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769A -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769A
KR20190089769A KR1020190008247A KR20190008247A KR20190089769A KR 20190089769 A KR20190089769 A KR 20190089769A KR 1020190008247 A KR1020190008247 A KR 1020190008247A KR 20190008247 A KR20190008247 A KR 20190008247A KR 20190089769 A KR20190089769 A KR 20190089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guide rails
stretching
clip
ov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328B1 (ko
Inventor
토마스 하이거모서
크리스티안 헤인텔
마이클 바우마이스터
Original Assignee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8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연신 프레임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을 위한 개선된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특징 지어진다. - 연신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한 클립을 갖는 두 쌍의 서로 수직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클립은 서로 이격되도록 또는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다; - 상기 장치는, 연신 공정의 시작 시의 시작 위치(SP) 및 연신 공정을 수행한 이후의 종결 위치(EP) 이외에, 가이드 레일(7a, 7b; 9a, 9b) 및 이에 따라 그 위에 착석한 클립(19)이 추가로 로딩 위치(BP)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 로딩 위치(BP)는 연신 프레임(5) 내에 비대칭으로 놓이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연신 프레임(5)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측면이 연신 프레임의 대향 측면보다 근접하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DEVICE FOR THE UNIAXIAL OR BIAXIAL STRETCHING OF PLASTICS MATERIAL PORTION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 부분, 특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평평한 또는 플레이트-형상의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신 유닛은 특히, 작은 필름 샘플을 연신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필름 샘플의 크기는 약 10cm x 10cm이다. 연신 프레임으로도 종종 지칭되는 이와 같은 연신 유닛은 종방향 연신 유닛, 횡방향 연신 유닛 및/또는 특히, 동시 2축 연신 유닛의 형태인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 유닛(연속 연신 유닛)보다 몇배 작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기술된 연신 유닛은 비교적 작은 플라스틱 필름 부분에 기초한 연신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실험용 연신 유닛 또는 실험용 연신 기구라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연신 유닛에서, 필름은 연신 공정 중에 큰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신 유닛과 같이, 동일한 물리적 조건을 받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름은 90°만큼 서로 오프셋된 두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내에 삽입되며, 두 쌍의 가이드 레일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궁극적으로는 클립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직사각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한다. 2개의 상호 평행한 오프셋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된 클립들의 제1 그룹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종종 종방향 또는 MD 방향이라고 지칭함)으로 연신을 위해 사용되고, 2개의 다른 가이드 레일 상에 90°의 오프셋으로 위치된 클립은 제1 방향에 직각인 방향(예를 들어, 횡방향 또는 TD 방향이라고도 지칭함)으로 변위를 위해 사용된다. 클립은 시저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어서, 연신 공정 중에, 가이드 레일에서 펼쳐지는 중에, 쌍으로 배치되고, 90°만큼 오프셋되며, 클립이 균일하게 증가하는 방식으로 이격된다.
연신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여러 유형의 연신 프레임이 있다. 원칙적으로, 대칭 연신 지점 또는 고정된 연신 지점을 갖는 연신 프레임 사이에는 구별이 이루어진다.
대칭 연신에서, 언급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연신 프레임의 중심 또는 중심 지점에 대해 대칭으로, 즉, 서로 이격되는 반대 방향으로 또는 서로를 향하는 대향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필름 또는 플레이트의 에지부와 결합하는 클립을 이용하여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의 바람직하게는 불연속 및 2축 연신을 위한 장치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1 928 734U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연신 장치는 평면도에서 서로에 대해 정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의 각각의 쌍은 적절한 구동 수단에 의해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 이격되며 변위될 수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V-형상인 로드(rod)가 제공되며, 로드는 다른 각도 설정으로 조정 가능하고, 로드 상에 로드 클립이 유지되고 안내된다.
그런 다음, 연신될 필름 또는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상기 장치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클립에 의해 에지부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이드 레일이 대칭으로 외측으로 쌍으로 변위되면, 그 사이에 있는 필름 또는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예컨대, 종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된다. 따라서, 서로 수직인 두 연신 방향에서 연신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대칭 연신이 발생한다.
고정된 연신 지점을 갖는 연신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10 2009 003 751 B4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연신 프레임의 특별한 특징은 필름 부분을 클램핑하고, 연신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서로 수직인 2개의 가이드 레일이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초기 또는 클램핑 위치에서, 클립이 위치된 2개의 각각의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은 그 위에 안착된 클립에 의해 고정 가이드 레일을 향해 공급되어 가능한 작은 시작 및 클램핑 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에서, 연신될 플라스틱 필름 부분은 예를 들어, 10cm x 10cm의 초기 크기로 클램핑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로 수직인 2개의 가이드 레일은 2축 연신을 수행하기 위해 고정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장치는 클램핑 위치가 연신 프레임 에지부, 즉, 코너 영역 상에 제공된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자체로 바람직한 연신 조건이 이러한 연신 프레임에 의해 제공될 수 없다는 것이 나타났고, 연신 조건은 종래의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신 유닛 상에 존재하는 것과 가능한 동일하거나 또는 가능한 근접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에 공지된 해결책보다 우수한, 특히,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플레이트, 플라스틱 멤브레인 또는 플라스틱 메쉬 등의 형태인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을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특정된 구성들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종래 기술로부터 또한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연신 프레임에서 연신 공정 자체가 대칭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수행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즉, 이후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서로 이격되게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호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 부분의 형태 또는 플라스틱 플레이트, 플라스틱 멤브레인 또는 플라스틱 직물의 형태인 클램핑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은 연신 장치에서 중심에 클램핑되는 동안에 상기 시작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그 위에 클립이 제공된 상태로 일정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정된다. 가이드 레일의 이동이 일 방향으로만 발생하는 경우에, 연신은 1축으로 수행된다. 가이드 레일의 이동이 2개의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동시에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동시에 연신이 2축으로 되고, 2축 연신인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클립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일시적인 오프셋에 의해, 90°만큼 오프셋된 다른 가이드 레일에 위치된 클립은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어서, 초기에 MD 방향으로 연신되고, 후속하여 TD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또는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연신 공정은 연신될 필름 부분이 연신 프레임의 중앙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은 특히,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신 유닛에서의 연신 공정 동안 존재하는 조건에 매우 근접한 조건 하에서 플라스틱 재료 부분에 대한 최적의 연신이 수행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립으로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언급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호일 부분, 플라스틱 필름 부분, 플라스틱 플레이트, 플라스틱 멤브레인 또는 플라스틱 직물의 형태로 언급된 바와 같은 평평한 구조물, 즉, 특히, 몸체 또는 재료의 두께와 관련하여 2차원 형상을 갖는 몸체 및 구조물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편의상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플라스틱 몸체' 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부분' 또는 단순히 '필름 부분'이지만, 이들은 제한된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 및 서로 작은 거리에 위치되는 클립을 갖는 조정 영역은 연신 프레임의 중앙 위치가 아닌 중앙을 벗어난 측 위치에 있으며, 클램핑 영역은 연신 장치의 측방향 경계부에 비교적 가깝게 그리고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어서, 클램핑된 필름 부분을 갖는 클램핑 영역은 주로 시작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실제 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연신 장치의 보다 중앙에 있거나 적어도 대략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대안적인 해결책으로서 그리고 전술한 해결책 이외에,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일시적인 오프셋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즉, 먼저, 연신 장치의 에지부에 있는 클램핑 위치로 이동되고, 이후에 더욱 중앙 시작 위치로 이동되어서 후속하여 이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연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에서 90°만큼 오프셋된 가이드 레일은 이전과 같이, 연신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되거나 또는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위치를 향하거나 또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연신 시작 위치로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변위는, 예를 들어, 각각의 구동 런의 형태인 별도의 구동 수단을 갖는 2개의 모터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2개의 모터는 각각 구동되어서 2개의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가이드 레일 중 하나를 변위시킨다. 예를 들어, 기어 또는 중간 기어의 형태인 적절한 트랜스미션 기구를 통해, 이러한 구동이 경우에 따라 단일 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이격되어 90°만큼 오프셋된 가이드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가 제공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 구동부와 유사한 제2 모터에는 2개의 서로 오프셋된 롤러 또는 가이드 휠 주위에 위치된 체인형 트랜스미션 수단과 같은 런이 제공되며, 예컨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팔로워를 통해 상기 체인형 또는 벨트형 트랜스미션 수단의 상부 런은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체인형 또는 벨트형 트랜스미션 수단의 하부 런은 다른 가이드 레일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언급된 순환 구동부 또는 트랜스미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2개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또는 구동 모터의 방향을 반대로함으로써 서로 이격되게 이동된다.
2개의 반대 회전 방향으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한 전술된 구동부 및/또는 트랜스미션 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체인 텐셔너 또는 체인 텐셔닝 부재 등이 제공되는 벨트 구동부 또는 체인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삽입된 필름 부분을 갖는 연신 프레임은 필름 부분이 연신 프레임으로 삽입되는 로딩 또는 삽입 위치로부터 오븐 내로 이동되어 그 내부에서 연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전에 있어서, 장치에는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연속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븐이 제공되며, 특히, 종래 해결책과 다르게 오븐 사이를 추가로 폐쇄할 수 있는 분리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고려된다. 셔터 다이어프램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다이어프램은 연신 프레임이 하나의 오븐에서 다음 오븐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2개의 오븐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전의 셔터 다이어프램은 완전히 폐쇄될 수 없었기 때문에, 오븐 내부와 외부 사이에 무시할 수 없는 가열 공기 유동을 발생킨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공된 오븐은 바람직하게는 여러 단계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부분을 가열하기 위해 하나의 오븐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뒤에 배치된 제2 오븐은 제1 어닐링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연속적인 제3 오븐은 예를 들어, 추가 어닐링 영역 또는 냉각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온도 조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동 공기 공급부 뿐만 아니라 능동 공기 공급부가 바람직하게는 연신될 필름 부분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오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연신될 필름 부분의 위와 아래 모두에 능동 공기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유동은 열적으로 사전-조절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한 개선점은, 예를 들어, 오븐에서의 공기 공급이 벨트 또는 V-벨트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팬 모터의 샤프트 상에 직접 장착되는 팬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장치는 더 조용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한 전체 장치에 대응하는 단열부를 이동식 연신 프레임의 위아래 및 측면 상에 제공하여 폐쇄된 단열 공간이 캐리지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오븐 내의 연신될 필름 부분이 적외선 오븐이 아닌(연신될 필름 부분이 오븐 내에 있을 때에만 가열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가열된 공기를 통해 가열될 때 더욱 우수한 연신 결과가 달성되어서, 연신될 필름 부분이 이미 사전 가열된 오븐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대해 개선된 클립이 사용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개선점이 달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가이드 레일 상의 클립들은 예를 들어, 전체 연신 프레임에서 중앙에 배치될 클립이 연신 단계 중에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클립은 측정 클립으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을 운반하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 어떠한 이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굽힘 게이지 또는 변형 게이지의 형태인 각각의 굽힘 또는 변형-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클립용 유지 기구가 제공된다. 이것들은 필름이 연신되는 힘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해결책은,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위치되는 측정 클립이 각각의 관련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비록, 중앙 클립이 대칭 연신 공정으로 인한 연신 공정 중에 가이드 레일 상에서 중앙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지 않더라도), 굽힘 또는 변형-측정 장치는 연신될 필름 부분의 평면에 평행하거나 적어도 대략 평행인 또는 상기 평면에 놓인 굽힘 또는 변형 게이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은 공기 압력 제어부 또는 질소 제어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일체형 스프링 힘 축압기에 의해 작업 실린더를 통기할 때 개방된다.
클립 클램핑 부분 및/또는 클립 테이블의 실제 클램핑 표면은 사용된 필름 재료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필름 부분의 에지부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실제 클램핑 표면에 클립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부분이 안착된다. 뾰족한(jagged) 클램핑 표면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클램핑 표면 또는 고무화된 클램핑 표면이 제안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한이 없다.
포일 또는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한 전술된 장치는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 및 상이하게 조정 가능한 연신 조건에 기본적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PP, PET, PEA, PS, PVC, PTF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장치로 바람직하게 연신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이상적으로 조정 가능한 온도 윈도우 내에서, 특히, 다양한 연신 속도 및 연신율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된 연신 장치로 연신 공정을 수행한 후에, 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연신된 필름 부분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어서, 이들 연구의 결과로부터 큰 연신 생산 유닛에서 동일한 구성의 대응하는 필름이 제조될 수 있는 방식에 관한 결론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의해, 일련의 시험을 통하여 원재료의 최적인 혼합 및 각각의 바람직한 첨가물의 비율을 발견 및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개선된 특성을 갖는 최적의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거나 및/또는 특히, 후속하는 테스트의 결과로서 필름의 두께가 작음에도 동일하게 바람직한 필름 부분이 확립되는 것을 발견할 때 원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프레임은 다수의 장점을 가지며, 특히, 그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발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독일 특허공보 DE 10 2009 003 751 B4호에서와 같이, 고정된 연신 지점을 갖는 연신 프레임의 경우에, 균일한 인발 또는 연신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지는 않지만, 이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최적의 삽입 및 클램핑 조건을 유지하면서 비대칭적으로 움직이는 연신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연신 프레임의 클램핑 및 프레이밍 위치에 바로 인접한 오븐 또는 오븐을 사용할 때,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필름 샘플이 삽입될 때 소망하는 온도가 이미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큰 연신 장치에 대한 실제 조건을 훨씬 더 양호하게 근사한다. 여러 개의 오븐을 사용하는 다른 큰 이점은 다양한 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오븐은 셔터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연신 프레임의 필름 샘플이 각각의 오븐으로 이동될 때 즉시 셔터가 개방되고, 필름이 각각의 오븐에 있는 즉시 셔터가 다시 폐쇄된다. 따라서, 각각의 오븐은 최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a는 2개의 하류 오븐을 갖는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도이다.
도 1b는 3개의 하류 오븐을 갖는 연신 장치(연신 유닛)로 도 1a에 대한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내부에 가이드 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 위에 클립이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프레임의 개략적인 공간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시저 기어를 통해 함께 결합되며, 그 위에 클립이 위치된 2개의 부분적으로 복제된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동시에 2개의 서로 평행한 가이드 레일이 오직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이격되도록 어떻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수직하는 제2 가이드 레일 쌍은 또한 두 반대 방향으로 서로 어떻게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3개의 개략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특히,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 연신 공정을 시작할 때와 연신 공정을 종결할 때의 중앙 시작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프레임의 3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관련 지지부 및 클립에 가해지는 연신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갖는 클립의 공간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수직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링크 체인 상에 배치된 클립의 확대된 상세 공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상이한 클램핑 표면 또는 접촉 영역을 가지며, 클립 클램핑 장치의 하부 측에 교체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상이한 클램핑 브래킷의 4개의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상이한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클립 테이블 구조물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클램핑 브래킷의 대응하는 상이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연속적으로 제공된 2개의 오븐의 2개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상부 측 오븐과 베이스 오븐이 제공되며, 그 사이로 연신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다.
도 14는 팬 및 모터 구동부가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간략화된 공간 도면이다.
도 14a는 (연신 오븐의 경우에)여전히 연신되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방향으로 공기 흡입 개구 및 배출 개구 또는 배출 영역을 갖는 처리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향하는 오븐의 상부 및 하부 측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대응하는 도면이지만,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연신이 완료된 이후이고, 특히, 도 14a에 대하여 확대된 배출 개구를 갖는 후-처리 및/또는 어닐링 영역을 위한 오븐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단 수동으로 환기되고, 일단 능동으로 환기되는 상부 및 하부 오븐을 각각 갖는 2개의 연속적으로 제공된 오븐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공간도이다.
도 16은 연신 프레임에 대한 조정 경로의 양측에서 상부 오븐과 하부 오븐 사이에 각각 단열부가 제공되고, 단열부는 오븐의 영역에만 구멍을 갖는 오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바람직하게는 단열 플레이트의 형태인 도 16의 측면도에 도시된 단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오븐 내부에 위치하는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역-회전 모터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오븐의 상보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연신될 필름 부분을 삽입할 때 대개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1)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신을 위한 장치(이하에서 연신 장치 또는 연신 유닛이라고도 함)는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1) 이외에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오븐(3a, 3b)을 포함하며, 도 1a에 다른 변형 예에서 보통 마지막 오븐 뒤에 전환 캐비닛(2)이 또한 제공된다. 연신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유지, 수축 및/또는 냉각 또는 가열 공정 또는 어닐링 또는 냉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하에서 논의되는 연신 프레임은 오븐 내외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b에 따른 변형 예는 2개의 오븐 대신에, 3개의 연속적인 오븐(3a, 3b, 3c)이 제공되고, 전술한 전환 캐비닛(2)이 오븐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점에서, 도 1a의 실시예 및 도 1b의 실시예에서, 캐비닛은 선택적이며, 즉, 완전히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 상에서 오븐 뒤에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연신 장치는 어떤 경우에는 단일 오븐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3개를 초과하는 오븐, 즉, 예를 들어, 적어도 4개의 오븐 또는 적어도 5개의 오븐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공간 도면에서, 필름 부분을 연신시키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연신 프레임(5)(도 2), 특히, 주변 프레임(5a)을 갖는 연신 프레임(5)과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공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의 가이드 레일(7a, 7b, 9a, 9b)이 연신 프레임(5)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측방향 오프셋으로 서로 평행한 2개의 가이드 레일(7a, 7b)은 양방향 화살표(13)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다. 양방향 화살표(13)에 따른 조정은 또한 종방향(종종 MD 방향이라고도 함)의 조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2 쌍의 가이드 레일(9a, 9b)은 또한 연신 프레임(5) 내에서 상호 측방향 오프셋으로, 특히, 제1 가이드 레일(7a, 7b)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들 제2 가이드 레일(9a, 9b)은 양방향 화살표(15)에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또는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연신 프레임(5)의 중앙 또는 중심 지점(17)에 대칭인 제1 가이드 레일과 유사하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들(7a 내지 9b) 상에 복수의 클립(19)이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들(7a 내지 9b) 상에 배치된 클립(19)은 '뉘른베르크 시저스(
Figure pat00001
)'(또한, 신축 집게(lazy tongs))로 공지되어 있는 링크 체인(2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때로는 시저 그리드라고도 한다.
상기 링크 체인(21)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7a, 7b 또는 9a, 9b)의 공간 도면 또는 평면도로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 체인(21) ('뉘른베르거 시저스')는 가이드 레일에 평행한 평면에 대략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교차된 바(bar) 또는 시저 레버(23a 및 23b)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호 연장되는 시저 레버 장치가 상기 링크 체인(21)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3a에서, 제1 지그재그 형상 시저 레버(23a)를 갖는 제1 시저 레버 장치와, 오프셋되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 시저 레버(23b)를 갖는 제2 시저스 레버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인 시저 레버(23a)는 서로에 대해 V-형상으로 각각 위치되고, 평면도에서 V-형상을 갖는 2개의 연속적인 제1 시저 레버(23a)가 예를 들어, 클립으로부터 이격된 조인트 또는 조인트 축선(24a)을 이용하여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시저 레버(23a)의 조인트 또는 조인트 축선(24a)의 반대편 단부에서, 이들은 클립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조인트 또는 조인트 축선(24b)에 의해 다른 제1 시저 레버(23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지그재그-형상 시저 레버 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언급된 제2 시저 레버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시저 레버(23b)는 상응하는 V-형상으로 배치되고, 2개의 연속적인 시저 레버(23b) 각각은 또한 클립으로부터 이격된 조인트 또는 조인트 축선(24'a)을 통해 또는 클립 근방의 조인트 축선(24'b)을 통해 각각의 연속적인 제2 시저 레버(23b)에 연결된다.
한편으로는 시저 레버(23a)를 갖는 지그재그-형상 시저 레버 장치 및 다른 한편으로는 시저 레버(23b)를 갖는 지그재그 형상 시저 레버 장치는 서로 오프셋되어서, 제1 시저 레버(23a)가 제2 시저 레버(23b)와 교차하고 이들이 중앙 피봇 지점 또는 중앙 회전축(25)을 통해 교차점에서 힌지 결합 방식으로 서로에 연결된다.
도 3a를 참조하여 도시된 링크 체인(21)은 4개의 가이드 레일(7a, 7b 및 9a, 9b) 모두에 대해 구현되므로, 도시된 가이드 레일에 대해 4개의 도면부호 7a, 7b, 9a, 9b가 모두 표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제1 시저 레버(23'a) 및 협동하는 제2 시저 레버(23'b)는 4개의 링크 체인(21) 각각의 개별적인 가이드 레일(7a, 7b 또는 9a, 9b)의 방향에서 대향 단부 영역에 대략 절반 길이로 형성되어서, 이들의 공통 회전축(25'a)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장치(27)에서 끝나고,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가이드 장치 내에 안내된다. 이것은 도 3b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에서 볼 수 있다. 대략 절반 길이인 외측 시저 레버는 도면부호 23'a 및 23'b로 표시된다.
또한, 도 3a에서 링크 체인(21)은 준 이중(quasi-double) 체인이고,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좁은 거리에 배치된 시저 레버(23a 및 23b)가 합동으로 겹쳐지는 2개의 링크 체인을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연신 프레임의 중심 방향에서 돌출하는 시저 레버(23b)의 링크 지점(24b)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7 또는 9)의 위 그리고 아래에 놓이도록 한다.
클립(19)의 영역에 제공된 전술한 링크 지점(24b)은 이들 위치에서 클립 또는 클립 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도 3b의 평면도에서 축선(24b) 및 관련 클립(19)은 링크 체인(21)의 펼침 이동과 무관하게 항상 가이드 레일의 폭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고,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대해 도 3b의 파선(L)에 따라서만 변위 가능하다.
클립(19)으로부터 이격된 수직 회전축(24a, 24'a)은 또한 스페이서 본체(23c)를 포함하여, 시저 레버(23a, 23b)의 상부 및 하부 평면을 일정한 거리로 유지시킨다. 클립에 인접한 수직 링크 축선들(24b, 24'b)은 평면도에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놓여서, 각각의 시저 레버 장치의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에서 조인트 축선들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대신에, 상부 및 하부 평면을 위한 별도의 조인트(24b, 24'b)가 제공되고, 별도의 조인트(24b, 24'b)는 평면도에서 일치하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그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에 인접한 조인트 축선(24b, 24'b)은 각각 연관된 클립 본체에 연결된다. 시저 레버(23a, 23b)의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의 전술한 스페이서 본체(23c)에는 바람직하게는 보어의 형태인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를 통해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경로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19')이 연장되며, 상기 연장 부분(19')은 베어링 및 클립 또는 클립 본체(19)를 지지하며, 클립 본체(19)로부터 이격되도록 배향되는 연장 부분(19')을 결합시키는 지지 구조물(49)에 연결되어서, 링크 체인이 별개로 또는 함께 이동할 때, 대응하는 클립 본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서로 더 큰 측방향 거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인접한 클립으로부터 감소된 측방향 거리를 형성하지만, 클립 본체는 항상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된다.
각각의 링크 체인(21)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경우에, 2개의 인접한 클립 사이의 측방향 클립 간격이 증가되고, 스페이서 본체(23c)는 가이드 레일의 방향으로 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상 연장 부분(19') 상에서 슬라이딩되고, 이에 의해 중앙 회전축(25)(2개의 시저 레버(23a 및 23b)가 교차됨)이 가이드 레일의 방향으로 절반-이동 구성요소와 함께 이동한다. 이는 클립에 인접한 링크 축선(24)이 연관된 클립 본체 또는 베어링 또는 클립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49)에 대해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저 레버(23a, 23b)의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 본체(23c)는 또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확대된 상세도 및 도 2의 전체 공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크 체인(21)의 방식으로 시저-유형 구조물을 통해 연결된 클립(19)은 코너 커넥터(29)의 형태인 조정 가이드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코너 커넥터(29)는 각각 개구를 구비하며, 대응하는 코너 커넥터는 한편으로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7a 또는 7b)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코너 커넥터(29)의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가이드 레일(9a 또는 9b)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레일(7a 내지 9b) 상에서 2개의 각각의 인접한 클립(19) 사이의 측방향 거리가 증가하지만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연신 공정 중에 클립(19)이 함께 이동하고, 클립(19)이 따로 이동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레일(7a 및 7b) 모두는 이들 각각의 중간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양방향 화살표(13)(도 2)에 따라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너 커넥터(29)에 의해 형성된 대응 조정 가이드(29)는 양 가이드 레일(7a, 7b)에 의해 끌려가고, 이에 의해 지지되는 클립 사이의 중간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가이드 레일(9a, 9b)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팬터그래프를 통해 서로 연결된 클립(19)이 따로 이동된다. 이러한 조정은, 예를 들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필름을 1축으로 연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직인 제2 가이드 레일(9a, 9b)이 동시에 떨어져 이동하거나 또는 양방향 화살표(15)에 따라 일시적으로 오프셋되면, 이들 가이드 레일 상에 안내되는 방식으로 유지되는 조정 가이드/코너 커넥터(29)는 특히, 양 가이드 레일(9a, 9b)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제2 가이드 레일(9a, 9b)를 통해 동시에 이동되어서, 제1 가이드 레일(7a, 7b) 상의 클립이 또한 서로 이격되며 점진적으로 이동된다(동일한 거리로). 상기 링크 체인(21)은 가이드 레일이 펼쳐지는 동안에 점차적으로 개방 위치로 회전되어, 인접한 모든 쌍의 클립 사이의 거리가 커지지만 일정하게 유지된다.
완전성을 위해,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7a, 7b)이 제1 레일 가이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이들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가이드 레일 (9a, 9b)은 제1 레일 가이드 평면 위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된 제2 레일 가이드 평면에서 적어도 가이드 레일의 재료 두께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 가이드 레일 쌍(7a, 7b 또는 9a, 9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 상에 놓인 클립은 모든 클립(19)의 클램핑 평면이 공통 클램핑 평면(E)을 형성하도록 조정된다. 즉, 클립(19)의 클램핑 평면(E)은 클립(19)의 주행 평면이기도 하며, 즉, 평면(E)은 모든 가이드 레일(7a, 7b 및 9a, 9b)이 위치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평면이다.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 및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의 조정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절한 구동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가이드 레일 쌍(7a, 7b)을 위한 조정 장치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 각각은 횡방향(TD)으로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이격되도록 조정 가능하다. 이러한 조정 공정에 필요한 부품은 도 4a에서 어두운 색상으로 강조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따르면, 제1 편향 샤프트(33a)는 제1 구동 모터(31), 상기 구동 모터(31)의 하류에 배치된 기어 기구(31a) 및 주변의 제1 트랜스미션 수단(32)을 통해 구동된다. 상기 제1 가이드 샤프트(33a)는 제2 편향 샤프트 또는 가이드 휠(33b)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주변의 제2 트랜스미션 수단(34)을 통해 연결되며, 제2 편향 샤프트 또는 가이드 휠(33b)은 오프셋되어 제1 편향 샤프트(33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트랜스미션 수단(34)을 위한 제1 편향 샤프트(33a)에 대향하는 대향 편향 장치는 반드시 연속적인 편향 샤프트일 필요는 없지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대향 편향 휠(33b)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수단(34) 자체는 근본적으로 체인, 벨트, 밴드, 스핀들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은 특정 사용 조건으로 인해 선호된다.
2개의 트랜스미션 샤프트(33a, 33b)는 상기 트랜스미션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의 최대 연신 위치에 도달하는데 충분한 간격을 제공하는 거리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컨대, 팔로어(28)를 통해 제1 가이드 레일(7a, 7b)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7a)은 하부 런(34a)에 고정되고, 제1 가이드 레일(7a, 7b) 중 다른 하나의 가이드 레일(7b)은 제2 트랜스미션 수단(34)의 상부 런(34b)에 고정된다(도 4c 참조). 이 때문에, 구동 모터(31)에 의해 순환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수단(32)이 구동될 때, 회전 방향에 따라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7a, 7b)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되고, 모터(또는 후속 기어)는 연신 프레임(5) 내에서 양방향 화살표(13)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도 4a에 따른 변형 예는 횡방향, 즉, 횡방향 또는 짧은 TD 방향의 조정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비교될 수 있는 조정 장치는 또한 제1 가이드 레일(7a, 7b)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에 제공된다.
그러나, 도 4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동 장치가 2개의 추가의 가이드 레일(9a, 9b)에 제공되어야 한다면, 각각의 2쌍의 가이드 레일(7a, 7b 및 9a, 9b)의 대칭 조정이 연신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중심에 대하여 외측으로 또는 서로를 향하여만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제2 및 제3 구동 수단이 2개의 다른 제2 가이드 레일(9a, 9b)을 위해 제공되며, 제2 및 제3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기구 종방향(MD)으로 이동 가능하여 2개의 가이드 레일(9a, 9b)을 별도로 조정하고, 서로 왕복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연신 프레임의 일 측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조정한다.
후속하여, 도 4b를 참조하면, 2개의 다른 가이드 레일들 중 하나에 대한 구동 및 조정 장치, 즉,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9a)이 먼저 도시되고 기술된다. 이를 위해, 또한 상기 구동 모터(37)의 하류에 있는 기어(37a)를 갖는 제2 구동 모터(37)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시작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스미션 수단(38)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샤프트 또는 중간 휠이 제공된다.
또한, 2개의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33a, 33b)에 수직인 2개의 이격되어 평행한 제2 트랜트미션 샤프트(39a, 39b)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샤프트는 다른 회전 트랜스미션 수단(40)을 통해 서로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트랜스미션 수단(40)은 스핀들의 체인, 벨트 또는 밴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체인으로 형성되는 2개의 트랜스미션 수단(40)은 연신 프레임 에지부 근방에서 서로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구동 모터(31)에 의해 연속 샤프트(39a)를 통해 구동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 대신에, 단지 2개의 편향 휠(39b)이 여기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b에 따른 개략도에서, 모터(37)는 모터 또는 출력 샤프트(37a)를 통해 후속하는 트랜스미션 수단(38)을 구동시키고, 후속하는 트랜스미션 수단(38)에는 예를 들어,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39a)를 회전으로 설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중간 샤프트(37b)(예컨대, 모터 출력 샤프트(37a)와 평행함)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상기 트랜스미션 샤프트(39a)는 시작부 및 종료부에서 트랜스미션 샤프트(39a)의 대향하는 2개의 단부면 영역과 결합하는 순환 트랜스미션 수단(4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은 트랜스미션 샤프트(39a)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추가적인 트랜스미션 샤프트(39b)를 통해 또는 순환 휠(39b)을 통해 순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팔로워(42)를 통해 순환 트랜스미션 수단(40)의 하부 런(40a) 또는 상부 런(40b)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서, 구동 모터(37)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 중 인용된 제1 가이드 레일(9a)은 특히, 양방향 화살표(15)에 따라 중심(17)의 방향으로 또는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신 프레임의 에지부 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런 다음, 상기 조정 방향은 또한 예를 들어, 기구 방향(MD)의 조정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제, 제2 가이드 레일 쌍(9a, 9b)의 제2 가이드 레일(9b)을 개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3 구동 수단은 도 4c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며, 이를 위해 필요한 부품은 또한 어두운 색으로 다시 강조된다.
즉, 상기 목적을 위해, 제2 구동 수단(137)은 모터의 형태로 제공되고, 선택적으로는 하류 기어 기어(137a) 또는 하류 트랜스미션 수단(138)이 제공되며, 특히,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139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 샤프트(139a)의 대향하는 2개의 단부 영역 각각에는 체인, 벨트, 밴드, 스핀들 등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는 순환 트랜스미션 수단(140)이 또한 제공된다.
트랜스미션 샤프트(139a)의 회전 중에, 대응하는 트랜스미션 수단(140)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순환 트랜스미션 수단(140)은 트랜스미션 샤프트(139a)에 대한 반대 단부에서 그 위에 제공된 제2 샤프트를 통해 또는 별도로 제공된 구동 휠(139b)을 통해 회전된다.
다시,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9b)은 팔로워(142)를 통해 순환 트랜스미션 수단(140)의 상부 런 또는 하부 런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서, 궁극적으로는 제3 모터 및 구동 수단(137)이 구동될 때, 회전 방향 및 이에 따른 트랜스미션 샤프트(139a)의 회전 방향 및 2개의 후속 트랜스미션 수단(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이드 레일(9b)은 양방향 화살표(15)에 따라서 연신 프레임 내에서 연신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또는 연신 프레임의 중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9b)은 제3 구동 유닛(137)에 의해 가이드 레일(9a)과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즉, 제2 및 제3 구동 수단(37, 137)은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2개의 가이드 레일(9a, 9b)이 상호 거리를 감소시키면서 서로를 향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또는 2개의 가이드 레일(7a, 7b)과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2개의 가이드 레일(9a, 9b)을 위한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평행한 2개의 가이드 레일(9a, 9b)이 서로로부터 각각의 거리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서로의 거리를 감소시키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예를 들어, 도 5b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체 연신 프레임(5)에 대한 중심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서로 최소 또는 적어도 비교적 작은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7a, 7b 및 9a, 9b)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위치에서, 원칙적으로 연신 프레임에 연신되는 플레이트, 시트, 필름 또는 멤브레인 또는 웨브-형상 또는 직물-형상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이하의 실시예에서, 간단하게 '필름 부분'으로 지칭되지만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필름 부분'만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서로에 대해 이러한 조정된 가이드 레일(7a 내지 9b)의 위치로 인해, 대응하는 조정 가이드/코너 커넥터(29)는 대응하는 결합 위치로 이송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조정 가이드/코너 커넥터(29) 사이에 제공된 클립(19)은 링크 체인(21)을 통해 두 클립(19) 사이의 측방향 거리가 극히 작거나 심지어 가능한 최소 거리로 감소되는 시작 위치로 조정된다. 각각의 클립이 서로 측방향 접촉을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시작 위치(SP)로도 지칭되는 상기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개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7a, 7b 및 9a, 9b)은 대응하는 모터 구동부(31, 37, 137)에 의해 떨어진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대응하는 조정 가이드/코너 커넥터(29)는 가이드 레일의 각각의 서로 수직한 부분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되고, 개재된 클립은 개략적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체인(21)에 의해 상호 먼 위치로 점차적으로 변위된다. 연신 공정이 종결되는 위치는 이하에서 종결 위치(EP)로 지칭된다. 즉, 실제 연신 공정은 시작 위치와 종결 위치 사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종결 위치 이후에, 후-처리(어닐링)가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름이 소정의 이완을 겪게 되고, 각각의 대향 클립의 거리, 따라서,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 쌍 각각의 거리가 다시 약간 감소된다. 이로써 달성될 수 있는 최종 위치는 후-처리 위치로 지칭된다. 그러나, 실제 연신 공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오븐에서 적절한 열처리 하에 수행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포일, 필름 또는 멤브레인 또는 직물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인 평평한 플라스틱 몸체의 대칭 연신이 근본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지만, 바람직하게는 필름 부분이 클립을 폐쇄함으로써 고정되고 유지되기 전에 정사각형의 방식으로 주변부에 위치되는 클립 사이에 적어도 작업자가 연신 프레임 위로 기울여서 대응하는 필름 부분(41)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 연신 프레임에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을 제공할 때, 상기 방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 5b의 바람직한 도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연신 공정의 시작 전에, 도 5a의 개략적인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 프레임(5) 내로 로딩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로딩 위치(BP)로 이동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에서, 평평하거나 플레이트형인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이 클립(19)에 의해 구획되는 로딩 영역(4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의 재료 에지부는 클립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도 5a).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 레일(9a, 9b)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개별 모터(37, 137)에 의해 예를 들어, 개별 회전 트랜스미션 수단(40 또는 140)을 통해 구동된다.
이는 더 나은 인체 공학을 달성한다. 예를 들어, 종방향 연신 가이드 레일 또는 짧게는 MD 가이드 레일(9a, 9b)로도 지칭되는 가이드 레일이 전체 시스템에서 더 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어서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의 로딩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9a, 9b) 모두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공통적인 조정은 2개의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모터(37 및 137)의 도움으로 구현된다. 균일한 힘 전달을 위해 구동 트레인은 가능한 한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2개의 모터 기어(37a, 137a) 및 관련된 구동 트레인(37, 137)은 각각의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가이드 레일만을 조정하면 되므로 요구되는 힘 또는 동력의 절반을 위해 설계될 수 있고,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에 대응하는 연신력이 가해진다. 대조적으로, 연신 공정 중에 오직 서로를 향하여 함께 이동되거나 서로 함께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2개의 가이드 레일(7a 및 7b)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7a 및 7b)을 위한 추가로 제공된 구동 트레인은 종래의 구동 수단과 같이 양 가이드 레일에 작용하는 대향하는 연신력을 생성하도록 설계되는 강력한 모터를 필요로 한다. 보다 강력한 모터 대신에 또는 그 이외에, 다른 비율의 트랜스미션도 선택될 수 있다. 2개의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9a, 9b)을 위한 2개의 별도의 구동 수단의 사용은 보다 우수한 중량 분포를 초래하며, 가능하다면 예를 들어, 베어링에서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킨다.
두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것은 일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부적절하다. 샘플을 로딩할 때, 클립(19)이 연신 프레임(5)의 에지 부분에 가능한 가깝게 서로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공통 방향으로 2개의 다른 가이드 레일(9a, 9b)의 대응하는 조정 이동(제공될 수 있다 하더라도)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5a에 따른 로딩 위치(BP)와 연신 공정의 시작 전에 일반적으로 시작 위치(SP)를 나타내는 도 5b에 따른 중심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로딩 위치(BP)를 취하면서) 다양한 클립(19)에 의해 구획되는 로딩 영역(45)이 연신 프레임(5)의 외측 에지 경계부(5b)를 향하여 중심(1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로딩 위치(BP)에 있는 필름 영역(45)은 시작 위치(SP)를 취할 때 로딩 영역(45)과 겹치지 않거나 또는 약간 겹치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서와서 같이, 이들은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다(도 5a 및 도 5b).
이로부터, 연신 유닛의 평면도에서 연신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로딩 영역(45) 또는 내부에 삽입되는 필름 부분(41)이 위치를 취하거나 및/또는 로딩 위치(BP)의 표면을 덮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시작 위치(SP)에서 필름 부분(41)의 표면에 대해 겹치지지 않거나 또는 연신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의 영역의 80% 미만, 특히, 70%, 60%, 50%, 40%, 30%, 20% 또는 10% 미만인 부분 영역 내에서만 겹친다.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이 로딩 위치(BP)에서 겹쳐지는 경우에, 상기 플라스틱 재료 부분이 로딩 위치(BP)에서 시작 위치(SP)로 이동되었을 때,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이 차지하는 영역은 또한 필름 샘플의 크기, 즉,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크기에 의존한다. 대응하는 플라스틱 재료 부분은 예를 들어, 2cm x 2cm에서 20cm x 20cm까지 변할 수 있다. 즉,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각각의 샘플은 예를 들어, 2cm, 3cm, 4cm, 5cm, 6cm, 7cm, 8cm, 9cm, 10cm, 11cm, 12cm, 13cm, 14cm, 15cm, 16cm, 17cm, 18cm 또는 19cm의 최소 에지부 길이를 갖거나 반대로, 2cm, 3cm, 4cm, 5cm, 6cm, 7cm, 8cm, 9cm, 10cm, 11cm, 12cm, 13cm, 14cm, 15cm, 16cm, 17cm, 18cm 또는 19cm 또는 20cm의 최대 에지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홀수 개의 클립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7a 내지 9b)에 사용되면, 클립이 기본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위치되더라도, 각각의 가이드 레일 상에서 중앙에 안착된 클립(19, 19a)은 본질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도 3a, 도 3b 및 도 5c). 이는 연신 공정 중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중간 지점/중심(17)에 대하여 대칭으로 쌍을 이루어 이동되어서, 가이드 레일 상의 각각의 중앙 클립(19a)이 중심(17)에 정렬되도록 그 위치에 대체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홀수 개의 클립을 사용하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레일 상에 짝수 개의 클립을 사용하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하다. 그런 다음, 2개의 중앙 클립은 각각의 클립이 이격되며 이동될 때 가이드 레일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상적으로는 가이드 레일당 5개 내지 7개의 클립이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구 사항에서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더 적은 수의 클립이 가능할지라도, 가이드 레일당 5개 내지 10개의 클립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5개 또는 7개의 클립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기계적인 부하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당 2000N/축(axis)일 수 있다. 이는 부하가 400N/클립(5개 클립의 경우) 또는 285N/클립(7 개 클립의 경우)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면, 최대 연신 비율은 1:10.4일 수 있고, 연신 속도는 1 내지 500mm/초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값은 다를 수 있다.
연관된 베어링 및 지지 구조물(49)을 갖는 클립(19)은 개략적으로 도 6에서 약간의 사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서는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제공된 힘-측정 장치(51)를 클립의 정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힘-측정 장치(51)는 필요하지 않으며, 이는 가이드 레일 상에 힘-측정 장치(51)가 있거나 없는 클립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클립 장치 자체는 일반적으로 클립 몸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클립(19)은 통상적으로 접촉 표면이 위쪽을 향하는 제1 하부 클램핑 브래킷(53) 및 접촉 표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제2 상부 클램핑 브래킷(54)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또는 상부 클램핑 브래킷(54)은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하부 측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제2 또는 상부 클램핑 브래킷(54)이 클램핑 위치에서 연신될 재료 부분의 대응하는 에지부를 고정 및 클램프하도록 하부 클램핑 브래킷(53)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및/또는 선회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의 개략적인 도면과 도 8에 따른 확대된 상세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 클램핑 장치(55)는 개방 위치에서 스프링 힘 수단(57)에 의해 편향되어서, 반력이 없을 때 연신되는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에지부가 해제된다.
클램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대응하는 피스톤 챔버(59)는 압력 매체에 의해 가압되고, 압력 매체의 압력은 크므로 클립 클램핑 장치(55)는 상기 스프링 수단(57)에 대항하여 상승된 해제 위치로부터 하강된 클램핑 위치로 이동된다. 피스톤 챔버가 다시 환기되거나 압력이 해제되면, 클립 클램핑 장치는 스프링 힘 수단(57)에 의해 다시 해제 위치로 상승된다. 피스톤 챔버(59)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력 매체 라인에 대응하는 파이프 연결부(6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압력 라인 또는 압축 공기 라인 또는 질소 라인이 원칙적으로 제공되고, 모든 클립 몸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부(60)로 이어진다. 압력 라인(63)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립 클램핑 장치(55) 및 제1 또는 하부 클램핑 브래킷(53)을 구비한 전체 클립 몸체는 지지 및 운반 장치(49)를 통해 유지되고, 궁극적으로 시저 그리드(21)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안내된다.
클립 지지 장치(49)는 힘-측정 장치(51)를 수용하는 부분을 통해 실제 클립 장치에 연결된다(즉, 하부 또는 제1 클램핑 브래킷(53), 클립 클램핑 장치(55)와 상부 또는 제2 클램핑 브래킷(54)을 갖는 클립이 여기에 고정됨). 이러한 경우에, 힘-측정 장치(51)는 굽힘 게이지(BMS),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예를 들어, 광 도파관 섬유(LWL)를 또한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측정 시스템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모든 적절한 측정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굽힘 측정 스트립,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광 도파관의 형태인 언급된 힘-측정 장치(51)의 정렬은 바람직하게는 연신될 필름 부분의 평면(E)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90°보다 작은 각도, 특히, 80°, 75°, 70°, 65°, 60°, 55°, 50°, 45°, 40°, 35°, 30°, 25°, 20°, 15°, 10° 및 5° 미만의 각도로 배치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연신될 필름 부분의 평면(E)에 다소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측면도로부터, 클립(19)용 베어링 및 지지 장치(49)의 하부는 갭으로 분리되어서, 높은 측정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힘 측정 장치(51)를 통해서만 전체 지지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링크 체인(21)의 나머지 작은 세부사항, 특히, 가이드 상에 위치된 클립을 갖는 가이드 레일(7a, 7b 또는 9a, 9b)의 상세의 공간 도면을 도시한다.
언급된 힘-측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클립(19a) 영역에만 제공 또는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 (7a, 7b 또는 9a, 9b)에 대해 중앙으로부터 측면으로 오프셋된 클립 몸체(19)는 추가적인 힘-측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도 9에서,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된 클립(19a)은 베어링 및 지지 구조물(49)에 대하여 다른 클립 및 클립 몸체(19)의 베어링 및 지지 구조물(49)과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언급된 힘-측정 장치는 그 설계 및 유형에 관계없이, 물론 다수의 위치 및/또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클립에 상이하게 또는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에서 단지 하나 또는 2개의 클립에만 대응하는 힘-측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점에서,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클램핑 부분과 클립 테이블 사이의 클램핑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가압 부분의 대응하는 가압 및 클램핑 표면과 클립 테이블의 베어링 표면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언급된 상부 또는 제2 클램핑 브래킷(54)이 높이 조정 가능한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하부 측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음은 이미 명백하다. 이는 형상-끼워맞춤 및/또는 강제 끼워맞춤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하부 측에 부착하기 위한 대응하는 클램핑 브래킷(54)에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에서 언더컷(83)을 포함하는 홈-형상 리세스(81)가 제공되고, 홈-형상 리세스(81)에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하부 측의 대응하는 부분이 결합된다.
클립 클램핑 장치(55)에 의해 하부 브래킷(53)을 향하거나 또는 하부 브래킷(5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상부 클램핑 브래킷 또는 클립 접촉 부분(54)의 형태는 도면의 일부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상부 클램핑 브래킷(54)의 하방으로 향하는 접촉 측 또는 접촉 표면(71)에 대한 상이한 예들의 개략적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소 평평한 플라스틱 몸체의 에지부가 하부 클램핑 브래킷(53)과 협력하여 샌드위치되는 실제 클램핑 또는 접촉 표면(71)은 예를 들어, 다소 매끄러운 표면의 재료 또는 적어도 약간 깎여있거나 거친 클램핑 표면(74)의 재료에 따라 구성될 수 있거나(도 10a)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램핑 치형부 또는 클램핑 설부(75)(도 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이 V-형상일 수 있는 상호 이격되어 평행한 또는 교차하는 홈(77)의 형성이 가능하다(도 10c). 또한,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될 필름 부분의 대응하는 에지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클램핑 리브(79)의 형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0d).
도 10a 내지 도 10d의 개략적인 단면도에서,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언더컷(83)이 제공된 홈-형상 리세스(81)가 보일 수 있으며, 홈-형상 리세스(81)는 상기 클립 클램핑 장치(55) 상에서 클립 클램핑 장치(55)의 상보적으로 대응하는 하부 측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립 클램핑 장치(55)에 대한 자유로운 조정 경로가 원통형인 클립 몸체(19) 내에 제공되며, 이러한 실린더는 조정 경로를 따라 클립 몸체(19)의 캐비티에서 조정될 수 있고, 특히, 언급된 압력 매체는 스프링 수단(57)에 대해 작용한다. 따라서, 업근된 클립 클램핑 장치(55)를 갖는 클립 몸체는 피스톤-형상 또는 피스톤이며, 조정 실린더(피스톤)의 하부 측에 대응하는 클램핑 브래킷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특히, 부착 또는 삽입 등에 의해 언급된 클립 접촉 부분을 장착하기 위해 다른 형상이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체 가능한 클립 접촉 부분의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연결부가 제공되며, 이후에 교체 가능한 클립 접촉 부분은 목적에 따라 교체 및 장착될 수 있다.
상이한 클램핑 표면(73)의 상이한 설계로 인해, 특히,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의 두께 및/또는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의 재료 조성에 따라 연신될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 부분에 대한 최적의 적응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이한 클립 접촉 부분(65)은 각각의 경우에 클립 테이블 상에서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최적의 고정을 허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클립 접촉 부분의 예로서 도시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형상 플라스틱 재료 또는 포일형, 필름형 또는 멤브레인-형상 또는 멤브레인형 재료와 같은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또는 예를 들어, 연신될 직물 재료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클램핑 브래킷(53)의 상부 측에 있는 통상적으로 위쪽을 향하는 클램핑 측(85)에는 클램핑 표면(87)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램핑 표면(87)은 복수의 상향 돌출된 치형부 또는 립(89)으로 설계되거나(도 11a) 또는 예를 들어, 단면이 V-형상인 복수의 상호 평행한 홈 또는 슬롯(191)으로 설계될 수 있다(도 11b).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될 필름 부분의 클램핑 에지부에 평행할 수 있거나 또는 90°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또한, V-형상 홈 또는 슬롯(191)이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c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필름 에지부에 평행하는 복수의 클램핑 홈(179)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d는 고무화 파지 표면(87) 또는 상부 클램핑 측(85)을 갖는 변형을 도시한다.
도시된 변형은 단지 예일 뿐이다. 다양한 플라스틱 재료 및 플라스틱 두께에 적합한 많은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언급된 하부 클램핑 브래킷(53)은 교체 가능한 클립-테이블 부착 부재(53')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양호한 클램핑 체결을 달성하기 위해 연신될 필름 부분에 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이들 클립-테이블 부착 부재(53')가 클립-테이블 서브 구조물(53") 상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도 9에서 알 수 있고, 교체 가능한 클램핑 브래킷 부착 부재(53')의 형태로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예로서 도시된 하부 클램핑 브래킷(53)은 도 9에 도시된 클램핑 브래킷 서브 구조물(53") 상에 삽입 또는 장착된다.
연신 프레임의 기본 구조 및 기본 동작은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클립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도 5b에 따른 위치(시작 위치(SP))로부터 시작하여 클립이 서로 최대 또는 가장 큰 거리를 취하는 도 5c에 따른 종결 위치(EP)로의 필름 부분의 바람직한 대칭 연신이 로딩 또는 언로딩 영역(1)에서 수행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연신될 필름 부분이 대응 온도로 통상 가열될 수 있는 제1 오븐(3a)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연신될 재료가 차가운 상태, 즉, 실온에서 연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양호한 연신 결과를 얻기 위한 오븐 구성 또는 오븐 장치가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제1 및 제2 오븐 장치(3a 또는 3b)를 도시하고, 특히, 이들 각각에는 연신 프레임 위의 오븐(3'a 또는 3'b) 및 연신 프레임 평면 아래의 추가 오븐(3"a 또는 3"b)이 제공된다.
상부 오븐의 하부 측(97)과 하부 오븐의 상부 측(99) 사이에는 충분한 수직 클리어런스 공간(93)이 제공되며, 수직 클리어런스 공간(93)은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오븐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 상의 연신 프레임(5), 연신 프레임 상의 클립, 압력 라인 및 모든 부착물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12에서, 연신 프레임(5)이 시작 위치(SP)(또는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여전히 오븐의 외부에 있는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상부 오븐은 하부 오븐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오븐 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연신될 필름 부분의 대응하는 온도 조절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방사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지 않고(이는 연신될 필름 부분이 오븐에 삽입된 후에만 가열될 수 있음을 의미함), 연신될 필름 부분을 갖는 연신 프레임의 삽입 이전에 이미 적절한 온도에 이르게 하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13에는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연신될 재료 부분(41)을 갖는 연신 프레임(5)은 이미 제1 오븐 장치(3a)의 제1 상부 및 하부 오븐(3'a, 3"a) 사이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연신 공정은 통상적으로 시작 위치(SP)에서 종결 위치(EP)까지 개시가 수행된다.
오븐 장치를 참조하면, 도 14를 참조하여, 오븐의 적어도 일 측에서(예를 들어, 오븐(3'a 또는 3'b)), 팬 또는 팬 휠(195)이 오븐 챔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팬 또는 팬 휠(195)은 바람직하게는 팬 샤프트가 모터 샤프트 상에 직접 결합되거나 위치되어 있는 외부 모터(173)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직접 구동부가 바람직하게 실현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4에서, 팬, 직접 구동부 및 모터 자체는 오븐의 대응하는 측에 삽입되기 전의 분해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공기 공급부는 개구(175)를 통해 제공된다. 이들은 상부 오븐(3'a, 3'b 등)뿐만 아니라 각각의 하부 오븐(3"a, 3"b) 등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수동 공기 공급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지만, 상기 직접 구동부에 대한 능동 공기 공급부에 비해 덜 유리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오븐용 능동 또는 수동 공기 공급부가 언급된 개구에 부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오븐은 재순환 모드에서 기존 공기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추가 공기 공급부가 필요하다.
도 14에 추가하여, 도 14a 및 도 14b가 또한 참조되고, 도 14a는 예를 들어, 제1 오븐, 즉, 예를 들어, 제1 상부 오븐(3'a)의 바닥면(또는 하부 오븐(3"a)의 평면도)을 도시하고, 도 14b는 예를 들어, 어닐링 영역에 사용될 수 있는 제2 또는 제3 오븐, 예를 들어, 오븐(3'b)의 대응하는 하부 측면 또는 관련 하부 오븐(3"b)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연신 오븐에 관한 도 14a에 따른 도면에서, 중앙 배출 개구(301)는 예컨대, 연신 프레임에 위치되어 있으며 연신될 하부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에 공기의 집중 배출을 위해 하부 커버(303)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 개구(301)의 구멍, 치수 및 배치는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크기 및 위치에 맞추어진다. 즉, 평면도에서 배출 개구(301)는 아직 연신되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 부분과 적어도 대략 일치한다.
배출 개구(301)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방향으로 송풍된 대응하는 공기는 오븐 내부의 외부 흡입 개구를 통해 흡입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입 개구(305)는 각각의 코너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코너 영역으로부터 출구 단부로 폭 연장부가 감소하는 각진(angular) 흡입 개구(305')의 형태로 형성된다. 각진 흡입 개구(305')의 각각의 레그의 길이는 연신 프레임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각지게 배치된 흡입 레그 개구(305")의 상호 대향 단부를 분리하는 재료 부분(307)이 남는다. 그 결과, 충분한 단면적 개구를 갖는 대칭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오븐의 전체 내부에 걸쳐 더 가열될 수 있고, 배출 개구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14b의 대응하는 도면에서, 어닐링 영역을 포함하는 추가의 오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배출 개구(301)가 제공되되, 상기 배출 개구의 크기는 도 14a에 따른 도면에서 배출 개구(301)의 배수, 즉, 바람직하게는 크기 및 따라서, 연신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종방향 및 횡방향 연장부에 따라 적응된다.
또한, 이러한 변형 예에서,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위치된 흡입 레그 개구(305")를 포함하는 외부 각진 흡입 개구(305)가 제공된다.
이러한 예에서, 고온 공기는 이에 따라 연신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방향으로 송풍되고, 오븐에서의 온도 제어는 플라스틱 재료의 의도된 처리에 따라 적응 또는 조정된다.
후속하여, 도 15a 및 도 15b의 참조가 이루어지되, 하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다른 하나는 공간 도면이며,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연속적인 오븐 장치(3a 및 3b)를 도시하고, 이동 경로(V) 위의 2개의 상부 오븐에 대하여 연신 프레임용 수동 공기 공급부(198)를 갖는 각각의 오븐이 제공된다(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팬(195)을 포함함).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부 오븐의 상부 측 상의 개구(175)에 대해 도 14에서 예를 들어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즉, 자동 제어된) 개구(198)(가능하게는 추가 굴뚝이 제공될 수 있음)를 통해, 상부 오븐(3'a 및 3'b)에 대한 추가적인 능동 냉각이 발생한다. 이동 경로(V) 아래에 배치된 오븐(3"a 및 3"b)에는 예를 들어, 공기 파이프 및 공기 파이프 시스템(199a)을 사용하여 능동 공기 공급부(199)를 통해 공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 파이프 시스템(199a)에는 예를 들어, 모터(199d)를 통해 흡입 개구(199f)(흡기 매니 폴드(199f))를 경유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파이프 시스템을 통해 대응하는 오븐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플랩 제어부(199b) 및/또는 팬(199c)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도면부호 199e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깔때기(funnel)-형상인(그러나,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 배출 장치를 나타내며, 냉각 매체, 일반적으로 공기가 이러한 개구(199e)를 통해 클립에 공급되어 클립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는 달리, 예를 들어, 상부 오븐(3'a 및 3'b)에 위치된 수동 또는 자동 조절식 굴뚝(도 15a 참조)을 사용하여 하부 오븐(3"a 및 3"b)에 수동 공기 공급부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대안적으로 능동 냉각을 위해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따른 도면에 기초하면, 대응하는 연속적인 오븐은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단열 플레이트(277a)의 형태인 단열부(277)의 삽입과 함께 이동식 연신 프레임의 위와 아래에 위치되며, 오븐 사이에서 실제 연신 프레임(5)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2개 또는 일반적으로 2개의 연속하는 인접 오븐 사이에 셔터(183)의 형태와 같은 분리 지점 또는 분리 장치가 제공되며, 이 부분에서 추가적인 단열 플레이트(183')가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된 갭 내로 슬라이딩 될 수 있어서, 각각의 오븐 내외로의 입구 및 출구 개구를 단열시킨다(도 16 참조). 전술한 단열부(277) 및 특히, 단열 플레이트(277a)에는 오븐이 각각의 단열 플레이트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구멍이 제공되어서, 클립 및 가이드 레일은 물론 연신될 모든 재료 부분이 각각의 오븐 내에서 자유로이 놓여지고, 가열은 최적일 수 있다.
언급된 단열부는 기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연신을 위한 고온 공기 영역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여 상부 및 하부 오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 17에서, 단열 플레이트(277a)를 갖는 도시된 단열부(277)는 개별적으로, 즉, 상부 및 하부 오븐이 없는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단열부(277)는 각각의 상부 오븐(3'a, 3'b) 또는 예를 들어, 서로 마주하는 단열 플레이트(277')에 대한 적절한 중앙 개구(279a)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하부 개구 또는 리세스(279b)를 구비하며, 대응하는 하부 개구 또는 리세스(279b)는 하부 오븐(3"a, 3"b) 등이 위치되는 각각의 하부 단열 플레이트(277")와 대향한다.
최종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 및 도 17의 대응하는 정면도는 예를 들어, 상부 오븐(3'a) 및 하부 오븐(3"a)과 함께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오븐(3a)은 연신 공정 이전 및/또는 연신 공정 중에 연신될 필름 부분을 최적의 온도로 하기 위한 가열 및 연신 오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공정을 수행한 후에, 연신 프레임은 이어진 추가 오븐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추가 오븐은 예를 들어, 후-처리 오븐으로서 기능하여, 필름 부분이 소정의 이완을 받도록 적어도 최소 정도로 서로를 향해 클립이 이동된다. 이러한 오븐은 어닐링 영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과는 달리, 오븐의 다른 구조 또는 조합이 다른 목적을 위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른 연신 오븐이 후-처리 오븐으로 기능하고, 제3 오븐이 어닐링 단계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1 오븐은 기구 종방향 연신(MD 연신)을 위해 사용되고, 후속 제2 오븐은 횡방향 연신(TD 연신)을 위해 사용되고, 최종적으로 제3 오븐이 제공되는 경우, 제3 오븐은 예를 들어, 어닐링 단계를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과 달리, 추가 오븐(3c) 또는 추가 오븐 장치(3c)는 예를 들어, 추가 연신 영역으로 형성되는 제2 오븐 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추가 오븐은 예를 들어, 필름이 특정 온도로 냉각되는 냉각 영역 및/또는 추가 어닐링 영역을 위해 사용된다(도 1b의 오븐(3a, 3b 및 3c)). 상이한 오븐은 상이한 온도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부 오븐은 하부 오븐의 온도와 상이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개별 오븐 또는 오븐 영역 사이에서 인접한 오븐으로의 통로 개구는 셔터 다이어프램에 의해 거의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즉, 연신 프레임은 그 전체가 내부에 포함된 연신될 필름 부분과 함께 상부 및 하부 오븐 사이에서 이동되고, 측 부분은 단열부 또는 단열 플레이트에 의해 이동 방향(V)에 평행으로 밀봉되며, 오븐 내외로 연신 프레임을 삽입 및 추출하기 위해 이동 방향(V)의 상류 및 하류에 위치된 개구 영역은 효율적인 열 처리를 위해 셔터 다이어프램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최대한, 즉,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또는 거의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즉, 오븐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의 대응하는 셔터 다이어프램이 연신 프레임의 삽입 및 추출을 위한 오븐의 개구를 적어도 90%까지, 특히, 적어도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적어도 99%까지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오븐(3a, 3b, 3c)이 300℃ +/- 50℃ 미만, 특히, 40℃, 30℃, 20℃ 또는 10℃ 미만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븐 및/또는 하나의 오븐이 400℃ +/- 50℃ 미만, 특히, 40℃, 30℃, 20℃ 또는 10℃ 미만의 온도로 가열되고, 및/또는 제3 오븐(3c)이 특히, 제2 어닐링 단계 및/또는 온도 감소 또는 냉각을 위해 제공되도록 오븐들이 설계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오븐들은 예를 들어, 재순환 모드에서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온도 조절을 위해, 예를 들어, 수동으로 조정 가능한 공기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재-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오븐, 특히, 마지막 오븐에 냉각이 요구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팬이 활성 공기를 연신 챔버로 송풍할 수 있는 능동 냉각 시스템이 설치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연신 프레임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연신하기 위한 작업 흐름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에, 연신 공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연신 프레임은 삽입 위치에 있다.
2.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로딩 테이블에 삽입한다.
3. 클립을 폐쇄하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클램핑한다.
4. 연신 프레임은 열적으로 사전-조절된 연신 오븐 내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부분은 디퓨저(샘플 시작 크기)에 의해 목표된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5. 클립은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대칭으로 이동하고(기구 종방향과 기구 횡방향으로 각각 나뉨); 예를 들어, 다른 연신 샘플은 다르게 취급될 수 있다. 클립은 서로 대칭으로 이격되며, 바람직하게는 대칭으로 또는 필요하다면 2개의 연속적인 단계로 각각의 방향으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연신시킨다.
6.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재료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갖는 연신 프레임은 다른 어닐링 오븐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또는 동일한 온도에서 플라스틱 재료 부분을 유지 또는 연신 또는 이완시킬 수 있다.
7. 연신 프레임은 오븐 외부로 이동된다.
8. 클립이 개방된다.
9. 연신된 플라스틱 재료는 제거될 수 있다.
10.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에 유지되는 클립은 시작 위치(삽입 위치)로 이동된다.

Claims (15)

  1. 연신 프레임(5)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을 1축 또는 2축 연신시키는 장치로,
    상기 연신 프레임(5)은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7a, 7b) 및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을 구비하며,
    -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7a, 7b)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평행한 방향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고,
    -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평행한 방향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고,
    - 제1 가이드 레일(7a, 7b)은 제2 가이드 레일(9a, 9b)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4개의 가이드 레일(7a, 7b; 9a, 9b) 모두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을 형성하거나 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 2개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7a, 7b; 9a, 9b)에는 적어도 2개의 개별적인 클립(19)이 배치되며, 상기 클립(19)에 의해 연신될 필름 부분(41)이 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클램핑될 수 있고,
    - 2개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7a, 7b; 9a, 9b)은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시작 위치(SP)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종결 위치(EP)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어서, 이전에 삽입되어 고정된 필름 부분(41)이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 및 상기 가이드 레일들에 안착된 클립(19)이 연신 공정의 시작 시의 시작 위치(SP)와 연신 공정을 수행한 후의 종결 위치(EP) 이외에, 추가적으로 로딩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 로딩 위치(BP)는 연신 프레임(5) 내에 비대칭으로 놓이도록 배치됨에 따라 연신 프레임의 반대 측보다 연신 프레임(5)의 하나의 종방향 측에 적어도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2. 제1항 또는 제1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레일(7a, 7b) 또는 적어도 2개의 제2 가이드 레일(9a, 9b)이 시작 위치(SP)와 종결 위치(EP)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거나 또는 서로를 향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또한 로딩 위치(BP)로의 전이를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를 향하도록 그리고 서로 이격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조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레일(9a, 9b)은 별도의 구동 수단 및 힘 트랜스미션 수단(37, 38, 39a, 39b, 40; 137, 138, 139a, 139b, 140)을 통해 구동 및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서로를 향하도록 또는 서로 이격되도록 공동으로만 이동 가능한 2개의 가이드 레일(7a, 7b)은 구동 모터(31)에 의해 공동으로 구동 및 이동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7a, 7b)은 공통의 원주 방향 힘 트랜스미션 수단(34)을 통해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팔로워(28)를 통해 동반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가이드 레일(7a)은 하부 런(34a)에 고정되고, 다른 가이드 레일(7b)은 상부 런(34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SP)는 연신 공정의 시작 시에 연신 공정, 특히, 2축 연신 공정이 대칭으로 수행될 수 있는 연신 프레임(5)의 중앙 위치 또는 연신 프레임(5)의 중심(17)의 근방에 배치되며, 연신 공정 중에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은 상기 시작 위치(SP)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유닛의 평면에서 볼 때, 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로딩 위치(BP)에서, 로딩 영역(45) 또는 내부에서 이동되는 필름 부분(41)은 위치를 취하거나 및/또는 시작 위치(SP)에서 필름 부분(41)의 표면과 겹치지 않거나 또는 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연신될 플라스틱 재료 부분(41)의 영역의 80% 미만, 특히, 70%, 60%, 50%, 40%, 30%, 20% 또는 10% 미만인 부분 영역 내에서만 표면과 겹치는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클립(19)은 지지 구조물(49)에 의해 유지되고,
    - 지지 구조물(49)과 클립(19) 사이에 및/또는 지지 구조물(49) 상에 힘-측정 장치(51)가 제공되며, 클립(19)은 지지 구조물(49) 위에 유지되고, 및
    - 힘-측정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굽힘 측정 장치 또는 굽힘 측정 스트립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광학 도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 장치(51)는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의 조정 평면(E)에 평행하게 및/또는 연신될 필름 부분(41)이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핑 평면(E)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조정 및/또는 클램핑 평면으로부터 45°미만, 특히, 40°, 35°, 30°, 25°, 20°, 15°, 10°미만 또는 5°미만의 각도만큼 편차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장치는 적어도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이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BP; EP)에 있을 때 연신 프레임(5)이 위치되는 로딩 및 언로딩 영역(1)을 포함하고,
    -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1)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오븐 장치(3a)가 제공되고, 및
    - 상기 오븐 장치(3a)는 상부 오븐(3'a) 및 하부 오븐(3"a)을 포함하며, 상부 오븐(3'a)의 하부 측과 하부 오븐(3"a)의 상부 측 사이에 간격(93)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93)은 연신 프레임(5)이 상기 간격에서 오븐(3a, 3b) 내로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븐 장치(3a, 3b)의 입구 측 및/또는 출구 측에는 각각의 셔터 다이어프램이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셔터 다이어프램은 개방 위치에서 연신 프레임의 확장 또는 수축을 위해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오븐 장치의 처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셔터 다이어프램은 관련 개구를 적어도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적어도 99%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븐(3a, 3b)이 제공되되,
    a) 상부 오븐(3'a, 3'b) 및 관련 하부 오븐(3"a, 3"b)에는 수동 공기 공급부(198)가 제공되거나, 또는
    b) 상부 오븐(3'a, 3'b) 및 관련 하부 오븐(3"a, 3"b)에는 능동 공기 공급부(199)가 제공되거나, 또는
    c) 상부 오븐(3'a, 3'b)과 하부 오븐(3"a, 3"b) 중 어느 하나의 오븐에는 수동 공기 공급부(198)가 제공되고, 다른 각각의 오븐(3"a, 3"b)에는 능동 공기 공급부(199)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부 오븐(3'a, 3'b)과 하부 오븐(3"a, 3"b) 중 어느 하나의 오븐에는 수동 공기 공급부(198)가 제공되고, 다른 각각의 오븐(3'a, 3'b)에는 능동 공기 공급부(19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븐(3a, 3b, 3c) 내에서 연신 프레임(5)에 대한 이동 범위(V)는 단열부(277)에 의해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단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단열부(277)는 상부 오븐(3'a, 3'b)의 하부 측(97)의 높이에 그리고 하부 오븐(3"a, 3"b)의 상부 측(99)의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단열부(277)에는 상부 오븐(3'a, 3'b)의 하부 측(97) 및 하부 오븐(3"a, 3"b)의 상부 측(99) 상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오븐(3a, 3b)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오븐(3a)에서 연신될 필름 부분(41)이 연신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후속 오븐(3b)에서, 특히, 어닐링 영역 및/또는 이완 영역의 형태로 연신된 필름 부분(41)의 후-처리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후속 오븐(3b)에서, 선택적으로는, 가이드 레일들(7a, 7b; 9a, 9b) 사이의 거리 및 이에 따른 각각의 대향 배치된 클립(19)들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최대 연신 단계의 종결 시의 종결 위치(EP)에 도달할 때의 거리에 대해 약간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2개 또는 적어도 2개의 오븐(3a, 3b), 또는 3개 또는 적어도 3개의 오븐(3a, 3b, 3c)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오븐(3'a, 3'b)은 연신 프레임(5)의 이동 경로의 위에 제공되며, 하나의 오븐(3"a, 3"b)은 연신 프레임(5)의 이동 경로의 아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븐(3a, 3b, 3c)이 300℃ +/- 50℃ 미만, 특히, 40℃, 30℃, 20℃ 또는 10℃ 미만의 온도로 가열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븐 또는 다른 오븐이 400℃ +/- 50℃ 미만, 특히, 40℃, 30℃, 20℃ 또는 10℃ 미만의 온도로 가열되거나, 및/또는 제3 오븐(3c)이 특히, 제2 어닐링 단계 및/또는 온도 감소 또는 냉각을 위해 제공되도록 오븐(3a, 3b, 3c)이 각각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KR1020190008247A 2018-01-23 2019-01-22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KR102265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1455.4 2018-01-23
DE102018101455.4A DE102018101455A1 (de) 2018-01-23 2018-01-23 Vorrichtung zum mono- oder biaxialen Recken von Kunststoffmaterialabschni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69A true KR20190089769A (ko) 2019-07-31
KR102265328B1 KR102265328B1 (ko) 2021-06-16

Family

ID=6503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47A KR102265328B1 (ko) 2018-01-23 2019-01-22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7463B2 (ko)
EP (2) EP3513945B1 (ko)
JP (1) JP7302975B2 (ko)
KR (1) KR102265328B1 (ko)
CN (1) CN110065222B (ko)
DE (1) DE1020181014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73B1 (ko) *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8486A (en) * 2015-09-17 2021-12-14 Honda Motor Co Ltd Resin molding method and resin molding device
DE102018127073A1 (de) * 2018-10-30 2020-04-30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Folienreckanlage
CN110672407B (zh) * 2019-10-25 2022-03-08 商丘市锦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袋拉伸度检测用拉力试验机
CN110843200B (zh) * 2019-11-18 2021-05-28 长春工业大学 一种单驱变倍率双向拉伸静态薄膜装置
CN113001950B (zh) * 2020-10-09 2023-09-12 长春工业大学 一种薄膜双向变倍率静态拉伸装置
CN112248419A (zh) * 2020-10-10 2021-01-22 西安工业大学 一种具有超大拉伸比的薄膜平面拉伸装置
CN112600766B (zh) * 2020-12-10 2022-07-15 西藏瀚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网络工程用具有分布式混合结构的交换机
CN114544324A (zh) * 2022-02-23 2022-05-27 山东大学 一种用于磁化的软材料试样的单轴拉伸装置及方法
CN115923112B (zh) * 2023-03-09 2023-05-05 天津市华恒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bopp薄膜用拉伸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939A (ja) * 1982-09-17 1984-03-22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JPS62211124A (ja) * 1986-03-12 1987-09-17 Toray Ind Inc ステンタ
US5081750A (en) * 1989-08-29 1992-01-21 Kampf Gmbh & Co. Maschinenfabrik Gripper carriage and transport assembly for a stretching frame
US20100254002A1 (en) * 2001-05-31 2010-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es and apparatus for making transversely drawn films with substantially uniaxial character
JP2010247393A (ja) * 2009-04-14 2010-11-04 Toshiba Mach Co Ltd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KR101082266B1 (ko) * 2011-08-26 2011-11-09 이현철 2축 필름 연신기
JP2011240581A (ja) * 2010-05-18 2011-12-01 Japan Steel Works Ltd:The 断熱パネル構造
KR101556246B1 (ko) * 2015-03-31 2015-09-30 이현철 4축 필름 연신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9217A (en) * 1954-11-15 1956-08-21 Albin K Peterson Stretching and forming apparatus
DE1928734U (de) 1963-04-10 1965-12-09 Brueckner Trocknerbau Inh Gern Vorrichtung zum recken von folien oder platten.
NL148395B (nl) 1968-06-25 1976-01-15 Philips Nv Regelafsluiter.
US3635640A (en) * 1968-10-17 1972-01-18 Sierracin Corp Apparatus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US3579718A (en) * 1968-10-17 1971-05-25 Sierracin Corp Apparatus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US5321109A (en) * 1992-11-17 1994-06-14 Impra, Inc. Uniformly expanded PTFE film
JP4250107B2 (ja) 2004-02-13 2009-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延伸機
US7896634B2 (en) * 2004-03-29 2011-03-01 Fujifilm Corporation Film stretching apparatus
DE102009003751B4 (de) 2009-04-06 2012-11-29 Dr. Collin Gmbh Vorrichtung zum mono-oder biaxialen Recken von Folienabschitten
JP2011095252A (ja) * 2009-09-29 2011-05-12 Sumitomo Bakelite Co Ltd 樹脂フィルム特性評価装置
DE102013011965A1 (de) 2013-07-18 2015-01-2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Linearmotorgetriebene Transportanlage, insbesondere Reckanlage
CN106239887B (zh) 2016-08-26 2018-10-09 艾能赛克机械设备(江苏)有限公司 一种用于亚克力片材的夹持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939A (ja) * 1982-09-17 1984-03-22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JPS62211124A (ja) * 1986-03-12 1987-09-17 Toray Ind Inc ステンタ
US5081750A (en) * 1989-08-29 1992-01-21 Kampf Gmbh & Co. Maschinenfabrik Gripper carriage and transport assembly for a stretching frame
US20100254002A1 (en) * 2001-05-31 2010-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es and apparatus for making transversely drawn films with substantially uniaxial character
JP2010247393A (ja) * 2009-04-14 2010-11-04 Toshiba Mach Co Ltd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JP2011240581A (ja) * 2010-05-18 2011-12-01 Japan Steel Works Ltd:The 断熱パネル構造
KR101082266B1 (ko) * 2011-08-26 2011-11-09 이현철 2축 필름 연신기
KR101556246B1 (ko) * 2015-03-31 2015-09-30 이현철 4축 필름 연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73B1 (ko) * 2021-10-22 2022-07-13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온도 조절부를 구비한 필름의 폭방향 연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328B1 (ko) 2021-06-16
CN110065222A (zh) 2019-07-30
JP7302975B2 (ja) 2023-07-04
DE102018101455A1 (de) 2019-07-25
EP3674060B1 (de) 2021-05-05
EP3674060A2 (de) 2020-07-01
EP3674060A3 (de) 2020-09-16
EP3513945B1 (de) 2020-03-18
CN110065222B (zh) 2021-06-15
US20190224906A1 (en) 2019-07-25
JP2019147371A (ja) 2019-09-05
US11097463B2 (en) 2021-08-24
EP3513945A1 (de)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769A (ko)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CA2757434C (en) Device for stretching film sections in a monoaxial or biaxial manner
KR101133888B1 (ko) 클립식 시트 필름 연신 장치
US500969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wo dimensionally bent glass
KR101764946B1 (ko) 시험편 연신 장치 및 시험편 연신 방법
KR101021768B1 (ko) 클립식 시트ㆍ필름 연신 장치
CN114228121A (zh) 提高薄膜在拉伸起始段同步性的拉伸装置
CN112501012A (zh) 一种自调节开合热盖及其使用该热盖的全自动基因扩增仪
WO2007110484A1 (en) Transverse stretching device
US5285582A (en) Oven for a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CN216993021U (zh) 一种变距抓取装置
WO2001036178A1 (en) Adjustable clamp frame for a thermo-forming machine
US11230487B2 (en) Glass processing system with variable bending station
CN210322579U (zh) 夹子拉伸装置
CN112649285B (zh) 一种生产土工格栅的双向拉伸试验机
CN112236282B (zh) 用于硫化连续型材的装置
CN217127778U (zh) 一种透气织物的焙烘装置
EP1841588B1 (en) Apparatus for the stabilizing heat treatment of plastic strips, for example of polypropylene and/or of polyethylene, for the production of straps or of other types of strips
US9079718B2 (en) Rail system for thermoformer with dual motor chain drive
CN210116160U (zh) 吹塑机剪刀式取料装置
US7513770B2 (en) Carpet straightening apparatus
CN116867634A (zh) 用于拉伸塑料膜的方法和设备
DE10337644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Bahnmaterial
RU2240624C1 (ru) Способ растяжки сеточного полот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6945567A (zh) 薄膜双向混合拉伸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