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914B1 -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 Google Patents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914B1
KR101854914B1 KR1020170120179A KR20170120179A KR101854914B1 KR 101854914 B1 KR101854914 B1 KR 101854914B1 KR 1020170120179 A KR1020170120179 A KR 1020170120179A KR 20170120179 A KR20170120179 A KR 20170120179A KR 101854914 B1 KR101854914 B1 KR 10185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output portion
guide film
emitting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183A (ko
Inventor
조호준
양근영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유트로닉스주식회사
엑사전자 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트로닉스주식회사, 엑사전자 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트로닉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3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extremi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자동차 등과 같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구조물에 장착되어, 조명, 신호 및 장식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필름과 연결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ASSEMBLY FOR LIGHTING USING LIGHT GUIDE FILM}
본 발명은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과 같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구조물에 장착되어, 조명, 신호 및 장식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그 내부 및 외부에 다양한 종류의 램프 조립체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자연광이 부족한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 물체에 대한 운전자의 육안 식별을 돕기 위한 조명기능과, 외부에 자동차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갖는다. 가령, 전조등이나 안개등은 조명에 주목적이 있으며, 방향지시등, 후미등, 브레이크등은 신호에 주목적이 있다. 그 외에도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특정 조작장치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차량 상태의 표시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램프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 유발 원인이 적고,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적은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등 LED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최근 자동차용 조명 장치에도 LED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령,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1897호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LED를 이용한 점(point) 발광형 자동차(1)용 보조 브레이크등(3)을 제안하고 있는데, 복수개의 LED(4)를 이격 배치하거나 그룹 별로 배치하여 관계 법규에서 정한 일정 기준 이상의 보조 브레이크등의 점등 광량(배광법규)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복수개 LED의 각 배치 위치가 외부에서 인식하는 브레이크등의 발광패턴에 그대로 반영되어, 브레이크등 상에서 LED의 표면상 위치에 따른 광량의 변화가 매우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후면에서 브레이크등을 볼 때 각 LED가 위치하는 특정 지점만이 국부적인 점광원의 형태로 두드러지게 시인되게 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선광원이나 면광원은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고자 LED의 개수를 늘려 배치 간격을 좁힐 경우 부품단가의 증가 요인이 되고, 표면에 확산판 등을 배치하더라도 역시 부품단가, 부품 개수 및 전체적 모듈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판형 도광판을 이용한 수직방향 광출사형 자동차용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13480호에서는, 도 2와 같이, 전조등, 후미등, 브레이크등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하우징(5), 측면 반사판(8), 도광판(9), 고휘도 RED LED 모듈(10), 고휘도 백색 LED 모듈(11), 및 고휘도 AMBER LED 모듈(12)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도광판(9)의 측면에 LED 모듈(10, 11, 12)을 배치하고, LED 모듈(10, 11, 12)로부터 도광판(9)의 측부로 입사된 광을 그에 수직한 방향의 광출사부(도면에서 평면 방향)으로 유도하고, 광출사부에 다양한 산란패턴(6)을 형성함으로써 시인성과 장식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균일한 발광패턴의 선광원 또는 면광원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 아니고, 또한 일정 두께 및 입체적 구조를 갖는 도광판(9)을 사용한 것인데, 이러한 도광판(9)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출성형 공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제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될 뿐 아니라, 사출성형 공정에 의할 경우 구현할 수 있는 구조물의 두께가 한정되어 있어(일반적으로 대략 두께 4mm 이하의 것은 구현이 곤란함), 보다 얇은 두께의 선광원 또는 면광원을 구현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도 자용차용 조명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LED와 도광판을 적용한 경우들이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게 되는 자동차의 내/외부에 장착되어, 보다 얇고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성형 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자동차의 설계변경 등의 경우에도 쉽게 변형 적용이 가능한 등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감안한 조명용 부재가 제안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자동차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실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출시되고, 주행과 관련된 필수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평준화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기능적 요소 외에 디자인적 요소나 감성적 요소 역시 중시되는 경향이 있는데, 자동차용 조명장치는 그 자동차의 개성 내지 특징을 표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자동차용의 개개 조명장치나 이들의 전체적인 적절한 조합을 활용하여 자동차 업체에서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시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기본적인 소재/부품 인프라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1897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13480호 특허문헌 3: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54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내/외부 구조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보다 얇고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성형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극히 저렴하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기본적인 소재/부품 인프라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도록 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기 쉽고, 균일한 발광패턴의 이상적인 선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자동차 내/외부를 고급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부드럽고 은은한 빛을 발광하도록 하여 장식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량 내부에 조명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한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필름과 연결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광필름은 0.1mm이상 2.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상기 광출사부까지의 길이가 8mm 이상 250m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향되며,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입사부가 이루는 변과 반대쪽의 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필름은 띠 형상을 갖도록 절단된 것이거나,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출사부 또는 상기 광입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선형상의 변을 이루도록 절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형상의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상기 도광필름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는 종단면에 위치하는 제1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보다 내면에 위치하는 제2 광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2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을 모두 투과하여 방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의 종단면은 상기 도광필름의 상면 및 하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필름에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상기 광출사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누광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누광방지홈에 의하여 상기 광입사부 및 상기 광출사부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1 구간의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누광방지홈을 투과하여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제2 구간의 광출사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측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필름과 연결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상기 도광필름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출사부 측의 두께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광출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는 종단면에 위치하는 제1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보다 내면에 위치하는 제2 광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2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을 모두 투과하여 방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부의 종단면은 상기 도광필름의 상면 및 하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필름에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상기 광출사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누광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누광방지홈에 의하여 상기 광입사부 및 상기 광출사부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1 구간의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누광방지홈을 투과하여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제2 구간의 광출사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또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필름과 연결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고,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은,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측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상기 도광필름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또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내/외부 구조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보다 얇고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출성형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극히 저렴하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기본적인 소재/부품 인프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도록 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기 쉽고, 균일한 발광패턴의 이상적인 선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자동차 내/외부를 고급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부드럽고 은은한 빛을 발광하도록 하여 장식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량 내부에 조명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의 LED를 이용한 점 발광형 보조 브레이크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의 판형 도광판을 이용한 수직방향 광출사형 자동차용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광필름 평면 형상의 다양한 예시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적층하여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출사부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광출사부의 패턴 형성에 따른 발광패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형성된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를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을 예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출사부에 커버부재를 결합한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광출사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을 예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 절단부를 광반사부로 활용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패턴을 구비하는 광출사부를 가지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울어진 형상을 구비하는 광출사부를 가지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누광방지홈을 가지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조명용 부재(100)의 단면(A-A'를 따라 절단한 예)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3c 내지 도 3e는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내부/외부 등 3차원적 구조물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사례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는, 도광필름(20),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 실장기판(40), 구동모듈(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광필름(20)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는 가시광의 파장 영역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PMMA)나, 역시 높은 투과율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가 보다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필름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얇은 경우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광투과성 수지 필름은 0.1mm 이상 2.0mm이하 두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0.1mm이상 2.0mm이하의 두께 범위의 것이 사용될 경우 기계적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유연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범위의 광투과성 수지 필름은 사출성형 등 고가의 공정에 의하지 않고서도 롤링(rolling) 등 방법에 의해 쉽게 양산이 가능하므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조명용 부재(100)의 제조 단가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도 3c 내지 도3e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큰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 및 두께의 도광필름(20)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광필름(20) 평면 형상의 다양한 예시인데, 도광필름(20)은 도 4의 (a) 내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이 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으며, 도시된 이외의 더 복잡한 형상으로 절단될 수도 있어 일반적으로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 내/외부의 구조에 맞도록 쉽게 가공될 수 있으며, 이때 사출성형 공정과 같은 고가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양산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자동차 설계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장식적 효과와 시인성을 감안한 자동차 내/외부 조명 디자인의 폭을 매우 넓힐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서는 최소 두께 3~4mm 이상의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구조물만이 제작 가능하며 얇은 필름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과 같이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도광필름(20)을 사용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인성 및 장식적 효과를 보다 극대화한 초슬림 선광원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광필름(20)은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또는 에지)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게 되는데, 도광필름(20)의 이러한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출사부(22)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다른 한 면이 광입사부(24)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가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도광필름(20)으로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실장기판(40)상에 정렬된다. 그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된 광은 대향하는 인접 광입사부(24)으로 입사되어, 도광필름(20)을 통해 광출사부(22)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광출사부(22)은 도광필름(20)의 평면상에서 광입사부(24)을 이루는 변과 대체로 반대쪽의 변에 위치하게 되어, 도광필름(20)에 입사된 광을 출사시키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40)은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구현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구부리거나 휠 수 있도록 된 회로 기판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전기절연체 위에 전도성을 갖는 도체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실장기판(40)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하고 결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실장 밀도가 극히 높을 필요는 없어 제조가 간단하여 저가인 단면 PCB(Single Side PCB)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회로가 상하 양면으로 형성된 PCB로 단면 PCB에 비해 고밀도 부품 실장이 가능한 양면 PCB(Double Side PCB)를 적용하거나, 내층과 외층 회로를 가진 입체구조의 PCB로 입체배선에 의한 고밀도 부품실장 및 선거리 단축이 가능한 다층 피시비(Multi Layer Board)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고성능 소형화에 따라 여러 기판간의 접속이 필요할 때 한정된 기기 공간의 최대한 활용 및 접속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경질 부분에 굴곡성이 있는 유연한 PCB 부분을 일체화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RF 피시비(Rigid-Flex PCB)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얇은 선광원의 구현만이 필요하고 유연성을 요하지 않거나, 도광필름(20) 그 자체의 유연성만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실장기판(40)의 경우는 FR4 등을 재료로 하는 보다 저가의 PCB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실장기판(4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을 포함한다.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일체로 구현되어 처음부터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된 후 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동일한 기판재료 또는 상이한 기판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100)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필름(20)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결합층(60, 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60, 70)은 상하 양면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 등이나 기타 수지 사출물 등 적절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도광필름(20)과 같이 유연성의 확보가 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차광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100)는 자동차 등 구조물에 조립될 경우 조명용 부재(100) 외부의 기타 부품과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도광필름(20)을 결합시키게 되는 사출물 등 부품이 결합층(60, 70)을 대신하여 도광필름(20)과 실장기판(4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100)는 도광필름(20)의 상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광필름(20)의 측부에서 광입사부(24)을 통하여 전반사 각도 이내로 입사하는 광은 이론적으로는 누설되지 않고 광출사부(22)까지 도달하지만, 도광필름(20) 상면 및 하면의 표면 거칠기나, 미세한 결함의 유무에 따라 일부 누설되는 광이 있을 수 있고 그 양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반사층을 도광필름(20)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함으로써 광의 누설을 막고, 광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100)가 자동차 등 구조물에 조립될 경우 조명용 부재(100) 외부의 기타 부품과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도광필름(20)이 결합될 사출물 등 부품의 표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거나 색상을 광반사율이 높은 백색으로 함으로써 광 전달 효율을 높이는 반사층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c 내지 도 3e는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내부/외부 등 3차원적 구조물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사례를 나타낸다. 도 3c는 띠 형태의 조명용 부재(100)를 수평 방향으로 휘어서 적용한 사례이며, 도 3d는 좀 더 넓은 폭을 갖는 페이퍼 형태의 조명용 부재(100)를 상하 방향으로 휘어서 적용한 사례이다. 도 3e는 도 3d의 경우의 단면(B-B'를 따라 절단한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곡면이 생기도록 구부려 빛의 출사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출사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적층하여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제1 조명용 부재(100), 제2 조명용 부재(102) 및 제3 조명용 부재(104)를 적층하였는데, 각각의 도광필름(20)이 유연성을 가지므로, 실장기판(40), 결합층(60, 70) 등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더라도 광출사부에서는 각 조명용 부재(100, 102, 104)의 광출사부들이 인접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선광원의 한계를 벗어나 어느 정도의 폭을 갖는 면광원도 구현할 수 있으며, 각 단위 조명용 부재(100, 102, 104)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가령, 각 단위 조명용 부재(100, 102, 104)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들이 각각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할 경우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이 다층 라인 형태로 발광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각 단위 조명용 부재(100, 102, 104)의 광량을 달리 구동할 수도 있고, 단위 조명용 부재 내에서도 각 발광다이오드 별 색상이나 밝기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는 자동차 제조회사의 설계자들이 이러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부품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에 큰 의의를 갖는다.
또한, 도 5b에서는 복수개 도광필름(20)들이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가 장착된 실장기판(40)을 공유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한다.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가 장착될 구조물의 광원 배치 설계에 따라 복수개의 도광필름(20)들을 적절히 굴곡하여 각 말단의 절단면인 광출사부(22)들이 서로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장기판(40) 상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30)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를 이용한 결합부(32)를 통해 복수개 도광필름(20)의 각 다른 절단면들인 광입사부(24)들에 결합되고, 광은 투광성인 결합부(32)를 경유하여 각 도광필름(20) 내로 분배된다. 실리콘 수지의 경우가 보다 열에 강하므로 고출력의 응용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30) 상면, 실장기판(30) 하면과, 결합부(32)를 적절히 커버하도록 그 상하 양면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 등이나 기타 수지 사출물 등 적절한 부재로 된 결합층(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도시된 예는 상하 양면에 결합층(60)을 구비한 경우이다. 결합층(60)은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차광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출사부(22)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한 도광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광출사부(22)를 각각, 도 6a에서는 물결 모양의 곡면(82)으로, 도 6b에서는 삼각 형상의 절단면(83)으로, 도 6c에서는 연속 형성된 볼록면(84)으로, 도 6d에서는 연속 형성된 오목면(85)으로, 도 6e에서는 톱니와 유사한 비대칭형 삼각형 절단면(20)으로 형성한 예들을 나타낸다. 광출사부(22) 표면의 이러한 패턴 구조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의 절단 가공 시에 구현하거나, 또는 절단 가공 후 연마 또는 레이저 커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광출사부에 이러한 패턴을 구현할 경우 이상적인 선광원의 구현에 획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도 7a 내지 도 7c는 광출사부의 패턴 형성에 따른 발광패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에 있어서는, 광입사부와 광출사부가 수직한 종래기술(가령, 도 2)의 경우와 달리, 도광필름(20)의 광입사부(24)와 광출사부(22)가 서로 대향하고 있어 광입사부(24)를 통해 입사된 광이 높은 광 전달효율로 광출사부(22)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간격이 조밀하지 않을 경우 발광다이오드(30)의 배열에 따른 광 패턴이 광출사부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균일한 발광패턴을 확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도 7a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이격 배치한 경우에 광입사부(24) 및 광출사부(22)에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평평한 표면 상태로 구성한 경우의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 경우,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그대로 광출사부(22)에 반영되게 되며 발광패턴의 균일성이 양호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광패턴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다이오드들의 개수를 늘려 더욱 조밀하게 배열하거나 광확산판과 같은 별도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모두 부품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도 7b는 도 7a와 다른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광입사부(24)에 패턴을 형성한 경우의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7a의 경우와 유사하게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그대로 광출사부(22)에 반영되게 되며 발광패턴의 균일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반면에, 도 7c는 도 7a와 다른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광출사부(24)에 패턴을 형성한 경우의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으며,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가 조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매우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의 구현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광출사부(24)에 패턴을 형성한 실시예의 경우, 조명용 부재(100)의 도광필름(20)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도광필름(20)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발광패턴 균일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도광필름(20)의 유연성과는 별개의 특성이므로, 도광필름(20)은 반드시 광투과성 수지 필름의 절단 가공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종전과 같이 사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트나 판재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 필름(20)에서 상기 광입사부(24)로부터 상기 광출사부(22)까지의 길이는 8mm 이상 250mm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광 필름(20)을 사용하여 자동차에 구비되는 조명용 부재를 구현하는 경우, 상기 조명용 부재가 만족시켜야 하는 기술적 규격(예를 들어, 광량 등)을 만족시키고,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의 발광패턴 균일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에서, 상기 도광 필름(20)의 길이가 8mm 이상 250mm 이하로 하는 경우, 상기 도광 필름(20)의 광출사부(22)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형성된 도광 필름(20)의 광출사부(22) 형상을 예시한다.
앞서 도 6a 내지 도 6e에서는 하나의 패턴이 반복하여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발광패턴의 불균일성을 완화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채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서는 (a) 사각형 위에 반원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b) 사각형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및 (c) 반원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나아가, 도 8b에서는 (a) 삼각형, 반원, 사각형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및 (b) 사각형 위에 반원이 적층된 형상, 사각형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 삼각형, 사각형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도 8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상을 적층시키거나 복수의 형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배열함으로써, 도 6a 내지 도 6e에서 설명한 발광패턴의 균일성을 개선하는데에서 더 나아가, 특정 지점의 광량을 늘려 포인트를 생성하거나, 위치에 따라 광량이 변화하도록 하여 소정의 조명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종래에는 이와 같이 특정 지점의 광량을 늘리거나 소정의 조명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렌즈를 구비하여야 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조명 패턴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고 있다.
앞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들어 설명하였으나(예를 들어, 도 3a의 단면 A-A'를 따라 절단한 도 3b),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20)은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서 도광 필름(20)의 일측은 얇은 두께(a)를 가지는 반면(예를 들어, 0.3mm = a = 3mm), 상기 도광 필름(20)의 타측은 보다 두꺼운 두께(a+b)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예를 들어, 0.3mm < a+b = 10mm).
특히,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의 경우 그 두께가 최소 3~4mm 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통한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광 필름(20)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도광 필름(20)의 일측 두께(a)가 3~4mm 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도광 필름(20)의 타측 두께(a+b)가 3~4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아크릴계 수지(PMMA)나 폴리카보네이트(PC) 등 적절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공정을 적용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b와 도 9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고 있다.
앞서, 도 3의 경우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에 따라 채택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30)가 제한될 수 있었다(예를 들어, 3mm 두께에 맞출 수 있도록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9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발광다이오드(top-view LED)를 용이하게 채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방열 특성 및 광량 특성을 얻거나, 보다 저렴한 단가의 발광다이오드(30)를 선택할 수 있는 등 조명용 부재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도 9b 내지 도 9c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광다이오드(30) 및 실장기판(40)과 상기 도광 필름(20)을 고정시키는 결합층(60)이 구비되거나 적절한 구조를 가지는 결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광 필름(20)은 보다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멸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광 필름(20)은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0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및 하면이 모두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은 도 10b내지 도 10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구간과 함께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구간(도 10b 및 도 10c의 c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20)은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개선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는 조명용 부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은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서도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출사부(22)에 커버부재(90)를 결합한 도광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한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는 필요에 따라 광출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커버부재(90)를 예시한다.
커버부재(90)에는 도광필름(20)의 광출사부(22)를 감싸도록 하는 삽입홈(92)이 형성될 수 있고, 광투과성의 투명 소재나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작된다. 커버부재(90)에도 역시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령, 도 11c의 경우 도광필름(20)의 광출사부(22)에 상하 방향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재(90)의 내측에는 광출사부(22)의 요철과 들어맞는 음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광출사부(22)에 형성된 요철구조는 광 산란 패턴으로 작용하여 발광패턴의 균일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2a는, 필요에 따라 커버부재(90)의 외면에 돌출된 구조의 패턴(9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예인데, 커버부재(9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량이 해당 부분에서 변화하게 되므로 특정 부분에 시인성을 향상시켜 시각적인 강조 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는, 필요에 따라 커버부재(90) 외면에 노치 패턴(9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예인데, 커버부재(90)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부가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홈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면에서 빛의 굴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 역시 커버부재(90)의 특정 부분에 시인성을 향상시켜 시각적인 강조 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c는 필요에 따라 커버부재(90) 외면에 광을 집중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패턴(94)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예인데, 렌즈패턴(94)은 커버부재(90)의 외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렌즈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 외에도, 커버부재(90) 표면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 절단부를 광반사부로 활용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한다. 실시예의 조명용 부재(100) 역시,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또는 에지)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는 도광필름(20)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광출사부(22)로, 다른 적어도 한 면을 광입사부(24)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수개 절단면 중 또 다른 적어도 한 면을 광반사부(26)로 활용하고 있는데, 도광필름(20) 양 측부의 광입사부(24)로부터 발광다이오드(3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반사시켜 광출사부(22)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요철 형상의 반사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발광다이오드(30)의 개수를 줄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만을 배치하더라도 광출사부(22) 전체를 통해 균일한 발광패턴의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에 도시된 광반사부(26)의 반사패턴을 이루는 요철의 형상은, (a) 및 (b)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는 반사광의 양이 부족하여 광출사부(22)에 나타나는 광량이 적어 발광패턴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반사패턴을 이루는 요철의 밀도는 도광필름(20)의 중심부에서 가장 높고 중심선에서 광원 쪽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는 실장기판에 배치되는데, 실장기판은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과 일체로 구현되어 처음부터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된 후 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패턴을 구비하는 광출사부(22)를 가지는 도광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광출사부(22)가 제1 광패턴(22a) 및 제2 광패턴(22b)을 구비하여,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2 광패턴(22b)와 상기 제1 광패턴(22a)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방출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도 1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패턴(22a)과 제2 광패턴(22b)는 서로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광패턴(22a)을 이루는 모서리 등의 각도와 길이 등을 서로 달리하는 등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패턴(22a)과 제2 광패턴(22b)이 서로 완전히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광패턴(22a) 및 제2 광패턴(22b)을 포함하여 복수의 광패턴을 가지도록 광출사부(22)를 구성함으로써, 선광원의 균일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광필름(20) 중간에 고정용 홀 등이 위치하거나, 상기 도광필름(20)의 폭(즉, 광입사부(24)에서 광출사부(22)까지의 거리)이 좁거나, 발광다이오드(30) 등 광원의 배열 간격이 큰 경우 등에는 점광원(Hot spot) 형태의 발광이 나타나거나 선광원에서의 균일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제1 광패턴(22a) 및 제2 광패턴(22b)을 포함하여 복수의 광패턴을 가지도록 광출사부(22)를 구성하는 경우 점광원 형태의 발광을 방지하고 선광원의 균일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광패턴(22a)와 상기 제2 광패턴(22b) 간의 간격(도 15a의 (B))은 상기 도광필름(20)의 폭(즉, 광입사부(24)에서 광출사부(22)까지의 거리 = 도 15a의 (A))의 1/5 내지 4/5의 범위에 있을 때 선광원의 균일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수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30) 등 광원의 배열 간격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30) 등 광원의 빔폭(beam angle)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6에서는 광출사부(22)의 종단면이 도광필름(20)의 상면 및 하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는 상기 광출사부(22)의 종단면이 도광필름(20)의 상면 및 하면과 수직을 이루는 형상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예를 들어, 도 3b에서와 같이),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출사부(22)에서 광패턴이 형성되는 종단면을 도 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출사부(22)에서 방출되는 빛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명용 부재(100)에서 광출사부(22)로 방출되는 빛의 일정량을 특정한 방향(예를 들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집중시킬 필요가 있거나, 상기 조명용 부재(100)의 외곽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유리 또는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간섭 부재가 있는 경우 등과 같이 방출되는 빛의 일정량을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출사부(22)의 종단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빛의 일정량이 특정한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광출사부(22)이 종단면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광출사부(22)로부터 상기 간섭 부재까지의 거리, 상기 간섭 부재의 전반사율, 상기 빛이 방출되어야 하는 각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누광방지홈(26)을 가지는 도광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 상기 도광필름(20)에는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상기 광출사부(22)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누광방지홈(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광방지홈(26)에 의하여 상기 광입사부(24) 및 상기 광출사부(22)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제1 구간(예를 들어, 도 17의 (A) 구간)의 광입사부(22)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누광방지홈(26)을 투과하여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제2 구간(예를 들어, 도 17의 (B) 구간)의 광출사부(22)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연속적인 발광 패턴을 가지는 선광원을 구현하면서, 이와 동시에 비연속적으로 또는 일정 구간별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연속적인 선광원 발광 및 비연속적인 또는 일정 구간별 발광 등 복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의 상측 또는 하측 하우징 커버 부재에 상기 누광방지홈(26)을 관통하는 사출물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 부재에 상기 조명용 부재(100)를 조립하여, 연속적인 선광원 발광 및 비연속적인 선광원 발광이 모두 가능한 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기자동차나 수소연료전기차 등에서 주행중에는 보조제동등(High Mounted Stop Lamp)으로 작동하다가, 충전시에는 충전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식별표시등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복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고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다는 장점 등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위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본 발명 중 방법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계들은 반드시 그 선후의 순서에 대한 구속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각 공정의 본질에 따라 반드시 어느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한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요소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20: 도광필름
22: 광출사부
22a : 제1광패턴
22b : 제2광패턴
24: 광입사부
26 : 누광방지홈
30: 발광다이오드
32: 결합층
40: 실장기판
50: 구동모듈
60, 70: 결합층
100, 102, 104: 조명용 부재

Claims (29)

  1.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수개의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은 0.1mm이상 2.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상기 광출사부까지의 길이가 8mm 이상 250mm 이하인 것인,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향되며,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입사부가 이루는 변과 반대쪽의 변에 위치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은 띠 형상을 갖도록 절단된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출사부 또는 상기 광입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선형상의 변을 이루도록 절단된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형상의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종단면에 위치하는 제1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보다 내면에 위치하는 제2 광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2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을 모두 투과하여 방출되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의 종단면은 상기 도광필름의 상면 및 하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에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상기 광출사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누광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누광방지홈에 의하여 상기 광입사부 및 상기 광출사부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1 구간의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누광방지홈을 투과하여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제2 구간의 광출사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3.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상기 도광필름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은 0.1mm이상 2.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상기 광출사부까지의 길이가 8mm 이상 2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향되며,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입사부가 이루는 변과 반대쪽의 변에 위치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은 띠 형상을 갖도록 절단된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 평면상에서 상기 광출사부 또는 상기 광입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선형상의 변을 이루도록 절단된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형상의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출사부 측의 두께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인,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광출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종단면에 위치하는 제1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보다 내면에 위치하는 제2 광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2 광패턴과 상기 제1 광패턴을 모두 투과하여 방출되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의 종단면은 상기 도광필름의 상면 및 하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인,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에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상기 광출사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누광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누광방지홈에 의하여 상기 광입사부 및 상기 광출사부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1 구간의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누광방지홈을 투과하여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제2 구간의 광출사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6.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수개의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또 다른 한 면으로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7.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수개의 절단면을 가지고,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28.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이격 배치에 따른 상기 광출사부 상의 상기 도광필름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29.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수개의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의 한 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다른 한 면으로서 상기 광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또 다른 한 면으로 상기 광입사부의 한 면에 대향하는 다른 한 면을 포함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는 것인, 도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도광필름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광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KR1020170120179A 2016-09-21 2017-09-19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KR101854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83 2016-09-21
KR20160120983 2016-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83A KR20180032183A (ko) 2018-03-29
KR101854914B1 true KR101854914B1 (ko) 2018-05-09

Family

ID=616896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75A KR101833998B1 (ko) 2016-09-21 2017-03-02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KR1020170120179A KR101854914B1 (ko) 2016-09-21 2017-09-19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KR1020170122031A KR20180032207A (ko) 2016-09-21 2017-09-21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및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75A KR101833998B1 (ko) 2016-09-21 2017-03-02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31A KR20180032207A (ko) 2016-09-21 2017-09-21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23903B2 (ko)
EP (1) EP3517826B1 (ko)
KR (3) KR101833998B1 (ko)
CN (1) CN109964078A (ko)
WO (1) WO2018056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31B1 (ko) * 2018-04-27 2019-08-13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CN108916815A (zh) * 2018-08-10 2018-11-30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汽车信号灯及汽车
US20220052229A1 (en) * 2018-09-17 2022-02-17 Lumens Co., Ltd.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implementing surface light source, light-emitt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4545539A (zh) * 2020-11-11 2022-05-27 梅姆斯莱克斯 出光部件和其制造方法及包含其的照明单元
CN113028355B (zh) * 2021-03-23 2022-01-07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光学组件、照明光学装置和车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307A (ja) 2003-03-27 2004-10-21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11527818A (ja) 2008-07-10 2011-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弾性導光材
JP2012234846A (ja) 2012-09-06 2012-11-29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2013229153A (ja) 2012-04-25 2013-11-0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4112487A (ja) 2012-12-05 2014-06-19 Sumitomo Chemical Co Ltd 導光板
JP5686965B2 (ja) 2008-11-17 2015-03-1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フレキシブルな導光フィルムを利用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15102714A (ja) 2013-11-26 2015-06-04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合波部材、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画像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162A (en) * 1987-12-16 1993-03-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nar polymer light guide methods and apparatus
WO1999057602A1 (fr) 1998-04-30 1999-11-11 Nippon Zeon Co., Ltd. Plaque de conduction de lumiere
JP3760658B2 (ja) 1999-03-05 2006-03-29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器、表示装置及び光通信装置
JP2005353599A (ja) 2004-06-11 2005-12-22 Valeo Vision 光ガイドを有する自動車用の照明装置または信号装置
KR200413480Y1 (ko) 2006-01-05 2006-04-07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자동차용 조명기구
KR20080057595A (ko) * 2006-12-20 2008-06-25 한국기술평가 주식회사 유연한 면광원 장치
KR100882801B1 (ko) 2007-04-25 2009-02-09 박휴완 도광판 조명장치
KR101345384B1 (ko) 2007-11-16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 부재와 이를 적용한 조명장치 및 도광 부재의제조방법
JP2009252695A (ja) 2008-04-10 2009-10-2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ランプ
US20100246200A1 (en) 2009-03-30 2010-09-30 Osram Sylvania Inc. Automotive taillight light guide
JP5504715B2 (ja) 2009-07-07 2014-05-2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照明装置
US20110026273A1 (en) 2009-07-31 2011-02-03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Optical coupling device for light guiding film
CN101666466B (zh) * 2009-09-30 2011-02-02 陈蛟 一种导光板、导光装置以及发光装置
CN201845091U (zh) * 2010-09-14 2011-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导光构件及包括该导光构件的电子装置
DE102010061210A1 (de) * 2010-12-14 2012-06-14 Hella Kgaa Hueck & Co. Leuchte für Fahrzeuge
US8998478B2 (en) * 2011-04-20 2015-04-07 Rambus Delaware Llc Lighting assembly
JP2013089597A (ja) * 2011-10-13 2013-05-13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多面光入力端を有する導光フィルム
CN102692673B (zh) * 2012-06-20 2014-09-03 丹阳博昱科技有限公司 一种用掩模板制作大版导光片的方法
JP6203519B2 (ja) * 2012-09-13 2017-09-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2142039B1 (ko) 2012-11-14 2020-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WO2014098436A1 (ko) * 2012-12-17 2014-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유닛
DE102013105261B4 (de) * 2013-05-23 2022-12-01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ITTV20130134A1 (it) * 2013-08-19 2015-02-20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Fanale automobilistico
JP2013243162A (ja) 2013-08-29 2013-12-05 Sharp Corp 車両用前照灯
KR102173117B1 (ko) 2014-03-13 2020-1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유닛
DE102014206593A1 (de) * 2014-04-04 2015-10-0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leuchte mit Wischeffekt
KR102213069B1 (ko) 2014-06-02 2021-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20160000547U (ko) 2014-08-06 2016-02-16 (주)엘이디스튜디오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조명장치
KR101484115B1 (ko) 2014-10-23 2015-01-21 서규선 Led를 이용한 감속감응형 차량용 보조 브레이크등
JP6548887B2 (ja) 2014-10-24 2019-07-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60112193A (ko) 2015-03-18 2016-09-28 김태분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도광판을 갖는 led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307A (ja) 2003-03-27 2004-10-21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11527818A (ja) 2008-07-10 2011-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弾性導光材
JP5686965B2 (ja) 2008-11-17 2015-03-1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フレキシブルな導光フィルムを利用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13229153A (ja) 2012-04-25 2013-11-0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234846A (ja) 2012-09-06 2012-11-29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2014112487A (ja) 2012-12-05 2014-06-19 Sumitomo Chemical Co Ltd 導光板
JP2015102714A (ja) 2013-11-26 2015-06-04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合波部材、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画像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826A1 (en) 2019-07-31
CN109964078A (zh) 2019-07-02
EP3517826B1 (en) 2023-12-27
WO2018056535A1 (ko) 2018-03-29
EP3517826A4 (en) 2020-06-03
KR101833998B1 (ko) 2018-03-08
US20190377127A1 (en) 2019-12-12
US10823903B2 (en) 2020-11-03
KR20180032183A (ko) 2018-03-29
KR20180032207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914B1 (ko)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US9890916B2 (en) Lamp unit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9903999B2 (en) Light assembly for illuminating an emblem
US20060044825A1 (en) Lamp for vehicle
TWI662224B (zh) Led車載線形發光模組
US9470389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fitting, and vehicle
CN110260263B (zh) 车载双功能发光模块及车载双功能照明灯组
JP2016195097A (ja) 自動車用照明装置
JP2001067919A (ja) 面状光源ユニット
KR101850063B1 (ko)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KR101966100B1 (ko)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KR20150108212A (ko)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JP2008097998A (ja) 面発光装置
US10663133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3D fiber optics
CN110293904B (zh) 一种换挡发光面板及车辆
JP6046015B2 (ja) 面状照明装置
CN214890959U (zh) 发光装置及车灯
CN114446178A (zh) 显示盖板
CN115435295A (zh) 发光装置及车灯
CN116265805A (zh) 发光模组
WO2021099789A1 (en) Uniform lighting device
KR101790050B1 (ko) 발광소자 어레이
CN117836557A (zh) 光学构件、照明装置和具有该光学构件的车灯
KR20210143482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CN115298839A (zh) 照明模块及包括其的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