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331B1 -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 Google Patents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331B1
KR102010331B1 KR1020180049154A KR20180049154A KR102010331B1 KR 102010331 B1 KR102010331 B1 KR 102010331B1 KR 1020180049154 A KR1020180049154 A KR 1020180049154A KR 20180049154 A KR20180049154 A KR 20180049154A KR 102010331 B1 KR102010331 B1 KR 10201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ctric vehicle
pcb
light source
l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04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에 있어서, 전기차의 뒷면유리 내측에 보조 제동등(10)을 부착설치하기 위한 렌즈커버(20)와, LED 광원(90)이 설치되어 전기차의 제동상태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기하기 위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PCB(40)와, PCB(40)의 제어하에 발광하는 LED 광원(90)의 빛을 통과시켜 전기차의 후방으로 LED 광원(90)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판(30)과,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한 한 번의 체결로 고정하여 서브 어셈블리(80)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서브 어셈블리(80)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하우징(70)이 구성디어 보조 제동등(10)을 구성하는 브래킷(50), 투광판(30), PCB(40), 렌즈커버(20)를 하나의 체결나사(60)에 의해 체결고정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고, 체결나사(60)에 의한 조립시에 체결나사(60)의 위치가 LED 광원(90)의 조사각도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간섭없이 체결나사(60)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차에 설치된 보조 제동등(10)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ASSISTANT BRAKE LAMP FOR ELECTRONIC VEHICLE WITH LIGHT GUIDE FILM MODU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에는 차량의 제동 상황을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등이 구비되며 식별력 및 인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제동등이 차량의 후방 유리부분에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조 제동등은 브레이크등과 동일하게 작동되며 운전자가 차량의 감속을 위하여 풋브레이크를 가압하면 상기 풋브레이크의 압력을 감지하여 브레이크등과 함께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최근 들어서는 LGF(Light Guide Film, 광가이드 필름) 모듈을 적용한 보조 제동등이 출시되면서 면발광과 같이 다양한 발광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보조 제동등은 LED 광원의 빛 간섭으로 인해 조립과정에서 체결나사를 체결할 수 없어 일일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등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한번 최근 들어 전기차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차들은 아직 충전 시설이 많이 않아 항상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외부에서도 쉽게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8514호, '보조제동등 장착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제동등의 조립과정에서 LED의 빛간섭 없이 한 번의 체결과정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차에 설치되는 보조 제동등이 본래의 기능과 함께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에 있어서, 전기차의 뒷면유리 내측에 보조 제동등(10)을 부착설치하기 위한 렌즈커버(20)와, LED 광원(90)이 설치되어 전기차의 제동상태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기하기 위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PCB(40)와, PCB(40)의 제어하에 발광하는 LED 광원(90)의 빛을 통과시켜 전기차의 후방으로 LED 광원(90)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판(30)과,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한 한 번의 체결로 고정하여 서브 어셈블리(80)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서브 어셈블리(80)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하우징(7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 제동등을 구성하는 브래킷, 투광판, PCB, 렌즈커버를 하나의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고정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으며, 체결나사에 의한 조립시에 체결나사의 위치가 LED 광원의 조사각도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간섭없이 체결나사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차에 설치된 보조 제동등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의 사시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광원과 체결나사의 조립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CB의 설치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판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보조 제동등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10)은 전기차의 뒷면유리 내측에 보조 제동등(10)을 부착설치하기 위한 렌즈커버(20)와, LED 광원(90)이 설치되어 전기차의 제동상태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기하기 위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PCB(40)와, PCB(40)의 제어하에 발광하는 LED 광원(90)의 빛을 통과시켜 전기차의 후방으로 LED 광원(90)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판(30)과,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한 한 번의 체결로 고정하여 서브 어셈블리(80)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서브 어셈블리(80)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하우징(70)이 구성된다.
상기 렌즈커버(20)는 보조 제동등(10)을 전기자동차의 뒷면 유리 내측에 부착설치하기 위한 양면접착제(22)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PCB(Printed Circuit Board)(40)는 LED 광원(90)이 설치되어 브레이크등과 함께 전기차의 제동시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충전상태정보를 전달바라 LED 광원(90)의 순차적인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차 내부 뒷면유리에 보조 제동등(10)이 설치되며 뒷면유리의 곡선면을 따라 보조 제동등(10)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보조 제동등(10) 내에 설치되는 PCB(40)의 길이를 반으로 절단하여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갖도록 하여 뒷면유리에 밀착력있게 보조 제동등(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PCB(40)를 양측으로 분리구성한 상태에서 제어신호 송수신을 위해 FPCB(Flexible PCB)(42)로 양측 PCB(40)를 연결하도록 한다.
보조 제동등(10)에 설치되는 PCB(40)를 양단으로 분리구성하여 곡선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렌즈커버(20), 투광판(30), 브래킷(50)도 동일한 곡선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판(30)은 LED 광원(90)의 빛을 통과시켜 면발광과 같은 발광패턴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투광판(30)을 LGF(Light Guide Film, 광가이드 필름)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제동등(10)이 브레이크등과 함께 전기차의 제동시 발광되도록 함과 함께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판(30)을 분리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투광판(30)을 다수의 블록 단위로 설치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10개의 투광판(30)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6을 참조하면, 투광판(30)을 다수의 구획으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투광판(30)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에는 다수의 격벽(52)에 의해 설치공간부(54)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52)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인근하는 LED 광원(90) 간의 빛 간섭을 차단하게 되며 빛 번짐 현상이 없어진다.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조 제동등(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투광판(30)을 통해 점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제어하여야 하며, 격벽(52)이 없거나 일체로 형성된 투광판(30)을 설치하게 되면 LED 광원(90)의 빛이 조사각도 전체로 퍼져 배터리 충전상태 확인을 위한 보조 제동등(10)의 발광상태 식별이 어렵게 된다.
다수의 투광판(30)을 분리설치한 후 이웃하는 투광판(30) 간의 빛 퍼짐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52)을 브래킷(50)에 형성함으로써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보조 제동등(10)이 점차적으로 발광됨에 따라 외부에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한번의 체결과정으로 고정할 수 있어 보조 제동등(10)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체결나사(60)에 의해 렌즈커버(20), 투광판(30), PCB(40), 브래킷(50)을 하나의 서브 어셈블리(80)형태로 체결고정하는 것이며, 이때 투광판(30)에도 체결나사(60)가 통과함에 따라 투광판(30)을 통과하는 LED 광원(90)의 빛이 체결나사(60)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도 4를 보면, 투광판(30)의 후미에는 다수의 LED 광원(90)이 PCB(40) 상에 설치되고 LED 광원(9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는 각도를 고려하여 빛의 진행에 체결나사(60)가 걸리지 않도록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체결나사(60)를 체결하게 된다.
종래의 보조 제동등(10)에서는 투광판(30), PCB(40), 브래킷(50) 등을 조립하기 위해 양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하나씩 고정함에 따라 작업공정이 복잡한 것이었다.
이는 투광판(30)을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고정하게 되면 LED 광원(90)의 빛이 체결부재에 걸려 보조 제동등(10)에 그림자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커버(20), 투광판(30), PCB(4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해 한번의 공정으로 체결고정하기 위해 체결나사(60)가 체결되는 위치가 이웃하는 LED 광원(90)의 조사각도를 벗어나도록 한다.
즉, 체결나사(60)에 의한 체결고정 위치를 LED 광원(90)의 조사각도(예를 들어 좌우 120°)를 고려하여 그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체결나사(60)를 고정함으로써 보조 제동등(10)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해 체결고정하여 서브 어셈블리(80) 형태로 조립한 후 상기 서브 어셈블리(80)와 하우징(70)을 클립(72)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조립된 보조 제동등(10)은 전기차 내부의 뒷면 유리에 부착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하우징(70)의 클립(72)에 의한 고정력으로도 충분함에 따라 나사체결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요구하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보조 제동등 (20)-- 렌즈커버
(22)-- 양면접착제 (30)-- 투광판
(40)-- PCB (42)-- FPCB
(50)-- 브래킷 (52)-- 격벽
(54)-- 설치공간부 (60)-- 체결나사
(70)-- 하우징 (72)-- 클립
(80)-- 서브 어셈블리 (90)-- LED 광원

Claims (1)

  1.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에 있어서,
    전기차의 뒷면유리 내측에 보조 제동등(10)을 부착설치하기 위한 렌즈커버(20)와,
    LED 광원(90)이 설치되어 전기차의 제동상태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기하기 위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PCB(40)와,
    PCB(40)의 제어하에 발광하는 LED 광원(90)의 빛을 통과시켜 전기차의 후방으로 LED 광원(90)을 발광시키기 위한 LGF(Light Guide Film, 광가이드 필름) 모듈 소재의 투광판(30)과,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으로 구성되되, 투광판(30)을 다수의 구획으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투광판(30)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50)에는 인근하는 LED 광원(90) 간의 빛 간섭을 차단하여 빛번짐 현상이 없도록 다수의 격벽(52)에 의해 설치공간부(54)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커버(20), PCB(40), 투광판(30), 브래킷(50)을 체결나사(60)에 의한 한 번의 체결로 고정하여 서브 어셈블리(80) 형태로 조립되되, 체결나사(60)에 의한 체결고정 위치를 이웃하는 LED 광원(90)의 조사각도를 벗어나는 위치에 체결나사(60)를 체결하여 고정되며,
    상기 서브 어셈블리(80)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하우징(70)과,
    서브 어셈블리(80)와 하우징(70)을 고정하는 클립(7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KR1020180049154A 2018-04-27 2018-04-27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KR10201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154A KR102010331B1 (ko) 2018-04-27 2018-04-27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154A KR102010331B1 (ko) 2018-04-27 2018-04-27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331B1 true KR102010331B1 (ko) 2019-08-13

Family

ID=6762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154A KR102010331B1 (ko) 2018-04-27 2018-04-27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3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68A (ja) * 1994-05-16 1995-11-28 Daihatsu Motor Co Ltd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0277820Y1 (ko) * 2002-02-15 2002-06-14 유준호 자동차의 표시등
KR20050068514A (ko)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제동등 장착구조
JP3185872U (ja) * 2013-06-26 2013-09-05 鴻鈞交通器材有限公司 車用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180032207A (ko) * 2016-09-21 2018-03-29 유트로닉스주식회사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및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68A (ja) * 1994-05-16 1995-11-28 Daihatsu Motor Co Ltd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0277820Y1 (ko) * 2002-02-15 2002-06-14 유준호 자동차의 표시등
KR20050068514A (ko)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제동등 장착구조
JP3185872U (ja) * 2013-06-26 2013-09-05 鴻鈞交通器材有限公司 車用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180032207A (ko) * 2016-09-21 2018-03-29 유트로닉스주식회사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및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105B2 (en)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EP2194311B1 (en) Vehicle lamp
CN106257136B (zh) 车灯以及相关的制造方法
CN108361651B (zh) 具有装在集成有透明放大屏的支撑件上的光导的照明装置
CN106195850B (zh) 具有分担用于将一个光照功能安置在另一个光照功能中的光源支撑板的车辆光学单元
JP6561053B2 (ja) 光源からオフセットされた発光要素を備える、特に自動車の照明部材のための照明システム
AU2014307140B2 (en) Compact lighting system with LEDs
KR102010331B1 (ko)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US10066805B1 (en) Multi-function vehicle light assembly
CN211260663U (zh) 车辆用灯具
US10670218B2 (en) Electrical device for a vehicle running board
CN110131669B (zh) 机动车辆的照明和/或发光信号装置
KR102005271B1 (ko) Lgf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KR20170007922A (ko) 차량용 조명장치
KR102411791B1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JP7280555B2 (ja) 照明器具
CN110220163B (zh) 包括具有光导光子输出限制肋的遮蔽件的车辆照明装置
KR102246802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JP745563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CN211289911U (zh) 车辆照明灯
JP2009252590A (ja) 車両用灯具
US20220186899A1 (en)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US20110058386A1 (en) Integrated element for the illumination of a number plate and for the opening of a door of a vehicle
KR20230128343A (ko) 차량 램프용 조명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