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조작레버의 손잡이부 전방 가까이에는 손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손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손받침대의 하방에는 승강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의 조작에 의해 손받침대가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의 조작시에는, 손을 손받침대 상에 얹은 상태로 두고, 조작레버를 쥐어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요동조작한다. 손받침대의 위치가 작업자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방의 승강수단을 조작하여, 손받침대를 올리거나, 내리거나 하여 작업자가 희망하는 위치로 조정한다. 따라서, 손받침대를 작업자에 적합한 위치에 조정할 수 있기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게 되고, 작업을 즐겁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하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조작할 수 있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좌우회동조작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상하방향의 나사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브의 좌우방향의 회동조작에 의해 손받침대가 승강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상하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조작할 수 있는 노브를 좌측 또는 우측 주위로 회동조작하면, 상하방향의 나사막대의 좌우회동에 의해 상기 나사막대에 나사결합된 손받침대가 상하로 승강운동한다. 이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면서 손받침대를 정확하게 미동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대의 표면은 중앙부가 부푼 원호형상의 곡면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조작레버의 조작시에는, 손받침대 표면에 얹힌 상태로 있는 손목이, 중앙부가 부푼 원호 형상의 곡면을 따라 스무스(smooth)하게 움직이며, 조작레버의 좌우방향으로의 조작이 즐겁게 되어, 경쾌하게 작업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대는 그 지지부재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조작레버의 유지보수(maintenance)를 행하는 경우에는, 손받침대의 지지부재에 대한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손받침대를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따라서, 손받침대를 분리함으로써 부근의 공간이 개방되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레버의 차체 우측 전방에는 백미러(back mirror)를 설치하고, 조작레버의 차체 후방에는 손받침대를 설치하며, 상기 백미러는, 백미러를 평면도에서 보아 차체폭 내에 회동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된 스테이(stay) 상에 고정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손받침대에 손을 얹은 채 조작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을 사용하지 않을 때, 백미러를 시트측에 회동시켜 두면, 조작레버의 전방에 고정할 수 있고, 이 때 백미러는, 기체 폭내에 위치하게 되어, 벽 부근의 작업시에 있어서, 백미러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바인을 좁은 창고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백미러가 조작레버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콤바인 조작 중에도 원위치에 되돌려 놓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가 평면도에서 보아 차체폭 내에 회동된 위치에 있어도 조작가능한 위치에 있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백미러를 시트 측에 회동시켜도, 조작레버의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우선, 제1 실시형태로서 콤바인의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행차체(1)는, 접지부 측에 주행무한궤도(crawler)(2, 2)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탈곡장치(3)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차체(1)의 전방에는, 곡물을 일으켜 세우고 베어내어 상기 탈곡장치(3)에 반송공급하는 수확부(4)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수확부(4)의 횡측부에 배설된 운전부(5)는, 스텝플로어(step floor)(6)의 전단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프론트(front)조작박스(7)와, 스텝플로어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에 세워 설치된 지지부재 상에 장치한 운전석(8), 상기 운전석(8)의 좌측 횡측부에 설치된 사이드(side)조작박스(9) 등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조작박스(9)는, 상자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구성되고, 그 전단부가 상기 프런트조작박스(7)의 좌단부에 연결유지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그레인탱크(grain tank)(10)가 배치되고, 상기 그레인탱크 내에 수용되는 곡물의 낟알이 가득차게 되면 배출오거(auger)(11)에 의해 기체(機體) 밖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8)의 하방에는 엔진이 탑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 HST(압력무단변속장치) 및 주행미션케이스(mission case) 내의 미션장치를 통하여 상기 주행무한궤도(2, 2)가 구동되는 구성이다.
주변속레버(HST 레버)(12)는, 상기 사이드조작박스(9)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의 요동(搖動)조작에 의해 HST를 구동하고 기체의 전진 및 후진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좌우방향의 요동조작에 의해 기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고, 전후방향의 요동조작에 의해 수확부(4)를 승강제어하는 조작레버(파우어스테이(power stay))(13)가 상기 프론트조작박스(7)의 우측 횡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조작박스(7) 상에 있어, 상기 조작레버(13)의 손잡이 전방 가까이에는 해당 조작레버의 조작시에 손목 부근을 얹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손받침대(14)를 설치한다. 손받침대(14)는, 그 결합측 기부(基部)(15)가 凹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 (17) 상에서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결합 지지되고, 손받침대의 결합측 기부(15)에 설치된 암나사구멍(16)이, 상기 지지부재(17)의 관통구멍(17a)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관통지지되고 외주에 수나사(18)를 구비한 나사막대(19)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7)의 하측에서 나사막대(19)의 각축부(角軸部)(19a)에 결합되고, 체결너트 (20)에 의해 체결고정된 노브(21)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조작하고 있어, 상기 손받침대(14)가 나사막대(19)의 회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7)는, 일단측이 지지스테이(22)에 의해 프론트조작박스(7)에 장착지지되고, 타단측은 지지스테이(23)에 의해 조작박스(7) 상에 고정지지된 고정핸들막대(24)의 단부에 결합지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25는 손받침대 기부(15)의 회전방지용 걸림기구로서, 해당 기부(15)에 설치된 결합홈(26)에 걸리고, 결합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받침대(14)는, 탄성체(14a)와 수지체(14b)로 이루어져 있고, 평면도에서 보아 반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받침대(14)의 수지체(14b) 부분은 결합측 기부(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에 형성된 결합홈(U)에는 탄성체(14a)의 테두리부를 삽입지지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14a) 부분은, 중앙부가 부푼 원호 형상의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조작시에 있어서 손목의 이동이 부드럽고도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손받침대(14)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걸림기구(25)를 결합홈(26)에 대하여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체결너트(20)를 이완하여 빼내서 풀면, 손받침대(14)는 나사막대(19)와 함께 지지부재(17)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은, 회전각부(回轉各部)가 전동되면, 주변속레버(12)의 조작에 의해 주행무한궤도(2)의 구동에 의해 기체를 전진시키고, 조작레버(13)의 좌우요동조작에 의해 기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면서 들에 있는 곡물의 수확탈곡작용을 행한다. 그러면, 곡물은, 수확부(4)에 의해 일으켜 세워져서, 그루터기의 근본이 베어지고, 차례로 상방으로 반송되어 탈곡장치(3)에 공급된다. 그리고, 곡물은,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작용을 받아 선별된 곡립이 그레인탱크(10)에 저장된다.
다음에 손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손받침대(14)를 다각면체(a, b, c, d)로 구성함과 동시에, 각 면체(a, b, c, d)는, 축(30)의 축심(Q)로부터의 높이가 각각 다르도록 구성되고, 다각면체(a, b, c, d)를 회전시켜, 작업자에게 적합한 높이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축(30)의 양단은 축받이부(31, 32)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가 자유롭게 축이 걸려 있고, 일측의 축받이부(31)에는 축단과의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33)을 장착하고, 타측의 축받이부(32)에는 축(30)의 단부에 설치된 각(角)축(스프라인 축)부(30a)를 결합시키는 각(角)구멍(32a)을 설치하고 있다. 축(30)을 스프링(33)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다각면체를 희망하는 면이 오도록 회전시키고, 손을 놓으면 축단에 있는 스프링(33)이 압축되고, 각축부(30a)가 각구멍(32a)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축(30)이 고정된다. 따라서, 손받침대의 각 다각면체를 공구없이도 간단하게 위치변경시킬 수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받침대(14)의 다각면체로서, 각 면의 형상이 다르도록, 예컨대, 곡률반경이 다른 凸 곡면체(a, b)와 직선면체 (c)와 凹 곡면체(d)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다각면체를 회전시켜, 작업자가 바라는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는, 손받침대(14)의 다각면체로서, 각 면의 경도가 다르도록, 예컨대, a면이 가장 부드럽고, 그리고 상기 a면으로부터 차례로 b, c, d로 단계적으로 딱딱하도록 구성되고, 다각면체를 회전시켜, 작업자가 바라는 경도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각 면체를 경도에 따라서 색구분하여,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부드러운 a면을 붉은색으로 하고, 가장 딱딱한 d면을 청색으로 하는 것과 같이 각 면의 특징을 표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작업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곧바로 자신이 선호하는 면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면체의 표면을, 예컨대, a면: 「매끈매끈」, b면:「꺼칠꺼칠」, c면:「까칠까칠」, d면:「올록볼록」라고 불리는 형상면에 형성하여 두면, 작업자가 바라는 감촉이 좋은 표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30)의 각축부(30a)를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은 스프라인(spline)축 형상으로 하여 두면, 각 면체(a, b, c, d)를 수평 및 전후로 각도를 붙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손받침대(14)는, 아암(arm)(34)을 통하여 전방에 변위축을 가설한 축(30)을 회동지점으로 하여 상하운동고정을 자유롭게 하고, 높이와 각도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손받침대(14)가 조작레버(13)의 전후방향의 조작으로 운동하고 추종이동하는 구성이다. 조작레버(13)를 전후에 끼우도록 설치된 2 개의 이동막대(35, 35)가 롤러(36)를 통하여 전후방향의 레일(37) 상에 전후방향이동이 자유롭게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손받침대(14)의 지지막대(38)가 상기 이동막대(35, 35)에 고착되어 조작레버의 전후방향의 요동조작에 따라 손받침대(14)가 추종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를 전후로 조작할 때는, 손받침대가 추종하기때문에, 손목을 손받침대에 둔 채 조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21, 도 22)에 관하여 설명한다.
운전석(8)과, 상기 운전석을 상하 및 전후로 이동조절하는 운전위치조절장치 (40)와, 하방의 엔진(E) 상부를 덮는 엔진커버(41)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운전위치조절장치(40)의 조절틀체(40a)를 시트설치부(42)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조절틀체(40a)에 설치된 운전석(8)과 엔진커버(41)가 일체로 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운전석부를 분리하면, 엔진커버의 개방에 의해 엔진 상부가 개방되어,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시트설치부(42)는, 주행프레임(43)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설치되는 시트설치지지프레임(44)과, 주행프레임(43)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45)와 사이드조작박스(9)의 조작프레임(46)을 잇는 연결프레임(47)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는 시트설치프레임(48)에 설치되고 있다. 시트설치지지프레임(44)은 상기 연결프레임(47)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프레임(46)의 후단은, 지주 45와 지주 49의 상단을 연결하는 횡프레임(50)에 연결되어 있다. 끄집어낼 수 있도록 된 배풍(排風)통로(배풍공간 (K))를 확보하기 위해 상방에 높이 위치시켜, 배풍의 흡기배기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상기 조작프레임(38)의 설치구성에 있어서, 해당 조작프레임(38)의 전단측은 운전석(11)의 지지틀에 지지부재(41)를 통하여 장착지지되고, 조작프레임 (38)의 중간부는 지지프레임(42)를 통하여 미션케이스(M)에 연결지지되고, 조작프레임의 후단측은 이것과 일체의 결합편(43)에 고착된 리어프레임(rear frame)(44)을 통하여 주행프레임(45)에 연결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조작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측의 결합은 조작프레임의 우측 부근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그 중간부의 결합은 조작프레임의 좌측 부근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부터 평면도에서 보아 3점 지지로 연결유지된 것이 된다. 즉, 이들 3점 지지부를 연결하면 트라이앵글(triangle)을 구성하여, 강도가 강한 지지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지구성으로, 각 레버류의 조작시에 가하는 조작하중에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프레임구성으로 되고, 더욱이, 3점지지가 트라이앵글을 구성하기 때문에, 강한 지지구성으로 된다.
다음에 도 23에 관하여 설명한다.
운전부(5)에는 그레인탱크(10)의 전방에 설치한 운전석(8)과, 차체의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조작패널(51)을 좌석의 우측방향과 전방에 걸쳐 역 L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우측으로부터 타고 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 (51)에 있어서, 좌석 전방의 조작레버(51)의 좌측부와 중간부에 각종 스위치군을 설치하고, 우측 부근에 조작레버(13)를 설치하고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조작레버(51)에서는, 주변속레버(12), 조작레버(52), 부변속레버(53), 선회반경변경레버(54), 엔진출력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스로틀레버(throttle lever)(55), 곡물 낟알 배출레버(56) 등을 설치하고 있다.
조작레버(13)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며 들어가 수확부(4)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밸브(미도시)를 전환하는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두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며 들어가 조향전자밸브를 전환하는 스위치(미도시)를 각각 조작레버(13)의 하부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13)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여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들어가게 하면, 솔레노이드의 여자(勵磁)에 의해 교체된 수확승강밸브를 통하여 승강용유압장치의 실린더 속으로 들어가거나 실린더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압력 증감작용에 의하여, 실린더 선단으로부터의 피스톤의 돌출길이가 신축하여, 수확부(4)를 승강하는 구성이다. 또한, 조작레버(1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스위치를 들어가게 하면, 솔레노이드의 여자에 의해 전환된 조향전자밸브를 통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조향클러치(clutch)를 넣고 끊어서, 기체(機體)의 진행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하는 구성이다.
조작레버(13)에 대하여, 우측 방향에 백미러(57)를 배치하고, 우측 후방에는 손받침대(14)를 설치하고 있다. 손받침대(14)의 지지아암(58)은 조작패널(51)에 이어진 형상을 하고 있고, 운전자가 승차시에 잡는 손잡이로 되는 형상이며, 백미러(57)의 스테이(59)는, 지지아암(58)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백미러(57)는 운전자의 우측 전방에 있기때문에, 시선이 전방에 가까운 위치에서 후방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조작레버(13)의 조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위치로부터 백미러(57)와 지지아암(58)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므로, 지지아암(58)을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운전석(8)에 부수한 아암레스트(arm rest)(60)는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통상적인 위치에 세팅한 때, 아암레스트(60)와 손받침대(14)와 조작레버(14)는 차체 전후방향에 거의 일직선상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팔꿈치를 아암레스트(60) 상에 두고, 손을 손받침대(14) 상에 놓고 조작레버(13)를 쥐어, 상기 조작레버(14)를 조작하기 때문에 즐겁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8)에 부수한 아암레스트(60)를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때문에, 아암레스트(60)를 수납할 수 있고, 운전자의 승강시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위치에 세팅한 때에는 장시간 작업에 기인한 피로가 경감된다.
백미러(57)의 스테이(59)도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콤바인을 사용하지 않는 때는, 백미러(57)를 운전석(8)의 반대 측에 회동시켜 놓으면, 조작레버(14)의 전방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이 때의 백미러(57)는, 기체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벽 근처의 작업시에 있어서, 백미러(57)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바인을 좁은 창고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백미러(57)가 조작레버(14)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때문에, 콤바인의 조작 중에도 용이하게 원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손받침대(14)의 패드(61)는 반달 형상이고, 평면도에서 보아 운전자 측을 곡면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 손을 얹는 부분의 길이는 길고, 그 외의 부분은 짧아, 손받침대(14)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운전자의 승강시 방해가 되기 어렵고, 반대로 손받침대(14)에 운전자가 닿아도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프지 않다. 또한, 손받침대(14)의 운전자 측의 곡면에 의하여 조작레버(13)의 조작도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손받침대(14)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아암(58)은 기체에 지지되어 있고, 그 두께가 손받침대(14)보다 작기때문에, 운전자가 조작시, 작업시에 발밑 스페이스(space)가 크게 된다.
손받침대(14)를 탄성체재료로 구성하기 때문에, 손으로의 충격을 완화한다. 즉, 손받침대(14)에 손을 놓으면, 상기 손받침대(14)는 탄성재이기 때문에 손dl 편안하다. 조작레버(13)의 조작이 원활하게 행해지고, 손으로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받침대(14)의 패드(61)만을 탄성체로 구성하고, 복수의 패드(61)를 쌓아올려 구성하여도 좋다. 복수의 패드(61)를 쌓아올리는 것에 의해, 패드(61)의 움직임이 커지고, 조작레버(13)의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12)를 최대로 앞으로 기울일 시에, 지지아암(58)의 위치를 주변속레버(12)의 하방에, 주변속레버(12)의 조작(부속 스위치류 포함)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해, 주변속레버(12)와 지지아암(58)과의 교체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지지아암(58)은, 조작석의 좌우에 형틀로 형성한 지지스테이(23, 23a)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다른 부재의 고정핸들막대(24)로 연결한다. 상기 지지스테이(23, 23a)는 수지 및 주물의 형틀로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핸들막대(24)를 스트레이트로 설정하여, 파이프 등 디자인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손받침대(14)가 고정된 채로는, 조작레버(13)를 전후로 움직인 경우에, 손받침대(14)가 팔과 운동하지 않기때문에 원활하게 팔을 둔 채 움직일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의 대책으로서의 실시예이다.
도 27에 도시된 손받침대(14)는, 그 지지아암(58)에 회동가능한 직립아암 (62)을 통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직립아암(62)은 지지아암(58)에 핀(63)으로 고정한다. 핀(63)에는 토오크스프링(torque spring)(64)를 설치하여, 항상 연직방향으로 직립아암(62)이 중앙으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도 27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손받침대(14)가 전후로 회동하기 때문에, 조작레버(13)에 정확하게 추종하게 되고, 손받침대(14)에 팔을 두고 바꾸지 않아서 좋으므로 피로가 경감되고, 보다 더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28의 기체의 측면으로 본 일부단면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손받침대 (14)의 상하방향의 위치조정을 모터(65)로 행하는 예이다. 모터(65)는 조작패널 (51) 내에 설치된다.
손받침대(14)의 패드(61) 부분은 모터(65)에 의해 이동하는 신축가능한 지지샤프트(66)에 지지고정되어 있고, 모터(65)에 연결된 샤프트(66)는, 승차시의 손잡이부로 되는 파이프(67) 속을 통한다. 이 때, 손받침대(14)의 패드(61)만이 상하이동하는 구성, 또는 손받침대(14)와 그 지지샤프트(66)가 함께 상하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28에 도시된 구성으로 손받침대(14)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모터(65)가 조작패널(51) 내에 설치되므로, 손받침대(14)를 소형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