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820Y1 - 자동차의 표시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820Y1
KR200277820Y1 KR2020020004489U KR20020004489U KR200277820Y1 KR 200277820 Y1 KR200277820 Y1 KR 200277820Y1 KR 2020020004489 U KR2020020004489 U KR 2020020004489U KR 20020004489 U KR20020004489 U KR 20020004489U KR 200277820 Y1 KR200277820 Y1 KR 200277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indicator
emitting diodes
transpar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유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호 filed Critical 유준호
Priority to KR202002000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820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의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을 유연성 투명본체 내부로 매몰시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투명본체를 투과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보조 방향지시등이나 보조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향표시등과 브레이크등의 사용에 따른 앞차운전자의 메세지를 뒷차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된 자동차의 표시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표시등{SIGNAL LAMP FOR CAR}
본고안은 자동차의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을 유연성 투명본체 내부로 매몰시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투명본체를 투과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보조 방향지시등이나 보조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향표시등과 브레이크등의 사용에 따른 앞차운전자의 메세지를 뒷차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된 자동차의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표시등은 운전자의 진행방향을 알리기 위한 방향표시등과 차량의 정지를 알리기 위한 브레이크등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시등은 자동차의 크기에 비해 너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앞차 운전자의 메세지를 뒷차의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방향표시등과 브레이크등의 사용에 따른 앞차운전자의 메세지를 뒷차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을 유연성 투명본체 내부로 매몰시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투명본체를 투과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보조 방향지시등이나 보조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표시등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결사시도
도2는 본고안 표시등의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3은 본고안 표시등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4는 본고안 표시등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5는 본고안 표시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6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표시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투명본체 102-회로기판
103-발광다이오드 104-반사테이프
105-점착제층 106-이형지
107-전선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선(107)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을 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3)를 표면에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102)과,
상기 회로기판(102)및 발광다이오드(103)를 냐부로 매몰시켜 보호하면서 발광다이오드(103)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유연성 투명본체(101)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03)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회로기판(102)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반사테이프(104)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투명본체(101)를 자동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투명본체(101)의 저면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105)과,
상기 점착제층(105)을 보호하기 위해 임시로 부착되는 이형지(106)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표시등은 도7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차의 트렁크 또는 뒷범퍼 그리고 뒷 유리창등에 부착하여 사용을 보조적인 반향지시등 또는 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본고안의 표시등을 자동체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도1에 나타낸 바와같이 투명본체(101)의 저면으로 부착되어 있는 이형지(106)를 떼어낸다.
그리고, 상기 투명본체(101)저면의 점착제층(105)을 이용하여 투명본체(101)를 자동차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투명본체(105)는 유연성 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굴곡진 부위에도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등을 자동차에 부착한뒤에는 투명본체(101)일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선(107)을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본고안의 표시등을 보조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 자동차의 방향지시등과 연결되어 있는 전선과 연결을 시키고 본고안 표시등을 보조 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 자동차의 브레이크등과 연결되어 있는 전선과 연결을 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107)의 연결이 완료되면 투명본체(101)내부로 매몰되어 있는 회로기판(102)으로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회로기판(102)에 장착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을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의 표시등을 보조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경우 운전자가 방향표시등을 점등하게 되면 기존의 방향지시등과 동시에 본고안의 보조 표시등이 점멸되기 때문에 뒷차에게 앞차의 메세지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고안의 표시등을 보조 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기존의 브레이크등과 동시에 본고안의 브레이크등이 점등되기 때문에 뒷차에게 앞차의 메세지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고안 회로기판(102)의 표면에는 반사테이프(104)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103)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테이프(104)의 반사효과에 의해 발광다이오드(103)의 불빛을 더욱 선명하게 조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고안의 표시등은 회로기판(102)의 조작에 의해 여러 형태의 점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여러형태의 점등 수단은 전체점등, 전체 파노라마 형식의 점등, 부분 파노라마 형식의 점등을 할수 있게 된다.
상기 전체점등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을 기존의 표시등과 같이 동시에 점등 및 점멸시키는 수단이다.
그리고, 전체 파노라마 형식의 점등은 주로 본고안의 표시등을 보조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1열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이 점등을 한뒤 소등되면 다음 2열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이 점등을 한뒤 소등되는 수단으로 여려 열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서 보다 확실한 지시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분 파노라마 형식의 점등은 상기 전체 점등형식과 전체 파노라마 형식의 점등을 반반 섞어서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102)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3)들의 배열은 도3이나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1열로 배열을 할수도 있고 도4및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하여도 본고안의 목적에 부합된다.
또한, 본고안의 발광다이오드(103)는 녹색,청색,황색등의 빛을 발하기 때문에 이 또한 선택적인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을 유연성 투명본체 내부로 매몰시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투명본체를 투과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보조 방향지시등이나 보조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향표시등과 브레이크등의 사용에 따른 앞차운전자의 메세지를 뒷차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전선(107)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을 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3)를 표면에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102)과,
    상기 회로기판(102)및 발광다이오드(103)를 냐부로 매몰시켜 보호하면서 발광다이오드(103)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유연성 투명본체(1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표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03)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회로기판(102)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반사테이프(10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표시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본체(101)를 자동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투명본체(101)의 저면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105)과,
    상기 점착제층(105)을 보호하기 위해 임시로 부착되는 이형지(10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표시등.
KR2020020004489U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표시등 KR200277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89U KR200277820Y1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89U KR200277820Y1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820Y1 true KR200277820Y1 (ko) 2002-06-14

Family

ID=7311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489U KR200277820Y1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31B1 (ko) * 2018-04-27 2019-08-13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31B1 (ko) * 2018-04-27 2019-08-13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 모듈이 적용된 전기차용 보조 제동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669B1 (en) Flexible substrate mounted solid-state light sources for exterior vehicular lighting
US6840660B2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US5663707A (en) Signalling light visible through a rear view window of a vehicle
US20050237172A1 (en) Vehicle deceleration warning system
US6619824B1 (en) Warning strip for automobiles
US20080042822A1 (en) Indicating light of a car
US4613927A (en) Elevated signal indicator for a motor vehicle
JPS61160370A (ja) オートバイライダー用ブレーキランプ装置付き安全ヘルメツト
EP0940293A1 (en) Motor vehicle warning signal light assembly
CN101003264A (zh) 机动交通工具尾灯组件
US7808376B2 (en) Continuous enhanced vehicle hazard warning lights
US20100265057A1 (en) Attentive device applied to vehicles
US20050274050A1 (en) Moving condition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277820Y1 (ko) 자동차의 표시등
US20040057241A1 (en) Safety warning and winker light for vehicle
US20080224843A1 (en) LED Signal System for Truck
JP2005219566A (ja) 車両の挙動表示装置
US20040178903A1 (en) Helmet warning device
US20040090767A1 (en) Decorative electro-luminescent strip for automobiles
KR101054694B1 (ko) 차량의 리어 글래스 일체형 스톱 램프 및 그 제조방법
JP2767211B2 (ja) 合図灯
JP3113630U (ja) 補助照明装置付き乗り物
JP2718632B2 (ja) 追突防止装置
KR0124085Y1 (ko) 자동차 제조회사 및 차종 식별용 조명장치
KR200200203Y1 (ko) 자동차용 보조 안전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