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29Y1 -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29Y1
KR200484229Y1 KR2020150007733U KR20150007733U KR200484229Y1 KR 200484229 Y1 KR200484229 Y1 KR 200484229Y1 KR 2020150007733 U KR2020150007733 U KR 2020150007733U KR 20150007733 U KR20150007733 U KR 20150007733U KR 200484229 Y1 KR200484229 Y1 KR 200484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pring
ring
fixing table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957U (ko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2020150007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2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cords, coil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은 긴 막대 형태로 일측에 상향하게 제1레일이 형성된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의 타측에 만곡져 형성되고 제1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1스프링과, 상기 제1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이 타측에 상향하게 구비된 제2고정대와, 상기 제2고정대의 일측에 상기 제1고리를 향해 만곡져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고리의 단부와 면접하는 제2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2스프링과,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결속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일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Open and close spring for note}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프링의 개폐가 가능하여 노트를 탈착 시킬 수 있는 노트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노트은 노트를 스프링으로 결속시킨것으로 노트를 완전히 넘겨 사용할 수 있고, 노트를 깨끗이 뜯을 수 있는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 노트와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4499호(2006.12.05.공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속지를 감싸 보호하도록 중앙이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다수개의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피가 구성되고, 상기 내피의 관통공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상부로 돌출된 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편의 양측면에 지지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진 내피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지지부재의 양측과 내피의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결합되는 외피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공에 끼워져 속지를 결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서, 내피의 관통공에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장착되어 속지의 조립이 간편함과 동시에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지지부재가 내피와 외피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조립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스프링이 노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한 노트의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 종래의 기술은 노트를 스프링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기때문에 노트를 스프링으로부터 찢어내거나 새로운 노트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421호(2002.12.27.등록) "바인더 고리 결합체"가 개시되었다.
이 종래의 기술은 노트지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노트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리와, 사용자가 상기 노트지를 뒤로 접어서 보도록 상기 다수개의 고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는 상기 노트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노트지를 교체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분리되는 가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결속력이 약해 자주 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다수개가 형성되어있는 상기 고리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고리 하나하나를 따로 체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고리가 개폐되어 노트의 착탈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고리를 한번에 개폐할 수 있는 노트용 스프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긴 막대 형태로 일측에 상향하게 제1레일이 형성된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의 타측에 만곡져 형성되고 제1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1스프링과, 상기 제1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이 타측에 상향하게 구비된 제2고정대와, 상기 제2고정대의 일측에 상기 제1고리를 향해 만곡져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고리의 단부와 면접하는 제2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2스프링과,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결속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일커버를 포함하는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고리의 단부에는 돌출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레일커버의 가이드홈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커버가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레일커버의 상측단부에는 상기 레일커버를 탈착하기 편리하도록 상향하게 돌출형성된 파지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고리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고정대에 형성됨에 따라 고리의 개폐가 가능한 동시에 다수개의 고리를 한꺼번에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고정대를 레일커버로 결속함에 따라 상기 고리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레일커버를 분리함에 따라 상기 고리를 개방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사시도와 분해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평면도와 스프링이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레일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1)은 긴 막대 형태로 일측에 상향하게 제1레일이 형성된 제1고정대(11)와 상기 제1고정대(11)의 타측에 만곡져 형성되고 제1고리(13)가 다수개 형성된 제1스프링(10)과, 상기 제1고정대(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15)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25)이 타측에 상향하게 구비된 제2고정대(21)와, 상기 제2고정대(21)의 일측에 상기 제1고리(13)를 향해 만곡져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고리(13)의 단부와 면접하는 제2고리(23)가 다수개 형성된 제2스프링(20)과, 상기 제1레일(15)과 제2레일(25)이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15)과 제2레일(25)을 결속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된 레일커버(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1)은 제1스프링(10)이 제2스프링(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10)의 제1고리(13)와 제2스프링(20)의 제2고리(23)가 서로 벌어져 개방되거나, 서로 맞닿아 폐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리(13)에 노트(N)의 펀칭(N')부를 끼운 후 상기 제1고리(13)와 제2고리(23)를 폐쇄시켜 노트(N)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프링(10)은 제1고정대(11)와 제1고정대(11)에 형성된 제1고리(13)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대(11)는 상기 제1스프링(10)과 제2스프링(2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제1레일(15)이 상향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일(15)은 상기 제1고정대(11)의 일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제1레일(15)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15)은 헤드부가 두껍고 둔부가 얇은 일반적인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일(15)과 후술될 제2레일(25)이 합쳐졌을때 온전한 하나의 레일이 되도록 일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헤드부와 둔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대(11)는 성형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성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대(11)의 타측에는 제1고리(13)가 형성되는데, 이 제1고리(13)는 후술될 제2고리(23)와 결합시에 폐쇄되어 노트(N)를 결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대(11)로부터 만곡지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대(11)로부터 반원호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리(13)는 필요에따라 위치를 달리하며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노트용 스프링과 같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리(13)의 단부, 즉 상기 제2고리(23)의 단부와 맞닿게 되는 부분에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리(23)에 형성되는 홈부(27)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고리(13)와 제2고리(23)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1고리(13)에서 제2고리(23)가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고리(13)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고정대(11)에 결합될 수 있지만 비용절감과 작업효율을 위해 상기 제1고정대(13)와 일체로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프링(20)은 상기 제1스프링(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프링(10)과 대략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제2고정대(21)와 제2고리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대(21)는 상기 제1고정대(11)와 대략 대칭된 형태로 상기 제1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대(11)와 제2고정대(21)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대(11)에는 제1연결부(19)가 일측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19)의 양 측단에는 힌지홈(19')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대(21)에는 상기 제1연결부(19)에 삽입되는 제2연결부(29)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29) 양측단에는 상기 힌지홈(19')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부(2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2고정대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대(21)에는 상기 제1레일(15)과 면접하는 제2레일(25)이 형성되는데, 이 제2레일(25)은 상기 제1레일(15)과 대칭된 형태로 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헤드부와 둔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레일(15)과 면접시에 완전한 레일의 형태를 갖게된다.
상기 제2고정대(11)의 타측에는 상기 제1고리(13)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고리(23)가 형성되는데, 이 제2고리(23)는 상기 제1고정대(11)로부터 만곡져 단부게 상기 제1고리(13)와 닿게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리(13)와 대칭된 반원호형태로 단부에 상기 제1고리(13)의 돌출부(17)가 삽입되는 홈부(27)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10)과 제2스프링(20)은 회전시 상기 제1고리(13)와 제2고리(23)가 벌어져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고리(13)와 제2고리(23)가 맞닿아 폐쇄된다.
상기 레일커버(30)는 상기 제1레일(15)과 제2레일(25)을 결속하여 상기 제1고리(13)와 제2고리(23)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가이드홈(31)이 형성된 긴 막대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1)은 상기 제1레일(15)과 제2레일(25)이 면접된 상태에서 헤드부와 둔부를 결속하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레일(15, 25)에 씌워지더라도 상기 제1,2고리 (13, 23)내측 공간이 많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레일(15, 25)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커버(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2레일(15, 25)에 삽입하기 편리하도록 개방 형성되며, 상기 레일커버(30)의 타단부는 상기 레일커버(30)가 상기 제1,2레일(15, 2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폐쇄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커버(30)가 상기 제1,2고정대(11, 21)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제1,2레일(15, 25)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 스토퍼(33)가 상기 가이드홈(31)에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커버(30)의 타단부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레일커버(30)를 상기 제1,2레일(15, 2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파지부(35)가 돌출형성되며, 하측에는 파지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레일커버(30)를 씌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2스프링(10, 20)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므로 노트의 펀칭부(N')를 상기 제1 또는 제2고리(13, 23)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2고리(13, 2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커버(30)를 상기 제1,2레일(15, 25)에 씌우면 상기 제1,2고리(13, 23)가 폐쇄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2고리(13, 23)에 체결된 노트를 모두 사용하여 상기 노트(N)를 교체하거나 더 많은 노트(N)를 끼울때에는 상기 레일커버(30)를 다시 상기 제1,2레일(15, 25)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제1,2고리(13, 23)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1)은 제1,2고리(13, 23)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고정대(11, 21)에 형성됨에 따라 제1,2고리(13, 23)의 개폐가 가능한 동시에 다수개의 제1,2고리(13, 23)를 한꺼번에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고정대(11, 23)를 레일커버(30)로 결속함에 따라 상기 제1,2고리(13, 2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레일커버(30)를 분리함에 따라 상기 제1,2고리(13, 23)를 개방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1 : 개폐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10 : 제1스프링
11 : 제1고정대 13 : 제1고리
15 : 제1레일 17 : 돌출부
19 : 제1연결부 19’ : 힌지홈
20 : 제2스프링 21 : 제2고정대
23 : 제2고리 25 : 제2레일
27 : 홈부 29 : 제2연결부
29’ : 힌지부 30 : 레일커버
31 : 가이드홈 33 : 스토퍼
35 : 파지부 37 : 파지홈
N : 노트 N' : 펀칭부

Claims (4)

  1. 긴 막대 형태로 일측에 상향하게 제1레일이 형성된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의 타측에 만곡져 형성되고 제1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1스프링;
    상기 제1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이 타측에 상향하게 구비된 제2고정대와, 상기 제2고정대의 일측에 상기 제1고리를 향해 만곡져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고리의 단부와 면접하는 제2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제2스프링; 및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결속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일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커버는,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면접된 상태에서 헤드부와 둔부를 결속하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씌워져 결합되고,
    상기 레일커버의 일단부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삽입하기 편리하도록 개방 형성되며,
    상기 레일커버의 타단부는 상기 레일커버가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폐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커버가 상기 제1,2고정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제1레일과 제2레일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커버의 타단부 상측에는 파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7733U 2015-11-26 2015-11-26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KR200484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3U KR200484229Y1 (ko) 2015-11-26 2015-11-26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3U KR200484229Y1 (ko) 2015-11-26 2015-11-26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57U KR20170001957U (ko) 2017-06-05
KR200484229Y1 true KR200484229Y1 (ko) 2017-08-14

Family

ID=5909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33U KR200484229Y1 (ko) 2015-11-26 2015-11-26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2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44B2 (ja) * 1991-05-20 2000-08-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2シリンダ型回転圧縮機
JP5590143B2 (ja) * 2010-11-17 2014-09-17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JP2015199301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カネダ技研 ルーズリーフ綴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44U (ja) * 2000-05-09 2000-11-14 株式会社リヒトラブ 綴 具
KR100862365B1 (ko) * 2006-11-23 2008-10-13 이장근 링 바인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44B2 (ja) * 1991-05-20 2000-08-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2シリンダ型回転圧縮機
JP5590143B2 (ja) * 2010-11-17 2014-09-17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JP2015199301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カネダ技研 ルーズリーフ綴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57U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6442S1 (en) Hair clip
USD602397S1 (en) Locking magnetic clasp
USD588634S1 (en) File folder with secured front cover
KR200484229Y1 (ko) 개폐 가능한 노트용 스프링
USD523170S1 (en) Barrel lighter
KR100879117B1 (ko) 집게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USD526742S1 (en) Lighter
JP6886687B2 (ja) リング式綴具ホルダー、綴具付きホルダーおよび、ファイル
KR200393072Y1 (ko) 개량된 링 제본부재를 가진 다이어리
KR20160128756A (ko) 슬라이드 개폐식 링 바인더
US6082770A (en) Fastening device for schedule folder covers
CN207916440U (zh) 轮毂车标
CN211031881U (zh) 环形活页夹
JP4350710B2 (ja) 把手付風呂蓋
JP3198761U (ja) 折畳式すのこベッド
JP3187903U (ja) 時計バンドのフック式時計取付部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腕時計
JP2005001270A (ja) 綴じ具
CN109380820A (zh) 拉链头组合结构及其弹性件
CN206465636U (zh) 开合装置及其打印机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CN104999826A (zh) 一种书套装置
KR200443722Y1 (ko) 스프링 제본물 탈착장치
KR200279374Y1 (ko) 바인더 기능을 구비한 서류가방
USD502965S1 (en) Pencil sharpener
KR20160004006U (ko) 길이 가변식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