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633B1 -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633B1
KR101837633B1 KR1020090052982A KR20090052982A KR101837633B1 KR 101837633 B1 KR101837633 B1 KR 101837633B1 KR 1020090052982 A KR1020090052982 A KR 1020090052982A KR 20090052982 A KR20090052982 A KR 20090052982A KR 101837633 B1 KR101837633 B1 KR 10183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composition
tea extract
post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381A (ko
Inventor
신현정
조시영
박필준
윤준원
이범진
서대방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5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6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피로 회복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후발효차, 알코올, 숙취 개선, 간장 보호, 피로 회복

Description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on of alcohol's degradation}
본 발명은 숙취를 개선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차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비타민을 비롯하여 카페인, 탄닌, 플라보노이드 및 정유 등이 있다. 녹차는 전통적으로 당뇨, 비만, 항산화, 항고혈압, 항균, 콜레스테롤 강하 및 항궤양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용차로서 일상적으로 음용되고 있다.
이러한 녹차는 크게 비발효차와 발효차로 나뉘며, 발효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서 약발효차, 반발효차, 후발효차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후발효차의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보이현에서 유래된 보이차를 들 수 있다. 보이차는 대엽종 차나무에서 얻어진 후발효차로 녹차잎의 효소를 파괴시킨 뒤 녹차잎을 퇴적하여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다시 발효가 일어나게 만든 차를 말한다.
이러한 보이차는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비만을 방지하며 소화를 돕고 위를 따 뜻하게 하며,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이차는 원형 덩어리로부터 잎을 분리해야 되는 불편함으로 섭취가 용이하지 않고, 공기 중 낙하균에 의해 발효되기 때문에 곰팡이 냄새 또는 잡균 냄새가 나며, 병원성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의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을 위한 조성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숙취 개선,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를 포함하는 기존의 조성물에 비해 냄새가 없고 맛이 좋아 섭취가 용이하며, 병원성균 또는 잡균의 오염이 없어 안전하다.
본 명세서에서 "후발효차"는 열을 가하여 녹차 내부의 효소를 비활성화 시킨 후, 적정한 수분과 온도 등의 조건 하에서 특정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 시킨 차를 의미하고, 차 잎 내부 효소를 이용하는 전발효차와 구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시 이용하는 미생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식용이 가능한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효모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속 균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Bacillus) 속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칼스벌젠시스(Saccharomyces calsbergensis)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내로 섭취된 알코올은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간장으로 이동되면서 위장과 간장에서 대사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은 1차적으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작용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전환된다. 다음 단계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acetate)으로 대사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아세트산은 구연산회로(TCA cycle)를 거쳐 대사된다.
이때 대사 장애가 발생하여 알코올 분해 대사 과정 중 생성된 중간대사산물 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쌓이게 되면 음주에 의한 독성과 숙취현상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알코올의 독성은 간에서 간경화, 간암 등의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비발효 녹차 추출물은 쥐의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을 높여주며, 녹차 성분인 데아닌은 쥐의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고 알코올성 간 손상을 감소시키며, 녹차의 주요 활성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는 간세포에서 알코올로 인한 간세포 독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이 비발효차에 비하여 현저하게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이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알코올 대사 산물의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를 포함한 조성물은 체내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하고 혈중 알코올의 농도를 감소시키며, 특히 숙취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그 분해 효소 활성을 촉진하므로, 숙취를 빠르고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내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하고 혈중 알코올의 농도를 감소 시키므로, 알코올 분해를 관장하는 간장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숙취를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게 하고 간장을 보호하여, 빠른 피로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차를 포함하는 기존의 조성물에 비해 냄새가 없고 맛이 좋아 섭취가 용이하며, 별도로 가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시킨 것이므로 병원성균 또는 잡균의 오염이 없어 안전하고 위생적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후발효차 추출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초로 약 1 중량%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서 후발효차 추출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초로 약 1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발효차 추출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초로 약 1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미생물의 대사를 위한 발효액은 설탕 및 과당을 각각 0.05 내지 10.0%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발효균액은 대두 분말 단백질을 0.005 내지 1.0%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 및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균액은 녹차건엽 중량 대비 10 내지 150%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녹차 발효균액 혼합물은 40 내지 70℃에서 발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녹차 발효균액 혼합물은 24시간 내지 28일 동안 발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 제조에 있어서, 열풍 건조는 80 내지 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동물은 물론이고 인간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후발효차를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건강식품으로서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통상적인 차잎 형태나 티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후발효차를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 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2000mg/kg/일이 될 수 있고 1mg/kg/일 내지 10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후발효차의 제조
1. 사카로마이세스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제조
진동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20~30℃에서 배양된 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회수하여 1차로 원심분리기에서 균주와 활성 배지를 분리하였다. 0.8~1.0%의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균주를 1회 세척해 준 다음, 멸균수 100ml에 설탕 2.0%, 과당 2.0%를 혼합한 후 120도에서 15분간 고온가압멸균하고 상온에서 25도까지 냉각시킨, 발효액에 넣었다. 수분 및 에너지로 작용하는 상기 발효액은 적절한 미생물의 대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세척과정에서 손상을 입은 균주의 원활한 발효 대사를 위해 발효액에 균주를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안정화 시켰다.
발효액에 대두 분말 단백질 0.5%를 혼합하고, 발효균주 수가 105~107 CFU/mL 되도록 균주를 넣은 발효균액을 제조하였다. 멸균된 반응 탱크에 소포장 단위 별로 준비한 녹차 주 기질에 발효균액을 녹차건엽 중량 대비 66.7%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급속한 온도증가로 인해 균주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녹차엽에 수 분이 골고루 흡수되도록 발효균액을 혼합한 후에도 녹차엽을 계속 교반 시켰다. 15분 후 반응이 완료되고 온도가 떨어진 녹차 발효균액 혼합물의 입구를 막아 외기의 유입을 막고 온도 30℃ 항온 발효조에서 발효 공정을 거쳤다. 상기 발효 온도에서 다른 균주의 생장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숙성 기간 중 다른 잡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발효는 14일간 실시하였으며, 열풍건조 80℃에서 5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 결과, 제조된 최종 후발효차 추출물 내 총균수(Total microbial account)는 106 CFU/g 이하로 규격범위 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들은 검출되지 않았다.
2. 바실러스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제조
진동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20~30℃에서 배양된 균주인 바실러스(Bacillus spp)를 회수하여 1차로 원심분리기에서 균주와 활성 배지를 분리하였다. 0.8~1.0%의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균주를 1회 세척해 준 다음, 멸균수 100ml에 설탕 2.0%, 과당 2.0%를 혼합한 후 120도에서 15분간 고온가압멸균하고 상온에서 25도까지 냉각시킨, 발효액에 넣었다. 수분 및 에너지로 작용하는 상기 발효액은 적절한 미생물의 대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세척과정에서 손상을 입은 균주의 원활한 발효 대사를 위해 발효액에 균주를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안정화 시켰다.
발효액에 대두 분말 단백질 0.5%를 혼합하고, 발효균주 수가 105~107 CFU/mL 되도록 균주를 넣은 발효균액을 제조하였다. 멸균된 반응 탱크에 소포장 단위 별로 준비한 녹차 주 기질에 발효균액을 녹차건엽 중량 대비 66.7%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급속한 온도증가로 인해 균주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녹차엽에 수분이 골고루 흡수되도록 발효균액을 혼합한 후에도 녹차엽을 계속 교반 시켰다. 15분 후 반응이 완료되고 온도가 떨어진 녹차 발효균액 혼합물의 입구를 막아 외기의 유입을 막고 온도 50℃ 항온 발효조에서 발효 공정을 거쳤다. 발효 온도가 40도를 넘어가게 되면 바실러스(Bacillus spp)를 제외한 다른 균주의 생장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숙성 기간 중 다른 잡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발효는 7일간 실시하였으며, 열풍건조 80℃에서 5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 결과, 제조된 최종 후발효차 추출물 내 총균수(Total microbial account)는 106 CFU/g 이하로 규격범위 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들은 역시 검출 되지 않았다.
[실시예 2]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보이차 추출물의 제조
후발효차 1 kg을 70 % 에탄올용액 5 L에 침지하여 80 ℃에서 3시간 동안 역류(reflux)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15 ~ 20 %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 전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비발효 녹차와 보이차 역시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마우스에 대한 후발효차 추출물 및 알코올의 투여
마우스는 250~300g의 몸무게인 것을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 급식하였으며 실온에서 사육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후발효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 녹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 및 보이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시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각 군당 5마리로 구성되었으며, 후발효차, 녹차, 및 보이차 추출물 투여군에게 각 추출물을 200mg/kg의 농도로서 5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알코올(ethanol) 농도가 22%인 용액 0.36 ml를 경구투여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2] 마우스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효과 평가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뒤, 실험예 1의 마우스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4℃에서 원심 분리한 후 혈청을 수득하였다. 각 마우스 혈액의 혈중 알코올 함량은 에탄올 측정 키트(ethanol assay kit, sigm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마우스로부터 수득한 혈청에 10ul씩 에탄올 측정 키트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전에 각 알코올을 농도 별로 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뒤, 알코올 농도-흡광도에 대한 표준 곡선을 얻어, 각 군의 흡광도에 따라 알코올 농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경구 투여한 군들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비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또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녹차나 보이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많이 감소하여 그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마우스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효과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마우스에게서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측정 키트(acetaldehyde assay kit, sigma, USA)를 사용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정량하였다. 사전에 각 아세트알데히드를 농도 별로 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흡광도에 대한 표준 곡선을 얻어, 각 군의 흡광도에 따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투여 받은 군들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uM)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비투여군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으며, 녹차나 보이차 추출물은 아세트 알데히드 혈중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미비함에 비해, 후발효차 추출물은 약 25% 정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었다. 따라서 후발효차 추출물의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간 조직 내의 효소액 분리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r dehydrogenase, ALDH)의 활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예 1의 각 마우스로부터 간 조직을 떼어내어 간 세포의 세포내 소기관이 제거된 세포질 분획을 수득하고, 효소활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간(0.2g)은 무게의 7배의 0.25 M 수크로스 완충액(sucrose buffer,pH 7.4)을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700 rpm에서 10분간, 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펠렛(pellet)과 상등액으로 나누었다.
상등액을 50,000 rpm에서 1시간 원심 분리하여 ADH와 세포질상(cytosolic) ALDH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펠렛은 수크로스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간 중량 2배의 1.15% KCl과 간 중량 1g당 1ml씩의 0.3%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를 첨가하여 녹인 후, 50,000 rpm에서 1시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미토콘드리아 ALDH의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5] 간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능 평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알코올 분해대사 과정의 첫 단계를 촉매 하는 효 소로,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면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가 촉진될 수 있다.
실험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측정법(spectrophtometric method, Boleda et al., 1989)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96-다공 평판기에 0.1 M 피로포스페이트 완충액(pyrophosphate buffer) 100 ml, 0.025 M NAD+ 66.67 ml, 2 M 에탄올 33.3 ml를 넣고 섞은 후, 실험예 4에서 분리한 ADH 효소 용액 5 ml를 넣고 반응을 시작하여 340 nm에서 5분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투여 받은 군들의 ADH 활성능을 도 3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흡광도를 나타낸 것으로, 흡광도가 높을수록 ADH의 활성이 높은 것에 해당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비투여군과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혈중 ADH의 활성이 거의 유사한데 비해, 녹차 추출물 또는 보이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약 25% 정도 활성이 향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후발효차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약 50% 정도의 ADH 활성 상승을 보여, 그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간의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능 평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는 알코올의 분해 대사 과정의 두 번째 단계를 촉매 하는 효소로서 알코올 탈수소효소에 의해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actate)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면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가 촉진될 수 있다.
ALDH활성은 Bostian 방법대로 수행하였다(Bostian and Betts, 1978). 96-다공 평판기에 1 M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pH 8.0), 0.02 M NAD+, 3M KCl, 100mM 아세트알데히드, 베타-멀캅토에탄올(b-Mercaptoethanol)을 넣고 반응 시킨 후, 실험예 4에서 분리한 세포질액 ALDH 효소 용액과 미토콘드리아 ALDH 효소 용액 5 ml를 넣고 반응을 시작하여 340 nm에서 5분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투여 받은 군들의 ALDH 활성능을 도 4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흡광도를 나타낸 것으로, 흡광도가 높을수록 ALDH의 활성이 높은 것에 해당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비투여군에 비해서 미토콘드리아 ALDH 활성이 절반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녹차나 보이차 추출물 투여에 의해서는 미토콘드리아 ALDH의 활성 증가 효과가 미비하지만, 후발효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그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2.2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세포질내 ALDH 역시, 후발효차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 보다 활성이 1.5배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후발효차 추출물은 ALDH의 활성을 증가시켜 아세트알데히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식품 및 약학 조성물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건강 식품
후발효차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2] 건강 음료
후발효차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고,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고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3] 연질캅셀제
후발효차 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대두유 180mg, 홍삼추출물 50m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 mg씩 충진 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정제
후발효차 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전분 96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형예 5] 과립제
후발효차 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및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 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 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g으로 하였다.
[제형예 6] 드링크제
후발효차 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10g, 홍삼추출물 50mg, 구연산 2g 및 정제수 187.8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ml로 하였다.
상기의 예시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경구 투여한 군들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경구 투여한 군들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uM)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투여 받은 군들의 ADH 활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비투여군,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알코올 투여 전에 각각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을 5일간 투여 받은 군들의 ALDH 활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개선을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경감시키는 숙취 개선을 위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숙취 개선을 위한 조성물.
  4. 삭제
  5.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를 위한 조성물.
  6. 삭제
  7.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장 보호를 위한 조성물.
  8. 삭제
  9.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회복을 위한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90052982A 2009-06-15 2009-06-15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83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82A KR101837633B1 (ko) 2009-06-15 2009-06-15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82A KR101837633B1 (ko) 2009-06-15 2009-06-15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81A KR20100134381A (ko) 2010-12-23
KR101837633B1 true KR101837633B1 (ko) 2018-03-12

Family

ID=4350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82A KR101837633B1 (ko) 2009-06-15 2009-06-15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37B1 (ko) * 2020-04-28 2020-11-03 (주)네추럴에프앤피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86B1 (ko) * 2012-09-26 2014-08-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70046540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피코엔텍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907A (ja) * 2005-08-05 2007-02-22 Fukujuen:Kk 茶葉および茶抽出物中のカテキン類の含有量比を変化させ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907A (ja) * 2005-08-05 2007-02-22 Fukujuen:Kk 茶葉および茶抽出物中のカテキン類の含有量比を変化させ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규목 외 4명. 녹차와 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8(3): 219~224. 2005년 발행.*
조연옥 외 4명, 차나무(Camellia sinensis) 추출물이 아급성 알코올 투여 마우스의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9): 1134~1139. 2007년 9월 발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37B1 (ko) * 2020-04-28 2020-11-03 (주)네추럴에프앤피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81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096B1 (ko) 숙취해소효소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323969B1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25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170340690A1 (en) Method for improving intestinal health using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KR100787633B1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1373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tea extracts for reducing lipid level
KR20110041050A (ko) 발효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수족 냉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37633B1 (ko)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US9724361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ver function deterioration, containing citrus peel extract or narirutin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extracting narirutin from citrus peel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0417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6616945A (zh) 一种以虫草腺苷为底物的代生素与益生菌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CN104920609A (zh) 一种绞股蓝功能酸奶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60121633A (ko)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항노화 기능성 조성물
JP7344661B2 (ja) 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4535554B2 (ja) 2次胆汁酸産生抑制剤及び飲食品
KR20180094396A (ko) 누룩에서 분리한 균주의 발효에 의해 제조되는 콜레스테롤 개선용 홍국조미식품 조성물
KR20190032183A (ko)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244621B (zh) 一种源于发酵果汁的醇溶组分及其用途
KR20160125230A (ko) 갯질경의 신규 용도
KR20100048005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210058756A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5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29

Effective date: 2018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