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039B1 -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039B1
KR102142039B1 KR1020130138469A KR20130138469A KR102142039B1 KR 102142039 B1 KR102142039 B1 KR 102142039B1 KR 1020130138469 A KR1020130138469 A KR 1020130138469A KR 20130138469 A KR20130138469 A KR 20130138469A KR 102142039 B1 KR102142039 B1 KR 10214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film
light
guide plat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697A (ko
Inventor
홍주혜
민주훈
김병구
김진련
박민수
한미진
고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6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평판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은, 면 대향하는 복수 개의 도광 필름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도광 필름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구비한 도광판;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변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은, 절반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 두 장을 합착한 구조로서, 단일층으로 제작한 도광판에 비해서 더 향상된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및 플렉서블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Flexible Back Light Unit Having Flexible Light Guide Film For The Flexible Flat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서블 평판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얇은 두 장의 도광 필름을 유연성이 높은 접착층으로 합착한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백 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대별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고 도광판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이하 "LED: Light Emit Diode"라 함)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LED를 액정표시패널의 일측면에 장착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가 박형화에 더욱 적합하여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2), 액정표시패널(12)의 아래에 배치되는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2)은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며, 어떠한 액정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15), 도광판(16), 및 다수의 광학시트(14)를 포함하여 광원(15)으로부터의 빛을 도광판(16)과 광학 시트들(14)을 통해 균일한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표시패널(12)에 빛을 조사한다. 광원(15)은 도광판(16)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대응하여 도광판(16)의 측면에 빛을 조사한다. 광학 시트들(14)은 1 매 이상의 프리즘 시트와 1 매 이상의 확산시트를 포함하여 도광판(14)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하고 액정표시패널(12)의 광입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빛의 진행경로를 굴절시킨다. 광학 시트들(14)은 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원(15)과 도광판(16)의 아래에는 커버 보텀(17)이 배치된다. 커버 보텀(17)은 특히 그 내측 표면에 빛 반사율이 높은 재질을 적용하여 도광판(16)의 하면으로 누출되는 빛을 액정표시패널(12)로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 좋다. 또는, 커버 보텀(17)의 내측 표면에 반사판(18)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보텀(17)은 광원(15)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방출할 수 있도록 높은 열 전도율과 고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한다. 일 예로, 커버 보텀(17)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스테인리스(SUS), 갈바륨(SGLC), 알루미늄도금강판(일명 ALCOSTA), 주석도금강판(SPTE) 등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판에는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고전도율 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2)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패널(13)과 탑 케이스(11)가 배치된다. 가이드 패널(13)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등의 합성수지 내에 유리섬유가 혼입된 직사각형 몰드 프레임으로써 액정표시패널(12)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감싸고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싼다. 이 가이드 패널(13)은 액정표시패널(12)을 지지하고 액정표시패널(12)과 광학 시트들(14)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탑 케이스(11)는 아연도금강판 등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가이드 패널(13)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패널(13) 및 커버 보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후크나 스크류로 고정된다.
특히,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6)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LED 광원(LED)을 구비한다. LED 광원(LED)은 커버 보텀(17)의 하단변 측면에 광원 구동 회로기판(20)에 장착되어, 도광판(16)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더욱 얇게 제작하고, 각 구성 요소들에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을 적용하여 플렉서블 액정 표시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특히,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광원(15), 도광판(16), 광학 시트(14), 그리고 반사판(18)의 재질 및 두께를 조절하여 플렉서블한 백 라이트 유닛을 개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필름형태를 갖는 광학 시트(14)나 반사판(18)은 유연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두께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광원(15)과 도광판(16)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광원(15)에 LED를 적용하여 광원을 작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에서는 광원(15)인 LED가 일측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LED가 배열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도광판(16)의 경우 유연성을 향상하는 것이 쉽지 않다.
광원(15)에 LED 광원(LED)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백 라이트 유닛용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는 LED 광원(LED)의 크기는 최소 0.8mm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이 경우, 도광판(16)의 두께는 LED 광원(LED)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꺼워야 한다. 따라서, 현재 주로 사용하는 도광판(16)은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0.8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단일판으로 제조 및 공급되고 있으며, 이는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혹은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를 개발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광원의 높이를 수용하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유연성을 확보한 도광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를 절반으로 줄인 도광 필름 두 장을 합착하여, 광원인 LED의 두께에 상응하면서 유연성을 더 향상시킨 도광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은, 면 대향하는 복수 개의 도광 필름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도광 필름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구비한 도광판;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변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제1 도광 필름; 상기 제1 도광 필름과 면 대향하는 제2 도광 필름; 그리고 상기 제1 도광 필름과 상기 제2 도광 필름을 합착하기 위해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 도광 필름과 면 대향하는 제3 도광 필름; 그리고 상기 제2 도광 필름과 상기 제3 도광 필름을 합착하기 위해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복수 개의 도광 필름들보다 유연성이 더 높으며, 상기 도광 필름들 사이에서 광 전달성이 우수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 필름들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Zeonor(Zeon-Arton) 수지 및 PC(Polycabonate)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된 집광 렌즈 패턴;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두께는 상기 광원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은 절반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 두 장을 합착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단일층으로 제작한 도광판에 비해서 더 향상된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및 플렉서블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장의 도광 필름 사이에 유연성이 더 높은 접착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도광판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반 두께를 갖는 도광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롤(Roll) 형태로 공급하고, 롤 방식으로 두 장의 도광 필름을 합착하여 다시 롤 방식으로 도광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도광판을 제조함으로써, 제조 공정 및 도광판 수송, 저장 및 대량 생산 적용이 용이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도광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 사이에는 접착층(ADH)이 개재되어 이 두 도광 필름들을 합착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제1 도광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의 전체 두께의 약 1/2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사용하는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에서 두께가 0.8mm인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광판(PL)의 두께는 최소 0.8mm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도광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은 0.4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 얇은 두께로 제작된 플렉서블 필름의 곡률 반경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3839518-pat00001
여기서, εf는 플렉서블 필름의 탄성 파괴 한도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d는 플렉서블 필름의 두께를, r은 플렉서블 필름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수학식 1에 의하면,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εf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두께 d가 얇아질수록 곡률 반경 r도 작아진다. 즉, 도광 필름을 얇게 만들수록 유연성은 비례하여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제1 도광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은 PMMA(메타크릴산 메틸; 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Zeonor(Zeon-Arton) 수지 및/또는 PC(Polycabonate) 수지와 같은 유기물질로 만든다. 따라서, 0.8mm의 도광판보다, 0.4mm의 도광 필름은 곡률 반경이 두께에 비례하여 줄어드므로 (1/2로 줄어든다), 유연성이 더 높아진다.
그리고 제1 도광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 사이에는 도광 필름의 물질보다도 유연성 및/또는 탄성이 더 우수한 베이스 물질을 갖는 접착층(ADH)이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광 필름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의 재질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Zeonor(Zeon-Arton) 수지 및 PC(Polycabonate)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로 분자량이 1만 이상이다. 반면에, 접착층(ADH)의 재질은 자외선 경화 레진(resin) 물질로 비교적 분자량이 적은 모노머(monomer) 혹은 올리고머(oligomer)로서 분자량이 수십 ~ 수천 정도이다. 즉, 접착층(ADH)은 분자 가교도가 도광 필름들보다 낮아서 유연성이 높은 성질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은 0.8mm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동일한 두께(0.8mm)를 갖지만 하나의 층으로 만들어진 종래 기술에 의한 도광판보다 훨씬 더 우수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광판과 동일한 두께를 갖더라도, 동일한 휨 스트레스를 가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의 중간에 삽입된 접착층(ADH)에서 휨 스트레스를 흡수하기 때문에 더 많이 휘어질 수 있다.
0.4mm짜리 도광 시트는 롤 형태로 저장 및 운송이 가능할 정도로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도광 필름'으로 표현하였고, 0.8mm짜리 도광 시트는 유연성이 높지 않아 롤 형태보다는 편평한 판 형태로 저장 및 운송하므로 '도광판'으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0.4mm 두께의 '도광 필름' 2장을 합착(Laminating)하여 0.8mm 도광 시트를 형성하는데, 두께의 측면에서 '도광판'으로 서술하지만, 특성은 필름과 같이 유연성이 높아서 롤 방식으로 저장 및 운송할 수 있는 '필름'의 성질을 갖는다.
두께를 절반으로 줄인 도광 필름(PL1, PL2)은 두께가 2배인 도광판에 비해서 유연성이 2배 향상된다. 따라서, 두께를 절반으로 줄인 도광 필름(PL1, PL2)은 롤(Roll) 형태로 만들어서, 운송, 저장,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롤 공정을 이용하여, 두 장의 도광 필름을 합착함으로써, 롤 형태로 최종 도광판을 제조, 저장, 운송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0.4mm의 도광 필름을 롤 형태로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1 도광 필름 롤(R1)에서 제1 도광 필름(PL1)을 공급하면서, 접착제 도포 장치(IJ)를 이용하여 상층면에 접착층(ADH)을 도포한다. 제1 필름 롤(R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도광 필름(PL1)은 제1 필름 롤(R1)에서 풀리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도 4a)
제1 도광 필름(PL1)의 상부에는 제2 도광 필름 롤(R2)에서 제2 도광 필름(PL2)을 공급하여, 제1 도광 필름(PL2)과 합착(Laminating) 시킨다. 합착은 합착 롤(CR)을 이용하여 합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열을 가하여 합착할 수도 있다. 가열이 필요한 경우 합착 롤(CR) 자체에서 필요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이 합착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도 제품 롤(FR)에 감아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도 4b)
필요하다면, 최종 도광판(PL)의 일측면에는 반사 및 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 패턴(PAT)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광 필름(PL1)의 하면에 반사 패턴(PAT)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 패턴(PAT)의 형성 과정도 롤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PL)을 공급 롤(Ra)에서 저장 롤(Rb)로 이송하면서, 패턴 형성기(CUT)를 이용하여 제1 도광 필름(PL1) (혹은, 제2 도광 필름(PL2))의 배면에 반사 및 확산 패턴(PAT)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롤러 시스템에서,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이 합착 이후에 패턴 형성기(CUT)를 설치하여 반사 패턴(PAT)을 형성한 후, 제품 롤(FR)에 감아서 완성할 수도 있다. (도 4c)
최종적으로 완성된 도광판(PL)도 롤에 말아서 완성하고, 저장,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롤 공정을 이용하여 필요한 크기에 맞추어 도광판을 재단하여 백 라이트 유닛을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도광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PL)과 그 일측변에 배치된 광원(LS)을 포함한다. 광원(LS)은 광원 하우징(LP)에 의해 고정되고 도광판(PL)의 일측변에 고정 및/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광판(PL)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 사이에는 접착층(ADH)이 개재되어 이 두 도광 필름들을 합착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PL)은 높은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광원(LS)으로부터 빛을 효율적으로(손실이 거의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광원(LS)과 거의 유사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광판(PL)의 두께는 유연성과 상반되는 성질을 갖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광판(PL)을 두 장의 도광 필름 즉,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으로 구성한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Zeonor(Zeon-Arton) 수지 및/또는 PC(Polycabonate)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ADH)은 제1 도광 필름(PL1) 및 제2 도광 필름(PL2)보다 유연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도광 필름(PL1)과 상기 제2 도광 필름(PL2) 사이에서 광 전달성 및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접착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OCA는 탄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로서, 합착된 제1 도광 필름(PL1)과 제2 도광 필름(PL2)의 유연성을 더욱 증강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도광판(PL)으로서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패널과 면 대향하는 제1 도광 필름(PL1)의 상부 표면에는 렌티큘라 렌즈 패턴(LT)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하부에 부착되는 제2 도광 필름(PL2)의 하부 표면에는 제1 도광 필름(PL1)의 상부 표면 쪽으로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 패턴(PAT)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티큘라 렌즈 패턴(LT)은 반구형 렌즈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반원통형 렌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리즘과 같은 형상을 비롯한 집광 효율이 높은 광학적 형상 및/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반사 패턴(PAT)은 도광판(PL)과 면 대향하는 액정 표시패널 쪽으로 빛을 반사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물질을 도포한 반사층일 수 있다. 혹은, 소형의 원판 모양이 다수 개 배열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작은 톱니 혹은 프리즘과 같은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도광판(PL)이 두 장의 도광 필름들(PL1, PL2)이 서로 면 합착한 경우로 설명하였다.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두 장 이상의 도광 필름들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서로 면 합착한 다층 구조의 도광판(PL)을 형성할 수도 있다. 빛의 입사 효율을 고려하면, 다층 구조의 도광판(PL)을 형성하더라도, 빛을 입사하는 측면의 두께는 광원(LS)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1: 탑 케이스 12: 액정표시패널
13: 가이드 패널 14: 광학시트
15: 광원 16: 도광판
17: 커버 보텀 18: 반사판
PL: (필름 특성의) 도광판 ADH: 접착층
PL1: 제1 도광 필름 PL2: 제2 도광 필름
R1: 제1 롤 R2: 제2 롤
CR: 합착 롤 FR: 최종 제품 롤
Ra: 공급 롤 Rb: 저장 롤
PAT: 반사 패턴 LT: 렌티큘라 렌즈 패턴
LS: 광원 LP: 광원 하우징

Claims (7)

  1.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제1 도광필름,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제2 도광필름, 및 상기 제1 도광필름의 하면과 상기 제2 도광필름의 상면 사이에 접촉배치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도광판; 및
    상기 제1 도광필름의 상면과 상기 제2 도광필름의 하면을 연결하는 상기 도광판의 일측변에 배치된 입사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나의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제1 도광필름, 제2 도광필름 및 접착층의 일측변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사면의 두께는 상기 광원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 도광필름과 면 대향하는 제3 도광필름; 그리고
    상기 제2 도광필름과 상기 제3 도광필름을 합착하기 위해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도광 필름들보다 유연성이 더 높으며, 상기 도광 필름들 사이에서 광 전달성이 우수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들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 Zeonor(Zeon-Arton) 수지 및 PC(Polycabonate)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필름의 상면 상에 배치된 집광 렌즈 패턴, 그리고
    상기 제2 도광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된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두께는 상기 광원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KR1020130138469A 2012-11-14 2013-11-14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KR102142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150 2012-11-14
KR20120129150 2012-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697A KR20140062697A (ko) 2014-05-26
KR102142039B1 true KR102142039B1 (ko) 2020-08-07

Family

ID=5089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469A KR102142039B1 (ko) 2012-11-14 2013-11-14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834B1 (ko) * 2015-10-15 2022-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3517826B1 (en) 2016-09-21 2023-12-27 EXA Electronics Co., Ltd. Lighting member using light-guid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9A (ko) *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용 도광판
KR20100090915A (ko) * 2009-02-09 2010-08-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도광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1088216A2 (en) * 2010-01-13 2011-07-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llumination device having viscoelastic light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697A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1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US10317582B2 (en)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10481308B2 (en)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optical film
US20140126238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503009B2 (en) Integrated polarizer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tegrated with the same polarizer film
US10088127B2 (en) Member for controlling luminous flux, method for fabricating the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member
US8118469B2 (en) Surface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5428313B2 (ja) 光均一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048152A (ja) 光学シートおよび光学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105717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42039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US20070279739A1 (en) Polarization converting light guide pane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978717B2 (ja)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エッジライト方式の導光板、ディスプレイ装置
CN106687855A (zh) 显示装置
KR10196533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EP2834553B1 (en) Member for cotrolling luminous flux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M342521U (en) Optical components for backlight module
JP5109384B2 (ja) 光学シート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JP2010032908A (ja) 光学板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32894A (ja) 光均一デバイス、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107408A (ko) 도광 필름을 이용한 도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W201202614A (en) Light-emitting unit and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JP2007047303A (ja) 液晶表示装置
TW200921213A (en) Backlight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TWM382500U (en) Light source body of side light type backlight module, light guiding board and the light source of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