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058A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1058A KR20080011058A KR1020070069013A KR20070069013A KR20080011058A KR 20080011058 A KR20080011058 A KR 20080011058A KR 1020070069013 A KR1020070069013 A KR 1020070069013A KR 20070069013 A KR20070069013 A KR 20070069013A KR 20080011058 A KR20080011058 A KR 200800110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lamp arm
- bent
- curved
- lead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하며, 또한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리드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한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접속장치는, 콘택트(100)와, 이것을 수용하는 보디(200)를 구비한다. 콘택트(100)의 클램프암(111, 112)은, 굴곡부(111a, 112a)와, 이 선단부(先端部)에 연속되며 또한 굴곡부(111a, 112a)와 반대로 절곡된 파지부(111b, 112b)를 가진다. 조작부재(220)의 편부재(223)가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함으로써,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공간 α를 형성한다. 상기 압압이 해제됨으로써,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해서 공간 α가 폐쇄되며, 해당 공간 α에 삽입된 리드단자(12)가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전기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접속장치로서는, 보디에 수용되는 콘택트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를 탄성적으로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진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접속장치로서는, 제 1의 접속부가, 고정편과, 만곡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된 가동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편이 압압 조작됨으로써, 상기 구멍부의 벽면과 상기 고정편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이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제 2의 접속장치로서는, 제 1의 접속부가, 보디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고정 금구와, 이 고정 금구의 상단부 면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 대략 「く」자 뒤집은 형상의 가동편과, 이 가동편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가동편이 압하되면, 해당 가동편의 선단부(先端部)와 고정 금구의 상단부 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해당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제 3의 접속장치로서는, 제 1의 접속부가, 보디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이 코일스프링을 압축시켜서, 해당 코일스프링의 일단부(一端部)와 보디의 내부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06-1712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3-7755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09-92018호 공보
그러나, 제 1의 접속장치는, 만곡한 가동편이 보디의 내부벽면에 항상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가동편의 탄성력이 보디에 항상 계속 작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디에 변형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본질적인 결점을 갖는다.
제 2의 접속장치는, 상기 가동편의 선단부와 고정 금구의 상단부 면과의 사이 에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단자 장착 후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의 탄성력이 리드단자, 장착 금구의 상단부 면을 통해서 보디에 계속 작용한다. 이런 연유로, 제 2의 접속장치도 제 1의 접속장치와 동일한 결점을 갖는다.
제 3의 접속장치는, 코일스프링의 일단부와 보디의 내부벽면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단자 장착 후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리드단자를 통해서 보디에 계속 작용한다. 이런 연유로, 제 3의 접속장치도 제 1의 접속장치와 동일한 결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리드단자를 코일스프링의 일단부와 보디의 내부벽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때에, 상기 리드단자를 상기 코일스프링에 가압해서 해당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부하가 상기 리드단자에 걸린다. 이런 연유로, 상기 리드단자 또는 해당 리드단자의 전자기기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다른 결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리드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한 접속장치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접속장치는,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택트가, 리드단자 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장치로서, 상기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지며, 이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의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압압 조작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압압 조작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며,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은 리드단자의 끼워둠에만 이용되 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게 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고, 그 후, 상기 공간이 폐쇄되어서 상기 리드단자가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해당 리드단자 및 그 전자기기에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부하를 거는 경우도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접속장치는,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택트가, 리드단자 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장치로서, 상기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는,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암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 2의 클램프암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을 향해서 압압 조작되면, 해당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해당 제 1의 클램프암에 교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압압 조작으로 개방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며,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은 리드단자의 끼워둠에만 이용될 뿐이며,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게 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고, 그 후, 상기 공간이 폐쇄되어서 상기 리드단자가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과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해당 리드단자 및 그 전자기기에 제 2의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부하를 거는 경우도 없다.
상기 보디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이동에 따라서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압압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조작부재를 이동 조작하는 것만으로, 클램프암을 간단히 압압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을 2개 가지는 경우, 이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이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다. 혹은,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을 2개 가지는 경우, 이 2개의 제 2의 클램프암이,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 및 1개의 제 2의 클램프암의 3점, 혹은 2개의 제 2의 클램프암 및 1개의 제 1의 클램프암의 3점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하면, 해당 리드단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디는,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와, 이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2의 접속부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를 가진다.
이런 경우, 상기 걸림클로를 상기 기판에 걸리게 하면,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가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되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를 간단히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시키면, 안정된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상의 부위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하고, 해당 리드선을 통해서 기판과 접속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리드단자 장착 시에 있어서, 클램프암의 탄성력에 의한 불필요한 부하가 리드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해당 리드단자 및 그 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측면도, (c)가 동일장치의 개략적 배면도, 도 2는 동일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저면도, 도 3은 동일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장치의 조작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동일장치의 A-A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동일장치의 B-B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고정편인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 및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b)가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1의 클램프암 및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c)가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암 및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판상체(板狀體)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b)가 기판 실장 가능한 구상체(鉤狀體)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c)가 리드선을 압착 가능한 형상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또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11은 동일장치의 보디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정면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접속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소켓으로서, 냉음극 형광램프(전자기기)(10)의 리드단자(12)와 기판(20)을 각각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2개의 콘택트(100)와, 이 2개의 콘택트(100)를 수용하는 보디(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부(11)와, 이 램프부(11)로부터 돌출한 리드단자(12)를 가지고 있다.
보디(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인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부(210)와, 이 본체부(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수지제인 2개의 조작부재(220)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부에는, 도 2(b),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콘택트(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21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으로서, 그 폭치수가 콘택트(100)의 중간부(130)의 폭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 수용부(211)의 폭방향의 양벽면의 중앙부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100)의 중간부(130)의 양단부가 압입되는 압입홈(211a)이 상하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부(211)의 길이방향의 양벽면에는, 3개의 돌출부분(211b)이 각각 상하방향 을 향하며 또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분(211b)은, 콘택트(100)의 제 1의 접속부(11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이 치수공차에 의해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220)의 편부재(223)를 본체부(210)의 가이드부(217)의 개구부(217b)에 삽입할 때에, 해당 편부재(223)와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의 하부면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11)를 하단부를 개방하며 또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를 아래쪽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12)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는, 기판(2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213)가 아래쪽방향(즉,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0)의 양단부의 상부면에는, 도 1(a), 도 2(a)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를 상하방향으로 삽탈(揷脫) 가능한 제 1의 수용홈(214)과, 이 제 1의 수용홈(214)에 연속되는 홈이며 또한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가 상하방향으로 삽탈 가능한 제 2의 수용홈(215)과, 제 1, 제 2의 수용홈(214, 215)의 사이를 연결하는 벽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수용홈(215)은, 수용부(211)에 연통하는 홈으로서, 그 폭치수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제 2의 수용홈(215)의 폭방향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해당 제 2의 수용홈(215) 내부에 리드단자(12)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벽부(216)는, 제 2의 수용홈(215)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와 제 1의 수용홈(214)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벽상체(壁狀體)로서, 제 2의 수용홈(215)에 연속되는 슬릿(216a)이 상하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16a)의 폭치수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슬릿(216a)의 폭방향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리드단자(12)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6a)의 깊이치수는, 리드단자(12)가 수용부(211) 내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에 끼워 유지되는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까지의 깊이로 되어 있다. 즉, 리드단자(12)가 수용부(211) 내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에 끼워 유지되는 동시에, 슬릿(216a)의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 1의 수용홈(214)은, 폭치수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제 1의 수용홈(214)의 깊이치수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가 슬릿(216a)의 바닥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가 해당 제 1의 수용홈(214)의 바닥부에 재치(載置)되는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배면부는 하단부 이외의 부분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잘라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노치부 벽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조작부재(22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부(217)가 형성 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17)는, 도 1(c),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치부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의 볼록부로서, 그 내부가 수용부(21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이 가이드부(217)의 폭방향 양단부 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17)의 앞면의 양단부에는, 조작부재(220)인 한 쌍의 편부재(223)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개구부(217b)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217)의 앞면의 중앙부 아래쪽 부분에는, 조작부재(220)를 거는 한 쌍의 걸림볼록부(217c)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220)는, 도 1(b), 도 1(c),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형체(箱體)인 이동본체부(221)와, 이 이동본체부(221)의 폭방향 양단부의 모서리부를 파냄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222)과, 이동본체부(221)의 내부면의 한 쌍의 레일홈(222)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편부재(223)와, 이동본체부(221)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편(224)을 가지고 있다.
레일홈(222)에는 가이드부(217)의 가이드돌기(217a)가 끼인다. 이것에 의해, 이동본체부(221)가, 초기위치(즉, 가이드돌기(217a)가 레일홈(222)의 맨 위에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압압위치(즉, 가이드돌기(217a)가 레일홈(222)의 맨 아래에 위치하는 위치)에 걸쳐서 가이드부(21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걸림편(224)은, 하단부가 가이드부(217)를 향해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이동본체부(221)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부(217)의 걸림볼록부(217c)에 걸리게 된다.
한 쌍의 편부재(223)의 상단부에는 그 사이의 간격이 잠시 감소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편부재(223)는, 한 쌍의 개구부(217b)에 삽입되며, 이동본체부(221)가 압압위치에 위치했을 때, 수용부(211) 내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한다.
콘택트(100)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닌 판스프링으로서, 리드단자 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110)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120)와, 제 1, 제 2의 접속부(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30)를 가진다.
중간부(13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체로서, 그 폭치수가 보디(200)의 본체부(210)의 수용부(211)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중간부(130)의 양단부가 수용부(211)의 압입홈(211a)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100)가 수용부(211) 내에 유지된다.
제 2의 접속부(120)는, 중간부(130)의 하단부에 연속되며 또한 대략 「つ」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제 2의 접속부(120)의 높이치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130)가 콘택트(100)가 보디(200)의 본체부(210)의 수용부(211)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보디(200)의 본체부(210)의 개구(212)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로 되어 있다.
제 1의 접속부(110)는, 중간부(130)의 상단부에 공간을 두고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111)과, 중간부(130)의 상단부의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111)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2의 클램프암(112)을 가진다.
제 1의 클램프암(111)은, 대략 「く」자 형상의 제 1의 굴곡부(111a)와, 이 제 1의 굴곡부(111a)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 1의 굴곡부(111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제 1의 파지부(111b)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클램프암(112)은, 대략 「く」자 뒤집은 형상(즉, 제 1의 굴곡부(111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음)의 제 2의 굴곡부(112a)와, 이 제 2의 굴곡부(112a)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2의 굴곡부(112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제 2의 파지부(112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연속되는 굴곡편부가 기판(20)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의 상기 굴곡편부의 길이치수는, 양자가 초기상태에서 교차하지 않는 길이이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조작부재(220)의 편부재(223)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서로 교차하며,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 α가 생기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접속장치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콘택트(100)의 중간부(130)와, 보디(200)의 수용부(211)의 압입홈(211a)을 위치맞춤을 하면서 압입하며, 해당 콘택트(100)를 수용부(211)에 수용한다.
그 후, 조작부재(220)의 한 쌍의 편부재(223)를 보디(200)의 가이드부(217)의 한 쌍의 개구부(217b)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또한 수용부(211) 내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에 접촉되지 않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부재(220)를 보디(200)의 가이드부(217)에 가압접촉한다. 그러면, 조작부재(220)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부(217)의 가이드돌기(217a)를 탄성 변형해서 넘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217)의 가이드돌기(217a)가 조작부재(220)의 레일홈(222)에 끼인다.
이하, 이와 같이 조립되는 접속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보디(200)의 걸림클로(213)를 기판(2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삽입하여, 걸리게 한다. 그러면, 보디(200)의 개구(212)로부터 돌출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기판(20)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패턴에 가압되며, 탄성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100)가 기판(20)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조작부재(220)를 초기위치에서 압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220)의 걸림편(224)이 가이드부(217)의 걸림볼록부(217c)를 넘어간다. 그러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220)의 한 쌍의 편부재(223)가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여,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리고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사이에 공간 α를 형성한다.
그 후,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를 보디(200)의 제 1의 수용홈(214)에,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를 보디(200)의 제 2의 수용홈(215)에 삽입한다. 그러면, 리드단자(12)가 보디(200)의 벽부(216)의 슬릿(216a) 에 안내되며, 해당 보디(200)의 수용부(211) 내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의 공간 α에 삽입된다.
그 후, 조작부재(220)를 압압위치로부터 초기위치에 걸쳐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220)의 걸림편(224)이 가이드부(217)의 걸림볼록부(217c)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조작부재(220)의 한 쌍의 편부재(223)에 의한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에 대한 압압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 자체의 복귀력에 의해,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 α가 폐쇄되며, 해당 공간 α에 삽입된 리드단자(12)가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리드단자(12)가 콘택트(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단자(12)를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재(220)를 초기위치에서 압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220)의 걸림편(224)이 가이드부(217)의 걸림볼록부 (217c)를 넘어간다. 그러면, 조작부재(220)의 한 쌍의 편부재(223)가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여,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 α가 개방되며, 해당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의한 리드단자(12)의 끼워둠이 해제된다. 그리고, 해당 리드단자(12)를 보디(200)의 제 2의 수용홈(215)으로부터 위쪽으로 뽑아내거나 혹은 기판(20)과 평행하게 뽑아낸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부재(220)를 압압위치로 이동시켜서, 해당 조작부재(220)의 편부재(223)의 압압에 의해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공간 α를 형성시키고, 해당 공간 α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며, 그 후, 조작부재(22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켜서 조작부재(220)의 편부재(223)의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공간 α를 폐쇄시키고,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리드단자(12)를 끼워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200)에 걸리지 않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리드단자(12)를 장착할 때에,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의 공간 α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여, 해당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끼워 유지시킬 뿐이므로, 리드단자(12) 및 램프부(11)에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부하에 의한 장착 시의 냉음극 형광램프(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2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리드단자(12)의 끼워둠 및 그 해제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단자(12)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보디(200)의 걸림클로(213)를 기판(20)의 걸림구멍에 걸리게 함으로써, 보디(200)의 개구(212)로부터 돌출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기판(20)의 회로패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납땜 접속을 이용하지 않고, 콘택트(100)를 기판(2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쪽이 가동편인 한 쌍의 클램프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동편의 굴곡부가 압압 조작됨으로써, 해당 가동편의 파지부가 다른 클램프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한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접속부가, 고정편인 2개의 판형상의 제 1의 클램프암(111')과, 그 사이에 배설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112')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지만 2개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1의 클램프암과, 그 사이에 배설된 고정편인 판형상의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점에 리드단자(12)를 끼워 유지하도록 하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한 쌍의 제 1, 제 2의 클램프암(111', 112')을 가진 구성,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편인 판형상의 제 1의 클램프암(111')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112')을 가진 구성과 같은 2점에 끼워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클램프암을 4개 이상 형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 및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대해서는, 만곡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 및 파지부(111b, 112b)는, 굴곡형상인 것 및 만곡형상인 것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는 조작부재(220)에 압압 조작된다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보디(200)로부터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분을 조작하도록 하면 된다.
제 2의 접속부에 대해서는,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기판(20)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상의 판상체로 할 수 있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기판(20)의 회로패턴에 접촉하여 표면 실장 가능한 구상체로 할 수도 있으며,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기판(20)의 회로패턴 또는 기타 전자부품 등과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2의 접속부(120)를 별체로서, 제 1의 접속부(120)에 접촉시키도록 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또한, 콘택트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제 2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면 되며, 그 조합은 임의이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측면에서 봐서 대략 「凹」자 형상으로 하고, 그 양단부에 제 1의 접속부를 각각 형성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디(200)에 대해서는, 상기 콘택트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떻게 설계변경해도 상관없다. 따라서, 콘택트(100)가 2개 수용되는 구성이라고 했지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수용할 수 있으면 된다.
걸림클로(213)에 대해서는, 보디(200)의 개구(212)의 가장자리부에 제 2의 접속부(120)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기판(20)에 걸림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 걸림클로(213)는 기판(20)의 걸림구멍에 걸리게 된다고 했지만, 해당 기판(20)의 단부나 홈부에 걸리게 되도록 해도 상관없으며, 기판(20) 위에 형성한 다른 부품에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판(20)에 걸림클로를 형성하는 한편, 보디(200)에 상기 걸림클로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조작부재(220)에 대해서는,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보디(20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의 위쪽 위치의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고, 막대형상의 조작부재(220)를 삽입함으로써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소켓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드단자와 기판을 전기접속하는 커넥터 등의 기타 접속장치로서 적응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측면도, (c)가 동일장치의 개략적 배면도;
도 2는 동일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저면도;
도 3은 동일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장치의 조작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동일장치의 A-A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동일장치의 B-B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가 조작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가 전자기기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고정편인 2개의 제 1의 클램프암 및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b)가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1의 클램프암 및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c)가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암 및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진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판상체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b)가 기판 실장 가능한 구상체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c)가 리드선을 압착 가능한 형상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또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11은 동일장치의 보디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택트 110: 제 1의 접속부
111: 제 1의 클램프암 111a: 제 1의 굴곡부
111b: 제 1의 파지부 112: 제 2의 클램프암
112a: 제 2의 굴곡부 112b: 제 2의 파지부
120: 제 2의 접속부 200: 보디
220: 조작부재 α: 공간
Claims (9)
-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택트가, 리드단자 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장치로서,상기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지며, 이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先端部)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제 1, 제 2의 클램프암의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압압 조작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며,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압압 조작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며,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택트가, 리드단자 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는 접속 장치로서,상기 콘택트의 제 1의 접속부는,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암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암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 2의 클램프암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을 향해서 압압 조작되면, 해당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해당 제 1의 클램프암에 교차하며,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압압 조작으로 개방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며,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암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보디는,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이동에 따라서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압압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2개의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이,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2개의 상기 제 2의 클램프암이, 상기 제 1의 클램프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보디는,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와, 이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2의 접속부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 상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205628 | 2006-07-28 | ||
JP2006205628A JP4291341B2 (ja) | 2006-07-28 | 2006-07-28 | 接続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1058A true KR20080011058A (ko) | 2008-01-31 |
Family
ID=3857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9013A KR20080011058A (ko) | 2006-07-28 | 2007-07-10 |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470158B2 (ko) |
EP (1) | EP1883134B1 (ko) |
JP (1) | JP4291341B2 (ko) |
KR (1) | KR20080011058A (ko) |
CN (1) | CN101114736B (ko) |
CA (1) | CA2577530A1 (ko) |
TW (1) | TW2008078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16367B2 (ja) * | 2007-05-08 | 2012-09-05 | 日本端子株式会社 | 冷陰極管用コネクタ及び冷陰極管の取付構造 |
JP2010182503A (ja) * | 2009-02-04 | 2010-08-19 | Hosiden Corp | 抜け止め部材及び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
CN102324364B (zh) * | 2011-08-19 | 2014-04-30 | 湖北汉光科技股份有限公司 | 真空器件或密封装置内的大电流滑动接触装置 |
US20140128858A1 (en) * | 2012-11-08 | 2014-05-08 | Covidien Lp |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ndometrial ablation |
TWI523343B (zh) * | 2014-05-08 | 2016-02-2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夾具 |
TWI511394B (zh) * | 2014-06-10 | 2015-12-01 | Tarn Yu Entpr Co Ltd | Activa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
CN104143717A (zh) * | 2014-07-31 | 2014-11-12 |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 汽车用小结合力插接器 |
JP2022020224A (ja) * | 2020-07-20 | 2022-02-01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ストランド折り曲げ治具及びストランド折り曲げ方法 |
CN114465036A (zh) * | 2020-11-06 | 2022-05-10 | 莫列斯有限公司 | 电连接装置 |
CN117525967B (zh) * | 2024-01-05 | 2024-05-03 | 韶关连捷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服务器用快插电源连接器及服务器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82828A (en) * | 1924-03-27 | 1926-04-27 | Fahnestock Electric Company | Terminal clip |
US1706659A (en) | 1924-08-09 | 1929-03-26 | Fahnestock Electric Company | Wire terminal |
US1976312A (en) * | 1933-05-20 | 1934-10-09 | Wachsman Jacob | Spring terminal clip |
US2075072A (en) * | 1935-10-31 | 1937-03-30 | Wachsman Michael | Spring terminal clip |
FR1602459A (ko) * | 1968-10-23 | 1970-11-30 | ||
US3915544A (en) | 1974-11-05 | 1975-10-28 | Gen Motors Corp | Electrical terminal |
US3961835A (en) * | 1975-01-28 | 1976-06-0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a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Elastic retaining clip |
FR2625376B3 (fr) | 1987-12-24 | 1989-12-08 | Schuch Lichttech Spezialfab | Douille de lampe pour un luminaire a longue portee antideflagrant |
US4964807A (en) * | 1989-11-06 | 1990-10-23 | Draus Thomas A | Electrical connector and dual purpose test jack |
JPH0617123A (ja) | 1992-07-02 | 1994-01-25 | Yamaha Motor Co Ltd | ショットピーニングに熱処理を併用する駆動系部品の強度向上方法および表面強化された駆動系部品 |
JP3178582B2 (ja) | 1995-09-26 | 2001-06-18 | ニッポ電機株式会社 | 蛍光ランプ取付器具及び照明装置 |
KR200144548Y1 (ko) * | 1996-06-15 | 1999-06-15 | 조성호 | 컴팩트 형광등용 안정기 |
US6123587A (en) * | 1996-12-19 | 2000-09-26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receptacle |
FR2815177B1 (fr) * | 2000-10-10 | 2005-02-11 | Entrelec Sa | Ressort de connexion et bloc de raccordement mettant en oeuvre un tel ressort |
JP3565806B2 (ja) | 2001-08-30 | 2004-09-15 | サトーパーツ株式会社 | 端子台 |
JP3786353B2 (ja) | 2001-11-30 | 2006-06-14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JP2005259370A (ja) | 2004-03-09 | 2005-09-22 |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
-
2006
- 2006-07-28 JP JP2006205628A patent/JP429134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1-22 TW TW095143233A patent/TW200807824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2-07 CA CA002577530A patent/CA257753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2-12 US US11/704,980 patent/US74701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4-10 CN CN2007100963396A patent/CN10111473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7-10 KR KR1020070069013A patent/KR200800110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7-27 EP EP07252966A patent/EP1883134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376070B (ko) | 2012-11-01 |
EP1883134A1 (en) | 2008-01-30 |
US7470158B2 (en) | 2008-12-30 |
US20080026620A1 (en) | 2008-01-31 |
JP2008034217A (ja) | 2008-02-14 |
CN101114736B (zh) | 2011-06-08 |
TW200807824A (en) | 2008-02-01 |
JP4291341B2 (ja) | 2009-07-08 |
CA2577530A1 (en) | 2008-01-28 |
CN101114736A (zh) | 2008-01-30 |
EP1883134B1 (en) | 201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11058A (ko) | 접속장치 | |
US809223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US830849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KR100433704B1 (ko) |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 |
KR20050063796A (ko) | 평면 가요성 케이블과 구성요소 사이의 커넥터 장치 | |
EP2572405B1 (en) |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 |
JP4291345B2 (ja) | 接続装置 | |
EP0929129A2 (en) | Latching device and a card edge connector with such a latching device | |
JP2002056916A (ja) | コネクタ | |
US10056714B2 (en) |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 |
US9876295B2 (en) | Electric connector | |
JP7118654B2 (ja) | シールド載置体を備えた接続コネクタ装置と、壁貫通案内部とから成るアセンブリ | |
EP3407428B1 (en) |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
KR20150034102A (ko) | 선형상 도체 접속용 단자 | |
KR20090037812A (ko) | 완충구 및 어댑터, 및 완충구 또는 어댑터가 장착되는 접속장치 | |
JP2009048899A (ja) |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備える接続装置 | |
JP2019129054A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1847440B1 (ko) | 도전성 단자 | |
JP5666255B2 (ja) | 雌型端子 | |
CN114747090A (zh) | 连接端子以及电子设备 | |
KR101157664B1 (ko) | 암 컨택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