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35B1 -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35B1
KR101837235B1 KR1020140163412A KR20140163412A KR101837235B1 KR 101837235 B1 KR101837235 B1 KR 101837235B1 KR 1020140163412 A KR1020140163412 A KR 1020140163412A KR 20140163412 A KR20140163412 A KR 20140163412A KR 101837235 B1 KR101837235 B1 KR 10183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porous carbon
lithium
delete delet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033A (ko
Inventor
연순화
신경희
안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6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 용액에 다공성 탄소를 혼합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전해질 내에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다층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공성 탄소에 황을 담지시킨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리튬-황 이차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높은 전기화학적 용량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다층의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다황화물(polysulfide)이 양극 또는 음극 표면에 침전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충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LITHIUM-SULFUR RECHARGEABLE BATTERY CONTAINING POROUS CARBON SULFUR COMPOSITE AND MULTI-LAYER SEPAR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학적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1회용으로 사용하는 일차전지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향이 휴대전화, 노트북(PC),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PDA) 등으로 점점 다양해지면서, 이차전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전기 자동차(electronic vehicle)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onic vehicle)가 실용화되면서, 용량과 출력이 높고 안정성이 뛰어난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러 소재의 비용 중에 양극의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료는 일반적으로 충방전시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는 동시에 가역 리튬이온의 층간 삽입, 탈리에 의해 구조가 파괴되지 않아야 하며, 전기전도도가 높고 전해질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나아가 제조비용이 낮고, 환경오염 문제가 최소가 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리튬 이온전지에서 높은 에너지 용량을 발현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로서 황(sulfur)이 주목받고 있는데, 황은 약 1675 mA h/g의 높은 이론 용량과 2600 W h/Kg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가격이 저렴하고 독성이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황을 사용한 리튬-황 이차전지는 하기의 특허 등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황은 전기 전도도가 낮고, 충방전 반응 중에 다황화물(polysulfide)를 형성하고 리튬 금속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수명 특성이 나빠지고 전기화학적인 활성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상업화되기 까지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많이 있다.
(0001) 미국등록특허 제 5,814,420 호 (0002) 미국등록특허 제 5,792,575 호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리튬-황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공성 탄소를 황 용액에 담지시켜 형성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한 리튬-황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황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황 용액에 다공성 탄소를 혼합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전해질 내에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 제조 단계는 유기용매에 황 분말을 용해시켜 황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황 용액과 다공성 탄소를 혼합하여 다공성-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건조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이황화탄소(CS2)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황 분말은 10 중량%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는 다공성 탄소에 형성된 기공에 상기 황 용액이 담지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황 용액은 다공성 탄소의 총 기공 부피와 동일한 부피로 첨가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60 내지 70℃ 온도에서 10 내지 24 시간 동안 건조되며, 추가적으로 진공 오븐에서 50 내지 70 ℃ 온도로, 8 내지 12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은 1층 내지 4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해질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디옥솔란(dioxolan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및 디에틸카보네이트(dienthyl carbonate)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에 리튬염을 녹여서 제조되고, 상기 리튬염은 LiCF2SO3, LiTFSI 및 LiPF6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황 이차전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이차전지는 의료용 기기 및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원 공급원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 탄소에 황을 담지시킨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리튬-황 이차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높은 전기화학적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탄소의 기공 속에 황 분자가 균일하게 담지됨으로써, 사이클 특성이 개선되어 높은 전기화학적 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튬-황 이차전지는 다층의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다황화물(polysulfide)이 양극 또는 음극 표면에 침전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충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튬-황 이차전지를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의료용 기기 및 휴대용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도 2는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황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다층 분리막 사용시의 셔틀 이펙트 효과 억제 현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단층 및 다층 분리막에 따른 리튬-황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유기용매에 황 분말을 용해시켜 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황 용액과 다공성 탄소를 혼합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용매는 이황화탄소(CS2)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탄소로 사용할 미세기공 활성탄소(microporous activated carbon)는 Kansai Coke and Chemicals사의 MSP-20 (비표면적 2000~2400 m2/g, 평균 포어(pore) 사이즈 <1 nm)를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SSA)는 BET(Brunauer-Emmett-Teller)법에 따른 비표면적을 나타낸다. 황은 분말 형태로 Sigma Aldrich 사의 황 분말 (100 mesh particle size, reagent grade)를 사용하였고, 또한, 다공성 탄소에서 기공의 총 부피는 BJH(Barrett-Joyner-Hallenda)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되어 사용하였다.
이하, 구체적인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황-함침법(S-impregnation, 이하에서는 "IS 프로레스"라고 칭함)을 통해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먼저 이황화탄소(CS2) 용매에 상기 황 분말 10 중량% 를 넣고 용해시킨 황 용액을 얻었다.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의 총 기공 부피(total pore volume)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의 총 기공 부피와 동일한 부피만큼만 상기 황 용액을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에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서서히 혼합하였다. 혼합 후, 60 내지 70 ℃ 온도의 오븐에서 약 16시간 가량 건조시켰다. 상기 이황화탄소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약 60℃ 온도의 진공오븐에서 약 10시간 동안 진공건조를 실시하였다. 황의 함량이 20 중량%, 25 중량%, 26 중량%, 30 중량%, 40 중량% 및 50 중량%인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로 각각의 IS20, IS25, IS26, IS30, IS40 및 IS50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또 다른 제조 방법으로 LS(S-liquid filed pore filling 이하에서는 "LS 프로세스"라고 칭함)는, 먼저 이황화탄소 용매에 황 분말 약 10 중량% 를 넣고 용해시켜 황 용액을 얻었다.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의 총 기공 부피(total pore volume)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의 총 기공 부피와 동일한 부피만큼만 상기 황 용액을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에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서서히 혼합하였다. 상기 IS 프로세스에서 제시된 건조 조건으로 이황화탄소 용매를 완전히 건조시켰다. 황의 융점은 약 160℃ 이므로, 상기 온도에서 황은 액상이 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공성 탄소의 기공(pore)으로 스며들게 되어 다공성 탄소에 고루 퍼지게 되므로, 건조된 다공성 탄소를 아르곤(Ar) 조건 하에서 160℃의 온도로 1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따라서, 상기 LS 프로세스를 통해 황의 함량을 각각 25 중량%, 50 중량% 및 68 중량% 로 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 LS25, LS50 및 LS68를 제조하였다.
제 1 실시예로 상기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는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32-타입의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IS 프로세스에 따라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황 함량 25 중량%)인 IS25에 도전재인 Super-P 10중량%와 결착재인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리드(PVDF) 10중량%를 혼합한 슬러리를 만들어 알루미늄 집전체에 코팅한 후 압연 과정을 거쳐 양극으로 사용하였고, 음극은 리튬 포일(foil)을 사용하였다. 분리막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미세기공 막(microporous membrane)을 사용하였고, 상기 분리막은 각각 2층 막(2 layers), 3층 막(3 layers) 및 4층 막(4 layers)의 형태로 하여 각각의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전해질로는 1,3-디옥솔란(1,3-dioxolane)과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에 1M의 LiTFSI가 포함된 전해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분리막인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미세기공 막 특성은 아래의 표 1와 같이 나타났다.
특성 단위
두께 25
기공도(porosity) % 55
PP 평균 기공크기 0.064
비교예는 1층 막인 단층(monolayer) 분리막을 형성한 것 이외에 나머지 조건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리튬-황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도 1은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ppe, TEM)을 이용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S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에서 초기의 결정질의 황 구조(도 1a)가 도 1c에서처럼 무정질의 황 구조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LS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의 황의 구조(도 1d)는 탄소 매트릭스 내에서 황의 초기의 결정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로 각각 이차전지의 전극을 구성하여 충방전 테스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IS 프로세스에 따라 제조된 황 함량 40 중량%의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IS40)의 비표면적은 약 500 m2/g였고, 기공부피는 약 0.2 cm3/g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므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에서 황의 구조는 충방전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전해질에 따른 리튬-황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방전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리튬-황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디옥솔란(dioxolan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및 디에틸카보네이트(dienth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에 리튬염을 녹여서 제조되며, 상기 리튬염은 LiCF2SO3, LiTFSI 및 LiPF6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부피비 1:1로 혼합된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디옥솔란에 0.2 M LiNO3와 1M LiCF3SO3가 포함된 전해질(이하, LiCF2SO3로 한다), 부피비 1:1로 혼합된 1,3-디옥솔란과 1,2-디메톡시에탄에 1M LiTFSI가 포함된 전해질(이하, LiTFSI 로 칭한다), 부피비 1:1로 혼합된 1,3-디옥솔란과 1,2-디메톡시에탄에 0.2 M LiNO3와 1M LiTFSI가 포함된 전해질(이하, LiTFSI-1로 칭한다) 및 부피비 1:1의 에틸렌카보네이트/디에틸렌카보네이트에 1M LiPF6가 포함된 전해질(이하, LiPF6로 칭한다)을 사용하였다.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IS40-LiCF3SO3 , IS26-LiPF6, IS26-LiCF2SO3 , IS26-LiTFSI, IS20-LiCF2SO3 , LS50- LiTFSI, LS50-LiTFSI-1, LS50-LiCF3SO3 및 LS68-LiTFSI를 포함하는 각각의 2032-타입의 코인 셀을 제조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에 도전재로 Super-P 10중량%와 결착재로 PVDF 10중량%를 혼합한 슬러리를 만들어 알루미늄 집전체에 코팅한 후 압연 과정을 거쳐 양극으로 사용하였고 음극은 리튬 포일(foil)을 사용하였고, 분리막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미세기공 막을 사용하였다.
상기 이차전지 중에서 IS 프로세스에 의해 황 함량을 26 중량%하여 제조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IS26)를 이용한 이차전지는 50회의 사이클 동안 700 mA h/g 이상의 전기화학적 용량으로 가장 우수한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황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방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Maccor 사의 전지 테스트기(Series 4000)를 이용하여 전압을 오픈 서킷 볼티지(open circuit voltage) 내지 0.005 V vs. Li/Li+ 전위구간 범위에서 정전류로 방전하고, 이후 전압은 2.8 V 내지 1.0 V vs. Li/Li+ 전위구간에서 충/방전률은 C/10-rate 로 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 3b은 단층(monolayer) 분리막을 사용했을 때, 충전이 방전에 비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c, 3d는 다층(multilayer)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 충전과 방전이 동일시간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리튬-황 이차 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의 기공 크기는 리튬 이온뿐만 아니라 작동 중 생성되는 Li2S8, Li2S6, Li2S4 및 Li2S 등과 같은 다황화물의 분자도 통과할 수 있어 셔틀 효과(shuttle effect)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고체 형태의 Li2S 가 양극 혹은 음극에 침전되어 리튬 이온과 활물질의 반응을 억제시켜 전체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황 이차전지는 상기와 같은 셔틀 효과가 발생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다층 분리막을 사용할 경우, 증가된 분리막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다층의 분리막에 의해 다층의 기공이 분포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다황화물이 분리막의 기공을 통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쉽게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셔틀 효과를 저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충전과 방전용량의 갭(Gap)이 줄어들어 드는 효과가 있고 과도한 충전을 막을 수 있어 사이클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도 5 에 나타내었다.

Claims (13)

  1.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황 이차전지 제조방법으로서,
    황 용액에 다공성 탄소를 혼합하여 황의 함량이 50 중량%인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로 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전해질 내에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2개 내지 4개 층으로 구성된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유기용매로 이황화탄소(CS2)에 황 분말 10 중량%를 용해시켜 황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다공성 탄소에 상기 황 용액을 다공성 탄소의 총 기공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60 내지 70℃ 온도의 오븐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진공 오븐에서 60℃ 온도로 1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3 단계 이후에 건조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를 아르곤(Ar) 분위기 하 16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디옥솔란(dioxolan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및 디에틸카보네이트(dienthyl carbonate) 중에서 선택되는 2종을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에 LiCF2SO3, LiTFSI 및 LiPF6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리튬염을 녹여서 제조된 것이며,
    상기 분리막은 평균 기공의 크기가 0.064㎛이고, 두께가 25㎛인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미세기공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13. 삭제
KR1020140163412A 2014-11-21 2014-11-21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KR10183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412A KR101837235B1 (ko) 2014-11-21 2014-11-21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412A KR101837235B1 (ko) 2014-11-21 2014-11-21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33A KR20160061033A (ko) 2016-05-31
KR101837235B1 true KR101837235B1 (ko) 2018-03-09

Family

ID=5609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412A KR101837235B1 (ko) 2014-11-21 2014-11-21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719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658B1 (ko) * 2017-06-05 2020-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점,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및 리튬-황 이차전지
KR101999570B1 (ko) 2017-08-14 2019-09-30 전자부품연구원 고체초강산을 함유하는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190021504A (ko) 2017-08-22 2019-03-06 전자부품연구원 리튬-황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102302554B1 (ko) 2017-10-30 2021-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6840B1 (ko) 2017-11-08 2022-0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공성 탄소,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황 이차전지
WO2019098733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1095622B (zh) 2017-11-16 2023-03-31 株式会社Lg新能源 硫碳复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KR102229453B1 (ko) * 2017-11-24 2021-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38943B1 (ko) 2017-11-27 2019-10-3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바이오매스 유래 황-탄소 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3591A (ko) 2017-11-30 2019-06-10 전자부품연구원 리튬-황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102579019B1 (ko) 2018-07-18 2023-09-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공성 실리카-황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00113979A (ko) 2019-03-27 2020-10-0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리튬-황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30092449A (ko) 2021-12-17 2023-06-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복합 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30092456A (ko) 2021-12-17 2023-06-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양극용 바인더,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30100898A (ko) 2021-12-29 2023-07-0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지로부터 유래한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탄소-황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황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804A2 (en) * 2009-09-02 2011-03-10 Ut-Battelle, Llc Sulfur-carbon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as cathode materials in lithium-sulfur batter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804A2 (en) * 2009-09-02 2011-03-10 Ut-Battelle, Llc Sulfur-carbon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as cathode materials in lithium-sulfur batter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719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33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235B1 (ko)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KR1022933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047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01335B1 (ko)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TWI496333B (zh) 膨脹石墨於鋰/硫電池中之用途
KR101137375B1 (ko) 2차 입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KR102378583B1 (ko) 리튬-함유 복합체의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150318532A1 (en) Bifunctional separator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US10608276B2 (en) Carbon material, anode material and spacer additive for lithium ion battery
KR20170032190A (ko) 리튬 황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US10403885B2 (en) Active material for batteries
KR100758383B1 (ko) 리튬/유황이차전지용 탄소 코팅 유황전극
KR102664448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90004651A (ko)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1152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310028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53067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160714B1 (ko) 양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20190047903A (ko) 황-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50016072A (ko)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커패시터
US20200403224A1 (en) Lithium molybdate anode material
KR102631899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5439B1 (ko) 규소 산화물 복합체 입자 및 이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 리튬이차전지
EP4016688A1 (en) Capsule for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2415160B1 (ko) 탄소 표면 처리된 바나듐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