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49A -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49A
KR20190033949A KR1020170122722A KR20170122722A KR20190033949A KR 20190033949 A KR20190033949 A KR 20190033949A KR 1020170122722 A KR1020170122722 A KR 1020170122722A KR 20170122722 A KR20170122722 A KR 20170122722A KR 20190033949 A KR20190033949 A KR 2019003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restoring
tilting
neutral pos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944B1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의 좌우 선회 및 기체 전방의 예취부 승강 조작을 위한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는, 컨트롤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판상의 장착대, 장착대에 대해서 제2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대의 제1 면에 설치되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틸팅 브라켓, 틸팅 브라켓의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팅 브라켓에 대한 상기 컨트롤 레버의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방향 복원 유닛, 틸팅 브라켓의 다른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 장착대의 제2 면에 설치되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장착대에 대한 상기 틸팅 브라켓의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컨트롤 레버가 결합된 틸팅 브라켓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2 방향 복원 유닛 및 장착대의 제2 면 측에 설치되며 제2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Control lever assembly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바인의 좌우 선회 및 기체 전방의 예취부 승강 조작을 위해 콤바인의 운전석 전방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어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대해 개별 또는 동시에 조작력을 입력할 수 있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콤바인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무한 궤도식 주행륜(20)를 갖는 주행기체(10)와, 주행기체 전방의 예취부(30), 그리고 예취부(30)에 의해 베어진 작물을 주행기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레일(40) 및 피드레일(40)을 통해 이송된 수확물의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부(도시 생략)와 털곡 처리된 곡물을 임시 저장하는 곡물탱크(도시 생략) 등을 포함한다.
예취부(30)에는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도시 생략)이 장치되며, 피드레일(40)은 예취부로부터 전달된 수확물을 상기 탈곡부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체인(부호 생략)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은 기체 측방에 위치한 선별부(미도시)로 이송되어 지푸라기와 같은 협잡물 등이 걸러진다.
예취부(30)는 주행기체(10)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행기체 전방 측부의 운전석에 마련된 컨트롤 레버(50)의 조작과 그에 따른 승강 실린더의 구동으로 승강 높이가 제어되며, 주행기체(10)의 선회 조작 역시 상기 컨트롤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구현된다. 즉 예취부(30)의 승강 및 기체의 선회 조작이 컨트롤 레버(50)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다.
종래 콤바인에 적용되는 컨트롤 레버는, 컨트롤 레버(5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개별 틸팅 조작 내지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한 동시 틸팅 조작을 통해, 주행기체(10)에 대한 예취부(30)의 승강 높이 조절 및 주행기체(10)의 주행륜(20) 구동 제어를 통한 선회 조작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버(50)를 전후로 틸팅 조작하여 예취부 승강 구동용 승강 실린더 작동에 관여하는 기체 내부의 승강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또는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레버(50)를 좌우로 틸팅 조작하여 좌우 한 쌍의 주행륜의 동력 접속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유압 클러치(미도시)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또는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컨트롤 레버의 전후 틸팅 조작과 함께 좌우 틸팅 조작을 통해 모든 대각선방향에 대한 레버 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승강 실린더 제어용 유압 밸브와 유압 클러치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및 유로 상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각선 방향 레버 조작으로 예취부 승강과 함께 주행기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트롤 레버는 코일 스프링 방식으로서, 컨트롤 레버의 중립 위치(좌우 틸팅 조작 및 전후 틸팅 조작의 중간 위치) 세팅이 어렵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작동성이 떨어지며 제작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한 내구성 때문에 레버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레버 조작부가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이 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222333호(공개일 2011. 08. 17) 일본등록특허 제3604180호(등록일 2004. 10.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트롤 레버의 중립 위치 세팅이 용이하며,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콤바인의 운전석 전방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대해 개별 또는 동시에 조작력을 입력할 수 있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판상의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대해서 제2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대의 제1 면에 설치되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틸팅 브라켓;
상기 틸팅 브라켓의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팅 브라켓에 대한 상기 컨트롤 레버의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방향 복원 유닛; 및
상기 장착대의 제2 면에 설치되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장착대에 대한 상기 틸팅 브라켓의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컨트롤 레버가 결합된 상기 틸팅 브라켓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2 방향 복원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틸팅 브라켓의 다른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 및
상기 장착대의 제2 면 측에 설치되며, 제2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힌지축을 통해 틸팅 브라켓의 일 측벽부에 컨트롤 레버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틸팅 브라켓의 좌, 우 양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가 상기 장착대의 제1 면 중앙에 제2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방향 복원 유닛은, 상기 틸팅 브라켓에 설치된 제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컨트롤 레버에 설치된 제1 작동축의 외부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상향 복원판, 상기 상향 복원판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상기 제1 작동축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하향 복원판,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 작동축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을 탄성 연결하는 제1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 복원판은 제1 힌지축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의 하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향 복원판은 제1 힌지축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의 상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가 형성되며, 두 복원판의 스프링 연결구들과 연동편들의 상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두 복원판이 교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편들 사이에 제1 작동축이 맞물리게 위치하고, 연동편의 반대편에 설치된 제1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 복원 유닛은,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작동축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상향 복원판 및 하향 복원판이 중립 위치를 초과하여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방향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 브라켓의 일 측벽부에 컨트롤 레버의 제1 방향 틸팅 범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향 틸팅 규제홈과, 상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의 홈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 주변의 틸팅 브라켓에 설치되며 규제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이형 스프링(Wire sp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 레버의 제1 방향 틸팅 각도가 이형 스프링에 의해 규정된 상한 및 하한 틸팅 각도를 초과하면,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가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2 방향 복원 유닛은, 상기 장착대의 제2 면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틸팅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작동축의 외부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좌향 복원판, 상기 좌향 복원판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상기 제2 작동축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우향 복원판, 그리고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 작동축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을 탄성 연결하는 제2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향 복원판은 제2 힌지축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의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우향 복원판은 제2 힌지축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의 다른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가 형성되며, 두 복원판의 스프링 연결구들과 연동편들의 좌우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두 복원판이 교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편들 사이에 제2 작동축이 맞물리게 위치하고, 연동편의 반대편에 설치된 제2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 중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 복원 유닛은,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2 작동축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좌향 복원판 및 우향 복원판이 중립 위치를 초과하여 더 이상 좌향 또는 우향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2 방향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레버의 레버 손잡이 이면에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원터치 자동 승강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 손잡이의 상단 조작면에 기체의 전후 및 좌우 수평상태 조절을 위한 수평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수평 조절 스위치가 배치되고 수평 조절 스위치 하부에 기체 선회 조작 시 선회력을 증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선회력 업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인장 스프링 및 한 쌍의 복원판으로 구성된 복원 유닛들에 의해 제1 방향(전후 방향) 및 제2 방향(좌후 방향) 각각에 대해 중립 위치 복원력이 발휘되는 구조로서, 컨트롤 레버의 중립 위치 세팅이 용이하며, 종래에 비해 현저히 단순해진 구성으로서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힌지축 각각에 대해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트롤 레버의 조작 각도를 해당 방향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상응하는 각도 값을 출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방향과 제2 방향 각각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조작 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예취부 승강 및 기체 선회 조작의 조작 정확성 및 정밀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4의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예취부 승강을 위해 제1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를 조작했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기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제2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를 조작했을 때의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에 앞서 이후 사용되는 방향에 대한 용어 중 제1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장착대를 기준으로 장착대와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 컨트롤 레버가 틸팅되는 방향으로서 예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조작 방향이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컨트롤 레버가 틸팅되는 방향으로서 기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조작 방향을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는, 콤바인 기체의 좌우 선회 및 기체 전방의 예취부 승강 조작을 위해 콤바인의 운전석 전방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대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조작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착대(200), 틸팅 브라켓(300), 제1, 제2 방향 복원 유닛(400, 600) 및 제1,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500, 700)를 포함한다.
장착대(200)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판상체로서 좌우 양측 단부에 상기 정해진 위치로의 고정을 위한 결속판(210L, 210R)을 구비하며, 장착대(200)의 제1 면(202)에 상기 틸팅 브라켓(300)이 제2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틸팅 브라켓(300)에 상기 컨트롤 레버(100)가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틸팅 브라켓(300)은 좌, 우 양 측벽부(310L, 310R) 및 이들 좌, 우 양 측벽부(310L, 310R)를 연결하는 연결판부(320)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이 'ㄷ'자인 찬넬구조일 수 있으며,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면부(도 6을 기준으로 좌 측벽부)에 상기 제1 방향 복원 유닛(400)이 설치된다. 그리고 틸팅 브라켓(300)이 결합되는 제1 면(202) 반대편의 장착대(200)의 제2 면(204)에 상기 제2 방향 복원 유닛(600)이 설치된다.
제1 방향 복원 유닛(400)은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브라켓(300)에 대한 상기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레버(1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2 방향 복원 유닛(600)은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하는 장착대(200)에 대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의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틸팅 브라켓(300)의 다른 일 측면부(도 6을 기준으로 우 측벽부)에는 상기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가 설치된다.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며, 장착대(200)의 제2 면(204) 측에는 제2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700)가 설치된다.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컨트롤 레버(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제1 힌지축(350)을 통해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벽부(310L)에 상기 컨트롤 레버(10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틸팅 브라켓(3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힌지축(250)을 통해 틸팅 브라켓(300)의 좌, 우 양 측벽부(310L, 310R)를 연결하는 연결판부(320)가 장착대(200)의 중앙에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112, 114는 컨트롤 레버(100)의 레버 손잡이(110) 전면에 구비되며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원터치 자동 승강 버튼이며, 도면부호 116과 118은 각각, 상기 레버 손잡이(110)의 상단 조작면에 배치되며 기체의 전후 및 좌우 수평상태 조절을 위한 수평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수평 조절 스위치 및 수평 조절 스위치(116) 하부에 배치되며 기체 선회 조작 시 선회력을 증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선회력 업 스위치를 가리킨다.
도 6은 도 2의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와 앞서 첨부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브라켓(300)에 대한 상기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레버(1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방향 복원 유닛(400)은,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 그리고 두 복원판을 탄성 연결하는 제1 인장 스프링(430)을 포함한다.
상향 복원판(410)은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면부에 연결되는 제1 힌지축(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컨트롤 레버(100)에 설치된 제1 작동축(160)의 외부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향 복원판(420)은 상향 복원판(410)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제1 힌지축(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상기 제1 작동축(160)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1 인장 스프링(430)은, 컨트롤 레버(100)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작동축(160)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410, 420)을 탄성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구(414, 424)를 상호 탄성 연결하여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두 복원판(410, 420)에 의해 상기 제1 작동축(160)과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상향 복원판(410)은 구체적으로, 제1 힌지축(350)에 결합되는 보스부(부호 생략)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160)의 하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41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414)가 형성되며, 하향 복원판(420) 역시 제1 힌지축(350)에 결합되는 보스부(부호 생략)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160)의 상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42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424)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은 각각의 스프링 연결구(414, 424)들과 연동편들(412, 422)의 상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1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교차하는 구성, 예를 들어, 도면의 예시와 같이 마치 가위와 같은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제1 힌지축(350)을 받침점으로 두 복원판(410, 420)이 상대 회전 운동을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 각각에 형성된 연동편들(412, 422) 사이에 컨트롤 레버(100)에 부착된 상기 제1 작동축(160)이 맞물리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1 인장 스프링(430)에 의해 두 연동편(412, 422)에 동시에 같은 힘으로 탄성이 작용하여 컨트롤 레버(100)는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연동편(422)의 반대편에 위치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는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방향 복원 유닛(400)은 또한, 제1 방향 스토퍼(440)를 포함한다. 제1 방향 스토퍼(440)는 상기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제1 작동축(160)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향 복원판(410) 및 하향 복원판(420)이 중립 위치를 초과하여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지 않도록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벽부에는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이 형성된다.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범위가 소정 각도로 제한되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의 홈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 주변의 틸팅 브라켓(300)에는 상기 틸팅 규제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이형 스프링(Wire spring, 3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형 스프링(Wire spring, 340)은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각도를 상기 틸팅 규제홈(330)보다 작은 각도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이형 스프링(340)에 의해 규정된 상한 및 하한 틸팅 각도를 초과할 정도로 컨트롤 레버(100)가 조작된 경우,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는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예취부 승강 조작 방향인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 각도가 이형 스프링(340)에 의한 상한 또는 하한 틸팅 각도를 초과하면,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가 이를 인식하여 설정 각도만큼 예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와 앞서 첨부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하는 장착대(200)에 틸팅 브라켓(300) 의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틸팅 브라켓(300)과 컨트롤 레버(1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2 방향 복원 유닛(600)은,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 그리고 두 복원판을 탄성 연결하는 제2 인장 스프링(630)을 포함한다.
좌향 복원판(610)은 장착대(200)에 설치되고 제2 면(204)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힌지축(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틸팅 브라켓(30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면(204)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작동축(360)의 외부면 일부에 선단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우향 복원판(620)은 좌향 복원판(610)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제2 힌지축(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 일부가 상기 제2 작동축(360)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2 인장 스프링(630)은, 상기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 작동축(360)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610, 620)을 탄성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구(424)를 상호 탄성 연결하여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두 복원판(610, 620)에 의해 상기 제2 작동축(360)과 틸팅 브라켓(300)이 제2 방향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좌향 복원판(610)은 구체적으로, 제2 힌지축(250)에 결합되는 보스부(부호 생략)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360)의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61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614)가 형성되며, 우향 복원판(620) 역시 제2 힌지축(250)에 결합되는 보스부(부호 생략)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360)의 다른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62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624)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은 각각의 스프링 연결구들(614, 624)과 연동편들(612, 622)의 좌우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2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교차하는 구성 예를 들어, 도면의 예시와 같이 마치 가위와 같은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제2 힌지축(250)을 받침점으로 두 복원판(610, 620)이 상대 회전 운동을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 각각에 형성된 연동편들(612, 622) 사이에 틸팅 브라켓(300)에서 돌출된 상기 제2 작동축(360)이 맞물리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2 인장 스프링(630)에 의해 두 연동편(612, 622)에 동시에 같은 힘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컨트롤 레버(100)는 제2 방향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방향 복원 유닛(600) 역시, 제2 방향 스토퍼(640)를 포함한다. 제2 방향 스토퍼(640)는 상기 틸팅 브라켓(300)이 제2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제2 작동축(360)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향 복원판(610) 및 우향 복원판(620)이 중립 위치를 초과하여 좌향 또는 우향 회전하지 않도록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작동축(360)에 대응되는 장착대(200) 하단 중앙에도 역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의 제2 방향 틸팅 범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제2 방향 틸팅 규제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 틸팅 규제홈(230)의 폭은 콤바인의 사양에 따라 선회 각도나 선회 성능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특정 폭으로 한정되는 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의 조작 및 그에 따른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은 예취부 승강을 위해 제1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100)를 조작했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기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제2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를 조작했을 때의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방향(예취부 승강 조작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 조작 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 각각에 형성된 연동편들(412, 422) 사이에 컨트롤 레버(100)에 부착된 제1 작동축(160)이 맞물리게 위치함으로써 반대편의 제1 인장 스프링(430)에 의해 두 연동편(422)에는 동시에 같은 힘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컨트롤 레버(100)는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도 10에서 파선으로 표현된 컨트롤 레버 참조).
그 상태에서 운전자 입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 측(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100)를 밀어 기체 전방의 예취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레버(100)를 제1 방향에 대해 차량 전방 측으로 밀면, 미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컨트롤 레버(100)가 틸팅되고 제1 작동축(160)도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된다.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하는 제1 작동축(160)의 회동에 따라, 제1 작동축(160)의 회동을 저지하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하향 복원판(420) 역시 제1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며, 제1 인장 스프링(430)이 인장되고 그 인장된 만큼의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게 된다. 동시에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는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각도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가 보내온 정보로부터 기체 내부의 승강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를 조절을 위한 제어 값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예취부 하강 조작을 위한 컨트롤 레버(100)의 조작량에 상응하는 예취부 하강 제어 값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제어 값으로 상기 승강 조절용 유압 밸브를 통제하여 컨트롤 레버(100)가 틸팅 조작된 각도만큼 예취부를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다.
원하는 높이까지 예취부가 하강한 후 컨트롤 레버(10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 인장 스프링(430)의 탄성 복원력의 영향으로 하향 복원판(420)에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참고로, 예취부 하강 조작 시 상향 복원판(410)은 제1 방향 스토퍼(440)에 걸려 도면상 반시계 방향 회전 운동이 저지된 상태이므로 움직이지 않는다.
반대로, 컨트롤 레버(100) 중립 상태에서의 예취부 상승 조작은, 전술한 예취부 하강을 위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과 방향만 반대(컨트롤 레버(100)를 운전자 측으로 당겨 예취부를 상승시킴)일 뿐 그 외 작동원리는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여 제2 방향(기체 선회 조작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 조작 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 각각에 형성된 연동편들(612, 622) 사이에 컨트롤 레버(100)에 부착된 제2 작동축(360)이 맞물리게 위치함으로써 반대편의 제2 인장 스프링(630)에 의해 두 연동편(422)에는 동시에 같은 힘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컨트롤 레버(100)는 제2 방향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도 11에서 파선으로 표현된 컨트롤 레버 참조).
그 상태에서 운전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기체 좌선회를 위해 좌측(도면상 우측)으로 컨트롤 레버(100)를 밀어 기체를 좌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레버(100)를 제2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밀면, 미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틸팅 브라켓(300)이 틸팅되고 제2 작동축(360)도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된다.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작동축(360)의 회동에 따라, 제2 작동축(360)의 회동을 저지하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우향 복원판(620) 역시 제2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며, 제2 인장 스프링(630)이 인장되고 그 인장된 만큼의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게 된다. 동시에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700)는 제2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각도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700)가 보내온 정보로부터 기체 내부의 클러치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를 조절을 위한 제어 값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체 좌선회 조작을 위한 컨트롤 레버(100)의 조작량에 상응하는 선회 제어 값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제어 값으로 한 쌍의 클러치 유압 밸브를 통제하여 컨트롤 레버(100)가 틸팅 조작된 각도만큼 기체가 좌측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선회 후 컨트롤 레버(10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2 인장 스프링(630)의 탄성 복원력의 영향으로 우향 복원판(620)에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참고로, 기체 좌선회 조작 시 좌향 복원판(610)은 제2 방향 스토퍼(640)에 걸려 도면상 시계 방향 회전 운동이 저지된 상태이므로 움직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컨트롤 레버(100) 중립 상태에서의 기체 우선회 조작은, 전술한 기체를 좌측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과 방향만 반대(컨트롤 레버(100)를 우측으로 당겨 예취부를 상승시킴)일 뿐 그 외 작동원리는 동일하므로 역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장 스프링 및 한 쌍의 복원판으로 구성된 복원 유닛들에 의해 제1 방향(전후 방향) 및 제2 방향(좌후 방향) 각각에 대해 중립 위치 복원력이 발휘되는 구조로서, 컨트롤 레버의 중립 위치 세팅이 용이하며, 종래에 비해 현저히 단순해진 구성으로서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힌지축 각각에 대해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트롤 레버의 조작 각도를 해당 방향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상응하는 각도 값을 출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방향과 제2 방향 각각에 대한 컨트롤 레버의 조작 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예취부 승강 및 기체 선회 조작의 조작 정확성 및 정밀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컨트롤 레버 110 : 레버 손잡이
112 : 원터치 자동 상승 버튼 114 : 원터치 자동 하강 버튼
116 : 수평 조절 스위치 118 : 선회력 업 스위치
160 : 제1 작동축 200 : 장착대
202 : 제1 면 204 : 제2 면
210L, 210R : 결속판 230 : 제2 방향 틸팅 규제홈
250 : 제2 힌지축 300 : 틸팅 브라켓
310L, 310R : 양 측벽부 320 : 연결판부
330 : 제1 방향 틸팅 규제홈 340 : 이형 스프링(Wire spring)
350 : 제1 힌지축 360 : 제2 작동축
400 : 제1 방향 복원 유닛 410 : 상향 복원판
420 : 하향 복원판 430 : 제1 인장 스프링
440 : 제1 방향 스토퍼 500 :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
600 : 제2 방향 복원 유닛 610 : 좌향 복원판
620 : 우향 복원판 630 : 제2 인장 스프링
640 : 제2 방향 스토퍼 700 ;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

Claims (14)

  1. 콤바인의 운전석 전방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대해 개별 또는 동시에 조작력을 입력할 수 있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판상의 장착대(200);
    상기 장착대(200)에 대해서 제2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대(200)의 제1 면(202)에 설치되며,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틸팅 브라켓(300);
    상기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브라켓(300)에 대한 상기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레버(1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방향 복원 유닛(400); 및
    상기 장착대(200)의 제2 면(204)에 설치되며, 제2 힌지축(250)를 중심으로 하는 장착대(200)에 대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의 제2 방향 틸팅 조작 시 컨트롤 레버(100)가 결합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2 방향 복원 유닛(600);을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라켓(300)의 다른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제1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 및
    상기 장착대(200)의 제2 면(204) 측에 설치되며, 제2 방향에 대한 컨트롤 레버(100)의 틸팅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방향 조작감지센서(700);를 더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힌지축(350)을 통해 틸팅 브라켓(300)에 컨트롤 레버(10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틸팅 브라켓(300)의 좌, 우 양 측벽부(310L, 310R)를 연결하는 연결판부(320)가 장착대(200)의 제1 면(202) 중앙에 제2 힌지축(250)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방향 복원 유닛(400)은,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면부에 장착된 제1 힌지축(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컨트롤 레버(100)에 설치된 제1 작동축(160)의 외부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상향 복원판(410);
    상기 상향 복원판(410)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힌지축(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상기 제1 작동축(160)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하향 복원판(420);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 작동축(160)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410, 420)을 탄성 연결하는 제1 인장 스프링(430);을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복원판(410)은 제1 힌지축(350)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160)의 하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41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414)가 형성되며,
    상기 하향 복원판(420)은 제1 힌지축(350)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 작동축(160)의 상부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42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424)가 형성되며,
    각각의 복원판(410, 420)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구들(414, 424)과 연동편들(412, 422)의 상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1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두 복원판(410, 420)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편들(412, 422) 사이에 제1 작동축(160)이 맞물리게 위치하고, 연동편(422)의 반대편에 설치된 제1 인장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 중립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100)가 제1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제1 작동축(160)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향 복원판(410)과 하향 복원판(420)이 정해진 중립 위치를 지나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1 방향 스토퍼(440);를 더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틸팅 브라켓(300)의 일 측벽부에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범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과;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의 홈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 주변의 틸팅 브라켓(300)에 설치되며 제1 방향 틸팅 규제홈(3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이형 스프링(Wire spring, 340);을 더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100)의 제1 방향 틸팅 각도가 이형 스프링(340)에 의해 규정된 상한 및 하한 틸팅 각도를 초과하면, 제1 방향 조작감지센서(500)가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 방향 복원 유닛(600)은,
    장착대(200)의 제2 면(204)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힌지축(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제2 작동축(360)의 외부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좌향 복원판(610);
    좌향 복원판(610)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2 힌지축(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립 위치에서 선단 일부가 상기 제2 작동축(360)의 외부면 다른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우향 복원판(620);
    상기 컨트롤 레버(100)가 제2 방향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 작동축(360)과 접하는 부분 반대편에서 두 복원판(610, 620)을 탄성 연결하는 제2 인장 스프링(630);을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향 복원판(610)은 제2 힌지축(250)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360)의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61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614)가 형성되며,
    상기 우향 복원판(620)은 제2 힌지축(250)에 결합되는 보스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 작동축(360)의 다른 측면 일부와 접하는 연동편(622)이 형성되고 반대편 타측에 스프링 연결구(624)가 형성되며,
    두 복원판(610, 620)의 스프링 연결구들(614, 624)과 연동편들(612, 622)의 좌우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2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두 복원판(610, 620)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편들(612, 622) 사이에 제2 작동축(360)이 맞물리게 위치하고, 연동편(422)의 반대편에 설치된 제2 인장 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100)가 제2 방향 중립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100)가 제2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제2 작동축(360)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좌향 복원판(610)과 우향 복원판(620)이 정해진 중립 위치를 지나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방향 스토퍼(640);를 더 포함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컨트롤 레버(100)의 레버 손잡이(110) 전면에 예취부를 상승 최고점 또는 하강 최저점 위치까지 자동 상승 또는 자동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원터치 자동 승강 버튼(112, 114)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 손잡이(110)의 상단 조작면에 기체의 전후 및 좌우 수평상태 조절을 위한 수평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수평 조절 스위치(116)가 배치되고 수평 조절 스위치(116)의 하부에 기체 선회 조작 시 선회력을 증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선회력 업 스위치(11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KR1020170122722A 2017-09-22 2017-09-22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KR10252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22A KR102529944B1 (ko) 2017-09-22 2017-09-22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22A KR102529944B1 (ko) 2017-09-22 2017-09-22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49A true KR20190033949A (ko) 2019-04-01
KR102529944B1 KR102529944B1 (ko) 2023-05-08

Family

ID=6610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22A KR102529944B1 (ko) 2017-09-22 2017-09-22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7643U1 (ru) * 2022-11-01 2023-04-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АТИ" Рукоятка управления зерноуборочным комбайно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80B2 (ja) 1974-05-23 1985-02-01 株式会社クラレ テトラヒドロ − 4h − ピラン − 4 ーオンの製造法
JPS60230231A (ja) * 1984-04-27 1985-11-15 Pentel Kk 傾動角検出装置
JP3604180B2 (ja) * 1994-10-17 2004-12-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イスティックレバーの操作力設定装置
KR100920411B1 (ko) * 2007-03-30 2009-10-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11222333A (ja) * 2010-04-09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伝導性封止部材およびそれにより封止された電子デバイス
JP4824988B2 (ja) * 2005-10-28 2011-11-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80B2 (ja) 1974-05-23 1985-02-01 株式会社クラレ テトラヒドロ − 4h − ピラン − 4 ーオンの製造法
JPS60230231A (ja) * 1984-04-27 1985-11-15 Pentel Kk 傾動角検出装置
JP3604180B2 (ja) * 1994-10-17 2004-12-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イスティックレバーの操作力設定装置
JP4824988B2 (ja) * 2005-10-28 2011-11-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KR100920411B1 (ko) * 2007-03-30 2009-10-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11222333A (ja) * 2010-04-09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伝導性封止部材およびそれにより封止された電子デバイ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7643U1 (ru) * 2022-11-01 2023-04-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АТИ" Рукоятка управления зерноуборочным комбайно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944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9769B2 (en) Joystick deactivation
US8700271B2 (en) Machine with four degrees of freedom implement control joystick and track type tractor using same
EP2143624B1 (en) Vehicle seat and split console assembly
EP3329762B1 (en) Power equipment
EP3329763B1 (en) Electric power equipment
WO2009112376A1 (en) Driver interface assembly
EP3549431B1 (en) Electrical work machine
CA2940714C (en) Multi head windrower
GB2304397A (en) A joystick for controlling three hydraulic valve spools
KR20190033949A (ko) 콤바인의 컨트롤 레버 어셈블리
US5288198A (en) Control mechanism for an off-highway implement
US20230313494A1 (en) Manipulator mechanism and working machine
JP4326496B2 (ja) 作業車の昇降操作構造
JP6129008B2 (ja) ドーザレバー
US5873138A (en) Lost motion foot pedal linkage
JP4326497B2 (ja) 作業車の昇降操作構造
KR102422584B1 (ko) 수확기
JP2624378B2 (ja) 刈取収穫機のセンサー支持構造
JP2624379B2 (ja) 刈取収穫機のセンサー支持構造
JP4475927B2 (ja) オフセット作業機
JP2545253Y2 (ja) 作業装置の操作構造
JP5969962B2 (ja) 操作レバー
JP6894334B2 (ja) 作業車両
KR100479582B1 (ko) 콤바인
JP4145247B2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