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67B1 -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467B1
KR101854467B1 KR1020110091955A KR20110091955A KR101854467B1 KR 101854467 B1 KR101854467 B1 KR 101854467B1 KR 1020110091955 A KR1020110091955 A KR 1020110091955A KR 20110091955 A KR20110091955 A KR 20110091955A KR 101854467 B1 KR101854467 B1 KR 10185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scharge
seat
discharge le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646A (ko
Inventor
히로아끼 야마모또
신 히라따
다마끼 나까
데쯔지 나가따
다까유끼 오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09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54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9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19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9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21334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8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61Access devices for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설치한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의 식별성이 좋은 점을 확보하여, 조작 레버를 파지한 손의 엄지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을 초래할 우려가 적은 상태로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40)로, 좌우 방향에서의 조종 좌석측에 위치하는 횡측면(44A)에,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를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하고,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는,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은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은 수평 방향 또는 상기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레버를 목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파지부와 조작 스위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쉽게 하여, 조작 레버를 파지한 손의 엄지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이 적은 상태로 행하기 쉽게 하였다.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40)로, 좌우 방향에서의 조종 좌석측에 위치하는 횡측면(44A)에,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를 배치하고, 상기 파지부(40)의 후방면(45)측이고, 또한 상기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44A)측 부근의 개소에 요입부(46)를 형성하고 있고, 이 요입부(46)는 엄지에 의한 상기 조작 스위치(42, 42)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40)를 파지한 손의 엄지 볼록 부분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클러치를, 배출 레버의 적정량의 조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레인 탱크의 전방 위치에 엔진 커버(320)가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의 저부 근처에 배출 클러치가 배치되고, 엔진 커버(320)의 상면에 운전 좌석(312)이 배치되고, 이 운전 좌석(312)의 측부 위치에 배출 레버(3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 레버(318)의 조작력을 배출 클러치로 전달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F)가, 배출 레버(318)의 조작력을 전후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작동 로드(375)와, 이것에 연계하여 요동 축심(R) 주위에서 요동하는 요동체(374)와, 이 요동체(374)의 요동력을 배출 클러치에 대해 종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작동 로드(376)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OPERATING DEVICE OF COMBINE AND COMBINE}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로, 좌우 방향에서의 조종 좌석측에 위치하는 횡측면에,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 좌석과 엔진이 배치되고, 이들의 후방에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가 배치되고, 이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배출 클러치와, 이 배출 클러치의 단속을 인위적으로 행하는 배출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의 조작 장치로서는, 수동 변속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그 파지부를 파지한 손가락으로 누름 조작 가능한 얕게 빠짐 스위치와 깊게 빠짐 스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구조의 것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수동 변속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횡측부에, 횡방향에서 산형으로 돌출되는 산형상 돌기 부분을 설치하고, 그 횡방향의 산형상 돌기의 상측의 경사면에 얕게 빠짐 스위치를 설치하고, 산형상 돌기의 하측의 경사면에 깊게 빠짐 스위치를 설치하여,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로 각 스위치를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 문헌 2에는, 엔진으로부터 그레인 탱크의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가 구비되고, 이 배출 클러치를 조작하는 배출 레버(문헌에서는 클러치 레버)가, 운전 좌석에 좌측부의 후방 위치에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배출 레버를 온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에 도달하고 바닥 스크류 컨베이어와, 이것에 연동하는 언로더로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3897800호 공보(단락 [0027], 도 3, 도 5)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12058호 공보
상기와 같이, 수동 변속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그 파지부를 파지한 손가락으로 누름 조작 가능한 얕게 빠짐 스위치와 깊게 빠짐 스위치를 상하 방향에 배치한 구조의 것에서는,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파지한 채로, 얕게 빠짐 스위치와 깊게 빠짐 스위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수동 변속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이격하여 얕게 빠짐 스위치나 깊게 빠짐 스위치의 조작을 행한 후, 다시 수동 조작 레버를 다시 파지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동 변속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횡측부에 횡방향의 산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산형상 돌기의 상측의 경사면에 설치한 얕게 빠짐 스위치가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조작되고, 또한 산형상 돌기의 하측의 경사면에 설치한 깊게 빠짐 스위치가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조작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스위치가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각 스위치의 조작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개개의 스위치의 식별성이 양호해져, 오조작을 적게 하기 쉬운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조의 것에서는, 산형상 돌기의 상하 양측의 경사면으로 분류하여 설치된 각 스위치를,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로 조작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의 위치는 상하의 각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어떤 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편리하도록, 통상, 상하의 각 스위치의 중간 개소를 파지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이 위치는 산형상 돌기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양측의 경사면이 아니라, 그 중간에 위치하는 정상부 개소이므로,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주시하지 않고 감각적으로 파지하려고 할 때나, 변속 조작을 위해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전후 요동시켰을 때 등에, 엄지가 정상부로부터 조금 어긋나면 상하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측으로 미끄러지고, 그 경사면에 존재하는 조작 스위치를 잘못하여 조작해 버릴 가능성이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파지부의 횡측면은 매우 큰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개소이므로, 돌기의 경사면도 비교적 근접한 위치 관계로 되어, 빠짐 깊이 조절용 각 조작 스위치의 상하 간격을 넓게 설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로 인해, 수동 변속 조작 레버를 목시하지 않고, 엄지를 산형상 돌기의 정상부에 두고 파지부를 파지하려고 했을 때에, 각 스위치가 파지부의 어떤 위치에 있는 것인지가 파악하기 어렵고, 산형상 돌기의 정상부 근처에 위치하는 스위치에 엄지가 접촉해 버릴 우려가 있어, 결국, 육안에 의해 스위치의 위치를 일단 확인한 후 파지부를 파지하는 조작이 필요해져,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설치하는 데 있고, 각 조작 스위치의 식별성이 좋은 점을 확보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를 파지한 손의 엄지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을 초래할 우려가 적은 상태로 행하기 쉽게 한 콤바인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설치하는 데 있고, 조작 레버를 목시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파지부와 조작 스위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쉽게 하여, 조작 레버를 파지한 손의 엄지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을 초래할 우려가 적은 상태로 행하기 쉽게 한 콤바인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운전 좌석의 근방 위치에 배출 레버를 배치한 것에서는,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배출 레버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배출 레버의 조작에 의해 배출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만들기 위한 클러치 조작 기구에서는, 이 클러치 조작 기구가, 배출 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배출 클러치를 제어하는 부재를 필요량만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특히,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출 클러치가 벨트 텐션식으로 구성되는 것에서는, 배출 클러치를 제어하는 부재로서의 텐션 풀리의 작동 스트로크가 비교적 커지지만, 조작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조작 각도)가 확대되는 문제의 억제가 요망된다.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바닥 스크류를 구비한 것에서는, 바닥 스크류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는 배출 클러치도 차체의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대해, 운전 좌석은 전방의 시야를 좋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도, 엔진의 상방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배출 클러치도 운전 좌석 근방의 필연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부터, 배출 레버의 조작력에 의해 배출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기구가 배치되는 공간은 종방향으로 신장된 것으로 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엔진의 상방에 운전 좌석이 배치되는 것에서는, 엔진이 배치되는 공간을 피하는 영역에 클러치 조작 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해져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바인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클러치를, 배출 레버로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기구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조작 장치의 기술 수단은, 다음의 점에 구성상의 특징 및 작용 효과가 있다.
〔해결 수단 1〕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로, 좌우 방향에서의 조종 좌석측에 위치하는 횡측면에,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의 조작 장치이며,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는, 한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은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상기 한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1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횡측면에 배치된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의 상하 위치와 조작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조작 대상 스위치의 식별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예를 들어 파지부의 횡측면에 산형상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 빠짐 깊이 조절용 각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파지부의 횡측면이 매우 큰 산형상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개소이므로, 산형상 돌기의 경사면도 비교적 상하에서 근접한 위치 관계로 되어, 빠짐 깊이 조절용 각 조작 스위치의 상하 간격을 넓게 설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상기 해결 수단 1에서 나타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파지부의 횡측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한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은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상기 한쪽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설정하는 것이므로, 각 조작 스위치의 배치 위치가 전술한 산형상 돌기의 형성 개소 등으로 제한되는 일 없이, 각 조작 스위치의 상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하기 쉽다.
그리고, 상하의 각 조작 스위치는 그 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하의 어떤 조작 스위치를 조작해도 편리하도록, 파지부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는 상하의 각 조작 스위치의 중간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빠짐 깊이 조절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엄지에 의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의식하여 엄지를 상기 중간 개소로부터 원하는 조작 스위치의 존재 위치에 상하 방향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그 조작 스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누름 조작 방향을 향해 엄지에 의한 압입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빠짐 깊이 조절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빠짐 깊이 조절 조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각 조작 스위치의 중간 개소에 위치시키고 있던 엄지를, 의식적으로 원하는 조작 스위치의 존재 위치에 상하 방향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조작을 의식하여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중간 개소에 위치하고 있던 엄지가 다소 어긋나서 움직일 정도로 빠짐 깊이 조절이 행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고, 조작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의식한 엄지에 의한 의도적인 조작으로 정확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해결 수단 2〕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조작 스위치를 배치한 파지부의 횡측면이, 좌우 방향에서 조종 좌석의 반대측을 향해 요입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만곡면의 상방측의 만곡 부분에 경사 상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한 상기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만곡면의 하방측의 만곡 부분에 경사 하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한 상기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2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2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의 횡측면을 좌우 방향에서 조종 좌석의 반대측을 향해 요입하는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그 만곡면에 빠짐 깊이 조절용 각 조작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각 조작 스위치가 만곡 부분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 조종자나 다른 물건과의 접촉을 피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파지부의 횡측면을 구성하는 만곡면의 상방측의 만곡 부분에 경사 상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고, 만곡면의 하방측의 만곡 부분에 상기 경사 하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각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을 만곡면에 대해 수직 방향을 따르게 하기 쉬워져,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감각적으로 인지하여 조작 감각이 좋은 조작을 행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3〕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횡측면에 배치되는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은,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보다도,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커지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3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3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에 의한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즉, 파지부를 파지하는 자세의 엄지는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다른 네 손가락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는 편안하게 움직이기 쉽지만, 상기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는, 보다 크게 엄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므로 되므로, 움직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파지부의 횡측면에 배치되는 각 조작 스위치의 상하 간격을 넓게 설정하면, 각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상하 간격에 위치시키고 있는 엄지에 의한 조작은,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보다도,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 해결 수단 3에 관한 발명에서는,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엄지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하 간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 및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는 크게 하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는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 간격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존재 위치는 엄지가 다른 네 손가락에 근접하는 방향에 있고, 그 누름 조작 방향도 다른 네 손가락에 근접하는 방향의 움직임이므로, 이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커도, 엄지가 편한 움직임으로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존재 위치는 상기 상하 간격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엄지에 의한 누름 조작 방향이 다른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있고, 누름 조작 방향도 다른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움직임이므로, 엄지가 움직이기 어려운 방향에서의 조작으로 되지만, 그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 방향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한 것에 의해, 엄지가 다른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적게 하고, 엄지의 움직이기 어려운 방향에서의 조작 난이도를 경감시켜, 종합적으로는 각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다.
〔해결 수단 4〕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정상부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림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정상부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4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4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정상부에 형성된 정상부 만곡면을,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로 엄지에 의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횡측부에 설치한 각 조작 스위치를 엄지로 눌러 조작할 때에 엄지가 받는 반력을,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정상부 만곡면을 파지한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이 엄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받고, 이 상태에서의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엄지에 의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5〕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파지부의 횡측면에서,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된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돌조부 혹은 오목 홈부로 이루어지는 횡측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5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5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의 볼록 부분으로 횡측 접촉 감지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조작 스위치끼리의 상하 간격의 중앙 위치를 고정밀도로 감지할 수 있고,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정확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해결 수단 6〕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횡측 접촉 감지부를 돌조부에 구성하고, 이 횡측 접촉 감지부의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상기 조작 스위치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6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6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횡측 접촉 감지부가 돌조부인 것에 의해, 엄지의 볼록 부분으로 감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 돌조부가 조작 스위치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으므로, 이 횡측 접촉 감지부의 위치에 있는 엄지의 상하 방향으로의 어긋남 움직임이 상하의 조작 스위치의 존재에 의해 억제되어, 의식적인 조작을 수반하지 않는 상태로 조작 스위치가 존재하는 개소에 엄지가 위치 어긋나 버리는 상황을 초래할 우려가 적은 점에서 유리하다.
〔해결 수단 7〕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후방면측에, 그 후방면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조부, 혹은 전방측으로 요입하는 오목 홈부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촉 감지부가, 상기 상하의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7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7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를 파지하는 손이 후방 접촉 감지부의 위치를 감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상하의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를 감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하의 조작 스위치의 위치도 감각적으로 파악하여 엄지에 의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8〕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파지부를 구비하는 조작 레버의 샤프트는,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상단부측을 삽입시키고 있고, 그 샤프트의 상단부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된 상기 각 조작 스위치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8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8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파지부의 횡측면에 배치하고, 그 조작 스위치의 배치 위치에 의한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샤프트를 파지부에 삽입시키게 되므로, 파지부에 대한 샤프트의 삽입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내구성이 좋은 조작 레버를 가진 콤바인의 조작 장치를 얻기 쉽다.
〔해결 수단 9〕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로, 좌우 방향에서의 조종 좌석측에 위치하는 횡측면에,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의 조작 장치이며, 상기 파지부의 후방면측이고, 또한 상기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측 부근의 개소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요입부는 엄지에 의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 볼록 부분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9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 해결 수단 9에서 나타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파지부의 후방면측에,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 볼록 부분과 대향하도록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을 파지하기 전에, 파지부의 후방면측에 엄지 볼록 부분을 접촉한 상태로 상기 횡측면 이외를 가볍게 파지함으로써, 그 요입부와의 위치 관계가 결정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의 위치도 감각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파지부를 목시하여 조작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한 후 파지 조작할 필요가 없어, 조작 스위치의 위치도 감각적으로 인지하고, 조작성 좋게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0〕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빠짐 깊이 조절용 상기 조작 스위치가 상기 파지부의 횡측면에서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에는 그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면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조부, 혹은 전방측으로 요입하는 오목 홈부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촉 감지부가, 상기 상하의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10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10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의 후방면측에,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 볼록 부분과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요입부에, 횡측면의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대응시켜 후방 접촉 감지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파지부의 후방면측에 엄지 볼록 부분을 접촉한 상태로 횡측면의 조작 스위치의 상하 방향 위치도 고정밀도로 감지하기 쉬워져, 보다 한층,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행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파지부의 횡측면에서, 상하로 분류하여 배치된 조작 스위치끼리의 사이에 돌조부 혹은 오목 홈부로 이루어지는 횡측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11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11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의 볼록 부분으로 횡측 접촉 감지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조작 스위치끼리의 상하 간격의 중앙 위치를 고정밀도로 감지할 수 있고,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정확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해결 수단 12〕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횡측 접촉 감지부를 돌조부에 구성하고, 이 횡측 접촉 감지부의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상기 조작 스위치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12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12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횡측 접촉 감지부가 돌조부인 것에 의해, 엄지의 볼록 부분으로 감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 돌조부가 조작 스위치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으므로, 이 횡측 접촉 감지부의 위치에 있는 엄지의 상하 방향으로의 어긋남 움직임이 상하의 조작 스위치의 존재에 의해 억제되어, 의식적인 조작을 수반하지 않는 상태로 조작 스위치가 존재하는 개소에 엄지가 위치 어긋나 버리는 상황을 초래할 우려가 적은 점에서 유리하다.
〔해결 수단 13〕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수단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정상부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림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정상부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그 정상부 만곡면의 전단부측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에 대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 수단 13에 관한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 13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후방면측의 요입부에 엄지 볼록 부분을 대고, 또한 정상부 만곡면을 파지한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의 손 끝측이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에 걸린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에 대한 손바닥측의 상대 위치를 매우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엄지의 위치도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되기 쉽고, 조작 스위치를 고정밀도로 조작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 좌석과 엔진이 배치되고, 이들의 후방에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가 배치되고, 이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배출 클러치와, 이 배출 클러치의 단속을 인위적으로 행하는 배출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엔진을 덮는 엔진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운전 좌석의 근방에서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배출 클러치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이 배출 클러치로 상기 배출 레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 클러치 조작 기구가, 상기 엔진 커버의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 레버에 접속하는 제1 작동체와, 상기 엔진 커버의 후방측에서 종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 클러치에 접속하는 제2 작동체와, 상기 제1 작동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작동을 종방향으로의 작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작동체로 전달하도록 횡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체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출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는 방향으로 배출 레버가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 커버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제1 작동체가 전후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 작동에 연계하여 요동체가 요동 축심 주위에서 요동하고, 이 요동체의 요동력이 제2 작동체로 전달되고, 이 제2 작동체가 상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 제2 작동체의 작동력은 배출 클러치로 전달되어 배출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배출 레버를 역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제1 작동체, 요동체, 제2 작동체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배출 클러치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작동체, 요동체, 제2 작동체에 의해 배출 레버의 조작력을 엔진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엔진 커버의 후방면측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요동체에 대한 제1 작동체와 제2 작동체의 연결 위치의 설정에 의해, 제1 작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제2 작동체의 작동량을 필요로 하는 작동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클러치를, 배출 레버의 적정량의 조작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엔진의 배치 스페이스에 침입하는 일이 없는 클러치 조작 기구가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의 청정화를 도모하는 에어 클리너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조작 영역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와 상기 운전 좌석의 시트 백에 걸치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후방의 데드 스페이스에 대형의 에어 클리너의 배치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이 에어 클리너와 운전 좌석의 측부의 공간에 배출 레버를 배치하고, 이 배출 레버를 에어 클리너와 운전 좌석에 걸치는 광범위한 영역에 있어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조작 영역에 있어서 수직 자세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레버의 상단부 위치가 상기 시트 백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배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 배출 레버가 수직 자세에 도달한 상태라도, 이 배출 레버의 상단부 위치가 운전 좌석의 시트 백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시트 백에 손 등을 접촉시키지 않고, 배출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엔진 커버가, 하부의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 주위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엔진 커버의 상방 위치에서,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작동 시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배출 레버가 지지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엔진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 엔진 커버를 개방한 경우에도, 배출 레버가 엔진 커버의 개방 조작을 방해하지 않고, 이 개방 조작 시에 배출 레버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구조를 특별히 구비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언로더가, 선회 액추에이터에 의한 종축 코어 주위에서의 선회와, 승강 액추에이터에 의한 승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선회 액추에이터와 상기 승강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조작구가 상기 배출 레버의 근방 위치에 구비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배출 레버의 근방 위치에 제어 조작구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할 때에는, 언로더의 자세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 조작구를 조작한 후에, 배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거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손의 이동만으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어, 편한 조작이 실현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방부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방부 평면도.
도 3은 조작 레버의 사시도.
도 4는 조작 레버의 후방면도.
도 5는 조작 레버의 우측면도.
도 6은 조작 레버의 평면도.
도 7은 조작 레버의 저면도.
도 8은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도 4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조작 레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면에서 볼 때의 설명도.
도 12는 조작 레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에서 볼 때의 설명도.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의 후방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의 후방면도.
도 15는 파지부의 후방면도.
도 16은 파지부의 정면도.
도 17은 파지부의 좌측면도.
도 18은 파지부의 우측면도.
도 19는 파지부의 평면도.
도 20은 파지부의 저면도.
도 21은 파지부의 사시도.
도 22은 콤바인의 측면도.
도 23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24은 엔진 커버와 배출 레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도 25는 운전 좌석의 부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는 배출 레버와 클러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배출 레버와 클러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8은 배출 레버와 클러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은 배출 클러치와 클러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0는 엔진으로부터 언로더까지의 전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1은 배출 컨베이어와 언로더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2은 반출 케이스와 폐색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3는 반출 케이스와 폐색 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4은 연결체와 고정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폐색 수단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조작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1)의 전방부 측면이, 도 2에는 그 평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1)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L, 1R)를 기체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주행 장치(1L, 1R)의 구동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고 또한 포장의 직립 곡물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물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 처리 장치(3)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10) 상에, 상기 예취 처리 장치(3)에서 예취된 곡물을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11)와, 탈곡 장치(11)에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2)가 탑재되는 동시에, 곡립 탱크(12)의 전방 개소의 기체 프레임(10) 상에 탑승 운전부(2)가 형성되어 있다.
예취 처리 장치(3)는 예취부 프레임(30)이 승강용 유압 실린더(13)에 의해 기체 프레임(10)에 대해, 횡축심(x) 주위에서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 처리 장치(3)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초구(31)가 지면 부근에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31)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처리 장치(3)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 처리 장치(3)가, 예취 대상의 복수조의 직립 곡물을 대응하는 분초구(31)에 의해 인접하는 조열의 직립 곡물과 분초하여, 각 분초구(31)로부터의 직립 곡물을 대응한 기립 장치(32)에 의해 기립 처리하는 동시에,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33)에 의해 예취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3)에서 예취된 예취 곡물은 종반송 장치(34)로 전달되어, 이 종반송 장치(34)에서 예취 곡물을 반송 종단부에 있어서 횡측 쓰러짐 자세로 변경하여 탈곡 장치(11)의 탈곡 피드 체인(11A)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11)는 탈곡 피드 체인(11A)에 의해 예취 곡물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고, 예취 곡물을 회전하는 급동(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11)로부터 반출된 탈곡립을 곡립 탱크(12)에 회수하여 저류하고, 곡립 탱크(12)에 저류된 탈곡립은 스크류 컨베이어식 곡립 배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처리된 후의 배출 볏짚은 기체 후방으로 반송되어 배출 볏짚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단 처리된 후에 기체 후방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탑승 운전부(2)에는 조종 좌석(20)의 전방부측에 조종 조작구(22)나 계기판(23)을 구비한 조종탑(21)을 세워 설치하고 있고, 조종 좌석(20)의 좌측에, 상기 조종 좌석(20)에 탑승하는 조종자가 왼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는 주변속 레버(4)(조작 레버에 상당함) 등을 배치한 조종 박스(2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주변속 레버(4)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간의 중립 위치(N)를 사이에 두고 전방측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전진 고속측으로의 무단계의 변속 조작이 행해지고, 후방측으로의 요동 조작으로 후진 고속측으로의 무단계의 변속 조작이 행해지도록, 도시하지 않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연계시키고 있고, 상기 조종 박스(24)에 설치한 크랭크 형상의 사용 가이드 홈(25)을 따라서 요동 조작된다.
상기 주변속 레버(4)에 의해 조작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는 기체 프레임(10) 상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14)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1L, 1R)로 전달하는 주변속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서 변속된 동력이 또한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내의 기어 변속 기구로 이루어지는 부변속 장치를 통해 상기 주행 장치(1L, 1R)로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취 반송 장치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반송 장치(34)는 예취 직후의 곡물을 피드 체인(31)으로 전달하도록 곡물의 밑동을 무단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부(34A)와, 곡물의 이삭 끝측을 다수의 걸림 갈고리에 의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부(34B)를 구비하고 있고, 밑동 반송부(34A)의 반송 종단부측에는 밑동을 탈곡 피드 체인(11A)으로 전달하는 공급 반송부(34C)(빠짐 깊이 조절 장치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급 반송부(34C)는 전단부측의 축심(P) 주위에서 후단부측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축심(P) 주위에서의 후단부측의 요동에 의해, 공급 반송부(34C)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11A)으로 전달하는 곡물의 대(culm)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빠짐 깊이 조절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급 반송부(34C)의 상기 축심(P) 주위에서의 요동 작동은 공급 반송부(34C)의 전단부측 하부에 설치한 기어식 감속 기구가 구비된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빠짐 깊이 모터(35)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의 구성〕
다음에, 상기 조종 박스(24)에 구비한 크랭크 형상의 사용 가이드 홈(25)을 따라서 요동 조작되는 주변속 레버(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주변속 레버(4)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종 박스(24)의 내부로부터 가이드 홈(25)을 통해 조종 박스(24)의 상면의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41)의 상부에 파지부(40)를 고정하고 있고, 파지부(40)에 상하 한 쌍의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41)는 둥근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도시하지 않지만 조종 박스(24)의 내부에서, 기체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횡축심 주위에서 전후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고, 또한 크랭크 형상의 가이드 홈(25)의 굴곡 개소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도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샤프트(41)를 도 3에 도시하는 기립 자세로 중립 위치(N)에 위치시키면, 주행 장치(1L, 1R)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여 구동 정지하도록, 이 샤프트(41)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대해 연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립 위치(N)로부터 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여 전진 위치(F)측으로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주행 장치(1L, 1R)에 대해 전진측으로의 구동력을 출력하고, 상기 중립 위치(N)로부터 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여 후진 위치(R)측으로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주행 장치(1L, 1R)에 대해 후진측으로의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샤프트(41)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연계되어 있다.
〔파지부의 구성〕
상기 파지부(40)는 좌우 방향에서의 최대 좌우 폭(W1)이 전후 방향에서의 최대 전후 폭(W2)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측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하부 전후 폭(W3)보다도 상부측에서의 전후 방향 폭이 커지도록 상기 최대 전후 폭(W2)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40)의 정상부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려서 조작하는 데 적합한 좌우 방향 폭 및 전후 방향 폭을 가진 정상부 만곡면(43)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정상부 만곡면(4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도, 전후 방향에서도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복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정상부 만곡면(43)의 전방 모서리측이 도 1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4)를 파지한 왼손의 네 손가락 중 중지나 약지 등의 긴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로서 형성되고, 정상부 만곡면(43)의 우측 횡측부 테두리(43b)가, 후술하는 상기 파지부(40)의 조종 좌석(20)측(도 4에 있어서의 우측)의 요입 만곡한 횡측면(44A)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40)의 상하 방향 높이(h)는 상기 좌우 방향의 최대폭(W1)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40)의 조종 좌석(20)측의 횡측면(44A)은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조종 좌석(20)과는 반대측을 향해 요입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종 좌석(20)측의 횡측면(44A)과는 반대측의 횡측면(44B)은 조종 좌석(20)과는 반대측을 향해 돌곡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40)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체적으로 대략 동일한 정도이지만, 정상부측에서 조금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종 좌석(20)측의 횡측면(44A)에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횡측면(44A)에 설치되는 스위치(42, 42)는 이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뿐이고, 그 밖의 스위치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파지부(40)에 있어서, 그 상하 방향 높이(h)의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요입 만곡한 횡측면(44A)에는 횡측 접촉 감지부(4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횡측 접촉 감지부(47b)는 횡측면(44A)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돌조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 중,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는 상기 횡측 접촉 감지부(47b)의 상방측이고, 그 횡측 접촉 감지부(47b)보다도 상방측에 있어서의 파지부(40)의 상하 방향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정상부 만곡면(43)의 우측 횡측부 테두리(43b)보다도 횡측 접촉 감지부(47b)에 가까운 하반부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는 상기 횡측 접촉 감지부(47b)의 하방측이고, 그 횡측 접촉 감지부(47b)보다도 하방측에 있어서의 파지부(40)의 상하 방향 길이의 범위 내에서, 파지부(40)의 횡측면(44A)의 하단부 위치보다도 횡측 접촉 감지부(47b)에 가까운 상반부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 한 쌍의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 및 횡측 접촉 감지부(47b)는 상기 정상부 만곡면(43)의 우측 횡측부 테두리(43b)와 상기 파지부(40)의 조종 좌석(20)측의 횡측면(44A)의 하단부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c)(도 11 참조)보다도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40)의 후방면(4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약간 후방측으로 돌곡하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에는, 후술하는 요입부(46)의 존재 개소를 제외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방향에서 볼 때의 후방면(45)의 만곡면보다도 곡률이 큰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도, 좌우 방향에서도 중간부가 후방측으로 돌곡하는 복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면(45)에는, 이 후방면(45)의 일부에는 있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후방면(45)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이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스위치(42, 42)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44A)측(도 4 중에서 우측)에 걸쳐서, 전방측으로 요입하는 요입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46)는, 도 4,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스위치(42, 42)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44A)측에 위치하는 측부 단부 테두리(46a)와, 상기 후방면(45)의 좌우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를 포함하는 개소에 존재하는 중앙부 단부 테두리(46b) 사이에서, 후방면에서 볼 때 대략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단부 테두리(46a)는 후방에서 볼 때, 상기 조작 스위치(42, 42)가 배치되어 있는 횡측면(44A)의 만곡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46) 중 가장 전방측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중앙부 단부 테두리(46b)는 상기 측부 단부 테두리(46a)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상기 후방면(45)의 좌우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상기 측부 단부 테두리(46a)의 상방측 및 하방측에 연결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중앙부 단부 테두리(46b)가 요입부(46) 중 가장 후방측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요입부(46)는 파지부(40)의 후방면(45)측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 만곡면(43)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려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에 손가락을 걸친 상태로 파지부(40)를 파지했을 때, 엄지의 밑동아리 근처의 엄지 구근에 의한 손바닥측의 팽창 개소인 엄지 볼록 부분(m)(도 11, 도 12의 2점 쇄선 부분 참조)의 전부 혹은 대부분과 대향하는 개소를 상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40)의 후방면(45)에 있어서의 요입부(46)의 형성 개소가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부 만곡면(43)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려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에 손가락을 걸친 상태로 파지부(40)를 파지했을 때, 그 요입부(46)의 존재 위치에, 요입부(46)와 대향하여 엄지 볼록 부분(m)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입부(46)의 위치에 대한 엄지 볼록 부분(m)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감각적으로 파악해 둠으로써, 파지부(40)의 횡측면(44A)에 구비한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의 위치를 육안에 의지하지 않고 감각적으로 파악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면(45)에는 상기 요입부(46)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면 부분에, 그 후방면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조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촉 감지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 접촉 검지부(47a)는 상기 횡측면(44A)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하의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사이의 높이 위치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서 좌우 횡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40)를 파지하는 손의 상기 엄지 볼록 부분(m)과 접촉함으로써,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 위치를 감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후방면(45)측의 후방 접촉 검지부(47a)에 연속하여, 상기 횡측면(44A)측에 횡측 접촉 감지부(4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횡측 접촉 감지부(47b)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측면(44A)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돌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상하 간격의 중앙 위치에서, 조작 스위치(42, 42)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횡측방을 향해 상기 횡측면(44A)으로부터 돌출시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횡측 접촉 감지부(47b)의 상기 횡측방으로의 돌출량은, 상기 조작 스위치(42, 42)의 횡측면(44A)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이 횡측 접촉 감지부(47b)의 상기 횡측면(44A)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횡측면(44A)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상기 조작 스위치(42, 42)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음으로써,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횡측 접촉 감지부(47b)에 엄지를 따르게 하여 파지부(40)를 파지했을 때, 엄지의 볼록 부분에서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상하 간격의 중앙 위치를 고정밀도로 감지할 수 있어, 조작 스위치(42, 42)의 조작을 정확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파지부(40)의 전방면(48)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 볼 때, 하부측이 대략 직립 상태로 기립하고, 그 상방측이 전방측으로 만곡하여 정상부 만곡면(43)의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에 연결되어, 전체가 후방측으로 요곡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볼 때에는, 도 7 및 도 10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좌우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전방측으로 돌곡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 파지부(40)의 내부의 샤프트(41)의 외주면을 따르는 부분적인 팽출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의 구성〕
상기 파지부(40)의 조종 좌석(20)측의 횡측면(44A)에 설치한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 만곡면(43)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려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에 손가락을 걸친 상태로 파지부(40)를 파지했을 때, 자연스럽게 엄지가 위치하는 상하 방향 높이 위치의 상측과 하측으로 분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횡측면(44A)에 있어서의 배치 개소를 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사이에 엄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파지부(40)를 파지하는 엄지로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가 조작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 스위치(42, 42)끼리의 상하 방향 간격을 설정하고 있고, 엄지를 상방측, 혹은 하방측으로 이동시켜 상하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스위치(42, 42)를 택일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 중, 상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42)가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이고, 상기 종반송 장치(34)의 공급 반송부(34C)를 전단부측의 축심(P) 주위에서 회전 조작하도록 빠짐 깊이 모터(35)의 작동을 제어하여, 탈곡 피드 체인(11A)에 대한 곡물 전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대 길이가 짧을 때에 탈곡 피드 체인(11A)에 의한 끼움 지지 위치를 밑동측으로 밀려오게 하여 깊게 빠짐측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하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42)는 얕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이고, 상방측의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와 마찬가지로, 종반송 장치(34)의 공급 반송부(34C)를 전단부측의 축심(P) 주위에서 회전 조작하도록 빠짐 깊이 모터(35)의 작동을 제어하여, 대 길이가 길 때에 탈곡 피드 체인(11A)에 의한 끼움 지지 위치를 이삭 끝측으로 밀려오게 하여 얕게 빠짐측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조작 스위치(42, 42)는 각각 횡측면(44A)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 방향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누름 조작되어 있는 동안, 상기 빠짐 깊이 모터(35)를 각 조작 스위치(42, 42)로 지령되는 정역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종반송 장치(34)의 공급 반송부(34C)를 전단부측의 축심(P) 주위에서 소정 방향으로 요동시켜,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빠짐 깊이 모터(35)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는 각각의 누름 조작 방향(a, b)이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상측의 조작 스위치(42)는 상기 횡측면(44A)의 상방측의 만곡 부분에 경사 상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누름 조작 방향(a)을 경사 상방측을 향해 설치하고 있고, 상기 하측의 조작 스위치(42)는 상기 횡측면(44A)의 하방측의 만곡 부분에 경사 하방측을 향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누름 조작 방향(b)을 경사 하방측을 향해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는 주변속 레버(4)를 중립 위치(N)에 위치시킨 기립 자세에 있는 상태로,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β)보다도,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α)가 커지도록, 각각의 누름 조작 방향(a, b)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다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주변속 레버(4)를 중립 위치(N)에 위치시킨 기립 자세로 파지부(40)의 정상부 만곡면(43)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올려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43a)에 손가락을 걸친 상태로 파지부(40)를 파지했을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 자세에 있는 엄지가 상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42)를 조작할 때에는, 다른 네 손가락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작되고, 하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42)를 조작할 때에는, 다른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작되는 상태로 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엄지가 다른 네 손가락에 근접하는 방향의 조작은 비율 좋게 행할 수 있지만, 다른 네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조작은 엄지를 옮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때,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도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와 마찬가지로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큰 것이면, 그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를 더욱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를 작게 해 둠으로써, 수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엄지를 옮기는 양이 적어진다.
〔기타〕
상기 파지부(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직선 형상의 분할선(L) 부분에서 전후로 2분할 가능한 전후 한 쌍의 분할체(40A, 4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는 상기 횡측면(44A) 개소에서 분할선(L)을 걸치도록 전후의 분할체(40A, 40B)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전후의 분할체(40A, 40B)의 내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하방으로부터 삽입된 샤프트(41)를, 전후의 분할체(40A, 40B)끼리의 접합에 의해 감싼 상태로 유지하는 리브(49)가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41)의 상단부가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샤프트(41)에 양 분할체(40A, 40B)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1)가 상기 분할선(L)의 양측에 존재하도록, 분할선(L)이 샤프트(41)의 축선을 대략 따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41)의 상부에는 파지부(40)에 삽입되는 개소에서 상하 방향의 3개소에 비스 구멍(41a, 41b, 41c)을 형성하고 있고, 파지부(40)의 후방측의 분할체(40A)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방향의 3개소의 비스 구멍(41a, 41b, 41c) 중 중앙의 비스 구멍(41b)에 대응하는 비스 삽입용 관통 구멍(40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파지부(40)의 전방측의 분할체(40B)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방향의 3개소의 비스 구멍(41a, 41b, 41c) 중 상하 2개소의 비스 구멍(41a, 41c)에 대응하는 2개소의 비스 삽입용 관통 구멍(40a, 40c)을 형성하고 있다.
샤프트(41)에 파지부(40)를 장착할 때에는, 후방측의 분할체(40A)의 비스 삽입용 관통 구멍(40b)에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그 비스를 샤프트(41)의 상하 방향의 중앙 위치의 비스 구멍(41b)에 나사 삽입시켜 나사 고정한다. 그리고, 전방측의 분할체(40B)의 상하 2개소의 비스 삽입용 관통 구멍(40a, 40c)에 각각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각 비스를 샤프트(41)의 상하 2개소의 비스 구멍(41a, 41c)에 나사 삽입시켜 나사 고정한다.
이에 의해, 파지부(40)는 샤프트(41)에 대해, 상하 방향 위치 및 샤프트(41)의 축심 주위에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설치 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에 대한 배선용 하네스(50)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1)의 전방측에는 하네스(50)를 삽입 가능한 슬릿 형상의 긴 구멍(41d)이, 상기 파지부(40)의 내부와, 주변속 레버(4)를 장비하는 조종 박스(24)의 상면보다도 하방에까지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작 스위치(42, 42)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용 하네스(50)를, 파지부(40) 내의 하방 위치에서, 샤프트(41)의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여, 그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41d) 내에 하네스(50)의 타단부측을 삽입한다. 그리고, 샤프트(41)의 하방측에서, 조종 박스(24)의 상면보다도 하방측에서, 샤프트(41)의 긴 구멍(41d)으로부터 하네스(50)의 타단부측을 인출하여 소요의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연계시키고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은 주변속 레버(4)의 파지부(40)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5가 파지부(40)의 후방면도, 도 16이 파지부(40)의 정면도, 도 17이 파지부(40)의 좌측면도, 도 18이 파지부(40)의 우측면도, 도 19가 파지부(40)의 평면도, 도 20이 파지부(40)의 저면도, 도 21이 파지부(4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조종 좌석(20)의 반대측을 향해 요입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된 횡측면(44A)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를, 만곡면이 아닌 상하 방향을 따른 평탄한 횡측면(44A)에 설치하고, 그 각 조작 스위치(42, 42)의 누름 조작 방향(a, b)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상기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또는 b)은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또는 a)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또는 a)은 수평 방향 또는 상기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의 조작 스위치(42, 42)는 주변속 레버(4)를 중립 위치(N)에 위치시킨 기립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β)보다도,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α)가 커지도록, 각각의 누름 조작 방향(a, b)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다르게 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과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동일하게 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을 상방측으로 향하게 하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을 하방측으로 향하게 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을 경사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을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을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을 경사 하방으로 향하게 한다.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을 수평 방향보다도 경사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을 더욱 상방으로 향하게 한다.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b)을 수평 방향보다도 경사 하방으로 향하게 하고, 하방측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a)을 더욱 하방으로 향하게 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 중, 상방측에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하고, 하방측에 얕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방측에 얕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하고, 하방측에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장비시키는 조작 레버로서의 주변속 레버(4)의 파지부(40)에 있어서의 정상부 만곡면(43)을, 좌우 방향에서도, 전후 방향에서도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복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좌우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고, 전후 방향에서는 굴곡하지 않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단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횡측 접촉 감지부(47b)를, 횡측면(44A)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횡측면(44A)으로부터 횡측방으로의 조작 스위치(42, 42)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은 돌조에 의해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2, 42)의 돌출 높이와 동등, 혹은 조작 스위치(42, 42)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게 하거나, 오목 홈에 의해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접촉 감지부(47a)를 횡측 접촉 감지부(47b)에 연속하는 돌조에 의해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수의 돌기를 열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하거나, 오목 홈에 의해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횡측 접촉 감지부(47b)와는 연속되지 않는 돌조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접촉 감지부(47a)를, 파지부(40)의 후방면(45)에 형성한 요입부(46)에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입부(46)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후방면(45)에 후방 접촉 감지부(47a)를 설치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종 좌석(20)의 좌측에 주변속 레버(4)를 배치하고, 왼손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종 좌석(20)의 우측에 주변속 레버(4)를 배치하여, 오른손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조작 스위치(42, 42)가 설치되는 횡측면(44A)은 파지부(40)의 좌측으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주변속 레버(4)에 구비시킨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부변속 레버나, 작업 장치의 승강 조작 레버 등, 각종 조작 레버에 구비시킬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변속 레버(4)의 횡측면(44A)에 설치하는 스위치로서,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만을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작 스위치를 구비시켜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은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고, 또한 다른 쪽의 조작 스위치(42)의 누름 조작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상기 한쪽의 조작 스위치(4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이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의 각 조작 스위치(42, 42)의 각 누름 조작 방향(a, b)을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혹은, 상하의 각 조작 스위치(42, 42)의 각 누름 조작 방향(a, b)을, 한쪽의 누름 조작 방향(a)(또는 b)에 대해 다른 쪽의 누름 조작 방향(b)(또는 a)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 중, 상방측에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하고, 하방측에 얕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방측에 얕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하고, 하방측에 깊게 빠짐용 조작 스위치(42)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른 실시 형태의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깊이 조절용 조작 스위치(42, 42)를 장비시키는 조작 레버로서의 주변속 레버(4)의 파지부(40)에 있어서의 정상부 만곡면(43)을, 좌우 방향에서도, 전후 방향에서도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는 복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상방측으로 돌곡하고, 좌우 방향에서는 굴곡하지 않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단곡면으로 정상부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정상부 만곡면의 전단부측에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에 대한 손가락 걸이용 돌기부를 형성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302)의 전단부에 예취부(303)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예취부(303)에서 예취된 예취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304)와, 이 탈곡 장치(304)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305)를 주행 기체(302)의 좌우 위치에 병렬 배치하고, 그레인 탱크(305)에는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306)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302)의 전방부에서 그레인 탱크(305)의 전방부 위치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310)를 구비하여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탈형의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지만, 콤바인은 보통형의 것이라도 좋다.
이 콤바인은 운전부(310)의 운전 좌석의 하측에 엔진(E)을 구비하고 있고, 수확 작업 시에는 엔진(E)의 구동력으로 예취부(303)와 탈곡 장치(304)를 구동하는 동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30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302)를 주행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취부(303)에서 곡물의 밑동을 절단하여 곡물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 곡물을 탈곡 장치(304)로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그레인 탱크(305)에 저류하는 작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운전부〕
운전부(31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스텝(311)과, 작업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31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312)의 전방 위치에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종 레버(313)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312)의 측부 위치의 패널부(314)에 주변속 레버(315)와, 부변속 레버(316)가 구비되고, 패널부(314)의 측부에 배출 레버(318)가 구비되어 있다.
조종 레버(313)는 비조작 상태로 중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중립 가압되어,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주행 기체(302)의 조향ㆍ선회를 실현하고, 전후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예취부(303)의 승강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315)는 주행 속도의 무단계의 변속을 행하는 것으로, 주행 기체(302)를 정차시키는 중립 위치와, 이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진 변속 영역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진 변속 영역에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316)는 복수단의 변속 조작을 행한다. 배출 레버(318)는 배출 클러치(C)를 조작함으로써 그레인 탱크(305)의 저부의 배출 컨베이어(331)와 언로더(306)로 엔진(E)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레인 탱크(30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배출을 행한다.
운전 좌석(312)은 엔진(E)을 덮는 엔진 커버(320)의 상면에 구비되고,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엔진 커버(320)는 기체 프레임(321)에 대해 하부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P)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배출 레버(318)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317)은 엔진 커버(320)의 개폐 조작 시에 엔진 커버(32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엔진 커버(320)의 개폐 시에, 이 엔진 커버(320)의 단부가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그리는 원호 형상의 궤적(G)이 베이스 프레임(317)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운전 좌석(312)의 후방 위치에는 후방부 플레이트(3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후방부 플레이트(322)는 기체 프레임(321)에 지지되어, 그 상면에 엔진(E)에 공급하는 흡기의 정화를 도모하는 에어 클리너(3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에어 클리너(323)에는 지주 형상의 흡기 파이프(324A)를 통해 프리 클리너(pre-cleaner)(324)의 흡기가 공급된다. 또한, 에어 클리너(323)로부터 보내지는 흡기는 엔진 커버(320)의 내부의 흡기 경로를 통해 엔진(E)에 공급된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레버(318)의 기단부는 운전 좌석(312)의 좌측부, 후방측에 배치되고, 이 배출 레버(318)의 조작 영역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323)와 운전 좌석(312)의 시트 백(312A)에 걸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레버(318)가, 수직 자세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레버(318)의 상단부 위치가 시트 백(312A)의 상단부보다 거리(H)만큼 높은 위치에 있도록 치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배출 레버(318)는 평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의 기단부측 부분(318a)과, 이 기단부측 부분(318a)의 상단부로부터 기체 내측[운전 좌석(312)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경사진 선단측 부분(318b)과, 이 선단측 부분(318b)에 설치한 파지부(318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기체 좌우 방향에서 배출 레버(318)의 선단측 부분(318b)이 패널부(314)와 운전 좌석(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출 레버(3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레버(318)의 「온」 위치에서는, 배출 레버(318)의 선단측 부분(318b)이 시트 백(312A)의 기체 내측 근방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배출 레버(318)의 파지부(318c)가 시트 백(312A)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배출 레버(318)를 조작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엔진 커버(320)를,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후방부 플레이트(322)에 지지되는 에어 클리너(323)와 프리 클리너(324)는 기체 프레임측에 남은 상태로, 이 엔진 커버(320)가 개방되고, 엔진 커버(320)는 베이스 프레임(317)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언로더〕
도 22, 도 23,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5)의 저부에는 그레인 탱크(30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송출하는 배출 컨베이어(331)를 구성하는 바닥 스크류(331S)가 바닥 축심(X)과 동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언로더(306)는 바닥 스크류(331S)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엘보 형상의 반출 케이스(332)와, 이 반출 케이스(332)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는 종반송 컨베이어(333)와, 이 종반송 컨베이어(333)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중간 컨베이어(334)와, 이 중간 컨베이어(334)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횡방향으로 보내는 횡반송 컨베이어(3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횡반송 컨베이어(335)는 중간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출측의 단부에 배출부(336)가 형성되어 있다.
종반송 컨베이어(333)는 통 형상의 케이스의 내부에 종반송 스크류(333S)를 수납한 구성을 갖고, 중간 컨베이어(334)는 통 형상의 케이스의 내부에 중간 스크류(334S)를 수납한 구성을 갖고 있다. 횡반송 컨베이어(335)는 통 형상의 케이스의 내부에 횡반송 스크류(335S)를 수납한 구성을 갖고, 통 형상의 케이스의 중간 부분은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절첩을 허용하도록 횡반송 스크류(335S)의 중간에는 분리 상태와 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끼워 맞춤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 스크류(331S)의 반출측의 단부가 반출 케이스(332)의 내부에 배치되고, 종반송 스크류(333S)의 하단부가 반출 케이스(3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부터, 반출 케이스(332)의 내부에는 바닥 스크류(331S)와 종반송 스크류(333S)를 연동시키는 제1 베벨 기어 기구(G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반출 케이스(332)의 내부에서 바닥 스크류(331S)의 단부에는 바닥 스크류(331S)와 일체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긁어 올리는 제1 판형상체(331P)가 구비되어 있다.
종반송 스크류(333S)의 상단부가 중간 컨베이어(334)의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횡반송 컨베이어(335)의 기단부측(반출 방향과 반대측)의 단부가 중간 컨베이어(334)의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부터, 중간 스크류(334S) 중 종반송 컨베이어측과, 종반송 스크류(333S)의 상단부를 연동시키는 제2 베벨 기어 기구(G2)가 중간 컨베이어(334)의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중간 컨베이어(334)의 중간 스크류(334S) 중 횡반송 컨베이어측과, 횡반송 스크류(335S)의 기단부측을 연동시키는 제3 베벨 기어 기구(G3)가 중간 컨베이어(334)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반송 스크류(333S)의 반송단부(상단부)에는 종반송 스크류(333S)와 일체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긁어내는 제2 판형상체(333P)가 구비되고, 중간 스크류(334S)의 반송단부에도 중간 스크류(334S)와 일체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긁어내는 제3 판형상체(334P)가 구비되어 있다.
반출 케이스(332)의 하면에는 종방향 자세의 종축 코어(Y)와 동축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축 형상부(332T)가 일체 형성되고, 이 축 형상부(332T)가 기체 프레임(321)에 구비된 회전 지지부(33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종반송 컨베이어(333)의 종축 코어(Y) 주위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이 종반송 컨베이어(333)의 상부 위치를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338)가 그레인 탱크(305)의 후방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반송 컨베이어(333)에 평행한 자세로 되는 지주 형상의 종프레임(340)이 기체 프레임(32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이 종프레임(340)의 상단부에는 종축 코어(Y)를 중심으로 한 종반송 컨베이어(333)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외주를 감싸는 보유 지지체(341)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유 지지체(341)에는 전동형의 선회 모터(342)(선회 액추에이터의 일례)가 지지되어, 이 선회 모터(342)의 구동축에 구비한 피니언 기어(343)가 맞물리는 기어체(344)가 종반송 컨베이어(333)의 외주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종반송 컨베이어(333)와 중간 컨베이어(334)와 횡반송 컨베이어(335)가 종축 코어(Y)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회 모터(342)의 구동에 의해 언로더(306)의 선회가 가능해진다.
중간 컨베이어(334)의 케이스는 종반송 컨베이어(333)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엘보 형상의 제1 케이스(334A)와, 횡반송 컨베이어(335)의 기단부측에 연결하는 엘보 형상의 제2 케이스(334B)를 조인트(334C)에 의해 수평 축심(Z)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을 갖고 있다.
횡반송 컨베이어(335)의 기단부측과 중간 컨베이어(334) 사이에 전동형의 승강 실린더(345)(승강 액추에이터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레버(318)의 가이드 플레이트(380)에는 선회 모터(342)와, 승강 실린더(345)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버튼(381)(제어 조작구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복수의 제어 버튼(381)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대응하여 승강 실린더(345)와 선회 모터(342)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복수의 제어 버튼(381) 중 선회에 대응하는 것을 조작함으로써 선회 모터(342)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종축 코어(Y)를 중심으로 하여 언로더(306)를 선회시켜 배출부(336)로부터의 곡립의 반출 방향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버튼(381) 중 승강에 대응하는 것을 조작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45)가 신축 작동하고, 수평 축심(Z)을 중심으로 하여 횡반송 컨베이어(335)의 선단측을 승강시켜 배출부(336)로부터의 곡립의 반출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출 케이스(332)는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내부에 잔류하는 곡립의 배출과 내부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332A)가 저부에 형성되고, 이 개구(332A)에 대해 폐색 수단(D)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반출 케이스(332)의 하부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스크류(331S)의 외주의 형상을 따르도록 대략 원형이 되는 통 형상벽(332B)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통 형상벽(332B)의 일부에는 통 형상벽(332B)의 저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장부(3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332C)의 내면과 통 형상벽(332B)이 형성된 구멍 형상 부분에 의해 개구(332A)가 형성되고, 이 개구(332A)의 외부 위치에 종방향 자세로 되는 플랜지면(332D)이 형성되고, 이 플랜지면(332D)에 폐색 수단(D)이 구비되어 있다.
폐색 수단(D)은 플랜지면(332D)에 접촉하는 형태로 반출 케이스(332)에 설치되는 연결체(347)와, 개구(332A)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플레이트(348)를 일체화한 구조를 갖는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348)에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는 바닥 스크류(331S)의 외주의 형상을 따르는 원호 형상으로 성형되고, 고정 플레이트(349)에는 스터드 볼트형의 2개의 고정 볼트(349A)가 구비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에는 스터드 볼트형의 1개의 연결 볼트(350A)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48)에는 2개의 고정 볼트(349A)가 삽입 관통하는 2개의 고정 구멍부(348A)와, 연결 볼트(350A)가 삽입 관통하고, 횡방향[바닥 축심(X)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어지는 긴 구멍(34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고정 볼트(349A)에 고정 너트(349B)가 나사 결합하고, 1개의 연결 볼트(350A)에는 연결 너트(350B)가 나사 결합한다.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의 횡방향[바닥 축심(X)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서로 더한 합계 치수(L)는 반출 케이스(332)에 형성된 개구(332A)의 횡방향[바닥 축심(X)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치수 관계이므로, 폐색 수단(D)에 의해 개구(332A)를 폐색할 때에는, 처음에 고정 플레이트(349)를 지지 플레이트(348)에 고정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의 연결 볼트(350A)에 나사 결합하는 연결 너트(350B)를 풀고,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50)를 고정 플레이트(349)에 겹쳐지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둔다.
다음에, 이 상태로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를 개구(332A)의 내부에 삽입하고, 연결체(347)를 플랜지면(332D)에 대해 볼트(351)에 의해 연결하고, 또한 연결 볼트(350A)를 긴 구멍(348B)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플레이트(349)가 고정 플레이트(349)와 병렬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이 위치에 있어서 연결 볼트(350A)에 나사 결합하는 연결 너트(350B)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350)를 고정하는 조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반출 케이스(332)의 개구(332A)의 부위에 비원호 형상으로 되는 내면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의 내면이 바닥 스크류(331S)의 외주를 따르게 하는 형태로 되는 원활한 내면의 형성이 실현된다.
〔배출 클러치〕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의 구동력을 바닥 스크류(331S)로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 기구와,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배출 클러치(C)를 구비하여 언로더(306)의 구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즉, 엔진(E)의 출력축에 구비한 출력 풀리(361)와, 기어 박스(362)의 입력축에 구비한 중간 입력 풀리(363)에 걸쳐서 무단 벨트로 이루어지는 중간 벨트(364)가 권회되어 있다. 기어 박스(362)는 입력축으로 전달되는 회전 이동력을, 입력축과 직교하는 자세의 출력축으로 전달하도록 한 쌍의 베벨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이 기어 박스(362)의 출력축에 구비한 중간 출력 풀리(365)와, 바닥 스크류(331S)의 외측 단부의 입력축에 구비한 입력 풀리(366)에 걸쳐서 무단 벨트로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367)가 권회되어, 이 전동 벨트(367)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텐션 풀리(368)를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305)의 전방 위치에서 운전 좌석(312)의 측부 후방 위치에, 지주 형상의 지지 프레임(371)이 기체 프레임(321)에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 프레임(371)에 대해 전후 방향 자세의 축체(369A)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텐션 아암(369)이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369)의 요동 단부에 전술한 텐션 풀리(36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C)는 중간 출력 풀리(365)와, 입력 풀리(366)와, 전동 벨트(367)와, 텐션 풀리(368)와, 텐션 아암(369)으로 구성되어, 그레인 탱크(305)의 하부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 클러치(C)는 텐션 아암(369)의 요동 자세의 전환에 의해 텐션 풀리(368)가 전동 벨트(367)에 작용하는 장력을 제어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온 상태와, 동력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레버(318)에 의해 배출 클러치(C)를 제어하기 위해, 이 배출 레버(318)와 텐션 아암(369) 사이에 클러치 조작 기구(F)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317)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설정한 자세의 각진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지지 프레임(371)의 상단부의 연결 플레이트(372)에 연결되어 있다. 이 베이스 프레임(317)에 대해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Q)과 동축심으로 되는 레버축(318A)이 구비되고, 이 레버축(318A)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출 레버(318)가 지지되고, 이 배출 레버(318)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 플레이트(380)가 베이스 프레임(317)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80)는 그 상면이 패널부(314)의 레버류 배치용 경사면(314A)의 운전 좌석측의 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이 패널부(314)의 외측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배출 레버(318)의 기단부측에 아암부(318B)가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베이스 프레임(317)의 후단부측에는 횡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R)과 동축심의 요동축(37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요동체(374)가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체(374)는 제1 요동 아암(374A)과 제2 요동 아암(374B)을 갖고 있고, 제1 요동 아암(374A)과 아암부(318B)가 제1 작동 로드(375)에 의해 접속되고, 제2 요동 아암(374B)과 텐션 아암(369)이 제2 작동 로드(376) 및 코일 스프링(37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작동 로드(375)는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 자세로 설정한 자세로 엔진 커버(320)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작동 로드(376)는 길이 방향을 종방향 자세로 설정한 상태로 엔진 커버(320)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작동 로드(375)에 의해 제1 작동체가 구성되고, 제2 작동 로드(376)와 코일 스프링(377)으로 제2 작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28에서는, 제1 요동 아암(374A)과 제2 요동 아암(374B)을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여 요동체를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단일의 부재를 프레스하는 등의 가공에 의해 벨 크랭크 형상으로 되도록 요동체(374)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2 작동체로서 와이어를 사용해도 좋다.
이들 제1 작동 로드(375)와, 요동체(374)와, 제2 작동 로드(376)와, 코일 스프링(377)에 의해 클러치 조작 기구(F)가 구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 조작 기구(F)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레버(318)가 「오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텐션 풀리(368)로부터 전동 벨트(367)에 작용하는 장력을 저하시켜 배출 클러치(C)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배출 레버(318)를 「온」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텐션 아암(369)의 요동 단부를 들어올림 방향으로 조작하여 텐션 풀리(368)로부터 전동 벨트(367)로 작용시키는 장력을 높여 배출 클러치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구체적인 작동 형태로서, 배출 레버(318)가 「온」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이 배출 레버(318)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1 작동 로드(375)가 전방으로 당김 조작되고, 이 당김 조작에 수반하여, 제1 요동 아암(374A)과 제2 요동 아암(374B)이 요동 축심(R)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요동하고, 제2 작동 로드(376)가 상방으로 당김 조작된다. 이 당김 조작에 의해 텐션 아암(369)의 요동 단부도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고, 텐션 풀리(368)가 전동 벨트(367)에 접촉하여 장력을 작용시켜 배출 클러치(C)가 온 상태에 도달한다.
특히, 배출 레버(318)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전동 벨트(367)의 장력과 코일 스프링(377)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이 「온」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배출 레버(318)가 요동 한계에 도달하는 동시에, 이 요동 한계에 도달하기 이전에 배출 레버(318)의 아암부(318B)와, 제1 작동 로드(375)의 선단과의 연결점이, 상방 위치로부터 데드 포인트를 초과하여 하방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배출 레버(318)는 「온」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즉, 제1 작동 로드(375)의 선단과의 연결점은,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한 원호 궤적 상을 이동하게 되지만, 배출 레버(318)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연결점이,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한 원호 궤적 상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의 도중(궤적의 중간)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변위된 위치가 되는 데드 포인트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데드 포인트를 통과함으로써, 전동 벨트(367)의 장력과 코일 스프링(377)의 가압력이, 배출 레버(318)를 「온」 위치의 방향을 향해 요동시키게 되어, 배출 레버(318)는 「온」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배출 클러치(C)가 온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엔진(E)의 구동력이 바닥 스크류(331S)로 전달되고, 또한 이 바닥 스크류(331S)로부터 언로더(306)의 종반송 스크류(333S)와, 중간 스크류(334S)와, 횡반송 스크류(335S)로 전달되어, 그레인 탱크(30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반출이 실현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효과〕
클러치 조작 기구(F)가, 엔진 커버(320)의 상방에 배치된 제1 작동 로드(375)와, 이것에 연계하는 요동체(374)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요동체(374)에 연계하는 제2 작동 로드(376)를 엔진 커버(320)의 후방측에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배출 레버(318)의 조작력을, 엔진(E)이 배치된 공간을 피하는 형태로 엔진 커버(320)의 상면으로부터 엔진 커버(320)의 후방면측으로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동체(374)에 대한 제1 작동 로드(375)와 제2 작동 로드(376)의 연결 위치의 설정에 의해, 제1 작동 로드(375)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제2 작동 로드(376)의 작동량을 필요로 하는 작동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출 레버(318)의 조작 스트로크를 작업자의 조작에 적합한 양으로 설정하여 배출 클러치(C)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언로더(306)에서는, 바닥 스크류(331S)의 단부의 제1 판형상체(331P)가 곡립을 상방으로 긁어 올리는 작동을 행하므로, 곡립을 손상시키지 않고 종반송 스크류(333S)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종반송 스크류(333S)의 반송단부에 구비한 제2 판형상체(333P)와, 중간 스크류(334S)의 반송단부에 구비한 제3 판형상체(334P)가 곡립을 긁어 보내는 것에 의해서도 곡립을 손상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하고 있다.
반출 케이스(332)의 개구(332A)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폐색 수단(D)이,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의 2부재를 구비하고, 반출 케이스(332)의 내부에 있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50)를 인위적으로 슬라이드시킨 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2부재의 합계 치수(L)가 폐색 상태에서 개구(332A)의 폭보다 넓게 할 수 있고, 이 고정 플레이트(349)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50)의 2부재를 바닥 스크류(331S)의 외주면에 근접 상태로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운전 좌석(312)의 후방과, 그레인 탱크(305)의 전방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대형의 에어 클리너(323)의 배치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이 에어 클리너(323)와 운전 좌석(312)의 측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출 레버(318)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레버(318)를 조작하는 경우에, 배출 레버(318)가 수직 자세에 도달한 상태라도, 이 배출 레버(318)의 상단부 위치가 운전 좌석(312)의 시트 백(312A)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시트 백(312A)에 손 등을 접촉시키지 않고, 배출 레버(318)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서, 4조 예취 형식의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였지만, 예취 조수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5조 예취 이상의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커버의 상면에 운전 좌석이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클러치가 그레인 탱크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 좌석과 엔진이 배치되고, 이들의 후방에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가 배치되고, 이 그레인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벨트 텐션식 배출 클러치와, 이 배출 클러치의 단속을 인위적으로 행하는 배출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엔진을 덮는 엔진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운전 좌석의 근방에서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배출 클러치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이 배출 클러치에 상기 배출 레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 클러치 조작 기구가, 상기 엔진 커버의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 레버에 접속하는 제1 작동체와, 상기 엔진 커버의 후방측에서 종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 클러치에 접속하는 제2 작동체와, 상기 제1 작동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작동을 종방향으로의 작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작동체로 전달하도록 횡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의 청정화를 도모하는 에어 클리너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 레버는 상기 운전 좌석 및 상기 에어 클리너보다 가로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동시에, 기체 정면 측으로 조작하여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기체 후방 측으로 조작하여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조작 영역은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좌석의 시트 백과 상기 에어 클리너에 걸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배출 레버의 파지부가 상기 운전 좌석 시트 백보다 기체 정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배출 레버의 파지부가 상기 에어 클리너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 레버의 파지부가 상기 배출 레버의 기단부에 대하여 상기 운전 좌석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콤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레버의 상기 지지 축심은 상기 운전 좌석의 기체 가로 방향 내측 단부보다 기체 가로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기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좌석과 중복되는 콤바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조작 영역에 있어서 수직 자세로 있는 경우에, 이 배출 레버의 상단부 위치가 상기 시트 백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콤바인.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커버가, 하부의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 주위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엔진 커버의 상방 위치에서,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작동 시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배출 레버가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더가, 선회 액추에이터에 의한 종축 코어 주위에서의 선회와, 승강 액추에이터에 의한 승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회 액추에이터와 상기 승강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조작구가 상기 배출 레버에 대해 기체 가로 방향 바깥쪽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이 상기 엔진 커버의 후단 위치보다 후방 위치에 기체 프레임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요동체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기체 후방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지지되는 콤바인.
KR1020110091955A 2011-01-20 2011-09-09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KR101854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9748A JP5715424B2 (ja) 2011-01-20 2011-01-20 コンバイン
JPJP-P-2011-009748 2011-01-20
JPJP-P-2011-079892 2011-03-31
JP2011079892A JP5351923B2 (ja) 2011-03-31 2011-03-31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2011079893A JP2012213344A (ja) 2011-03-31 2011-03-31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JP-P-2011-079893 201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646A KR20120084646A (ko) 2012-07-30
KR101854467B1 true KR101854467B1 (ko) 2018-05-03

Family

ID=4671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955A KR101854467B1 (ko) 2011-01-20 2011-09-09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013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212058A (ja) * 2007-03-05 2008-09-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KR100920411B1 (ko) 2007-03-30 2009-10-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013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212058A (ja) * 2007-03-05 2008-09-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KR100920411B1 (ko) 2007-03-30 2009-10-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646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02B1 (ko) 콤바인
WO2014010422A1 (ja) クローラ走行装置及び収穫機
JP5139927B2 (ja) コンバイン
KR101854467B1 (ko)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JP2008247235A (ja) 作業車両の操作装置
JP3851858B2 (ja)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JP5814535B2 (ja) コンバイン
JP5822807B2 (ja) コンバイン
JP2012090556A5 (ko)
JP3786134B2 (ja) コンバイン
KR101794347B1 (ko) 콤바인
JP2022125171A (ja) コンバイン
JP5715424B2 (ja) コンバイン
JP5351923B2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6840000B2 (ja) コンバイン
JP2001245524A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09000036A (ja) コンバインの作業クラッチレバー
KR101919153B1 (ko)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JP2006192961A (ja) シート支持構造
JP6080015B2 (ja) コンバイン
JP2002176833A (ja) コンバイン
JP5648728B1 (ja) コンバイン
JP2012213344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5404116B2 (ja) コンバイン
KR101718542B1 (ko) 곡립 반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