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76B1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76B1
KR100431976B1 KR10-1999-0003042A KR19990003042A KR100431976B1 KR 100431976 B1 KR100431976 B1 KR 100431976B1 KR 19990003042 A KR19990003042 A KR 19990003042A KR 100431976 B1 KR100431976 B1 KR 10043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shrinkage
heat shrinkable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230A (ko
Inventor
모리구니하루
이노우에미츠오
오쿠무라시니치로
오코츠토무
다보타노리미
하시모토마사토시
이토히데키
다카바야시세이조
이사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8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19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408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5870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03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29C61/0608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r structure of the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3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 B29C63/4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3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 B29C63/4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42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specially applied to the mass-production of externally coated article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8Shrinkable or shrunk [e.g., due to heat, solvent, volatile agent, restraint remov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필름은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이 약 70℃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20% 이상이며, 약 75℃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35% 내지 약 55%이고, 약 80℃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50% 내지 약 60%이다. 이 필름을 약 75℃의 물 중에서 약 10초간 처리하여 약 5% 수축시킨 후,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필름의 파단 신장률이 약 20% 이하일 확률은 약 10% 이하이다. 비 τ12(여기서, τ2는 약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이며, τ1는 약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 응력임)는 약 0.05 내지 약 0.45이다. 이 필름의 밀봉 강도는 약 1.2 kg/15 mm(폭) 이상이다.

Description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화장품 용기, 방향(芳香)제 용기 또는 세면용품 용기 또는 액상 약제 용기와 같은 복잡한 모양의 용기의 라벨 필름 또는 커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기에 제공되는 라벨 또는 커버로 사용되는 열 수축성 필름은 주로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으로 제조된다. 최근에는, 이들 재료들이 갖는 후술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주목받게 되었다. 폴리(염화비닐)는 폐기를 위해 연소시키면 염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폴리에틸렌은,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위에 문자 및 그래픽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들 재료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용기 둘레에 라벨로 사용하는 경우, PET 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라벨 재료를 PET 용기 재료와 분리하여야 한다.
종래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라벨용 필름으로서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 필름은 급격히 수축하므로 주름, 불균일한 수축 및 뒤틀림을 초래한다. 또한, 수축 후의 필름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열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공평7-77757호 공보에는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을 현저히 감소시켜서 필름의 수축 후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소58-64958호 공보에는 필름의 수축력을 감소시켜서 필름의 수축 후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개시된 방법들을 소형 PET 용기 용도로 라벨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경우 필름의 수축 후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다. 이들 용기의 라벨은, 용기를 비교적 단시간 동안 수축 터널에 통과시킴으로써 수축된다.
또한, 환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용기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크게 증대되었다. 특히, PET 용기의 재활용은 중요한 문제로서, 이를 위한 재활용 시스템은 시급히 확립되어야 한다. PET 용기 둘레에 제공되는 라벨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폴리올레핀 등으로 제조된 연신 라벨,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염화비닐 등으로 제조된 열 수축성 라벨,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택 라벨을 포함한다. PET 용기는 통상 다음과 같이 재활용되었다. 라벨이 붙어 있는 용기를 소비자로부터 회수한 후 최종적으로 재활용 회사 또는 공장으로 반입한다. 그 용기를 세척한 후, 일차로 분쇄하여 라벨을 제거한다. 분쇄에 의해 얻어진 물질은 여전히 많은 양의 라벨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추가로, 상기 물질을 이차 분쇄하여 액체 중의 비중에 의해 라벨 재료를 분리하고, 탈수 및 건조시킨 후, 바람을 이용하여 라벨 재료를 분리하여 펠릿화한다. 이로써, 재생 펠릿이 얻어진다.
최근에는, 라벨 제거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용기를 세척한 후, 분쇄 및 펠릿화하기 전에 라벨을 용기에서 떼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라벨이 잘 떨어지도록 천공된 라벨을 사용한다. 라벨을 구멍을 따라 인열하여 용기에서 떼어낸다.
전술한 문헌에 개시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들은 열 수축 처리 후 구멍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되지 않으므로 수축성 라벨 필름으로는 만족스럽지 않다.
한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는 종래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화장품 용기, 방향제 및 세면용품 용기 또는 액상 약제 용기와 같은 복잡한 모양의 용기를 커버하기 위해 수축시키는 경우, 주름, 불균일한 수축 및 불충분한 수축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추가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개평3-29763호 공보에는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5-185510호 공보에는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연신비를 한정하여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률을 약 15%로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전술한 복잡한 모양의 용기를 커버하는 데 요구되는 밀봉 강도(평가 섹션(9)에서 후술됨)가 매우 불량하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 특허 제2,566,568호에는 열 밀봉성이 개선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한 필름은 만족할 만한 밀봉 강도를 나타내지 않으며, 또한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률이 불충분하다. 이러한 필름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주름, 불균일한 수축 및 뒤틀림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실용성이 없다.
도 1은 관으로 성형된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용기 둘레에 2열의 평행한 천공 라인이 제공된 본 발명의 관형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이 약 70℃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20% 이상이며, 약 75℃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35% 내지 약 55%이고, 약 80℃의 물 중에서 약 5초간 처리한 후 약 50% 내지 약 60%이고, 약 75℃의 물 중에서 약 10초간 처리하여 약 5% 수축시킨 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이 약 20% 이하일 확률은 약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 분포도는 약 6%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탄소 원자 수가 약 3개 내지 약 6개인 디올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약 58℃ 내지 약 68℃로 조정된 것이다.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비 τ12(여기서, τ2는 약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이며, τ1는 약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 응력임)는 약 0.05 내지 약 0.45이며, 밀봉 강도는 약 1.2 ㎏/15 ㎜(폭)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 약 95℃의 물 중에서 약 10초간 처리한 후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은 약 40% 이상이며, 약 95℃의 물 중에서 약 10초간 처리한 후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률은 약 15% 내지 약 30%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융점(Tm)과 융해 폴리에스테르를 냉각시켰을 때의 결정화 온도(Tc2)간의 차(△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분량으로 함유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하기 (1) 및 (2)와 같은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1) 용기에 사용되는 라벨을 비롯한 가능한 모든 용도에 사용했을 때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수축하고 주름 또는 뒤틀림을 일으키지 않는 만족할 만한 수축 후 상태를 보이고,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서 용이하게 인열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며,
(2) 화장품 용기, 방향제 및 세면용품 용기 또는 액상 약제 용기와 같은 복잡한 모양을 갖는 용기를 커버한 상태에서 수축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수축하고 주름 또는 뒤틀림을 일으키지 않는 만족할 만한 수축 후 상태를 보이며, 우수한 밀봉 강도를 갖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의 상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러한 잇점 및 기타의 잇점들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탄소 원자 수가 약 3개 내지 약 6개인 디올(예를 들면,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디올 및 헥산디올)을 1종 이상 함유하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58 내지 68℃가 되도록 조절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약 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디올(예를 들면, 옥탄디올), 3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에탄, 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무수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올, 다가 알콜 및/또는 카르복실산 중 하나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수축 처리 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이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가 지방족 카르복실산(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바스산 또는 데칸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러한 산의 함량은 3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3 몰%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수축 처리 후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이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1 실시 형태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된 산으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있다. 탄소 원자 수가 약 3 개 내지 약 6 개인 디올 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디올로는 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이 있다.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에 부산물로서 존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디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은 4 몰%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 종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산과 디올의 양은 혼합 후 에스테르 상호 교환이 일어났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체 폴리에스테르 중의 산과 디올의 함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 필름의 수축 후 상태를 특히 개선하기 위해서는, 디올류인 네오펜틸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기 또는 유기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안정화제, 착색제, 항산화제, 소포제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도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를 Tg-5℃ 이상 내지 Tg+15℃ 미만의 온도에서 연신 처리한다.
Tg-5℃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연신 처리하는 경우, 생성된 필름이 충분히 열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생성된 필름의 투명도가 손상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Tg+15℃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 처리하는 경우, 생성된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은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낮은 경향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물 속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은 약 70℃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에는 약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이고, 약 75℃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에는 약 35%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5%이며, 약 80℃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에는 약 50%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52% 내지 약 58%이다. 약 70℃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 열 수축률이 약 20% 미만인 경우, 또는 약 75℃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 열 수축률이 약 35% 미만인 경우, 또는 약 80℃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 열 수축률이 약 50%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이 용기 둘레에 라벨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수축 터널을 통과한 후에 필름의 단부가 꽃잎처럼 늘어나고, 수축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고 주름이 잡히는 경향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약 75℃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 열 수축률이 약 55% 이상인 경우 또는 약 80℃에서 약 5초 동안 처리한 후 열 수축률이 약 60%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이 용기 둘레에 라벨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수축 터널을 통과한 후 필름의 윗쪽 또는 아랫쪽 단부가 비스듬하게 늘어나거나 정해진 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약 75℃의 물에서 약 10초 동안 처리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약 5% 수축시킨 후,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필름의 파단 신장률이 약 20% 이하일 확률은 약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이다. 그 확률이 약 10% 이상일 경우, 라벨 형태로 용기의 둘레에 제공된 필름은 그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들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되지 않는데, 즉 그 필름은 손으로 잡은 부위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인열된다. 필름에 만족할 만한 구멍들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필름은 약 6%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 이하의 두께 분포도(평균 값)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임의의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 필름의 두께는 약 10 ㎛ 내지 약 2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20 ㎛ 내지 약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후술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호퍼 건조기, 패들 건조기 또는 진공 건조기와 같은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약 200℃ 내지 약 300℃에서 필름의 형태로 압출시킨다. 압출은, 예를 들면 T-다이 법 또는 튜브 법과 같은 임의의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압출 후, 필름을 신속하게 냉각시켜서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어서 이 미연신 필름을 연신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주 수축 방향이 횡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하 주 수축 방향이 횡방향인 경우의 필름 제조 방법을 예시하고자 한다. 주 수축 방향이 종방향인 경우에도, 연신 방향을 90도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미연신 필름을 텐터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기 전에, 미연신 필름을 예열시킨다. 균일한 두께의 필름을 얻기 위해서, 열 전달 계수가 약 0.0013 cal/㎠·sec·℃ 이하 정도의 낮은 풍속(즉, 고온 공기의 속도)으로 필름을 소정 온도로 예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으로의 연신은 Tg+15℃ 이하의 온도에서 약 3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배 이상의 연신비로 수행한다.
이어서, 필름을 약 70℃ 내지 약 1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연신에 수반할 수 있는 필름의 내부 열 발생을 제한하여 횡방향의 필름 온도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연신 공정 중의 열 전달 계수가 약 0.0009 cal/㎠·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0.0011 cal/㎠·sec·℃ 내지 약 0.0017 cal/㎠·sec·℃가 더욱 바람직하다.
예열 공정 중의 풍속이 열 전달 계수를 약 0.0013 cal/㎠·sec·℃ 이상으로 만들거나, 연신 공정 중의 풍속이 열 전달 계수를 약 0.0009 cal/㎠·sec·℃ 미만으로 만드는 경우에, 필름의 두께는 불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필름은 다색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이한 색상의 패턴들이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필름의 수축 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3색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약 6% 이하의 두께 분포도를 갖는 필름은 서로 다른 색상의 패턴들을 용이하게 중첩시킬 수 있는 반면, 약 6% 이상의 두께 분포도를 갖는 필름은 그러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연신 방법은, 텐터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일축 연신함과 더불어 종방향으로 약간 연신시킬 수 있다. 그러한 2축 연신은 순차적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재연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만족스러운 밀봉 강도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유형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융점(Tm)과 융해 중합체를 냉각시켰을 때의 결정화 온도(Tc2)간의 차이(차이: △T=Tm-Tc2)가 약 40℃ 이하이다. 그러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그러한 폴리에스테르를 설명의 목적상 "△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로 일컫는다.
전술한 △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의 예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그리고 폴리에스테르를 산 성분 또는 지방족 장쇄 글리콜 성분과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1종 이상의 공지된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이소프탈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또는 다이머 산을, △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에 포함된 산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종 이상의 공지된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다이머 산 디올,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에 부가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에 포함된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수축 후 상태를 더 개선하기 위해서, 디올류로서 네오펜틸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기 또는 유기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안정화제, 착색제, 항산화제, 소포제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 (τ2)가 필름을 약 90℃에서 수축시킬 때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이고, (τ1)가 필름을 약 90℃에서 수축시킬 때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 응력인 경우, (τ12)는 약 0.05 내지 약 0.45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08 내지 약 0.4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0.35이다. (τ12)가 약 0.05 미만인 경우, 필름은 바람직하지 않게 주름이 잡히고, 불균일하게 수축하며, 불충분하게 수축하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τ12)가 약 0.45를 넘는 경우에, 필름은 불충분하게 수축하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밀봉 강도는 약 1.2 ㎏/15 ㎜(폭)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 ㎏/15 ㎜(폭)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 ㎏/15 ㎜(폭) 이상이다. 밀봉 강도가 약 1.2 ㎏/15 ㎜(폭) 미만인 경우, 필름의 가치는 상당히 저하된다. 이같이 밀봉 강도가 낮은 필름으로 용기를 커버하고, 이를 관으로 만들어 가열된 블레이드로 절단한 후 수축시키면(이 과정은 평가 섹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됨), 용기 위에서 가열되고 밀봉된 부분은 파열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필라멘트와 같은 가닥들이 생겨 절단 과정 중 가열된 절단용 블레이드에 들러 붙는다.
제2 실시 형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 속에서의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은 약 95℃에서 약 10초 동안 처리한 후 약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상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 속에서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률은 약 95℃에서 약 10초 동안 처리한 후 약 15%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17% 내지 약 25%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 수축 방향이 횡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하 주 수축 방향이 횡방향인 경우의 필름의 예시적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 수축 방향이 종방향인 필름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T가 약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함유하고, 예를 들면, 호퍼 건조기, 패들 건조기 또는 진공 건조기와 같은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킨 폴리에스테르를 약 200℃ 내지 약 300℃에서 필름의 형태로 압출한다. 압출된 필름은 신속하게 냉각시켜서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주 수축 방향이 횡방향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미연신 필름을 약 1.2배 내지 약 1.8배의 연신비로 약 80℃ 내지 약 95℃에서 종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약 3배 내지 약 5배의 연신비로 약 80℃ 내지 약 110℃에서 횡방향으로 연신시킨다. 이러한 조건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우선, 필름에 대해 다음 항목들을 평가한다.
제1 실시 형태 필름의 평가
(1) 열 수축률
필름을 약 10 cm × 10 cm 크기의 정방형 조각으로 절단한다. 정방형 조각을 소정 온도 ±0.5℃의 온수에서 무하중 상태로 소정 시간 동안 열수축시킨 후 얻은 필름 조각의 종방향과 횡방향 칫수를 재고, 하기 수학식(1)에 따라 열 수축률을 구한다. 종방향과 횡방향 중, 열 수축률이 큰 방향을 주 수축 방향으로 정한다.
열 수축률= [(수축 전 길이-수축 후 길이)/수축 전 길이]×100(%)
(2) 수축 후 상태
둘레에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500 ㎖ 들이 둥근 용기[높이: 20.6 ㎝; 중앙부 직경: 6.5 ㎝; 길야공업소에서 제작; 기린 음료 주식회사의 오후의 홍차에 사용하고 있는 용기]를 통과 시간이 2.5초이고 온도가 약 80℃인 스팀 터널(SH-1500-L; 후지 아스텍 인코포레이티드 제품)에 통과시켰다. 샘플은 20개를 사용한다.
시험 전에, 용기 둘레의 필름에 녹색, 금색 및 백색 잉크(동양 잉크 제조(주))로 3색 인쇄하였다. 수축 후 상태는 다음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O : 주름이 관찰되지 않고, 필름이 정해진 위치보다 위로 이동하지 않으며, 불충분한 수축이 관찰되지 않는다.
× : 필름이 정해진 위치보다 위로 이동하거나, 불충분한 수축이 관찰된다.
(3) 내파단성
인쇄물이 찍힌, 상기 항목(2)에서 사용한 필름을 캔 커피용 캔 둘레에 두르고 약 75℃의 물에 약 10초 동안 넣어 두어 약 5% 수축시켰다. 얻은 샘플에 대해 인장 시험 장치(UTM-4L; 동양 정기(주) 제품)를 사용하여 JIS C2318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이 약 20% 이하인 샘플의 수를 세어 평가하였다. 샘플은 50개를 사용한다. 표 1의 수치는 샘플 총수(50)에 대해 20% 이하의 파단 신장률을 가진 샘플 수의 비이다.
(4) Tg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계(DSC220; 세이코 전자 공업(주) 제품)를 사용하여 미연신 필름 약 10 mg의 온도를 약 -40℃에서 약 120℃까지 약 20℃/분의 속도로 상승시켜서 흡열 곡선을 구한다. 각 흡열 곡선의 전이점 전과 전이점 후에 접선을 긋고, 접선의 교차점을 유리 전이 온도(Tg)로 정한다.
(5) 구멍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되는 성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밀봉법에 따라 필름을 관 형태(폭: 106 mm; 길이: 54 mm)로 만든다. 각 관의 길이 방향으로 2열의 평행한 구멍을 형성시키되, 각 열은 서로 10 mm 이격시킨다. 그 필름을 PET 용기에 피복하고 상기 항목(2)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수축시킨다. 샘플은 50개를 사용한다.
용기의 상부(캡에서 가까운 부분)에서 용기의 하부를 향해 구멍을 따라 필름을 인열한다. 의도하지 않은 방향(횡방향)으로 인열되는 필름의 수를 센다. 샘플 총수에 대한 그러한 샘플 수의 비를 직선 인열 불량률(%)로 정한다. 도 2에서, L1은 각 구멍들의 길이를 나타내며, L2는 구멍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L1/L2 비는 약 2.5 내지 약 3.0이다.
(6) 두께 분포도
종방향으로 약 5 cm와 횡방향으로 약 50 cm인 샘플의 두께를 접촉 두께 측정기(KG60/A; 안리츠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두께 분포도는 하기 수학식(2)에 따라 각 샘플에 대해 계산하였다. 또한, 평균 분포도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샘플은 50개를 사용한다.
두께 분포도=[(최대 두께-최소 두께)/평균 두께]×100(%)
: 평균치가 약 6% 이하
△ : 평균치가 약 6% 이상, 약 10% 이하
× : 평균치가 약 10% 이상
(7) 인쇄성
PAS형 다색 그라비아 인쇄기(동곡철공소(주) 제품)를 사용하여 중첩식으로 녹색, 금색 및 백색의 잉크 쉬링크 EX(동양 잉크 제조(주) 제품)를 사용하여 필름을 삼색 인쇄처리한다. 인쇄 속도는 약 100 m/분이고, 건조 속도는 약 50℃이다. 샘플의 갯수는 10개이다.
색상 중에 오프셋팅 길이는 JIS 1급 척도로 측정하고, 인쇄성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한다.
O: 오프셋팅 길이가 약 1 mm 미만
△: 오프세팅 길이가 약 1 mm 이상, 약 3 mm 미만
×: 오프세팅 길이가 약 3 mm 이상
제2 실시 형태 필름의 평가
(8) 수축 응력
수축 응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약 10 cm이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가 약 2 cm인 샘플을 인장 시험 장치(UTM-4L; 동양정기사 제품)를 사용하여 약 90℃의 공기 오븐에서 약 1분간 가열하였다. 척간(inter-chuck) 거리(즉, 필름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장치의 두 홀더 사이의 간격)는 약 50 mm이다. 발생된 힘을 기록하고, 그 최대값을 판독하였다. 샘플 각각의 수축 응력은 하기 수학식 3으로 계산하고, 그 평균값을 수축 응력으로 하였다.
수축 응력 = (최대 판독값/가열 전 샘플의 단면적)(kg/mm2)
(9) 밀봉 강도
필름을 관으로 만들고 그 관을, 약 240℃로 가열된 절단용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관의 축 방향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는 자동 백 제조 장치(RP500, 공송 인쇄기계 재료사 제품)를 사용하여 백으로 만들었다. 절단용 블레이드의 각도는 약 70도이다. 가열하의 백의 생산 속도는 분당 약 100개이다. 제조된 백을 절단용 블레이드를 가열하여 백의 두 단부를 따라 밀봉하였다. 그 백 각각으로부터 폭이 약 15 mm인 밀봉부를 포함하는 조각을 절단하였다. 각 조각의 개방된 말단의 두면을 인장 시험 장치(STM-T-50BP: 동양 발드윈)의 척으로 고정시키고 약 20℃의 온도, 약 65%의 습도, 약 50 mm의 척간거리 및 약 200 mm/분의 인장 속도에서 잡아당겼다. 밀봉 부분이 박리될 때의 인장 강도를 밀봉 강도로 정의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샘플을 사용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10) 열 수축률
필름을 약 10 cm ×10 cm 크기의 정사각형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이 정사각형 조각을 무하중 상태에서 약 95 ±0.5℃의 물에 10초간 침지하여 열 수축시켰다. 얻은 필름 조각의 종방향 크기와 횡방향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열 수축률을 계산하였다. 종방향과 횡방향 중에서, 열 수축률이 더 큰 방향을 주 수축 방향으로 정하였다.
열 수축률 = (수축 전 길이 - 수축 후 길이)/(수축 전 길이) ×100(%)
(11) 융점(Tm) 및 결정화 온도(Tc2)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약 10 mg의 온도를 시차 주사 열량계(DSC220; 세이코 전자 공업사 제품)를 사용하여 약 20℃/분의 속도로 약 20℃에서 약 300℃로 상승시키고 약 300℃에서 약 3 분간 방치함으로써 융해된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융해된 폴리에스테르를 약 20℃/분의 속도로 약 100℃까지 냉각시켜서 흡열 곡선과 발열 곡선을 얻었다.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얻어지는 흡열 곡선 각각의 정점 온도가 융점이며, 온도가 하강하는 동안 얻어지는 발열 곡선 각각의 정점 온도가 결정화 온도이다.
(12) 수축 후의 상태
필름을 시판용 라미네이트 관[REVITAL(린스의 상표명); 시세이도사 제품] 둘레에 제공된 상태로 유니버설 수축기(K2000; 교화 전기사 제품)의 약 160℃인 가열 구간 1과 온도가 약 180℃인 가열 구간 2로 약 15초 동안 통과시킨다. 샘플의 갯수는 10개이다.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O: 외관상 결함이 관찰되지 않음.
×: 주름 및 불충분한 수축이 관찰됨.
이하 실시예는 하기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IV"는 고유 점도를 나타낸다.
폴리에스테르 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IV: 0.75)
폴리에스테르 B: 에틸렌 글리콜(70 몰%), 네오펜틸 글리콜(30 몰%) 및 테레프탈산(100 몰%)(IV: 0.72)
폴리에스테르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IV: 1.20)
폴리에스테르 D: 테레프탈산(65 몰%), 아디프산(10 몰%), 이소프탈산(25 몰%) 및 부탄디올(100 몰%)(IV: 0.72)
실시 형태 1의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A 약 25 중량%, 폴리에스테르 B 약 5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C 약 20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로 압출시키고,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6℃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열 전달 계수 약 0.0008 cal/㎠ ·초·℃의 조건하에서 최대 약 85℃로 예열시킨 다음, 약 74℃에서 텐터에 의해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약 80℃에서 약 10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A 약 25 중량%, 폴리에스테르 B 약 5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C 약 2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에서 압출시키고,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3℃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열 전달 계수 약 0.0008 cal/㎠ ·초·℃의 조건하에 최대 약 82℃로 예열시킨 다음, 약 72℃에서 텐터에 의해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약 79℃에서 약 10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 A 약 25 중량%, 폴리에스테르 B 약 4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C 약 30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에서 압출시키고,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1℃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열 전달 계수 약 0.0008 cal/㎠ ·초·℃의 조건하에 최대 약 80℃로 예열시킨 다음, 약 69℃에서 텐터에 의해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약 77℃에서 약 10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폴리에스테르 A 약 4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약 5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D 약 10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의 T 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급속히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7℃였다.
미연신 필름을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시켰다. 이로써,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연신 온도를 약 83℃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연신 온도를 약 6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으나, 이 필름은 텐터의 출구에서 완전히 백화되었다.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 A 약 25 중량%, 폴리에스테르 B 약 6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C 약 10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의 T 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9℃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열 전달 계수 약 0.0008 cal/㎠ ·초·℃의 조건하에 최대 약 90℃로 예열시킨 다음, 약 75℃에서 텐터로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약 80℃에서 약 10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연신 후 열처리 온도를 약 7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연신 후 가열 온도를 약 83℃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열 전달 계수를 약 0.0017 cal/㎠ ·초·℃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50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수록하였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필름은 수축 전 상태, 구멍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되는 성질 및 두께 분포도를 비롯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만족스런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만족스런 품질을 나타내므로, 실용성이 우수하며, 특히 라벨용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와는 반대로, 비교예 1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파단성이 불량하여 구멍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되지 않는다. 비교예 3 및 5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름 및 불충분한 수축으로 인해 수축 후의 상태가 불량하다. 비교예 4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기 둘레에 놓을 때, 정해진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 이동하므로 수축 후의 상태가 불량하다. 비교예 6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 분포도가 불량하다. 이로써, 비교예 1 내지 6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품질이 떨어지며 라벨 필름으로서 실용성이 없다.
〈실시 형태 2의 실시예〉
이하 실시예들은 하기 표 2에 수록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조성 Tm(℃) Tc2(℃)
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55 195
F 에틸렌 글리콜(70 몰%), 네오펜틸 글리콜(30 몰%) 및 테레프탈산(100 몰%) -* -*
G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25 195
H 테레프탈산(90 몰%), 다이머 산(10 몰%) 및 부탄디올(100 몰%) 200 167
I 테레프탈산(90 몰%), 다이머 산(10 몰%) 및 에틸렌 글리콜(100 몰%) 230 179
J 테레프탈산(65 몰%), 이소프탈산(10 몰%), 아디프산(25 몰%) 및 부탄디올(100 몰%) 165 135
* 온도가 상승 및 하강되는 동안에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융점 또는 결정화 온도의 정점은 나타나지 않음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 E 약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F 약 6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G 약 2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약 280℃의 T 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다중 연속 권취형 수직 연신기(롤의 온도는 약 85℃)로 약 1.4배의 비율로 종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후에, 이 필름을 최대 약 95℃로 예열시킨 다음, 약 80℃에서 텐터에 의해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얻은 필름을 텐터로 90℃로 약 8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폴리에스테르 E 약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F 약 6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H 약 2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폴리에스테르 E 약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F 약 6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J 약 2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5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미연신 필름을 약 95℃로 예열시킨 다음, 약 80℃에서 약 4배의 비율로 횡방향 연신시켰다. 그 결과 얻어진 필름을 약 90℃에서 약 8초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조되었다.
비교예 8
폴리에스테르 E 약 3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F 약 6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폴리에스테르 E 약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F 약 6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I 약 2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약 25 ㎛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는 실시예 5 내지 7과 비교예 7 내지 9에서 제조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수록하였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필름은 수축 전의 상태 및 밀봉 강도를 비롯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만족스런 수치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된 필름의 가열된 밀봉 부분은 만족스런 모양을 나타내었다(즉, 필라멘트형 가닥이 발생되지 않음). 이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만족스런 품질과 우수한 실용성을 보이며, 특히 상기 평가 섹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을 관으로 만들어 가열된 블레이드로 절단한 후 복잡한 모양의 용기를 커버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비교예 7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름과 불충분한 수축을 보였다. 비교예 8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름이 생기며, 밀봉 강도가 낮으므로 밀봉 가공성이 불량하다. 본 명세서에서 "밀봉 가공성이 불량하다"란 표현은, 예컨대 평가 섹션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밀봉 부분은 필라멘트형 가닥을 발생시키거나 관의 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을 따라 웨이브가 있는 것(즉, 불균일함)을 말한다. 비교예 9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봉 강도가 낮으므로 낮은 밀봉 가공성이 불량하다. 이들 비교예 7 내지 9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품질이 불량하여서 커버링 필름으로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기의 라벨을 비롯한 모든 가능한 용도에서 주름 또는 뒤틀림이 없고 거의 균일하게 수축하므로 만족할 만한 수축후 상태를 나타내며, 그 위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 용이하게 인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컨대 화장품 용기, 방향제 용기 및 세면용품 용기 또는 액상 약제 용기 등의 복잡한 모양의 용기를 커버한 상태에서 수축할 때에도 주름 또는 뒤틀림이 없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수축을 나타내며, 우수한 밀봉 강도를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내용에 의해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6)

  1.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이, 70℃의 물 중에서 5초간 처리한 후에는 20% 이상이며, 75℃의 물 중에서 5초간 처리한 후에는 35% 내지 55%이고, 80℃의 물 중에서 5초간 처리한 후에는 50% 내지 60%이며,
    75℃의 물 중에서 10초간 처리하여 5% 수축시킨 후,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장률이 20% 이하일 확률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 분포도는 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탄소 원자 수가 3개 내지 6개인 디올을 1종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이 폴리에스테르는 유리 전이 온도가 58℃ 내지 68℃가 되도록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비 τ12(여기서, τ2는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이며, τ1는 90℃에서의 필름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 응력임)는 0.05 내지 0.45이며,
    밀봉 강도는 1.2 ㎏/15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95℃의 물 중에서 10초간 처리한 후 주 수축 방향의 열 수축률은 40% 이상이며, 95℃의 물 중에서 10초간 처리한 후 주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률은 1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융점(Tm)과 융해된 폴리에스테르를 냉각시킬 때의 결정화 온도(Tc2)간의 차(△T)가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분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9-0003042A 1998-01-30 1999-01-30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3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18850 1998-01-30
JP1885098A JP4171935B2 (ja) 1998-01-30 1998-01-30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10408698A JP4525870B2 (ja) 1998-03-30 1998-03-30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98-104086 199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30A KR19990068230A (ko) 1999-08-25
KR100431976B1 true KR100431976B1 (ko) 2004-05-20

Family

ID=2635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042A KR100431976B1 (ko) 1998-01-30 1999-01-30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85387A (ko)
EP (2) EP0934813B1 (ko)
KR (1) KR100431976B1 (ko)
AT (2) ATE514543T1 (ko)
DE (1) DE69924421T2 (ko)
HK (1) HK1024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9974B1 (en) * 1996-09-13 2001-10-09 Mannington Mills Of Delaware, Inc. Stain blocking barrier layer
KR100497872B1 (ko) * 1999-01-28 2005-06-29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4356153B2 (ja) * 1999-10-04 2009-11-04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6554447B1 (en) 2000-04-14 2003-04-29 S. C. Johnson & Son, Inc. Candle product decorated with heat-shrinkable film and related method
JP4304243B2 (ja) 2000-08-02 2009-07-2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785251B1 (ko) 2001-01-25 2007-12-1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라벨
US7273146B2 (en) * 2001-03-05 2007-09-25 Pwp Industries Corporation Container whose side wall includes a surface discontinuity to hold shrinkwrap thereto
JP3767511B2 (ja) * 2001-04-26 2006-04-1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US6599994B2 (en) * 2001-07-18 2003-07-29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blends and heat shrinkable films made therefrom
JP3678186B2 (ja) * 2001-08-01 2005-08-03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EP1298171B1 (en) * 2001-09-27 2019-06-05 Toyobo Co., Ltd.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US7172065B2 (en) * 2002-09-13 2007-02-06 S.C. Johnson & Son, Inc. Shrink wrap with sample holes
KR100549112B1 (ko) * 2003-06-25 2006-02-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결정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93971B1 (ko) * 2004-06-18 2006-06-3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충격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JP2006027209A (ja) * 2004-07-21 2006-02-0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平版印刷版材料及び平版印刷版、並びにそれを用いた印刷方法
CN100543061C (zh) * 2007-03-22 2009-09-23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态热塑性聚酯及使用此聚酯制成的热收缩套管
US20090107627A1 (en) * 2007-10-30 2009-04-30 Chiu Kuo-Tzu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paperboard with an opaque plastic film for printing a color label thereon
EP2789647B1 (en) * 2007-11-19 2018-06-13 Kolon Industries, Inc.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KR101190348B1 (ko) 2007-12-11 2012-10-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5286829B2 (ja) * 2007-12-13 2013-09-11 東洋紡株式会社 ラベル
CN101970212B (zh) * 2008-02-27 2014-05-07 东洋纺织株式会社 白色热收缩性聚酯类膜、白色热收缩性聚酯类膜的制造方法、标签及包装体
US20090227735A1 (en) * 2008-03-07 2009-09-10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and shrinkable films prepared therefrom
KR101268217B1 (ko) * 2010-03-31 2013-06-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단층 필름
IT1399272B1 (it) * 2010-04-06 2013-04-11 Soremartec Sa "procedimento per realizzare contenitori e relativo contenitore"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SG11201803774VA (en) 2014-06-06 2018-06-28 Zeus Industrial Products Inc Peelable heat-shrinking tubing
US10543656B2 (en) 2018-01-11 2020-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Tough shrinkable films
JP7101542B2 (ja) * 2018-05-29 2022-07-15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熱収縮性フィルムおよび熱収縮性ラベル
MX2023003617A (es) * 2020-10-07 2023-04-10 Bonset America Corp Pelicula de poliester termorretracti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4958A (ja) 1981-10-09 1983-04-18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収縮性フイルム並びに該熱収縮性フイルムを使用した物品の熱収縮包装方法
JPS60206839A (ja) 1984-03-30 1985-10-18 Okura Ind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164430A (ja) 1984-09-07 1986-04-02 Okura Ind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210646B2 (en) * 1985-07-31 1998-01-2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hermo-shrinkable polyester type film and tube and processing method for preparing the tube
JP2566568B2 (ja) 1987-02-17 1996-12-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ヒ−トシ−ル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系収縮フイルム
US4985538A (en) * 1986-11-12 1991-01-15 Diafoil Company, Limited Shrinkable polyester film
EP0271928B1 (en) * 1986-12-19 1997-04-1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CA1340219C (en) * 1988-04-06 1998-12-15 Tadahiko Katsura Labelled vessel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0352729B1 (en) * 1988-07-27 1994-07-13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Sheet for forming article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ability
JP2781597B2 (ja) * 1989-04-28 1998-07-30 鐘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フィルム
JP2692270B2 (ja) 1989-06-15 1997-12-17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蛍光灯収縮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68635A (ja) 1989-08-08 1991-03-25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793713B2 (ja) * 1990-10-27 1998-09-03 鐘紡株式会社 表面特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フィルム
US5851610A (en) * 1991-02-07 1998-12-22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Shrink film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H05185510A (ja) 1992-01-10 1993-07-27 Shin Etsu Chem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261755B1 (ko) * 1992-02-25 2000-07-15 히라이 가쯔히꼬 이축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
EP0617087B2 (en) * 1993-03-25 2004-01-02 Diafoil Hoechst Co., Ltd Film for high heat-sensitive stencil paper
DE69402381T2 (de) * 1993-08-17 1997-11-20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film für höchst wärmeempfindliches Originalblatt für Schablonendruckverfahren
JPH0777757A (ja) 1993-09-07 1995-03-20 Konica Corp 透明磁気記録層を有する写真感光材料
TW397928B (en) * 1993-12-22 2000-07-11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oucing phase retarder film
JPH07205284A (ja) * 1994-01-25 1995-08-08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4813A3 (en) 2001-04-11
ATE514543T1 (de) 2011-07-15
EP0934813A2 (en) 1999-08-11
EP0934813B1 (en) 2005-03-30
ATE292009T1 (de) 2005-04-15
EP1441000B1 (en) 2011-06-29
EP1441000A2 (en) 2004-07-28
EP1441000A3 (en) 2004-11-17
KR19990068230A (ko) 1999-08-25
DE69924421D1 (de) 2005-05-04
US5985387A (en) 1999-11-16
DE69924421T2 (de) 2006-03-09
HK1024205A1 (en)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976B1 (ko)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91876B1 (ko)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라벨, 및 포장체
JP7254730B2 (ja) 非晶性のフィルム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原料、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KR101333948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포장체
KR100991638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642229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EP3333215B1 (en)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package
EP1024162B1 (en)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JP382935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7056156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35760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JP2022095616A (ja) 包装体および包装容器
JP200016960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267108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EP1184167B1 (en) Layered heat-shrinkable films and labels for bottles
JP4552097B2 (ja) 熱収縮性熱可塑性樹脂系フィルム
JP417193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30280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50104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6844682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WO2023243486A1 (ja) レーザー印字用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9143605A (ja) 包装体
JP6402954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3266537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ラベル
JP201110239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