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756A -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756A
KR20210058756A KR1020210039966A KR20210039966A KR20210058756A KR 20210058756 A KR20210058756 A KR 20210058756A KR 1020210039966 A KR1020210039966 A KR 1020210039966A KR 20210039966 A KR20210039966 A KR 20210039966A KR 20210058756 A KR20210058756 A KR 2021005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fermentation
liver disease
fermented extra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869B1 (ko
Inventor
박경욱
강경윤
이미경
최라영
Original Assignee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21003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4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1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350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G01N2333/43552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체내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세포 손상의 지표인 혈중의 γ-GTP, AST와 ALT 수치 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fat-removed and fermented tenebrio molitor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피부 다음으로 큰 장기로서 지질의 에너지 대사작용, 각종 약물이나 알코올 등과 같은 독성물질의 해독, 담즙의 배설, 조혈, 혈액응고 및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 많은 기능을 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체내에 흡수된 혈중 에탄올은 간세포에서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전환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된 후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간기능의 주요 지표로 사용되는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ST, aspar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요소),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는 주로 간세포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아 사멸할 경우에 혈액으로 유리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질환에는 간 세포내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에 의한 지방간(fatty liver), 알코올에 의한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알코올성 간염(hepatitis), 이러한 간의 만성염증으로 간조직이 섬유화 조직으로 변형되는 간경변증(liver cirrhosis) 등이 있다.
현재까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간 건강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인정한 원료에는 밀크씨슬추출물, 브로콜리스프라우트분말, 표고버섯균사체, 표고버섯균사체추출물, 복분자추출분말 등이 있고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인정한 원료에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등이 있다. 최근 10년간 상기 예시의 원료를 사용한 각종 제제 형태의 식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대다수는 드링크제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데 있어 일부의 생리적 개선 효과만 있거나 임상적으로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21879호는 층꽃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1971호는 감귤 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3825호는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편,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몸길이는 약 15mm정도이며,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갈색거저리 유충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하는데, 밀웜이 애완용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아 곤충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곡식을 먹이로 하는 매우 청결한 곤충이기 때문이다.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3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에 활동한다. 주로 인가 근처의 곡식부대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하다가 봄에 번데기와 성충으로 변태한다.
이러한 갈색거저리 유충은 곤충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지방함량이 낮아 단백질 보급원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특히 항암물질들과 함께 간암세포주에 처리되었을 때 증대되는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갈색거저리와 관련된 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2253호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곤충어묵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6111호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연하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갈색거저리의 용도와 관련된 특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1908호는 갈색거저리 유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1110호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4331호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712호는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4125호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4566호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갈색거저리 유충을 탈지하고 발효한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을 제거한 다음 건조하고, 효모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 제거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헥산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유지 및 지방 성분이 제거된, 즉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에 효모 균주를 접종한 다음 3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4℃에서 60 내지 80 시간,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발효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거나 발효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이고, 발효 온도가 35℃ 초과하는 경우 효모 균주의 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효 시간이 6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제조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발효 시간이 8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하의 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과 발효 효율에 차이가 없어 비경제적이다. 한편, 상기한 발효 시간 및 온도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를 위한 배지는 유지 및 지방 성분이 제거된, 즉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이외에 효모 추출물 및 덱스트로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은 4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로 포함하고, 덱스트로스는 90 내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로 포함한다. 또한, 발효를 위한 효모 균주는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발효 배지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상기 효모 균주는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오베야누스(S. eubayanus),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 사카로마이세스 플로렌티누스(S. florentinus)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 cerevisiae) 균주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발효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의 추출은 물 또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수,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을 물 또는 60 내지 100% 주정,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주정을 이용하여 가열, 비가열 또는 냉침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추출용매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또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술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을 13 내지 20mg, 바람직하게 15 내지 18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mg 함유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지표 물질 및 표준품을 확인하기 위하여 페닐알라닌을 선정하였으며, 상기 페닐알라닌은 지표 물질 및 표준품으로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알코올성 간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간조직 내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세포 손상의 지표인 혈중의 γ-GTP, AST와 ALT 수치 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대사를 조절하여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알코올성 간의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예를 들어,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또는 영양결핍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또는 상실된 간의 기능을 개선, 증가, 또는 회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알코올성 간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상술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로, 구체적으로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을 제거한 다음 건조하고, 효모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 또는 “치료”는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래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또는 상실된 상태로서, 예를 들어,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또는 영양결핍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에 대한 표준품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에 대한 표준품 분석 방법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만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상등액의 페닐알라닌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페닐알라닌 함량이 1g당 13 내지 20mg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표준품인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에 대한 지표물질을 탐색하던 중 페닐알라닌이 표준곡선(Standard curve)으로부터 직선성을 나타내며, HPLC로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밀성과 회수율에 대해 일내-분석한 결과와 같은 농도, 같은 부피, 같은 시각에 일간-분석한 결과로 부터 재현성과 반복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지표물질은 페닐알라닌이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에 함유된 페닐알라닌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표준품으로 제조되었는지 분석 및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준품이란 추출물의 특성상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일정한 품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정된 상태를 말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유효하게 발효 및 추출되어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는 표준품으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 함량이 13 내지 20mg, 바람직하게 15 내지 18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mg인 경우 인정된다.
상기 페닐알라닌 함량의 측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데, 하나의 구체적 예로 HPL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이 13 내지 20mg 함유된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표준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유효하게 발효 및 추출되어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는 표준품으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 함량이 13 내지 20mg, 바람직하게 15 내지 18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mg인 경우 인정된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간조직 내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세포 손상의 지표인 혈중의 γ-GTP, AST와 ALT 수치 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상실된 상태인 간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페닐알라닌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표준품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공정에서 발효일수에 따른 pH 및 산도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공정에서 발효일수에 따른 당도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공정에서 발효일수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에 대한 지표물질에 대한 표준품 정량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에 대한 지표물질 및 표준품의 정량 분석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섭취 흰쥐의 혈청 내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섭취 흰쥐의 간 무게 및 간 조직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섭취 흰쥐의 간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 제조
식품공전의 유기물질 추출방법인 유기용매(헥산)법을 이용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을 24시간 용매(헥산) 추출하여 유지 및 오일 성분을 분리하여 여과 및 제거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건조한 후 파쇄기로 파쇄하여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제조된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은 100℃에서 45분간 살균 처리하였다.
대량 발효를 위하여 총 150L 발효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 1.5kg, 덱스트로스 3.0kg, 및 상기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3.0kg을 넣은 후 100℃에서 45분간 멸균하고 33℃로 냉각하였다. 이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 1.5kg을 접종하고 32 내지 35℃에서 72시간 동안 효모 발효를 진행하여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배양액 300L에 70% 주정 700 L를 혼합한 후 95℃에서 3시간 가열 추출을 진행한 다음 추출물을 부직포 여과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산업용 고온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12~13 Brix(%)가 확인된 시점에서 농축을 종료하였다. 그 제조된 발효 배양액 추출 농축물은 -40℃ 냉동고에 동결시킨 후 산업용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 제형으로 만든 후 진공 포장하여 보관하고,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공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배양 추출물의 성분 분석
2-1. pH 및 적정 산도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pH는 시료 20 mL를 취해 pH meter (SevenEasy, Mettler-Toledo AG, Schwerzenba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추출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 2 mL을 취한 후 0.1%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을 지시약으로 하여 0.1N NaOH 용액으로 중화 적정한 다음 아세트산 환산 계수로 계산하여 산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이 함유된 배양 배지의 효모 접종 직후의 pH는 6.87로 측정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36시간차 pH는 4.95, 산도는 0.44%를 나타내었다. 발효 72시간차부터 pH는 소폭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도는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 96시간에서는 pH 4.21 산도는 0.62%를 나타내었다.
2-2. 환원당 측정
발효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DNS (Dinitrosalicylic acid)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최적 흡광도를 나타내기 위해 발효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2배, 5배, 10배 희석하였다. 희석된 발효 추출물 100 μL를 테스트 튜브(test tube)에 넣고 DNS (Dinitrosalicylic acid) 시약 100 μL를 첨가하여 5분간 85~90℃에서 발색시켰다.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 후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글루코스 표준곡선(Glucose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상이한 윗첨자는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 검정에 의해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효모 접종 직후의 환원당 함량은 4.5%로 나타났으며 발효 12시간 4.2%로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1일차(24시간)부터 환원당 함량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 24시간차 환원당 함량은 3.3%로 나타났다. 이후 환원당 함량은 계속 감소되어 발효 96시간에 환원당 함량은 0.9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시간이 지속될수록 환원당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발효시간 0 12 24 36 48 60 72 96
환원당 함량(%) 4.5a 4.2b 3.3c 3.1d 2.7e 1.9f 1.25g 0.94h
2-3. Brix (Soluble solid content) 함량 측정
당도는 발효 추출물 500 μL를 취해 당도계 (ATAGO, Pocket Refractometer, PAL-2)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가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soluble solid content인 당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시작점에서의 당도는 9.3 Brix로 나타내었고, 발효 12시간 후 7.1 Brix를 나타내었다. 이후 발효 1일차(24시간) 당도는 6.3 Brix로 감소하였고, 발효 60시간차 당도는 4.2 Brix로 나타났다. 발효 마지막 날 96시간에서는 2.1 Brix를 나타내었다.
2-4. 총당 측정
최적 흡광도를 얻기 위해 상기 2-2의 환원당과 같은 방법으로 발효 추출물을 2배, 5배, 10배 희석하였다. 희석된 발효 추출물 1 mL를 테스트 튜브(test tube)에 넣고 페놀 용액 1 m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페놀을 첨가한 발효 추출물에 진한 황산 5 mL를 첨가하여 40~50분 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글루코스 표준곡선(Glucose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상이한 윗첨자는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 검정에 의해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효모 접종 직후의 초기 총당의 함량은 9.4%로 나타났다. 효모 발효 24시간 후의 총당 함량은 8.4%로 감소하였고 발효 2일차 48시간의 총당 함량이 이전 시간과 비교하였을 때 약 절반 정도 줄어든 4.06%를 나타내었다. 발효 3일차 72시간의 총당 함량이 3.3%로 나타내었으며, 발효 마지막 시간인 96시간의 총당 함량이 2.1%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당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시간 0 12 24 36 48 60 72 96
총당 함량(%) 9.4a 8.7b 8.4c 7.5d 4.0e 3.9f 3.3g 2.5h
2-5. DO(용존산소량) 측정
발효 추출물의 용존산소량(DO) 측정은 측정기(TOADKK, DO-31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발효 추출물을 15 mL 정량하여 3회 반복하여 평균 값을 산출하였다. 단, 발효 0일차의 용존산소량은 100%,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0%로 환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상이한 윗첨자는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 검정에 의해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 0시간차 DO의 함량은 100%로 환산하였을 때, 발효 12시간차 DO의 함량은 92.1%로 감소되었고, 발효 1일차 24시간에서 DO 함량은 88.4%로 감소되었다. 발효 2일차 48시간에서 DO 함량은 83.4%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마지막 날인 발효 4일차 DO 함량은 70.1%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DO 함량 수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시간 0 12 24 36 48 60 72 96
DO (%) 100a 92.1b 88.4c 86.2d 83.4e 77.1f 73.8g 70.1h
2-6.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발효 추출물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은 측정기(TOADKK, DO-31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발효 추출물을 15 mL 정량하여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단, 발효 0일차의 용존산소량은 100%,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0%로 환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상이한 윗첨자는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 검정에 의해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 0시간차 BOD 함량을 0%로 환산하였을 때, 발효 12시간에서는 균이 생육함에 따라 BOD 함량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1일차 24시간에서 BOD 함량은 7.9%로 나타났으며, 발효 2일차 48시간에서 BOD 함량은 14.2%, 발효 3일차 72시간에서 BOD 함량은 23.7%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마지막인 96시간에서는 BOD 측정값은 27.1%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BOD 함량 수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시간 0 12 24 36 48 60 72 96
BOD(%) 0 4.1g 7.9f 12.5e 14.2d 18.1c 23.7b 27.1a
2-7. 생균수 측정
발효 추출물의 생균수 측정은 발효 추출물 시료 1 mL에 멸균수 9 mL을 첨가하고 104, 105, 106 배로 단계별 희석한 다음 이를 배지에 20 μL 도말한 후, 30℃ 항온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생균수를 CFU (colony forming unit)/mL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 0일차 초기 생균수는 2.44 X 107 CFU/mL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생균수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1일차 24시간에서 생균수는 5.12 X 107 CFU/mL을 나타내었다. 발효 3일차 48시간에서 생균수는 4.66 X 108 CFU/mL로 생균수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발효 3일차 72시간에 최대 생균수 수치를 확인하였다. 이후 발효 96시간차에는 생균수가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8. 알코올 함량 측정
알코올 함량 측정은 국세청 주류분석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메스실린더에 발효 추출물 100 mL를 취한 후 둥근 플라스크에 옮겼다. 발효 추출물이 넣어져 있던 메스실린더를 증류수 10 mL로 3회 이상 씻은 후 그 액을 합쳤다. 속시렛히터(Soxhlet heater)를 이용하여 발효 추출이 들어있는 둥근 플라스크에 열을 가하여 증류하였다. 증류액이 70 mL가 되면 증류를 정지하고 증류수를 보충하여 100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교반하여 주정계 (ATAGO, PAL-2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상이한 윗첨자는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 검정에 의해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효모 접종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간격으로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 1일차의 알코올 함량을 0%로 환산하였을 때, 발효 1일차 24시간에서 알코올 함량은 0,9%를 나타내었다. 발효 2일차 48시간에서 알코올 함량은 1.66%로서 알코올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발효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알코올 함량은 증가되지만 증가되는 폭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시간 0 24 48 72 96
알코올 함량(%) 0e 0.9d 1.66c 2.08b 2.44a
실시예 3: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페닐알라닌 함량 분석 및 지표물질 표준화 분석법 확립
실시예 1의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 분말 100 mg을 5 mL DW에 용해한 후,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가라앉히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spin-down 시켰다. 침전물을 제외한 상층액만 피펫으로 LC 분석용 샘플 바이알(vial)에 옮겼다. 페닐알라닌 표준품 10 mg을 10 mL DW에 용해시킨 후 400 μL, DW를 600 μL를 섞어 LC 분석용 샘플 바이알에 옮겼다. 분석 방법은 gradient method로 HPLC 분석을 진행하였다. 컬럼은 역상컬럼(C18)을 이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나이트릴과 0.5% Trifluoroacetic acid(TFA)를 첨가한 물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동산의 주입속도는 분당 1L의 속도로 용리하였으며 검출은 자외선흡광광도계를 이용하였다.
3-1. 직선성(Linearity)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에 따라 획득된 상등액을 1, 2, 4, 6, 8, 10 μg으로 농도를 선정하여 3번씩 반복 실험한 후 평균값으로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R2값이 0.99 이상으로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 (Limit of Detection, LOD)는 0.04이고, 정량한계 (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0.13이었다.
3-2. 함량 분석
상기 3-1의 표준곡선(Standard curve)를 통해 확보된 면적(area) 값을 적용해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의 발효 추출물 내 페닐알라닌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의 발효 추출물 1 g당 16.6 mg의 페닐알라닌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3-3. 정밀성(Precision)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의 발효 추출물에서 페닐알라닌을 지표물질로 표준화함에 있어서 지표물질의 정밀성을 탐색하기 위해, 하루에 같은 시간 간격을 두고 3번 반복 실험하고(일내-분석), 연속된 3일 동안 같은 시각에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실험하여(일간-분석)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Precision
Mean±SD(min) RSD(%)
7.82±0.02 0.25
일내-분석
(intra-day)
7.79±0.01 0.17
7.50±0.04 0.58
7.26±0.04 0.49
일간-분석
(inter-day)
7.22±0.64 8.86
7.21±0.62 8.65
7.20±0.63 8.74
3-4. 회수율(Recovery)
회수율은 고농도, 중간농도, 저농도 3가지를 각각 3번씩 측정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계산식(회수율=[(관측치-목표치)/목표치*100]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Concentration
(mg/mL)
Recovery
Mean±SD(%) RSD(%)
0.8 105.27±1.59 1.51
104.76±1.70 1.62
103.34±1.96 1.90
1.6 105.64±0.85 0.80
103.07±1.19 1.17
103.07±1.11 1.08
2.4 105.05±0.35 0.33
102.74±1.16 1.13
103.71±1.77 1.70
3-5. 결과
페닐알라닌은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이며, 단백질을 생성하기 위해 신체에서 사용되며, 티로신을 직접적으로 생산하며 우울증, 통증 및 피부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에 대한 지표 물질로써 특이성을 가진다. 또한, 페닐알라닌의 표준품을 ‘시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할 수 있어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표준곡선(Standard curve)으로부터 페닐알라닌의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HPLC로 분석이 가능하다. 정량 한계는 0.13이다. 정밀성과 회수율에 대해 일내-분석한 결과와 같은 농도, 같은 부피, 같은 시각에 일간-분석한 결과를 보아 재현성과 반복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페닐알라닌이 갈색거저리 유충을 첨가한 효모 배양 추출물의 지표 성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실시예 4: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식이에 따른 변화 관찰
4-1. 동물 사육
실험동물은 4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오리엔트바이오(Seongnam, Korea)로부터 구입하여 2주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정상군(Con), 알코올 대조군(EtOH), 알코올과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의 저농도군(MWF50, 50 mg/kg/day), 중농도군(MWF100, 100 mg/kg/day), 고농도군(MWF200, 200 mg/kg/day) 및 알코올과 실리마린 투여군(Sily200, 200 mg/kg/day)으로 각 군당 10마리씩 나누었다.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0 ± 2 ℃), 항습(50 ± 5 %), 12시간 광주기를 유지하며 스테인리스 케이지에 한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식이는 Lieber-DeCarli의 액체식이조성(표 8)에 따라 1 mL당 1 kcal 열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제하였고, 액체 식이병에 채워서 제공하였다. 알코올 식이는 알코올이 전체 열량의 36%를 차지하며 정상식이는 알코올을 대체하여 덱스트린 말토오스를 동일열량이 되도록 추가하였다. 이때 식이적응을 위하여 1주간 알코올 함량을 열량의 21%부터 시작하여 36%까지 점차 늘렸으며 이후, 매일 일정 시간에 액체식이 형태로 제조하여 공급하였다. 실험물질은 증류수에 녹여 존데를 이용하여 8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본 실험은 순천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SCNU IACUC-2018-12).
Ingredients Standard diet(g/L) Alcohol diet(g/L)
Casein
L-Cystine
DL-Methionine
Corn oil
Olive oil
Dextrin maltose
Cholinebitartrate
Fiber
Xanthan gum
Vitamin mix
Mineral mix
Ethanol
41.4
0.5
0.3
8.5
31.1
115.2
0.53
10
3
2.55
9
-
41.4
0.5
0.3
8.5
31.1
25.6
0.53
10
3
2.55
9
50
4-2. 임상적 변화,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상기 4-1에 따라 동물 사육을 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임상적 변화를 관찰하고 체중은 매주, 식이섭취량은 매일 일정시간에 측정하였다. 사육을 종료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CO2로 마취하여 복부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으로부터 공복혈액을 채취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은 -80℃에 보관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간조직은 혈액 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수차례 헹구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칭량하고 액체질소로 급랭시켜 분석 시까지 -80℃에 보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육 시작 시점의 그룹 간 체중차이는 없었으나, 8주 동안 알코올 액체식이를 급여한 모든 그룹에서 정상군에 비해 실험 종료 후 최종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식이섭취량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식이효율은 알코올 액체식이를 급여한 모든 그룹에서 정상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Con EtOH MWF50 MWF100 MWF200 Sily200
Initial body weight (g) 232.03±3.64 232.63±3.89 232.03±3.43 232.09±3.45 232.29±3.36 232.23±3.31
Final body weight (g) 485.99±5.34c 423.48±12.49ab 400.58±12.81a 425.74±12.98ab 407.38±10.82ab 436.89±9.23b
Body weight gain (g) 253.95±5.26c 190.85±10.36ab 168.54±11.48a 193.64±12.14ab 175.08±9.11ab 204.65±7.55b
Food intake (mL/day) 85.18±0.12 84.58±1.35 80.78±2.22 84.43±2.57 78.64±1.81 84.65±2.17
Food efficiency ratio 0.0533±0.0011c 0.0401±0.0016ab 0.0369±0.0016a 0.0407±0.0016ab 0.0396±0.0015ab 0.0431±0.0008b
상기 결과 값은 평균 ± 표준오차로 표기하였다. 그룹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 수준에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4-3. 혈청의 생화학적 지표 분석
혈액 생화학분석기(Fuji Dri-Chem 3500i, Fujifil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혈청의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알부민(albumin) 함량을 측정하였다. 혈청의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γ-glutamyl transpeptidase, γ-GTP)는 분석 kit(YD-diagnostics, Yongin,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의 함량 측정은 ELISA kit(Elabscience Biotechnology Co., Ltd, Wuhan, Chin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간세포 손상의 지표인 혈중의 γ-GTP, AST와 ALT 수치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알코올대조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MWF50, MWF200)과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총 빌리루빈은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알부민과 TNF-α 수치는 정상군보다 알코올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모든 농도의 발효 추출물 및 실리마린은 TNF-α 함량을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하였다.
4-4. 간 무게 및 간조직의 지질 함량 분석
동물로부터 적출된 간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여 단위체중당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 0.1 g을 잘게 자른 후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메탄올(methanol)이 2: 1인 용액 2 mL을 첨가하여 균질화 시킨 후 25℃에서 3시간 동안 지질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1 M H2SO4 200 μ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하층액 1 mL을 옮겨 1% Triton X-100을 함유한 클로로포름 용액 1 m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질소가스로 건조시키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sonication하였다. 간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Asa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과 유리지방산(Shinyang Diagnostics, Seoul, Korea) 함량은 kit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조직의 단위체중당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급여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 추출물군(MWF50, MWF200)과 실리마린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도 8 참조).
또한, 간의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알코올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MWF200군에서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도 8 참조).
4-5. 간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간조직을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수세하고 60% 알코올에서부터 상승농도로 탈수하여 파라핀에 포매하고, 이를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hematoxylin-eosin(H&E)로 염색하였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은 고정한 간조직을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부착한 뒤, bouin 용액에 매염하고 trichrome으로 염색하였다. Oil Red O 염색은 간조직을 동결 한 뒤 이것을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부착한 후 건조시킨 뒤 Oil Red O 염색약으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간조직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E 염색 및 Oil Red O염색을 통해 간 조직내 지방축적을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알코올 대조군에서 비정상적인 지방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콜라겐을 파란색으로 염색하는 Masson’s trichrome 염색 결과 알코올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간섬유화 조직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발효 추출물과 실리마린을 경구 투여한 경우 지질 축적 및 콜라겐 염색이 감소된 것을 보였다.

Claims (8)

  1.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고, 효모로 발효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또는 영양결핍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을 13 내지 20mg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고, 효모로 발효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또는 영양결핍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을 15 내지 18mg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039966A 2019-11-13 2021-03-26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5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66A KR102353869B1 (ko) 2019-11-13 2021-03-26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85A KR102283749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표준품 분석 방법
KR1020210039966A KR102353869B1 (ko) 2019-11-13 2021-03-26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85A Division KR102283749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표준품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756A true KR20210058756A (ko) 2021-05-24
KR102353869B1 KR102353869B1 (ko) 2022-01-24

Family

ID=76153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85A KR102283749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표준품 분석 방법
KR1020210039966A KR102353869B1 (ko) 2019-11-13 2021-03-26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85A KR102283749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표준품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37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25B1 (ko) * 2012-11-09 2014-08-04 대한민국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5120A (ko) * 2016-11-16 2018-05-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KR20190052233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0312A (ko) * 2019-06-07 2019-06-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스타잔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26407B1 (ko) * 2017-11-24 2019-09-27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25B1 (ko) * 2012-11-09 2014-08-04 대한민국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5120A (ko) * 2016-11-16 2018-05-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KR20190052233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6407B1 (ko) * 2017-11-24 2019-09-27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90070312A (ko) * 2019-06-07 2019-06-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스타잔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86A (ko) 2021-05-24
KR102353869B1 (ko) 2022-01-24
KR102283749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01740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및 컴파운드 케이 고함량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0787633B1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995B1 (ko) 발효 쌀겨 및 미배아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95390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s, containing sicyos angulatu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40115281A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파라-쿠마르산을 이용한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2353869B1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KR20220122877A (ko)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43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228554B1 (ko) 진피발효생성방법 및 이에 의한 진피발효생성물
KR101793537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를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0679B1 (ko) 고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0502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6342B1 (ko) 항당뇨 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231383B1 (ko) 음나무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105928A (ko) 수경인삼 추출물 및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신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경구 투여용 조성물
CN108244621B (zh) 一种源于发酵果汁的醇溶组分及其用途
JP2005022988A (ja) ヨモギ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細胞糖輸送促進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