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29B1 -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 Google Patents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29B1
KR101859829B1 KR1020160100999A KR20160100999A KR101859829B1 KR 101859829 B1 KR101859829 B1 KR 101859829B1 KR 1020160100999 A KR1020160100999 A KR 1020160100999A KR 20160100999 A KR20160100999 A KR 20160100999A KR 101859829 B1 KR101859829 B1 KR 10185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handle
tab
main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328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6010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29B1/ko
Priority to CN201710373757.9A priority patent/CN107696741B/zh
Priority to JP2017108190A priority patent/JP6426792B2/ja
Publication of KR2018001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42F1/04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 B42F1/06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of flat cross-section, e.g. made of a piece of metal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3Devices for applying fasteners, e.g. clips, to bundles of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를 분철하는데 사용하는 사무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판재의 중간부가 굽혀져 양끝이 서로 맞닿아 있는 형태를 가지며 그 사이에 종이를 끼웠을 때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양 끝 부분이 서로 맞닿아 종이를 물어주는 역할을 하는 본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맞물려 있는 본체의 상, 하부가 개폐되도록 해주는 2개의 손잡이 핀; 본체의 위, 아래면 중앙부에 절곡 가공된 2쌍의 삽입 통로를 만들어 손잡이 핀이 체결된 상태에서 핀이 빗장(LATCH)처럼 위, 아래로 슬라이딩 수평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된 2쌍의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류를 클립 사이에 끼울 때는 핀을 위로 끌어 올려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종이를 끼운 후에는 홈 아래로 밀어내려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류의 수납과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 Double Clips with Plug-in Handle}
본 발명은 서류를 분철하는데 사용하는 사무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더블클립으로 통칭되는 폴더형 클립의 가장 큰 단점이었던 손잡이 핀의 돌출 문제를 개선하고 본체와 손잡이 부재의 체결 방식을 피봇 결합 방식에서 삽입 방식으로 변경한 새로운 구조의 클립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사무용 더블클립의 일반적 형상은 절곡 가공에 의해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 본체가 구비되고, 손잡이 핀과 체결되는 피봇 결합부가 위, 아래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종이를 눌러주는 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피봇 결합부는 굴곡된 핀의 양끝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좌측과 우측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은 종이를 끼울 때 걸리지 않도록 힌지부와 비슷한 모양으로 라운딩처리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클립 구조에서 힌지의 양끝 모서리는 원통형으로 가공되어 있다고는 하나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종이가 쉽게 찢어지기도 하고 여러 개의 서류철을 적층하는 경우 힌지부에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손잡이 부재은 지렛대 역할을 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밖으로 돌출되어 걸리는 문제가 있고 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보관하기도 하나, 서류를 열람하거나 펼쳐 놓는 경우에는 핀에 걸려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즉 손잡이 핀이 몸체에 비해 커서 서류를 바인딩 후, 사용자가 서류를 넘길 때마다 서류가 핀에 걸려 잘 넘어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불편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손잡이 핀을 따로 분리시켜 보관하기도 하는데 이는 필요시 재결합하기가 매우 번거로우며 자칫 분실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는데, 등록특허 10-0646615, '폴더형 클립'을 보면, 기존의 더블 클립과 유사한 삼각 구조의 본체를 구성하고 기존의 돌출되는 문제가 있는 손잡이 핀 대신 본체의 위, 아래 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ㄷ" 형태의 삽입 구조를 형성하고, 그 양단부에 상기 손잡이 핀 대신 누름판 역할을 하는 삽입형 구조의 판재를 부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더형 구조는 일견 기존 클립의 손잡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나 본체 및 부재의 가공 형상이 복잡하고 여러 단계의 가공 공정을 거치는데 따르는 제조 원가의 상승, 절곡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자재의 탄성도 문제, 누름판과 연결가이드의 각도, 지렛대의 작용점과 받침점의 간격 등 여러 가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들로 인하여 사실상 실용화가 어려운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등록 특허 10-1307003, '사무용 클립'에서는 보다 현실성 있게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손잡이 핀의 중간부가 꺾이도록 관절부를 형성하였고, 그로 인해 손실된 지렛대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체 힌지에 직접 연결된 핀의 윗부분을 가로로 연결하여 받침점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특허의 고안은 앞서 인용한 기술보다는 좀 더 진보된 형태이기는 하나 여전히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복잡한 형상의 클립 제작에 따르는 공정 추가와 비용 상승, 지렛대의 받침점과 작용점 간격이 너무 짧아 클립의 조작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등록 실용신안 20-0246782, '사무용 평판형 클립'은 기본형 클립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근본적으로 손잡이 핀의 형태와 본체 체결부 형태를 힌지 방식에서 리벳을 이용한 탈부착 구조로 바꿈으로써 문제를 개선하고자 시도하였다. 앞서 고안되었던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하거나 정교한 가공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다는 장점과 더불어 손잡이 핀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옆으로 방향을 돌릴 수도 있기 때문에 핀이 걸리는 불편을 상당 부분 해소하기는 하였으나, 리벳을 추가로 설치하는데 따르는 공정의 추가 그리고 손가락으로 핀을 누를 때 핀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는 단점 또한 생기게 되므로 편리성과 기능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의 사무용 클립은 지렛대의 원리에 입각하여 힘점과 작용점, 그리고 받침점 간의 간격이 멀어 서류를 끼우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 핀을 가압하려면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들고, 무엇보다 상기 폴더형 클립은 서류를 분철한 상태에서 그 위, 아래 방향으로 손잡이 핀이 돌출되므로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 보관하거나 취급 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특히 기존 방식에서 힌지가 본체 선단의 종이 접지부 또는 압박부에 형성되어 있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종이 접지부의 형상과 디자인이 좀 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의 폴더형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류를 분철하는 데 사용하는 폴더형 클립에 있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얇고 길쭉한 탄성 재질을 상, 하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대칭형으로 절곡 가공함으로써 탄성을 발생시키고, 상, 하 가압면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손잡이 부재를 눌렀을 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접지부의 상, 하부가 개폐되면서 작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 하 대칭면 중앙 부에 펀칭에 의해 절개되어 좌, 우측에 평행하게 슬라이딩 래치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홈을 통해 손잡이 부재와 체결되는 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래치 형태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해 11자 모양으로 평행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손잡이 부재로 구성되어 서류를 바인딩할 때는 손잡이 부재를 상향 돌출시켜 손가락의 접지력 향상과 지렛대의 힘점 역할을 충분히 하도록 하고, 종이를 클립에 위치시킨 후에는 체결부 속으로 손잡이 부재를 하향 삽입시켜 보관할 때 또는 서류를 펼칠 때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클립을 과제 해결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삼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재의 길이를 본체의 길이와 비슷한 정도로 축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클립을 제공하는데, 이때 지렛대의 작용점 역할을 하는 체결부는 본체의 종이 접지면 상단에 위치하므로 받침점 역할을 하는 본체의 탄성 굴곡부와의 거리가 줄어들어 손잡이 부재의 길이가 상당히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폴더형 클립과 동일한 탄성력의 부재에서 보다 작은 힘으로도 압박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클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폴더형 클립을 이용하면 손잡이 부재의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어 서류 열람 또는 서류 보관 시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기존 클립의 힌지를 본체 말단의 접지부에서 제거함에 따라 기존 폴더 클립의 힌지 모서리에 종이가 닿아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폴더형 클립은 본체와 손잡이 부재의 체결부라 할 수 있는 힌지가 접지부에 형성되어 있어 지렛대의 원리상 작용점과 받침점 간의 거리가 멀고 그로 인하여 힘점 위치에 해당하는 손잡이 부재와의 거리도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였던 반면, 본 발명의 폴더형 클립은 받침점과 작용점 간의 거리가 본체 길이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손잡이의 길이 또한 기존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어 사용과 보관의 편리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폴더형 클립에 비해 제조 공정이 늘어나거나 추가되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이 없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변형 가공이 불가능한 힌지 구조가 사라지므로 접지부의 형상을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하트 모양, 물결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되어 디자인 측면에서도 상품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부재를 기존의 일반적인 금속제 핀뿐만 아니라 판재형 자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어 디자인과 편리성 면에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립 기본 구조로써 중앙 절개 후 양쪽으로 상향식 체결부를 형성하고 손잡이 부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립 기본 구조로써 중앙 절개 후 양쪽으로 하향식 체결부를 형성하고 손잡이 부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립 구조로써 위의 도 2에 기술된 구조의 체결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립 구조로써 본체 가압면 양측면상에 독립 절개된 상향식 체결부를 형성하고 손잡이 부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 구조로써 본체 상단 양측면상에 독립 절개된 하향식 체결부를 형성하고 손잡이 부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에 표시된 클립의 변형 구조로써 체결부의 절개 위치를 바꾼 방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 및 본체 가압면 양쪽에 상향식으로 체결부가 형성된 삽입형 더블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 및 중앙 절개 후 가압면 양쪽에 하향식으로 체결부가 형성된 삽입형 더블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 및 본체 가압면 양쪽에 하향식으로 체결부가 형성된 삽입형 더블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의 측면에 레일 삽입 구조를 적용한 손잡이 삽입형 더블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도 2에 표시된 클립의 접지부를 내부로 라운딩 처리한 방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로 적용 가능한 삽입형 핀(pin)형 손잡이 부재의 적용 가능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로 적용 가능한 삽입형 판재(plate)형 손잡이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기존의 일반적인 폴더형 더블 클립의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수단은, 탄성의 길쭉한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더블 클립 본체에 관한것이다. 일정 길이의 금속 판재의 중앙 탄성부(13)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2개 이상의 탄성 굴곡부(12)를 형성하여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굽혀진 가압면(14)이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한다. 이들 가압면(14)의 양 말단의 끝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켜 이 사이에 종이를 끼우면 탄성 압력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지부(15)가 구성되어야 하며, 이들 탄성 굴곡부(12)와 접지부(15) 사이에 손잡이 부재(20 또는 40)가 삽입되어 수평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절개 및 절곡 가공에 의해 만들어지는 체결부(30)가 포함된다. 상기 접지부(15)를 벌리기 위한 손잡이 부재(20 또는 40)가 체결부(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돌출과 삽입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수단은 본체의 중앙 탄성부(13)로부터 양 말단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탄성 굴곡부(12)로써 말단의 접지부(15)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하여 2개 이상 형성되어야 하고 대칭되는 양 탄성 굴곡부(12)의 간격은 종이의 최대 삽입 두께에 해당하는 폭만큼 유지되어야 한다. 두 말단부의 내측 접촉각(alpha)은 90도 이내가 되도록 탄성 굴곡부(12)의 내각을 적절히 변형시켜야 하며, 탄성 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양쪽 탄성 굴곡부(12)의 사이에 추가적인 굴곡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손잡이 부재(20 또는 40)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체결부(30)를 들어올릴 때 접촉되는 받침점의 위치는 탄성 굴곡부(12) 외측 표면 또는 탄성 굴곡부(12)상의 홈에 형성된다.
제3수단은 손잡이 부재(20 또는 40)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와 분리되는 강성이 높은 핀형 또는 판재형 소재를 절곡하여 만들어지고, 본체의 양쪽 가압면(14) 상에 절개 및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0)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밀고 당기는 수동 조작에 의해 돌출과 삽입을 쉽게 반복할 수 있으며 돌출시에는 손가락의 압력에 의하여 체결부(30)를 들어올리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제4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손잡이 부재로써 체결부(30)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조작에 의하여 삽입시에는 손잡이 부재 하단(22)이 본체의 접지부(15)까지 내려가고 손잡이 부재 상단(21)은 본체의 탄성 굴곡부(12) 외측으로 많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손잡이 부재 하단(22)에서 손잡이 부재 상단(21) 사이의 길이가 본체의 접지부(15) 말단과 탄성 굴곡부(12)의 상단까지의 길이에 비하여 3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부재(20)를 돌출시켰을 때 손잡이 부재 하단(22)이 체결부의 체결 하단부(33)에 걸리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끝이 구부러져 있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압면(14)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는 체결부(3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지부(15)와 탄성 굴곡부(12) 사이의 중간 지점보다 위쪽, 즉 탄성 굴곡부(12) 측에 가깝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3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11자 형으로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손잡이 부재(20)가 홈 또는 원통형 구멍을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 또는 래치 형태로 가공하여야 한다. 이때 슬라이딩 홈 또는 래치 형태의 체결부(30)의 절곡 방향은 체결 디자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식으로 선택 가능하고, 피봇의 설치 방향 또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손잡이 부재(20)를 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래치 형태의 체결부(30)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30)는 가압면(14) 상에서 절개한 후 절곡을 할 때는 상기 손잡이 부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조립 틈을 남겨 놓아 조립 과정에서 손잡이 부재(20)를 체결 상단부(35)에서, 체결 중간부(34), 체결 하단부(33) 쪽으로 일정 압력으로 밀어 넣게 되면 탄성에 의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 부재(20)가 장착된 후에는 손잡이 부재(20)가 체결부(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 중간부(34) 또는 체결 하단부(33)에 턱을 설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폴더형 클립의 가장 일반적인 모양은 최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고안이 제시되기도 했었으나 제작의 용이성, 제작비, 실용성 측면에서 기본형 디자인이 여전히 선호된다고 할 수 있다.
저가에 유통되는 클립 제품의 특성상 아무리 좋은 기능이라 할지라도 공정이나 비용이 기존 제품에 비해 많이 증가되면 실질적으로 실용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클립의 개발에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예시한 여러 실시예를 보면 공정 단계나 비용이 기존 방식에 비해 대동소이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6까지 도시된 실시 형태는 손잡이 부재로 핀형태의 소재를 사용한 것으로써, 슬라이딩 래치 또는 슬라이딩 홈 형태의 체결부(30)의 절곡 방향과 절곡 크기에 따라 외형 및 구조에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작동 방식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을 보면 자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탄성이 강한 금속재질과 같은 판재를 절곡하여 만들어진 본체(10)와,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핀과 같은 재질의 손잡이 부재(2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다시 중앙 탄성부(13)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여 탄성 굴곡부(12)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일정 경사각으로 구배가 이루어진 가압면(14)을 거쳐 탄성력에 의하여 강하게 밀착이 되어 있는 한 쌍의 접지부(15)가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15)의 끝은 종이를 끼울 때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약간의 평탄면을 두거나 아니면 라운딩 처리할 수도 있다. 또 기존의 클립 구조에서는 이 부분이 힌지 형태의 피봇 결합부로 항상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핀의 체결부(30)가 가압면(14)의 중앙으로 위치가 바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가능해졌으며 제품의 디자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지가 대폭 확장되었다.
본체의 중앙에는 접지부(15)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양 쪽에 대칭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 굴곡부(12)로써 충분한 탄성 접지력을 얻을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2개의 탄성 굴곡부(12) 사이에 추가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양 말단의 접지부(15)가 만나 이루어지는 접촉각(α)은 반드시 90도 이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인 것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접지부를 개방할 수 있어 유리하다.
가압면(14) 상에 절개되어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된 11자형의 체결부(30)에는 강도가 높은 금속선 또는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강성 재질로 만들어진 손잡이 부재(20)가 삽입되어 상, 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데, 도 1과 같은 체결부(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압부(14)의 가운데 위쪽 지점에 H자를 90도 회전시킨 모양으로 절개한 후 양 측면으로 절단부를 말아 올림으로써 쉽게 형성이 가능하며, 공정 마지막 단계에 손잡이 부재를 삽입할 때에는 체결 상단부(35)에서 체결 하단부(33) 방향으로 적당한 힘으로 밀어 넣게 되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부재(20)가 사용 중에 체결부(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체결 중간부(34) 또는 체결 하단부(33)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턱을 만들어 주거나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상 가공을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는 다른 도면의 예시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폴더형 클립에서 종이를 삽입하여 고정할 경우, 손잡이 부재(20)를 위로 끌어올리게 되면, 손잡이 부재 하단(22)은 체결 하단부(33)와 접촉될 때까지 슬라이딩되어 돌출하게 되는데 끝까지 돌출이 된 위와 아래 쪽 손잡이 부재 상단 또는 샤프트(21, 23)를 손가락으로 잡아 누름으로써 종이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접지부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부(30)의 절개 및 절곡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체결부(30) 및 손잡이 부재의 위치가 하향식으로 형성됨으로써 클립 사용시 체결부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서류를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 부재(20)가 종이와 닿지 않고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서류 접지면과 체결부(30) 사이에 손잡이 부재(20)가 설치되는 공간이 필요한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지부 위쪽에 접지 굴곡부(16)를 형성시켜주어야 한다. 도 2와 같은 실시 예는 손잡이 부재(20)가 내부로 감추어지므로 서류를 적층할 때 클립끼리 걸리는 문제가 줄어들고 외관상으로도 깔끔해지는 이점이 있으나 도 1의 실시 예에 비해서는 절개 부분의 형상 가공이 다소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체결부에서 손잡이 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해 체결 하단부에 턱을 형성시킨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실시 예는 도 1에서와같이 손잡이 부재(20)를 상향식으로 노출시킨 예시의 하나로써 본체에 체결부(30)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같이 가압면(14) 중간을 양옆으로 절개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가압면(14) 상에 'ㄷ'자 형태의 절개부를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한 방식이다. 본체(10)의 가압면(14)의 가운데 부분이 아래쪽의 접지부(15)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1 또는 도2의 실시예보다 좀 더 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어 클립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절개부의 면적이 충분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는 앞서 상술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향식으로 손잡이 부재(20)가 설치된 방식이나 가압면(14) 중간을 눕힌 H자 모양으로 절개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가압면(14) 상에 'ㄷ'자 형태의 절개부를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한 방법이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도 2의 실시 예보다 좀 더 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어 클립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절개부의 면적이 충분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핀 모양의 핀형 손잡이 부재(20) 뿐만 아니라 판재형 손잡이 부재(40)로도 같은 기능을 하도록 제작이 가능한데, 도 7로부터 도 10에 이르기까지 판재형 손잡이 부재를 적용한 몇 가지 실시 예가 예시되어 있다.
본체의 구조는 앞서 기술한 도 1로부터 도 6에 이르기까지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원통형의 슬라이딩 래치 또는 홈 형태의 체결부 대신 납작한 형태의 체결부로써, 상향 슬라이딩 서포트(38) 또는 하향 슬라이딩 서포트(39)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부재(40)는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가공 공정과 비용 등의 요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손잡이 부재(40)를 판재 형태로 대체하는데 따르는 이점은 접촉감이 향상되어 클립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본체와 유사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도 7에는 상향식으로 판재형 손잡이 부재(40)가 노출되도록 설계된 클립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체의 체결부 기능이나 작동 원리는 도 1 및 도 2의 구조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앞의 도1과 도3의 예시에서는 손잡이 부재로 핀형 자재를 사용함에 따라 슬라이딩 래치의 절곡 형태 또한 원통형의 홈을 형성시켜야 했으나 도 7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40) 사용시에는 라운딩 가공 대신 납작한 구조의 상향 슬라이딩 서포트(38)로 삽입 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의 손잡이 부재(20)에 있어 이탈 방지를 위한 손잡이 부재 하단(22)의 꺾어진 부위의 역할을 부여하기 위하여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에서는 도 10에 일부 인용한 것과 같은 적절한 걸림 턱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의 돌출과 삽입을 위한 슬라이딩 조작시 접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윗부분에는 원형의 고리 문양과 같은 요철부(45)를 형성시킴으로써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이 판재형 손잡이 부재(40)가 노출된 상향식 방식이라면 도 8과 도 9는 판재형 손잡이 부재가 가압면(14)의 아래로 장착되는 하향식 디자인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하향 슬라이딩 서포트(39)의 절곡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판재형 방식에서도 하향식 설치 시에는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나 클립 사용에 따른 체결부의 변형이 거의 없고 서류철 적재시 판재형 손잡이 부재끼리 부딪히는 문제가 줄어든다는 점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도 10은 판재형 손잡이 부재(40) 안에 삽입 홈(46)이 추가적으로 생성되어 있어 부재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고 외관상으로도 매우 깔끔한 모양을 갖는 방식의 실시예이다.
본체에 형성되는 별도의 서포트가 없어도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의 삽입홈(46) 속으로 체결부의 슬라이딩 레일(391)이 삽입되어 지지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고 손잡이 부재 상단의 손가락이 닿는 지촉부에 요철부(45)를 만들거나 문양을 요철을 갖도록 음각하게 되면 깔끔하면서도 실용적인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금속 판재 가공으로는 이와 같은 형상을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강도와 성형성을 충족하는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0과 같은 클립의 판재형 손잡이 부재를 본체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탄성 굴곡부 가운데의 개방부(19)를 통해 삽입시킴으로써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는데 돌출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의 말단 모서리 부위에 도10의 부분 확대도와 같은 이탈 방지턱(47)을 형성함으로써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1 은 손잡이 부재(20) 끝 부분에 의하여 종이가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접지부를 안쪽으로 곡면 처리한 구조로써 손잡이의 길이가 좀 더 길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판재형 손잡이 부재(40)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2는 손잡이 부재(20)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손잡이 부재하단(22)은 본체의 체결부(30) 형태에 따라 모양을 달리할 수 있는데 하단의 꺾어지는 방향은 체결부의 개방된 방향 즉, 삽입부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해야 손잡이 부재가 사용 중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유리하나 손잡이 부재(20)를 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의 편리성 때문에 같은 방향으로 꺾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은 판재형 손잡이 부재(40)를 체결부로서의 상향 슬라이딩 서포트 또는 하향 슬라이딩 서포트에 삽입한 후에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미세한 돌기를 형성시킨 것으로써, 도 13a 타입 돌기는 삽입과 돌출 조작 과정에서 핀의 끝 부분(22)이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고, 13b 타입 돌기는 슬라이딩 홈의 개방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체결부에 형성된 이와 같은 돌기 구조는 장착시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탄성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나 장착 후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므로 손잡이 부재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도 13의 a, b, c는 판재형 손잡이 부재의 여러 가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13의 a는 측면 레일 삽입 방식의 손잡이 부재 예시로써 하단에 설치된 미늘 모양의 걸림턱(43)의 구조로 인하여 삽입시에는 쉽게 들어가나 삽입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391)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도 13의 b는 상기 도 7, 8, 9 등에 예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클립에 적용 가능한 판재형 손잡이 부재에 대한 것으로써, 판재형 손잡이 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양측면 하단에 경사 구배가 만들어진 걸림턱(43)을 형성하여 삽입시에는 소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활하게 들어가나 판재형 손잡이 부재를 잡아당길 때에는 미늘형 구조로 인하여 이탈이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조립시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13의 c와 같이 판재형 손잡이 부재 하단에 쐐기 홈과 같은 슬릿(44)을 돌출부 안 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의 예시에 묘사된 것과 같이 손잡이 부재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고리모양의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손가락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딩 조작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과 원리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특정 실시 예를 통하여 쉽게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가 도면에 표시된 실시 형태에만 대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하며, 발명의 원리가 포함되어 변형되거나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에도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본체
11 : 배면부
12 : 탄성 굴곡부
13 : 본체 중앙부
14 : 가압면
15 : 접지부
16 : 접지 굴곡부
17 : 손잡이 부재 받침점
18 : U자형 접지부
20 : 손잡이 부재
21 : 손잡이 부재 상단
22 : 손잡이 부재 하단
23 : 샤프트
30 : 체결부
31 : 절개부 상단
32 : 절개부 하단
33 : 체결 하단부
34 : 체결 중간부
35 : 체결 상단부
36 : 절개부 하단
37 : 절개부 상단
38 : 상향 슬라이딩 서포트
39 : 하향 슬라이딩 서포트
40 : 판재형 손잡이 부재
43 : 걸림턱
44 : 슬릿
45 : 요철부
46 : 삽입홈
47 : 이탈 방지턱
391 : 슬라이딩 레일
a : 내측 접촉각

Claims (5)

  1. 삽입식 더블 클립으로서,
    탄성 판재의 양 말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절곡하여 탄성굴곡부를 형성하고, 가압면에 체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쪽 가압면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접지부를 벌리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를 개폐하고자 할 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상기 체결부로부터 잡아당겨 돌출시키고, 손잡이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아래쪽으로 삽입시켜 핀의 돌출이 최소화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압면의 중앙 좌, 우측에 대칭으로 절개를 한 후 조립 틈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상기 조립 틈을 통해 손잡이 부재가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 부재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체결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더블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종이 또는 클립 삽입물에 접하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손잡이 부재가 삽입 또는 추출 과정에서 삽입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부 위쪽에 접지 곡굴부를 설치하거나 또는 손잡이 부재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를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더블 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손잡이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더블 클립.
KR1020160100999A 2016-08-09 2016-08-09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KR10185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999A KR101859829B1 (ko) 2016-08-09 2016-08-09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CN201710373757.9A CN107696741B (zh) 2016-08-09 2017-05-24 尾柄插入式长尾夹
JP2017108190A JP6426792B2 (ja) 2016-08-09 2017-05-31 ハンドル挿入式バインディングクリ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999A KR101859829B1 (ko) 2016-08-09 2016-08-09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28A KR20180017328A (ko) 2018-02-21
KR101859829B1 true KR101859829B1 (ko) 2018-05-18

Family

ID=6116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999A KR101859829B1 (ko) 2016-08-09 2016-08-09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6792B2 (ko)
KR (1) KR101859829B1 (ko)
CN (1) CN107696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7280B (zh) * 2018-07-03 2020-10-20 徐辉祥 一种财务票据夹
CN109050056A (zh) * 2018-09-04 2018-12-21 合肥森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稳定性强不易散落的燕尾夹及安放座
CN109159576A (zh) * 2018-10-30 2019-01-08 大庆元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翻折侧旋式夹具
CN108973410A (zh) * 2018-10-30 2018-12-11 大庆元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撬式侧旋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821Y2 (ja) 1991-01-04 1997-01-08 嘉義 修 クリップ
JP3008845B2 (ja) * 1996-03-26 200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3018256A (ja) * 2011-07-14 2013-01-31 Hisayoshi Kanega ダブルクリップ及びダブルクリップを備えたバイン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677U (ja) * 1984-05-18 1985-12-07 株式会社高村屋商店 紙挾み用クリツプ
JP3008845U (ja) * 1994-06-06 1995-03-20 廣司 穂積 バインダー
JPH10193856A (ja) * 1997-01-10 1998-07-28 Akito Yuda バインダ−
US7730593B1 (en) * 2004-09-28 2010-06-08 Juilly Brett A Binder clip with label holder
US7120969B2 (en) * 2004-12-16 2006-10-17 Carls David R Binder clip
KR100776059B1 (ko) * 2005-06-14 2007-11-15 김영희 사무용 클립
JP3119064U (ja) * 2005-11-02 2006-02-16 義之 後藤 バインダークリップ
KR100879117B1 (ko) * 2007-05-22 2009-01-19 윤대웅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US9545812B2 (en) * 2013-11-13 2017-01-17 Jeff Klein Binder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821Y2 (ja) 1991-01-04 1997-01-08 嘉義 修 クリップ
JP3008845B2 (ja) * 1996-03-26 200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3018256A (ja) * 2011-07-14 2013-01-31 Hisayoshi Kanega ダブルクリップ及びダブルクリップを備えたバイ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24233A (ja) 2018-02-15
CN107696741A (zh) 2018-02-16
KR20180017328A (ko) 2018-02-21
CN107696741B (zh) 2020-04-24
JP6426792B2 (ja)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829B1 (ko)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US7937813B2 (en) Clip
US4784507A (en) Filing device for layers of sheets
US4903945A (en) Staple remover
TW320557B (ko)
JP5886460B1 (ja) 段ボールシート製枠の罫線形成装置
CN211354113U (zh) 一种铆合无锁拉头
US20090084832A1 (en) Portfolio
CN200959912Y (zh) 转锁的改良结构
CN210211451U (zh) 书籍折边压平器
CN100406276C (zh) 具有钝末端的卡环机构及其制造方法
CN2598406Y (zh) 弹力扣
CA2756304C (en) Refillable notebook with release mechanism
CN109770486A (zh) 形成拉链头结构的方法
JP3166003B2 (ja) ル−ズリ−フ用ファイルノ−トの表紙構造
CN211582258U (zh) 安全扣
CN220279861U (zh) 一种打孔机
JP3063008U (ja) 綴り込み具
US20050056817A1 (en) Staple remover
JP2003320776A (ja) 背とじクリップホルダ
US20170157975A1 (en) Paper clip
JP4133632B2 (ja) 綴じ足及びファイル
JP4424626B1 (ja) プルトップ
CN117002169A (zh) 一种可站立板夹
CN205705894U (zh) 一种便收纳图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