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54B1 -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54B1
KR101841654B1 KR1020170174814A KR20170174814A KR101841654B1 KR 101841654 B1 KR101841654 B1 KR 101841654B1 KR 1020170174814 A KR1020170174814 A KR 1020170174814A KR 20170174814 A KR20170174814 A KR 20170174814A KR 101841654 B1 KR101841654 B1 KR 10184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ropathic pain
pain
choline alfoscerate
lumbar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행
여준호
임영
Original Assignee
(주)나노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스템 filed Critical (주)나노스템
Priority to KR102017017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54B1/ko
Priority to JP2020533072A priority patent/JP7100784B2/ja
Priority to ES18891192T priority patent/ES2949267T3/es
Priority to PCT/KR2018/015621 priority patent/WO2019124842A1/en
Priority to PL18891192.9T priority patent/PL3727397T3/pl
Priority to US16/955,597 priority patent/US11311561B2/en
Priority to EP18891192.9A priority patent/EP37273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뇌혈관질환 및 뇌대사개선제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서 신장과 간장에 작용이 없고,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는 안전성이 검증된 약물로서, 저림, 감각무딤, 전기충격적 통증 등의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신경차단에 비해서 더욱 뚜렷하고 현저하게 통증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투여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신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본 발명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신경병증성 통증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 및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경병증성 통증 (neuropathic pain)을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에서는 몸감각계통 (somatosensory system)에서의 질병이나 병변 (lesion)에 의해 발생한 통증으로 정의하며, 이는 침해성 통증 (nociceptive pain)과 구별된다. 침해성 통증은 유해자극이 통증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발생하는 일종의 생체보호 기능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에 의해 쉽게 조절된다.
이에 비해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 변화에 의한 것으로, 발병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통증 발생 원인에 따른 진단방법도 복잡하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에 잘 반응하지 않아 통증 치료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크게 자발통증 (spontaneous pain), 유발통증 (evoked pain) 및 음성증상 (negative symptom)으로 나누어진다. 자발통증에는 신경병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들인 저림(tingling)같은 이상감각 (paresthesia), 전기충격적인 발작적 통증, 작열통이 속한다. 유발통증에는 비유해 자극 (non-painful stimuli)에 통증을 일어나는 이질통 (allodynia), 유해 자극에 통증이 강화되는 통각과민 (hyperalgesia) 들이 있다. 음성증상에는 유해자극에 대한 통증이 감소하는 통각저하 (hypoalgesia)와 비유해자극에 감각이 감소하는 감각저하 (hypoaesthesia)가 있다 (Gilron 2015).
신경병증성 통증의 진단 방법은 원인분석, 과거병력, 이학적검사, 설문지, 간단한 감각 검사, 양적인 감각 검사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신경과 피부 조직검사, 근전도검사, 신경전도검사, 약물부하검사, MRI 등이 있다. 진단 후 얻은 결과는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Baron 2008).
신경병증성 통증의 기저 원인 제거와 함께 통증의 비약물치료와 약물치료를 시행하는데, 통증 치료제는 기저 질병 중심이 아닌 임상증상과 병인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져야한다.
비약물치료에는 교감신경차단, 수술, 자극요법, 물리치료 및 심리치료 등이 있다 (문동언 2003).
신경병증성 통증의 약물치료제중 1차 치료제로서 항경련제인 pregabalin과 gabapentin, 항우울제로서 tricyclic antidepressant인 nortriptyline과 desipramine,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인 duloxetine과 venlafaxine이 사용되고 있다. 2차 치료제로서 lidocaine 패치, capsaicin 8% 패치, tramadol이 쓰이고 있으며 때로는 opioid와 botulinum toxin A가 사용되고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1차 치료제로서 최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이 pregabalin인데 신장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용량이 제한되며 신경병증성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데 시간이 걸리는(약 2주에서 8주 정도) 단점이 있는 비교적 고가의 치료제라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콜린(Choline)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전구체로서, 뇌 대사를 개선시키거나 정신적인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영양소 중의 하나이다. 콜린에 인지질 성분이 결합된 콜린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alpha-GPC)는 레시틴(Lecithin)의 반합성 유도체이로서, L-알파 글리세릴포스포릴콜린(L-alpha Glycerylphosphorylcholine)으로 알려져 있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뇌에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의 전환이나 합성을 돕는다. 구체적으로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체내 흡수 후 콜린과 글리세로포스페이트로 분해되고, 뇌 혈관 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을 거쳐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통과하면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성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투여는 신경전달물질의 저하를 증상으로 하는 질환들에 치료 효과가 있고,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며 이산화탄소로 전환되어 폐를 통해 제거되어 간과 신장에 대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뇌혈관질환 및 뇌대사개선제로 판매되고 있으며,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다.
1) 뇌혈관 결손에 의한 2차 증상 및 변성 또는 퇴행성 뇌기질성 정신증후군 : 기억력저하와 착란, 의욕 및 자발성저하로 인한 방향감각장애, 의욕 및 자발성 저하, 집중력 감소
2) 감정 및 행동변화 : 정서불안, 자극과민성, 주위무관심
3) 노인성 가성우울증
또한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환자의 아세틸콜린 저하에 사용되고 있는 donepezil(Aricept®), rivastigmine(Exelon®)과 같은 콜린 에스테라아제(cholin esterase) 억제제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많은 사람이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고통을 겪음에도 현재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이고 단기간에 작용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뇌혈관질환 및 뇌대사개선제로 사용되어 온 약물인 콜린 알포세레이트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단시간 내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최초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미국등록특허 제4,624,946호 유럽등록특허 제0,201,623호 미국공개특허 제2009-0176740호
Gilron I Baron R, Jensen T. Neuropathic pain: principl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Mayo Cin Proc 90(4):532-545 (2015). Baron R, Tolle TR. Assessment and diagnosis of neuropathic pain. Curr Opin Support Palliat Care 2:1-8 (2008). 문동언. 신경병증성 통증. 대한임상건강진흥학회 2003년 추계학술대회. 연수강좌. S245-S252. Farrar JT, Young JP, LaMoreaux L, Werth JL, Poole RM. Clinical importance of changes in chronic pain intensity measured on an 11-point numerical pain rating scale. Pain 94(2):149-158 (2001). Rowbotham MC. What is a "clinically meaningful" reduction in pain?. Pain 94(2):131-132 (2001). Hawker GA, Mian A, Kendzerska T, French M. Measures of adult pain. Arthritis Care Res. 63(S11): S240-S252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단시간 내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단시간 내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개선할 수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단시간 내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투여용 또는 경구용 제제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1일 투여량 당 콜린 알포세레이트 1 내지 400 mg/체중kg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유효량의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투여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뇌혈관질환 및 뇌대사개선제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서 신장과 간장에 작용이 없고,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는 안전성이 검증된 약물로서, 저림, 감각무딤, 전기충격적 통증 등의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신경차단에 비해서 더욱 뚜렷하고 현저하게 통증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투여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신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유효량의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투여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맥투여용 또는 경구용 제제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담체 예를 들면, 전분, 칼슘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담체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맥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또는 정맥 투여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투여량 당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기준으로 1 내지 400 mg/체중kg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1 내지 4 주일에 1 내지 2회 나누어 주기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제제의 경우 1일 5 내지 200 mg/체중kg으로 1 회 또는 2 내지 3회 나누어 투여하고, 정맥 투여용(근육 투여용, 피하 투여용) 제제의 경우 1일 2 내지 50 mg/kg으로 1주당 1 내지 3회 내지 2 내지 4 주당 1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이나 투여 횟수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개선 또는 예방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제조시에 본 발명에 따른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개선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경구투여에 따른 안정성이 검증된 것이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음료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환자의 특성 및 분류
환자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나타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에게 신경병증성 통증의 특징 (신경병증성 통증의 종류, 발생부위, 발생 시각, 발생 빈도, 통증의 강도), 통증 유발 요인, 질병 보유 여부 및 통증과의 연관성, 통증과 복용 약물과의 연관성, 통증 치료제 들의 복용 여부 등을 질문하여 기본 자료로 사용하였다.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의 환자 특성은 표 1에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의 환자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환자
번호
성별 연령 신경병증성
통증기간(년)
신경병증성 통증 부위 원인 증상
1 M 76 2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2 F 69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3 F 82 3 골반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4 F 43 2 상지 목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5 F 59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6 F 60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7 M 65 5 골반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8 F 45 1 상하지 목, 허리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9 F 72 5 골반 허리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10 M 77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1 F 70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2 M 55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3 M 58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4 M 51 5 골반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5 F 76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6 M 60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7 M 34 2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8 M 72 5 골반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9 F 71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0 F 74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1 M 54 2 상지 목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22 F 73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23 F 48 3 상지 목신경근병증 저림
24 M 45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5 F 52 1 상하지 목, 허리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26 M 48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27 M 61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8 F 67 7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29 F 55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30 M 50 5 상지 목신경근병증 저림
평균±
표준편차
- 60.7±12.2 4.73±2.56 - - -
환자 번호 성별 연령 신경병증성 통증기간(년) 신경병증성 통증 부위 원인 증상
1 F 69 3 당뇨 벌레가 기는 듯한 감각
2 M 61 1 하지 당뇨 저림
3 F 54 2 손목굴증후군 저림
4 F 53 6 손목굴증후군 저림
5 M 62 5 하지 당뇨 감각 무딤
6 M 64 7 하지 당뇨 저림
7 M 69 3 상하지 항암제독성, 당뇨 감각 무딤
8 M 72 10 상하지 당뇨 감각 무딤
9 M 66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10 F 63 5 하지 당뇨,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1 F 62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2 F 57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전기충격적 통증
13 F 55 7 상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14 F 52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5 M 58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6 M 61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7 F 53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감각 무딤
18 F 61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19 M 58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0 M 55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1 M 59 3 상지 목신경근병증 저림
22 F 56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3 M 57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4 F 51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5 M 58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6 F 67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7 F 69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8 F 51 3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29 M 63 7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30 F 73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31 F 55 5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32 M 72 2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33 M 79 10 하지 허리신경근병증 저림
평균±
표준편차
- 61.1±7.15 5.32±2.62 - - -
총 환자는 총 63 명이며 남자 30 명, 여자 33 명이다. 평균 연령은 60.9세이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갖고 있는 평균 기간은 5.08년이다.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 환자는 총 30명이며, 남자는 14명, 여자는 16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60.7±12.2세이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갖고 있는 기간은 4.73±2.56년이다. 30명중 4명은 상지에서, 19명은 하지에서, 5명은 골반에서 그리고 2명은 상지와 하지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이 발생하였다. 저림이 20명에서, 전기충격적 통증과 감각무딤은 각각 5명에서 나타나는 통증 양상을 보였다.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 환자는 총 33 명이며, 남자는 16명, 여자는 17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61.1±7.15세이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갖고 있는 기간은 5.39±2.62 년이었다. 33명중 26명은 하지에서, 1명은 상지에서, 3명은 상지와 하지에서, 2명은 손에서, 그리고 1명은 등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이 발생하였다. 저림이 25명에서, 감각무딤은 6명에서, 전기충격적 통증과 벌레가 기어 다니는 감각은 각각 1명씩 나타나는 통증 양상을 보였다.
2. 실험군별 처치방법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 환자는 lidocaine 0.5% 5ml를 통증 부위(4-5군데)에 나누어 주사하였다.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 환자는 콜린 알포세레이트 (1g/4ml)를 생리식염수 100ml에 혼합한 후 천천히 정맥 주사하였으며, 1주일에 1 내지 2회 처치하였다.
3. 실험방법
4주간의 통증강도와 경련 빈도를 측정하였다. 통증 강도 분별 기준은 통증이 없으면 0으로, 통증의 정도가 가장 약하면 1이며 가장 심한 경우는 10으로 정하는 11-point pain intensity numerical rating scale (PI-NRS)을 사용하였다. 통증 강도는 평균 2정도 감소시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보고를 참고하였다 (Farrar 2001, Rowbotham 2001, Hawker 2011). 통증강도는 첫 번째 방문시(T0) 측정하였으며, 최초 약물 투여 후 2주차(T1) 및 4주차(T2)의 통증 강도와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S package ver.23을 이용하였으며 paired t-test로 유의성검사를 하였다.
4. 실험결과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과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의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효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
T0 T1 T2 T0 T1 T2
통증강도 6.80±0.71 5.03±0.85* 3.47±1.04* 6.42±1.03 3.82±1.33^# 2.48±0.97^#
* P<0.05: 신경차단 처치 전후의 통증강도 차이의 유의성
^ P<0.05: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 전후의 통증강도 차이의 유의성
# P<0.05: 신경차단 처치 후와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 후의 유의성
통증강도는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에서 약물 투여전(T0) 6.80점에서 최초 약물 투여 2주 후(T1) 5.03점으로 1.77점만큼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최초 약물 투여 4주 후(T2) 3.47점으로 3.33점만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은 약물 투여전(T0) 6.42점에서 최초 약물 투여 2주 후(T1) 3.82점으로 2.60점만큼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최초 약물 투여 4주 후(T2) 2.48점으로 3.94점만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과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의 통증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최초 약물 투여 2주 후(T1) 및 4주 후(T2) 모두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에서 "신경차단 처치군(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통증강도가 더욱 더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통증강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일부 환자의 경우 약물 투여 후 바로 다음날부터 신경병증성 통증이 감소하였다는 환자도 있었다. 또한 신경병증성 통증 부위에 직접 주사하는 것이 아니라 정맥 주사를 하는 것에 대해 환자의 순응도가 높았다.
"콜린 알포세레이트 처치군(실시예)"에서 처치 후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신장과 간장에 대한 작용이 없어 신장과 간장 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로 사용 가능할 정도로 누구나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주사제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고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음료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콜린 알포세레이트 1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근육 투여용, 피하 투여용, 정맥 투여용 또는 경구용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1일 투여량 당 콜린 알포세레이트 1 내지 400 mg/체중kg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70174814A 2017-12-19 2017-12-19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KR10184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814A KR101841654B1 (ko) 2017-12-19 2017-12-19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JP2020533072A JP7100784B2 (ja) 2017-12-19 2018-12-10 コリンアルホスセラートを有効成分とする神経障害性疼痛(神経因性疼痛)の治療、改善又は予防用の組成物及び方法
ES18891192T ES2949267T3 (es) 2017-12-19 2018-12-10 Composición y método para tratar, aliviar o prevenir el dolor neuropático, que contiene alfoscerato de colina como ingrediente activo
PCT/KR2018/015621 WO2019124842A1 (en) 2017-12-19 2018-12-10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PL18891192.9T PL3727397T3 (pl) 2017-12-19 2018-12-10 Kompozycja i sposób leczenia, łagodzenia lub zapobiegania bólowi neuropatycznemu, zawierająca alfosceran choliny jako substancję czynną
US16/955,597 US11311561B2 (en) 2017-12-19 2018-12-10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EP18891192.9A EP3727397B1 (en) 2017-12-19 2018-12-10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814A KR101841654B1 (ko) 2017-12-19 2017-12-19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654B1 true KR101841654B1 (ko) 2018-03-26

Family

ID=6191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814A KR101841654B1 (ko) 2017-12-19 2017-12-19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1561B2 (ko)
EP (1) EP3727397B1 (ko)
JP (1) JP7100784B2 (ko)
KR (1) KR101841654B1 (ko)
ES (1) ES2949267T3 (ko)
PL (1) PL3727397T3 (ko)
WO (1) WO20191248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42A1 (en) * 2017-12-19 2019-06-27 Nanostem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84B1 (ko) * 2017-12-11 2018-06-04 (주)나노스템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쥐남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672A (ja) * 2005-10-31 2009-04-02 ブレインセ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神経発生のgaba受容体媒介調節
US20090176740A1 (en) * 2007-11-30 2009-07-09 Phillips Ii Dauglas James Treatment of neurological conditions by the co-administration of aniracetam and l-alpha glycerylphosphorylcholine
KR20110106720A (ko) * 2010-03-23 2011-09-29 (주)비씨월드제약 라세믹체, D체 또는 L-α-글리세릴 포스포릴콜린의 신규한 제조방법
KR20130009906A (ko) * 2011-07-14 2013-01-24 주식회사 바이오파마티스 콜린 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4679A (ko) * 2013-01-14 2014-07-31 주식회사 바이오파마티스 콜린 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출 조절형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216A (ko) * 2014-11-06 2016-05-16 환인제약 주식회사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9972B (it) 1985-05-08 1989-01-05 Lpb Ist Farm Composizioni farmaceutiche per la terapia di sindromi cerebrali involutive e del decadimento mentale
KR101499533B1 (ko) * 2008-02-15 2015-03-09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콜린 알포세레이트 함유 약학 제제
JP2012162473A (ja) 2011-02-04 2012-08-30 Takeshi Matsuzaki N−アセチルグルコサミンを含有する組成物
EP2841071A1 (en) * 2012-04-23 2015-03-04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delaying onset of chronic neuropathic pain
US9271953B2 (en) * 2013-03-13 2016-03-01 Genetic Disease Investigators, LLC Methods for correction of organ dysfunction
JP2015007002A (ja) 2013-06-24 2015-01-15 日油株式会社 ロコモティブ症候群改善剤
KR101833800B1 (ko) 2014-12-19 2018-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실리카계 막 형성용 조성물, 실리카계 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실리카계 막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1865914B1 (ko) 2016-02-25 2018-06-12 오명진 지방분해 및 셀룰라이트 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주사용 조성물
JP6762007B2 (ja) 2016-06-14 2020-09-30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変形性関節症予防用組成物、変形性関節症予防用食品組成物、変形性関節症予防用食品添加物及び変形性関節症予防用医薬
KR101841654B1 (ko) * 2017-12-19 2018-03-26 (주)나노스템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672A (ja) * 2005-10-31 2009-04-02 ブレインセ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神経発生のgaba受容体媒介調節
US20090176740A1 (en) * 2007-11-30 2009-07-09 Phillips Ii Dauglas James Treatment of neurological conditions by the co-administration of aniracetam and l-alpha glycerylphosphorylcholine
KR20110106720A (ko) * 2010-03-23 2011-09-29 (주)비씨월드제약 라세믹체, D체 또는 L-α-글리세릴 포스포릴콜린의 신규한 제조방법
KR20130009906A (ko) * 2011-07-14 2013-01-24 주식회사 바이오파마티스 콜린 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4679A (ko) * 2013-01-14 2014-07-31 주식회사 바이오파마티스 콜린 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출 조절형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216A (ko) * 2014-11-06 2016-05-16 환인제약 주식회사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42A1 (en) * 2017-12-19 2019-06-27 Nanostem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US11311561B2 (en) 2017-12-19 2022-04-26 Hub Washington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1561B2 (en) 2022-04-26
WO2019124842A1 (en) 2019-06-27
ES2949267T3 (es) 2023-09-27
JP2021507887A (ja) 2021-02-25
JP7100784B2 (ja) 2022-07-14
PL3727397T3 (pl) 2023-08-07
EP3727397B1 (en) 2023-06-07
US20200338099A1 (en) 2020-10-29
EP3727397A1 (en) 2020-10-28
EP3727397A4 (en) 2021-09-01
EP3727397C0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3915B2 (ja) 睡眠障害改善剤及び睡眠障害の改善方法
CA2431011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extracts of magnoliaceae plants
KR102200012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KR102439451B1 (ko) 뇌 활성 증진용 조성물
US7514104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1841654B1 (ko)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방법
WO2007010973A1 (ja) D-アロースおよびd-プシコースの抗神経因性疼痛効果の利用
KR20110005144A (ko)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KR102011033B1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1612611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muscle cramps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ctive ingredient
DE60020833T2 (de) Melatonin zur behandlung von paralysen ausgelöst durch hirnschlag
KR20150001109A (ko) 다표적 제어를 통한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4880B1 (ko) 데커신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5027B1 (ko) 상추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0740566B1 (ko) 페닐프로파노이드 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불안 및 기억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20190105392A (ko) 이오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제,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 조성물
KR101973000B1 (ko) 모노 글리세라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
KR20240006284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3978B1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1107A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루테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3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3343B1 (ko)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230046063A (ko) Gaba 복합 조성물
KR20240006282A (ko)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1797A (ko) 당세라마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