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117B1 -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 Google Patents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117B1
KR100879117B1 KR1020080031448A KR20080031448A KR100879117B1 KR 100879117 B1 KR100879117 B1 KR 100879117B1 KR 1020080031448 A KR1020080031448 A KR 1020080031448A KR 20080031448 A KR20080031448 A KR 20080031448A KR 100879117 B1 KR100879117 B1 KR 10087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over member
lock
lower press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952A (ko
Inventor
윤대웅
Original Assignee
윤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웅 filed Critical 윤대웅
Priority to KR102008003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117B1/ko
Priority to JP2010509269A priority patent/JP2010530939A/ja
Priority to PCT/KR2008/002666 priority patent/WO2008143419A1/en
Priority to US12/601,202 priority patent/US20100180647A1/en
Priority to CN200880016473A priority patent/CN101678700A/zh
Publication of KR2008010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05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using chains,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42F1/04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09For portable artic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상호 지지 또는 연결하며 상하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 또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과; 상기 본체를 감싸며 구비되어 상 하측 가압부를 열려고 하는 힘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가방,노트,수첩, 다이어리,지갑, 책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제품들과, 전자사전,게임기,디지털카메라,워크맨 등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 단속장치 또는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품의 부분품으로 널리 적용 가능하며, 클립이나 집게와 같이 집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의 적용이 용이하며, 소비자에게 보안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어 단속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단속장치, 집게구조,커버,레버부재,클립

Description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 Loc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단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가방,수첩,책, 전자사전,게임기 등을 잠그거나 단속하고, 단속장치 나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품의 부분품으로 적용 가능한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핸드백,다이어리,노트 등은 사용자의 사생활이 노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대부분 가방, 다이어리 등의 본체에 장착되어 이들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72963호에는 지퍼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379789호에는 다이어리 수첩의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343960호에는 다이어리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퍼 고정장치는 의복 또는 가방의 지퍼 라인 끝에 설치된 탄성 부재로 긴장되는 잠금 부재가 지퍼 손잡이의 구멍에 걸리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고정장치는 의복이나 가방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사용이 불편하다.
한편 , 공개실용신안 공보 1998-68731호에는 자물쇠를 구비한 수첩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자물쇠를 구비한 수첩은, 후면 커버의 자물쇠 걸이구를 전면커버의 체결편에 천공된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한 후, 상기 자물쇠걸이구의 체결공에 자물쇠를 체결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물쇠를 구비한 수첩은, 수첩에 기록된 내용을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생활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수첩에 자물쇠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첩 사용 후 자물쇠를 재사용할 수 없다. 또한 수첩에 자물쇠가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므로 수첩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 등록 제 20-0310367호에는 집게 자물쇠가 개시되어 있다.이 집게 자물쇠는 집게의 두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가 상기 몸통 단 부와 착 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몸통 단 부가 절곡 되어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 단 부에 착 탈 되는 손잡이의 일면에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게를 이용한 잠금장치는 본체를 벌리기 위한 일 측의 손잡이를 제거함으로써 집게 본체를 벌릴 수 없도록 한 것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디자인 기능이 약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방,노트,수첩,다이어리,지갑,책 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제품들과, 전자사전, 게임기,디지털카메라, 워크맨 등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 단속장치 또는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품들을 클립이나 집게와 같은 집는 구조를 이용하여 잠그거나 단속할 수 있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게구조를 이용하여 단속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 장치를 제품의 부분품으로 유용하게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며,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에 따른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소비자에게 보안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어 단속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과;
상기 본체 내 외 측의 일정 부분 이상을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에 가하는 것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하측 가압부의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수단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 구조의 레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는 상기 본체와 본체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원활하게 여닫고 잠금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기능을 단속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일부분만을 열고 닫아 본체의 일부분만을 노출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도어와, 상기 커버부재와 도어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의 여닫음을 잠금 하는 자물쇠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측 가압부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마찰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마찰부는 상,하측 가압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탈착을 방지하는 제 1,2 돌기 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2 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하측 가압부의 파지력을 보강하는 보강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제품과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체인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 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 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 하측 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구조의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가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고 잠금 하는 자물쇠;와 자물쇠의 이동을 용이하게 보조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물쇠는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할 수 있는 크기의 자물쇠케이스 내측에 괘정 및 해정부를 가지는 자물쇠 본체;와 상기 괘 해정부의 연장축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는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로 구성하여 대체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자체탄성의 파지력을 가지는 본체를 대체하여 적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가방, 노트, 수첩, 다이어리, 지갑, 책 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제품들과, 전자사전,게임기,디지털카메라,워크맨 등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 단속장치 또는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품들에 널리 적용 가능하며,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 장치를 제품의 부분품으로도 유용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소비자에게 보안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어 단속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모든 제품에 사용 가능하며, 제품의 단속 장치뿐만 아니라 케릭터 제품에 적용하여 기능적인 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케릭터 인형 형상으로 커버부재를 구성한 일 실시 예를 도 1 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10)는 파지공간(11)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12)(13)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를 지지하며 상,하측 가압부(12)(13)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하는 본체(15)와, 상기 본체(15)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하측 가압부(12)(13)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30)과,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의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수단(30)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 구조의 레버부재(31)와, 상기 본체(15) 내 외 측의 일정 부분 이상을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12)(13)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15)에 가하는 것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커버부재(50)와, 상기 본체(15)와 커버부재(50)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는 상기 본체(15)와 본체(15)를 감싸는 커버부재(50)를 원활하게 여닫고 잠금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6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집게 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본체(15)는 클립 또는 집게구조와 같이 집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상기 본체(15)는 도 1,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가 절곡 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가압부(12)와 하측 가압부(13)의 단 부는 상호 접촉되어 지며,상기 지지부(14)는 파지할 수 있는 볼륨을 결정하는 것으로 그 높이와 폭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15)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판재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철사류 등 다양한 형상이나 재질을 사용하게 되며 그 형상도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는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에 적절한 파지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4)에 파지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보강비드(미도시)가 형성되거나 보강탄성부재(16)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탄성부재(16)는 본체(15) 내 외 측을 감싸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15)의 단 부에는 상기 상 하측 가압부(12)(13)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기 위한 마찰부(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마찰부(20)는 도 3A,도 3B,도 3C,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압부(12)의 단부 또는 이것(12)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 1 돌기(21)들과, 대응되는 상기 하측 가압부(13)의 단부 또는 이것(13)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 2 돌기(22)로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에서 상기 제 1,2 돌기(21)(22)의 단부는 도 3A,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예하게 형성하며 ,상호 간섭을 받지 않도록 엇갈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예하게 구성된 돌기(21)(22)는 바인딩한 부분을 뚫어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3B ,도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 돌기(21)(22)가 상호 간섭을 적게 받도록, 상 하가압부(12)(13)에 돌기(21)(22)가 구성되는 부분은 돌기가 구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이격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21)(22)는 그 특성에 따라 본체(15)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나사 조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된다. 한편 제 1,2 돌기(21)(22)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가압부(12)(13)의 단 부에 각각 조절나사(26)를 결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찰부(20)는 도 4,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가압부(12)(13)의 상호 대응되는 내면에 설치되어 제품을 바인딩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 1,2패드(23)(24)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드(23)(24)는 바인딩하려는 위치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연질의 고무재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패드(23)(24)에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23)(24)는 그 재질과 본체(15)의 구성 재질에 따라 접착 방법,나사조임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돌기(21)(22)와 1,2패드(23)(24)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12)(13)가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파상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찰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5)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22)와 패드(23)(24)들이 형성된 지지 브라켓(28)이 본체(15)의 상,하측 가압부(12)(13)의 단 부에 각각 결합 됨 으로써 돌기(21)(22)와 패드(23)(24)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28)은 상,하측 가압부(12)(13)와 체결수단(29)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9)은 지지브라켓(28)에 형성된 체결홈(29a)과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에 형성된 체결돌기(29b)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본체(15)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15)의 상,하측 가압부(12)(13)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도 10A,도 10B, 도 10C,도 10D,도 10E,도 10F,도 10G와 도 11A,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1A,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0)은 손이나 도구로 상, 하측가압부(12)(13)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있는 당김 부재(32)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O A에서 도 10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측가압부(12)(13)에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구조의 레버부재(31)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가압부(12)(13)를 상 하측에서 누르는 형상을 갖는 레버부재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0)이 구비되지 않은 본체(15)는 상,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해 별도의 개폐 도구(90)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상기 본체(15)에 개폐수단(3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레버부재(31)는 도 1OB,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가압부(12) 또는 하측가압부(13)에 가이드 홈(3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3)에 판상 이나 막대형의 레버부재(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3)은 상기 상측 가압 부(12) 또는 하측 가압부(13)에 비딩가공되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31)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도 10 C,도 10 D,도 10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측 가압부(12)(13)의 적어도 일 측에 회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레버부재(31)는 상측 가압부(12) 또는 하측가압부(13)가 랜싱 가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 D,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1)가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레버부재(31)의 단부는 상측 가압부(12) 또는 하측 가압부(13)에 힌지 연결되어 진다.
한편, 도 17,도 18,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7)는 상측 가압부(12)와 하측 가압부(13)의 후단부 측에 상호 대향 되는 방향으로 연결바(18a)(18b)가 설치되고, 이 연결바(18a)(18b)가 힌지축(18c)에 상호 힌지 결합 되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측가압부(12)와 하측 가압부(13)에는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7)에 가압부재(19)가 결합 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19)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토오션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를 상,하측가압부(12)(13)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압부재(19)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바(18a)(18b)에 상,하측 가압부를 벌릴 수 있는 기계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장치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동력장치가 내장되며 동력장치의 힘에 의해 상,하측 가압부(12)(13)가 벌어지게 된다(미 도시).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자체 탄성의 파지력을 가지는 본체(15)를 대체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에는 이들의 단 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레버부재(31)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의 실시 예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 레버부재(31)가 상,하측 가압부(12)(13)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당김부재(32)가 개폐수단(30)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개폐수단이 없이도 본체(17)가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측 가압부(12)와 하측 가압부(1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마찰부(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결합 방법과 효과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본체(15)(17) 내 외 측의 일정 부분 이상을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15)(17)에 가하는 것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본체(15)(17)의 상측 가압부(12)를 감싸는 제 1커버부(51)와 상기 하측 가압부(13)을 감싸는 제 2 커버부(52)와 상기 제 1,2 커버부(51)(52)를 연결하는 제 3커버부(53)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50)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을 직접 덮는 본체(15)(17)의 일부분만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0)는 도 1과 같이 본체의 외 측뿐만 아니라 내 측을 모두 감싸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50)에는 상기 본체(15)와 커버부재(50)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본체(15)와 본체를 감싸는 커버부재(50)를 원활하게 여닫고 잠금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잠금부(60)는 도 1,도 13,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와 커버부재(50)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결합 된 상태에서 개폐수단(30)의 노출을 단속하는 구성과,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에 대해 커버부재(5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개폐수단(30)을 노출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3에는 본체(15)에 고정 결합 된 커버부재(50)에 설치되는 잠금부(60)의 일 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60)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제 1,2커버부(51)(52) 또는 제 3커버부(53)에 개폐수단인 레버부재(31)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제 2,제 3 커버부(51)(52)(53)에는 상기 개구부(61)를 개폐하는 도어(65)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65)에는 상기 도어(65)를 잠금하는 자물쇠가(67)가 설치된다. 상기 자물쇠(67)는 도어(65)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괘정 및 해정부를 가지는 자물쇠 본체(68)와, 상기 괘 해정부의 연장축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61)에 걸리는 걸림부재(69)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5)와 커버부재(50)의 결합은 별도의 결합수단(5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결합수단(5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에 결합공(55a)들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50)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55a)과 결합되는 결합훅(55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55)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5)를 카바부재(50)가 몰딩하여 구성하거나, 접착제로 본딩시키는 등 구성 재 질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65)와 자물쇠(67)는 카바부재(50)의 구성 디자인에 따라 제 1,2 커버부(51)(52)에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 도 16에는 본체(15)에 대해 커버부재(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계폐수단(30)을 노출 시키는 구조에 설치되는 잠금부(7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잠금부(70)는 본체(15)에 대해 커버부재(50)의 상대 이동을 고정하는 것으로, 커버부재(5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자물쇠(71)를 구비한다. 이 자물쇠(71)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괘정 및 해정부를 가지는 자물쇠본체(72)와 ,상기 괘정 및 해정부의 연장축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5)에 형성된 결합공(7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7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5)와 커버부재(50)에는 본체에 대해 커버부재(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7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75)는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의 적어도 일 측에 가이드홈(75a)이 형성되고,상기 가이드홈(75a)과 대응되는 커버부재(50)의 내면에 가이드 돌기(75b)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75b)가 가이드 홈(75a)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13,도 14,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67)(71)는 괘정부와 해정부를 가지는 자물쇠본체(68)(72)와 걸림부재(69)(74)로 구비되는데, 상기 괘 해정부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를 삽입하여 작동하는 괘 해정부를 구비하거나, 도 14,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번호로 조작하여 작동하는 번호조작형 괘 해정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자물쇠는 공지의 기술이 어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세부 구성과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체(15)와 결합 되는 커버부재(50)는 악세사리 또는 장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50) 자체를 다양한 형태의 케릭터 인형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성형된 카바부재에 동물, 꽃,사진,보석 등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7,도 18,도 19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12)(13)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8a)(18b)를 포함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19)로 구성된 실시 예에서 카바부재(50)와 잠금부(60)의 구성 및 결합방법 과 효과는 상기의 설명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 , 도 2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측 가압부(12)(13)와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 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하는 본체(15)와, 상기 본체(15)에 구성되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12)(13)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 하측 가압(12)(13)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 하측 가압부(12)(13)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구조의 레버부재(8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5)와 레버부재(81)가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레버부재(81)의 작용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85)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85)는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81)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81)의 작용을 단속하고 잠금 하는 자물쇠와 자물쇠의 이동을 용이하게 보조하는 가이드부(미 도시)를 구비한다 . 한편 상기 자물쇠는 상기 레버부재(81)의 작용을 단속할 수 있는 크기의 자물쇠케이스 내측에 괘정 및 해정부를 가지는 자물쇠 본체(15)와 상기 괘 해정부의 연장축에 설치되는 걸림부재(88)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85)는 회동되어 접혀지는 구조의 레버부재(81)에 자물쇠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부재(81)는 상기 본체(15)에 회동 되어 접혀진 상태로 자물쇠의 걸림부재(88)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잠금부(85)가 레버부재(81)를 단속하는 또 다른 구성으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가이드부(미 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15)의 일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자물쇠 본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레버부재의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부재는 자물쇠본체의 외측에 걸려 작용을 못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본체의 내면에는 마찰부(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 다른 구성 및 결합방법과 효과는 상기의 설명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12)(13)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8a)(18b)를 포함한 본체(15)와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19)로 구성한 구조에 상기 잠금부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잠금부의 구성 및 결합방법과 효과는 상기의 설명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도 24,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또는 커버부재에는 상기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를 제품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101)를 가지는 체인(1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인(102)의 단부에는 제품(미도시)에 체인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인(102)은 외부로 줄이나 바로 연장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은 제품에 설치된 권취릴(미도시)에 의해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게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2,도 24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금통(200),가방(300)의 지퍼,노트(400)등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물쇠(67)를 열어서 개폐수단(30)인 레버부재(31)가 상기 본체의 상,하측가압부(12)(13)에 대해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레버부재(31)를 슬라이딩시켜 단부가 상,하측 가압부(12)(13)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부재(31)를 이용하여 상,하측가압부(12)(13)를 벌려 파지부를 열리도록 하고, 이 파지부에 단속하려는 제품 즉,저금통,가방,노트,의 바인딩하려는 부분을 삽입한다. 이때에 저금통이나 가방의 지퍼와 같이 간접적으로 바인딩하여 단속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를 체인(102)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파지부에 바인딩하려는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부재(31)에 가하여지는 외력을 제거하여 상기 단속하고자 하는 제품의 바인딩부분이 상,하측 가압부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상,하측 가압부(12)(13)의 상호 대향 되는 측에는 마찰부(20) 즉, 제 1,2돌기(21)(22)또는 1,2패드(23)(2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15)가 상기 제품의 바인딩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상기와 같이 제품 파지가 완료되면 상기 레버부재(31)를 슬라이딩시키고 커버부재(50)에 설치된 도어(65)를 자물쇠(67)를 이용하여 잠가 레버부재(3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도 1참조), 상기 커버부재(50)를 본체(15)에 슬라이딩 시켜 레버부재(31)를 노출되지 않도록 한 후 본체(15)에 대한 커버부재(50)의 이동을 자물쇠를 이용하여 고정한다.(도 16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단속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노트,가방,책,지퍼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을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어 악세사리 또는 장식품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특히 사생활의 노출이 우려되는 제품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는 가방, 수첩, 다이어리, 책 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의 우려가 있는 제품들과, 전자사전,게임기, 전자제품 등 단속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품들에 널리 적용 가능하며,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 장치를 제품의 부분품으로도 유용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소비자에게 보안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어 단속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도 3B,도 3C,도 3D 은 마찰부가 제 1,2 돌기로 구성된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보인 사시도.
도 4 은 마찰부가 제 1,2 패드로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은 마찰부가 돌기와 패드로 조합된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 는 마찰부가 돌기와 패드로 조합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마찰부가 조절나사로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 은 마찰부가 자성체로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 는 마찰부가 체결수단으로 결합 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도 10B,도 10C,도 10D,도 10E,도 10F,도 10G 는 본체와 개폐수단인 레버부재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A,도 11B 은 개폐수단이 당김부재로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체에 개폐수단이 구성되지 않은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본체와 카바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 및 잠금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4 는 번호조작형 괘 해정부로 구성된 자물쇠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5 는 카바부재가 본체의 일부분만을 감싸는 구조를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16 은 카바부재가 슬라이딩 되어 본체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 리 사시도.
도 17 은 본체가 연결바와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8 은 도 17의 다른 레버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9 는 도 17의 다른 가압부재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 은 도20 에 도시된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의 단면도.
도 22,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가 물건을 직접 바인딩하는 사용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24,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가 체인에 줄을 연결하여 물건을 단속하는 사용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26 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구조를 이용하는 단속장치의 커버부재가 가방형상으로 디자인된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1: 파지 공간 12: 상측 가압부
13: 하측 가압부 14: 지지부 15: 본체 16: 보강탄성부재
17: 본체 18a,18b: 연결바 18c: 힌지축 19: 가압부재
20: 마찰부 21: 제 1 돌기 22: 제 2 돌기 23: 제 1 패드
24: 제 2 패드 25: 영구자석 26: 조절나사 28: 브라켓
29: 체결수단 29a: 체결홈 29b: 체결돌기
30: 개폐수단 31: 레버부재 32: 당김부재 33: 가이드홈
50: 커버부재 51: 제 1커버부 52: 제 2 커버부 53: 제 3 커버부
55: 결합수단 55a: 결합공 55b: 결합훅
60: 잠금부 61: 개구부 65: 도어 67: 자물쇠 68: 자물쇠본체
69: 걸림부재 70: 잠금부 71: 자물쇠 72: 자물쇠 본체 73: 결합공
74: 걸림부재 75: 가이드부 75a: 가이드홈 75b: 가아드 돌기
81: 레버부재 85: 잠금부 86: 자물쇠 87 : 자물쇠본체 88: 걸림부재
90: 개폐도구 100:제품 101: 연결고리 102: 체인
200: 저금통 300: 가방 400: 노트

Claims (22)

  1.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 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을 덮어 개폐수단의 노출을 단속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여닫기 위한 개폐수단의 조작을 단속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커버부재를 고정하 는 잠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개폐수단을 커버부재 밖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여닫는 기능을 보조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도어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의 여닫음을 잠금 하는 자물쇠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마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여닫음을 잠금 하는 자물쇠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마찰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1.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한 본체와;
    상기 상, 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을 덮어 개폐수단의 노출을 단속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여닫기 위한 개폐수단의 조작을 단속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커버부재를 고정하는 잠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개폐수단을 커버부재 밖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여닫는 기능을 보조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도어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의 여닫음을 잠금 하는 자물쇠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마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19. 삭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여닫음을 잠금 하는 자물쇠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가 바인딩 되는 부분과 미끄러지고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마찰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21.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 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상 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 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 하측 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구조의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가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고 잠금 하는 자물쇠;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22.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 가압부와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가압부를 열기 위한 힘을 상기 본체의 상,하측 가압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하측 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렛대구조의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가 상호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와 레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작용을 단속하고 잠금 하는 자물쇠;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KR1020080031448A 2007-05-22 2008-04-04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KR10087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448A KR100879117B1 (ko) 2007-05-22 2008-04-04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JP2010509269A JP2010530939A (ja) 2007-05-22 2008-05-14 ニッパー構造を用いる遮断装置
PCT/KR2008/002666 WO2008143419A1 (en) 2007-05-22 2008-05-14 Locking apparatus
US12/601,202 US20100180647A1 (en) 2007-05-22 2008-05-14 Locking apparatus
CN200880016473A CN101678700A (zh) 2007-05-22 2008-05-14 利用夹钳结构的约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9931 2007-05-22
KR1020070049931 2007-05-22
KR20070096361 2007-09-21
KR1020070096361 2007-09-21
KR1020080031448A KR100879117B1 (ko) 2007-05-22 2008-04-04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952A KR20080102952A (ko) 2008-11-26
KR100879117B1 true KR100879117B1 (ko) 2009-01-19

Family

ID=4003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448A KR100879117B1 (ko) 2007-05-22 2008-04-04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80647A1 (ko)
JP (1) JP2010530939A (ko)
KR (1) KR100879117B1 (ko)
CN (1) CN101678700A (ko)
WO (1) WO2008143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8455B1 (fr) * 2012-11-27 2015-12-11 Pascale Nathalie Gaillard Kit d'epilation sourcil dernieres minutes
KR101859829B1 (ko) * 2016-08-09 2018-05-18 김종현 손잡이 삽입식 더블 클립
CN111703237A (zh) * 2020-07-13 2020-09-25 蚁人自动化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新型省力长尾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822A (ja) * 1998-04-16 1999-11-02 Sakan:Kk クリップ
JP2001105773A (ja) * 1999-10-06 2001-04-17 Tokyo Kinzoku Kogyo Kk クリップ
KR200277637Y1 (ko) * 2002-02-27 2002-06-15 김종섭 사무용 클립
US20030061688A1 (en) * 2001-09-28 2003-04-03 Rodriguez Maria Del Carmen Ergonomic binder clip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41A (en) * 1907-08-01 1908-06-09 Jay K Livingston Clasp.
US2851754A (en) * 1957-02-04 1958-09-16 Will J Ecker Card case construction
US3613410A (en) * 1970-06-24 1971-10-19 Leonard Shaw Vehicle accelerator pedal lock
JPS5146087Y2 (ko) * 1971-12-29 1976-11-08
US3893312A (en) * 1974-08-12 1975-07-08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Lock device for marine outboard motor
JPS5198616U (ko) * 1975-02-01 1976-08-07
JPS5330324Y2 (ko) * 1975-02-03 1978-07-28
JPS5337924Y2 (ko) * 1975-04-26 1978-09-13
US4228983A (en) * 1978-12-01 1980-10-21 Bowman John H Jr Outboard motor locking device
US4441586A (en) * 1981-10-19 1984-04-10 Bernier Jean P Device for immobilizing a wheeled vehicle
US4850630A (en) * 1986-01-14 1989-07-25 J.C. Renfroe & Sons, Inc. Clamp with movable jaw structure
JPS639776U (ko) * 1986-07-07 1988-01-22
US5946778A (en) * 1998-08-11 1999-09-07 Mcgarity; Ronald M. Clip with retractable operating levers
JP2002019348A (ja) * 2000-06-30 2002-01-23 Machida:Kk シート状担体ホルダー
JP2002048113A (ja) * 2000-08-01 2002-02-15 Masanori Suzuki クリップ
US7137175B2 (en) * 2001-10-12 2006-11-21 Gerald Villeneuve Clipboard with dual clamping members
KR200300462Y1 (ko) * 2002-09-18 2003-01-14 윤장수 서류클램핑장치
JP2007008128A (ja) * 2005-07-04 2007-01-18 King Jim Co Ltd ファイリング用具及びそのロック装置
US20070084025A1 (en) * 2005-09-29 2007-04-19 Sparks John D Grasping device with resilient gripp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822A (ja) * 1998-04-16 1999-11-02 Sakan:Kk クリップ
JP2001105773A (ja) * 1999-10-06 2001-04-17 Tokyo Kinzoku Kogyo Kk クリップ
US20030061688A1 (en) * 2001-09-28 2003-04-03 Rodriguez Maria Del Carmen Ergonomic binder clip
KR200277637Y1 (ko) * 2002-02-27 2002-06-15 김종섭 사무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0647A1 (en) 2010-07-22
KR20080102952A (ko) 2008-11-26
JP2010530939A (ja) 2010-09-16
CN101678700A (zh) 2010-03-24
WO2008143419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5024U (ja) コードロック組立体
US9027746B2 (en) Case wallet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186364B2 (en) Handle free claw clip
EP1895869B1 (en) Hair accessory
KR100879117B1 (ko)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CN102613800B (zh) 发夹
US20090107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clothing
US20080142378A1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JP3165338U (ja) 帯留め
EP2091377A2 (en) Closable watertight case
KR20110042408A (ko) 집는 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KR200484229Y1 (ko)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KR200259879Y1 (ko) 가방용 결착구
CN209628891U (zh) 可夹持电子产品的拉杆箱的拉杆把手
KR20190002763U (ko)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JP2012056202A (ja) バッグ型ブックカバー
KR200304199Y1 (ko) 다용도 가방
JP6744775B2 (ja) 胸はだけ防止クリップ
WO2001045962A1 (en) Book reading aid
KR101358400B1 (ko) 책표지 구조체
JP3564638B2 (ja) 新聞綴じ具
KR200378582Y1 (ko) 허리보호대
JP2022060131A (ja) 髪留め補助具
JP3135780U (ja) ブックカバー
JP2004350742A (ja) 傘等のホルダー及び傘等のホルダーを備えた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