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411B1 -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411B1
KR101856411B1 KR1020170020273A KR20170020273A KR101856411B1 KR 101856411 B1 KR101856411 B1 KR 101856411B1 KR 1020170020273 A KR1020170020273 A KR 1020170020273A KR 20170020273 A KR20170020273 A KR 20170020273A KR 101856411 B1 KR101856411 B1 KR 10185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f
weight
rotary drum
raw
tu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
Original Assignee
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 filed Critical 이동
Priority to KR102017002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9/00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 A22C9/004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by massaging
    • A22C9/005Tumblers and rotating drums for massaging meat in their interi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스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구이용 우육에 대한 슬라이스 처리된 상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 역회전이 반복되는 회전드럼 외부에 대하여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되도록 회전드럼 일 측에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이 설치되는 텀블링유닛을 통해 염지와 연육 작업이 수행되는 텀블링단계가 적용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해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염지와 연육효율의 증대를 통해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eef for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스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구이용 우육에 대한 슬라이스 처리된 상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 역회전이 반복되는 회전드럼 외부에 대하여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되도록 회전드럼 일 측에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이 설치되는 텀블링유닛을 통해 염지와 연육 작업이 수행되는 텀블링단계가 적용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해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염지와 연육효율의 증대를 통해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돈육이나 우육은 우리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품이다.
이러한 돈육과 우육의 맛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 돈육이나 우육을 연화 등 개질시키기 위하여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45836호 2004.06.02.공개)은 브로멜린, 피신 및 파파인으로 구성된 효소 혼합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돈육 등을 연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2817호 2003.09.19.공개)에서 죽염, 죽초액, 대나무 숯가루, 유황을 첨가한 사료를 돼지나 소에 급여하여 연한 돈육이나 우육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3(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3-0071255호 2003.09.03.공개)에서는 향신료를 사용하여 돈육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돈육 육포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돈육이나 우육, 특히 우육 중에서도 구이용으로 바로 구워먹을 수 있도록 유통하기 위한 구이용 우육에 대한 제조방법은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못함과 동시에 대량생산을 위한 유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우육 덩어리를 텀블링 공정과 장시간 침지 등을 거쳐 염지와 연육처리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이 장기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텀블링 작업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45836호 2004.06.02.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2817호 2003.09.19.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3-0071255호 2003.09.03.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91525호 2005.05.17.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45517호 2013.03.14.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46292호 2016.12.21.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04323호 2017.01.11.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스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구이용 우육에 대한 슬라이스 처리된 상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정, 역회전이 반복되는 회전드럼 외부에 대하여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되도록 회전드럼 일 측에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이 설치되는 텀블링유닛을 통해 염지와 연육 작업이 수행되는 텀블링단계가 적용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해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염지와 연육효율의 증대를 통해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으로서, 냉동된 원료 우육을 입고시키는 원료입고단계(S100);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를 통해 입고된 원료 우육을 5℃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해동처리하여 원료 우육의 온도가 -3℃~-1℃가 되도록 하는 해동단계(S110); 텀블링유닛(1200)에 상기 해동단계(S110)를 거쳐 해동된 원료 우육 83.29중량%와 압착올리브유, 냉동다진마늘, 흑후추분말, 정제염, 율무차가루, 분말연육제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을 투입하되, 상기 염지연육액은 압착올리브유 13.33중량%, 냉동다진마늘 0.5중량%, 흑후추분말 0.13중량%, 정제염 0.1중량%, 율무차가루 0.33중량%, 분말연육제 2.32중량%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를 통해 원료 우육과 염지연육액이 텀블링유닛(1200)에 투입된 상태에서, 3시간 동안 20분 작동, 10분 정지를 반복하도록 작동하되 작동시 정방향 3회전, 역방향 3회전이 6rpm으로 반복 작동하는 텀블링유닛(1200)의 작동에 의해 원료 우육에 대하여 염지와 함께 연육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텀블링단계(S120); 상기 텀블링단계(S120)를 거쳐 염지,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30);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한 후, 해동실에서 해동하여 봉 타입의 우육 외부를 감싸는 비닐을 풀어 제거한 후에, 일정두께로 슬라이스 처리하는 슬라이스단계(S140);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를 거쳐 슬라이스 처리된 구이용 우육이 달라붙지 않게 투입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어 냉각실로 안내되도록 한 후,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5℃의 온도로 30분 이상 냉각하는 냉각단계(S150); 상기 냉각단계(S150)를 거쳐 냉각된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는 절단단계(S160); 상기 절단단계(S160)를 거쳐 절단된 일정두께와 일정면적을 가지는 단품의 구이용 우육을 진공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S170); 상기 진공포장단계(S170)를 거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 외부의 금속을 검출하는 금속검출단계(S180); 및 상기 금속검출단계(S180)를 거쳐 검출된 금속을 제거한 후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35℃ 이하의 급동실에서 2시간에 걸쳐 동결한 후, 진공포장하여 동결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종이박스에 일정개수만큼 투입하여 박스단위로 포장하는 동결포장단계(S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에서의 원료 우육은 한우 젖소인 우육의 채끝등심 부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슬라이스 처리되는 두께는 4mm로 슬라이스 처리되는 한편, 상기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 중앙부분을 열십자로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가공하여 장방형 타입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슬라이스 처리되는 두께는 4mm로 슬라이스 처리되는 한편, 상기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는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지름이 3cm 또는 4cm를 갖는 원형 판 상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텀블링단계(S120)의 텀블링유닛은 양단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밀폐된 어느 일단에는 진공밸브를 갖는 밀폐형 도어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회전축이 연결되는 한편,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정역 모터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며, 내면에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드럼 및 상기 진공밸브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의 편심 회전이 가능토록,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드럼의 양단에 결합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 단부가 일면 중앙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토록 연결되는 메인축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회전드럼은 내부로 유입된 원료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의 염지와 연육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염지와 연육처리 상태가 유지되게 가열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도록, 일 측에 상기 회전드럼의 정, 역회전 작동시 상기 회전드럼 외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처리하는 가열유닛이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열유닛의 측부에 상기 회전드럼의 정, 역회전 작동완료 후 외부에 냉기를 공급하여 냉각처리하는 냉각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하는 조건은 -18℃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동결한 후에 해동되는 조건은 5℃의 온도에서 해동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변성전분 0.67중량%, 인산염 0.2중량%, 유청분말 0.13중량%, 마늘분말 0.43중량%, 생강분말 0.17중량%, 정제수 11.02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0.1중량%, 산사열매 0.23중량%,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0.27중량%, 독활(땅두릅의 뿌리) 0.42중량%, 오가피 0.58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성형단계(S130)는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장방형의 봉 타입 또는 원형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강황, 무, 살구, 키위, 파인애플의 혼합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강황, 무, 살구, 키위, 파인애플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으로서, 강황 0.17중량%, 무 0.16중량%, 살구 0.4중량%, 키위 0.27중량%, 파인애플 0.6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라이스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구이용 우육에 대한 슬라이스 처리된 상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정, 역회전이 반복되는 회전드럼 외부에 대하여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되도록 회전드럼 일 측에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이 설치되는 텀블링유닛을 통해 염지와 연육 작업이 수행되는 텀블링단계가 적용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해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염지와 연육효율의 증대를 통해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서, 텀블링단계에 적용되는 텀블링유닛을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서, 텀블링단계에 적용되는 텀블링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서, 텀블링단계에 적용되는 텀블링유닛을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서, 텀블링단계에 적용되는 텀블링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원료입고단계(S100), 해동단계(S110),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 텀블링단계(S120), 성형단계(S130), 슬라이스단계(S140), 냉각단계(S150), 절단단계(S160), 진공포장단계(S170), 금속검출단계(S180) 및 동결포장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염지연육액은 염지 기능과 연육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는 냉동된 원료 우육을 입고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와 같은 원료입고단계(S100)에서의 원료 우육은 한우 젖소인 우육의 채끝등심 부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우육의 안심이나 다리 살, 갈비 살 등의 기타 다른 부위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동단계(S110)는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를 통해 입고된 원료 우육을 5℃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해동처리하여 원료 우육의 온도가 -3℃~-1℃가 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는 텀블링유닛(1200)에 상기 해동단계(S110)를 거쳐 해동된 원료 우육 83.29중량%와 압착올리브유, 냉동다진마늘, 흑후추분말, 정제염, 율무차가루, 분말연육제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을 투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분말연육제는 프로찜에스를 사용한다.
이때, 압착올리브유 13.33중량%, 냉동다진마늘 0.5중량%, 흑후추분말 0.13중량%, 정제염 0.1중량%, 율무차가루 0.33중량%, 분말연육제 2.32중량%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는 텀블링유닛(1200)에 상기 해동단계(S110)를 거쳐 해동된 원료 우육 86.42중량%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강황, 무, 살구, 키위, 파인애플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을 투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으로서, 강황 0.17중량%, 무 0.16중량%, 살구 0.4중량%, 키위 0.27중량%, 파인애플 0.6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염지연육액의 조성으로 적용되는 성분 중, 살구는 베타카로틴 성분을 갖는 것이고, 키위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액티니진 성분을 갖는 것이며, 파인애플은 소화효소를 갖는 것이므로, 우육의 섭취시 소화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강황, 무 등의 성분을 통하여 식감이나 향 또는 색상이 좋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텀블링단계(S120)는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를 통해 원료 우육과 염지연육액이 텀블링유닛(1200)에 투입된 상태에서, 3시간 동안 20분 작동, 10분 정지를 반복하도록 작동하되 작동시 정방향 3회전, 역방향 3회전이 6rpm으로 반복 작동하는 텀블링유닛(1200)의 작동에 의해 원료 우육에 대하여 염지와 함께 연육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단계(S130)는 상기 텀블링단계(S120)를 거쳐 염지,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성형단계(S130)는 특히,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장방형의 봉 타입 또는 원형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는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한 후, 해동실에서 해동하여 봉 타입의 우육 외부를 감싸는 비닐을 풀어 제거한 후에, 일정두께로 슬라이스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단계(S150)는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를 거쳐 슬라이스 처리된 구이용 우육이 달라붙지 않게 투입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어 냉각실로 안내되도록 한 후,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5℃의 온도로 30분 이상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단단계(S160)는 상기 냉각단계(S150)를 거쳐 냉각된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포장단계(S170)는 상기 절단단계(S160)를 거쳐 절단된 일정두께와 일정면적을 가지는 단품의 구이용 우육을 진공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검출단계(S180)는 상기 진공포장단계(S170)를 거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 외부의 금속을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대한 마지막 공정인, 상기 동결포장단계(S190)는 상기 금속검출단계(S180)를 거쳐 검출된 금속을 제거한 후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35℃ 이하의 급동실에서 2시간에 걸쳐 동결한 후, 진공포장하여 동결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종이박스에 일정개수만큼 투입하여 박스단위로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특히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하는 조건은 -18℃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동결한 후에 해동되는 조건은 5℃의 온도에서 해동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슬라이스 처리되는 두께는 4mm로 슬라이스 처리되는 한편, 상기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 중앙부분을 열십자로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가공하여 장방형 타입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되되, 봉의 단면이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중앙부분을 열십자로 절단하여 복수의 개수로 절단가공 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되되, 봉의 단면이 비교적 좁은 면적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테두리를 절단하여 단일의 개수로 절단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는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지름이 3cm 또는 4cm를 갖는 원형 판 상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서, 특히 상기 텀블링단계(S120)의 텀블링유닛(1200)은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크게 회전드럼(1210) 및 진공장치(1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1210)은 양단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밀폐된 어느 일단에는 진공밸브(1212)를 갖는 밀폐형 도어(1211)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회전축(1213, 1213')이 연결되는 한편, 어느 하나의 회전축(1213)에는 정역 모터(1214)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며, 내면에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걸림돌기(1215)가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1213)은 상기 정역 모터(1214)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드럼(121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아울러 다른 하나의 회전축(1213')은 베어링(미도시) 등에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드럼(1210)은 편심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축(1213, 1213')은 상기 회전드럼(12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편심축(1213c, 1213c')과, 상기 편심축(1213c, 1213c') 단부가 일면 중앙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되는 연결판(1213b, 1213b') 및 상기 연결판(1213b, 1213b')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토록 연결되는 메인축(1213a, 1213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장치(1220)는 상기 진공밸브(1212)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1210)의 내부에 진공을 부여하는 장치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텀블링유닛(1200)은 상기 회전드럼(1210)의 내부로 유입된 원료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의 염지와 연육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염지와 연육처리 상태가 유지되게 가열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텀블링유닛(1200)은 일 측에 상기 회전드럼(1210)의 정, 역회전 작동시 상기 회전드럼 외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처리하는 가열유닛(1250)이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열유닛(1250)의 측부에 상기 회전드럼(1210)의 정, 역회전 작동완료 후 외부에 냉기를 공급하여 냉각처리하는 냉각유닛(12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텀블링단계(S120)에서의 상기 텀블링유닛(1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해동단계(S110)를 거쳐 해동된 후에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를 거쳐 상기 회전드럼(1210) 내부로 원료 우육과 염지연육액이 유입되도록 한 후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이후 상기 진공장치(1220)를 상기 진공밸브(1212)에 연결하여 상기 회전드럼(1210) 내부에 90~95%의 진공상태를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정역 모터(1214)의 작동으로 회전드럼(1210)을 작동시키되, 6RPM의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정방향 3회전과 역방향 3회전을 반복적으로 교번회전하도록 3시간에 걸쳐 작동시간 20분, 정지시간 10분의 조건으로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동시 수용된 원료 우육은 염지연육액이 스며들게 되며,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1215)에 부딪쳐 텀블링되면서 마사지 되어 원료 우육의 염지와 연육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에 의해 원료 우육의 염지연육액에 의한 염지와 연육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드럼(1210)의 회전작동 중에는 전술한 가열유닛(1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1210)의 외부를 스팀 가열을 통해 가열처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회전드럼(1210)의 회전작동이 정지된 후에는 전술한 냉각유닛(12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1210)의 외부에 냉기를 공급하여 냉각처리가 이루어지게 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텀블링단계(S120)에 의하면, 상기 텀블링유닛(1200)의 구동시 상기 가열유닛(1250)과 냉각유닛(1270)을 통한 가열과 냉각에 따라 가열을 통한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냉각을 통한 염지와 연육처리된 상태를 갈무리하여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전술한 바와 같은 텀블링단계(S120)에 적용되는 회전드럼(1210)은 내부로 유입된 원료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의 염지와 연육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염지와 연육처리 상태가 유지되게 가열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적용된다고 언급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입된 원료(우육)의 부위 및 목적에 따라 가열유닛(1250)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냉각유닛(1270)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1210)이 외통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중으로 구조로 구성한 후 그 이중구조의 사이에 냉매를 충전한 후 사용할 경우 냉각유닛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특히,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변성전분 0.67중량%, 인산염 0.2중량%, 유청분말 0.13중량%, 마늘분말 0.43중량%, 생강분말 0.17중량%, 정제수 11.02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염지연육액의 구성에서 특히,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육질 개선의 효능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인산염은 결착 증진의 효능을 가지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은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0.1중량%, 산사열매 0.23중량%,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0.27중량%, 독활(땅두릅의 뿌리) 0.42중량%, 오가피 0.58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염지연육액의 조성으로 적용되는 성분 중, 산초는 우육 특유의 냄새를 없애는 기능을 하게 되며, 산사열매는 우육의 부위에 따른 특유의 냄새제거는 물론 연육작용을 하여 소화에도 도움이 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우슬(되무릎지기 뿌리)은 관절염이나 요통 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독활(땅두릅의 뿌리)은 중풍예방의 기능을 가지며, 아울러 냄새제거의 기능도 갖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냄새제거, 소화의 도움, 관절염이나 요통 또는 중풍예방의 도움을 주는 한약재 성분들이 적용됨으로써 우육의 섭취시 소화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거니와, 섭취자의 건강에 더욱 유익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분말타입의 과육이나 한약재가 염지연육액에 적용됨에 따라 식감이나 향 또는 색상이 좋도록 함과 동시에, 섭취시 소화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슬라이스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구이용 우육에 대한 슬라이스 처리된 상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정, 역회전이 반복되는 회전드럼 외부에 대하여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되도록 회전드럼 일 측에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이 설치되는 텀블링유닛을 통해 염지와 연육 작업이 수행되는 텀블링단계가 적용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해 구이용 우육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텀블링단계를 통하여 짧은 시간 내에 구이용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이 고르게 혼합되어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염지와 연육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염지와 연육효율의 증대를 통해 구이용 우육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200: 텀블링유닛
1210: 회전드럼 1211: 밀폐형 도어
1212: 진공밸브 1213, 1213': 회전축
1213a, 1213a': 메인축 1213b, 1213b': 연결판
1213c, 1213c: 편심축 1214: 정역 모터
1215: 걸림돌기 1220: 진공장치
1250: 가열유닛 1270: 냉각유닛

Claims (15)

  1.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으로서,
    냉동된 원료 우육을 입고시키는 원료입고단계(S100);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를 통해 입고된 원료 우육을 5℃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해동처리하여 원료 우육의 온도가 -3℃~-1℃가 되도록 하는 해동단계(S110);
    텀블링유닛(1200)에 상기 해동단계(S110)를 거쳐 해동된 원료 우육 83.29중량%와 압착올리브유, 냉동다진마늘, 흑후추분말, 정제염, 율무차가루, 분말연육제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을 투입하되, 상기 염지연육액은 압착올리브유 13.33중량%, 냉동다진마늘 0.5중량%, 흑후추분말 0.13중량%, 정제염 0.1중량%, 율무차가루 0.33중량%, 분말연육제 2.32중량%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를 통해 원료 우육과 염지연육액이 텀블링유닛(1200)에 투입된 상태에서, 3시간 동안 20분 작동, 10분 정지를 반복하도록 작동하되 작동시 정방향 3회전, 역방향 3회전이 6rpm으로 반복 작동하는 텀블링유닛(1200)의 작동에 의해 원료 우육에 대하여 염지와 함께 연육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텀블링단계(S120);
    상기 텀블링단계(S120)를 거쳐 염지,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30);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한 후, 해동실에서 해동하여 봉 타입의 우육 외부를 감싸는 비닐을 풀어 제거한 후에, 일정두께로 슬라이스 처리하는 슬라이스단계(S140);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를 거쳐 슬라이스 처리된 구이용 우육이 달라붙지 않게 투입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어 냉각실로 안내되도록 한 후,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5℃의 온도로 30분 이상 냉각하는 냉각단계(S150);
    상기 냉각단계(S150)를 거쳐 냉각된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는 절단단계(S160);
    상기 절단단계(S160)를 거쳐 절단된 일정두께와 일정면적을 가지는 단품의 구이용 우육을 진공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S170);
    상기 진공포장단계(S170)를 거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 외부의 금속을 검출하는 금속검출단계(S180); 및
    상기 금속검출단계(S180)를 거쳐 검출된 금속을 제거한 후에 진공포장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35℃ 이하의 급동실에서 2시간에 걸쳐 동결한 후, 진공포장하여 동결된 다수의 단품 구이용 우육을 종이박스에 일정개수만큼 투입하여 박스단위로 포장하는 동결포장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입고단계(S100)에서의 원료 우육은 한우 젖소인 우육의 채끝등심 부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슬라이스 처리되는 두께는 4mm로 슬라이스 처리되는 한편,
    상기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 중앙부분을 열십자로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가공하여 장방형 타입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슬라이스 처리되는 두께는 4mm로 슬라이스 처리되는 한편,
    상기 절단단계(S160)는 슬라이스 타입의 구이용 우육을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절단가공하되, 상기 성형단계(S130)에서 봉 타입 성형시 장방형의 봉 타입으로 성형된 경우에는 테두리를 절단하여 가로, 세로가 3cm와 4cm의 크기를 갖는 단일의 개수로 절단되거나, 지름이 3cm 또는 4cm를 갖는 원형 판 상의 일정두께를 갖는 구이용 우육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링단계(S120)의 텀블링유닛(1200)은,
    양단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밀폐된 어느 일단에는 진공밸브(1212)를 갖는 밀폐형 도어(1211)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회전축(1213, 1213')이 연결되는 한편, 어느 하나의 회전축(1213)에는 정역 모터(1214)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며, 내면에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걸림돌기(1215)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드럼(1210) 및
    상기 진공밸브(1212)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1210)의 내부에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장치(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210)의 편심 회전이 가능토록,
    상기 회전축(1213, 1213')은 상기 회전드럼(12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편심축(1213c, 1213c')과,
    상기 편심축(1213c, 1213c') 단부가 일면 중앙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되는 연결판(1213b, 1213b') 및
    상기 연결판(1213b, 1213b')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토록 연결되는 메인축(1213a, 12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210)은 내부로 유입된 원료 우육에 대한 염지연육액의 염지와 연육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염지와 연육처리 상태가 유지되게 가열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도록,
    일 측에 상기 회전드럼(1210)의 정, 역회전 작동시 상기 회전드럼 외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처리하는 가열유닛(1250)이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열유닛(1250)의 측부에 상기 회전드럼(1210)의 정, 역회전 작동완료 후 외부에 냉기를 공급하여 냉각처리하는 냉각유닛(12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상기 성형단계(S130)를 거쳐 성형된 봉 타입의 우육을 원료냉동실에서 동결하는 조건은 -18℃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스단계(S140)에서, 동결한 후에 해동되는 조건은 5℃의 온도에서 해동되어 -3℃의 봉 타입의 우육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변성전분, 인산염, 유청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정제수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변성전분 0.67중량%, 인산염 0.2중량%, 유청분말 0.13중량%, 마늘분말 0.43중량%, 생강분말 0.17중량%, 정제수 11.02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산사열매,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독활(땅두릅의 뿌리), 오가피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의 한약재로서 산초 0.1중량%, 산사열매 0.23중량%, 우슬(쇠무릎지기 뿌리) 0.27중량%, 독활(땅두릅의 뿌리) 0.42중량%, 오가피 0.58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130)는 연육처리된 우육을 얇은 비닐을 이용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장방형의 봉 타입 또는 원형 봉 타입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 투입단계(S111)에서, 원료 우육은 86.42중량%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강황, 무, 살구, 키위, 파인애플의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지연육액은 탄산수소나트륨, 정제염, 구연산나트륨, 정제수와, 분말타입의 강황, 무, 살구, 키위, 파인애플의 혼합물로 제공되되,
    탄산수소나트륨 0.16중량%, 정제염 0.26중량%, 구연산나트륨 0.54중량%, 정제수 11.02중량%와, 분말타입으로서, 강황 0.17중량%, 무 0.16중량%, 살구 0.4중량%, 키위 0.27중량%, 파인애플 0.6중량%의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KR1020170020273A 2017-02-15 2017-02-15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KR101856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73A KR101856411B1 (ko) 2017-02-15 2017-02-15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73A KR101856411B1 (ko) 2017-02-15 2017-02-15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411B1 true KR101856411B1 (ko) 2018-05-09

Family

ID=6220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73A KR101856411B1 (ko) 2017-02-15 2017-02-15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53B1 (ko) 2012-06-29 2013-02-08 박동진 조미 조성물을 이용한 로제 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53B1 (ko) 2012-06-29 2013-02-08 박동진 조미 조성물을 이용한 로제 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43B1 (ko) 돈육 수육의 제조방법
KR101861954B1 (ko) 소고기를 이용한 수육의 제조방법
KR101864529B1 (ko) 갈비탕용 갈비의 제조방법
CN107072245A (zh) 含有包涵体的具有改善的质地和延长的保质期的蛋白质肉类似物
CN103330222A (zh) 一种牛肉粒及其制作方法
CN101731669A (zh) 一种河蚌的制作方法
RU236146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яленого формованного рыбного продукта
KR101899712B1 (ko) 바비큐용 닭다리의 제조방법
KR102055828B1 (ko) 육미 국수
KR101856409B1 (ko) 만두소용 돈육의 제조방법
KR20130046635A (ko) 고단위로 콜라겐을 함유하는 돼지껍데기 편육 및 그 제조방법
KR101856408B1 (ko) 닭고기를 이용한 수육의 제조방법
KR101196594B1 (ko) 닭가슴살의 세절 방법, 이를 포함한 닭가슴살 통조림 또는 파우치 제조공정 및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가공식품
CN108433036A (zh) 一种工业化生产鲜嫩兔排或兔肉片的方法
KR101856411B1 (ko) 구이용 우육의 제조방법
KR101820624B1 (ko) 칠면조 고기를 이용한 수육의 제조방법
CN102763867A (zh) 一种肉糜面条
KR101844711B1 (ko) 칠면조 고기를 이용한 족발의 제조방법
KR101684655B1 (ko) 콜라겐 케이싱을 이용한 핫바형 순대식품 제조방법
KR101554821B1 (ko) 싸먹는 오리 슬라이스 햄 제조방법
CN113017021A (zh) 一种可填充肉末食材的豆制品袋状物及其制备方法
KR101864530B1 (ko) 갈비찜용 갈비의 제조방법
KR101856410B1 (ko) 찜용 소꼬리의 제조방법
RU267935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рубленых мясорастительных кулинарных изделий из мяса кролика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валки
CN102599557A (zh) 一种河蚌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