스트립의 에너지 효율적인 제조를 위한 방법 및 플랜트
AU2006268944B2 (en) Method and production line for manufacturing metal strips made of copper or copper alloys
RU249135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легированной стали, в частности трубной стали
RU263010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посредств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и прокатки
CN101848776A (zh) 用于连续作业、半连续作业和间歇作业的灵活而结构紧凑的csp设备
JP2009525874A (ja) スチール又はスチール合金から成る連続鋳造製品の加熱及び/又は温度補償をするためのローラ炉床炉と熱間ストリップ仕上げ圧延ラインの前へのその配設
KR101626909B1 (ko)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및 그 플랜트
JPH0446601A (ja) 熱間薄板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JP2023530544A (ja) 熱間圧延極薄鋼帯の連続生産のためのプラントおよび方法
RU2019113143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итейно-прокат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бесконеч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й чистовой полосы
KR101235767B1 (ko) 코일 박스
JP2006055884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圧延制御装置
EP30061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el intermediate products
JP7095071B2 (ja) 金属帯材および板材のマルチモード製造のためのプラントおよび方法
KR102205154B1 (ko) 열연 강판의 냉각 방법 및 냉각 장치
CN109092910A (zh) 一种电磁感应线圈补偿加热设备及其提高轧材质量的方法
JP2005262255A (ja) 熱延鋼帯製造設備、同設備の構成方法および熱延鋼帯製造方法
RU237512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путем бесслитковой прокатки
KR100435435B1 (ko) 초극박 열연강판 생산겸용 연속열간압연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극박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CN107921497B (zh) 轧制方法和设备
JP7295419B2 (ja) 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
JP2604315B2 (ja) ホットコイルの製造方法
KR20110034356A (ko) 압연장치용 권취롤러
KR101235768B1 (ko) 멘드릴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