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403B1 - 구강 소취 제제 - Google Patents

구강 소취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403B1
KR101849403B1 KR1020110072244A KR20110072244A KR101849403B1 KR 101849403 B1 KR101849403 B1 KR 101849403B1 KR 1020110072244 A KR1020110072244 A KR 1020110072244A KR 20110072244 A KR20110072244 A KR 20110072244A KR 101849403 B1 KR101849403 B1 KR 10184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component
activity
cand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181A (ko
Inventor
아키코 니카이도
타카유키 오니키
히로시 타쿠사가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과제]
사용 직후의 구취의 소취 효과가 높고, 또한 그 소취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감도 양호한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2개 이상 가지는폴리카티온성 물질(A), 및 라카제(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또한, 상기 조성물에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C)을 배합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악티니딘, 파파인,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D)를 배합한다.

Description

구강 소취 제제{ORAL DEODORANT}
본 발명은, 사용 직후의 구취의 소취(消臭) 효과가 높고, 또한 그 소취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감도 양호한 구강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구강의 오염(음식 잔사(殘渣), 박리 점막 등)이 구취의 원인균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메틸메르캅탄이나 황화수소 등에 의한 것이다.
종래의 구취를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1) 메틸메르캅탄을 포착·소취, (2) 구취 원인균의 제거, (3) 구취 원인균의 악취 발생에 작용하는 효소의 저해(균 대사(菌代謝) 저해), (4) 타액 분비를 촉진함에 의한 오염의 제거 등의 방법이 있고, 특히 중요한 원인이 되는 (1)에 대해 유효한 소취제가 수많이 보고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소취력이 강하고, 또한 안전성이나 환경면을 고려한 소취제의 조합으로서, 꿀풀과(科) 식물과 폴리페놀옥시다제 등의 페놀성 화합물을 산화하는 산화환원 효소를 병용함에 의해, 그 소취 효과가 상승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내지 5: 일본 특개2008-029221호 공보, 일본 특개2004-321077호 공보, 일본 특개2003-175095호 공보, 일본 특공평10-2l2221호 공보, 일본 특공평7-53174호 공보).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출원인은, 꿀풀과의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구취 포착과 운향과(科) 산초나무속(屬) 식물 또는 추출물에 의한 구취 원인균 대사 저해의 병용 효과에 의한 구취 억제 효과의 지속성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6 내지 8: 일본 특개2005-289918호 공보, 일본 특개평01-016713호 공보, 일본 특개소63-309269호 공보). 그러나, 이 경우는 식물 추출물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제제의 변색 또는 이미(異味)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높은 구취 억제 효과를 양호한 사용감을 유지하여 발휘시키기 어렵고,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로즈마리 또는 그 추출물과 산화환원 효소를 병용한 소취 작용을 갖는 추잉검 조성물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9: 일본 특개2009-136240호 공보).
한편, 폴리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은, 타액 분비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고(특허문헌 10: 국제공개 제2005/049050호 팜플렛), 또한, 폴리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의 타액 분비 촉진 효과에 의해 구강 내의 오염이나 구취 원인균을 제거하는 구강 위생용 가식성(可食性)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1: 일본 특개2007-326808호 공보). 그러나, 상기 구강위생용 가식성 필름은, 타액 분비가 촉진됨으로써 구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구취 억제 효과는 공지의 소취 성분을 갖는 조성물에 비하여 낮고, 타액으로 오염을 씻어낸 후에 발생하는 구취에 대한 효과도 없는 등, 구취 억제 효과는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높은 구취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되고, 사용감도 양호한 제제를 부여하는 새로운 기술이 요망된다.
또한, 효소나 폴리카티온성 물질을 배합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2(일본 특개소61-76411호 공보)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추잉검으로, 덱스트라나제가 불활화(不活化)되는 일없이, 효소 활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폴리 양이온성 안정제가, 특허문헌 13(일본 특개2002-370957호 공보)에는, 염기성 펩티드와 글루칸 분해 효소와 아네톨에 의해, 플라그 분해 제거 효과가 향상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티온성 물질에 관해 특허문헌 14, 15(일본 특개평5-310544호 공보, 특개평10-298048호 공보)에는, ε-폴리-L-리신 또는 그 염이 충치 또는 치주병 원인균에 대해 항균 작용을 갖는 것, 폴리리신에 치주병 세균 내 독소의 중화 작용, 치주병 원인균의 부착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효소 함유 캔디의 제조법으로서 특허문헌 16, 17(국제공개 제2007/105661호 팜플렛, 일본 특개평2-86731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8-02922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4-32107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2003-17509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공평10-21222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공평7-53174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개2005-289918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개평01-01671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개소63-309269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개2009-136240호 공보
특허문헌 10: 국제공개 제2005/049050호 팜플렛
특허문헌 11: 일본 특개2007326808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 특개소61-76411호 공보
특허문헌 13: 일본 특개2002-370957호 공보
특허문헌 14: 일본 특개평5-310544호 공보
특허문헌 15: 일본 특개평10-298048호 공보
특허문헌 16: 국제공개 제2007/105661호 팜플렛
특허문헌 17: 일본 특개평2-86731호 공보
출원인은,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및 라카제와,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1개 갖는 폴리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을 배합함으로써, 구취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이 높은 입속(口中) 케어 조성물을 일본 특개2010-168353호 공보에 제안하였지만, 이 기술에 관해 더 검토한바, 보존 중에 폴리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이 흡습(吸濕)하여 끈적거림을 생기면, 그것에 수반하여 보존 후의 라카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대체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꿀풀과 식물 추출물, 라카제 및 락토페린을 배합한 구취의 소취 효과 및 그 지속성이 높은 입속 케어 조성물을 일본 특원2010-087731호에 제안하였다. 이 기술은, 락토페린의 항균 효과와, 꿀풀과 식물 추출물과 라카제에 의한 상승 효과로 소취 효과의 지속을 실현하고 있지만, 락토페린이 고가인 물질이기 때문에, 새로운 대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 직후의 구취의 소취 효과가 높고, 또한 그 소취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감도 양호한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구강 내를 청결하게 하거나 치주질환 등의 트러블을 해소하는 등으로 케어하고, QOL(Quality of Life, 퀄리티 오브 라이프)을 향상하는데 유용한 구강 케어 조성물에,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폴리카티온성 물질 (A)와, 라카제 (B)를 병용하여 배합함으로써, 폴리카티온성 물질 (A)가 라카제 (B)의 구강 내에서의 체류성을 향상하고, 라카제에 유래하는 구취의 소취 효과가 유효하게 지속하여 발휘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취의 소취 효과의 속효성 및 지속성에 우수하고, 높은 구취의 소취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되면서, 이미(異味)가 발현하는 일이 없고 사용감도 양호하다. 나아가서는, 제제 외관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로부터, 구강 내에서 폴리카티온성 물질에 의해 라카제의 체류성이 향상하고 우수한 소취 효과를 지속할 수 있음은 예상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C)를 배합함으로써 더 높은 소취 효과가 발휘된다. (A)성분인 폴리카티온성 물질을 라카제 (B)와 병용하고, 또한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C)를 배합함으로써, 라카제가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에 유래하는 소취 효과가 상승적으로 높아지고, 더 높은 소취 효과를 속효(速效)이면서 지속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한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악티니딘, 파파인,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 (D)를 배합할 수 있고, 이들 효소를 조성물 중에서 안정화하고, 구강 내에서 충분히 체류시키면서 보존시의 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한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I]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폴리카티온성 물질 (A), 및 라카제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Ⅱ] 폴리카티온성 물질 (A)가, 염기성 펩티드인 [I]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Ⅲ] 염기성 펩티드가, 폴리리신, 폴리아르기닌 및 폴리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Ⅱ]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Ⅳ] (A)성분을 0.001 내지 5질량%, (B)성분을 0.001 내지 3질량% 함유하는 [I] 내지 [Ⅲ]의 어느 하나의 구강 케어 조성물.
[V] 또한,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C)를 함유하는 [I] 내지 [Ⅳ]의 어느 하나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Ⅵ] 꿀풀과 식물이, 로즈마리, 세이지, 자소(紫蘇), 민트, 타임(thyme) 및 멜리사(meliss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V]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Ⅶ] (C)성분을 0.001 내지 5질량% 함유하는 [V] 또는 [Ⅵ]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Ⅷ] 또한,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악티니딘, 파파인,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D)를 함유하는 [I] 내지 [Ⅶ]의 어느 하나의 구강 케어 조성물.
[Ⅸ] 캔디, 정과 (錠菓), 구강용 정제 또는 추잉검으로서 조제되는 [I] 내지 [Ⅷ]의 어느 하나의 구강 케어 조성물.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구취가 걱정이 된 때에 먹거나, 구강 내에 적용하는 것만으로, 적용 직후부터 구취의 소취 효과가 속효적이며 또한 지속적으로 발휘되고, 구취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의 맛도 양호하다. 나아가서는, 양호한 제제 외관으로 할 수 있고, 휴대성이 우수하고, 필요한 때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취의 예방 또는 억제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덱스트라나제 등의 효소를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고, 보존시의 활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폴리카티온성 물질 (A), 및 라카제 (B)를 함유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C)를 함유한다.
(A) 폴리카티온성 물질으로서는,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 폴리카티온성 물질을 배합함으로써, 라카제의 구강 내에서의 체류성이 높아지고,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향상한다.
여기서,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아미노기(基), 암모늄기(基), 이미다졸기(基), 구아니딜기(基) 등을 들 수 있다.
카테온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는 분자 중에 2개 이상 가지면 좋지만, 특히 20 내지 420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티온성 물질으로서는, 0.1질량% 수용액의 pH가 5.0 내지 9.0을 나타내는 염기성 펩티드, 염기성 단백, 염기성 다당류, 측쇄(側鎖)에 아미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염기성 펩티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성 펩티드로서 폴리리신, 폴리아르기닌, 폴리히스티딘, 염기성 단백으로서 리소자임, 염기성 다당류로서 키토산, 카티온화 히알루론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리신, 폴리아르기닌, 폴리히스티딘이,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높고, 장기 보존시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알맞다. 또한, 흡습성이 높은 물질의 경우, 장기 보존에서 끈적거림이나, 라카제의 활성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흡습성이 낮은 물질이 알맞다.
폴리카티온성 물질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평균(數平均) 분자량 300 내지 300,000, 특히 2,000 내지 30,000의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300에 못 미치면 라카제의 체류성이 낮기 때문에,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300,000을 초과하면 이미(異味)의 원인이 되거나, 제조공정이나 타액 중에서 라카제와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석출하여,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라카제의 활성이 저하되거나, 섭취 직후의 소취 효과나 그 지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서 수평균 분자량이란, 분자량 Mi의 분자가 Ni개 존재할 때, 수평균 분자량(Mn)은 Mn=∑MiNi/∑Ni로 주어지는 평균분자량이다. 측정법으로서는 침투압법, 비등점 상승법, 응고 강하법이나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법 등을 들 수 있다.
GPC법은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는데, 분자량을 폴리스티렌 등의 표준 물질로 환산하는 방법과 저각도 광산란법(LALLS: Low Angle Laser Light Scattering)이나 다각도 광산란법(MALLS: Multi Angle Laser Light Scattering)에 의해 측정하는 GPC-LALLS법, GPC-MALLS법이 있다. 또한, GPC는 SEC(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GPC-LALLS법으로 예를 들면 하기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고, (A) 폴리카티온성 물질의 수평균 분자량은 하기 조건에서의 측정치이다.
GPC-LALLS 법
칼럼: Tosoh Biosep G5000 PWXL, 7.8㎜×30㎝
이동층: 0.1mol/ℓ 인산 나트륨 버퍼(PH7.0)
유량: 0.5㎖/min
칼럼 온도: 40℃
폴리카티온성 물질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리신으로서는 산키파-No.381(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2,600, 삼영원(三榮原) 에프·에프·아이(주) 제), 폴리-L-리신염산염(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30,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0.1% 폴리-L-리신 수용액(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300,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폴리아르기닌으로서는 폴리-L-아르기닌염산염(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5,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폴리히스티딘으로서는 폴리-L-히스티딘(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0,000), 리소자임으로서는 산키파 No.657(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4,300, 삼영원(三榮原) 에프·에프·아이(주) 제), 키토산올리고당으로서는 COS-YS(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680, 소진수산(燒津水産)화학공업(주) 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티온성 물질의 배합량은, 조성 전체의 0.001 내지 5%(질량%, 이하 마찬가지), 특히 0.001 내지 2%가 바람직하다. 0.001% 미만에서는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만족하게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5%를 초과하면 이미(異味) 원인이 되거나, 제조공정이나, 타액 중에서 라카제와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석출하여,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라카제의 활성이 저하되거나, 섭취 직후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B)성분의 라카제는, E. C. 1. 10. 3. 2로 분류되는 산화 효소이고, 대표적인 효소 반응예로서, 옻(漆) 수액(樹液) 중의 라카제에 의해 우루시올이 산화되어, 옻이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라카제는, 옻 이외에도 많은 식물, 미생물 중에 널리 존재하고, 방향족 화합물의 산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라카제는, 그 기원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구취의 소취 성분으로서 배합된다.
또한, 라카제는, 안정화를 위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포리마 등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라카제로서는, 시판품, 예를 들면 천야(天野)엔자임(주) 제(製)의 라카제다이와 등이 사용된다. 이것은, 360,000단위/g의 순분(純分) 80%를 20%의 덱스트린으로 부형(賦形)한 것이다.
라카제의 배합량은, 3 내지 10,000단위/g, 특히 30 내지 10,000단위/g, 그 중에서도 30 내지 3,500단위/g가 바람직하다. 3단위/g 미만에서는, 효소 활성이 낮고 소취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지속성에 뒤떨어지는 일이 있고, 또한, 제조시, 보존시에도 활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10,000단위/g를 초과하면 이미(異味)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고, 또한 캔디에서는 외관의 균일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360,000단위/g품(品)을 기준으로 한 경우, 라카제의 배합량은, 순분 환산으로 조성 전체의 0.01 내지 3%, 특히 0.01 내지 3%, 그 중에서도 0.01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미만에서는, 효소 활성이 낮고 소취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지속성에 뒤떨어지는 일이 있고, 또한, 제조시, 보존시에도 활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3%를 초과하면 이미(異味)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고, 캔디에서는 외관의 균일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과 페놀에 pH4.5, 30℃에서 작용할 때, 라카제가 촉매하는 산화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퀴논이민 색소의 505㎚에서의 흡광도를, 반응 초기 1분간에 0.1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효소량을 1단위로 한다.
(A) 폴리카티온성 물질과 (B) 라카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B)의 질량비로 0.005 내지 100, 특히 0.01 내지 50이 바람직하다. 0.005 미만에서는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만족하게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100 을 초과하면, 사용시에 타액 중에서 (A)성분과 (B)성분의 복합체가 형성되어 석출하고, 섭취 직후의 구취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캔디에서는, 제조시의 농축 과정에서 복합체가 석출하고,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라카제의 활성이 저하되어 구취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이 저하됨과 함께, 외관의 균일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C)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은 구취의 소취 성분으로서 배합되고, 예를 들면 로즈마리, 세이지, 자소, 민트, 타임, 멜리사, 세이지, 마조람(marjoram), 오레가노(oregano), 바질(basil), 나기나타, 향유, 라벤더, 베르가모트(bergamot)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로즈마리, 세이지, 자소, 민트, 타임, 멜리사로부터 선택된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로즈마리 및/또는 세이지의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이 구취의 소취 효과가 특히 높고,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도 좋다.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은, 공지의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즈마리, 세이지, 자소, 민트, 타임, 멜리사 등의 잎 및 줄기를 원료로 한 것을 분쇄하고, 가루상태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꿀풀과 식물을 극성 용매 및/또는 비극성 용매(예를 들면, 물(水), 에틸에테르, 에틸렌클로라이드, 디옥산,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아세트산 에틸,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극성 용매, 또는 n-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시클로헥산, 4염화 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톨루엔, 벤젠 등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함에 의해 얻어진 추출 엑기스 및 그 추출 잔사로부터 선택되는 원료에 대해, 용매 추출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상기 식물로부터 단리(單離)되는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7,11,12-트리히드록시-6,10-(에폭시메타노)아비에타-8,11,13-트리엔-20-온(로즈마놀), 및 이들의 염 등의 소취 유효 성분(일본 특개소59-203445호 공보, 일본 특개소57-204278호 공보, 일본 특개소59-1033665호 공보 참조)이다. 또한, 추출물을 건조시켜서 분말로 하고 덱스트린 등의 부형제를 가하여 분말화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용매 추출 처리에 이용한 용매는,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기 용매라도 무기 용매라도 지장이 없고, 또한 유기 용매와 무기 용매의 혼합 용매라도 좋고,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유기 용매의 구체 예로서는, 에틸에테르, 에틸렌클로라이드, 디옥산,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아세트산 에틸, 프로필렌글리콜, n-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시클로헥산, 4염화 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l,2-디클로로에탄, 톨루엔, 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용매로서는 물, 그것에 산, 알칼리 또는 이들의 염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염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칼슘, 황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산, 알칼리, 염은 2몰 이하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3의 저급 1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이다. 또한, 이상에 들은 용매의 사용량은, 원료에 대해 등용량(等容量)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로서는, 풍옥(豊玉)향료(주) 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순분 환산으로 조성 전체 0.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이다. 0.001% 미만에서는 배합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소취 효과가 상승적으로 향상하지 않는 일이 있고, 5%를 초과하면 이미(異味)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B) 라카제와 (C)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B)/(C)의 질량비가 0.001 내지 100, 특히 0.01 내지 10이 바람직하다. 0.001 미만에서는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라카제에 병용함에 의한 상승 효과가 충분히 발현하지 않고, 구취의 소취 효과가 상승적으로 향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100을 초과하면,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산화 속도가 너무 빨라지고, 구취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또한 (D)성분으로서 라카제 이외의 효소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서는, (A)성분인 폴리카티온성 물질에 의해 효소가 안정화되고, 또한, 구강 내에서의 (D)성분의 체류성이 향상하고, 우수한 소취 효과 및 그 지속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기 보존시의 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성분의 효소로서 구체적으로는, 다당 분해 효소, 단백 분해 효소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파파인, 악티니딘, 브로멜라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D)성분의 효소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효소의 종류와 역가(力價)에 따른 유효량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덱스트라나제는 12,000단위품을 기준으로 한 경우, 조성 전체의 0.01 내지 5%, 무타나제는 6,000단위품을 기준으로 한 경우, 조성 전체의 0.01 내지 5%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의 1단위란, 모두 덱스트란, 무탄을 기질(基質)로 하여 40℃, pH5로 반응을 행한 경우에, 1분간당에 글루코스 1μmol에 상당하는 유리(遊離) 환원당이 생기는 각 효소의 양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구강 내를 청결하게 하거나 치주질환 등의 트러블을 해소하는 등으로 케어하여, QOL를 향상하는데 유용한 구강 케어 조성물이고, 구강 내를 케어 가능하면 각종 제제로 조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은, 구강 내에서 잘게 으깨거나 타액으로 녹이는 등으로 용해시켜 사용하거나, 씹어서 사용하는 등으로, 구강 내에 일정 시간, 예를 들면 1분간 이상, 특히 3 내지 10분간 정도 체류하는 제형(劑型)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카제 등의 효소가 산소와 접촉하는 일이 적고, 산소와의 접촉을 극력 방지할 수 있는 제형이나 형상으로 조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과자, 건강식품 등의 식품, 구강용 제제 등으로서 조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과, 구미, 젤리, 캐러멜 등의 과자, 건강식품, 캔디, 추잉검, 트로치, 추어블 정(錠), 버컬 정 등의 삼키지 않고서 타액에 의해 구강 내에서 용해시켜서 사용하는 구강용 정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캔디, 정과, 구강용 정제, 또는 추잉검, 특히 캔디 또는 추잉검으로서 조제되는 것이, 보존 후도 높은 라카제 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알맞다. 또한,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상, 과립상, 정제상, 판상, 필름상, 캡슐상 등의 형태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제제 중의 수분량은 적은 쪽이 바람직하고, 조성 전체의 5% 이하, 특히 3% 이하가 바람직하고, 0%라도 좋다. 5%를 초과하면 보존시에 라카제의 활성이 저하되기 쉽게 되고, 보존 후의 라카제의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캔디는, 캐러멜, 누가(nougat) 등의 소프트 캔디, 드롭, 태피(taffy) 등의 하드 캔디 등이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존 후의 라카제의 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하드 캔디가 바람직하다.
캔디는 통상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캔디의 제법:
상기 (A)성분, (B)성분, 필요에 따라 (C)성분의 기능 성분, (D)성분의 효소, 향료 등의 비내열성(非耐熱性) 성분을 제외한 각 성분에 조성물 전체의 약(約) 반량(半量)의 물을 가하고, 혼합 가마 속에서 가열 용해하고, 또한 180℃가 될 때까지 가열, 농축하여, 캔디 베이스를 제작한다. 그 후, 천천히 휘저어 혼합하면서 방냉하고, 90 내지 130℃의 사이에서 비내열성 성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다시 냉각, 성형하여 제작된다. 이 경우, 비내열성 성분 첨가 후의 냉각은 냉각판 등에 옮겨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카제 등의 효소는 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냉각판에서의 냉각 공정중에 70 내지 120℃의 사이에서 투입하고, 냉각판상에서 교반혼합하는 편이, 혼합 가마속에서 냉각하는 것보다도, 효소의 활성과, 높은 소취 효과를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냉각판에의 라카제 등의 효소를 포함하는 분체 투입량은, 조성물 전체의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5%를 초과하면, 분체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외관 균일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정과(錠菓)란, 당질을 주원료로 하고, 타정기 등으로 압축 성형한 것이고, 당의(糖衣)하여 두어도 좋다. 정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각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기 등으로 5 내지 20kN으로 압축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캔디 및 정과의 주원료는, 부형제, 감미제 등이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향료, 산미료(酸味料), 증점제(增粘劑), 겔화제, 착색제, 보존제, 과즙, 과실 가공품, 염미료(鹽味料), 고미제(苦味劑)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정과에는, 또한 유화제, 활택제, 붕괴제, 결합제, 제전제(除電劑)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전화당, 프룩토스 등의 당류,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티톨 환원 팔라티노스, 환원 물엿 등의 당알코올,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올리고당,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비(非)충치성을 갖는 당알코올,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가 바람직하다. 특히, 정과에서는 성형성, 풍미의 점에서 소르비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환원 팔라티노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캔디에서는 저흡습성의 점에서 환원 팔라티노스, 환원 물엿이 바람직하다. 이들 부형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배합할 수 있고, 그 배합량은 조성 전체의 5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9%가 바람직하다.
정과 및 캔디의 감미제로서는, 상기 부형제에 더하여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사카린, 아스파르탐, 아세술팜 칼륨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감미제의 배합량은, 통상 0.001 내지 3%이다.
추잉검은, 맛(味)껌, 풍선껌 및 당의(唐衣)껌 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통상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추잉검 주체는 껌 베이스에, 감미제,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향료, 유효 성분, 착색료 등이 배합되고, 당의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당의층의 주성분은 말티톨 등의 감미제이고, 또한 식용 고무질 등의 결합제, 다른 유효 성분이나 감미제, 색소, 산미료,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껌 베이스로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중합도 100 내지 1,000의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천연 수지류(치클, 젤루통, 소르바 등), 폴리이소부틸렌, 포리부덴, 에스테르구무 등의 기초제, 탄산 칼슘, 인산 칼슘, 활석 등의 충전제, 또한, 라놀린,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칼륨, 글리세릴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 또는 연화제, 및 천연 왁스, 석유 왁스, 파라핀 왁스 등도 껌 베이스 중에 배합할 수 있다. 껌 베이스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10 내지 50%, 특히 15 내지 35%가 바람직하다.
추잉검에 배합되는 감미제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감미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크로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전화당, 프룩토스 등의 당류,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올리고당, 환원 물엿,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사카린, 아스파르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풍미의 점에서 크실리톨, 말티톨, 수크랄로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텍스쳐 향상의 점에서 환원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미제의 배합량은, 조성 전체의 10 내지 75%, 특히 15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제형 등에 따른 그 밖의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향료, 유화제, 산미제, 착색제, pH 조정제, 보존제, 광택제, 제전제, 유동화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효소나 꿀풀과 식물 및 그 추출물 이외의 유효 성분, 증점제, 겔화제, 과즙, 과실 가공품, 염미료, 고미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에 배합되는 향료로서는, 천연 향료, 합성 향료 등의 유지(油脂) 향료나 분말 향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향료로서, 마스틱유, 파슬리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윈터그린유, 카시아유, 멘톨유, 스페아민트유, 베퍼민트유, 레몬유, 코리안더유, 오렌지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렐유, 카모밀유, 카르다몬유, 카라웨이유, 베이유, 레몬그라스유, 파인쥬스 니들유, 네롤리유, 로즈유, 자스민유, 이리스콘크리트, 압솔루트페퍼민트, 압솔루트로즈, 오렌지플라워, 시트루스유, 믹스후루츠유, 스트로베리유, 신나몬유, 클로브유, 그레이프유 등을 들 수 있다.
단품 향료로서는, 카르본, 아네톨, 살리실산 메틸, 신나믹알데히드,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르빌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안트라닐레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산알, 에티논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탄놀, 이소아밀알코올, 헥센올, 디메틸술페이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품 향료 및/또는 천연 향료도 포함하는 조합 향료로서, 스트로베리플레이버, 애플플레이버, 바나나플레이버, 파인애플플레이버, 그레이프플레이버, 말고플레이버, 트로피컬후루츠플레이버, 버터플레이버, 밀크플레이버, 요구르트플레이버, 후루츠믹스플레이버, 허브민트플레이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료의 형태는, 정유, 추출물, 고형물, 또는 이들을 분무 건조한 분체라도 상관없다. 향료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01 내지 15%, 특히 0.001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기호성을 얻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15%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향미나 텍스쳐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유화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당 또는 당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트리이톨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테트라이톨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펜타이톨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헥사이톨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헵타이톨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락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락티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이 사용 가능하다. 지방산은 탄소수 12 내지 18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알킬-N-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염산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라우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등,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 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나트륨, N-팔미토일글루타민산 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나트륨, N-미리스토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나트륨,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의 N-메틸-N-아실타우린나트륨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당 또는 당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배합은 임의이지만,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0.01 내지 3%가 바람직하다.
또한, 산미제로서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을 배합할 수 있고, 배합량은 통상 0.001 내지 5%이다.
또한, 착색제로서 베니바나 적색소, 치자 황색소, 치자 청색소, 자소 색소, 홍국(紅麴) 색소, 적(赤)캬베스 색소, 당근 색소, 하이비스커스 색소, 카카오 색소, 스피루리나 청색소, 쿠마린 색소 등의 천연색소나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106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법정 색소, 리보플라빈, 구리크로로핀나트륨 등, pH 조정제로서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등의 유기산과 그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인산 나트륨, 인산 수소나트륨 등의 인산염,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등의 탄산염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 또는 그 염,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푸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파라벤류(퍼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소르빈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광택제로서는, 셸락, 카류나우바납, 칸델릴라납 등의 왁스류 및 스테아린산 칼슘 등을, 제전제, 유동화제로서는, 미립자 이산화 규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배합은 임의이지만, 배합하는 경우, 착색제는 0.00001 내지 3%, 그 밖의 성분은 각각 0.01 내지 5%가 바람직하다.
또한, 정과에서는, 붕괴제로서 알파화 전분, 알긴산 나트륨, 크로스포피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 결합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야고무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을 배합하는 경우, 배합량은 각각 0.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택제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는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를 의미하고, 성분의 배합비는 질량비이다.
또한, 폴리카티온성 물질의 수평균 분자량은, GPC-LALLS법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비교예]
표 1 내지 8에 표시하는 조성의 구강 케어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캔디, 정과 또는 추잉검의 제형으로 조제하고,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8에 표시한다. 또한, 제제 중의 수분량은 모두 5% 이하였다.
<캔디의 조제(실시예 1 내지 27, 29 내지 46, 비교예 1 내지 3)>
(A)성분, (B)성분, (C)성분, (D)성분, 향료를 제외한 각 성분에 조성물 전체의 약 반량의 물을 가하고, 혼합 가마속에서 가열 용해하고, 또한 180℃가 될 때까지 가열, 농축하였다. 그 후, 천천히 휘저어 혼합하면서 방냉(放冷)하고, 90 내지 130℃의 사이에서 (A)성분 및 향료, 또 필요에 따라 (C)성분을 첨가하고 잘 교반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되었으면, 냉각판에 캔디 베이스를 이동시킨 후, 70-120℃의 사이에서 (B)성분과 필요에 따라 (D)성분을 가하여 1분간 혼합 후, 성형하고, 약 1g/입(粒)의 캔디를 제작하였다. 각 공정에서는 통상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의 캔디는 상기 방법에 준하여 제작하였다.
<캔디의 조제(실시예 28)>
(A)성분, (B)성분, (C)성분, 향료를 제외한 각 성분에 조성물 전체의 약 반량의 물을 가하고, 혼합 가마속에서 가열 용해하고, 또한 180℃가 될 때까지 가열, 농축하였다. 그 후, 천천히 휘저어 혼합하면서 방냉하고, 70 내지 120℃의 사이에서 (A)성분, (B)성분, (C)성분, 향료를 첨가하고 1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판에 캔디 베이스를 이동시킨 후, 성형하고, 약 1g/입의 캔디를 제작하였다. 각 공정에서는 통상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추잉검의 조제(실시예 47 내지 51)>
껌 베이스(내츄럴베이스(주) 제(製))에, 그 밖의 전(全) 성분을 가하고, 50℃ 전후에서 1ℓ 용량 니터(주식회사 토신 제(製) TKI-1형)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련(混練)하였다. 뒤이어 판형상으로 가공을 시행한 껌 약 1g을 제작하였다.
<정과의 조제(실시예 52)>
전(全)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타정기(주식회사 부사약품기회(富士藥品機會) 제)를 이용하여, 약 1,000kg의 압력으로 질량 1g, 직경 13㎜φ의 정과를 제작하였다.
<실험 1>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라카제의 효소 활성
제조 직후의 샘플 약 10g를 용량 50㎖의 알루미늄 파우치에 봉입하고, 40℃, 습도 75%로 3개월간 보존하였다.
라카제 원체(原體),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샘플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라카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원체 및 샘플 약 1립(粒)을 물 30㎖에 용해하고, 샘플액을 조제하였다. 시험관에 0.1M 아세트산 완충액(pH5.0) 1㎖에 샘플액 100㎕, 물 900㎕을 넣고, 잘 혼합하고, 30℃에서 5분간 보온한 후, 0.1g/ℓ 시링갈다진(syringaldazine)액 100㎕를 첨가 후 곧바로 혼화(混化)하고, 셀에 옮겨서 흡광도계((주) 도진(島津)제작소 제 UV-160A)로 측정되었다, 반응 시작 직후부터 30초 후까지 30초간에 있어서의 530㎚의 흡광도 변화로부터, 이하의 식으로 효소 활성을 산출하였다. 그것을 기초로 이하의 식으로 라카제의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라카제의 효소 활성을 산출하였다.
효소의 총 활성(U/㎖)
=△OD×2.l×60×0.001/0.065×0.05×30×D
=△OD×87.2×D
△OD: 530㎚에서의 30초간의 흡광도 변화
D: 샘플 용액의 희석 배수
제조 직후의 라카제 활성의 잔존률(%)
={(제조 직후의 총 활성치)/(원체의 총 활성치)}×100
보존 후의 라카제 활성의 잔존률(%)
={(40℃ 75% 3개월 후의 총 활성치)/(제조 직후의 총 활성치)}×100
이상의 계산식으로 산출한 라카제의 활성 잔존률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 이상을 양호한 레벨이라고 판단하였다.
◎: 70% 이상
○: 50% 이상 70% 미만
△: 30% 이상 50% 미만
×: 30% 미만
<실험 2> 구취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
정상적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샘플 섭취 전에 0.1% 메티오닌 수용액으로 30초간 세구(洗口)한 후, 내뱃고, 10분간 안정하게 하였다. 그 후, 샘플 1g를 입속에서 없어질 때까지 씹지않고 5분간 정도 입속에 머금어(껌은 5분간 저작(詛嚼)) 섭취하였다. 세구 후의 샘플 섭취 전과, 샘플을 섭취하여 입속에서 없어진(껌은 5분간 저작 후에 입에서 빼냈다) 직후, 및 60분 후에 관해, 각각 입을 다문 상태로 1분 후의 구강 내의 내쉬는 숨(呼氣)을 테들라백에 200㎖ 채취하였다. 구취의 강도를 전문 평가자 1명에 의한 취기(臭氣) 강도의 비교와 구취의 자각(自覺)으로 판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샘플 섭취 전의 내쉬는 숨과, 샘플 섭취 직후 및 섭취 후 60분 경과 후의 내쉬는 숨의 취기 강도를 비교하고, 섭취 직후의 소취 효과와 그 지속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점: 현저하게 소취하고, 자각적(自覺的)으로도 현저한 소취 실감(實感)이 있다
4점: 소취하고, 자각적으로도 상당한 소취 실감이 있다
3점: 약간 소취하고, 자각적으로도 약간 소취 실감이 있다
2점: 근소하게 소취하고, 자각적으로는 소취 실감은 없었다
1점: 변하지 않았다
이상의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로부터 평균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이상을 양호한 레벨이라고 판단하였다.
◎: 4.5점 이상 5점 이하 내지
○ 내지 ◎: 4.0점 이상 4.5점 미만
○: 3.0점 이상 4.0점 미만
△: 2.0점 이상 3.0점 미만
×: 1.0점 이상 2.0점 미만
<실험 3> 이미(異味)의 없음
샘플 1g를 씹지않고 5분간 정도 입에 머금어(껌은 5분간 저작) 섭취한 때의 맛을 패널 20명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5점: 전혀 이미를 느끼지 않았다
4점: 근소하게 이미를 느꼈지만 문제없는 레벨
3점: 약간 이미를 느꼈다
2점: 상당히 이미를 느꼈다
1점: 매우 이미를 느끼고, 먹을 수가 없었다
이상의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로부터 평균점을 산출하고, 하기한 바와 같이 평가하고, ○ 이상을 양호한 레벨이라고 판단하였다.
◎: 4.5점 이상 5점 이하
○: 4.0점 이상 4.5점 미만
△: 3.0점 이상 4.0점 미만
×: 1.0점 이상 3.0점 미만
<실험 4> 캔디의 균일성(외관)
제조 직후의 캔디 샘플의 외관을 육안 평가하고, 균일성에 관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이상을 양호한 레벨이라고 하였다.
◎: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 극히 근소한 얼룩을 인정하지만, 문제없는 레벨
△: 약간 얼룩이 인정되었다
×: 현저한 얼룩이 인정되었다
<실험 5> (D)성분의 효소의 보존 안정성
제조 직후의 샘플 약 10g을 용량 50㎖의 알루미늄 파우치에 봉입하고, 40℃, 습도 75%로 3개월간 보존하였다.
각 효소에 있어서, 통상방법에 의해 제조 직후 및 보존 후의 효소 활성을 산출하고, 보존 안정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 이상을 양호한 레벨이라고 판단하였다.
◎: 효소의 활성 잔존률이 70% 이상
○: 효소의 활성 잔존률이 50% 이상 70% 미만
△: 효소의 활성 잔존률이 30% 이상 50% 미만
×: 효소의 활성 잔존률이 30% 미만
또한, 각 효소의 효소 활성의 측정에 관한 상세는 하기와 같다.
·덱스트라나제
1% 덱스트란 용액에 상기 각 피험액을 가하고, 35℃에서 10분간 반응시켜서, 생긴 환원 당량을 소모기넬슨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1분간에 1㎍의 글루코스에 상당하는 환원당을 유리하는 효소량을 1유닛(U)으로 하였다.
·무타나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균에서 조제하였다 1% 무탄 용액에 상기 각 피험액을 가하고, 35℃에서 10분간 반응시켜서, 생긴 환원 당량을, 소모기넬슨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1분간에 1㎍의 글루코스에 상당하는 환원당을 유리하는 효소량을 1유닛(U)으로 하였다.
·프로테아제(파파인, 악티니딘, 브로멜라인)
펩티딜p-니트로아닐린을 기질로 하여, 가수분해에 의해 방출되는 p-니트로아닐린의 증가율을 405㎚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표 1]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1
[표 2]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2
[표 3]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3
[표 4]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4
[표 5]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5
[표 6]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6
[표 7]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7
[표 8]
Figure 112011056253658-pat00008
사용한 원료는, 이하와 같다.
·폴리리신 A(50%품):
산키파 No. 381(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2,600)
폴리리신 50% + 덱스트란 50% [삼영원(三榮原) 에프·에프·아이(주) 제]
·폴리리신 B:
폴리L-리신 염산염(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3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폴리리신 C:
0.1% 폴리-L-리신 수용액(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300,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폴리아르기닌:
폴리-L-아르기닌 염산염(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5, 000) [시구마 알도리치 재팬(주) 제]
·폴리히스티딘:
폴리-L-히스티딘(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0,000)
·리소자임:
산키파 No, 657(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14,300) [삼영원(三榮原) 에프·에프·아이(주) 제]
·키토산올리고당:
COS-YS(상품명, 수평균 분자량 680) [소진수산(燒津水産)화학공업 제]
·라카제(80%품):
라카제다이와(108,000단위 품) 360,000단위/g의 고형 순분 80%를 덱스트린으로 부형[천야(天野)엔자임(주) 제]
·로즈마리 추출물(80%품):
물·에탄올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풍옥(豊玉)향료(주) 제]
·세이지 추출물(50%품):
물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풍옥(豊玉)향료(주) 제]
·자소 추출물(50%품):
물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풍옥(豊玉)향료(주) 제]
·민트 추출물(50%품):
민트 폴리페놀 50(상품명)
물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소천(小川)향료(주) 제]
·타임 추출물(50%품):
물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풍옥(豊玉)향료(주) 제]
·멜리사 추출물(50%품):
물 추출물로, 덱스트린으로 부형[풍옥(豊玉)향료(주) 제]
·덱스트라나제:
12,000단위/g [삼릉(三菱)화학 후드테크(주) 제]
·무타나제:
6,000단위품[천야(天野)엔자임(주) 제]
·악티니딘:
효소 활성 9000단위품[아사히후도안도헬스케어(주) 제]
·파파인:
파파인 W-40(상품명) [천야(天野)엔자임(주) 제]
·브로멜라인:
브로멜라인 F(상품명) [천야(天野)엔자임(주) 제]
·리신(비교품):
L-리신[시게마 알도리치 재팬(주)제]

Claims (9)

  1. 폴리리신, 폴리아르기닌 및 폴리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기성 펩티드 (A)를 0.001 내지 5질량% 및 라카제 (B)를 360,000단위/g 품으로서 0.001 내지 3질량% 함유하고,
    (A)성분의 배합량과 (B)성분의 360,000단위/g 품으로서의 배합량의 배합 비율을 나타내는 (A)/(B)가 질량비로서 0.00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소취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꿀풀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 (C)를 0.001 내지 5질량% 더 함유하고, (C)성분의 배합량과 (B)성분의 360,000단위/g 품으로서의 배합량의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B)/(C)가 질량비로서 0.0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소취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의 꿀풀과 식물이, 로즈마리, 세이지, 자소, 민트, 타임 및 멜리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소취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악티니딘, 파파인,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 (D)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소취 제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제 중의 수분량이 0 내지 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소취 제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캔디, 정과, 구강용 정제 또는 추잉검으로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소취 제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72244A 2010-07-23 2011-07-21 구강 소취 제제 KR101849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5563A JP5703617B2 (ja) 2010-07-23 2010-07-23 口臭消臭製剤
JPJP-P-2010-165563 2010-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181A KR20120010181A (ko) 2012-02-02
KR101849403B1 true KR101849403B1 (ko) 2018-04-16

Family

ID=4577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244A KR101849403B1 (ko) 2010-07-23 2011-07-21 구강 소취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03617B2 (ko)
KR (1) KR101849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6807B2 (en) 2013-01-24 2015-02-03 Micron Technology, Inc. 3D memo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630A (ja) * 2002-10-03 2004-04-22 Chisso Corp 抗う蝕、抗歯周病性組成物
JP2005289918A (ja) * 2004-04-01 2005-10-20 Lion Corp 口腔内組成物
JP2006523609A (ja) * 2002-12-31 2006-10-19 アルタ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ンパク質結晶およびイオン性ポリマーの複合体
JP2007008824A (ja) * 2005-06-28 2007-01-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WO2010073988A1 (ja) * 2008-12-26 2010-07-01 ライオン株式会社 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341995A (en) * 1994-09-01 1996-03-22 Novo Nordisk A/S A basic protein composition for killing or inhibiting microbial cells
JP2004321077A (ja) * 2003-04-24 2004-11-18 Meiji Seika Kaisha Ltd ラッカーゼ封入カプセルを含有するガム
JP4097228B2 (ja) * 2006-07-26 2008-06-11 稲畑香料株式会社 新規なチューインガム
JP2009136240A (ja) * 2007-12-10 2009-06-25 Lion Corp 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630A (ja) * 2002-10-03 2004-04-22 Chisso Corp 抗う蝕、抗歯周病性組成物
JP2006523609A (ja) * 2002-12-31 2006-10-19 アルタ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ンパク質結晶およびイオン性ポリマーの複合体
JP2005289918A (ja) * 2004-04-01 2005-10-20 Lion Corp 口腔内組成物
JP2007008824A (ja) * 2005-06-28 2007-01-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WO2010073988A1 (ja) * 2008-12-26 2010-07-01 ライオン株式会社 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25695A (ja) 2012-02-09
JP5703617B2 (ja) 2015-04-22
KR20120010181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8429B2 (ja) 反応性有効成分を含む安定歯ホワイトニング用ガム
CN101027037B (zh) 牙齿增白组合物和它的输送体系
RU2581933C2 (ru) Улучшенная устойчивость пероксида в композициях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775169B1 (ko) 활성 성분의 방출 조절을 위한 미립자 조성물
US4992276A (en) Antiseptic compositions containing hexahydro-5-pyrimidinamine compounds and thymol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RU2417621C2 (ru) Кальцийфосф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кислотосодержащих конфет
KR20190039784A (ko) 구강 관리 조성물
WO2005107769A1 (ja) 口腔内細菌叢改善剤、抗菌剤及び生育促進剤
JP5845882B2 (ja) 口腔用組成物及び口臭抑制剤
JP5526751B2 (ja) 口中ケア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43174A (ko)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KR102055301B1 (ko)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29952A (ja) 歯磨用組成物
JP5447392B2 (ja) 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WO2007020830A1 (ja) 口腔用組成物
KR101849403B1 (ko) 구강 소취 제제
JP2011244703A (ja) 口中ケア組成物
US20190289874A1 (en) Stain prevention formulations
JP2003212778A (ja) 口腔用製剤
JP2013018757A (ja) 口腔用組成物
WO2016195089A1 (ja) 唾液分泌促進剤、口腔乾燥抑制剤及び口腔内うるおい付与剤、及び組成物
JP2001321123A (ja) 抗う蝕性食品素材、およびその組成物
JP2011162529A (ja) 咀嚼用医薬品および咀嚼用医薬品の製造方法
JP3472172B2 (ja) 口腔用剤
JP2011219386A (ja) 口中ケア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