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41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411B1
KR100920411B1 KR1020070134054A KR20070134054A KR100920411B1 KR 100920411 B1 KR100920411 B1 KR 100920411B1 KR 1020070134054 A KR1020070134054 A KR 1020070134054A KR 20070134054 A KR20070134054 A KR 20070134054A KR 100920411 B1 KR100920411 B1 KR 10092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owering
vehicle body
raising
m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141A (ko
Inventor
카즈노리 후쿠치
아키라 오키모토
마코토 타카기
미치오 이시카와
히토시 와타나베
히로시 니시자키
히로히코 사시하라
히데노리 오카자키
지로우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1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8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11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904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레버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예취 장치의 높이 조절과 차고 조절과 차체의 자세 조절과 차체의 조향을 조작성 좋게, 또한 오조작 적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콤바인에 의한 예취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에 예취 장치 승강 조작용의 상승용 스위치(SW1)와 하강용 스위치(SW2)를 상하에 나란히 설치하고, 이 상승용 스위치(SW1)와 하강용 스위치(SW2) 사이의 위치에 각 스위치의 누름 조작면보다 돌출된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형성한다. 또한, 파지부(70)의 좌측면에 설치한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 사이의 위치에도 동일한 돌출부(73)를 형성한다.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콤바인에는 차체 상에 설치한 조종부에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장치를 상승시키고,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차체를 선회시키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있다.
이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설 기계의 조종부에 설치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전후진 스위칭용 스위치와, 주행 변속용 증속 스위치와, 감속 스위치를 설치하고, 파지부의 측면에 경적용 스위치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들 스위치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71801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기능이 다른 다수의 스위치를 단지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뿐인 것이다. 따라서, 조종자가 각 스위치의 기능을 기억해 두지 않으면 용이하게 조종할 수 없다. 그리고, 이 파지부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 이 스위치의 구별이 어려워 조작하는 스위치를 잘못 판단해서 오조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을 콤바인의 조작 장치에 이용해서 예를 들면, 콤바인의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예취 장치를 상승시키는 예취 장치 승강용 스위치와, 주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하는 조향용 스위치를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한 경우, 예를 들면, 예취 주행중에 콤바인이 곡간열로부터 벗어나서 조향용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조종자가 잘못해서 예취 장치 승강용 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종자의 생각과 달리 예취 장치가 하강하여 이 예취 장치가 지면에 돌입되어 버린다. 즉,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콤바인의 조작성이 나빠 예취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 장치(2)를 구비한 차체(1)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장 장치(4)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3)의 전방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예취 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장 장치(4)의 전방측에 조종부(6)를 설치하고, 그 조종부(6)에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장치(5)를 상승시키고,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하는 조작 레버(59)를 설치하고, 그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단축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하강시키고,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장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연계하고, 그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전방측의 면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신장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장치(5)를 상승시키는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단축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장치(5)를 하강시키는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 사이의 위치에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의 누름 조작면 및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면보다 돌출된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형성하고,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는 각 누름 조작면을 1회 누를 때마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수백밀리초의 설정 시간만큼 신축 작동시킨 후에 이 신축 작동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좌측면에 차체(1)의 차고를 높이는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체(1)의 차고를 낮추는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 사이의 위치에 상기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의 누름 조작면 및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의 누름 조작면보다 돌출된 제 2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3)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상측면에 차체(1)를 좌측 하강 자세로 경사지게 하는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와 차체(1)를 우측 하강 자세로 경사지게 하는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 및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보다 후방측에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조향하는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조향하는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 레버(59)의 상측면에 오목부(94)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94)에 상기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와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와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 사이의 위치에 상기 오목부(94)의 바닥면보다 높고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의 누름 조작면 및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의 누름 조작면보다 낮은 제 3 돌출부(7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콤바인에 의한 예취 작업시에 조종자가 한손으로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를 잡은 상태에서 이 손의 손가락(주로 검지와 중지)으로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에 설치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조작해서 예취 장치(5)를 예취 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조작할 때에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에 손가락이 접촉됨으로써 이 2개의 스위치를 잘못 판단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는, 그 누름 조작면을 계속해서 눌러도 예취 장치(5)는 미소한 소정 높이만큼밖에 승강되지 않고, 예취 장치(5)를 크게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누름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복수회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예취 장치(5)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약한 포장 등에서 주행 장치(2)가 침하되는 경우에는 이 파지부(70)를 잡은 손의 손가락(주로 엄지)으로 파지부(70)의 좌측면에 설치한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조작해서 차고를 상승시켜 연약한 포장에서의 예취 작업에 적합한 차고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조작할 때에 제 2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3)에 손가락이 접촉됨으로써 이 2개의 스위치를 잘못 판단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약한 포장에서 차체(1)가 좌우 경사지는 경우에는 이 파지부(70)를 잡은 손의 손가락(주로 엄지)으로 파지부(70)의 상측면에 설치한 좌측 경사용 스위 치(SW5)와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를 조작해서 차체(1)의 자세를 예취 작업에 적합한 자세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취 주행중에 예취 장치(5)가 곡간열로부터 벗어날 같은 경우에는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 및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보다 후방측에 설치한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조작해서 차체(1)를 곡간열을 따르게 해서 주행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조작 레버(59)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예취 장치(5)의 높이 조절과 차고 조절과 차체(1)의 자세 조절과 차체(1)의 조향을 조작성 좋게, 또한 오조작 적게 행할 수 있어 콤바인에 의한 예취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와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와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조작할 때에 제 3 돌출부(74)에 손가락이 접촉됨으로써 이 경사용 스위치와 조향용 스위치를 잘못 판단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차체(1)의 자세 조절과 차체(1)의 조향을 오조작 적게 행할 수 있어 콤바인에 의한 예취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 도 3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조작 레버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정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콤바인은 차체(1)의 하측에 주행 장치(2)를 설치하고, 차체(1)의 상측에는 탈곡 장치(3)와 곡립 저장 장치(4)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탈곡 장치(3)의 전방에 예취 장치(5)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곡립 저장 장치(4)의 전방측에 조종부(6)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도 4, 도 5에 상기 주행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낸다.
차체(1)를 구성하는 기대 프레임(7)의 하부에 전방측 롤링암(8) 및 후방측 롤링암(9)의 중간부를 축(10) 및 축(11)에 의해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 전방측 롤링암(8) 및 후방측 롤링암(9)의 후방측의 자유 단부를 다수의 전륜(轉輪)(12)을 갖는 전륜 프레임(13)의 상부에 축(14) 및 축(15)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기대 프레임(7)과 전륜 프레임(13)의 상하 간격을 변경 가능한 평행 링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측 롤링암(8)의 상측 자유 단부와, 후방측 롤링암(9)의 상측 자유 단부를 연동 로드(16)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동 로드(16)의 후단부에 롤링 실린더(17)의 피스톤 선단을 연결한다. 이 롤링 실린더(17)의 실린더측은 기대 프레임(7)측에 축(18)에 의해 부착한다. 또한, 기대 프레임(7)의 전방부에는 미션 케이스(19)를 부착하고, 이 미션 케이스(19)로부터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킷(20)과, 상기 다수의 전륜(12)에 걸쳐 크롤러(21)를 감아 건다. 이상의 구성을 좌우 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주행 장치(2)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좌우 양측의 롤링 실린더(17, 17)가 신장되면 전방측 롤링암(8) 및 후방측 롤링암(9)이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대 프레임(7)과 좌우 양측의 전륜 프레임(13, 13)의 상하 간격이 확대된다. 즉, 크롤러(21, 21)의 접지면에 대해서 기대 프레임(7)이 상승하게 되어 콤바인의 차고가 상승한다.
또한, 좌우 일측의 롤링 실린더(17)가 신장되고, 좌우 타측의 롤링 실린더(17)가 단축되면 기대 프레임(7)과 이 좌우 일측의 전륜 프레임(13)의 상하 간격이 확대되고, 한편, 기대 프레임(7)과 좌우 타측의 전륜 프레임(13)의 상하 간격이 축소되어 차체(1)가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도 6에 상기 미션 케이스(19)의 구성을 나타낸다.
기대 프레임(7) 상에 탑재한 엔진(22)으로부터 구동되는 주행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를 미션 케이스(19)의 상부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축을 미션 케이스(19)의 입력축(24)에 연동시키고, 이 입력축(24)을 부변속 기어 기구(25)를 통해 센터 기어(26)에 연동시킨다. 이 센터 기어(26)의 좌우 양측에는 이 센터 기어(26)에 대해서 맞물림 및 이탈 가능한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 27)를 설치한다. 이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 27)는 좌우의 차축(28, 28)에 부착한 차축 기어(29, 29)에 맞물리는 좌우의 감속 기어(30, 30)에 맞물리게 한다. 또한, 이 좌우의 감속 기어(30, 30)를 차동 기어 기구(31)의 좌우의 차동 출력 기어(32, 32)에 맞물리게 한다. 이 차동 기어 기구(31)는 차동 기어 케이스(33) 내의 내부에 베어링된 복수의 유성 기어(34)와, 이 유성 기어(34)에 맞물리는 좌우의 차동 기어(35, 35)에 의해 구성된다. 이 좌우의 차동 기어(35, 35)는 상기 좌우의 차동 출력 기어(32, 32)와 각각 일체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 기어(26)에 병설된 소경 기어(36)를 제어축(37)에 베어링된 입력 기어(38)에 맞물리게 하고, 상기 센터 기어(26)를 제어축(37)에 베 어링된 입력 기어(39)에 맞물리게 한다. 또한, 제어축(37)에 일체의 출력 기어(94)를 상기 차동 기어 케이스(33)의 외주부에 형성한 입력 기어(40)에 맞물리게 한다. 상기 제어축(37) 상에는 입력 기어(39)를 제어축(37)과 일체화함으로써 이 입력 기어(39)의 회전을 출력 기어(94)에 전달하는 다반식(多盤式)의 직진용 클러치(42)를 설치한다. 또한, 이 제어축(37) 상에는 입력 기어(38)를 제어축(37)과 일체화함으로써 이 입력 기어(38)의 회전을 출력 기어(94)에 전달하는 다반식의 선회용 클러치(43)를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 27)가 센터 기어(26)에 맞물리고, 또한, 직진용 클러치(42)가 접속되고 선회용 클러치(43)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차동 기어 케이스(33)가 고속으로 구동되어 좌우의 차동 출력 기어(32, 32)가 등속으로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좌우의 차축(28, 28)이 등속으로 구동되고, 차체(1)는 직진 주행한다. 한편, 좌우 일측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만을 센터 기어(26)로부터 이탈시키고, 또한, 직진용 클러치(42)가 차단되어 선회용 클러치(43)가 접속되기 시작하면, 차동 기어 케이스(33)가 선회용 클러치(43)의 접속 정도에 따라 감속해서 구동되고, 좌우 일측의 차동 출력 기어(32)의 회전이 감속되어 차체(1)가 선회한다. 이 선회용 클러치(43)의 접속력이 높아질수록 선회 반경이 작아지고, 결국은 좌우의 차축(28, 28)이 서로 역전(逆轉)되는 스핀턴 상태에 이른다.
상기 탈곡 장치(3)는 탈곡통 및 예취 장치(5)로부터 예취 곡간을 인계해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을 설치한 상부의 탈곡실(44)과, 요동 선별 선반 및 풍구를 설치한 하부의 선별실(4)로 구성된다.
상기 곡립 저장 장치(4)는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배면 상부에 1번 양곡 장치(46)의 상단부를 연통한다. 또한, 곡립 저장 장치(4)의 바닥부에 이송 나선을 배치하고, 곡립 저장 장치(4)의 후방측에는 이 이송 나선으로부터 곡물을 인계해서 퍼올려 이송하는 양곡 장치(47)를 설치한다. 이 양곡 장치(47)는 전동 모터에 의해 종축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양곡 장치(47)의 상단부에 배출 장치(48)의 기부를 상하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이 배출 장치(48)를 승강 회전시키는 승강 실린더(49)를 설치한다.
상기 예취 장치(5)는 전단부에 설치한 복수의 분초체(分草體)(50)와, 이 분초체(50)의 후방측에 설치한 픽업 장치(51)와, 이 픽업 장치(51)의 후방측 바닥부에 설치한 예취날 장치(52)와, 이 예취날 장치(52)의 상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설치한 결집 반송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53)의 후단부를 기대 프레임(7)의 전방부 상측에 설치한 예취 지지대(54) 상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대 프레임(7)측과 지지 프레임(53) 사이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부착하고, 그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축 작동에 의해 예취 장치(5)가 기대 프레임(7)에 대해서 상승하는 구성으로 한다. 63은 예취 장치(5)로부터 피드 체인을 향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반송 경로의 상측을 덮는 방진 커버이다.
상기 조종부(6)는 엔진(22)을 피복하는 엔진 커버(56)의 상면에 좌석(57)을 설치하고, 그 좌석(57)의 전방에 설치한 전방측 조작 패널(58)의 우측에 조작 레버(59)를 종방향 자세로 해서 설치하고, 이 조작 레버(59)의 후방측에 조종자의 오 른손목을 올려놓는 지지대(60)를 설치하고, 이 지지대(60)의 좌측에 미터 패널(61)을 설치하고, 이 미터 패널(61)의 좌측에 설치한 경사면(62)에 자동 제어계의 각종 조작 스위치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좌석(57)의 좌측 방향으로 측부 조작 패널(64)을 설치하고, 이 측부 조작 패널(64) 상에 엔진(2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스로틀 레버(65)와,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 회전을 전후 방향으로 무단 변속 조작하는 주변속 레버(66)와, 상기 미션 케이스(19) 내의 부변속 기어 기구(25)를 변속 조작하는 부변속 레버(67)와, 미션 케이스(19)의 입력축(24)으로부터 예취 장치(5)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68)와, 엔진(22)으로부터 탈곡 장치(3)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69)를 설치한다.
상기 조작 레버(59)의 기부에는 이 조작 레버(59)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쓰러뜨린 경우에 온으로 되는 스위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전기 회로 및 유압 회로에 의해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단축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하강시켜 조작 레버(59)를 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장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연계한다. 또한, 이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 일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측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를 센터 기어(26)로부터 이탈시키고 직진용 클러치(42)를 차단하고, 선회용 클러치(43)의 접 속 압력의 승압을 개시하도록 연계한다. 이 조작 레버(59)를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선회용 클러치(43)의 접속 압력은 유지되고, 조작 레버(59)의 쓰러뜨림 각도가 커질수록 이 선회용 클러치(43)의 접속 압력은 증가한다.
다음에 도 7~도 10에 기초해서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에는 상측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신장시켜서 예취 장치(5)를 상승시키는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를 설치하고, 하측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단축시켜서 예취 장치(5)를 하강시키는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설치한다. 이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는 조종자가 파지부(70)를 잡은 오른손의 검지와 중지로 누름 조작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는 누름 조작면을 1회 누를 때마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수백밀리초의 미소한 설정 시간만큼 신축 작동시킨 후에 이 신축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즉, 누름 조작면을 계속해서 눌러도 예취 장치(5)는 미소한 소정 높이만큼밖에 승강되지 않고, 예취 장치(5)를 크게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누름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에 의해 예취 장치(5)의 높이를 미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 사이에는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의 누름 조작면 및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면보다 2밀리미터 정도만 돌출시켜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이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잘못 판단해서 조작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의 누름 조작면 및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면을 조작 레버(59) 전방측의 면으로부터 수밀리미터만큼 가라앉게 하도록 해서 형성하고, 이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 사이에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예를 들면 2밀리미터 정도 돌출시켜서 형성해도 좋다. 즉,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에 스위치의 누름 조작면이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조종자가 선 자세에서 조작 레버(59)를 잡고 조작한 경우에 이 누름 조작면을 잘못해서 눌러 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스위치의 주변에 돌출된 오조작 방지용 벽을 설치하면 이 조작 레버(59)를 잡았을 때에 위화감이 발생하여 조작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의 누름 조작면 및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면을 파지부(70) 전방측의 면보다 수밀리미터만큼 가라앉게 하고, 이 양쪽의 스위치 사이에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돌출시켜서 형성함으로써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을 비교적 매끈매끈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좌측면에 조종자가 오른손으로 파지부(70)를 잡았을 때에 이 오른손의 엄지의 베이스가 수용되는 크기의 오목부(72)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70)의 좌측면의 하부에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상하에 나란히 설치한다. 이 차고 상 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는 누름 조작면을 누름으로써 좌우 양측의 롤링 실린더(17, 17)를 동량만큼 신축 작동시켜 차체(1)의 차고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 롤링 실린더(17, 17)의 신축 작동은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 및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
그리고, 이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 사이에 2밀리미터 정도 돌출된 제 2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3)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파지부(70)를 잡고 좌우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경우에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을 오목부(72)에 익숙해지게 해서 조작 레버(59)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상측면을 움푹 들어가게 해서 오목부(94)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94)의 전방측 부분에 좌우 한쌍의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와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를 설치하고, 이 후방측에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설치한다.
상기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 누름 조작 동안에 계속해서 좌측의 롤링 실린더(17)가 단축 작동하고, 우측의 롤링 실린더(17)가 신장 작동하여 차체(1)의 자세가 좌측 하강의 경사 자세로 변경된다. 또한,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를 누름 조작하면 이 누름 조작 동안에 계속해쳐 우측의 롤링 실린더(17)가 단축 작동하고, 좌측의 롤링 실린더(17)가 신장 작동하여 차체(1)의 자세가 우측 하강의 경사 자세로 변경된다.
또한,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를 누름 조작하면 후술하는 푸시 실린더의 신 장 작동에 의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가 센터 기어(26)로부터 이탈되고, 직진용 클러치(42)가 차단된다. 이 푸시 실린더의 신장 작동은 수백밀리초 정도의 미소한 소정 시간으로 종료되고, 다시 단축된다. 이것에 의해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를 계속해서 눌러도 차체(1)의 조향는 소정량으로 종료된다. 따라서, 차체(1)의 주행 방향을 크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의 복수회의 누름 조작을 필요로 한다.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예취 주행중에 곡간열로부터 벗어날 것 같은 경우에 이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 및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누름 조작하여 차체(1)의 주행 방향을 미조정하고, 콤바인을 곡간열을 따르게 해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와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의 누름 조작면의 간격을 좁게,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의 간격을 넓게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각 스위치의 간격이 상위하므로 스위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 및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와,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 사이의 위치에 상기 오목부(94)의 바닥면보다 높고, 이들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의 누름 조작면 및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의 누름 조작면보다 낮은 제 3 돌출부(74)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경사 스위치(SW5, SW6)와,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SW1~SW8)는 아날로그 입력 포 트(75)를 경유해서 컨트롤러(76)의 중앙 연산 장치(77)에 입력되고, 또한, 조작 레버(59)의 좌우 방향의 쓰러뜨림 조작에 의해 온으로 되는 좌측 조향 스위치(SWa), 우측 조향 스위치(SWb), 예취 상승 스위치(SWc), 예취 하강 스위치(SWd)는 디지털 입력 포트(78)를 경유해서 중앙 연산 장치(77)에 입력된다. 또한, 중앙 연산 장치(77)로부터 출력 포트(79)를 경유해서 좌측 조향 솔레노이드(SL1), 우측 조향 솔레노이드(SL2), 예취 상승 솔레노이드(SL3), 예취 하강 솔레노이드(SL4), 좌측 차고 상승 솔레노이드(SL5), 좌측 차고 하강 솔레노이드(SL6), 우측 차고 상승 솔레노이드(SL7), 우측 차고 하강 솔레노이드(SL8)에 제어 지령이 출력되는 구성이다.
또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와,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조작 레버(59)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이들 스위치(SW1~SW4)의 누름 조작을 유효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59)의 조작이 각 스위치(SW1, SW2, SW3, SW4)의 조작보다 우선되는 구성이다.
또한,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의 조작을 조작 레버(59)의 쓰러뜨림 조작에 의해 조향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무효로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조작을 조작 레버(59)를 후방측으로 조작해서 예취 장치(5)를 상승시키고 있는 경우에 무효로 하도록 구성한다.
도 12에 유압 회로를 나타낸다.
80은 작동유 탱크, 81은 오일 펌프, 82는 오일 필터, 83은 분류 밸브, 84는 조작 레버(59)의 좌우 방향의 쓰러뜨림 각도에 따라 직진용 클러치(42)를 차단해서 선회용 클러치(43)를 접속하는 작동용 실린더(87)로의 송유압을 제어하는 비례 감압 밸브, 85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기어(27, 27)를 센터 기어(26)로부터 이탈시키는 좌우의 푸시 실린더, 86은 이 좌우의 푸시 실린더(85, 85)로의 송유 방향 및 송유량을 조절하는 스위칭 밸브, 88은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로의 송유 방향을 스위칭하는 방향 스위칭 밸브, 90은 승강 실린더(49)로의 송유 방향 및 송유량을 조절하는 방향 스위칭 밸브, 91은 좌우의 롤링 실린더(17, 17)로의 송유 방향 및 송유량을 조절하는 방향 스위칭 밸브, 92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 내의 폐회로에 작동유를 보급하는 차지 펌프, 93은 작동유 냉각기이다.
도 1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주행 장치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5는 롤링암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미션 케이스 내의 전동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배면도, (b)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의 (a)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좌측면도, (b)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평면도, (b)는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조작 레버의 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기 회로도이다.
도 12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2: 주행 장치
3: 탈곡 장치 4: 곡립 저장 장치
5: 예취 장치 6: 조종부
59: 조작 레버 70: 파지부
71: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 73: 제 2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
74: 제 3 돌출부 94: 오목부
SW1: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 SW2: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
SW3: 차고 상승용 스위치 SW4: 차고 하강용 스위치
SW5: 좌측 경사용 스위치 SW6: 우측 경사용 스위치
SW7: 좌측 조향용 스위치 SW8: 우측 조향용 스위치

Claims (2)

  1. 주행 장치(2)를 구비한 차체(1)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장 장치(4)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3)의 전방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예취 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장 장치(4)의 전방측에 조종부(6)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6)에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장치(5)를 승강시키고,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하는 조작 레버(59)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단축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하강시키고, 조작 레버(59)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이 후방측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의 신장 작동을 계속해서 예취 장치(5)를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연계하고;
    상기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 전방측의 면에,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신장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장치(5)를 상승시키는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단축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장치(5)를 하강시키는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 사이의 위치에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의 누름 조작면 및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면보다 돌출된 제 1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1)를 형성하고;
    상기 예취 장치 상승용 스위치(SW1)와 예취 장치 하강용 스위치(SW2)는 각 누름 조작면을 1회 누를 때마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55)를 수백밀리초의 설정 시간만큼 신축 작동시킨 후에 이 신축 작동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좌측면에 차체(1)의 차고를 높이는 차 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체(1)의 차고를 낮추는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와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 사이의 위치에 상기 차고 상승용 스위치(SW3)의 누름 조작면 및 차고 하강용 스위치(SW4)의 누름 조작면보다 돌출된 제 2 오조작 방지용 돌출부(73)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레버(59)의 파지부(70)의 상측면에 차체(1)를 좌측 하강 자세로 경사지게 하는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와 차체(1)를 우측 하강 자세로 경사지게 하는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좌측 경사용 스위치(SW5) 및 우측 경사용 스위치(SW6)보다 후방측에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조향하는 좌측 조향용 스위치(SW7)와 차체(1)의 주행 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조향하는 우측 조향용 스위치(SW8)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59)의 상측면에 오목부(94)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94)에 상기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와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와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 사이의 위치에 상기 오목부(94)의 바닥면보다 높고 좌우의 경사용 스위치(SW5, SW6)의 누름 조작면 및 좌우의 조향용 스위치(SW7, SW8)의 누름 조작면보다 낮은 제 3 돌출부(7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70134054A 2007-03-30 2007-12-20 콤바인 KR100920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91748 2007-03-30
JP2007091748A JP4998053B2 (ja) 2007-03-30 2007-03-30 コンバイン
JP2007311682A JP4389048B2 (ja) 2007-11-30 2007-11-30 コンバイン
JPJP-P-2007-00311682 200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141A KR20080089141A (ko) 2008-10-06
KR100920411B1 true KR100920411B1 (ko) 2009-10-07

Family

ID=4015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054A KR100920411B1 (ko) 2007-03-30 2007-12-20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467B1 (ko) 2011-01-20 2018-05-0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KR20190033949A (ko) * 2017-09-22 2019-04-01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147A (ko) * 2002-09-06 2004-03-1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04275142A (ja) * 2003-03-18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147A (ko) * 2002-09-06 2004-03-1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04275142A (ja) * 2003-03-18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467B1 (ko) 2011-01-20 2018-05-0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의 조작 장치 및 콤바인
KR20190033949A (ko) * 2017-09-22 2019-04-01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KR102529944B1 (ko) * 2017-09-22 2023-05-08 주식회사 대동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141A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6362B2 (ja) 移植機
JP5173348B2 (ja) コンバイン
JP4389048B2 (ja) コンバイン
KR100920411B1 (ko) 콤바인
JPH0583403B2 (ko)
KR20080065265A (ko) 작업차의 자세 제어 장치
CN1057190C (zh) 作业车对地作业装置的升降控制装置
KR100336905B1 (ko)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WO2020004024A1 (ja) 作業車
JP2006304805A (ja) 農作業機の操作装置
JP2006304805A5 (ko)
JP4465861B2 (ja) 田植作業機
JP4250606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6948580B2 (ja) 苗移植機
JPS637716A (ja) 作業車
JPH0444013Y2 (ko)
JP3901149B2 (ja) 農作業機の操作装置
JP2014161318A (ja) 水田作業機
JPH0444012Y2 (ko)
JPH02124030A (ja) コンバイン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H04124015U (ja) 移植機
JP2006094774A (ja) 農作業機
JP3719943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H0549318A (ja) 田植機の水平制御装置
JP4483834B2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