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40B1 - 도전성 단자 - Google Patents

도전성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40B1
KR101847440B1 KR1020160014890A KR20160014890A KR101847440B1 KR 101847440 B1 KR101847440 B1 KR 101847440B1 KR 1020160014890 A KR1020160014890 A KR 1020160014890A KR 20160014890 A KR20160014890 A KR 20160014890A KR 101847440 B1 KR101847440 B1 KR 10184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contact piece
mounting surfac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509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히사시 하마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flat conductive elements, e.g.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deformable terminals, e.g. crimp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도전성 단자(100)는 접속 단자(16); 실린더부(17); 및 상기 실린더부(17)에 수용된 접촉편(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부(17)는 상판(15)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구멍(20, 21)이 접촉편(18)의 돌기(18c)의 양측으로부터 상판(15)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돌기(18c)에 힘을 가하기 위한 지그(40)가 한 쌍의 구멍(20, 21)을 통해 실린더부(17)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13, 14)에는, 이동의 제한을 위해 장착면(11)에 눌려지는 돌기(18c)를 갖는 접촉편(18)을 잡는 캐칭 유닛(22, 23)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
본 발명은 회로 도체와 다른 접속 단자를 전기 접속할 수 있는 접촉편(contact piece)을 포함하는 도전성 단자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와 같은, 전기 접속에 적절한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도전성 단자가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 1(일본 등록 특허 번호 3271925)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자_1"를 개시하고 있다.
"단자_1"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접촉 스프링_13의 돌기_16를 사용하여 베이스_10의 설치면_10a에 배치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_2)을 프레스 가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프레스 가공을 유지하면서, 작업자는 설치면_10a쪽으로 베이스_10에 수직인 홀더_14를 올리고, 맞물림 돌기_17a를 홀더_14의 맞물림 구멍_14a과 맞물리게 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접촉 스프링_13의 상측으로부터 고정부_15를 지지하기 위해 커버_18를 구부린다. 따라서, 작업자는 FPC_2 및 단자_1를 전기 및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인용발명의 리스트]
인용발명 1: 일본 등록 특허 번호 3271925
"단자_1"에는 하술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접촉 스프링_13의 자유 단부_17는 홀더_14와 맞물려 있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그 고정 단부_15는 어떠한 다른 부재와도 맞닿아 있지 않고, 그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 결과, 회로 도체_21와 접촉 스프링_13 사이의 접속은 쉽게 불안정하게 된다.
둘째, 접촉 스프링_13을 FC_2와 접촉시킨 후에, 작업자는 접촉 스프링_13을 덮도록 커버_18를 90도 수평으로 구부러야 한다. 요컨대, 그 접속 작업은 상당히 복잡하다.
셋째, FPC_2와 접촉하는 접촉 스프링_13(접촉편)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접촉 스프링_13의 절반이 접속 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항상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스프링_13은 전류가 흘러 쉽게 손상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상술된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판에 쉽게 접속되고 접촉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높은 접속 안정도를 도전성 단자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도체판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부터 뻗어 있고, 각각 평판의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 모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 상판; 및 다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하판의 하나의 개방 단부에 설치된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한 쌍의 측판, 및 상판은 개구인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 실린더부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판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고, 접촉편이 상기 상판에 연속 연결된 하나의 단부 및 상기 하판의 하나의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하판의 다른 개방 단부쪽으로 뻗은 다른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실린더부에 수용된 탄성, 도전성 판이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장착면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로서,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장착면 사이에 배치된 도체판에 탄성력을 상기 장착면에 대해 가하여 상기 도체판에 전기 접속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한 쌍의 구멍이 상기 돌기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상판을 통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의해 지그가 상기 접촉편을 상기 장착면에 눌러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도체판을 누를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은 상기 장착면에 눌려지는 돌기를 갖는 접촉편을 잡을 수 있는 캐칭(catching) 유닛을 포함하는 도전성 단자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체판(예를 들어, 편평한 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접촉편이 실린더부에 항상 수용되어 보호되기 때문에, 접촉편의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도체판은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장착면에 장착되고, 지그는 상판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그 후에, 누름 힘이 장착면에 대해 접촉편에 가해지고, 접촉편은 실린더부의 측판의 캐칭 유닛에 의해 잡힌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접촉편의 도체판으로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다. 이러한 접촉편이 캐칭 유닛에 의해 잡힌 후에, 접촉편의 장착면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는 그 탄성력에 따라 도체판을 장착면에 계속 누르고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전성 단자 및 도체판은 서로 안정되게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돌기는 상기 접촉편이 뻗는 방향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도체판을 상기 장착면에 누른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한 쌍의 구멍은 상기 접촉편이 뻗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접촉편은 상기 한 쌍의 측판쪽으로 돌출하는 안내편(guide piece)을 포함하고; 안내창(guide window)이 상기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을 통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은 상기 안내창에 삽입되어, 상기 지그의 누름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편의 이동이 상기 장착면쪽 방향으로 일어나도록 상기 접촉편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캐칭 유닛은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는 상기 접촉편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된 2개 쌍의 캐칭 유닛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라, 제5 특징에 더해, 상기 2개 쌍의 캐칭 유닛은 상기 안내창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위치지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라, 제5 특징에 더해, 상기 상판을 통해 개방된 상기 한 쌍의 구멍은 상기 2개 쌍의 캐칭 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접촉편은 상기 측판쪽으로 돌출하는 잠금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칭 유닛은 상기 잠금편과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라, 제1 특징에 더해, 상기 도전성 단자는 도체판 부재의 시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전성 단자는 탁월한 접속 안정도를 갖고, 도체판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고, 접촉편의 손상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전성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에 의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B에 의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C에 의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D-D 라인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접촉편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E-E 라인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접촉편의 프레스-본딩 가공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프레스-본딩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전성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F 라인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전성 단자를 위한 판 재료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도전성 단자(100)는 편평한 하판(12); 이러한 하판(12)의 양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측판(13, 14); 및 측판(13, 14)에 연결된 편평한 상판(15)을 포함하고 있다.
하판(12)은 예를 들어, 금속판인 도전성 부재이다. 하판(12)은 상판(15) 반대의 넓은 면에, 도체판(5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11)을 포함하고 있다(도 8 참조). 장착면(11)은 도체판(50)의 도체와 전기 접속된다. 하면에 절연체를 갖고 있고 이러한 절연체에, 동박등으로 구성된 회로 도체가 형성된 평판이 도체판(50)의 예이다.
측판(13, 14)은 예를 들어, 편평한 금속판인, 하판(12)의 장착면(11)에 수직으로 뻗은 도전성 부재이다. 하술된 맞물림 구멍(22, 23)은 각각 측판(13, 14)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상판(15) 역시, 예를 들어, 금속판인 도전성 부재이다. 상판(15)은 하판(1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하판(12)의 장착면(11)에 거의 평행하게 측판(13, 14)에 연결되어 있다. 상판(15), 측판(13, 14), 및 하판(12)은 개구된 양단부를 갖는 실린더부(17)를 형성하기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는 다른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의 도전성 접속 단자(16)가 더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16)는 하판(12)의 하나의 개방 단부(12a)에 접속되어 있고, 하판(12)의 길이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개방 단부(1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단자(16)가 다른 상대 단자(예를 들어, 접속 단자(16)가 안에 삽입될 수 있는 실린더 단자)에 접속될 때, 도전성 단자(100) 및 다른 상대 커넥터는 기계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판(12)의 하나의 개방 단부(12a)의 반대측에 위치된 삽입 포트(17b)로부터, 도체판(50)이 실린더부(17)에 삽입된 다음, 장착면(11)에 배치된다. 도전성 단자(100) 역시 장착면(11)에 배치된 도체판(50)과 다른 커넥터 사이의 전기 접속을 구현한다.
도체판(50)이 실린더부(17)에 삽입될 때, 도체판(50)의 말단부는 하판(12)의 광폭면으로부터 상판(15)쪽으로 돌출하는 판인 스토퍼(12c)에 삽입 방향으로 맞닿는다. 그다음, 도체판(50)은 삽입 방향에 대해 위치지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체판(50)을 장착면(11)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는 상판(15)이 연속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부(17)에 배치된 접촉편(18)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편(18)은 예를 들어, 금속판으로 구성된 도전성, 탄성 판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편(18)의 인접단부와 접힘부(18a) 사이의 접촉편(18)의 일부는 편평하고, 상판(15)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편(18)의 접힘부(18a)와 말단부 사이의 접촉편(18)의 다른 부분 역시 변형가능한 구부림가능부이고, 이러한 구부림가능부는 그 단부(18b)에서 실린더부(17)의 외측으로 뻗어 단말처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편(18)은 상판(15)에 연결된 접힘부(18a)가 설치된 직방형 소편(small piece)(18a1); 및 개방 단부(12b)측 쪽으로 뻗은 단부(18b)가 설치된 대편(large piece)(18b1)을 포함하고 있다.
소편(18a1)의 다른 단부는 폭 방향으로 대편(18b1)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폭방향은 대편(18b1)이 (접힘부(18a)로부터 단부(18b)로) 뻗는 방향에 수직이다. 소편(18a1)의 접힘부(18a)는 상판(15)에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편(18a1)은 구부림부(접힘부(18a)의 정상부를 갖는 구부림부)가 접속 단자(16)로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로 인해, 대편(18b1)은 하판(12)의 개방 단부(12a)로부터 하판(12)의 다른 개방 단부(12b)쪽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소편(18a)의 폭(a1)(측방향의 길이 a1)은 대편(18b1)의 폭(b1)의 최소 보다 좁다. 소편(18a1)의 폭을 보다 좁게 함으로써 소편(18a1)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편(18)을 상판(15) 근방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편(18a1)의 폭(a1)을 좁게 하는데는 다음의 이유가 있다. 즉, 하술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접촉편(18)을 눌러 하판(12)쪽으로 이동시킨다. 소편(18a1)의 폭(a1)은 이동을 고려하여 좁다. 따라서, 작업자는 접촉편(18)을 적당한 누름 힘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대편(18b1)을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누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접촉편(18)의 이동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편(18b1)은 다음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폭(b1)(소편(18a1)의 폭(a1)에 평행한 길이(b1))은 소편(18a1)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대편(18b1)의 중심부로 보다 넓어지고, 대편(18b1)의 중심부로부터 단부(18b)로 보다 좁아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대편(18b1)을 형성함으로써, 대편(18b1)이 직방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접촉편(18)은 측판(13, 14) 위에서 잡히지 않고 하판(12)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편(18b1)의 면적은 감소되어, 접촉편(18)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판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편(18b1)의 말단부, 즉, 접촉편(18)의 단부(18b)는 실린더부(17)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구부러져 하판(1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구부림으로 인해 실린더부(17) 안으로 삽입되는 도체판(50)을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도체판(50)을 실린더부(17)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대편(18b1)의 단부의 구부림부에 의해, 도체판(50)이 실린더부(17)에 삽입될 때 작업자가 상판(15)과 접촉편(18) 사이의 공간으로 도체판(50)을 실수로 삽입하는 일이 방지된다.
대편(18b1)은 폭 b1의 최대 광폭부를 갖는 영역에서 돌기(18c)를 갖고 있다. 돌기(18c)는 도체판(50)에 전기 접속시키도록 탄성력에 의해 장착면(11)에 배치된 도체판(50)을 누르고, 장착면(11)쪽으로 하방 볼록부를 만들도록 돌출한다.
접촉편(18)이 뻗는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하술되는 잠금편(18e, 18f) 사이의 중심부에서, 돌기(18c)는 장착면(11)에 배치된 도체판(50)을 누른다.
구체적으로, 돌기(18c)의 접촉점(18c1)이 장착면(11)에 배치된 도체판(50)을 누른다. 접촉점(18c1)은 하술되는 잠금편(18e, 18f)의 중심부(즉, 접촉편의 접힘부(18a))로부터 단부(18b)로의 라인에 위치되어 있고, 또한, 하술되는 안내편(18d, 18d)을 연결하는 다른 라인에 위치되어 있다. 돌기(18c)가 이러한 위치에서 접촉점(18c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장착면(11)에 배치된 도체판(50)과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편(18)에 연속 설치된 상판(15)의 일부는 한 쌍의 구멍(20, 21)을 형성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구멍(20, 21)은 돌기(18c)를 사용하여 도체판(50)을 누르도록 제공되어 있다.
작업자는 구멍(20, 21)으로부터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는 지그(40)를 삽입하고, 접촉편(18)을 지그(40)에 의해 장착면(11)쪽으로 누른다. 이로 인해, 접촉편(18)이 이동하도록 변형되어, 돌기(18c)가 도체판(50)을 누른다.
돌기(18c)가 구멍(20, 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촉편(18)이 뻗는 방향을 따라 상판(15)을 통해 구멍(20, 21)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지그(40)를 사용하여 양호한 밸런스 방식으로 장착면(11)쪽으로 접촉편(18)을 누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측판(13, 14)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안내편(18d, 18d)이 접촉편(18)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편(18d, 18d)은 각각, 측판(13, 14)을 통해 형성된 안내창(19, 19)으로 삽입된다. 안내창(19, 19)은 측판(13, 14)의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된다.
안내창(19, 19)은 접촉편(18)이 지그(40)에 의해 눌려질 때 장착면(11)쪽 방향을 따라 접촉편(18)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안내창(19, 19)에 의해 접촉편(18)(보다 구체적으로, 돌기(18c))을 장착면(11)에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측판(13, 14)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이 접촉편(18)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은 접촉편(18)이 장착면(11)쪽으로 눌려질 때, 각각, 측판(13, 14)을 통해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과 맞물린다.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은 측판(13, 14)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게이트 처럼 보이는 포탈부(portal portion)(13a, 14a)가 측판(13, 14)을 따라 하판(12)으로부터 뻗어 제공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이 포탈부(13a, 14a)를 잡을 수 있는 캐칭 유닛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이 각각,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과 맞물릴 때, 접촉편(18)(보다 구체적으로, 돌기(18c))은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장착면(11)으로 강제 눌려진다.
한 쌍의 이러한 맞물림 구멍(22, 23)은 각각, 접촉편(18)을 통해 서로 반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구멍(23)은 다른 세트를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세트 및 다른 세트의 2개의 쌍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은 하나의 세트 및 다른 세트의 오직 하나의 쌍이 제공되는 경우 보다 안정되게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세트 및 다른 세트의 2개의 쌍은 안내창(19, 19)이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도전성 단자(100)는 안내창(19, 19)이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나의 세트 및 다른 세트의 2개의 쌍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보다 안정되게 한 쌍의 잠금편(18e, 18f)과 맞물릴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2개의 쌍이 안내창(19, 19)과 하판(12)의 하나의 개방 단부(12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경우; 및 2개의 쌍이 안내창(19, 19)과 다른 개방 단부(12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경우를 포함한다.
지그(40)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20, 21)은 각각,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의 각각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전성 단자(100)에서, 지그(40)로부터의 누름 힘은 한 쌍의 잠금편(18f) 사이의 자리 및 한 쌍의 잠금편(18e) 사이의 다른 자리에 집중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 따라, 한 쌍의 잠금편(18e, 19f)은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과 효과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에는 포탈부(13a, 14a)가 형성되어 있다. 포탈부(13a, 14a)는 상부 컬럼(13a1, 14a1)을 각각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판(15)과 마주 보고 있다. 그리고, 상부 컬럼(13a1, 14a1)은 각각,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쪽으로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의 경사부에 맞닿는 부분(돌출 말단부의 하부)에 다른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편(18)이 장착면(11)쪽으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은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과 안정되게 맞물리는 것이 보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단자(100)는 하판(12)의 다른 개방 단부(12b)의 양측에 제공된 복수의 압착 배럴(24, 24)을 포함하고 있다. 압착 배럴(24, 24)에는 예를 들어, 산마루 형상의 금속판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10의 다른 상태로, 작업자는 압착 배럴(24, 24)을 막아(caulk)(구부려) 그 말단부가 하판(12)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부에 삽입된 도체판(50)을 하판(12)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 1에 도시된 도전성 단자(100)와 도체판(50)을 연결하는 작업을 이제 설명할 것이다. 먼저, 도 9의 상부에서, 접촉편(18)(보다 구체적으로, 상술된, 접힘부(18a)와 단부(18b) 사이의 부분인, 접촉편(18)의 구부림가능부)이, 접촉편(18)이 도체판(50)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위치에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개구(17b)로부터 개구(17a)쪽으로 실린더부(17)에 도체판(50)을 삽입하고, 도체판(50)을 장착면(11)에 장착한다. 그다음, 도 9의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그(40)의 한 쌍의 돌기를 각각 구멍(20, 21)을 통해 삽입하고, 접촉편(18)을 장착면(11)쪽으로 누른다.
그다음, 접촉편(18)은 장착면(11)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하판(12)으로 하방 이동한다. 돌기(18c)는 도체판(50)을 장착면(11)으로 눌러 접촉점(18c1)을 도체판(50) 상의 도체에 전기 접속한다. 동시에, 접촉편(18)의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은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에 각각 끼워맞추어진다. 이로 인해, 접촉편(18)은 도체판(50)이 장착면(11)에 프레스 본딩되는 상태로 도체판(50)을 유지한다. 즉, 접촉편(18)(보다 구체적으로, 접힘부(18a)와 단부(18b) 사이의 부분인, 접촉편(18)의 상술된 구부림가능부)이, 접촉편(18)이 도체판(50)에 프레스 본딩되는 압착 위치로 이동한다.
접촉편(18)이 장착면(11)쪽으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 포탈부(13a, 14a)가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한 쌍의 잠금편(18e, 18f)에 의해 포탈부(13a, 14a)가 탄성 변형되어,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이 접근하여 각각 맞물림 구멍(22, 23)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러한 끼워맞춤이 완성된 후에, 포탈부(13a, 14a)는 측판(13, 14)의 것과 거의 동일한 평면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잠금편(18e, 18f)은 서로 거의 해제되지 않는 상태로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과 맞물려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촉편(18)을 압착 위치에 억제하고 유지하는 억제 메커니즘이 한 쌍의 잠금편(18e, 18f); 및 맞물림 구멍(22, 23)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 메커니즘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접촉편(18)을 비접촉 위치에 억제하지 않는다.
작업자는 압착 배럴(24, 24)를 눌러 변형시킴으로써 실린더부(17)의 개구(17b)로부터 하판(12)으로 노출하는 도체판(50)의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0은 압착 배럴(24, 24)이 고정된 후에 도체판(50)이 생략된 상태의 도전성 단자(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포탈부(13a, 14a)를 막도록 한 쌍의 맞물림 구멍(22, 23)이 개방된 포탈부(13a, 14a)에 화살표 Y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잠금편(18e, 18f)과 맞물림 구멍(22, 23)사이의 보다 안정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상술된 도전성 단자(100)에서, 도체판(50)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접촉편(18)은 항상 실린더부(17) 안에 수용되어 보호되기 때문에, 접촉편(18)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단자(100)에서, (도체판(50)이 실린더부(17)에 삽입되고 장착면(11)에 장착된 후에) 지그(40)가 구멍(20, 21)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편(18)을 장착면(11)에 누를 때, 접촉편(18)은 캐칭 유닛의 맞물림 구멍(22, 23)에 의해 잡힌다. 이러한 이유로, 도전성 단자(100)에 의해, 도체판(50)의 접속 작업은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서, 접촉편(18)이 맞물림 구멍(22, 23)에 의해 잡힌 후에, 돌기(18c)는 그 탄성력에 따라 도체판(50)을 장착면(11)에 계속 누른다. 도전성 단자(100)에 따라,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해 도체판(50)이 보다 얇게 될지라도, 도체판(50)과의 접속 안정도는 유지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단자(100)가 도체판 부재(60)(예를 들어, 금속판)의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체판 부재(60)는 접속 단자(16)에 대한 영역(16x); 접촉편(18)에 대한 영역(18x); 구멍(20, 21)에 대한 영역(20x, 21x); 포탈부(13a, 14a)에 대한 영역(13ax, 14ax); 맞물림 구멍(22, 23)에 대한 영역(22x, 23x)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조자는 도체판 부재(60)의 시트에 구부림 가공을 행하여 도전성 단자(100)를 조립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 따라, 도전성 단자(100)가 도체판 부재(60)의 하나의 시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체판 부재(60)는 효율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 따라, 그 제조 공정의 효율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00)에 따라, 도전성 단자(100)가 도체판 부재(60)의 하나의 시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전류가 도통될 때 저항은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다른 커넥터와의 전기 접속은 도전성 단자가 2개 이상의 도전성 재료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된 경우보다 안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도전성 단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단자의 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단자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게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전성 단자(100)에서, 실린더부(17)의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부(17)의, 접속 단자(16) 근방에 있는, 하나의 단부는 개방되지 않고 폐쇄될 수 있고, 실린더부(17)의 다른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전성 단자(100)에서, 접속 단자(16)가 하판(12)의 하나의 개방 단부(12a)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접속 단자가 도전성 단자(100)에 접속되기 위해 다른 상대 커넥터에 설치되고, 특정 접속 단자가 접속 단자(16) 대신에 삽입될 수 있는 실린더 접속 단자에 설치될 수 있다. 하판(12)의 하나의 개방 단부(12a)에 제공된 접속 단자가 다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에 대해 제한은 없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전성 단자(100)에서, 실린더부(17)의 단면은 거의 직방형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부(17)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단자는 자동차 산업, 전기 산업등과 같은 분야에서 편평한 도체와의 전기 접속 수단으로서 널리 채용될 수 있다.
11: 장착면
12: 하판
12a, 12b: 개방 단부
13, 14: 측판
13a, 14a: 포탈부
15: 상판
16: 접속 단자
17: 실린더부
17a: 개구
17b: 삽입 포트
18: 접촉편
18a: 접힘부
18b: 단부
18a1: 소편
18b1: 대편
18c1: 접촉점
18e, 18f: 잠금편
19: 안내창
20, 21: 구멍
22, 23: 맞물림 구멍(캐칭 유닛)
24: 압착 배럴
40: 지그
50: 도체판
100: 도전성 단자
a1, b1: 폭

Claims (9)

  1. 도전성 단자에 있어서,
    도체판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부터 뻗어 있고, 각각 평판의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 모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 상판; 및
    다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하판의 하나의 개방 단부에 설치된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한 쌍의 측판, 및 상판은 개구인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 실린더부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판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고,
    접촉편이 상기 상판에 연속 연결된 하나의 단부 및 상기 하판의 하나의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하판의 다른 개방 단부쪽으로 뻗은 다른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실린더부에 수용된 탄성, 도전성 판이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장착면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로서,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장착면 사이에 배치된 도체판에 탄성력을 상기 장착면에 대해 가하여 상기 도체판에 전기 접속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한 쌍의 구멍이 상기 돌기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상판을 통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의해 지그가 상기 접촉편을 상기 장착면에 눌러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도체판을 누를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은 상기 장착면에 눌려지는 돌기를 갖는 접촉편을 잡을 수 있는 캐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접촉편이 뻗는 방향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도체판을 상기 장착면에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멍은 상기 접촉편이 뻗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한 쌍의 측판쪽으로 돌출하는 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을 통해 안내창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은 상기 안내창에 삽입되어, 상기 지그의 누름에 의해 상기 접촉편이 상기 장착면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 유닛은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는 상기 접촉편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된 2개 쌍의 캐칭 유닛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한 쌍의 측판쪽으로 돌출하는 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을 통해 안내창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은 상기 안내창에 삽입되어, 상기 지그의 누름에 의해 상기 접촉편이 상기 장착면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2개 쌍의 캐칭 유닛은 상기 안내창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지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통해 개방된 상기 한 쌍의 구멍은 상기 2개 쌍의 캐칭 유닛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측판쪽으로 돌출하는 잠금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칭 유닛은 상기 잠금편과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단자는 도체판 부재의 시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단자.
KR1020160014890A 2015-02-24 2016-02-05 도전성 단자 KR10184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4355A JP5930089B1 (ja) 2015-02-24 2015-02-24 導電端子
JPJP-P-2015-034355 201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509A KR20160103509A (ko) 2016-09-01
KR101847440B1 true KR101847440B1 (ko) 2018-04-10

Family

ID=5610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90A KR101847440B1 (ko) 2015-02-24 2016-02-05 도전성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4296B2 (ko)
JP (1) JP5930089B1 (ko)
KR (1) KR101847440B1 (ko)
CN (1) CN105914498B (ko)
DE (1) DE102016202751A1 (ko)
FR (1) FR30330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2671U (ko) * 1987-10-13 1989-04-21
JPH03271925A (ja) 1990-03-20 1991-12-03 Fujitsu Ltd メモリーディスク装置
JP2900210B2 (ja) * 1992-09-18 1999-06-0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ターミナル
DE69517671T2 (de) * 1995-03-09 2001-03-01 Berg Electronics Mfg Verbinderelement zur Verbindung einer flexiblen Folie und eines stiftförmigen Kontaktelements sowie ein dazugehöriges Verbindungs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3271925B2 (ja) * 1997-03-28 2002-04-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ターミナル
JPH11195445A (ja) * 1997-12-26 1999-07-21 Amp Japan Ltd 可撓性平形ケ−ブル用電気コンタクト
JP2005353524A (ja) * 2004-06-14 2005-12-22 Yazaki Corp 接続端子
JP4678341B2 (ja) * 2006-06-21 2011-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0089B1 (ja) 2016-06-08
CN105914498A (zh) 2016-08-31
JP2016157575A (ja) 2016-09-01
CN105914498B (zh) 2018-04-20
FR3033089A1 (fr) 2016-08-26
FR3033089B1 (fr) 2019-06-21
KR20160103509A (ko) 2016-09-01
US20160248173A1 (en) 2016-08-25
US9614296B2 (en) 2017-04-04
DE102016202751A1 (de)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9842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sloped guide surfaces with a common edge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6866523B2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US83428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080020941A (ko) 접속장치
KR20080011058A (ko) 접속장치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20180115099A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523605B2 (en) Loop connector and closed-circuit forming connector
JP2013093133A (ja) コネクタ端子
KR101847440B1 (ko) 도전성 단자
KR102137880B1 (ko) 단자
US9509070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6836755B2 (ja) コネクタ
US20190020143A1 (en) Poke-in connector
KR102442194B1 (ko) 클립 커넥터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JP201911769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906177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KR101001880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01879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조립구조
JP5666255B2 (ja) 雌型端子
JP2017126508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